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775A -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95775A KR20050095775A KR1020057013347A KR20057013347A KR20050095775A KR 20050095775 A KR20050095775 A KR 20050095775A KR 1020057013347 A KR1020057013347 A KR 1020057013347A KR 20057013347 A KR20057013347 A KR 20057013347A KR 20050095775 A KR20050095775 A KR 200500957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mobile devices
- camera
- rotation
- axi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9—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휴대 장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에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이 설치된 제 1 면과 그 반대측의 제 2 면을 갖는 제 1 케이스와, 제 1 케이스의 제 2 면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는 제 2 케이스와, 제 1 케이스의 제 1 면에 직교하는 회전축에 관하여 제 2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제 1 케이스에 지지하는 회전축부와, 카메라부와 표시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카메라부는 광축을 갖고, 광축과 평행한 촬상 방향의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다. 회전축부는 광축이 회전축과 평행하고 또한 촬상 방향이 제 1 케이스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으로의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카메라부를 수납한다. 조작부는 회전축부의 회전축의 촬상 방향의 반대측에 대응하는 제 1 케이스의 제 1 면의 부분에 설치된다. 이 휴대 장치는 카메라부가 광축 방향으로 길어도 수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 등의 카메라가 부속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 카메라나 CMOS 카메라를 탑재한 노트북이나 휴대 전화 장치 등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가 몇백만 화소의 고해상도를 갖는 것에 반해,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에 부속되는 카메라는 몇십만 화소 정도의 해상도를 갖는 것에 불과하다. 도 19에 도시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케이스(2020)의 하나의 평면(2020A)에 표시 수단(2210)과 조작 수단(2217)이 배치되고, 표시 수단(2210)의 반대측의 케이스(2020)의 평면(2020B)에 카메라부(2024)가 설치된다. 케이스(2020)를 두껍게 함으로써,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카메라를 수납할 수 있다.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는 소형 경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케이스가 얇고, 광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고해상도의 카메라 부분이 케이스내에 수납되지 않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69166 호 공보는, 광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휴대 단말을 개시하고 있다. 이 휴대 단말은 본체부와, 본체부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플립부를 구비하고, 플립부의 개폐하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촬영용 렌즈를 수납하고 있다. 이 회전축은 본체부 혹은 플립부의 평면 부분에 통상 설치된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화면과 평행하고, 표시 화면을 보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없다. 표시 화면을 보면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때문에, 이 휴대 단말에서 플립부는 회전축과 직각 방향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지만, 촬영시에 플립부를 카메라의 광축과 직교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한다.
발명의 요약
휴대 장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에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이 설치된 제 1 면과 그 반대측의 제 2 면을 갖는 제 1 케이스와, 제 1 케이스의 제 2 면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는 제 2 케이스와, 제 1 케이스의 제 1 면에 직교하는 회전축에 관해서 제 2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제 1 케이스에 지지하는 회전축부와, 카메라부와 표시 수단 중의 적어도 한쪽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카메라부는 광축을 갖고, 광축에 평행한 촬상 방향의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다. 회전축부는 광축이 회전축과 평행하고, 또한 촬상 방향이 제 1 케이스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으로의 방향과 동일하도록 카메라부를 수납한다. 조작부는 회전축부의 회전축의 촬상 방향의 반대측에 대응하는 제 1 케이스의 제 1 면의 부분에 설치된다.
