KR20050095958A - 필름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필름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958A
KR20050095958A KR1020040021178A KR20040021178A KR20050095958A KR 20050095958 A KR20050095958 A KR 20050095958A KR 1020040021178 A KR1020040021178 A KR 1020040021178A KR 20040021178 A KR20040021178 A KR 20040021178A KR 20050095958 A KR20050095958 A KR 2005009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fabric
film
senso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수
Original Assignee
박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761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9595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수 filed Critical 박찬수
Priority to KR102004002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958A/ko
Publication of KR2005009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3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selectively positionable in operative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단(2) 상에 필름(4)을 겹쳐놓고 소정위치에 설치된 필름부착펀치(23)를 통과하는 동안 원단(2) 상에 일정형상의 필름띠(5)가 형성되도록 원단(2)을 변속 진행시키는 원단이송수단과, 필름을 정속 진행시키는 필름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수단은, 구동모터(6)와 벨트연결 회전되는 구동기어(11)가 본체(8) 상단부에 설치된 구동축(12) 일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구동기어(11)의 인접 측부에 구동축(12)으로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13)가 구비된 구동부(10); 상기 구동축(1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기어연결 회전되는 종동축(22)이 구비되고, 이 종동축(22) 상에 하부의 필름부착펀치(2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펀치승강캠(24)이 축착되며, 상기 종동축(22) 일단부에 축착된 편심회전판(25)을 갖는 종동부(20); 상기 종동부(20)의 편심회전판(25)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편심회전바(30); 상기 편심회전바(30)의 타단부와 래칫 연결되어 편심회전판(25)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전되는 제1래칫(41)이 구비되며, 일단부에 이 제1래칫(41)과 기어 결합되어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기어(42)가 마련되고 그 타단부가 필름부착펀치(23) 인접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외주면 상에 얹혀진 원단(2)을 필름부착펀치(23)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롤러(43)가 구비된 원단이송부(40); 상기 종동부(20)의 종동축(22)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단속회전판(52)이 구비되고, 이 단속회전판(52) 상에 센서감지봉(53)이 설치되며, 상기 단속회전판(52)의 인접 측부에는 일직선상에 놓이는 센서감지봉(53)을 감지하는 순간 구동부(10)의 클러치(13)를 구동축(12)으로부터 분리시켜 구동축(1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센서(54)가 구비된 실린더작동부(50); 및 상기 원단이송부(40)의 이송기어(42)와 래칫 연결되어 제1래칫(41)의 회전에 의한 이송기어(42) 회전 중에는 작동이 정지되는 제2래칫(62)이 구비되고, 이 제2래칫(62)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작동부(50)의 제1센서(54)가 작동되는 순간 상기 제2래칫(62)을 축 회전시켜 상기 이송기어(42)가 연동 회전되게 하는 실린더(63)가 구비되며, 이 실린더(63) 인접 측부에 회전되는 제2래칫(62)을 감지하여 실린더(6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구동부(10)의 클러치(13)가 구동축(12)과 결합되게 하는 제2센서(64)가 구비된 클러치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부착장치{Film att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 상에 일정형상으로 부착되는 필름띠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 상에 필름판을 겹쳐놓은 상태에서 이들을 일정방향으로 동시 진행시키면서 필름부착펀치를 가압하여 원단 상에 소정의 필름띠가 일정간격을 두고 부착되도록 하는 필름부착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필름부착장치는 원단상으로 부착되는 필름띠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없어 전체적인 부착무늬의 형상이 단조롭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원단 상으로 부착되는 필름띠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필름무늬의 형상이 다양하게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필름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름부착장치는 원단 상에 필름을 겹쳐놓고 소정위치에 설치된 필름부착펀치를 통과하는 동안 원단상에 일정형상의 필름띠가 형성되도록 원단을 변속 진행시키는 원단이송수단과, 필름을 정속 진행시키는 필름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수단은, 구동모터와 벨트연결 회전되는 구동기어가 본체 상단부에 설치된 구동축 일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인접 측부에 구동축으로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가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기어연결 회전되는 종동축이 구비되고, 이 종동축 상에 하부의 