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068A -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068A
KR20050088068A KR1020057002153A KR20057002153A KR20050088068A KR 20050088068 A KR20050088068 A KR 20050088068A KR 1020057002153 A KR1020057002153 A KR 1020057002153A KR 20057002153 A KR20057002153 A KR 20057002153A KR 20050088068 A KR20050088068 A KR 20050088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espect
rotational movement
hinge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709B1 (ko
Inventor
나오키 구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406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05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09785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056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8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상품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고,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HINGE DEVICE}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식 전자기기의 전형적인 예로서의 휴대식 전화기에 있어서는, 휴대식 전화기본체(본체부와 중합부)를 열고 닫기가 자유롭게 설치된 폴더타입이 있다.
이 폴더타입은, 스위치의 오작동 방지, 열고 닫을 때에 있어서의 소형화(디스플레이의 면적의 확보), 디자인의 다양성 등의 점에서 인기가 있다.
따라서, 이 폴더타입의 휴대식 전화기에 대해서 점점 주목하게 되는 가운데, 보다 한층 실용성이 높은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힌지장치에 요구되는 실험·연구를 거듭하여, 보다 한층 상품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를 개발하였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단면도이다.
도 13(a)∼도 13(c)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동작 설명도이다.
도 14(a)∼도 14(c)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예의 개략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예의 개략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단면도이다.
도 22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단면도이다.
도 2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단면도이다.
도 2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단면도이다.
도 25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9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0(a)∼도 30(c)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동작 설명도이다.
도 31(a)∼도 31(c)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동작 설명도이다.
도 32는 제 2 실시예의 개략동작 설명도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付勢作用)이 생기도록 구성되고,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고,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고,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Free-Stop)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개방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를 구비하여, 이 폐쇄구조부(5)에 대한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6)의 개방회전운동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5)로부터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폐쇄구조부(5)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5)로부터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폐쇄구조부(5)에 대한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26)을 상기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구조부(5)에 걸리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구비하여, 이 걸어멈춤체(8)가 폐쇄구조부(5)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폐쇄구조부(5)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폐쇄구조부(5)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6)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5)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폐쇄구조부(5)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5)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1)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이 제 1 연결체(3)에 상대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제 2 부재(2)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캠부(1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10)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설치하여,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 중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 중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 부세체(12)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 중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13)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리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회전방지 상태로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하게 하였을 때,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1)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이 제 1 연결체(3)에 상대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제 2 부재(2)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캠부(1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10)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설치하여,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 부세체(12)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13)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거나 벗겨져 걸어맞춤 부세체(12)의 부세에 의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와의 꼭대기부분에서 맞부딪쳐 마찰저항이 생김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톱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리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회전방지상태로 설치하고,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어멈춤체(8)를 끼워 넣어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9)를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설치하여, 이 걸어맞춤 오목부(9)에 끼워 넣는 걸어멈춤체(8)의 끼워넣기부에 테이퍼면(8a)를 형성함으로써, 이 걸어맞춤 오목부(9)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어멈춤체(8)는, 밀어넣기버튼부(26)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폐쇄구조부(5)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상기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상기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하여, 상기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를 설치하고, 이 폐쇄구조부(5)에 대한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26)을 상기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상기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고,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톱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상기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를 설치하여, 이 폐쇄구조부(5)에 대한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26)을 상기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H1)는, 제 1 부재(1) 또는 제 2 부재(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제 2 부재(2) 또는 제 1 부재(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상기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여, 상기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8)가 폐쇄구조부(5)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폐쇄구조부(5)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개방구조부(6)에 의해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걸어멈춤체(8)는, 밀어넣기버튼(26)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폐쇄구조부(5)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H1)는, 제 1 부재(1) 또는 제 2 