이 휴대 장치는 카메라부가 광축 방향으로 길어도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2a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단면도,
도 2b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중인 카메라 장착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중인 카메라 장착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중인 카메라 장착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단말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9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13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외관도,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블록도,
도 18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사용중인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의 개념도,
도 19는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인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00)의 외관도이다. 휴대 전화 장치(100)는 모두 대략 직방체의 제 1 케이스(22)와 제 2 케이스(23)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1)를 구비하고, 도 1에서는 제 1 케이스(22)와 제 2 케이스(23)가 중첩되어 있다. 제 1 케이스(22)의 평면(22A)상에는, 표시 수단(210)과 제 1 조작부(217)와 수화기로서 기능하는 스피커(224)를 설치하고 있다. 제 1 케이스(22)에는 회전축(229A)이 평면(22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 2 케이스(23)는 회전축(229A)에 관하여 회전축부(229)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카메라부(24)가 회전축(229)을 따라, 표시 수단(210)과 반대측에 수납되어 있다. 카메라부(24)의 광축(24A)은 회전축(229A)과 평행하고, 카메라부는 광축(24A)에 따른 촬상 방향(24B)의 피사체(133)를 촬상할 수 있다. 제 1 조작부(217)는 회전축(229)뿐만 아니라 카메라부(24)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조작부(217)는 상하 좌우로 4개의 버튼(217A∼217D)과 중앙에 한개의 버튼(217E)을 설치한 5개의 스위치를 갖고, 예컨대 상하의 버튼(217D, 217C)에 의해 카메라부(24)에서 촬상하여 표시 수단(210)인 화면의 확대 축소의 줌 동작이 실행되고, 좌우의 버튼(217A, 217D)으로 화면의 명암을 조정할 수 있으며, 중앙의 버튼(217E)은 카메라부(24)의 셔터 버튼으로서 촬영 조작이 실행된다. 휴대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는, 도 1과 같이 제 1 케이스(22)와 제 2 케이스(23)를 중첩한 상태에서, 도 19에 도시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2001)와 같이, 표시 수단(210)에 모니터 화상을 표시하여, 제 1 조작부(217)의 셔터 버튼(217E)을 눌러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23)는 회전 가능 방향(100A)에 대략 평행한 방향의 폭(22F)이 제 1 케이스(22)와 동일한 방향의 폭(22G)(도 5 참조)보다 작고, 또한 측면(23A)과 그 반대 측면에 홈 부분(4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2a는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제 1 케이스(22)에 스피커(224)와 표시 수단(210)과 제 1 조작부(217)와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 제 1 기억 수단(251)을 장착하고 있는 제 1 프린트 기판(151)을 수납하고 있다. 제 1 케이스(22)의 표면(22A)에는 스피커(224), 표시 수단(210), 제 1 조작부(217)의 각각을 위한 창(22B∼22D)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창을 통해 음을 출력하며, 모니터 표시를 나타내고, 외부로부터 버튼 조작을 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22)의 평면(22A)의 반대 평면(22E)으로부터는, 평면(22E) 부분과 직각으로 회전축부(229)가 돌출되어 있다. 회전축부(229)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접속부(150)가 끼워져 고정되고, 슬라이드 접속부(150)내에 카메라부(24)가 수납되어 있다. 슬라이드 접속부(150)와 카메라부(24)는 제 1 프린트 기판(151)에 고정되어 접속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3)는 회전축부(229)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회전축부(229)의 기초부에는 회전축부(229)보다 반경이 큰 대좌부(228)가 설치되고, 대좌부(228)는 제 2 케이스(23)가 회전축(229A)에 따른 방향으로 제 1 케이스(22)에 가까이 가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사이에는, 간극(21)이 유지되고, 간극(21)에 의해 제 1 케이스(22)가 회전해도, 제 2 케이스(23)뿐만 아니라, 제 1 케이스에 대향하는 제 2 케이스(23)의 면(23A)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조작부(17)와도 접촉하지 않는다.
제 2 케이스(23)는 제 2 프린트 기판(152)을 수납하고 있다. 제 2 프린트 기판(152)에는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는 숫자-키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조작부(17)와, 송화기로서 기능하는 마이크로폰(221), 무선부(19), 전체 제어부(18), 제 2 기억 수단(25), 회전 검출 수단(26)을 장착하고 있다. 제 2 프린트 기판(152)은 슬라이드 접속부(150)의 플랜지 형상의 접촉부(153)에 접촉하여 미끄럼운동한다. 이로써, 제 2 케이스(23)가 제 1 케이스(22)에 대하여 회전해도, 제 2 프린트 기판(152)은 항상 제 1 프린트 기판(151)과 접속되어 있다.
도 2b는 접촉부(153)의 주변 확대도이다. 접촉부(153)의 상면에는, 볼(154)을 수용하여 이 볼(154)을 위치 결정하는 오목부(153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3)로부터 스프링(250)의 힘으로 볼(154)이 가압되어서,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볼(154)이 오목부(153A)에 끼워짐으로써 제 1 케이스(22)와 제 2 케이스(23)가 소정의 회전 각도로 위치 결정되어서 고정된다. 스프링(250)의 힘에 저항하여 접촉부(153)는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제 1 케이스(22)와 제 2 케이스(23)는 각각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2)에는 스피커(224)와 표시 수단(210)과 제 1 조작부(217)와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 제 1 기억 수단(251)과 카메라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전체 제어부(18)에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이 접속되어 있다. 휴대 전화 장치(100)는 제 2 케이스(23)의 전체 제어 수단(18)이 제어한다. 제 1 케이스(22)는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과 카메라부(24)와 표시 수단(210)과 제 1 기억 수단(251)으로 카메라 모듈을 형성하여,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이 주로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 1 케이스(22)는 1개의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에는 카메라부(24)와 제 1 기억 수단(251)과 표시 수단(210)이 접속되고, 제 1 조작부(217)는 전체 제어 수단(18)에 접속되어 있다. 휴대 전화장치(100)의 사용자가 제 1 조작부(217)로부터 카메라 모드를 개시하는 신호를 입력하면, 전체 제어부(18)는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에 카메라 모드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를 보낸다.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은 전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카메라부(24)에 전원을 투입하고, 카메라부(24)에서 찍은 화상 정보를 처리하고, 표시 수단(21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 1 조작부(217)의 셔터 버튼(217E)을 누르면, 카메라부(24)에서 찍은 화상이 제 1 기억 수단(251)에 기억되고, 기억된 화상이 표시 수단(210)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제 1 조작부(217)로부터 카메라 모드를 종료하는 신호를 입력하면, 화상 처리 제어 수단(241)은 카메라부(24)의 전원을 끄고, 전체 제어 수단(18)은 카메라 모드를 종료한다.