필름부착펀치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펀치승강캠이 축착되며, 상기 종동축 일단부에 축착된 편심회전판을 갖는 종동부; 상기 종동부의 편심회전판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편심회전바; 상기 편심회전바의 타단부와 래칫 연결되어 편심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전되는 제1래칫이 구비되며, 일단부에 이 제1래칫과 기어 결합되어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기어가 마련되고 그 타단부가 필름부착펀치 인접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외주면 상에 얹혀진 원단을 필름부착펀치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롤러가 구비된 원단이송부; 상기 종동부의 종동축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단속회전판이 구비되고, 이 단속회전판 상에 센서감지봉이 설치되며, 상기 단속회전판의 인접 측부에는 일직선상에 놓이는 센서감지봉을 감지하는 순간 구동부의 클러치를 구동축으로부터 분리시켜 구동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센서가 구비된 실린더작동부; 및 상기 원단이송부의 이송기어와 래칫 연결되어 제1래칫의 회전에 의한 이송기어 회전 중에는 작동이 정지되는 제2래칫이 구비되고, 이 제2래칫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작동부의 제1센서가 작동되는 순간 상기 제2래칫을 축 회전시켜 상기 이송기어가 연동 회전되게 하는 실린더가 구비되며, 이 실린더 인접 측부에 회전되는 제2래칫을 감지하여 실린더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구동부의 클러치가 구동축과 결합되게 하는 제2센서가 구비된 클러치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판 표면에는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절개되며 단턱을 갖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머리부가 이 절개홈의 단턱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몸통부가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볼트가 구비되고, 이 슬라이딩볼트의 몸통부에 편심회전바의 일단부가 관통 결합되어 너트를 조여 고정시키거나 너트를 풀어 상기 절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의 원단이송롤러는 원단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그 외주면이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작동부는 종동축과 연결 회전되는 단속회전기어와 센서감지봉을 갖는 단속회전판이 베벨기어에 의해 서로 기어 결합되고, 상기 종동부의 편심회전판이 1회전되는 회전각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관통공이 단속회전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이 관통공에 복수의 센서감지봉이 선택적으로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중앙에 슬릿이 형성된 센서위치조절바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이 센서위치조절바는 받침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가 제2래칫과 실린더 사이의 범위내에서 위치 조절되게 하고 일정위치에서 슬릿을 통해 체결구를 체결하여 받침판에 고정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는 원단(2) 상에 필름(4)을 겹쳐놓고 원단(2)은 변속 진행시키고 필름(4)은 정속 진행시키는 동안 원단(2) 상에 필름띠(5)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단이송수단은, 구동모터(6)와 벨트연결 회전되는 구동기어(11)가 본체(8) 상단부의 구동축(12) 일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구동기어(11)의 인접 측부에 클러치(13)가 구비된 구동부(10)와, 상기 구동축(1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기어연결 회전되는 종동축(22)이 구비되고 이 종동축(22) 상에 하부의 필름부착펀치(2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펀치승강캠(24)이 축착되며 상기 종동축(22) 일단부에 축착된 편심회전판(25)을 갖는 종동부(20)와, 상기 종동부(20)의 편심회전판(25)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편심회전바(30)와, 상기 편심회전바(30)의 타단부와 래칫 연결되는 제1래칫(41)이 구비되며 일단부에 이 제1래칫(41)과 기어 결합되는 이송기어(42)가 마련되는 원단이송롤러(43)가 구비된 원단이송부(40)와, 상기 종동부(20)의 종동축(22)과 연결되는 단속회전판(52)이 구비되고 이 단속회전판(52) 상에 센서감지봉(53)이 설치되며 상기 단속회전판(52)의 인접 측부에 제1센서(54)가 구비된 실린더작동부(50) 및 상기 원단이송부(40)의 이송기어(42)와 래칫 연결되는 제2래칫(62)이 구비되고 이 제2래칫(62)과 연결되는 실린더(63)가 구비되며 이 실린더(63) 인접 측부에 제2센서(64)가 구비된 클러치작동부(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8)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직립 배치된 한 쌍의 직립벽체(9)가 구비되어 그 상단부에는 구동부(10) 및 종동부(20)가 설치되고, 이들과 연계되는 원단이송부(40), 실린더작동부(50), 및 클러치작동부(60)가 일측 직립벽체(9)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에는 종동부(20)의 필름부착펀치(23)가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원단(2) 및 필름(4)의 진입부, 즉, 필름부착펀치(23)의 전방부에는 원단(2) 및 필름(4)의 원활한 이송을 위한 복수의 가이드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0)는 구동모터(6)와 벨트연결 회전되는 구동기어(11)가 구동축(12) 일단부에 축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11)의 인접 측부인 구동축(12) 상에는 제1센서(54)의 작동에 따라 구동축(12) 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구동기어(11)와 결합 및 분리되어 구동축(12)으로 구동모터(6)의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12)의 타단부에는 종동부(20)의 종동기어(21)와 치합되는 보조구동기어(14)가 축착되어 있다.
