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609B1 -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609B1
KR0183609B1 KR1019950018761A KR19950018761A KR0183609B1 KR 0183609 B1 KR0183609 B1 KR 0183609B1 KR 1019950018761 A KR1019950018761 A KR 1019950018761A KR 19950018761 A KR19950018761 A KR 19950018761A KR 0183609 B1 KR0183609 B1 KR 018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rum
rod
lever
driv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79A (ko
Inventor
박기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609B1/ko
Publication of KR97000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의 로드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되 로드의 스트로크를 조정하여 회전운동의 방향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벨트가 동일한 길이 만큼씩 공정되어지도록된 것으로써, 프레임(1)의 양단에 구동드럼(3)과 연동드럼(4)이 축착되고 이에 벨트(1-1)가 끼워져서 구동드럼(3)을 회전시키면 벨트(1-1)가 공전되도록 된 것에 있어서, 구동드럼(3)의 축(3-1)의 일측에 레버(17)에 의해 작동되는 렛치스톱(18)을 축착하고, 상기 레버(17)의 하단에 실린더(12)의 로드(12-2)와 연결되는 취부브라켓(16)축착하며, 상기 실린더(12)는 그 후단을 프레임(1)에 회전자재하게 축착시켜서된 것인바, 특별히 전자제어정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와 작동원리가 매우간단하고 설비보전이 용이하며, 공압실린더와 레치스톱에 의해 제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이송시키므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따라서 제품을 동일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이송시킬 수 있으며 후속공정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이송컨베이어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장치에서 구동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장치에서 구동드럼이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송컨베이어장치 1-1 : 이송벨트
2, 2-1: 브라켓트 3: 구동드럼
4: 연동드럼 5,5-1: 스프로켓
6: 구동모터 7: 체인
8, 8-1: 감지센서 1 9,9-1: 감지센서2
10: 이송컨베이어장치 11: 구동장치
12 : 실린더 13: 지지편
14: 축 15: 스트로크조정브라켓
16: 취부브라켓트 17: 레버
18:렛치스톱 20:역회전방지장치
21: 일방향성기어 22: 레버
본 발명은 일정한 방향으로 등간격만큼씩 작동되어지도록 하는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압실린더의 로드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 드럼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벨트가 일정한 길이만큼씩 회전(공전)되어지도록 하고, 공압실린더의 로드가 작동되는 거리 즉,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가 이동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는 특정한 소정의 부품을 단속으로 이송시키는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이송부품을 일정간격으로 시차를 두고 투입하면서 동일한 길이(등간격)만큼씩 오차없이 단속적으로 이송시키는데에서는 더울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소정의 부품을 단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컨베이어장치(1)를 주로 사용하였었다.
종래의 이송컨베이어장치(1)는 구동모터(6)를 단속적으로 작동시켜 이송벨트(1-1)를 이동(공전)시키는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구동모터(6)가 작동되면 스프로켓(5)이 회전되고 스프로켓(5)이 회전되면 체인(7)으로 연결된 스프로켓(5-1)도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구동드럼(3)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드럼(3)이 회던되면 이송벨트(1-1)로 연결다니 연동드럼(4)도 같이 회전되고 따라서 이송벨트(1-1)는 구동드럼(3)과 연동드럼(4)사이를 공전하게 된다. 이송벨트(1-1)가 회전되면 그 이송벨트(1-1)위에는 임의 장치에 의해 제품(A)이 투입되어지는데, 이송벨트(1-1)에 의해 투입되어진 제품(A)이 이송되는 도중에 감지센서1(8)(8-1)에 감지되면 구동모터(6)는 내장된 브레이크장치(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잠시 정지된 후 잠시 후 작동하여 감지센서1(8)(8-1)에 감지되었던 제품(A)을 이송시키게 되는데 제품(A)이 감지센서2(9)(9-1)에 감지되면 구동모터(6)는 정지된다. 구동모터(6)가 정지된 후 임의 장치에 의해 제품(A)을 감지센서1(8)(8-1)사이에 투입시켜 주면 감지센서1(8)(8-1)은 이를 감지하여 잠시 후 구동모터(60를 작동시켜서 이송벨트(1-1)를 회전(공전)시켜 주며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상기 이송벨트(1-1)는 프레임(1-2)의 양단에 고정되는 브라켓트(2)(2-1)를 조정하여 줌으로서 그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이송컨베이어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구동모터(6)에 의해 이송벨트(1-1)가 공전되고 상기 구동모터(6)가 감지센서1(8)(8-1) 및 감지센서2(9)(9-1)에 의해 작동 및 정지되는 과정을 단속적으로 반복실시하는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구동모터(6)와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장치의 브레이크가 마모되어서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따라서 정위치 즉, 기히 설정된 길이만큼씩 이동되지않고 슬립되면서 더 긴 길이 만큼씩 이동하여 위치오차를 유발시키며, 브레이크장치가 너무 빈번하게 작동되기 때문에 구동모터(6)와 브레이크장치에서 열화가 발생되어 작동불능상태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부설하여야 하는데, 결국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설비보전도 용이치 못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이송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를 이용하여 로드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 이송벨트를 회전시켜 주도록 하되 이동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이송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이송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고 보전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이송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프레임(1-2)의 양단에 구동드럼(3)과 연동드럼(4)이 굴대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이송벨트(1-1)가 끼워져서 구동드럼(3)을 회전시키면 이송벨트(1-1)가 공전되도록 하고, 구동드럼(3)의 회전축(3-1)의 일측에 역회전방지장치(20)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구동드럼(3)의 회전축(3-1)의 타측에 레버(17)에 의해 작동되는 렛치스톱(18)을 굴대설치하고, 상기 레버(17)의 하단에 실린더(12)의 로드(12-2)와 연결되는 취부브라켓트(16)를 굴대설치하며, 상기 실린더(12)는 그 후단을 프레임(1-2)에 회전자재하게 축(14)으로 굴대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린더(12)의 로드(12-2)의 직선운동을 레버(17)와 렛치스톱(18)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 구동드럼(3)을 단속적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이송벨트(1-1)를 일정한 길이만큼씩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효과는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장치(10)의 전체사시도이다.