제 2 케이스(23)에는 전체 제어 수단(18), 수신부(191)와 송신부(192)와 무선 제어 수단(190)으로 이루어지는 무선부(19)와, 제 2 조작부(17)와, 제 2 기억 수단(25)과, 회전 검출 수단(26)과, 음성 처리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3)는 무선부(19)와 전체 제어부(18)에 의해, 주로 무선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무선 제어 수단(190)은 송신부(192)와 수신부(191)에 접속되고, 전체 제어부(18)의 제어하에서, 송신부(192)와 수신부(191)와 안테나(193)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거쳐서 다른 전화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고, 음성 처리부(220)에 의해,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224)에 출력하고, 마이크로폰(221)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2)와 제 2 케이스(23)를 중첩한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제 1 조작부(217)의 부근을 잡고, 왼손으로 표시 수단(210)의 좌측을 잡고, 표시 수단(210)의 화면을 보면서, 상하 버튼(217B, 217C)에 의해 화면의 줌 조작을 수행하고, 좌우 버튼(217A, 217D)으로 화면의 명암을 조정하며, 중앙의 셔터 버튼(217E)을 눌러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2)에 대하여 제 2 케이스(23)를 90도 방향(100B)으로 회전시키면, 사용자는 제 2 케이스(23)를 오른손으로 잡고,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제 1 조작부(217)를 조작하며, 표시 수단(210)의 화면을 가로로 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양손으로 휴대 전화 장치(100)를 잡지 않으면 안되지만,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휴대 전화 장치(100)를 한손으로 잡고 한손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 1 케이스(22)에 숨겨져있던 제 2 케이스(23)의 제 2 조작부(17)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조작부(17)로부터 상세한 촬영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 수단(210)의 화면을 확인하면서, 촬영하는 사진의 타이틀 등의 텍스트를 제 2 조작부(17)로부터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케이스(22)를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와 반대측의 방향(100C)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케이스(23)를 왼손으로 잡고,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제 1 조작부(217)를 조작하여, 화면을 가로로 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로써, 왼쪽 손만으로도 조작할 수 있다. 단,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1 케이스(22)가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와 상하가 반대로 된다. 회전 검출 수단(26)은 제 1 케이스(22)의 회전 각도, 즉 제 1 케이스(22)와 제 2 케이스(23)의 상대 위치를 검출한다. 전체 제어 수단(18)은 회전 검출부(26)에서 검출된 제 1 케이스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표시 수단(210)에 표시하는 아이콘(70)의 상하를 바꾸고, 제 1 조작부(217)의 4개의 버튼(217A∼217D)에 할당된 기능을 변경한다. 예컨대 위에 위치하는 버튼이 확대 줌, 아래에 위치하는 버튼이 축소 줌이라는 기능을 유지하여, 버튼(217A∼217D)의 사용 방법을 변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케이스(22)를 위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고, 제 2 케이스(23)를 오른손으로 잡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제 1 조작부(217)를 조작하여, 화면을 세로로 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회전 검출 수단(26)에 검출된 제 1 케이스(22)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전체 제어 수단(18)은 표시 수단(210)에 표시하는 아이콘(70)의 상하를 변경하고, 제 1 조작부(217)의 4개의 버튼(217A∼217D)에 할당된 기능을 변경한다. 예컨대 위에 위치하는 버튼이 확대 줌, 아래에 위치하는 버튼이 축소 줌으로 되도록 하여 사용 방법을 변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스(22)를 회전시킴으로써, 표시 수단(210) 화면을 종횡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아이콘 등의 상하와 제 2 케이스(23)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상하가 합치하도록 변경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스(22)를 회전시켜도, 제 2 케이스(23)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상의 상하와 조작부(217, 17)의 상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2)를 제 2 케이스(23)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2 조작부(17)로부터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100)를 휴대 전화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인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200)의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00)에서 회전축부(229)는 제 1 케이스(22)에 설치되지만, 도 7의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200)에서 회전축부(229A)는 제 2 케이스(23)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부(229A)에 슬라이드 접속부(155)가 끼워지고, 슬라이드 접속부(155)는 카메라부(24)를 수납하고 있다. 