상기 종동부(20)는 상기 구동축(1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 구동축(12)의 보조구동기어(14)와 치합되는 종동기어(21)가 일단부에 축착된 종동축(22)이 구비되고, 이 종동축(22) 상에는 하부의 필름부착펀치(2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펀치승강캠(24)이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21)의 반대편인 종동축(22) 타단부에는 제1래칫(41)을 승강 회전시키는 편심회전판(25)이 축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회전판(25) 표면에는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절개된 절개홈(25a)이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바(30)의 일단부가 상기 절개홈(25a)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편심회전판(25) 표면에는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절개되고 단턱(25b)을 갖는 절개홈(25a)이 형성되며, 머리부(27a)가 이 절개홈(25a)의 단턱(25b)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몸통부(27b)가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볼트(27)가 구비되며, 이 슬라이딩볼트(27)의 몸통부(27b)에 편심회전바(30)의 일단부를 관통 결합시켜 너트(28)를 조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너트(28)의 조임을 느슨하게 해제시켜 편심회전바(30)가 상기 절개홈(25a)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편심회전바(30)는 편심회전판(25) 상의 결합위치에 따라 제1래칫(41)의 상하 승강각도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편심회전바(30)는 상기 종동부(20)의 편심회전판(25)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래칫(41)과 연결되는 장방형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단이송부(40)는 상기 편심회전바(30)의 타단부와 래칫 연결되어 편심회전판(25)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전되는 제1래칫(41)이 구비되며, 일단부에 이 제1래칫(41)과 기어 결합되어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기어(42)가 마련되고 그 타단부가 필름부착펀치(23) 인접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외주면 상에 얹혀진 원단(2)을 필름부착펀치(23)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롤러(4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래칫(41)은 이송기어(42)와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편심회전판(25)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동안 상기 이송기어(42)가 일방향, 즉 원단(2)이 진행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며, 이 이송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원단이송롤러(43)가 동일 회전각만큼 회전되면서 가이드롤러(7)를 경유한 원단(2)을 필름부착펀치(23)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단이송부(40)의 원단이송롤러(43)는 원단(2)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그 외주면을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래칫(41)에 의한 원단이송롤러(43)의 회전 동작은, 예를 들어 제1래칫(41)이 하강하는 동안 회전되어 원단(2)을 일정거리 이송시키고 상기 제1래칫(41)이 상승하는 동안에는 정지되며, 이때 종동부(20)의 필름부착펀치(23)가 하강하여 원단(2) 상으로 필름(4)을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원단이송롤러(43)는 원단(2)을 일정거리 이송시키고 나서 정지되어 있는 동안 필름띠(5)가 부착되며 다시 일정거리 이송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단이송롤러(43)는 편심회전판(25)의 회전에 따른 제1래칫(41)의 상하 회전동작에 의해 연동 회전되어 원단(2)을 이송시키는 한편, 상기 클러치작동부(60)의 실린더(63)가 이송기어(42)와 연결기어(70) 및 체인(72)으로 연결된 제2래칫(62)을 작동시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서도 원단(2)을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교대로 발생되는 편심회전판(25)의 회전력과 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원단(2)을 이송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름(4)은 원단(2)의 상기와 같은 불규칙적인 진행과 상관없이 원단(2)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로 별도의 필름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일정 속도로 진행된다.
