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868A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868A
KR20050095868A KR1020057013645A KR20057013645A KR20050095868A KR 20050095868 A KR20050095868 A KR 20050095868A KR 1020057013645 A KR1020057013645 A KR 1020057013645A KR 20057013645 A KR20057013645 A KR 20057013645A KR 20050095868 A KR20050095868 A KR 20050095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ransmission
st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174B1 (ko
Inventor
가즈유키 사코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LAN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시의, 송신측에서의 체류나 수신측에서의 지연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의 검출에 의해, 타국과 패킷의 통신 타이밍이 충돌하지 않는 액세스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내의 각 통신국은,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 비콘을 송신하고, 그 비콘 신호의 송신에 전후하는 시간대에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처리를 행하므로, 네트워크내의 각 통신국에서, 송수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한의 송수신 동작으로 시스템을 구성 가능하고, 한편, 변동하는 송수신 데이터량에 따라서, 송수신 동작 상태를 변천시키는 것으로써, 필요 최저한의 송수신 동작으로, 극히 작은 지연시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등을 실시하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구내 정보통신망) 시스템에 적용하게 매우 적합한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마스터국, 슬레이브국의 제어, 피제어의 관계없이 자립 분산형의 네트워크를 구축 제어국 없이 운용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각 통신국이 네트워크 정보 등을 기재한 신호를 소정의 프레임 주기마다 서로 알리는 것으로 자율 분산형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관련되고, 특히, 각 통신국이 서로 송신하는 신호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자율 분산형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LAN시스템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로서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방식으로 규정된 액세스 제어 등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 IEEE802.11 방식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8802-11:1999(E) ANSI/IEEE Std802.11, 1999 Edition, Partll: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등에 기재되어 있다. IEEE802.11 방식에 있어서의 네트워킹은, BSS(Basic Service Set)의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 BSS는 액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와 같은 마스터 제어국이 존재하는 인프라모드로 정의되는 BSS와, 복수의 단말국:MT(Mobile Terminal)에만 의해 구성되는 애드호크 모드로 정의되는 IBSS(Independent BSS)의 2종류가 있다.
인프라 모드시의 IEEE802.11의 동작에 대해 도 27을 이용해 설명한다. 인프라 모드의 BSS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 코디네이션을 실시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고, 액세스 포인트와 그 액세스 포인트의 주변에 존재하는 단말국(MT)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액세스 포인트는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비콘으로 불리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이 비콘을 수신 가능한 단말국(MT)은 액세스 포인트가 근린에 존재하는 것을 인식하고, 더욱이 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 커넥션 확립을 실시한다. 도 27에서는, 도 27a에 나타낸 통신국(STAl)이 액세스 포인트이고, 도 27b에 나타낸 통신국(STAO)이 단말국(MT)인 경우를 기재하고 있다. 통신국(STAl)은 도 27에 기재한 것같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비콘(Beacon)을 송신한다.
다음 번의 비콘의 송신 시각은, 타겟 비콘 송신 시각(TBTT:Target Beacon Transmit Time)이라고 하는 파라미터로 비콘내에서 알리고 있고, 시각이 TBTT가 되면,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송신 순서를 동작시키고 있다. 또, 주변의 단말국(MT)은, 비콘을 수신하고, 내부의 TBTT 필드를 디코드하는 것으로써 다음 번의 비콘 송신 시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는 시간대에 있어서는, 다음 번 혹은 복수 회 앞의 TBTT까지 수신부의 전원을 떨어 뜨려 슬립 상태에 들어가기도 한다(이른바 간헐 수신 동작). 비콘에는, 특정의 통신국 앞의 정보를 보관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국에 그 취지를 전달하는 필드가 정의되고 있고, 비콘을 수신한 단말국(MT)은, 현재 액세스 포인트가 자국 앞에서의 정보를 보관 유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도 27에서는, 통신국(STAO)이 통신국(STAl)의 비콘을 2회에 1회 수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c는, 통신국(STAO)의 수신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하이 레벨이 수신 동작중이고, 로우 레벨이 수신 정지중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국(STAl)이 비콘(B1-0)을 송신하는 타이밍에서는, 통신국(STAO)은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있다. 그러나, 비콘(Bl-0)에서는, 자국 앞에서의 정보가 보관 유지되고 있는 취지가 기재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통신국(STAO)은 비콘의 수신을 종료하면, 수신부의 동작을 스톱시킨다. 통신국(STAO)는, 다음 회의 Bl-1의 비콘 송신시에는 수신부를 동작시키지 않고, 그 다음의 비콘인 Bl-2이 송신되는 시각을 겨냥해서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있다. 도 27에서는, 이 비콘(Bl-2)에 있어서, 통신국(STAO) 앞의 정보가 보관 유지되고 있는 것이 알려지고 있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비콘(Bl-2)을 수신하는 것으로써, 자국 앞의 정보가 보관 유지되고 있는 것을 인식한 통신국(STAO)은, 이 정보를 인식해 수신부를 계속 동작시키는 것을 통신국(STAl)에 전달하기 위하여, 소정의 송신 순서에 따라서, PS-Po11 패킷을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l)은, 통신국(STAO)이 수신기의 동작을 개시한 것을 인식하면, 소정의 송신 순서에 따라서, 정보 패킷을 통신국(STAO) 앞으로 송신한다. 이것을 잘못 없이 수신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통신국(STAO)은, 수신 확인 응답 비콘으로서 ACK를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국(STAO)이 수신한 정보 패킷에는, 더 이상의 정보가 현재 통신국(STAl)에 보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취지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 이 취지를 인식한 통신국(STAO)은, 재차 수신부를 스톱시켜, 간헐 수신 동작으로 변천한다.
또, 액세스 포인트가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할 때 , 액세스 포인트는, 향후 언제 브로드캐스트 메세지를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카운트다운을 실시하고, 이 카운트값을 비콘으로 알리고 있다. 예를 들면, 도 27의 비콘(Bl-2)의 직후에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송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콘(B1-0)에는 카운트값 2, 비콘(Bl-1)에는 카운트값 1, 비콘(Bl-3)에는 카운트값 0이 기재되어 있고, 단말국(MT)은, 해당 카운트값를 참조해, 카운트값이 제로가 된 시점에서 수신기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매회 비콘을 수신하는 일 없이,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애드호크 모드시의 IEEE802.11의 동작에 대해 도 28을 이용해 설명한다. 애드호크 모드의 IBSS에 대해서는, 단말국(통신국)(MT)은 복수의 통신국(MT) 끼리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실시한 후에 자율적으로 IBSS를 정의한다. IBSS가 정의되면, 통신국군은 니고시에이션의 끝에, 일정 간격마다 TBTT를 정한다. 각 통신국(M)에서는 자국내의 클락을 참조하는 것으로써 TBTT가 된 것을 인식하면, 랜덤 시간의 지연의 뒤, 아직 아무도 비콘을 송신하고 있지 않다고 인식했을 경우에는 비콘을 송신한다. 도 28에서는, 통신국(STAO)과 통신국(STAl)의 2대의 MT가 IBBS를 구성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a는 통신국(STAl)이 송수신하는 패킷을 나타내고 있고, 도 28b는 통신국(STAO)이 송수신하는 패킷을 나타내고 있고, 도 28c는 통신국(STAO)의 수신부의 동작 상태(하이레벨 수신 동작중, 로 레벨 수신 정지중)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비콘은 IBSS에 속하는 통신국(STAO)이나 통신국(STAl)의 어느 통신국(MT)이 TBTT가 방문할 때마다 비콘을 송신하게 된다.
IBSS에 있어서도, 통신국(MT)은 필요에 따라서 송수신부의 전원을 떨어뜨리는 슬립 상태에 들어가는 것이 있다. IEEE802.11에 있어서는, IBSS에서 슬립 모드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TBTT로부터 잠시 동안의 시간대가 ATIM(Announcement Traffic Indication Message) 윈도우(Window)로서 정의되고 있다. ATIM 윈도우의 시간대는, IBSS에 속하는 모든 통신국(MT)은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있고, 이 시간대이면, 기본적으로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통신국(MT)도 수신이 가능하다.
각 통신국(MT)은, 자국이 누군가 앞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 ATIM 윈도우의 시간대에 있어 비콘이 송신된 후에, 상기의 누군가 앞에 ATIM 패킷을 송신하는 것으로써, 자국이 상기의 누군가 앞의 정보를 보관 유지하고 있는 것을 수신 측에 통지한다. ATIM 패킷을 수신한 통신국(MT) 또는, 비콘을 송신한 통신국(MT)은 다음의 TBTT까지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있다.
도 28에 있어서, 우선 최초의 TBTT가 되면, STAO, STAl의 각 통신국(MT)은 랜덤 시간에 걸쳐 미디어 상태를 감시하면서 백 오프의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도 28의 예에서는, 통신국(STAO)의 타이머가 가장 조기에 카운트를 종료하고, 통신국(STAO)이 비콘을 송신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통신국(STAO)이 비콘을 송신했기 때문에,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l)은 비콘을 송신하지 않는다. 또, 통신국(STAO)은 비콘을 송신했기 때문에, 다음 번의 비콘이 송신될 때까지 수신부를 동작하게 한다.
다음의 TBTT에서는, 랜덤 백 오프의 순서에 의해 통신국(STAl)이 비콘을 송신하고 있다. 이 때, 통신국(STAO)은 ATIM 윈도우에서 정의되는 시간대에 있어 수신부를 동작시키지만, 이전에 누구로부터도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기 때문에, ATIM 윈도우의 기간이 지나는 것과 동시에 수신부를 스톱시켜, 다음 번의 TBTT까지 슬립 상태로 변천한다. 다음 번의 TBTT에서도, 랜덤 백 오프의 순서에 의해 재차 통신국(STAl)이 비콘을 송신하고 있다. 이 때, 통신국(STAO)은, ATIM 윈도우로 정의되는 시간대에 있어 수신기를 동작시키고 있는 동안에 통신국(STAl)에서 ATIM 메세지를 수신했기 때문에, ATIM 윈도우의 기간이 지나도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통신국(STAl)에서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국(STAl)은 ATIM 메세지에 대해서 수신 확인 응답인 ACK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통신국(STAO)이 수신의 인식을 하고 있는 취지를 확인한 다음, ATIM 윈도우가 종료한 시점을 시작으로 랜덤 백 오프의 순서를 기동해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도한다. 이 후, 통신국(STAl,STAO)에서도, 다음 번의 비콘 송신까지는 수신부를 동작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은 순서에 의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무선 LAN 등)에 있어서는, 수신해야 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통신국은, 다음의 TBTT까지 송수신부의 전원을 떨어뜨려,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개평 8-98255호 공보에는, 이러한 비콘을 사용한 무선 통신 처리의 종래의 일 예에 대한 개시가 있다.
이러한 통신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송신 측에 생기는 데이터의 체류
도 29에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 패킷 전송 지연이 생기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 29a는, 통신국(STAl)의 상위 레이어로부터 보내져 오는 패킷이며, 도 29b는, 통신국(STAl)의 MAC 층에서 송수신 되는 패킷(비콘을 포함한다)이며, 도 29c는, 통신국(STAl)의 MAC 층에서 송수신 되는 패킷이며, 도 29d는, 통신국(STAl)에서 수신해 상위 레이어에 보내지는 패킷이다. 또, 도 29e는, 통신국(STAl)의 수신부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통신국은, 일단, 수신부를 스톱시키면, 다음 번의 비콘 송신 시각까지 수신부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낸 것처럼, 통신국(STAl)에서 통신국(STAO)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통신국(STAl)의 상위 레이어로부터 정기적으로 정보가 분실되어 오는 경우, 일단, 수신부를 스톱시킨 통신국(STAO)이 다음 번 수신부를 동작시키는 것은, 통신국(STAl)이 비콘을 송신하는 시각이며, 이 사이에 통신국(STAl)의 상위 레이어로부터 건네 받은 데이터(Dl)으로부터 데이터(D5)는, 통신국(STAl) 내부에서 체류하고 있게 된다. 이 송신부 내부에서의 데이터의 체류는, 송수신부간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라운드 트립 타임(RTT)의 증대(지연시간의 증대)를 초래하고, 슬라이딩 윈도우를 이용한 ARQ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스루풋(throughput)이 한계점 도달이 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 오버플로우를 피하기 위해서는, 송신국인 통신국(STAl) 내부에 데이터 체류에 견딜 만할 만큼 큰 버퍼를 필요로 하고, 하드웨어적 제한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수신 측에 생기는 아이들 수신 구간의 증대
다음에 수신 측에 생기는 아이들 수신 구간에 도착하고, 도 30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30a∼e는 도 29a∼e와 같고, 도 30f은 아이들 구간을 나타낸다.