제 1 조작부(217)는 회전축(229)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 의한 휴대 장치(100)와 동일하게, 슬라이드 접속부(155)는 제 1 프린트 기판(151)에 접하는 플랜지 형상의 접촉부(153)를 통해 제 1 케이스(22)의 제 1 프린트 기판(15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2a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볼이 접촉부(153)에 설치한 오목부에서 위치 결정함으로써 제 1 케이스(22)는 제 2 케이스(23)에 대하여 위치 결정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2에 의한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200)에서는, 표시 수단(210)을 갖는 제 1 케이스(22)가 제 2 케이스(23)에 대하여 회전해도, 카메라부(24)와 제 1 조작부(217)가 제 2 케이스(23)의 회전축부(229)와 일체로 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부(24)가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제 1 조작부(217)의 버튼(217A∼217D) 키에 할당된 기능을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2에서는 카메라부(24)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지 않지만, 회전축부(229)는 카메라부(24)로서 줌 기구를 갖는 카메라 유닛을 탑재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인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외관도이다. 휴대 전화 장치(1100)는 대략 직방체인 제 1 케이스(1022)와, 대략 직방체인 제 2 케이스(1023)와, 제 1 케이스(1022)와 제 2 케이스(1023)를 연결하는 힌지부(1020)를 구비한다. 힌지부(1020)에 의해 제 1 케이스(1022)를 제 2 케이스(1023)에 대하여 회전축(1100A)에 관하여 방향(1100B)으로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제 1 케이스(1022)를 제 2 케이스(1023)에 대하여 회전축(1100C)에 관하여 방향(1100D)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힌지부(1020)의 원통형의 원통 부분(1220A)의 중심축(회전축)(1100C)은 제 1 케이스(1022)의 평면 부분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원통 부분(1220A)에 중심축(1100C)과 직각으로 한쌍의 지지축(1021)이 원통 부분(1220A)으로부터 밖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023)는 한쌍의 지지축(1021)을 내장한다. 이 구조에 의해, 제 2 케이스(1023)는 힌지부(1020)의 원통 부분(1220A)의 중심축(1100D)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지지축(1021)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개폐한다.
제 1 케이스(1022)의 폭방향(1100E)의 치수는 제 2 케이스(1023)의 폭방향(1100E)의 치수보다 작다. 이로써,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사용자는 제 1 케이스(1022)를 손으로 잡고 제 2 케이스(1023)를 개방할 때에, 손가락을 제 2 케이스(1023)에 용이하게 걸 수 있다. 제 1 케이스(1022)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오목 부분(1040)에 의해, 사용자는 손가락을 제 2 케이스에 더욱 용이하게 걸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선 10-10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제 1 케이스(1022)는 프린트 기판(1015)을 수납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1015)에는 전체 제어부(1018), 무선부(1019), 기억 수단(1025), 마이크로폰(221), 링거(ringer)(222), 숫자-키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키 조작부(1017)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022)의 평면(1022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원통형의 힌지부(10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부(1020)의 원통 부분(1020A)내에는, 카메라부(1024)의 그 광축(1024A)이 힌지부(1020)의 회전축(1100C)과 평행하게 되도록 힌지부(1020)와 일체로 카메라부(1024)가 내장되어 있다. 즉, 힌지부(1020)가 회전하면, 그것에 따라서 카메라부(1024)도 회전한다. 힌지부(1020)의 카메라부(1024)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측에는, 4방향 키와 결정 키 등의 복수의 키로 이루어지는 제 2 키 조작부(1217)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부(1020)는 제 2 케이스(1023)로 덮여서 고정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023)는 제 2 프린트 기판(1151)을 수납한다. 제 2 프린트 기판(1151)에는 표시 수단(1210)과 스피커(1224)와 제 2 키 조작부의 일부인 표시 전환 스위치(1028)가 장착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015)과 제 2 프린트 기판(1151)과 카메라부(1024)와 제 2 키 조작부(1217)는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기판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힌지부(1020)에는 단차부(1020B)가 설치되고, 제 1 케이스(1022)와 제 2 케이스(1023) 사이에 간극(1100F)을 형성하고 있다. 간극(1100F)에 의해, 제 2 케이스(1023)가 회전해도, 제 1 케이스(1022) 및 제 1 케이스(1022)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과 스치지 않는다.