부재(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제 2 부재(2) 또는 제 1 부재(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구성되고, 이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캠부(1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10)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설치하여,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 부세체(12)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13)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여, 이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 하는 것으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걸어멈춤체(8)는,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 밀어넣기버튼(26)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H1)는, 제 1 부재(1) 또는 제 2 부재(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제 2 부재(2) 또는 제 1 부재(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구성되고, 이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캠부(1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10)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설치하여,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 부세체(12)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13)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여, 이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리거나 벗겨져 걸어맞춤 부세체(12)의 힘을 가함에 의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와의 꼭대기부분에서 맞부딪쳐 마찰저항이 생김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톱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걸어멈춤체(8)는,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 밀어넣기버튼(26)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상기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상기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고,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톱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상기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고, 상기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를 설치하고, 이 폐쇄구조부(5)에 대한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6)의 개방회전운동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5)로부터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폐쇄구조부(5)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5)로부터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H1)는, 제 1 부재(1) 또는 제 2 부재(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제 2 부재(2) 또는 제 1 부재(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상기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여, 상기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8)가 폐쇄구조부(5)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폐쇄구조부(5)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개방구조부(6)에 의해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폐쇄구조부(5)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6)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5)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폐쇄구조부(5)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5)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H1)는, 제 1 부재(1) 또는 제 2 부재(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제 2 부재(2) 또는 제 1 부재(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구성되고, 이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중 어느 한쪽에 캠부(1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10)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설치하여,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 부세체(12)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13)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고,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H1)는, 제 1 부재(1) 또는 제 2 부재(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3)와, 제 2 부재(2) 또는 제 1 부재(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4)로 구성되어, 이 제 1 힌지체(H1)의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캠부(1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10)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설치하여,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 부세체(12)를 구비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10), 캠걸어맞춤부(11)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13)를 상기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여,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리거나 벗겨져 걸어맞춤 부세체(12)의 힘을 가함에 의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와의 꼭대기부분에서 맞닿아 마찰저항이 생김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톱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상기 제 1 연결체(3), 제 2 연결체(4)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고,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어멈춤체(8)를 끼워 넣어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맞춤오목부(9)를 상기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에 설치하여, 이 걸어맞춤 오목부(9)에 끼워 넣는 걸어멈춤체(8)의 끼워넣기부에 테이퍼면(8a)을 형성함으로써, 이 걸어맞춤 오목부(9)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10) 또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8∼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작부(14)를 설치한 본체부와, 표시화면(15)을 설치한 중합부를, 상기 조작부(14)를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이 조작부(14)를 덮도록 중합배치하여, 이 중합한 상태로부터 상기 중합부를 상대적으로 수평회전운동 또는 기복(起伏)회전운동하여 조작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또는 중합부를 표면과 이면의 반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자전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중합부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갖고, 이 힌지장치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 1 부재(1) 또는 제 2 부재(2)로 하고, 상기 중합부를 상기 제 2 부재(2) 또는 제 1 부재(1)로 한 상기 청구항 1∼7, 10∼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장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개방조작이 매우 쉽고 또한 신속히 할 수 있는 등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피봇부착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제품의 조작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획기적인 힌지장치가 된다.
또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피봇부착 연결부에 배치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힌지체와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는 힌지구조(더블힌지구조)로 한 경우에는, 이 힌지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피봇부착 연결부를 좌우에 분할하고 또한 각 피봇부착부(제 1 피봇부착부 및 제 2 피봇부착부)를 작게 할 수 있고, 이 좌우의 피봇부착부 사이(제 1 피봇부착부와 제 2 피봇부착부와의 사이)에 빈 부분이 생기게 되기 때문에, 이 빈 부분이 예를 들면 제 1 부재 내에 배치되는 전자부품과 제 2 부재 내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을 전기접속하는 배선을 배치하기에 알맞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더구나, 개방조작이 매우 쉽고 또한 신속히 할 수 있는 등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피봇부착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제품의 조작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획기적인 힌지장치가 된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발명을 어떻게 실시하는 것이 최선인가)를,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어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 또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것으로 된다.