또,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 경우, 종래에서는 정보를 수신한 후도 수신부를 동작하게 하는 방법이 취해지지만,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낸 것처럼, 수신부는 항상 동작하고 있게 된다. 분명히 송신국(STAl)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는 해소되지만, 수신측인 통신국(STAO)에 대해서는, 수신부를 동작시키고는 있지만 실제로 데이터 수신을 실시하지 않는 아이들 구간(도 30f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구간)이 많이 존재해, 쓸데 없이 수신부를 동작시키게 되어 소비 전력의 관점으로부터 문제가 남는다.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지연시간
또, 인프라 모드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대해서는, 통신국(MT)이 몇회인가에 한 번 밖에 비콘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전달하는 것은 가능하기는 하지만, 억세스포인트(AP)가 상위 레이어로부터 건네 받은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하고자 하는 등의 경우에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데이터를 건네 받고 나서 카운트다운이 종료할 때까지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송신을 기다리게 할 필요가 있어, 실제로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송신될 때까지의 지연량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무선 LAN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시의, 송신측에서의 체류나 수신측에서의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장치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장치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비콘 송신 간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비콘 송신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비콘 기재 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NOBI 및 NBAI 처리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송신 불허가 구간의 정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송신 우선 구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슈퍼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국에서의 통신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근린국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의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 0의 송수신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 1의 송수신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 2에의 변천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 2의 송수신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 1에의 변천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 3에의 변천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동작 레벨 2에의 변천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브로드캐스트 비콘 전송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브로드캐스트 비콘 송수신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비콘 송수신시의 근린국 리스트의 변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 신호의 기재 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액티브 레벨 업 로드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액티브 레벨 다운로드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프라 모드에서의 송수신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애드호크 모드에서의 송수신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9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패킷 전송 지연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0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수신 아이들 시간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국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내에서의 통신이며, 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의 검출에 의해, 타국과 패킷의 통신 타이밍이 충돌하지 않는 액세스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내의 각 통신국은,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 비콘을 송신하고, 그 비콘 신호의 송신에 전후하는 시간대에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를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내의 각 통신국에서, 예를 들면, 송수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한의 송수신 동작으로 시스템을 구성 가능하고, 한편, 변동하는 송수신 데이터량에 따라서, 송수신 동작 상태를 변천시키는 것으로, 필요 최저한의 송수신 동작으로, 극히 작은 지연시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를, 도 1∼도 25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정하고 있는 통신의 전파로는 무선이며, 또한 단일의 전송 매체(주파수 채널에 의해 링크가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이용하고,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로 하고 있다. 단, 복수의 주파수 채널이 전송 매체로서 존재하는 경우라도,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정하고 있는 통신은 축적 교환형태의 트래픽이며, 패킷 단위로 정보가 전송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장치의 배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특정의 제어국을 배치하지 않고, 각 통신 장치가 자율 분산적으로 동작하여, 이른바 애드호크·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동일 도면에서는, 통신 장치(#0)로부터 통신 장치(#6)까지가, 동일 공간상에 분포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동일 도면에 있어 각 통신 장치의 통신 범위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그 범위 내에 있는 다른 통신 장치와 서로 통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가 송신한 비콘이 간섭하는 범위로서 정의된다. 즉, 통신 장치(#0)는 근린에 있는 통신 장치(#1,#4)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고, 통신 장치(#1)는 근린에 있는 통신 장치(#0,#2,#4)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고, 통신 장치(#2)는 근린에 있는 통신 장치(#1,#3,#6)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고, 통신 장치(#3)는 근린에 있는 통신 장치(#2)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고, 통신 장치(#4)는 근린에 있는 통신 장치(#0,#1,#5)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고, 통신 장치(#5)는 근린에 있는 통신 장치(#4)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고, 통신 장치(#6)는 근린에 있는 통신 장치(#2)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다.
어느 특정의 통신 장치 간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 통신 상대가 되는 한편의 통신 장치에서는 들을 수 있지만, 타편의 통신 장치에서는 들을 수 없는 통신 장치, 즉 「숨은 단말」이 존재한다.
도 2는, 본 예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국을 구성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는, 안테나(1)가 안테나 공용기(2)를 개입시켜 수신 처리부(3)와 송신 처리부(4)에 접속되어 있고, 수신 처리부(3) 및 송신 처리부(4)는, 전용선 접속 시스템부(5)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 처리부(3)에서의 수신 처리 방식이나, 송신 처리부(4)에서의 수신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에 적용 가능한, 비교적 근거리의 통신에 적절한 각종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WB(Ultra Wideband) 방식,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전용선 접속 시스템부(5)는, 인터페이스부(6)와 MAC(미디어 액세스 컨트롤)부(7)와 DLC(데이터 링크 컨트롤)부(8) 등을 갖추고, 각각의 처리부에서, 이 통신 시스템에 실장되는 액세스 제어 방식에 있어서의 각 층에서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통신국으로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을 한층 더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시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국을 배치하지 않은 자율 분산형의 통신 환경하에 있어서, 같은 무선 시스템 내에서는 효과적으로 채널·액세스를 행하는 것으로, 충돌을 회피하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대로, 무선 통신 장치(100)는, 인터페이스(101)와, 데이터 버퍼(102)와, 중앙 제어부(103)와, 비콘생성부(104)와, 무선 송신부(106)와, 타이밍 제어부(107)와, 안테나(109)와, 무선 수신부(110)와, 비콘 해석부(112)와, 정보 기억부(113)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101)는, 이 무선 통신 장치(100)에 접속되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데이터·버퍼(102)는, 인터페이스(101) 경유로 접속되는 기기로부터 보내져 온 데이터나, 무선 전송로 경유로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101) 경유로 송출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기 위해서 사용된다.
중앙 제어부(103)는, 무선 통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일련의 정보 송신 및 수신 처리의 관리와 전송로의 액세스 제어를 일원적으로 행한다. 중앙 제어부(103)에서는, 예를 들면, 비콘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회피 처리 등의 동작 제어가 행해진다.
비콘 생성부(104)는, 근린에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 주기적으로 교환되는 비콘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가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자기의 비콘 송신 위치나 주변국으로부터의 비콘 수신 위치 등을 규정한다. 이러한 정보는, 정보 기억부(113)에 저장되는 것과 동시에, 비콘 신호안에 기재해 주위의 무선 통신 장치에 알린다. 비콘 신호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전송 프레임 주기의 선두에서 비콘을 송신하므로, 무선 통신 장치(100)가 이용하는 채널에 있어서의 전송 프레임 주기는 비콘 간격에 의해서 정의되게 된다.
무선 송신부(106)는, 데이터 버퍼(102)에 일시 저장되고 있는 데이터나 비콘 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해서, 소정의 변조 처리를 행한다. 또, 무선 수신부(110)는 소정의 시간에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보내져 온 정보나 비콘 등의 신호를 수신처리한다.
무선 송신부(106) 및 무선 수신부(110)에 있어서의 무선 송수신 방식은, 예를 들면 무선 LAN에 적용 가능한, 비교적 근거리의 통신에 적절한 각종의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WB(Ultra Wide Band) 방식,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안테나(109)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 앞에 비콘을 소정의 주파수 채널 상에서 무선 송신하거나, 혹은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비콘을 수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일의 안테나를 갖추고 송수신을 함께 병행해 행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타이밍 제어부(107)는, 무선 비콘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타이밍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전송 프레임 주기의 선두에 있어서의 자기의 비콘 송신 타이밍이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비콘 수신 타이밍,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 및 스캔 동작 주기 등을 제어한다.
비콘 해석부(112)는, 인접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던 비콘 신호를 해석하고, 근린의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등을 해석한다. 예를 들면, 인접국의 비콘의 수신 타이밍이나 근린 비콘 수신 타이밍 등의 정보는 근린 장치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113)에 저장된다.
정보 기억부(113)는, 중앙 제어부(103)에 대해 실행되는 일련의 액세스 제어 동작 등의 실행 순서 명령(충돌 회피 처리 순서 등을 기술한 프로그램)이나, 수신 비콘의 해석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근린 장치 정보 등을 저장해 둔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율 분산형 네트워크에서는, 각 통신국은,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율 분산형 네트워크에서는, 각 통신국은, 소정의 채널 상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비콘 정보를 알리는 것으로, 근린(즉 통신 범위내) 외 통신국에 자기의 존재를 알리게 하는 것과 동시에, 네트워크 구성을 통지한다. 비콘 송신 주기를 여기에서는 슈퍼 프레임(Super Frame)이라고 정의하고, 예를 들면 80 밀리 세컨드로 한다.
신규로 참가하는 통신국은, 스캔 동작에 의해 주변국으로부터의 비콘 신호를 들으면서, 통신 범위에 돌입한 것을 검지하는 것과 동시에, 비콘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를 해독하는 것으로써 네트워크 구성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콘의 수신 타이밍과 완만하게 동기하면서, 주변국으로부터 비콘이 송신되어 있지 않은 타이밍에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을 설정한다.
다음에, 본 예의 통신 장치를 복수대 준비해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통신 처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정하고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 통신국이, 준비된 전송로를 사용하여, 일정시간마다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자국의 존재를 알리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전송로를 시분할로 공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전반에도 유효하다.
도 4에, 본 실시의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콘 송신 간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예에서는, 통신국(STAO, STAl, STA2, STA3)과 4개의 통신국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각 통신국은, 통신국의 존재를 주변에 알리거나 하는 목적으로, 슈퍼 프레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비콘을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주기를 80[msec]로 가정하고, 80[msec]마다 비콘을 송신하는 경우를 이용해 이하 설명을 실시하지만, 80[msec]로 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콘으로 송신되는 정보가 100 Byte라고 하면, 송신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18[usec]가 된다. 80[msec]에 1회의 송신이므로, 1 통신국 분의 비콘의 미디어 점유율은 1/4444로 충분히 작다. 스테이션에 송신 비콘이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비콘은 송신하기 때문에 쓸데 없게 보이지만, 송신 시간율로 1/4444로 충분히 작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각 통신국은, 주변의 통신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을 수신해 확인하면서, 완만하게 동기한다. 네트워크내에 신규로 통신국이 나타난 경우, 신규 통신국은 주변의 통신국으로부터 비콘이 송신되고 있지 않은 타이밍에,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또, 서로의 통신국의 비콘 송신 시각은, 도시되고 있는 대로 오프셋되고 있어 서로의 비콘 신호가 겹치지 않게 주위의 비콘을 수신하면서,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고 있다.
도 5에는, 슈퍼 프레임내에서 배치 가능한 비콘 송신 타이밍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80 밀리 세컨드로 이루어지는 슈퍼 프레임내에 있어서의 시간의 경과를, 원고리 위에서 시침이 우회전으로 운행하는 시계와 같이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0으로부터 F까지의 합계 16개의 위치 0∼F가 비콘 송신을 행할 수 있는 시각 즉 비콘 송신 타이밍을 배치 가능한 「슬롯」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처럼, 기존의 통신국이 설정한 비콘 간격의 거의 가장 중심의 타이밍에 신규 참가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을 차례차례 설정해 나간다고 하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비콘 배치가 행해진 것으로 한다. B min를 5 밀리 세컨드라고 규정했을 경우에는, 1 슈퍼 프레임에 대해 최대 16개까지 밖에 비콘을 배치할 수 없다. 즉, 16대 이상의 통신국은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없다.
 덧붙여 도 4 및 도 5에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비콘은, 각 비콘 송신 시각인 TBTT(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로부터 고의로 약간의 시간 오프셋을 가진 시각에 송신되고 있다. 이것을 「TBTT오프셋」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TBTT 오프셋이 설정되는 TBTT Offset Indicator Sequence(TOIS) 필드를 정의해 둔다. TOIS에는, 이번 비콘이 TBTT에 비교해 어느 정도 고의로 늦추어 송신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콘 송신 오프셋치가 기록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TBTT 오프셋치는 의사 난수에서 결정된다. 이 의사 난수는, 일의에 정해지는 의사 랜덤 계열 TOIS(TBTT Offset Indication Sequence)에 의해 결정되고, TOIS는 슈퍼 프레임 주기마다 갱신된다.