실시 형태 3에서는, 힌지부(1020)는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제 2 케이스(101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부(1020)는 카메라부(1024)를 수납하고 있는 부분(1020C)을 제 1 케이스(1022)와 일체로 하고, 힌지부(1020)의 지지축(1021)이 있는 부분(1020D)을 제 2 케이스(1023)와 일체로 회전하는 광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0은 제 2 케이스(1023)를 화살표(1100G)의 방향으로 개방했을 때의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외관도이다. 도 9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022)에는 평면(1022B)에 전화 번호 등을 키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패드 등의 키 조작부(1017), 송화기로서 기능하는 마이크로폰(1221), 착신시에 착신음을 출력하는 링거(1222)가 설치되고, 제 1 케이스(1022)의 측면(1022C)에는 키 조작부(1017)의 일부인 카메라 촬영용 스위치(1027)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023)에는 표시 수단(1210), 수화기로서 기능하는 스피커(1224), 표시 수단(1210)의 표시의 방향이나 제 2 키 조작부(1217) 복수의 키의 기능의 할당을 변경하기 위한 표시 전환 스위치(1028)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023)는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닫힌 상태로부터 화살표(1100G)의 방향으로 개방해가면, 120도 정도의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하도록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제 2 케이스(1023)를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직립시켰을 때의 휴대 전화 장치(1100)의 단면도이다. 제 2 케이스(1023)의 지지축(1021)을 내장하는 외주에 오목부(1072)가 설치되고, 오목부(1072)에 제 1 케이스(1022)로부터 스프링(1080)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위치 결정 부재(1071)가 삽입된다. 즉, 오목부(1072)와 스프링(1080)과 위치 결정 부재(1071)는 제 2 케이스(1023)를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제 2 케이스(1023)가 소정의 각도, 예컨대 120도로 위치 결정되면,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사용자가 통화할 때에, 스피커(1224)를 귀에 대면, 마이크로폰(1221)이 입가에 가까워져 통화하기 용이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가방 속이나 포켓 속에서 제 2 케이스(1023)가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키 조작부(1017)가 노출되지 않고,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오동작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화살표(1100G)의 개폐와, 방향(1100D)의 회전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도 11과 같이 제 2 케이스(1023)는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직립했을 때에도 화살표(1100G)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023)가 제 1 케이스(1022)[힌지부(1020)]에 대한 회전을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술한 개폐 스토퍼를 구성하는 오목부(1072)와 스프링(1080)에 의해 가압한 위치 결정 스토퍼(1071)와 마찬가지로, 힌지부(1020)의 외주에 설치된 오목부와, 그 오목부에 삽입되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위치 결정 스토퍼에 의해 힌지부(1020)의 방향(1100D)의 회전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제 2 케이스(1023)를 상기 소정의 각도로부터 화살표(1100H)의 방향으로 더 개방한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외관도이다. 제 2 케이스(1023)는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거의 180도로 개방되어 있다. 사용자는, 메일 문장 등을 키 조작부(1017)로부터 입력할 때에는, 이와 같이 제 2 케이스(1023)가 제 1 케이스(1022)에 대하여 180도로 개방됨으로써 표시 수단(210)을 보기 쉽고 사용하기 용이하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화살표(1100I)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023)를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한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외관도이다. 힌지부(1020)가 제 2 케이스(1023)과 함께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면, 카메라부(1024)는 힌지부(1020)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부(1024)도 동시에 회전한다. 피사체가 자세를 변경하지 않으면, 카메라부(1024)와 표시 수단(1210)이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해도 표시 수단(1210)이 표시하는 화상의 상하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줌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1210A)이나, 전지 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안테나의 전계 강도를 나타내는 아이콘(1210B) 등, 표시 수단(1210)에 표시하는 도형의 상하는,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회전 검출 수단(26)과 마찬가지로, 개폐/회전 상태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상태에 의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023)를 케이스(1022)에 대하여 옆으로 했을 때에는, 제 2 케이스(1023)의 상태에 맞도록 아이콘의 상하는 전환되고, 제 2 키 조작부(1217)의 복수의 키(1217A)에 할당된 기능도 전환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수단(1210)에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보면서 카메라부(1024)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제 2 케이스(1023)를 오른쪽으로 90도 더 회전시켰을 때의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외관도이다. 제 2 케이스(1023)가 카메라부(1024)와 함께 회전했다고 해도, 카메라부(1024)와 표시 수단(1210)이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하고 있는 중간에도 표시하고 있는 화상의 상하는 변하지 않는다. 도 14에서는,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카메라부(1024)와 표시 수단(1210)이 반대 방향이고, 휴대 전화 장치(1100)는 제 1 케이스(1022) 위에 제 2 케이스(1023)를 중첩하여 소형화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100)는 표시 전환 스위치(1028)를 이용하여 표시 방향과 제 2 키 조작부(1217)의 키(1217A)에 할당된 기능을 변경하여 보통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1100)를 옮겨 쥐면, 사용자는 제 1 케이스(1022)가 제 2 케이스(1023)로 덮여 있지 않은 표면에 설치된 스위치(1291)와 스위치(1292)를 조작할 수 있다. 스위치(1291)나 스위치(1292)를 플래쉬 촬영용 버튼으로 하거나, 셀프 타이머 버튼으로 하면, 휴대 전화 장치(1100)는 보다 다양한 촬영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291)를 통화 개시 버튼으로 하면 착신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답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의 상태로부터 제 2 케이스(1023)를 화살표(1100K)와 같이 회전시켰을 때의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외관도이다. 도 16에서는, 카메라부(1024)와 표시 수단(1201)은 동일한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100)를 손에 들고 있는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얼굴을 보고 촬영하거나, 표시 수단(1210)에 모니터 표시되어 있는 자기의 얼굴을 소형화 미러 대신에 볼 수 있다.
