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938A -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938A
KR20050092938A KR1020040018127A KR20040018127A KR20050092938A KR 20050092938 A KR20050092938 A KR 20050092938A KR 1020040018127 A KR1020040018127 A KR 1020040018127A KR 20040018127 A KR20040018127 A KR 20040018127A KR 20050092938 A KR20050092938 A KR 2005009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accident
low voltage
vehicle
voltage detec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수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2938A/ko
Publication of KR2005009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9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고 및 차량고장등과 같은 위급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량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설치하고 차량의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저전압인 경우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전원을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구성한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및 차량고장등과 같은 위급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량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설치하고 차량의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저전압인 경우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전원을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구성한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상 점멸등에 사용된 보조 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핸들의 평면도이고, 도 2은 종래의 비상 점멸등에 적용된 보조 스위치와 비상램프 점소등 스위치의 연결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특1998-056852(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비상램프 점소등장치)에 공개된 내용이다.
이에 따르면, 핸들의 뒷부분 또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는 기존의 비상등 스위치(2)는 밧데리(6)의 정 극성단자(+)와, 수개가 상호 병렬 연결된 상태에 있는 비상등(1)의 일측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상등 스위치(2)의 양단 사이에는 이와 별개의 보조 스위치(3)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보조 스위치(3)는 핸들(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후좌우에 설치되어 통상시 방향 지시기능을 수행하는 비상등(1)은 기존의 비상등 스위치(2) 또는 보조 스위치(3) 중 그 어느 것을 온시켜도 점멸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비상등 스위치(2)는 핸들의 뒷부분 또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고, 보조 스위치(3)는 핸들(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전 중 비상등(1)을 점멸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된 경우 굳이 한손으로 핸들을 조작하는 상태로 기존의 비상등 스위치(2)를 조작할 필요없이 핸들(4)을 두손으로 잡은체 손가락만 이용하여 보조 스위치(3)를 조작하면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운전자들이 사고 및 차량고장등과 같은 위급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후방이나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들에 경고를 주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비상등을 점멸하였다. 그러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차량용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차량 내부의 비상등이 고장등에 의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후방이나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들에 경고를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고 및 차량고장등과 같은 위급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량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설치하고 차량의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저전압인 경우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전원을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구성한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전압 이하로 판단시 저전압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감지부;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전원;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점멸신호 출력시 상기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예비 전원을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공급하여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점멸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점멸신호 입력 단계; 상기 점멸신호 입력 단계에서 점멸신호가 입력된 경우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저전압 감지신호 입력 단계; 상기 저전압 감지신호 입력 단계에서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된 경우 자체 전원을 구비한 예비 전원을 단속하여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상기 예비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저전압 감지신호 입력 단계에서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 에서 안전사고용 경고등의 차량 설치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의 블럭도는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60);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등(50);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의 점멸여부를 단속하는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10); 전원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전압 이하로 판단시 저전압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감지부(30);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전원(40);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점멸신호 출력시 상기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는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예비 전원을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공급하여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 입력부(10)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점멸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키 입력부(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차량 중앙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핸들의 일측부에 구성된 온(ON)/오프(OFF)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한 점멸신호를 제어부(70)로 보내게 된다.
나아가, 키 입력부(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온(ON)/오프(OFF) 스위치 이외에 택트 스위치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부분이다.
비상등(50)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키 입력부(10)로부터 점멸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점멸하게 된다.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50)은 사고 및 차량고장등과 같은 위급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량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소정 위치에 별도로 구성한 경고등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50)은 리어 패키지 트래이(100)와 리어 윈도우 글래스(200)의 연결부위에 있는 실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원 공급부(20)는 자동차 주전원(Acc 전원)이 온 상태일 때 차량 배터리(미도시)를 통하여 일정한 전원(예를 들어, 12V)을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차량의 각 부분에 공급하게 된다.
저전압 감지부(30)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있고, 전원공급부(20)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되는지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원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져 각종 경고등이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전압 감지부(30)는 현재 전원공급부(20)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과 검출된 전압을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 판단하여 전원공급부(20)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수단으로 구성된다. 저전압임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저전압 감지 신호를 제어부(70)로 보내게 된다.
예비 전원(40)은 저전압 감지부(30)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제어부(70)로 출력된 경우, 차량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자동차의 소정 위치에 별도로 구성한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60)에 자체 전원을 공급한다.
예비 전원(40)은 차량의 전원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져 각종 경고등이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으로, 예비 전원(40)은 트렁크의 리드 트림(미도시)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그 설치 위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부분이다.
제어부(70)는 키 입력부(10)로부터 점멸신호가 입력된 경우 비상등(50)과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60)을 점멸하게 된다. 그러나 저전압 감지부(30)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제어부(70)는 예비 전원(40)을 제어하여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60)을 점멸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경고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7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단계 S10에서는 키 입력부(10)로부터 온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에서의 판단결과 온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 S20으로 진행하고, 단계 S10에서의 판단결과 온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을 계속 수행하여 점멸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는 저전압 감지부(20)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0에서의 판단결과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60)을 점멸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예비 전원(40)의 공급을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등(40)을 점멸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S50으로 진행하여 키 입력부(10)로부터 오프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0에서의 판단결과 오프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0을 수행한다. 한편, 단계 S50에서의 판단결과 오프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 S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에서는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등(60)의 점멸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S70에서는 예비 전원(40)의 공급을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70이 수행된 후에 종료하게 된다.
한편, 단계 S20에서의 판단결과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5로 진행한다.
단계 S45에서는 비상등(50)과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등(40)을 점멸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S55로 진행하여 키 입력부(10)로부터 오프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5에서의 판단결과 오프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5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 S55에서의 판단결과 오프상태 점멸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 S65로 진행한다.
단계 S65에서는 비상등(50)과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등(60)의 점멸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65가 수행된 후에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차량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설치하고 차량의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저전압인 경우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전원을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들의 사고 및 차량고장등과 같은 위급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후방이나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들에 경고를 주어 차 차량추돌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상 점멸등에 사용된 보조 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핸들의 평면도,
도 2은 종래의 비상 점멸등에 적용된 보조 스위치와 비상램프 점소등 스위치의 연결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도 3 에서 안전사고용 경고등의 차량 설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경고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키 입력부, 20: 전원 공급부,
30: 저전압 감지부, 40: 예비 전원,
50: 비상등, 60: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
70: 제어부 100: 리어 패키지 트래이,
200: 리어 윈도우.