TBTT오프셋을 설치하는 것으로, 2대의 통신국이 슈퍼 프레임상에서는 같은 슬롯에 비콘 송신 타이밍을 배치하고 있는 경우라도, 실제의 비콘 송신 시각이 늦출 수 있는 슈퍼 프레임 주기에는 비콘이 충돌해도, 다른 슈퍼 프레임 주기로는 각 통신국은 서로의 비콘을 서로 묻는 (혹은, 근린의 통신국은 쌍방의 비콘을 묻는다) 일이 생기므로, 자국의 비콘이 충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통신국은, 슈퍼 프레임 주기마다 설정하는 TOI를 비콘 정보에 포함해 주변국에 알린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통신국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국이 송신하는 비콘의 전후는 수신 동작을 행하는 것이 의무로 된다. 또,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라도, 몇 초(본 명세서에서는 이 시간 간격을”T_SCAN”으로 정의한다.)에 한 번은 1 슈퍼 프레임에 걸쳐 연속해 수신기를 동작시켜 스캔 동작을 행하고, 주변 비콘의 존재에 변화가 없는지, 혹은 각 주변국의 TBTT가 어긋나지 않는가를 확인하는 일도 의무가 된다. 그리고, TBTT에 차이를 확인한 경우에는, 자국이 인식하는 TBTT군을 기준으로 - B min/2 밀리 세컨드 이내를 TBTT로 규정하고 있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 B min/2 밀리 세컨드 이내를 TBTT로 규정하고 있는 것을 「지연되고 있다 」로 정의하고, 가장 지연되고 있는 TBTT에 맞추어 시각을 수정한다.
·NBOI 필드
또, 비콘으로 송신되는 정보의 하나로서, Neighboring Beacon Offset Information(NBOI) 필드의 기술예를 도 6에 나타낸다. NBOI에는, 자국이 수신 가능한 비콘의 위치(수신 시각)를 자국의 비콘의 위치(송신 시각)로부터의 상대 위치(상대 시간)에서 비트 맵에 기재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최소 간격 B min=5[msec]이고, 비콘 송신 위치가 16 종류 밖에 존재할 수 없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고, 그러므로, NBOI 필드길이가 16비트가 되고 있지만, 16 비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예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통신국〔번호 0〕이, 「통신국〔번호 1〕및 통신국〔번호 9〕로부터의 비콘이 수신 가능하다」취지를 전하는 NBOI 필드의 예가 나타나고 있다. 수신 가능한 비콘의 상대 위치에 대응하는 비트에 관해, 비콘이 수신되고 있는 경우에는 마크,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페이스를 할당한다. 도 6의 예에서는, 0 비트째, 1비트째 및 9비트째가 마크되고 있다. 0 트째의 마크는, 자신의 비콘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1비트째의 마크는, 이 비콘의 TB로부터 B min* 1 늦은 타이밍에 비콘이 수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동일하게, 9비트째의 마크는, 이 비콘의 TBTT로부터 B min* 9 늦은 타이밍에 비콘이 수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덧붙여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보조 비콘을 송신하는 경우 등의 이 외의 목적으로, 비콘이 수신되고 있지 않은 타이밍에 대응하는 비트에 관해서 마크를 실시해도 상관없다.
·NBAI 필드
또, 여기에서는, NBOI 필드와 유사하고, 동일한 비콘으로 송신되는 정보의 하나로서, Neighboring Beacon Activity Information(NBAI) 필드를 정의한다. NBAI 필드에는, 자국이 실제로 수신을 실시하고 있는 비콘의 위치(수신 시각)를 자국의 비콘의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로 비트 맵에 기재한다. 즉, NBAI필드는, 자국이 수신 가능한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상기 NBOI와 NB AI의 두 개의 정보에 의해, 슈퍼 프레임내의 그 비콘 위치에서 자국이 비콘을 수신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즉, 비콘에 포함되는 NBOI 및 NBAI필드에 의해, 각 통신국에 관해, 아래와 같은 2비트 정보를 알리게 된다.
NBAI NBOI △εσχριπτιου
0 0 해당 시각에 있어서 비콘의 존재가 인식되고 있지 않다.
0 1 해당 시각에 있어서 비콘의 존재는 인식하고 있다.
1 0 해당 시각에 있어서 액티브한 상태로 되어 있다.
1 1 해당 시각에 있어서 비콘의 수신을 행하고 있다.
·NBOI/NBAI의 OR를 취하는 처리
도 7에는, 신규로 참가한 통신국(A)이 스캔 동작에 의해 주변국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으로부터 얻은 각 비콘의 NBOI에 근거해 자국의 TBTT를 설정할 때까지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국은, 스캔 동작에 의해 슈퍼 프레임내에 3개의 국(0∼2)으로부터의 비콘을 수신할 수 있었다고 한다.
주변국의 비콘 수신 시각을 자국의 정규 비콘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취급하고, NBOI필드는 이것을 비트 맵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래서, 통신국(A)에서는, 주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던 3개의 비콘의 NBOI필드를 각 비콘의 수신 시각에 따라 시프트하고, 시간축상에서 비트의 대응 위치를 가지런히 한 다음, 각 타이밍의 NBOI비트의 OR를 취하는 것으로, NBOI를 통합해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그 순서를 설명하는, 비콘 1은, 비콘 0의 송신 타이밍을 기준으로서 3 슬롯 지연되어 수신되고 있다. 이 정보를 통신국은 메모리 등에 보관 유지한다.
그리고, 비콘 1에 포함되는 NBOI필드의 뒤 3슬롯을 선두에 시프트시키고, 이 정보를 메모리 등에 유지한다(도 7 제2 단). 비콘 2에 대해서도 같은 처리를 실시한다(도 7 제3단).
주변국의 NBOI필드를 통합해 참조한 결과, 얻을 수 있고 있는 계열이 도 7중“OR of NBOIs”로 나타나고 있는 「1101, 0001, 0100, 1000」이다. 1은 슈퍼 프레임내에서 이미 TBTT가 설정되어 있는 타이밍의 상대 위치를, 0은 TBTT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타이밍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계열에 있어서, 스페이스(제로)가 최장 런 길이가 되는 장소가 신규로 비콘을 배치하는 후보가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최장 런 길이가 3이며, 후보가 2개소 존재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통신국 A는, 이 중 15비트째를 자국의 정규 비콘의 TBTT로 정하고 있다.
통신국 A는, 15비트째의 시각을 자국의 정규 비콘의 TBTT(즉 자국의 슈퍼 프레임의 선두)로서 설정하고, 비콘의 송신을 개시한다. 이 때, 통신국(A)가 송신하는 NBOI 필드는, 비콘 수신 가능한 통신국(0∼2)의 비콘의 각 수신 시각을, 자국의 정규 비콘의 송신 시각부터의 상대 위치에 상당하는 비트 위치를 마크한 비트 맵 형식에 기재한 것인, 도 7중의 "NBOI for TX(1 Beacon TX)"로 나타내는 것같이 된다.
또한, 통신국(A)이 우선 송신 권리를 얻는 등의 목적으로 보조 비콘을 송신할 때 , 더욱이 이 후, 주변국의 NBOI 필드를 통합한 "OR of NBOIs"로 나타내고 있는 계열의 스페이스(제로)의 최장 런 길이를 찾고, 찾아낸 스페이스의 개소에 보조 비콘의 송신 시각을 설정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보조 비콘을 송신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고, "OR of NBOIs"의 6비트째와 11비트째의 스페이스의 시각에 보조 비콘의 송신 타이밍을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통신국(A)이 송신하는 NBOI필드는, 자국의 정규 비콘 및 주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비콘의 상대 위치에 더하여, 더욱이 자국이 보조 비콘의 송신을 행하고 있는 개소(정규 비콘에 대한 상대 위치)에도 마크 되어, "NBOI for TX (3Beacon TX)"로 나타나고 있는 대로된다.
각 통신국이 상술한 것 같은 처리 순서로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TBTT)을 설정해 비콘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 각 통신국이 정지해 전파의 도래 범위가 변동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하에서는, 비콘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송신 데이터의 우선도에 따라서, 보조 비콘(또는 복수의 비콘에 유사한 신호)을 슈퍼 프레임내에서 송신하는 것으로써, 우선적으로 자원을 할당해 QoS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주변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수(NBOI필드)를 참조하는 것으로써, 각 통신국이 시스템의 포화도를 자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분산 제어 시스템이면서, 통신국 마다 계의 포화도를 가미하면서 우선 트래픽의 수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각 통신국이 수신 비콘의 NBOI필드를 참조하는 것으로, 비콘 송신 시각은 충돌하지 않게 배치되므로, 복수의 통신국이 우선 트래픽을 수용했을 경우라도, 충돌이 다발한다고 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국이, 신규로 네트워크에 참가할 때 , 각 통신국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으로부터 얻은 NBOI의 합을 취한 결과, 스페이스의 런렝스가 최장이 되는 구간의 중심을 비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정한다.
상술의 설명은, NBOI필드를 OR로 참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NBAI필드도 같은 순서에 의해 화(OR)를 참조하는 것으로써, 마크되고 있는 타이밍의 비콘 송신 시각에 있어서는, 송신을 실시하지 않게 제어를 실시한다.
즉, 통신국이 하등의 정보를 송신할 때, 주변 통신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을 수시 수신해 두고, 각 통신국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에서 얻은 NBAI 필드의 화(O R)를 취한 결과, 마크되고 있는 타이밍의 비콘 송신 시각에 있어서는, 송신을 실시하지 않게 제어를 실시한다.
도 8에, 이 때의 처리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NBAI 필드가 8비트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상술한 순서로 각 수신 비콘의 NBAI필드의 화(OR)를 취한 결과, 0비트째와 4비트째와 6비트째가 마크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0비트째는 자국의 비콘이므로 특히 부가처리는 실시하지 않는다. 4비트째가 마크 되고 있으므로, 4비트째의 비콘 송신 시각인 시각(T4)에 있어서는, 자국의 송신 허가 플래그를 인하 송신을 실시하지 않게 한다. 또, 6비트째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시각(T6)에서는, 자국의 송신 허가 플래그를 인하 송신을 실시하지 않게 한다. 이것에 의해, 어느 통신국이 있는 통신국의 비콘을 수신하고 싶은 경우에는, 송신국은 이 수신을 방해하는 것이 없어져, 신뢰성이 높은 송수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송신 우선 구간 TPP
각 통신국은, 비콘을 일정 간격으로 송신하고 있지만, 본 예에서는, 비콘을 송신한 후 잠깐 동안은 이 비콘을 송신한 국에 송신의 우선권을 준다. 비콘 송신국에 우선 송신권이 주어지는 모습을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이 송신 우선 구간으로서 480[usec]가 주어지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우선 구간을 Transmission Prioritized Period(TPP)라고 정의한다. TPP는, 비콘 송신 직후에 개시하여, TBTT로부터 T_TGP 경과한 시각에 종료한다. 각 통신국은 슈퍼 프레임 마다 비콘을 송신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각 통신국에 대해서, 동시간율의 TPP가 배포되는 형태가 된다. 한개의 통신국의 TPP가 만료하면, 다른 통신국이 비콘을 송신할 때까지의 사이가 Fairly Access Period(FAP)가 된다. Fairly Access Period(FAP)에서는, 통상의 CSMA/CA방식(혹은, 후술하는 PSMA/CA방식)에 의한 공평한 미디어 획득 경합이 행해진다.
도 10은 슈퍼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각 통신국으로부터의 비콘의 송신에 이어서, 그 비콘을 송신한 통신국의 TPP가 할당되고, TPP의 길이 분만큼 시간이 경과하면 FAP가 되어, 다음의 통신국으로부터의 비콘의 송신으로 FAP가 끝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비콘의 송신 직후부터 TPP가 개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비콘의 송신 시각부터 상대 위치(시각)에서 TPP의 개시시각을 설정해도 상관없다. 또, TPP는, TBTT로부터 480[μsec]라고 하는 형태로 정의되는 경우도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대로, TPP의 영역은 TBTT를 기준으로 한 기간 T_TPP을 가지고 만료하기 때문에, TBTT오프셋에 의해 비콘의 송신 시각이 늦었을 경우에는, TPP의 영역은 삭감되게 된다.
전형적인 통신국의 송수신 순서예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1에서는, 통신국(STAO)과 통신국(STA1)에 관한 설명이, 통신국(STAO)으로부터 통신국(STA1)에 대해서 송신을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루어진다. 각 통신국은, 매회 타국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지시등에 의해, 수신 빈도를 떨어뜨리고 있는 경우도 있다. 도 11a가 통신국(STAO)과 통신국(STA1)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패킷의 순서도를 나타내고, 도 11b가 통신국(STAO)의 송신부의 상태, 도 11c가 통신국(STAO)의 수신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송수신부의 상태는, 하이레벨이 액티브 상태(수신 또는 송신을 시도하고 있는 상태)이며, 로 레벨이 슬립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통신국(STAO)은 미디어가 클리어한 것을 확인한 후에 비콘을 송신한다. 이 비콘중의 TIM과(혹은) PAGE에 있어서 통신국(STA1)이 호출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비콘을 수신한 통신국(STA1)은, 페이징 정보에 대한 리스폰스를 실시한다(0). 이 리스폰스는 통신국(STAO)의 TPP 중에 상당하기 때문에, 우선권을 얻고 있기 위해 SIFS 간격으로 송신된다. 이후, TPP 중에서의 통신국(STA1)과 통신국(STAO)의 사이의 송수신은 우선권을 얻고 있기 때문에 SIFS 간격으로 송신된다. 리스폰스를 수신한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이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하면, 통신국(STA1) 앞의 패킷을 송신한다(1). 더욱이 도 18에서는, 통신국(STA1) 앞의 패킷이 존재하므로 벌써 한개의 패킷을 송신하고 있다(2). 2개 분의 패킷을 수신한 통신국(STA1)은, 이들이 정상적으로 수신된 것을 확인한 다음, ACK를 송신한다(3). 그 후, 통신국(STAO)은 마지막 패킷을 송신한다(4). 그런데 , 앞의 ACK를 수신한 동안에 통신국(STAO)의 TPP가 종료하고, (4)의 송신시는 FAP에 돌입하고 있다. FAP에 있어서는, 송신 우선권이 없기 때문에 (4)의 패킷에 관해서는 LIFS+ 백 오프의 간격으로 송신을 실시한다. 통신국(STA1)은 (4)의 패킷에 대응하는 ACK를 송신한다(5).