프레임(1-2)과 구동드럼(3) 및 연동드럼(4) 그리고 이송벨트(1-1)에 의해 통상의 이송컨베이어장치(10)가 구성된다. 한쌍의 프레임(1-20은 이송벨트(1-1)의 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이격 유지시키고, 각 프레임(1-2)의 양단에는 한쌍씩의 브라켓트(2)(2-1)를 고정시키며, 대응되는 상기 브라켓트(2)(2-1)들의 사이에 구동드럼(3)과 연동드럼(4)을 각각 회전자재하게 굴대설치하였다.
상기 구동드럼(3) 및 연동드럼(4)이 굴대설치된 브라켓트(2)(2-1)의 고정위치를 변경시켜 줌으로써 이송벨트(1-1)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구동드럼(3)의 회전축(3-1)의 일측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장치(11)를 장착하였고, 타측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회전방지장치(20)를 장착하였다.
구동장치(1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회전축(3-1)에는 스프로켓(5-1)이 고정되는 렛치스톱(18)을 장착하고, 상기 렛치스톱(18)은 레버(17)에 의해 작동되면서 구동드럼(3)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며 일차적으로 구동드럼(3)이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레버(17)의 하단은 실린더(12)의 로드(12-2)의 선단에 고정된 취부브라켓트(16)와 축핀(16-1)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굴대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2)은 그 후측에 고정된 지지편(13)을 프레임(1-2)에 축(14)으로 회전자재하도록 굴대설치하였다. 상기 실린더(12)의 선단의 외주면에 나사부(12-1)를 형성하고 재주연에 나사부(15-10가 형성된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을 나사결합시키되,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은 측면에서 고정볼트(15-2)를 나사결합시키고 전면에 뚫어진 유통공(15-3)으로는 로드(12-2)가 유통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실린더(12)의 나사부(12-1)에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이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눈데, 고정볼트(15-2)를 풀어준 상태에서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을 정, 역회전시켜 주면 실린더(12)의 로드(12-2)가 작동되는 거리, 즉 스트로크조정브마켓(15)의 선단면과 취부브라켓트(16)와의 거리(ℓ)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을 이동시켜 준 후 고정볼트(15-2)를 조여주게되면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은 실린더(12)의 선단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므로 로드(12-2)가 작동되는 거리(ℓ)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구동장치(11)의 타편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역회전방지장치(20)를 구비하였다.
치차가 일방형으로 된 일방향성기어(21)를 회전축(3-1)에 고정시키고 상기 일방향성기어(21)의 일측편에 스프링(23)으로 탄발되는 레버(22)를 축(14)으로 굴대설치하여 레버(22)가 기어에 걸려져서 일방향성기어(21)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제품(A)이 이송벨트(1-1)의 감지센서1(8)(8-1)의 사이에 투입되면 감지센서1(8)(8-1)은 이를 감지하여 잠시 후 실린더(12)를 작동시켜 준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되어 있던 실린더(12)의 로드(12-20가 인입되면 레버(17)는 회전되고 레버(17)의 회전에 의해 렛치스톱(18)이 회전되면서 구동드럼(3)을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구동드럼(3)이 회전되면 일방향성기어(21)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일방향성기어(21)가 회전될 때 레버(22)는 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 단속적으로 탄발되어지며, 구동드럼(3)과 함께 일방향성기어(21)의 회전이 정지되면 레버(22)는 기어 사이에 끼워져서 일방향성기어(21)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구동드럼(3)이 회전되면 이송벨트(1-1)는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하게 되므로 제품(A)을 이도한 길이만큼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제품(A)이 이송이 완료된 후, 실린더(12)는 역으로 작동하여 로드(12-2)를 길게 인출시키게 되며 로드(12-2)가 인출되면 레버(17)는 역회전하게 된다.