상기 실린더작동부(50)는 종동부(20)의 종동축(22)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단속회전판(52)이 구비되고, 이 단속회전판(52) 상에 센서감지봉(53)이 설치되며, 상기 단속회전판(52)의 직하방 인접 측부에는 일직선상에 놓이는 센서감지봉(53)을 감지하는 순간 구동부(10)의 클러치(13)를 구동축(12)으로부터 분리시켜 구동축(1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센서(5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작동부(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종동축(22)과 체인(55) 연결 회전되는 단속회전기어(51)와, 센서감지봉(53)을 갖는 단속회전판(52)이 베벨기어(미도시)에 의해 서로 기어 결합되고, 상기 단속회전판(52) 상에는 종동부(20)의 편심회전판(25)이 1회전되는 회전각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관통공(52a)이 단속회전판(5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이 관통공(52a)에 복수의 센서감지봉(53)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종동부(20)의 편심회전판(25)이 1회전하면 단속회전판(52)이 일정 회전각, 즉 단속회전판(52)의 회전에 의해 제1센서(54)와 수직선상에 놓인 소정의 관통공(52a)이 회전되어 지나가고 그 다음 관통공(52a)이 와서 상기 제1센서(54)와 다시 수직선상에 놓이게 되는 회전각만큼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단속 회전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관통공(52a)들 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센서감지봉(53)이 제1센서(54)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면 이 제1센서(54)가 작동되어 구동부(10)의 클러치(13)를 구동축(12)으로부터 분리시켜 구동축(12)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클러치작동부(60)의 실린더(63)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속회전판(52)의 관통공(52a)과 센서감지봉(53)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예를 들어, 상기 단속회전판(52) 상에서 세 개의 관통공(52a)이 노출된 다음 하나의 센서감지봉(53)이 삽입되어 있고 다시 세 개의 관통공(52a)이 노출된 경우의 일부분을 대상으로 할 때, 관통공(52a)에 대응해서는 필름부착펀치(23)가 작동되므로 원단(2) 상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세 개의 필름띠(5)가 부착되고 나서, 센서감지봉(53)에 대응하여 필름부착 공정이 정지된 상태로 원단(2)만 클러치작동부(60)의 실린더(63) 작동에 따른 이송기어(42)의 회전각만큼 전진 이동되어 원단(2) 상에 빈 부분을 형성하고 나서, 다시 관통공(52a)에 대응하여 필름부착펀치(23)가 작동되면서 일정간격을 갖는 세 개의 필름띠(5)가 원단(2) 상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작동부(60)는 상기 원단이송부(40)의 이송기어(42)와 연결기어(70) 및 체인(72)을 통해 래칫 연결되어 제1래칫(41)의 회전에 의한 이송기어(42) 회전 중에는 정지되어 있는 제2래칫(62)이 구비되고, 이 제2래칫(62)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작동부(50)의 제1센서(54)가 작동되는 순간 상기 제2래칫(62)을 축 회전시켜 상기 이송기어(42)가 연동 회전되게 하는 실린더(63)가 구비되며, 소정위치에서 회전되는 제2래칫(62)을 감지하여 실린더(6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구동부(10)의 클러치(13)가 구동축(12)과 결합되게 하는 제2센서(6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64)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66a)이 형성된 센서위치조절바(66)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이 센서위치조절바(66)는 받침판(68)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64)가 제2래칫(62)과 실린더(63) 사이의 공간내에서 그 위치가 정해지도록 슬라이딩되고, 일정위치에서 슬릿(66a)을 통해 체결구(69)를 체결하여 받침판(68)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작동부(6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센서(64)는 제2래칫(62)과 실린더(63) 사이에 배치되며, 실린더(63)의 당김 작동에 따라 제2래칫(62)이 실린더(63) 방향으로 축 회전되는(이때, 연결기어(70)를 통해 이송기어(42)를 회전시키게 된다.) 과정 중 상기 제2센서(64)와 일직선(직립벽체(9)와 직각 방향)상인 위치에 이르러 제2센서(64)에 감지되면 순간적으로 실린더(63)의 당김 작동이 정지되어 제2래칫(62)을 원상태로 밀어내는 동시에 구동부(10)의 클러치(13)를 작동시켜 구동축(12)이 구동모터(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다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63)의 주요 작동은, 제1센서(54)가 작동되었을 때 구동축(12)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에 따른 편심회전판(25)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래칫(62)을 잡아당겨 이송기어(42)를 이 제2래칫(62)의 회전각만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래칫(62)은 제2센서(64)가 설치된 위치까지만 회전되므로 센서위치조절바(66)를 통해 제2센서(64)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기어(42)의 회전각이 달라지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필름(4)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원단(2)의 이송거리를 결정짓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원발명에 사용된 공지의 제1, 2래칫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래칫하우징(80)과 축(82) 사이 