마지막 송신을 하고 나서 잠시동안의 사이를 리슨윈드우(ListenWindow)라고 정의하고, 각 통신국은 수신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의무화한다. 도 11에도 이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리슨 구간내에서 수신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신국은 슬립 상태로 상태를 변경하고, 송수신기를 스톱 시켜 소비 전력의 삭감을 시도한다. 각 단말의 파워 세이브 동작에 대한 상세를 다음에 설명한다.
·동작 레벨(Activity Level)의 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파워 세이브가 행해지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응하는 처리 순서가 동작한다. 송수신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MAC 레이어의 간헐 동작률은 변동한다.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로 설정되는 각 통신 단말의 동작 레벨(Activity Level)의 정의 및 천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에서는, 동작률 등에 기초를 두고, 동작 레벨 0으로부터 동작 레벨 3까지의 4 단계가 정의된다. 각 동작 레벨의 상세한 송수신 순서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각 동작 레벨의 설명을 실시한다.
동작 레벨 0은, 타국과의 사이에 정보나 비콘을 송수신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상당한다. 비콘의 송신과 비콘의 송신 타이밍 부근에서 수신기를 동작시키고 있을 뿐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위 레이어로부터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 혹은 타국으로부터 호출된 경우에는, 동작 레벨 1로 변천한다.
동작 레벨 1에서는, 특정국(혹은 근린의 모든 통신국)과의 사이에 최저한의 대역으로 송수신을 실시하는 상태에 상당한다. 비콘의 송수신에 관해서는 서로 송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것에 기인해 데이터 등이 송수신 되는 상태이다. 송수신 해야 할 데이터량이 동작 레벨 1로 핸들 하려면 다량으로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작 레벨 2로 변천한다.
동작 레벨 2에서는, 슈퍼 프레임마다 송신되는 비콘의 송신 시각의 사이에 이산적으로 송신 트리거를 생성하고, 송신 트리거가 걸린 시점에 있어서도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상태이다. 송수신 해야 할 데이터량이 동작 레벨 2로 핸들 하려면 다량으로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작 레벨 3으로 변천 한다.
동작 레벨 3에서는, 전시간대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상태에 상당한다. 송신국 및 수신국은, 연속적으로 송수신 동작을 실시하고, 송신측에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즉시 송신 순서를 기동한다.
각 동작 레벨에 대해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량이 소량이 되어 왔다고 판단되는 시간이 충분히 길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예를 들면 타이머에서 관리)에는, 한개 하의 동작 레벨로 변천한다.
·근린국 리스트(NeighborList)
도 12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근린국 리스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각 통신국은, 인접국 정보를 국 단위로 보관 유지하고 있고, 이 정보를 근린국 리스트라고 하는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 근린국 리스트에는, 국 단위로 비콘의 송신 타이밍이나 자국과의 사이의 전파로의 상태 등이 저장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는, 이 근린국 리스트에 대하여 파악하고 있는 각 인접국의 동작 레벨을 송신 대열 수신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도 12에서는, 도 4에 있어서의 통신국(STAO)(도 12의 좌측)과 통신국(STAl)(도 12의 우측)에 있어서의 근린국 리스트의 예가 나타나고 있다. 통신국(STAO)의 근린국 리스트에 대해서는, 통신국(STAO)이 비콘을 수신 가능한 통신국(STAl, STA2, STA3)의 3국 만큼이 레코드로서 등록되어 있어 각 국에 대한 송신시에 참조하는 동작 레벨과 수신시에 참조하는 동작 레벨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나타낸 예에 대해서는, 통신국(STAO, STAl)과도 전국적인 국면에 대해서 송신 및 수신으로도 동작 레벨 0(도중에서는 ACT-0으로 표기)인 경우가 기재되어 있다.
·동작 레벨 0시의 동작
도 14는, 동작 레벨 0의 경우의 송수신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에서는, 통신국(STAO)과 통신국(STA1)에 관한 설명을 실시하고 있다. 도 14a는,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며, 도 14(b)는, 통신국(STAO)로의 송신 상태이며, 도 14c는 통신국(STA1)에서의 송신 상태이며, 도 14d는,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다. 수신 동작 상태에 대해서는, 하이레벨이 수신 동작중을 나타내고, 로 레벨이 수신 동작 정지중을 나타낸다(도 15이후의 도에 있어서의 수신 동작 상태도 같다). 이후, 같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을 실시해 간다.
동작 레벨 0에서는, 각 통신국은, 자국의 비콘 송신 시각에 앞서 미디어가 클리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클리어이면 비콘 송신 시각에 비콘을 송신하고, 그 후, 상술한 리슨윈드우(ListenWindow)로 불리는 시간대에 걸쳐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자국 앞의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음 번의 비콘 송신까지 송수신부를 스톱시키고 있다. 즉, 동작 레벨 0은, 필요 최저한의 송수신 처리를 실시하는 상태이며, 최대한의 저소비 전력 동작을 하는 모드이다. 동작 레벨 0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슈퍼 프레임 주기(T_SF) 마다의 비콘의 송신 동작
·비콘 송신 후 Listen Window간의 수신 동작
·T_SCAN 마다 슈퍼 프레임 주기(T_SF)에 걸쳐서 행해지는 스캔 동작 동작 레벨 0에 대해서는,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로 하는 Latency는 최대 편도에서 슈퍼 프레임 주기 T_SF[msec]가 된다. 이 동작 모드에서는, 타국의 비콘을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하드웨어 부분에 있어서의 저소비 전력 동작을 실현한다.
통신국(STAO)에 있어서의 근린국 리스트의 통신국(STA1)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이 도 14의 최상단(도 14(a)의 위쪽)에 나타나고 있고 이것이 도 12에 있어서의 통신국(STAO)의 근린국 리스트의(A)(2) 항목에 대응한다. 통신국(STAO)에 있어서의 근린국 리스트의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이, 수신 동작 레벨의 바로 아래에 나타나고 있고, 이것이 도 12에 있어서의 통신국(STAO)의 근린국 리스트의(A)(1) 항목에 대응한다.
또, 통신국(STA1)에 있어서의 근린국 리스트의 통신국(STAO)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이, 도 14d의 수신 상태의 바로 아래에 나타나고 있고 이것이 도 12에 있어서의 통신국(STAl)의 근린국 리스트의(A)(2) 항목에 대응한다. 통신국(STAl)에 있어서의 근린국 리스트의 통신국(STAO)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이, 도 14의 최하단에 나타나고 있고 이것이 도 12에 있어서의 통신국(STAl)의 근린국 리스트의(A)(1) 항목에 대응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도 같은 대응 관계가 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설명을 진행시킨다. 즉, 도 12의 근린국 리스트의 내용은, 도 14에서 나타낸 각 단말의 동작 레벨을 표기하고 있게 된다.
상기의 동작 레벨 0의 송수신 처리의 과정에서, 송신 혹은 수신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작 레벨 1로 변천한다.
·동작 레벨 1시의 동작
도 15는, 동작 레벨 1의 경우의 송수신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동작 레벨 1에서는, 동작 레벨 0의 동작에 가세해 주변국의 비콘을 수신하는 상태이며, 주변국수에 따라 소비 전력이 변동한다.
동작 레벨 1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실시한다.
·슈퍼 프레임 주기(T_SF) 마다의 비콘 송신 동작
·비콘 송신 후 ListenWindow간의 수신 처리 동작
·자국이 인식하고 있는 주변국의 비콘의 수신 처리 동작
·T_SCAN 마다 슈퍼 프레임 주기(T_SF)에 걸쳐서 행해지는 스캔 동작
도 15a는,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며, 도 15b는, 통신국(STAO)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5c는, 통신국(STA1)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5d는,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다. 또, 도 15a의 위쪽에,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도 15d의 아래 쪽에,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는, 통신국(STAO)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따라 동작 레벨 0에서 동작 레벨 1로 변천하고, 그 후, 동작 레벨 0으로 돌아오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통신국(STAO, STAl)이라도 처음은 송신 대열 수신의 동작 레벨은 0이지만, 통신국(STAO)에 대해 통신국(STA1)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DO)가 발생하면, 이 시점에서, 통신국(STAO)의 통신국(STA1)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이 레벨 1로 변천하고, 통신국(STA1)의 비콘(Bl-3) 송신 시각에서 통신국(STAl)의 비콘을 수신한다. 이 비콘 수신을 트리거에 통신국(STA1)에 대해서 송신 요구가 있는 취지의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면, 통신국(STA1)은, 「STAl가 자국 앞으로 송신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취지를 인식하고, 통신국(STAO)에 관한 동작 레벨을 송신/수신 다 같이 레벨 1로 변경한다. 더욱이, 통신국(STA1)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이해한 취지의 ACX를 통신국(STAO)에 반송하고,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1)로 변경한다.
그 후, 통신국(STAO)의 비콘 송신 시각이 되면, 통신국(STAO)은, 근린국 리스트에 대해 통신국(STAl)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이 레벨 1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다음, 비콘(BO-4)에서 통신국(STA1)을 호출한다. 통신국(STA1)은, 통신국(STAO)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이 레벨 1이 되어 있기 위해, 이 비콘을 수신하고 있어, 이 호출에 응답하는 ACK를 반송한다. 이 호출과 응답이 RTS/CTS 순서의 RTS와 CTS에 상당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그 후에 통신국(STAO)으로부터 통신국(STA1)에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DO)가 송신된다. 그 후, 통신국(STAl)는 ACK를 반송한다. 통신국(STAO, STAl)이라도 그 후, 리슨윈드우(LW)에 걸쳐 수신부를 동작시키지만, 수신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그 후 수신부를 스톱시킨다.
동작 레벨 1에서는, 상기의 순서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데이터 송신측의 비콘 송신을 시작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한다. 덧붙여 송신 데이터가 작은 경우에는,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l)이 송신하는 비콘(B1-3)의 직후에 해당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 여기에서는, STAO와 STAl의 2국이 존재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더 많은 국이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몇 개의 국에 대한 송신 동작 레벨이 1이 된 국(즉 데이터를 몇개의 국에 송신하는 국)은, 송신 대열 수신 동작 레벨이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국의 비콘 수신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도 15의 예에서는, 더 그 후, 동작 레벨 0으로 변천하는 과정이 나타나고 있다. 앞의 데이터(DO)가 송수신 된 후, 통신국(STA1)은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 비콘(Bl-5)을 송신한다. 통신국(STAO)은 이 비콘을 수신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 게다가 그 후, 통신국(STAO)은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 비콘(BO-6)을 송신한다. 통신국(STAl)은 이 비콘을 수신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송신되어 오지 않는다. 그래서, 통신국(STA1)은 통신국(STAO)에 관한 동작 레벨을 0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결정한다. 그 후, 통신국(STA1)은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 송신하는 비콘(Bl-7) 혹은 그 직후에 송신하는 데이터(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STAl는 STAO에 관한 송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0으로 변경한다」취지를 통지하고, 통지대로 동작 레벨을 레벨 0으로 변경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0으로 변경한다.
더욱이 그 후, 통신국(STAO)은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 송신하는 비콘(BO-8)에 대해서, 「STAO는 STAl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0으로 변경한다」취지를 알리고, 동작 레벨을 레벨 0으로 변경한다.