즉,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제 2 부재(2)는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를, 예를 들면 상술한 본체부와 중합부를 피봇부착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폴더타입의 휴대식 전자기기에 적용한 경우, 사용할 때, 예를 들면 전화기를 들고 있는 손으로 본체부와 중합부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음으로써, 본체부에 대하여 중합부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중합부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에 의해 자동개방하는 것이 되는 등, 중합부의 개방조작이 쉽고 신속히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실용적이다.
또한,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톱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사용하기 쉬운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한층 실용적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1∼16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더타입의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조작부(14)를 구비한 본체부를 제 1 부재(1)로 하고, 표시화면(15)을 구비한 중합부를 제 2 부재(2)로 하여,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가 중합한 폐쇄상태로부터 제 2 부재(2)를 예를 들면 120도까지 회전운동한 개방상태(통화상태)로 할 수 있는 피봇부착구조에 본 발명의 힌지장치(H)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도 15 참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하게 하였을 때,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한번에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최대개방각도위치)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도 15 참조), 더구나,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이 제 2 부재(2)로부터 손을 떼면, 그 떼어낸 위치에서 제 2 부재(2)는 정지하여, 흔들거리는 일이 없는 프리스탑 상태를 실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16 참조).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로서는, 제 1 부재(1)의 기초부에 부착구멍(1a)을 형성하고, 제 2 부재(2)의 기초부에도 이 부착구멍(1a)과 연이어 통한 상태로 인접하는 부착구멍(2a)을 형성하여, 이 각각의 부착구멍(1a, 2a)에 축형상 부품으로서 구성한 본 발명의 힌지장치(H)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체부(1)(제 1 부재)에는, 상기 부착구멍(1a)을 통해 회전방지 형상으로 한 제 1 연결체(3)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부로서의 케이싱(16)을 고정하여, 이 케이싱(16)의 일끝단측에 노출상태로 배치되는 부재를 제 2 연결체(4)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착부(17)로서, 부착구멍(2a)을 통해 중합부(2)(제 2 부재)에 회전방지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이 케이싱(16)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8각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부(1)에 대해 견고한 회전방지고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이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하면서 내부에 효율적으로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의 8각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17)의 안구멍(17a)에는 앞끝단부에 캠부(10)가 설치된 제 2 연결체(4)를 구성하는 축형상부재(18)가 회전방지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연결체(4)에 관한 축형상부재(18)는, 앞끝단부의 캠부(10)가 제 1 연결체(3)에 관한 케이싱(16) 내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연결체(3)에 관한 케이싱(16)의 다른 끝단측에는 폐쇄부재(19)가 배치되고, 또한, 케이싱(16) 내에는, 상기 제 2 연결체(4)에 관한 캠부(10)와 대향하여, 서로 오목볼록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갖는 걸어맞춤부재(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재(20)는, 케이싱(16) 내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케이싱(16) 내를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캠걸어맞춤부(11)를 갖는 걸어맞춤부재(20)와 폐쇄부재(19)와의 사이의 케이싱(16) 안에는,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용수철(12)을 걸어맞춤 부세체(12)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부세체(12)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중합부(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이것이, 청구항에서 말하는 폐쇄구조부(5)이다.}.
한편, 캠부(10)를 갖는 축형상부재(18)에는, 토크용수철(13)을 회전운동부세체(13)로서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운동부세체(13)의 다른 끝단부는 케이싱(16) 내에 회전방지상태로 배치되는 연결부재(21)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회전운동부세체(13)가 케이싱(16)을 회전운동시키고자 하는 부세력이, 케이싱(16)을 고정한 상태로 하는 것에 따라, 축형상부재(18){캠부(10)}를 회전운동시키는 부세력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폐쇄구조부(5)로서의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이것이, 청구항에서 말하는 개방구조부(6)이다.}.