도 17은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100)의 블록도이다. 제 1 케이스(1022)와 제 2 케이스(1023)는 각각 파선으로 표시된다. 제 1 케이스(1022)는 카메라부(1024), 화상 처리 제어 수단(1241), 전체 제어 수단(1018), 개폐/회전 검출 수단(1026), 기억 수단(1025), 제 1 키 조작부(1017), 무선부(1019)를 형성하는 무선 제어 수단(1190), 수신부(1191), 송신부(1192), 그리고 음성 처리부(1220), 마이크로폰(1221), 링거(1222)를 수납하고, 안테나(1193)가 제 1 케이스(102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023)는 표시 수단(1210)과 제 2 키 조작부(1217)와 스피커(1224)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023)의 표시 수단(1210)에 소프트웨어 키가 표시되고, 표시 수단(1210)의 가까이에 설치한 표시 전환 스위치(1028)의 기능을 그 소프트웨어 키에 할당할 수도 있다. 표시 수단(1210)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에 의해, 표시 수단(1210)이 있는 제 2 케이스(1023)가 회전해도, 사용자는 어느 버튼을 누르면 좋을지 당황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 형태 3에 의한 카메라 장착 휴대 장치(1100)에서는, 카메라부(1024)가 제 1 케이스(1022)의 저면(1022D)을 향해서 장착되어 있다. 도 18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사용중인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100)의 개념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023)를 임의로 개폐하여, 휴대 전화 장치(1100)의 카메라부(1024)는 여러 앵글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 장치(1100)를 가진 사용자(1030, 1031, 1032)가 각각 피사체(1033)를 높은 앵글로부터 혹은 통상의 높이의 앵글로부터 혹은 낮은 앵글로부터 각각 촬영하고 있다. 사용자(1030)는 제 2 케이스(1023)를 개방하여 피사체(1033)를 촬영하고, 사용자(1031)는 제 2 케이스(1023)를 폐쇄하여 피사체(1033)를 촬영하고, 사용자(1032)는 제 2 케이스(1023)를 뒤집어서 또한 제 2 케이스(1023)를 손으로 잡고 피사체(1033)를 촬영하고 있다. 표시 수단(1210)의 가까이에 설치된 표시 전환 스위치(1028)를 셔터 버튼으로서의 소프트웨어 키로 하면, 피사체(1033)를 로우 앵글로부터 촬영할 때에, 표시 수단(121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1033)를 보고 표시 수단(1210) 근처의 소프트웨어 키를 눌러서 피사체(1033)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장치는 예컨대 고해상도의 광축 방향으로 긴 고해상도의 카메라부를, 광축이 케이스의 평면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되도록 수납할 수 있다.