공간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래칫핀(84)이 배치되고, 이 래칫핀(84) 사이에 스프링(86)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래칫하우징(8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핀(84)이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래칫하우징(80)과 축(82) 간의 결합관계를 분리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래칫하우징(80)만 단독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래칫하우징(8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울어져있던 래칫핀(84)이 스프링(86)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동시에 래칫하우징(80)과 축(82)에 맞물리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래칫하우징(80)과 축(82)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반적인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필름부착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동모터(6)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축(12)이 회전되고, 이 구동력은 보조구동기어(14)를 통해 종동기어(21)로 전달되어 종동축(22)을 회전시키며, 결과적으로 상기 종동축(22) 일단부의 편심회전판(25)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편심회전판(25)의 회전은 편심회전바(30)에 의해 제1래칫(41)을 상하로 승강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1래칫(41)의 상하 승강에 따라 이송기어가(42) 절도있게 단속 회전되면서 원단이송롤러(43)가 원단(2)을 일정거리 만큼 단속적으로 이송시키게 하며, 이와 연동되어 상기 종동축(22)의 회전에 의한 필름부착펀치(23)가 상하방으로 승강되면서 원단(2) 상에 일정형상의 필름띠(5)를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름띠(5)의 부착은 실린더작동부(50)의 단속회전판(52) 상의 관통공(52a)과 센서감지봉(53)의 상관 관계에 의해 원단(2) 상의 전체 필름띠(5) 무늬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센서(54)가 관통공(52a)을 감지하는 동안에는 구동축(12) 회전에 따른 편심회전판(25)의 회전에 의해 일정간격을 갖는 필름띠(5)가 부착되고, 상기 제1센서(54)가 센서감지봉(53)을 감지하게 되면 클러치(13)의 이탈작용에 의해 구동축(12)과 연계된 편심회전판(25)의 회전이 정지되어 결과적으로 필름부착펀치(23)의 작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클러치작동부(60)의 실린더(63)가 작동되면서 제2래칫(62)을 회전시켜 이와 연계된 이송기어(42)를 제2래칫(62)의 회전각만큼 회전시켜 원단(2)이 필름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거리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래칫(62)이 회전 도중 제2센서(64)에 감지되면 실린더(63)의 작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다시 구동부(10)의 클러치(13)를 동작시켜 구동축(12)이 회전되도록 하며, 그 결과 편심회전판(25)과 필름부착펀치(23)의 작동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름띠(5) 형성과정의 일례를 살펴보면, 상기 단속회전판(52) 상에 소정 개수의 센서감지봉(53)을 설치하여, 예를 들어 세 개의 관통공(52a)이 노출된 다음 하나의 센서감지봉(53)이 설치되고 다시 세 개의 관통공(52a)이 노출된 경우를 가정할 때, 원단(2) 상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세 개의 필름띠(5)가 부착되고 나서, 필름부착 공정이 정지된 상태로 원단(2)만 실린더(63)의 작동에 따른 이송기어(42)의 회전각만큼 전진 이동되어 원단 상에 빈 부분을 형성하고 나서, 다시 필름부착펀치(23)의 작동에 의해 세 개의 관통공(52a)에 대응되는 일정간격을 갖는 세 개의 필름띠(5)가 원단(2) 상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1센서(54)가 관통공(52a)을 감지하면 원단(2)은 필름띠(5)가 부착된 상태로 일정거리 이송되고, 또한, 제1센서(54)가 센서감지봉(53)을 감지하면 필름띠(5) 부착없이 원단(2)만 일정거리 이송되는 것이다. 즉, 단속회전판(52) 상에 센서감지봉(53)이 연속해서 세 개가 설치된 경우에는 필름띠(5) 부착없이 제2래칫(62)의 회전각만큼 회전각을 가지고 이송기어(42)가 세 번 연속 회전되면서 원단(2)만을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4)은 계속하여 일정속도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센서(54)가 작동되면 클러치(13) 이탈작용에 따라 구동축(12) 회전이 정지되고 실린더(63)에 의한 제2래칫(62)만 작동되어 원단(2)이 이송되고, 상기 제2센서(64)가 작동되면 클러치(13) 결합에 따라 구동축(12)이 다시 회전되면서 제1래칫(41)과 필름부착펀치(23)를 작동시켜 원단(2)에 필름띠(5)가 부착되면서 일정거리 이송되는 과정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원단(2)의 필름띠(5) 부착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부착장치는 원단 상으로 부착되는 필름띠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부착무늬의 형상이 다양하게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1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1의 C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제1래칫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작동에 따라 필름띠가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제2래칫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작동에 따라 필름띠가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클러치와 구동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클러치와 구동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제2래칫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제2래칫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제1, 2래칫의 구조를 나타낸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부착장치에서 제1, 2래칫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원단 4 : 필름