또한, 캠걸어맞춤부(11)는, 180도 대칭위치에 V자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 오목부를 상기 캠부(10)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분으로 하여, 걸거나 벗김 상태가 되는 영역에서는 이 오목부사이의 꼭대기부분(앞끝단면부)에 캠부(10)의 꼭대기부분(앞끝단면부)이 걸어맞춤 부세체(12)에 의한 누르는 힘에 의해 눌러 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과의 마찰저항이 높아지는 마찰저항 증대수단을 설치하여,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이 맞닿아 접촉하였을 때에는, 걸어맞춤 부세체(12)에 의한 누르는 힘과 마찰저항 증대수단에 의한 회전운동저항의 증대에 의해서 회전운동부세체(13)의 회전운동부세가 작용하고 있더라도 손으로 움직이지 않는 한 정지가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컨대,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걸어맞춤 부세체(12)의 부세력에 의해서 누름접촉하는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과의 마찰저항을 높여 프리스탑을 실현하는 마찰저항 증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최대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에, 이 캠걸어맞춤부(11)의 회전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미끄럼운동볼록조(11b)를 설치하여, 이 미끄럼운동볼록조(11b)가 끼워 맞추어 접촉하는 미끄럼운동홈(10b)을 상기 캠부(10)에 설치함으로써,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의 마찰저항을 높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의 약 전체범위에, 이 꼭대기부분(11a)의 회전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상기 미끄럼운동볼록조(11b)를 설치하고, 상기 캠부(10)가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져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이 접촉하는 약 모든 회전운동영역에서 이 미끄럼운동볼록조(11b)가 미끄럼운동홈(10b)에 맞부딪친 상태에서 끼워 맞추어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 설명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럼운동볼록조(11b)는,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의 안팎방향의 약 중간부에, 캠걸어맞춤부(11)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의 회전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볼록조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미끄럼운동볼록조(11b)와 미끄럼운동홈(10b)이란, 끼워맞춤할 때에 약 전면부가 접촉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것에 의한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의 접촉면적의 증대에 의해 마찰저항을 높여 매우 양호한 프리스탑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캠걸어맞춤부(11)가 캠부(10)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져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이 접촉하는 약 모든 회전운동영역에서 매우 양호한 프리스탑 작동이 발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개방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회전운동 저지구조부(7)는, 캠걸어맞춤부(11)에 설치한 걸어맞춤오목부(9)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제 1 연결체(3)를 구성하는 케이싱(16)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걸어멈춤체(8)는, 연결부재(23)를 통해 회전방지상태로 하여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용수철(22)로서의 걸어맞춤 부세체(22)에 의해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걸어멈춤체(8)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해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어멈춤체(8)는, 걸어맞춤오목부(9)에 끼워 넣는 앞끝단 끼워넣기부에 테이퍼면(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8a)의 각도설치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걸어맞춤오목부(9)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걸어맞춤오목부(9)의 내면(9a)으로 하여 걸어멈춤체(8)의 테이퍼면(8a)이 접촉하는 접촉면도 테이퍼면(9a)에 구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오목부(9)의 테이퍼면(9a)의 각도설치에 의해서도 걸어맞춤오목부(9)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이 적절히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본 실시예는 다음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중합부(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 또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 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긴다.
즉,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중합부(2)는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하게 되어, 이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개방상태로 한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항상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가 경사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되고,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를 지나면, 중합폐쇄위치(P1)까지 중합부(1)는 자동으로 폐쇄하는 것이 된다.
이 때에 있어서의 힌지장치(H)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도 13(b) 중, 화살표 a방향으로 제 2 연결체(4)를 회전운동시키면,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리거나 벗겨지려고 하면서 조금 벗어나려는 기미로 공동회전운동한다. 이 때,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지기 전에 캠걸어맞춤부(11)의 걸어맞춤오목부(9)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도 13(b)중, 화살표 b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져{도 13(b)참조},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결국은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어맞춤 상태대로 도 13(c) 중, 화살표 a방향으로 공동회전운동하고, 그 후, 다시 걸어맞춤부세체(22)에 힘이 가해지는 걸어멈춤체(8)가 도 13(c) 중 c방향으로 전진하여 걸어맞춤오목부(9)로 끼워 넣어 걸어맞춤하는 것이 된다{도 13(c)참조}.