Claims (24)
- 휴대 장치에 있어서,광축을 갖고, 상기 광축과 평행한 촬상 방향의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부와,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상기 표시 수단이 설치된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측의 제 2 면을 갖는 제 1 케이스와,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2 면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는 제 2 케이스와,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에 직교하는 회전축에 관해서 상기 제 2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케이스에 지지하고, 상기 광축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고 또한 상기 촬상 방향이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으로의 방향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회전축부와,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표시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조작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상기 회전축의 상기 촬상 방향과 반대측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의 부분에 설치된 조작 수단을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상기 검출된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작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표시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며, 상기 휴대 장치는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된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작부의 상기 복수의 키의 기능을 할당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회전을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회전을 복수의 소정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축에 의한 회전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의 상기 제 2 케이스의 폭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회전 방향에 대략 평행한 상기 방향의 폭보다 작은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에 의한 회전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오목 부분이 설치된 측면을 갖는휴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간극을 형성하는 단차부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휴대 장치에 있어서,광축을 갖고, 상기 광축과 평행한 촬상 방향의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부와,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측의 제 2 면을 갖는 제 1 케이스와,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2 면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는 제 2 케이스와,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에 직교하는 제 1 회전축에 관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인 제 2 회전축에 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케이스에 상기 제 2 케이스를 지지하고, 상기 광축이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고 또한 상기 촬상 방향이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으로의 방향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힌지부를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표시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조작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상기 제 1 회전축의 상기 촬상 방향과 반대측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의 부분에 설치된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중 한쪽에 설치된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상기 검출된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표시 전환 스위치와,상기 표시 전환 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2 면에 대향할 수 있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면에 설치된휴대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표시 수단의 근방에서 상기 제 2 케이스상에 설치된 스위치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제 2 회전축에 관한 회전을 복수의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제 1 회전축에 관한 회전을 복수의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간극을 형성하는 단차부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케이스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2 면의 상방에 위치할 때에 조작할 수 있는, 상기 제 1 케이스에 설치된 스위치를 더 구비한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회전축에 의한 회전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의 상기 제 2 케이스의 폭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회전 방향에 대략 평행한 상기 방향의 폭보다 작은휴대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1 회전축에 의한 회전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에 위치하고, 오목 부분이 설치된 측면을 갖는휴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012259 | 2003-01-21 | ||
JPJP-P-2003-00012260 | 2003-01-21 | ||
JP2003012259 | 2003-01-21 | ||
JP2003012260 | 2003-01-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775A true KR20050095775A (ko) | 2005-09-30 |
KR101007412B1 KR101007412B1 (ko) | 2011-01-12 |
Family
ID=3277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13347A KR101007412B1 (ko) | 2003-01-21 | 2004-01-19 | 휴대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331724B2 (ko) |
EP (1) | EP1608151B1 (ko) |
JP (1) | JP3976061B2 (ko) |
KR (1) | KR101007412B1 (ko) |
WO (1) | WO200406661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801B1 (ko) * | 2006-10-17 | 2013-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를 갖는 이동단말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81852B2 (en) * | 1999-11-15 | 2009-09-01 | Xenonics, Inc. | Portable device for viewing and imaging |
JP4010975B2 (ja) * | 2003-04-07 | 2007-11-21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通信端末装置 |
JP4288134B2 (ja) * | 2003-10-16 | 2009-07-01 | 京セラ株式会社 | 撮像装置 |
US7795574B2 (en) * | 2004-02-23 | 2010-09-14 | Xenonics, Inc. | Low-light viewing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ased on visible and near infrared light |
JP2005267000A (ja) * | 2004-03-17 | 2005-09-29 | Sony Corp | 電子機器および機能割り当て方法 |
JP4120942B2 (ja) * | 2004-07-22 | 2008-07-16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4537804B2 (ja) * | 2004-08-30 | 2010-09-08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電子機器 |
JP4403398B2 (ja) * | 2004-09-08 | 2010-01-27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CA2571988A1 (en) * | 2004-10-22 | 2006-05-04 | Xenonics, Inc. | Ruggedized digital low-light viewing device |
KR100606073B1 (ko) * | 2004-10-25 | 2006-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통신 장치 |
JP4533098B2 (ja) * | 2004-11-16 | 2010-08-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US7373174B2 (en) * | 2004-12-31 | 2008-05-13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effect of EMI on receiver sensitivity in a camera phone |