상술한 예에 대해서는, 통신국(STAl)은, 비콘(BO-6)에 부대해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았던 것을 이유로 동작 레벨을 레벨 0으로 변경했지만, 복수 비콘을 연속해 수신한 것의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았던 것을 이유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또, 트래픽의 송수신이 없는 시간을 감시하는 타이머를 보관 유지해 두고, 이 타이머가 만료하는 것을 트리거로 동작 레벨을 내려도 괜찮다. 이 때, Tx.ActiveLevel을 내리는 타이머와 Rx.Active Level을 내리는 타이머를 따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Tx.Active Level를 내리는 타이머로 설정하는 시간을 Rx.ActiveLevel을 내리는 타이머보다 짧게 설정해 두는 것으로 마진을 갖게 해 「송신한 것의 수신기가 수신하고 있지 않다」라고 하는 쓸데 없는 트래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예에 대해서는, 동작 레벨을 내리는 취지를 통지하는 순서를 따르지만, 이것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수신측의 STAl는 N비콘 주기에 걸쳐 STAO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에 자동적으로 변경하고, 송신측의 STAO는 N-1 비콘 주기에 걸쳐 STAl으로부터 데이터의 ACK(확인 응답)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에 자동적으로 변경한다고 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송신측의 설정 비콘 주기를 짧게 해 두는 것으로 쓸데 없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이 외 ,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용치를 넘어 이산적으로 밖에 행해지지 않는 것」을 이유로 동작 레벨을 레벨 0으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또, 상기의 예에 대해서는, 수신측인 통신국(STA1)이 「동작 레벨을 레벨 1로부터 레벨 0으로 변경한다」취지를 결정했지만, 송신측인 통신국(STAO)이 결정하고, 수신측이 이것에 추종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의 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순서와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특히 설명은 실시하지 않는다.
동작 레벨 1에 대해서는,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로 하는 Latency는 최대 편도에서 슈퍼 프레임 주기 T_SF[msec]이다. 동작 레벨 1은, 시그널링이 이따금 거래되고 있지만 트래픽은 다니지 않는 것 같은 상태를 상정하고 있다.
동작 레벨 1의 송수신 처리의 과정에서, 송신 혹은 수신해야 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인식했을 경우에는, 동작 레벨 2로 변천한다. 송신 혹은 수신해야 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어떤지의 판단은, 예를 들면, 송신 버퍼에 쌓인 패킷수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었는지를 감시하는 것으로 행한다.
·동작 레벨 1로부터 동작 레벨 2로의 변천
동작 레벨 2에서는, 동작 레벨 1의 동작에 더해 정기적으로 송수신기를 동작시키는 상태이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도 간헐 송수신에 의한 저소비 전력 동작을 하는 모드이다.
동작 레벨 2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실시한다.
·슈퍼 프레임 주기 T_SF 마다의 비콘 송신 동작
·비콘 송신 후 Listen Window간의 수신 처리 동작
·자국이 인식하고 있는 주변국의 비콘의 수신 처리 동작
·지정한(또는 지정된) 시각에 있어서의 수신 처리 동작(필요에 따라서 송신 처리 동작도 행한다)
· T_SCAN마다의 슈퍼 프레임 주기 T_SF에 걸쳐서 행해지는 스캔 동작
도 16은, 동작 레벨 1로부터 동작 레벨 2로의 변천을 나타내는 도이다.도 16a는,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며, 도 16b는, 통신국(STAO)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6c는, 통신국(STA1)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6d는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다. 또, 도 16a의 위쪽에,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Rx) 동작레벨 및 송신(T x) 동작 레벨을, 도 16(d)의 아래 쪽에,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R x) 동작 레벨 및 송신(T x) 동작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서는, 통신국(STAO)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변천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도 16의 초기 상태에서는, 통신국(STAO, STAl)이라도 서로에 관한 송수신 레벨은 레벨 1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고 있고, 통신국(STAO)의 비콘(BO-10)의 송신을 시작으로, 통신국(STAO)에 도달하고 있는 통신국(STAl)으로의 송신 데이터(DO)가 송신된다. 그 후, 재차 통신국(STAO)의 비콘 송신 타이밍이 오기 전에, 통신국(STAO)에서는, 통신국(STA1)으로의 송신 데이터(Dl 및 D2)가 도달한다. 이 때,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 앞의 송신 데이터가 허용치를 넘어 체류했다고 판단하고,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O)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서 비콘(BO-12)을 송신하면, 비콘으로 통신국(STAl)을 호출하면서 동작 레벨을 2로 변경하고 싶은 취지를 통지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1)은, 통지대로 통신국(STAO)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경하고, 확인 응답의 ACK를 반송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의 수신 동작 레벨이 2로 변경된 것을 확인하고, 송신 동작 레벨을 2로 변경한다.
게다가 비콘(BO-12)을 시작으로, 먼저 체류하고 있던 송신 데이터(Dl 및 D2)를 송신해 응답을 얻으면, 통신국(STAO) 및 통신국(STA1)으로도 리슨윈드우(LW)만 수신부를 동작시키지만, 데이터가 수신되어 오지 않기 때문에 수신부를 스톱시킨다. 그 후, 통신국(STAO)는 송신 동작 레벨 2가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통신국(STAO)의 송신 동작 레벨 2가 규정하는 시각에 송수신기를 동작시키고, 소정의 수속을 한 후에, 이전에 체류한 데이터(D3)의 송신을 시도한다. 한편, 통신국(STA1)은 통신국(STAO)의 동작레벨 2에 동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동일하게 통신국(STAO)의 송신 동작 레벨 2가 규정하는 시각에 수신기를 동작시키고, 송신되어 온 데이터 D3를 수신하여, ACK를 반송한다.
또, 상기의 예에 대해서는, 송신측인 통신국(STAO)가 「STAl 앞에서의 송신 데이터가 허용치를 넘어 체류했다고 판단한 것」에 기인해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천시키는 것을 결정했지만, 이 외 ,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자국의 비콘 송신 직후에 개시했다고 해서, 어느 시간내에 송신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에 기인하는 경우나, 「동작 레벨 1의 범주로 행한 수신국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았던 것」에 기인하는 경우 등이 있다.
·동작 레벨 2시의 동작
도 17은, 동작 레벨 2의 경우의 송수신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a는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며, 도 17b는 통신국(STAO)에서의 송신 트리거 비콘의 생성 상태를 나타내고, 도 17c는 통신국(STAO)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7d는 통신국(STA1)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7e는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다.
또, 도 8a의 위쪽에,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도 17e의 아래 쪽에,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서는, 통신국(STAO)으로부터 통신국(STA1)에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어 비콘간에 발생하는 송신 트리거가 2회 발생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동작 레벨 2에서는, 송신측의 비콘 송신 타이밍부터의 상대 시각에 규정되는 시각에 송신 트리거가 발생하고, 데이터의 송신은, 비콘의 송신에 더해 이 송신 트리거의 발생을 시작으로 행해진다.
송신 트리거가 언제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우선은 동작 레벨 2시에 행해지는 데이터 송수신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17의 초기 상태에서는, 이미 송수신 양측의 동작 레벨이 레벨 2가 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송신국인 통신국(STAO)은 비콘(BO-14)의 송신을 트리거에, 여기까지 체류한 송신 데이터인 D4 및 D5를 송신한다. D5를 송신 종료한 시점에서는, 이 이상의 송신 데이터의 체류가 없기 때문에, 일단 송신을 중지하고, 통신국(STAO, STAl)이라도 리슨윈드우(LW)의 기간 수신부를 동작시킨 후에 수신부를 스톱시킨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지만, 이 리슨윈드우(LW)의 기간에 새로운 송신 데이터가 주어진 경우는, 즉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 후, 새롭게 송신 데이터(D6)가 통신국(STAO)에게 주어지지만, 일단 송수신을 중지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국(STAO)은 이 데이터를 보관 유지해 둔다. 이전, 통신국(STAO) 대열 통신국(STA1)와도 자국내에 구비하는 타이머에 의해, 앞의 통신국(STAO)의 비콘(BO-14) 송신 시각부터의 경과시간을 감시하고 있어, 미리 정해진 시간 T-AL2(1)[usec]가 경과하면 송신 트리거를 발생시킨다. 통신국(STAO)은, 이 송신 트리거의 발생을 시작으로 통신국(STA1) 앞으로 체류 한 데이터의 송신을 시도한다. 한편, 통신국(STA1)도 동일하게 앞의 비콘(BO-14) 송신 시각부터 T-AL2(1)[usec]가 경과하면 수신기를 동작시키고, 통신국(STAO)로부터의 송신에 대비한다.
이것에 의해, 통신국(STAO)에 체류한 데이터 D6와 D7가 이 송신 트리거를 시작으로 송수신 된다. 통신국(STAO) 및 통신국(STA1)은, 데이터 D7를 송수신 종료하면, 더 이상의 송신 데이터의 체류가 없기 때문에, 일단 송신을 중지하고, 통신국(STAO, STAl)으로 리슨윈드우(LW)의 기간 수신부를 동작시킨 후에 수신부를 스톱시킨다. 그 후, 신규 데이터 D8가 통신국(STAO)에 주어지지만, 일단 송수신을 중지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국(STAO)은 이 데이터를 보관 유지해 둔다. 이 동안도, 통신국(STAO 및 STAl)으로도 자국내에 구비하는 타이머에 의해, 앞의 통신국 STAO의 비콘(BO-14) 송신 시각에서의 경과시간을 감시하고 있고, 앞에 발생한 송신 트리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T-AL2 (2)[usec]가 경과하면 새로운 송신 트리거를 발생시킨다. 통신국(STAO)과 통신국(STA1)은, 이 송신 트리거의 발생을 시작으로 재차, 상기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이후, 동일의 처리를, 다음 번의 통신국(STAO)의 송신 비콘(BO-16)이 발생할 때까지 반복한다.
·동작 레벨 2에 있어서의 T-AL2(i)의 설정예
동작 레벨 2을 정의하는 목적은, 비콘 간격인 T SF를 보완하여, 보다 짧은 지연시간을 제공하면서, 라고 해도 약간의 지연시간은 허용받으면서 간헐 동작도 병용하여,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것에 있다. 한편, 이 송신 트리거 발생시각은, 타국의 송신 패킷과의 충돌을 피하고, MAC 레벨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부터, 통신국 마다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네트워크에 수용되고 있는 통신국 수가 적은 경우에, 상기의 사항을 극히 만족시키는 것을 염두에 두어, 동작 레벨 2에 대해서는, 송신국은, 자국의 비콘 송신 시각 혹은 TBTT와 같은 비콘 송신 시각을 결정하는 기준 시각을 기준으로, T AL2 i마다 송신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송신 트리거를 발생한다. T AL2 i(i=1, 2,‥‥)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주어진다.
T_AL2_i=
(N AL2 STEP+AL2 TBL[i])*T Bnin
+N AL2 TRX STT OFFSET
+N AL2 TRX STT OFFSET STEP*l
다만,
AL2TBL[i]=[0,-1, 0, 0, 0, 1]
이다.
예를 들면, T_SF=40 msec, TBmin=625[usec], N AL2 STEP=9, N AL2 TRX STT OFFSET=180[usec], N AL2 TRX STT OFFSET STEP=10.0[usec]에 있어서, 상기의 동작을 실시하면, 각 송신 트리거 시각 T AL2[i]는,
T AL2[0]=TBTT
T AL2[1]=TBTT+5.625[msec]+190[nsec]
T AL2[2]=TBTT+10.625[msec]+200[usec]
T AL2[3]=TBTT+16.250[msec]+210[usec]
T AL2[4]=TBTT+21.875[msec]+220[usec]
T AL2[5]=TBTT+27.500[msec]+230[nsec]
T AL2[6]=TBTT+33.750[msec]+240[usec]
로 설정되고, 대략 6.25[msec] 간격으로 송신 가능 시각이 출현한다.
예를 들면, MAX WIN SIZE=64 kByte의 TCP 경유에서, FTP 등의 벌크 전송을 실시하는 경우, 왕복의 지연시간은 최악의 값으로 12.5[msec]가 되고, TCP의 흐름 제어에 기인하는 스루풋(throughput)의 한계는 40.96[Mbps]가 된다. 송수신에 필요로 하는 프로세싱 지연을 1.0[msee]라고 예측해도 35.31[Mbps]까지는 제공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TAL2[*]의 설정으로 하면, TAL2[*]의 매크로적인 충돌은, TBTT가 0으로부터 63까지 T Bmin 걸러서 존재하는 경우, TBTT=0의 통신국과 충돌하는 것에 대해서 픽업하면,
TBTT=8, 56              ×1회
TBTT=20, 28, 36, 44        ×1회
TBTT=10, 18, 26, 38, 46, 54        ×2회
TBTT=17, 19, 27, 29, 35, 37, 45, 47   ×2회
TBTT=9, 55              ×4회
된다.