이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질 때까지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이 생기고 있고, 캠걸어맞춤부(11)의 걸어맞춤오목부(9)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진 후에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개방회전운동 부세력이 생기고 있다.
계속해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도 14(b) 중, 화살표 d방향으로 제 2 연결체(4)를 회전운동시키면, 캠걸어맞춤부(11)는 걸어멈춤체(8)에 의해 걸어멈춤이 유지되어 캠부(10)만이 걸리거나 벗겨져 회전운동한다{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방향, 즉, 이 캠부(10)만이 회전운동하는 방향으로의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요철걸어맞춤은, 이 걸어맞춤력보다도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맞춤힘이 능가하도록 캠면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음으로써, 이 캠걸어맞춤부(11)가 공동회전운동 하지 않고 회전운동을 정지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해당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캠부(10)가 걸리거나 벗겨져 회전운동하는 것이 된다.). 이 때, 캠걸어맞춤부(11) 및 걸어멈춤체(8)가 걸어맞춤 부세체(12){및 걸어맞춤 부세체(22)}에 저항하여 도 14(b) 중, b방향으로 후퇴하여,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진다{도 14(b) 참조}. 그 후, 더욱 제 2 연결체(4)를 도 14(b) 중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운동부세체(13)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회전운동시켜, 다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기까지의 사이는,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의 사이에 마찰저항에 의한 프리스탑 작용이 생겨, 이 프리스탑 영역을 지난 후에는, 걸어맞춤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함으로써 폐쇄부세 회전운동힘이 생기고, 따라서, 중합부(2)는 본체부(1)에 완전히 폐쇄상태가 된다{도 14(c)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시에, 예를 들면 전화기를 들고 있는 손으로 본체부(1)와 중합부(2)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음으로써,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중합부(2)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되는 등, 중합부(2)의 개방조작이 쉽고 신속히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실용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에 의해 최대한 개방시킨 위치(P3)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사용하기 쉬운 원하는 각도로 정지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한층 실용적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17∼32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더타입의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조작부(14)를 구비한 본체부를 제 1 부재(1)로 하고, 표시화면(15)을 구비한 중합부를 제 2 부재(2)로 하여,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가 중합한 폐쇄상태로부터 제 2 부재(2)를 예를 들면 120도까지 회전운동한 개방상태(통화상태)로 할 수 있는 피봇부착구조에 본 발명의 힌지장치(H)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도 32 참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한번에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최대개방각도위치)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도 32 참조), 더구나, 이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이 제 2 부재(2)로부터 손을 떼면, 그 뗀 위치에서 제 2 부재(2)는 정지하여, 흔들거리는 일이 없는 프리스탑 상태를 실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32 참조).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25A)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H1)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5)를 제 1 힌지체(H1)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폐쇄구조부(5)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6)를 제 2 힌지체(H2)에 설치하여,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개방구조부(6)에 의한 폐쇄구조부(5)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저지구조부(7)를 설치하여, 이 폐쇄구조부(5)에 대한 회전운동저지구조부(7)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부(26)를 회전운동저지구조부(7)에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로서는, 제 1 부재(1)의 기초단 좌우부위 각각에 부착구멍(1b, 1c)을 형성하여, 제 2 부재(2)의 기초단 좌우부위 각각에도 이 부착구멍(1b, 1c)과 연이어 통한 상태로 인접하는 부착구멍(2b, 2c)을 형성하여, 이 각각의 부착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피봇부착부(25A), 제 2 피봇부착부(25B)에 축형상 부분으로서 구성한 본 발명의 힌지장치(H){제 1 힌지체(H1) 및 제 2 힌지체(H2)}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1 힌지체(H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부(1)(제 1 부재)에는, 상기 부착구멍(1b)을 통해 회전방지형상으로 한 제 1 연결체(3)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부로서의 케이싱(16)을 고정하고, 이 케이싱(16)의 일끝단측에 노출상태로 배치되는 부재를 제 2 연결체(4)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착부(17)로서, 부착구멍(2b)을 통해 중합부(2)(제 2 부재)에 회전방지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이 