Claims (2)

  1.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전압 이하로 판단시 저전압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감지부;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전원;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점멸신호 출력시 상기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저전압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예비 전원을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공급하여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2. 점멸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점멸신호 입력 단계;
    상기 점멸신호 입력 단계에서 점멸신호가 입력된 경우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저전압 감지신호 입력 단계;
    상기 저전압 감지신호 입력 단계에서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된 경우 자체 전원을 구비한 예비 전원을 단속하여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상기 예비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저전압 감지신호 입력 단계에서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에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안전사고방지용 경고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방법.
KR1020040018127A 2004-03-17 2004-03-17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KR20050092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127A KR20050092938A (ko) 2004-03-17 2004-03-17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127A KR20050092938A (ko) 2004-03-17 2004-03-17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938A true KR20050092938A (ko) 2005-09-23

Family

ID=3727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127A KR20050092938A (ko) 2004-03-17 2004-03-17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29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82B1 (ko) * 2009-11-03 2011-05-06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터널 내부의 위험을 경고하는 조명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82B1 (ko) * 2009-11-03 2011-05-06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터널 내부의 위험을 경고하는 조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37B1 (ko) 차량 운행 안전성 확보 장치
KR100656243B1 (ko)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 장치
KR20120108579A (ko) 차량의 램프 단락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5622A (ko) 차량의 램프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2938A (ko) 차량 안전사고 방지용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CN112776707A (zh) 一种降低音乐氛围灯干扰驾驶员转向视野的方法及系统
KR102079237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144958A (ja) 車両用ランプの点灯制御装置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20080000729A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100245844B1 (ko) 차량의 방향지시 및 비상등 장치
KR19990040989A (ko) 자동차의 램프 고장 감지 장치
KR19990005613A (ko) 야간 운전시 전조등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장치 및 방법
KR20210108183A (ko)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향지시등 점등 전환 방법
KR20230126603A (ko) 차량의 헤드라이트 미작동 경고음 발생장치
KR20040033482A (ko) 차량의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200203557Y1 (ko) 자동차의 램프 점검장치
KR200405944Y1 (ko)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19980052777A (ko)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KR200415539Y1 (ko) 차량의 비상등 제어장치
KR0146580B1 (ko) 차량의 제동등 단선경고회로
KR20040033645A (ko) 자동차 비상등의 자동점멸장치
KR20040088272A (ko)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KR20080075666A (ko) 자동차 기울기 및 빛 감지 센서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램프가 점멸되는 시스템
KR19980049567U (ko) 전동차용 전조등 원격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