5 : 필름띠 6 : 구동모터
7 : 가이드롤러 8 : 본체
9 : 직립벽체 10 : 구동부
11 : 구동기어 12 : 구동축
13 : 클러치 14 : 보조구동기어
20 : 종동부 21 : 종동기어
22 : 종동축 23 : 필름부착펀치
24 : 펀치승강캠 25 : 편심회전판
25a : 절개홈 25b : 단턱
27 : 슬라이딩볼트 27a : 머리부
27b : 몸통부 28 : 너트
30 : 편심회전바 40 : 원단이송부
41 : 제1래칫 42 : 이송기어
43 : 원단이송롤러 50 : 실린더작동부
51 : 단속회전기어 52 : 단속회전판
52a : 관통공 53 : 센서감지봉
54 : 제1센서 55 : 체인
60 : 클러치작동부 62 : 제2래칫
63 : 실린더 64 : 제2센서
66 : 센서위치조절바 66a : 슬릿
68 : 받침판 69 : 체결구
70 : 연결기어 72 : 체인
80 : 래칫하우징 82 : 축
84 : 래칫핀 86 : 스프링

Claims (5)

  1. 원단(2) 상에 필름(4)을 겹쳐놓고 소정위치에 설치된 필름부착펀치(23)를 통과하는 동안 원단(2) 상에 일정형상의 필름띠(5)가 형성되도록 원단(2)을 변속 진행시키는 원단이송수단과, 필름을 정속 진행시키는 필름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수단은,
    구동모터(6)와 벨트연결 회전되는 구동기어(11)가 본체(8) 상단부에 설치된 구동축(12) 일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구동기어(11)의 인접 측부에 구동축(12)으로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13)가 구비된 구동부(10);
    상기 구동축(1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기어연결 회전되는 종동축(22)이 구비되고, 이 종동축(22) 상에 하부의 필름부착펀치(2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펀치승강캠(24)이 축착되며, 상기 종동축(22) 일단부에 축착된 편심회전판(25)을 갖는 종동부(20);
    상기 종동부(20)의 편심회전판(25)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편심회전바(30);
    상기 편심회전바(30)의 타단부와 래칫 연결되어 편심회전판(25)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전되는 제1래칫(41)이 구비되며, 일단부에 이 제1래칫(41)과 기어 결합되어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기어(42)가 마련되고 그 타단부가 필름부착펀치(23) 인접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외주면 상에 얹혀진 원단(2)을 필름부착펀치(23)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롤러(43)가 구비된 원단이송부(40);
    상기 종동부(20)의 종동축(22)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단속회전판(52)이 구비되고, 이 단속회전판(52) 상에 센서감지봉(53)이 설치되며, 상기 단속회전판(52)의 인접 측부에는 일직선상에 놓이는 센서감지봉(53)을 감지하는 순간 구동부(10)의 클러치(13)를 구동축(12)으로부터 분리시켜 구동축(1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센서(54)가 구비된 실린더작동부(50); 및
    상기 원단이송부(40)의 이송기어(42)와 래칫 연결되어 제1래칫(41)의 회전에 의한 이송기어(42) 회전 중에는 작동이 정지되는 제2래칫(62)이 구비되고, 이 제2래칫(62)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작동부(50)의 제1센서(54)가 작동되는 순간 상기 제2래칫(62)을 축 회전시켜 상기 이송기어(42)가 연동 회전되게 하는 실린더(63)가 구비되며, 이 실린더(63) 인접 측부에 회전되는 제2래칫(62)을 감지하여 실린더(6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구동부(10)의 클러치(13)가 구동축(12)과 결합되게 하는 제2센서(64)가 구비된 클러치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판(25) 표면에는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절개되며 단턱(25b)을 갖는 절개홈(25a)이 형성되고, 머리부(27a)가 이 절개홈(25a)의 단턱(25b)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몸통부(27b)가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볼트(27)가 구비되고, 이 슬라이딩볼트(27)의 몸통부(27b)에 편심회전바(30)의 일단부가 관통 결합되어 너트(28)를 조여 고정시키거나 너트(28)를 풀어 상기 절개홈(25a)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40)의 원단이송롤러(43)는 원단(2)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그 외주면이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작동부(50)는 종동축(22)과 연결 회전되는 단속회전기어(51)와 센서감지봉(53)을 갖는 단속회전판(52)이 베벨기어에 의해 서로 기어 결합되고, 상기 종동부(20)의 편심회전판(25)이 1회전되는 회전각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관통공(52a)이 단속회전판(5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이 관통공(52a)에 복수의 센서감지봉(53)이 선택적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64)는 중앙에 슬릿(66a)이 형성된 센서위치조절바(66)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이 센서위치조절바(66)는 받침판(68)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64)가 제2래칫(62)과 실린더(63) 사이의 범위내에서 위치 조절되게 하고 일정위치에서 슬릿(66a)을 통해 체결구(69)를 체결하여 받침판(68)에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부착장치.