통신국 수가 4까지이면, TAL2[*]의 충돌은 발생하지 않고, 통신국 수가 8까지라고 하면, 2국과 1회씩 충돌하고, 그 이상이라면 차례차례 충돌의 가능성이 증가해 가는 느낌이 된다. 수신국은, 지시된 TAL2[i]에 있어서 수신 및 송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아무것도 송신되어 오지 않는 경우에는, T LW의 사이 수신기를 동작시킨 후에 다시 아이들 상태로도 변천한다. 또, 수신 노드는, 지시된 T AL2[i]에 대해 수신 해당 노드 앞에의 정보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 것을 인식했을 경우에는, T AL2[i]중 몇개의 시각만으로 수신 작업을 실시하는 취지의 통고를 송신원 통신국에 대해서 행한 후에, 액티브 상태의 시간율을 내려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예에 대해서는, 동작 레벨 2로서 6개의 송신 트리거 시각을 정의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동작 레벨 2을 복수 단계 정의하고, 동작 레벨 2-1에서는 3개의 송신 트리거 시각을 생성하고, 동작 레벨 2-2에서는 6개의 송신 트리거 시각을 생성하는 처리도 본 발명으로부터 상상할 수 있는 범위내이다.
·동작 레벨 2로부터 동작 레벨 1로의 변천
도 18은, 동작 레벨 2로부터 동작 레벨 1로의 변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a는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며, 도 18b는 통신국(STAO)에서의 송신 트리거 비콘의 생성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c는 통신국(STAO)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8d는 통신국(STA1)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8e은, 통신국(STA1)로의 수신 동작 상태이다.또, 도 18a의 위쪽에, 통신국(STAO)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도 18e의 아래 쪽에,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서는, 통신국(STA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변천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도 18의 초기 상태에서는, 통신국(STAO, STAl)이라도 서로에 관한 송수신 레벨은 레벨 2가 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고, 통신국(STAO)의 비콘 혹은 송신 트리거의 발생을 송신을 시작으로, 통신국(STAO)으로부터STAl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우선, 통신국(STAO)이 비콘(BO-16)을 송신하고, 이것을 시작으로 통신국(STAO)에 체류하고 있는 송신 데이터(DlO 및 Dll)가 송수신된다. 그 후, 리슨윈드우(LW)에 걸쳐 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일단 송수신을 중지한다. 그 후, 앞의 비콘(BO-16)의 송신 시각부터 T-AL2(1)[usec]가 경과하고, 송신 트리거가 발생한다.이 부근에서, 통신국(STAO, STAl)이라도 수신부를 동작시키지만, 통신국(STAO)에 대해 체류하고 있는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송수신은 행해지지 않고, 송신 트리거 발생으로부터 리슨윈드우(LW) 경과하면 재차 수신부를 스톱시킨다. 더욱이 이 송신 트리거 발생으로부터 T-AL2(2)[usec]가 경과하고, 재차 송신 트리거가 발생하고, 통신국(STAO 과 STAl)은 같은 동작을 실시하지만, 데이터는 송수신 되지 않는다.
더욱이 그 후, 통신국(STAO)은 비콘(BO-18)를 송신하지만, 역시 데이터는 송수신 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통신국(STA1)은 1 비콘 송신 주기에 걸쳐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이유로, 통신국(STAO)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 후, 통신국(STA1)은,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 송신하는 비콘(Bl-19) 혹은 그 직후에 송신하는 데이터(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STAl는 STAO에 관한 송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변경한다」취지를 통지하고, 통지대로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변경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l)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도 변경한다.
상기의 예에 대해서는, 통신국(STA1)은 「1 비콘 송신 주기에 걸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이유로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변경했지만, 「복수 주기에 걸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이유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동작 레벨을 내리는 취지를 통지하는 순서를 따랐지만, 이것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수신측의 STAl는 N비콘 주기에 걸쳐 STAO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에 자동적으로 변경하고, 송신측의 STAO는 N-1 비콘 주기에 걸쳐 STAl로부터 데이터의 ACK(확인 응답)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에 자동적으로 변경한다고 하는 처리를 한다. 송신측의 설정 비콘 주기를 짧게 해 두는 것으로 쓸데없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 대해서는, 수신측인 통신국(STA1)이 「동작 레벨을 레벨 2로부터 레벨 1로 변경한다」취지를 결정했지만, 송신측인 통신국(STAO)이 결정되고, 수신측이 이것에 추종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의 순서는, 상기에 설명한 순서와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특히 설명은 실시하지 않는다.
·동작 레벨 2로부터 동작 레벨 3으로의 변천
동작 레벨 3에서는, 동작 레벨 1의 동작에 더해서 아이들의 시간대에 있어서도 정상적으로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이며, 연속적으로 다른 통신국이 송신하는 캐리어(혹은 프리앰블)의 검출 동작을 실시한다. 소비 전력의 저감 효과는 작지만, 제공 가능한 한 넓은 대역과 짧은 Latency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동작 레벨 3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실시한다.
·슈퍼 프레임 주기 T_SF 마다의 비콘 송신 동작
·비콘 송신 후 Listen Window간의 수신 처리 동작
·연속적인 수신 처리 동작
도 19는, 동작 레벨 2로부터 동작 레벨 3으로의 변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a는,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며, 도 19b는, 통신국(STAO)에서의 송신 트리거 비콘의 생성 상태를 나타내고, 도 19c는, 통신국(STAO)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9d는, 통신국(STA1)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19e는,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다. 또, 도 19a의 위쪽에,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도 19e의 아래 쪽에,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서는, 통신국(STAO)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따라 변천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도 19의 초기 상태에서는, 통신국(STAO, STAl)이라도 서로에 관한 송수신 레벨은 레벨 2가 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고, 송신 트리거의 발생을 시작으로, 통신국(STAO)에 체류하고 있는 통신국(STA1)으로의 송신 데이터(D8, D9, DlO)가 송신된다. 그 후, 리슨윈드우(LW)에 걸쳐 수신부를 동작시키지만, 신규 송신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송수신을 중지한다.
그러나, 다음 번의 송신기회인 통신국(STAO)의 비콘(BO-20) 송신의 시각에 앞서, 통신국(STAO)에서는, 통신국(STA1)으로의 송신 데이터(Dll 및 D12)가 도달한다. 이 때,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 앞의 송신 데이터가 허용치를 넘어 체류 했다고 판단하고,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3으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O)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 비콘(BO-20)을 송신하면, 비콘으로 통신국(STAl)을 호출하면서 동작 레벨을 레벨 3으로 변경하고 싶은 취지를 통지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1)은 통지대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3으로 변경하고, 확인 응답의 ACK를 반송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의 수신 동작 레벨이 3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3으로 변경한다. 게다가 비콘(BO-20) 송신을 시작으로, 체류하고 있던 송신 데이터(Dll) 이후를 차례차례 송신하고, 통신국(STA1)는 이것을 차례차례 수신한다.
동작 레벨 3에 있어서는, 송신 측에 신규의 송신 데이터가 도착하면 즉시 송신 순서를 기동하고, 가능한 한 조기에 송신 데이터의 배송에 힘쓴다. 한편, 수신측은, 항상 수신부를 동작시켜, 언제 송신되어 오는지도 모르는 자국 앞의 데이터 수신에 대비한다.
상기의 예에 있어서는, 송신측인 통신국(STAO)이, 「STAl 앞의 송신 데이터가 허용치를 넘어 체류했다고 판단한 것」에 기인해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천시키는 것을 결정했지만, 이 외 , 「체류하고 있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 트리거로부터 송신하기 시작했다고 해서, 어느 시간 내에 송신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에 기인하는 경우나, 「동작 레벨 2의 범주에서 행한 수신국의 호출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되지 않았던 것」에로 기인하는 경우 등이 있다.
·동작 레벨 3으로부터 동작 레벨 2으로의 변천
도 20은, 동작 레벨 3으로부터 동작 레벨 2로의 변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a는,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며, 도 20b은, 통신국(STAO)에서의 송신 트리거 비콘의 생성 상태를 나타내고, 도 20c는, 통신국(STAO)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20d는 통신국(STA1)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20eㄴ는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 동작 상태이다. 또, 도 20a의 위쪽에, 통신국(STAO)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도 20e의 아래 쪽에, 통신국(STA1)에서의 수신(Rx) 동작 레벨 및 송신(Tx) 동작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는, 통신국(STA1)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변천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도 20의 초기 상태에서는, 통신국(STAO, STAl)이라도 서로에 관한 송수신 레벨은 레벨 3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고, 통신국(STAO)에 송신 데이터가 발생하면 즉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도 20에 있어서는, 이 데이터의 송수신이 빈번히는 행해지지 않고, 데이터(D18)를 송수신하고 나서 잠시 경과한 후에 데이터(D19)가 송수신 되고, 더욱이 잠시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다고 하는 상태에 빠져 있다. 그러면, 통신국(STA1)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용치를 넘어 이산적으로 밖에 행해지지 않은 것을 이유로 통신국(STAO)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 후, 통신국(STA1)은 자국의 비콘 송신 타이밍에 송신하는 비콘(Bl-21) 혹은 그 직후에 송신하는 데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STAl는 STAO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경한다」취지를 통지하고, 통지대로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경한다. 이것을 수신한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경한다.
동작 레벨 2에 이후 한 후는, 먼저 설명한 순서로 송신 트리거를 생성해, 송신 트리거를 시작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상기의 예에 대해서는, 통신국(STA1)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용치를 넘어 이산적으로 밖에 행해지지 않은 것」을 이유로 동작 레벨을 레벨 2로 변경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동작 레벨 2에서도 충분히 수신할 수 있는 양의 데이터 밖에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이유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동작 레벨을 내리는 취지를 통지하는 순서에 따랐지만, 이것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수신측의 STAl에 있어서의 허용치를 송신측의(STAO)에 있어서의 허용치보다 높게 설정해 두는 것으로 쓸데없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 대해서는, 수신측인 통신국(STA1)이 「동작 레벨을 레벨 3으로부터 레벨 2로 변경한다」취지를 결정했지만,송신측인 통신국(STAO)이 결정되고, 수신측이 이것에 추종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의 순서는, 상기에 설명한 순서와 유사하기 때문에, 내세워서 설명은 실시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각 통신국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지 않는 상태에 대해서는, 송수신 레벨은 레벨 0이 되어 있어, 전력 절약화를 하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 전체에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할 때 , 예를 들면 도 21 A, B, C에 나타내는 형태로 순서대로 전달되어 각 통신국은 인접하는 통신국에 대해서,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전달해 가고, 네트워크내의 모든 통신국에 전송하는 형태가 취해진다.
송수신 레벨 0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수신 할 때 , 각 통신국의 송신 비콘의 직후를 겨냥해 여러 차례에 걸쳐 메세지의 송신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쓸데 없는 것이 많다.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연속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트래픽이 증가하게 되는 대역의 낭비에도 연결된다.
·브로드캐스트 송수신 순서
그래서,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자국의 동작 상태를 ACT-1 all로서 모든 인접 통신국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설정한 후에, 인접 통신국에 대해서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변경하는 취지의 리퀘스트」를 송신하면서, 각 통신국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변경해 가고, 근린국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송신 동작 레벨이 1이 될 때까지, 자국의 송신 비콘 내부 혹은 비콘 송신의 직후에 송신하는 패킷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알린다. 또, 송신 비콘이나 상기의 리퀘스트 정보에는, 자국의 동작 상태를 기재한다.
구체적인 예를 도 22에 시계열로 나타낸다. 도 22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송수신 순서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것 같은 통신국의 배치에 있어서, 통신국(STAO)이 통신국(STA1)과 통신국(STA2)에 대해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22a는, 통신국(STAO)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22b는, 통신국(STA1)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며, 도 22c는, 통신국(STA2)에서의 패킷의 송수신 상태이다. 또, 도 22a의 위쪽에는, 각 통신국(STAO, STAl, STA2)의 동작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2의 시계열 각 시각의 예에 있어서의 각 통신국의 동작 상태와 근린국 리스트 상태를 도 23에 나타낸다.
도 22의 초기 상태인 시각(TO)에 있어서는, 각 통신국과도 동작 레벨 0이며, 자국의 비콘의 송신과 그 직후의 리슨윈드우(LW)에 걸치는 수신 처리 밖에 행하고 있지 않다. 이 때, 도 23에 나타냈던 대로, 각 국의 근린국 리스트의 항목은 모두 동작 레벨 0(ACT-0)이 되어 있다.
그 후, 시각(Tl)에 있어서, 통신국(STAO)에 송신해야 할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도착한다. 이것을 계기로, 통신국(STAO)은 자국의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설정하고, 근린국 리스트에 존재하는 모든 통신국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설정한다. 이 시점에서, 통신국(STAO)은 각 통신국의 비콘을 수신하는 모드로 이행한 것이 된다.