케이싱(16)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8각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부(1)에 대한 견고한 회전방지고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이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하면서 내부에 효율적으로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의 8각형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17)의 안구멍(17a)에는 앞끝단부에 캠부(10)가 설치된 제 2 연결체(4)를 구성하는 축형상부재(18)가 회전방지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연결체(4)에 관한 축형상부재(18)는, 앞끝단부의 캠부(10)가 제 1 연결체(3)에 관한 케이싱(16)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연결체(3)에 관한 케이싱(16)의 다른 끝단측에는 폐쇄부재(19)가 배치되고, 또한, 케이싱(16)내에는, 상기 제 2 연결체(4)에 관한 캠부(10)가 대향하여, 서로 요철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11)를 갖는 걸어맞춤부재(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재(20)는, 케이싱(16) 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케이싱(16)내를 걸어맞춤 분리반대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캠걸어맞춤부(11)를 갖는 걸어맞춤부재(20)와 폐쇄부재(19)와의 사이의 케이싱(16) 내에는,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 부세체(12)로서의 코일용수철(12)이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용수철(12)의 앞끝단부는 후술하는 연결부재(23)에 연달아 설치되고, 이 연결부재(23)를 통해 캠걸어맞춤부(11)는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 걸어맞춤 부세체(12)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중합부(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걸어맞춤 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이것이, 청구항에서 말하는 폐쇄구조부(5)이다.}.
또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는,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서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걸어맞춤부(11)는, 180도 대칭위치에 V자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 오목부를 상기 캠부(10)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분으로 하여, 걸리거나 벗겨진 상태가 되는 영역에서는 이 오목부사이의 꼭대기부분(앞끝단면부)에 캠부(10)의 꼭대기부분(앞끝단면부)이 걸어맞춤 부세체(12)에 의한 누르는 힘에 의해 눌러 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과의 마찰저항이 높아지는 마찰저항증대수단을 설치하여,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이 맞닿아 접촉했을 때는, 걸어맞춤 부세체(12)에 의한 누르는 힘과 마찰저항증대수단에 의한 회전운동저항의 증대에 의해서 후술하는 회전운동부세체(13)의 회전운동부세가 작용하고 있더라도 손으로 움직이지 않은 한 정지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걸어맞춤 부세체(12)의 부세력에 의해서 누름접촉하는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과의 마찰저항을 높여 프리스탑을 실현하는 마찰저항증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최대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에, 이 캠걸어맞춤부(11)의 회전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미끄럼운동볼록조(11b)를 설치하여, 이 미끄럼운동볼록조(11b)가 끼워맞춤접촉하는 미끄럼운동홈(10b)을 상기 캠부(10)에 설치함으로써,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이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의 마찰저항을 높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로서는, 걸어맞춤캠(11)의 꼭대기부분(11a)의 약 전체범위에, 이 꼭대기부분(11a)의 회전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상기 미끄럼운동볼록조(11b)를 설치하여, 상기 캠부(10)가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져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이 접촉하는 약 모든 회전운동영역에서 이 미끄럼운동볼록조(11b)가 미끄럼운동홈(10b)에 막닿은 상태에서 끼워 맞추어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 설명하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럼운동볼록조(11b)는,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의 안팎방향의 약 중간부에, 캠걸어맞춤부(11)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의 회전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볼록조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미끄럼운동볼록조(11b)와 미끄럼운동홈(10b)은, 끼워맞춤할 때에 약 전체 면부가 접촉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것에 의한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의 접촉면적의 증대에 의해 마찰저항을 높여 지극히 양호한 프리스탑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캠걸어맞춤부(11)가 캠부(10)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져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이 접촉하는 약 모든 회전운동영역에서 매우 양호한 프리스탑 작동이 발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폐쇄구조부(5)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후술하는 제 2 힌지체(H2)에 설치되는 개방구조부(6)에의한 폐쇄구조부(5)의 개방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저지구조부(7)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회전운동저지구조부(7)는, 캠걸어맞춤부(11)에 설치한 걸어맞춤오목부(9)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8)를 제 1 연결체(3)를 