KR1020040021178A 2004-03-29 2004-03-29 필름부착장치 KR20050095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78A KR20050095958A (ko) 2004-03-29 2004-03-29 필름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78A KR20050095958A (ko) 2004-03-29 2004-03-29 필름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58A true KR20050095958A (ko) 2005-10-05

Family

ID=3727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78A KR20050095958A (ko) 2004-03-29 2004-03-29 필름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595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50B1 (ko) * 2006-09-29 2008-01-28 주식회사 성진하이메크 평면표시장치용 시트공급 장치
CN105253373A (zh) * 2015-10-26 2016-01-20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塑膜包装机
CN109177139A (zh) * 2018-08-09 2019-01-11 东莞理工学院 一种应用于自动化装配的贴膜机构
CN110540088A (zh) * 2019-09-29 2019-12-06 海安腾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罩杯布料贴合的收料机构
CN112298665A (zh) * 2020-10-29 2021-02-02 山东大宏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过渡滚筒输送线
CN112958396A (zh) * 2021-01-29 2021-06-15 广东风华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点胶机
CN113895046A (zh) * 2021-08-27 2022-01-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板材覆膜系统
CN116609048A (zh) * 2023-07-20 2023-08-18 山东中兴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薄膜面板按键检测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50B1 (ko) * 2006-09-29 2008-01-28 주식회사 성진하이메크 평면표시장치용 시트공급 장치
CN105253373A (zh) * 2015-10-26 2016-01-20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塑膜包装机
CN105253373B (zh) * 2015-10-26 2017-06-06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塑膜包装机
CN109177139A (zh) * 2018-08-09 2019-01-11 东莞理工学院 一种应用于自动化装配的贴膜机构
CN110540088A (zh) * 2019-09-29 2019-12-06 海安腾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罩杯布料贴合的收料机构
CN112298665A (zh) * 2020-10-29 2021-02-02 山东大宏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过渡滚筒输送线
CN112958396A (zh) * 2021-01-29 2021-06-15 广东风华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点胶机
CN113895046A (zh) * 2021-08-27 2022-01-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板材覆膜系统
CN116609048A (zh) * 2023-07-20 2023-08-18 山东中兴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薄膜面板按键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925B1 (ko) 조임공구 및 테이프
TWI500522B (zh) 連續用紙之搬運控制方法及印表機
KR20050095958A (ko) 필름부착장치
US4557169A (en) Continuous tag cutting/feeding apparatus
EP1528020B1 (en) Sheet supplying device
EP2949473A1 (en) Printing device with duplex printing function
US5605267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the end of a web of material
EP0574557A1 (en) Apparatus for the high speed stacking of paper sheets both by accordion-like folding of a continuous band and by superimposing separate sheets
JP4516696B2 (ja) 間欠駆動コンベヤ
US5769300A (en) Automatic part feeding apparatus
JP4554904B2 (ja) 打抜装置
KR200362787Y1 (ko) 종이재 원단 이송장치
KR0183609B1 (ko)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JPH0126225Y2 (ko)
DE10021211B4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Bogen
KR100494268B1 (ko) 롤 휴지 절단장치
JPS6093055A (ja) 基材の間欠送り装置
US4981223A (en) Apparatus for feeding boards from the base of the stack
ATE392278T1 (de) Vorrichtung zum intermittierenden zuführen eines bandförmigen rohlings
CN217458084U (zh) 纸张取放机构
JPH08300298A (ja) 用紙打抜装置
JPH01187018A (ja) ベルト式マルチング播種機の点播位置制御装置
JPS6229154Y2 (ko)
KR0139071Y1 (ko) 원단공급기에 있어 로울러 상.하 이송구
JP3678460B2 (ja) シート類供給方法及びそ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