그 후, 통신국(STAO)은, 통신국(STAl)의 비콘 송신 시각(T2)에 있어서 통신국(STA1)이 송신하는 비콘을 수신하면, 통신국(STA1)에 앞서서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변경해 주었으면 한다」취지를 나타내는 페이지 정보를 송신한다. 통신국(STA1)은, 이것을 이해하고, 알림 정보로서(즉 행선지 주소를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로서) 「자국은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변경했다」취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Indication) 정보를 시각(T3)에서 송신한다. 이 시점에서, 통신국(STA1)은,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설정하고, 근린국 리스트에 존재하는 모든 통신국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설정하고, 한편 페이지 정보의 송신원인 통신국(STAO)에 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설정한다. 또, 통신국(STAl)이 송신한 상기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신한 통신국(STAO)에서는,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1에 설정한다.
그 후, 시각(T4)에 있어서, 통신국(STAO)의 비콘 송신 시각이 된다. 비콘에는, 통신국(STAO)의 동작 상태가 ACT·1 all이 되어 있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이 때, 통신국(STAO)에 있어서는, 벌써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이 레벨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국(STAl)이 수신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통신국(STA1)에서는, 이것을 수신한다. 그러나, 통신국(STAO)은 자국의 근린국 리스트에 있어서는, 등록되어 있는 통신국(STA2)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이 레벨 0이기 때문에, 통신국(STA2)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배송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다. 덧붙여 통신국(STAO)은 자국의 근린국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통신국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이 레벨 1이상이 될 때까지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그 후, 통신국(STAl 및 STAO)은 시각(T5)에서 통신국(STA2)이 송신하는 비콘을 수신하면, 통신국(STA2) 앞으로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변경해 주었으면 한다」취지를 나타내는 페이지 정보를 송신한다. 도면에서는, 우연히 통신국(STAO)이 송신했을 경우의 예가 나타나고 있다. 통신국(STA2)는 이것을 이해하고, 상기와 같은 순서로, 「자국은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변경했다」취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를 알림 정보로서 시각(T6)에서 송신한다. 이 시점에서, 통신국(STA2)은,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설정하고, 근린국 리스트에 존재하는 모든 통신국에 관한 수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설정하고, 한편 페이지 정보의 송신원인 통신국(STAO)에 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설정한다. 또, 통신국(STAl)이 송신한 상기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신한 통신국(STAO와 STAl)에서는, 통신국(STA2)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1에 설정한다.
그 후, 시각(T7)에 있어서, 통신국(STAl)의 비콘 송신이 된다. 비콘에는, 통신국(STA1)의 동작 상태가 ACT-1 all가 되어 있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이 때, 통신국(STA1)에 대해서는, 방금전 통신국(STAO)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이 시점에서,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통신국(STAl 및 STA2)에 대해서 송신된 것이 된다. 한편, 통신국(STA2)은, 통신국(STA1)의 비콘을 수신하는 것으로써, 통신국(STA1)의 동작 상태가 ACT-1 all이 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고, 통신국(STA-1)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을 레벨 1로 변경한다.
그 후, 시각(T8)에 있어서, 통신국(STAO)이 비콘을 송신하고, 이 시점에서 통신국(STAO)에서는 전체 인접국에 관한 송신 동작 레벨이 1이 되어 있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각 통신국은 서로 인접하는 통신국의 동작 상태를 ACT-1 all로 변경시켜 갈 수 있다. 변경된 동작 상태는, 일정시간에 걸쳐 수신 데이터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이유로 ACT-0으로도 되돌리는 경우도 있다.
·비콘 기재 정보
상기의 설명에서, 동작 상태를 비콘에 기재한다고 하는 설명을 실시했지만, 비콘 기재 정보에 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을 실시한다.
도 24는,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콘 기재 정보의 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콘에는, 적어도 송신국의 주소(STA-ID), 수신 가능한 비콘의 수신 시각을 나타내는 필드(NBOI), 수신 동작 레벨 1이상에서 실제로 수신을 실시하고 있는 비콘의 수신 시각을 나타내는 필드(NBAI), 그리고, 해당 통신국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Activity Status)가 존재한다.
STA-ID는, 송신국을 특정하는 주소가 기재되어 있다. 통신국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Activity Status)는, 상기에 설명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아래와 같은 동작 상태 중 어느 것인가가 표시된다.
ACT-Oall:수신 동작 레벨이 레벨 0이 되고 있는 인접국이 하나 이상 존재한다.
ACT-1all:모든 인접국의 수신 동작 레벨이 레벨 1이상으로 되어 있다.
ACT-3all:하나 이상의 인접국에 관한 동작 레벨이 3으로 되어 있다.
·동작 레벨 변경 요구 메세지
여기까지는, 통신국이 자국의 동작 레벨의 변천의 결정을, 비콘 신호에 의해서 통신 상대국에게 전하는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음에, 비콘 신호 이외의 메세지의 송신을 트리거로 하여, 동작 레벨을 변경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에 동작 레벨을 올리는 방향으로 변천시키는 경우의 순서를 나타낸다.
동작 레벨은,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0이지만, 어느 통신국의 MAC 레이어에 다른 통신국 앞의 트래픽이 도착되면, 링크의 Activity를 올리는 처리가 기동된다. 그 후, 더 많은 트래픽이 송신측의 MAC 레이어에 도착되는 것에 따라서, Active Level이 올라 간다.
도 25에서는, 노드#1을 트래픽의 송신원노드, 노드#2를 행선지 노드로 한 경우를 예를 들었다. 도시한 것처럼, 동작 레벨의 증가는 송신원에 의해 지시가 나오는 것을 트리거로서 기동한다. 송신측은, 행선지 노드에 동작 레벨을 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노드로부터의 Rx.ActiveLevel이 1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뒤, "AL*_RQ"로 이루어지는 리퀘스트 메세지를 송신하고, 행선지 노드에 동작 레벨을 올리고자 하는 취지를 전한다. 수신측에서는, 이것을 수신하면, 송신원노드에 관한 Rx.Active Level을 지시받은 레벨로 설정하고, 더욱이 Tx.Active Level이 1이상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의 뒤, "AL*_CF"가 되는 응답 메세지를 반송하고, 송신원노드에 Active Level을 올린 취지를 통지한다. 송신측에서는, 이것을 수신하면, 행선지 Node에 관한 송신 Active Level을 지시된 레벨로 설정한다.
도시한 것처럼, 모든 Active Level로의 윗방향의 변천에 관해서, 같은 순서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Active Level_0 →Active Level_1에의 변천의 트리거는, 송신 데이터의 발생이다.
그 후의, Active Level_1→Active Level_2, Active Level_2→Active Level_3에의 변천의 트리거는, 예를 들면, 송신 버퍼에 쌓인 패킷수를 감시해, 소정의 임계치를 넘은 것에 의해 기동시켜도 괜찮다.
다음에 동작 레벨을 내리는 방향으로 변천시키는 경우의 순서를 도 26을 이용해 설명한다.
동작 레벨은, 올려진 것의 트래픽의 송수신이 중단되어 버린 경우에 내리는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트래픽의 송수신이 없는 시간을 감시하는 타이머를 보관 유지해 두고 이 타이머가 만료하는 것을 트리거에 Active Level을 내린다. 이 때, Tx.Active Level을 내리는 타이머와 Rx.Active Level을 내리는 타이머를 따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Tx.Active Level을 내리는 타이머로 설정하는 시간을 Rx.ActiveLevel을 내리는 타이머보다 짧게 설정해 두는 것으로 마진을 갖게 해 「송신한 것의 수신기가 수신하고 있지 않다」라고 하는 쓸데 없는 트래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Active Level을 내리는 경우의 처리로서는, 올리는 경우와 동일하게 메세지의 교환에 의한 순서를 따르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라도, 갑자기 통신이 끊어진 링크에 대응하기 위해서, 타이머에 의해 Active Level을 내리는 기구는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신이나 수신을 실시하는 전용의 통신 장치로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시하는 퍼스널 컴퓨터 장치에, 본 예의 송신부나 수신부에 상당하는 통신 처리를 실시하는 보드나 카드 등을 장착시킨 다음, 베이스 밴드부에서의 처리를, 컴퓨터 장치 측의 연산 처리 수단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장착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내의 각 통신국에서, 예를 들면, 송수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한의 송수신 동작으로 시스템을 구성 가능하고, 한편, 변동하는 송수신 데이터량에 따라서, 송수신 동작 상태를 변천시키는 것으로, 필요 최저한의 송수신 동작으로, 극히 작은 지연시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1)

  1. 제어국과 피제어국의 관계를 가지지 않는 복수의 통신국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무선 통신 동작을 행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국은,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 비콘을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비콘 신호의 송신에 전후하는 시간대에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네트워크 내의 작동 상태에 있는 통신국이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각 통신국은, 복수의 송신 동작 레벨 또는 복수의 수신 동작 레벨을 송신 데이터의 유무 혹은 통신 상대로부터의 동작전환 요구에 따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 마다, 비콘 신호 송신 간격에 걸쳐서 수신 동작을 행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국은, 송신해야 할 정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대국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국은, 송신해야 할 정보가 발생했을 경우에, 정보를 송신해야 할 통신국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메세지의 교환을 실시하는 스텝과,
    상기 통신 상대국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서의 수신 동작을 행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비콘 신호 송신 간격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송신 트리거 시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송신 트리거 시각을 기준으로 송신 또는 수신의 순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국은, 송신 정보가 발생했을 경우에, 정보를 송신해야 할 통신국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메세지의 교환을 실시하는 스텝과,
    상기 통신 상대국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서의 수신 동작을 행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스텝과,
    송신국에 있어서 보관 유지되고 있는 송신해야 할 정보량이 증대해 왔는지 어떤지 판단하는 스텝과,
    송신국에 있어서 보관 유지되고 있는 송신해야 할 정보량이 증대해 온 경우에 비콘 신호 송신 간격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송신 트리거 시각을 생성하는 스텝을 갖추고,
    송신국에 있어서 송신해야 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 트리거 시각을 기준에 송수신 순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국은, 송신해야 할 정보량이 더 증대해 왔다고 판단된 경우에, 연속적인 수신 동작 또는 송신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에 기술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통신국의 통신 상태 정보이며,
    통신국은 상기 통신 상태 정보를 보관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보관 유지된 상기 통신 상태 정보를, 송신 데이터의 유무 혹은 수신한 통신 상태 변경 요구 정보에 의해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국은, 자국으로부터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각 통신국에 대해서, 통신 상대국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서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인 것을 알리는 스텝과,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비콘 신호 또는 비콘 신호에 계속된 패킷에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통신국의 통신 상태 정보를 리스트로서 보관 유지하고, 보관 유지된 상태를 송신된 변경 통지에 의해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자국의 수신 상태, 또는 수신 상태에 관한 상태를, 비콘 신호에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자율 분산형의 무선통신 환경하에서 구축되는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수단에서 송신하는 비콘 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비콘 신호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비콘 신호의 송신에 전후하는 시간대에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생성수단에서 생성되어 송신되는 비콘신호는,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복수의 송신 동작 레벨 또는 복수의 수신 동작 레벨을 송신 데이터의 유무 혹은 통신 상대로부터의 동작전환 요구에 따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주기 마다, 비콘 신호 송신 간격에 걸쳐서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 동작을 행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송신해야 할 정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대방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서,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송신해야 할 정보가 발생한 경우에, 정보를 송신해야 할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메세지의 교환의 제어를 행하고, 상기 상대방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서,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 동작을 행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비콘 신호 송신 간격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송신 트리거 시각을 생성하고, 상기 송신 트리거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통신수단에서의 송신 또는 수신의 순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송신 정보가 발생했을 경우에, 정보를 송신해야 할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메세지의 교환의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상대방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서,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 동작을 행하고, 보관 유지되고 있는 송신해야 할 정보량이 증대해 왔는지 어떤지 판단하고, 송신해야 할 정보량이 증대해 온 경우에 비콘 신호 송신 간격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송신 트리거 시각을 생성하여, 그 송신 트리거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통신 수단에서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송신해야 할 정보량이 더 증대해 왔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통신수단에서 연속적인 수신 동작 또는 송신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에 기술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의 통신 상태 정보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비콘 신호에 기재된 상기 통신 상태 정보를 보관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보관 유지된 상기 통신 상태 정보를, 송신 데이터의 유무 혹은 수신한 통신 상태 변경 요구 정보에 의해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제 16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에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당해 통신장치와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각 통신국에 대해서, 상대방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 및 그 주변 시간대에서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인 것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비콘 신호 또는 비콘 신호에 계속된 패킷에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통신국의 통신 상태 정보를 리스트로서 보관 유지하고, 보관 유지된 상태를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한 변경 통지에 의해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국의 수신 상태, 또는 수신 상태에 관한 상태를, 상기 비콘 생성수단에서 생성되는 비콘 신호에 부가하여 상기 통신수단에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1. 복수의 통신국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내에서, 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검출에 의해, 타국과 패킷의 통신 타이밍이 충돌하지 않는 억세스 제어를 행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컴퓨터 가독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비콘 신호의 송신에 전후하는 시간대에 수신 동작을 실시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57013645A 2003-02-03 2004-02-03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127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6462 2003-02-03
JP2003026462 2003-02-03
PCT/JP2004/001027 WO2004071020A1 (ja) 2003-02-03 2004-02-03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868A true KR20050095868A (ko) 2005-10-04
KR101127174B1 KR101127174B1 (ko) 2012-03-22

Family

ID=3284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645A KR101127174B1 (ko) 2003-02-03 2004-02-03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9) US7302227B2 (ko)
EP (3) EP1592176B1 (ko)
JP (2) JP4670638B2 (ko)
KR (1) KR101127174B1 (ko)
CN (2) CN101668345B (ko)
WO (1) WO2004071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0163B2 (en) 2002-08-08 2012-05-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enhanced coding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6961595B2 (en)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US7363039B2 (en) 2002-08-08 2008-04-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creating and utilizing diversity in multipl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EP1592176B1 (en) 2003-02-03 2017-04-1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IL164264A0 (en) 2003-02-03 2005-12-18 Sony Kabushiki Kaisha Wirele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694469B2 (ja) 2003-02-19 2011-06-0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ユーザ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拡張された符号化の方法および装置
GB2400905A (en) * 2003-04-24 2004-10-27 Memco Ltd Edge device for a powered door with infra-red and visible elements
KR20060007009A (ko) 2003-05-07 2006-01-2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과컴퓨터·프로그램
WO2004102887A1 (ja) * 2003-05-16 2004-11-25 Sony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90883B2 (en) * 2003-05-16 2011-08-0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593932B2 (en) 2003-05-1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 transmiss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shared transmission resource
US7925291B2 (en) 2003-08-13 2011-04-12 Qualcomm Incorporated User specific downlink power control channel Q-bit