WO2006083563A2 (en) * | 2005-02-01 | 2006-08-10 | Analog Devices, Inc. | Camera with acceleration sensor |
JP4197684B2 (ja) * | 2005-03-23 | 2008-12-17 | 株式会社東芝 | 携帯無線機 |
CN1697462A (zh) * | 2005-06-24 | 2005-11-16 | 朱占新 | 双向转屏式移动通信终端 |
CN101208938B (zh) * | 2005-06-24 | 2011-07-20 | 朱占新 | 双向转屏式移动通信终端 |
JP4764090B2 (ja) * | 2005-08-01 | 2011-08-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焦点検出装置および撮影装置 |
JP4828221B2 (ja) * | 2005-12-14 | 2011-11-3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デジタルカメラ |
JP2007259164A (ja) * | 2006-03-24 | 2007-10-04 | Fujifilm Corp | カメラシステム |
KR101246568B1 (ko) | 2006-06-09 | 2013-03-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액정 표시 장치 |
JP2008035474A (ja) * | 2006-06-26 | 2008-02-14 | Olympus Imaging Corp | デジタルカメラ |
US20080079689A1 (en) * | 2006-10-02 | 2008-04-03 | Nokia Corporation | Rotating UI for better usage |
JP4743086B2 (ja) * | 2006-11-09 | 2011-08-10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01371414B1 (ko) | 2007-01-31 | 2014-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기능 복합영상장치 및 그의 ui 제공방법 |
JP2008310095A (ja) * | 2007-06-15 | 2008-12-25 | Canon Inc | レンズシステム |
US8305461B2 (en) * | 2007-08-08 | 2012-11-06 | Sanyo Electric Co., Ltd. | Information display device |
CN101374197A (zh) * | 2007-08-24 | 2009-02-25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 |
JP4531088B2 (ja) * | 2007-12-03 | 2010-08-25 | 京セラ株式会社 |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
JP4937094B2 (ja) * | 2007-12-03 | 2012-05-23 | 京セラ株式会社 |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
CN101931670A (zh) * | 2009-06-25 | 2010-12-29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 |
JP5645626B2 (ja) * | 2010-12-06 | 2014-12-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
KR101752698B1 (ko) * | 2011-01-06 | 2017-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
US9888166B2 (en) | 2011-12-30 | 2018-02-06 | Intel Corporation | User interfaces for electronic devices |
LU92208B1 (en) * | 2013-06-07 | 2014-12-08 | Andrzej Jaroslaw Galuszka | Mobile phone or portable PC with a camera |
CN204049606U (zh) * | 2014-07-22 | 2014-12-31 | 芯发威达电子(上海)有限公司 | 可自动调整影像画面的咽喉镜 |
JP2018078463A (ja) * | 2016-11-10 | 2018-05-17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設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10631B2 (ja) * | 1995-05-26 | 2005-01-1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携帯用無線通信装置 |
US5986634A (en) * | 1996-12-11 | 1999-11-16 | Silicon Light Machines | Display/monitor with orientation dependent rotatable image |
US5973915A (en) * | 1996-12-13 | 1999-10-26 | Ncr Corporation | Pivotable displa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US6734809B1 (en) * | 1999-04-02 | 2004-05-11 | Think Outside, Inc. | Foldable keyboard |
JP3546784B2 (ja) | 1999-12-14 | 2004-07-28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端末 |
JP2002158758A (ja) | 2000-11-20 | 2002-05-31 | Nec Corp | 開閉型携帯情報端末 |
JP2003069676A (ja) * | 2001-08-24 | 2003-03-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携帯無線通信装置 |
JP4360593B2 (ja) * | 2002-02-15 | 2009-11-11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ヒンジ構造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 |
JP2003298698A (ja) * | 2002-03-29 | 2003-10-17 | Nec Corp |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
KR100575998B1 (ko) | 2002-04-12 | 2006-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무선 단말기 |
-
2004
- 2004-01-19 KR KR1020057013347A patent/KR1010074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1-19 US US10/541,018 patent/US733172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1-19 WO PCT/JP2004/000368 patent/WO200406661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1-19 EP EP04703253A patent/EP160815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1-19 JP JP2005508069A patent/JP397606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801B1 (ko) * | 2006-10-17 | 2013-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를 갖는 이동단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331724B2 (en) | 2008-02-19 |
EP1608151B1 (en) | 2011-12-07 |
JPWO2004066616A1 (ja) | 2006-05-18 |
JP3976061B2 (ja) | 2007-09-12 |
EP1608151A1 (en) | 2005-12-21 |
WO2004066616A1 (ja) | 2004-08-05 |
US20060104628A1 (en) | 2006-05-18 |
EP1608151A4 (en) | 2009-04-29 |
KR101007412B1 (ko) | 2011-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7412B1 (ko) | 휴대 장치 | |
KR100677303B1 (ko) | 휴대 단말기 | |
JP3882687B2 (ja) | 携帯型通信装置 | |
JP4053444B2 (ja) |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 |
US20040209645A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0703402B1 (ko) |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 |
US7619686B2 (en) |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 |
EP1653713B1 (en) | Portable and fold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3309756A (ja) | ズームレンズ付き携帯電話 | |
JP2003309634A (ja) | 携帯端末装置 | |
JP4199576B2 (ja) |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 |
JP3751197B2 (ja) | 移動体電話機 | |
JP2004274777A (ja) |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 |
JP2003018261A (ja) | 携帯型端末機 | |
JPH07212253A (ja) | 携帯型マルチメディア端末 | |
JP2004104164A (ja) | 撮像カメラ付きの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 |
JP4239441B2 (ja) | 電子機器 | |
KR20050036129A (ko) |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
JPH08140072A (ja) | 情報通信用端末装置 | |
KR10094153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04274594A (ja) | 携帯情報端末 | |
KR20040038022A (ko) |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 |
KR20060073291A (ko) |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05294959A (ja) |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 |
JPH11136654A (ja) | 携帯型情報通信機のアダプ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