레버(17)가 역회전 될 때 렛치스톱(18)은 공회전하게 되므로 구동드럼(3)은 역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며, 특히 역회전방지장치(20)에 레버(22)에 의해 일방향성기어(21)도 역회전이 방지되므로 이송벨트(1-1)는 역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감지센서1(8)(8-1) 사이의 정위치에 제품(A)이 안치되어지면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실시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실시되면서 제품(A)을 단속적이면서 또 점진적으로 일정한 길이 만큼씩 전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장치(10)에 따르면 특별히 전자제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와 작동원리가 매우 간단하고 설비보전이 용이하며, 공압실린더와 렛치스톱에 의해 제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이송시키므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따라서 제품을 동일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이송시킬 수 있으며 후속공정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2)

  1. 프레임(1-2)의 양단에 구동드럼(3)과 연동드럼(4)을 굴대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이송벨트(1-1)를 끼워서, 구동드럼(3)을 회전시키면 이송벨트(1-1)가 공전되도록 하고, 구동드럼(3)이 굴대설치된 회전축(3-1)의 일측에 역회전방지장치(20)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구동드럼(3)의 회전축(3-1)의 타측에 레버(17)에 의해 작동되는 렛치스톱(18)을 굴대설치하고, 상기 레버(17)의 하단에 실린더(12)의 로드(12-2)와 연결되는 취부브라켓트(16)를 굴대설치하며, 상기 실린더(12)는 그 후단을 프레임(1-2)에 회전자재하게 굴대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2)의 선단 외주에 나사부(12-1)를 형성하여 내주연에 나사부(15-1)가 형성된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을 나사결합시키되 상기 스트로크조정브라켓(15)은 외주에 고정볼트(15-2)를 나사결합시키고 선단의 유통공(15-3)으로 로드(12-2)가 유통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 장치.
KR1019950018761A 1995-06-30 1995-06-30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KR018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61A KR0183609B1 (ko) 1995-06-30 1995-06-30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61A KR0183609B1 (ko) 1995-06-30 1995-06-30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79A KR970001179A (ko) 1997-01-21
KR0183609B1 true KR0183609B1 (ko) 1999-04-15

Family

ID=1941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761A KR0183609B1 (ko) 1995-06-30 1995-06-30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1889A (zh) * 2013-04-03 2013-06-26 常州市风雷精密机械有限公司 物料搬运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554B1 (ko) * 1999-09-24 2007-06-08 도요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초저온용 단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경질 폴리우레탄발포체용 원액 조성물
KR100459843B1 (ko) * 2001-09-15 2004-12-03 주식회사 한국카본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의 평패널 제조방법
KR102347280B1 (ko) * 2021-07-27 2022-01-04 김성왕 수직 체인컨베이어를 이용한 부품 간헐이송시스템
KR102347278B1 (ko) * 2021-07-27 2022-01-04 김성왕 실린더를 이용한 간헐이송 체인컨베이어시스템
CN117208356B (zh) * 2023-11-08 2024-02-23 泰州市顺发消防器材有限公司 一种消防用品的贴标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1889A (zh) * 2013-04-03 2013-06-26 常州市风雷精密机械有限公司 物料搬运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79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609B1 (ko) 등간격 일방향성 이송컨베이어장치
CN210102161U (zh) 一种间距可调的纸箱输送与定位装置
US4383880A (en) Web transport system with electro-optical label detection
US4452659A (en) Web transport system with electro-optical label detection
KR101500326B1 (ko) 가공용 자동이송장치
JPH11257444A (ja) テンション装置
GB2145685A (en) Chain conveyor
CA1297509C (en) Device for feeding sheets into a machine designed for converting them
JPH092633A (ja) 間欠搬送コンベア
KR101198306B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라벨부착장치
CN211997567U (zh) 一种检测带式输送机输送带打滑的装置
KR20050095958A (ko) 필름부착장치
US398788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positioning paper reams onto a conveyor system
JPH10101047A (ja) ラベル貼付装置
US5711179A (en) Apparatus for driving indexing conveyor
AU566602B2 (en) Web transport system with electro-optical label detection
JP4066884B2 (ja) ビス締め装置
CN220865789U (zh) 一种bmc模塑料运输装置
CN216917390U (zh) 一种新型转向节用铝型材皮带输送机构
KR200160427Y1 (ko) 리드 프레임 공급장치
KR930008677Y1 (ko) 필름 처리기의 필름 이송 제어 장치
KR19980034524A (ko) 번들 트랜스퍼(Bundle Transfer)
JP3928792B2 (ja) 間欠送りコンベヤ
KR930001773Y1 (ko) 블럭성형기의 낙하물 제거장치
KR100329633B1 (ko) 컨베이어의 밸트 장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