JP2005101756A (ja) 2003-09-22 2005-04-14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22503B2 (ja) * 2003-12-24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406105B2 (en) * 2004-03-03 2008-07-29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common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multiple systems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S7684381B2 (en) * 2004-05-04 2010-03-23 Qualcomm Incorporated Offset beacon for distributed management and control of wireless networks
US8099094B2 (en) * 2004-07-12 2012-01-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Neighbor scann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1076971B (zh) * 2004-08-12 2015-11-25 美商内数位科技公司 用于控制接入到无线通信媒介的方法及系统
JP4310253B2 (ja) * 2004-09-21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735145B2 (ja) 2004-10-1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29636B2 (ja) * 2004-10-25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4734928B2 (ja) * 2005-01-11 2011-07-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タイミング制御装置、通信タイミング制御方法、ノード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6279253A (ja) * 2005-03-28 2006-10-12 Fujitsu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701824B2 (ja) * 2005-05-11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590403B1 (en) * 2005-06-07 2009-09-15 Good Technology, Inc. Wireless device dormancy override
US20060285528A1 (en) * 2005-06-21 2006-12-21 Xia Gao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beacon generation of wireless networks in ad hoc mode
US8811369B2 (en) 2006-01-11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s modes of operation
EP2315467B1 (en) * 2006-01-11 2015-04-0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modes of operation
US7920543B2 (en) * 2006-01-18 2011-04-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broadband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message diffusion architecture
TWI309532B (en) * 2006-05-29 2009-05-01 Inst Information Industry Adaptive powe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networks
CN101491143B (zh) * 2006-07-14 2011-04-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信标发射和接收的方法和系统
US7885616B2 (en) * 2006-08-16 2011-0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necessary radio transmission events with unrelated opportunistic events to optimize battery life and network resources
CA2674429C (en) * 2007-01-11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Using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349439B2 (ja) * 2007-06-07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7898983B2 (en) * 2007-07-05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traffic signaling in peer to peer communications
US8385316B2 (en) 2007-07-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communications timing structure
US8385317B2 (en) * 2007-07-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timing synchronizati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s peers
US8599823B2 (en) * 2007-07-0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ynchronization with respect to a peer to peer timing structure
US8601156B2 (en) * 2007-07-0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discovery and/or paging in peer to peer wireless communications
TWI478556B (zh) 2007-12-10 2015-03-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擁塞控制
US8050270B2 (en) * 2008-04-28 2011-11-01 Futurewei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bypass and associated mechanisms
US8595501B2 (en) 2008-05-09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helper for authentication between a token and verifiers
US8670573B2 (en) * 2008-07-07 2014-03-11 Robert Bosch Gmbh Low latency ultra wideband communications headse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281180B1 (ko) * 2008-08-18 2013-07-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QoS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879466B2 (en) * 2009-05-18 2014-11-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 node for using asynchronous MAC
KR20120009772A (ko) * 2010-07-21 2012-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M2m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완화를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디바이스
JP5636861B2 (ja) * 2010-10-14 2014-12-1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996732B2 (ja) * 2010-11-05 2012-08-08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探索方法
US8593953B2 (en) * 2010-12-23 2013-11-26 White Squirrel Wireles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a multihop wireless network
US8626060B2 (en) * 2011-04-14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signals for repeater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5915964B2 (ja) * 2011-09-14 2016-05-1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CN103369550B (zh) * 2012-03-26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目标站点、查询站点、通讯系统以及通讯方法
FR2996393A1 (fr) * 2012-09-28 2014-04-04 France Telecom Procede et dispositif de regulation d'emission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US9814037B2 (en) * 2013-06-28 2017-11-0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and beamforming in FDD system by exploiting uplink-downlink correspondence
US20170052807A1 (en) * 2014-02-20 2017-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ploying and managing software containers
CN103973592B (zh) 2014-05-16 201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元处理方法及装置
US9655054B2 (en) * 2014-09-19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ng blind reception duration for range and congestion
US9980224B2 (en) 2015-04-03 2018-05-22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inactivity timeout using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US10411867B2 (en) * 2015-04-30 2019-09-10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6259423B2 (ja) * 2015-07-01 2018-01-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EP4171111A1 (en) 2015-07-07 2023-04-26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8006222A1 (en) * 2016-07-04 2018-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transmission of access information
US10750400B2 (en) * 2016-09-30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a data packet received over control plane in congestion scenario
US10873918B2 (en) * 2018-01-25 2020-12-22 Yazaki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establishing efficient communication, and capable of suppressing a delay in the communication
US11977173B2 (en) 2019-11-27 2024-05-07 Rockwell Collins, Inc. Spoofing and denial of service detection and protection with doppler nulling (spatial awareness)
US11737121B2 (en) 2021-08-20 2023-08-22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to compile and distribute spatial awareness information for network
US11665658B1 (en) 2021-04-16 2023-05-30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doppler corrections for time synchronized transmitter and receiver
US11304084B1 (en) 2020-10-23 2022-04-12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con-based passive cluster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MANET)
US11726162B2 (en) 2021-04-16 2023-08-15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ighbor direction and relative velocity determination via doppler nulling techniques
US11700146B2 (en) * 2020-08-26 2023-07-1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EMI reduction in PLCA-based networks through beacon temporal spreading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0622B2 (ja) 1994-09-22 1997-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Tdma方式の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下り制御信号の送信制御方法
US6130602A (en) * 1996-05-13 2000-10-10 Micron Technology, Inc. Radio frequency data communications device
US5940399A (en) * 1996-06-20 1999-08-17 Mrv Communications, Inc. Methods of collision control in CSMA local area network
US5870673A (en) 1996-08-30 1999-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current receipt of incoming calls from a wide area cellular network and a privat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6198728B1 (en) * 1996-12-19 2001-03-06 Phil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wireless ATM
GB9721008D0 (en) * 1997-10-03 1997-12-03 Hewlett Packard Co Power management method forus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US6282407B1 (en) * 1998-04-16 2001-08-28 Motorola, Inc. Active electrostatic transceiver and communicating system
JP2000165930A (ja) 1998-11-30 2000-06-16 Clarion Co Ltd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412687B2 (ja) * 1999-06-15 2003-06-03 日本電気株式会社 Lan間接続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lanシステム
US6751455B1 (en) * 1999-09-17 2004-06-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wer- and bandwidth-adaptive in-hom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power-grid-powered agents and battery-powered clients
JP4374725B2 (ja) * 1999-09-22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局
US6615033B1 (en) * 2000-01-11 2003-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nchronized-timed-reminded communications for family radios
GB0022632D0 (en) 2000-09-15 2000-11-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nd signalling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US6799030B2 (en) * 2000-10-11 2004-09-28 Novatel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operation of an RF wireless modem
US6888795B2 (en) * 2000-12-30 2005-05-03 Durham Logistics Llc Resource allocation in a circuit switched network
JP2002300175A (ja) * 2001-04-03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3700839B2 (ja) * 2001-08-30 2005-09-2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248570B2 (en) * 2001-09-17 2007-07-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bandwidth usage of a communication channel by wireless network nodes
US7280517B2 (en) * 2001-11-02 2007-10-09 At&T Corp. Wireless LANs and neighborhood capture
GB2382746B (en) * 2001-11-20 2005-12-14 Ericsson Telefon Ab L M 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channels
KR100547793B1 (ko) * 2001-12-29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US6980541B2 (en) * 2002-01-03 2005-12-2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dia access controller having pseudo-static guaranteed time slots
US20030128659A1 (en) * 2002-01-09 2003-07-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existence of OFDM and DSSS/CCK stations in a WLAN
US6798761B2 (en) * 2002-01-10 2004-09-28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and handling SP slot connection colli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885597B2 (ja) * 2002-02-05 2007-02-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789374B2 (ja) * 2002-03-22 2006-06-2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電話システム
US7133398B2 (en) * 2002-03-27 2006-11-07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asynchronous communications employing direct and indirect access protocols
JP3799285B2 (ja) * 2002-03-29 2006-07-1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7151945B2 (en) * 2002-03-29 2006-12-19 Cisco Systems Wireless Networking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7564810B2 (en) * 2002-05-08 2009-07-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module in a wireless computing device
US7564812B1 (en) * 2002-06-06 2009-07-21 Bbn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times/channels of broadcast beacons
US7689196B2 (en) * 2002-06-26 2010-03-30 Qualcomm Incorporated Timer-based sleep for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366200B2 (en) * 2002-08-26 2008-04-29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signaling in a wireless system
US7215681B2 (en) * 2002-09-11 2007-05-0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Adaptive channel access for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based systems
US7280801B2 (en) * 2002-12-02 2007-10-09 Agere Systems Inc.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sharing a common wireless transmission medium
JP3849647B2 (ja) * 2003-01-23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340615B2 (en) * 2003-01-31 2008-03-0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network interface modules
IL164264A0 (en) * 2003-02-03 2005-12-18 Sony Kabushiki Kaisha Wirele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1592176B1 (en) * 2003-02-03 2017-04-1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6980810B1 (en) * 2003-05-12 2005-12-27 At&T Corp. Point coordinated spread-spectrum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092353B2 (en) * 2003-10-17 2006-08-15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arch methods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2176A1 (en) 2005-11-02
US8837448B2 (en) 2014-09-16
CN1757201A (zh) 2006-04-05
EP1592176B1 (en) 2017-04-12
CN101668345B (zh) 2013-07-31
US7844223B2 (en) 2010-11-30
US11323999B2 (en) 2022-05-03
US20110026508A1 (en) 2011-02-03
EP2897424B1 (en) 2018-12-05
WO2004071020A1 (ja) 2004-08-19
US20140079034A1 (en) 2014-03-20
EP3203800B1 (en) 2021-03-31
US10028271B2 (en) 2018-07-17
EP2897424A1 (en) 2015-07-22
KR101127174B1 (ko) 2012-03-22
US20120170562A1 (en) 2012-07-05
JP2010154542A (ja) 2010-07-08
EP1592176A4 (en) 2011-03-02
US8099049B2 (en) 2012-01-17
US20070184780A1 (en) 2007-08-09
CN100555964C (zh) 2009-10-28
US8670713B2 (en) 2014-03-11
US20150016391A1 (en) 2015-01-15
US20140112314A1 (en) 2014-04-24
US20060234740A1 (en) 2006-10-19
US8761072B2 (en) 2014-06-24
US9655115B2 (en) 2017-05-16
JP4670638B2 (ja) 2011-04-13
JP4962576B2 (ja) 2012-06-27
CN101668345A (zh) 2010-03-10
EP3203800A1 (en) 2017-08-09
US7302227B2 (en) 2007-11-27
US20180317226A1 (en) 2018-11-01
JPWO2004071020A1 (ja) 2006-06-01
US20160270074A1 (en)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174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380933B1 (ko)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과 컴퓨터프로그램
US92950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rrowband channel selection
US756754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05041487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350368A2 (en) Wireless system containing a first network and a second network
JP200712977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GB2455792A (en) Allocating resources in networks using directional antennas
JP433334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