구성하는 케이싱(16)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걸어멈춤체(8)는, 연결부재(23)를 통해 케이싱(16) 내에서 회전방지상태로 하여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용수철(22)로서의 걸어맞춤 부세체(22)에 의해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또한, 걸어멈춤체(8)는, 캠걸어맞춤부(11)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8)가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해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은,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어멈춤체(8)는, 걸어맞춤오목부(9)에 끼워 넣는 앞끝단 끼워넣기부에 테이퍼면(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8a)의 각도설치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걸어멈춤체(8)는 걸어맞춤 부세체(22)의 걸어맞춤 부세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걸어맞춤오목부(9)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걸어맞춤오목부(9)의 내면(9a)으로 하여 걸어멈춤체(8)의 테이퍼면(8a)이 접촉하는 접촉면도 테이퍼면(9a)에 구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오목부(9)의 테이퍼면(9a)의 각도설치에 의해서도 걸어맞춤오목부(9)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힘이 적절히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운동저지구조부(7)는, 상기 폐쇄구조부(5)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26)을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밀어넣기버튼부(26)는, 정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누름부(26a)의 내면중앙위치에 축부(26b)를 돌출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축부(26b)는 제 2 연결체(4)에 관한 축형상부재(18)에 설치한 축심구멍(18a) 내에 빠짐방지상태에 관통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어넣기버튼(26)은, 그 축부(26b)가 축형상부재(18)의 축형상부재(18a)안을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축부(26b)의 앞끝단부(26b')는 상기 걸어멈춤체(8)의 앞끝단면(8b)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밀어넣기버튼부(26)를 밀어 넣어 조작하였을 때, 걸어멈춤체(8)는 걸어맞춤 부세체(22)의 걸어맞춤 부세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캠걸어맞춤부(11)에 설치한 걸어맞춤오목부(9)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것이 된다.
제 2 힌지체(H2)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부(1)(제 1 부재)에는, 상기 부착구멍(1c)을 풀어 회전방지형상으로 한 제 3 연결체(27)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부로서의 케이싱(28)을 고정하고, 이 케이싱(28)의 일끝단측에 노출상태로 배치되는 부재를 제 4 연결체(29)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착부(30)로서 부착구멍(2c)을 통해 중합부(2)(제 2 부재)에 회전방지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이 케이싱(28)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8각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부(1)에 대한 견고한 회전방지고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이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하면서 내부에 효율적으로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의 8각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30)의 안구멍(30a)에는 앞끝단부에 회전운동부세체(13)로서의 토크용수철(13)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1)가 회전방지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운동부세체(13)의 다른 끝단부는 케이싱(28)의 다른 끝단부에 회전방지상태로 배치되는 연결부재(32)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회전운동부세체(13)가 케이싱(28)을 회전운동하고자 하는 부세력이, 케이싱(28)을 고정한 상태로 하는 것에 따라, 제 4 연결체(29)를 회전운동시키는 부세력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힌지체(H2)에 관한 회전운동부세체(13)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혹은, 밀어넣기버튼(26)을 밀어넣기 조작하였을 때,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상술한 제 1 힌지체(H1)에 관한 폐쇄구조부(5)로서의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이것이, 청구항에서 말하는 개방구조부(6)이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본 실시예는 다음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중합부(2)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 또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고, 이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긴다.
즉,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키거나, 혹은, 밀어넣기버튼(26)을 밀어넣기 조작하면, 중합부(2)는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되어, 이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개방상태로 한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항상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가 소정각도의 경사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되어,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를 지나면, 중합폐쇄위치(P1)까지 중합부(1)는 자동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 때에 있어서의 힌지장치(H)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제 1 힌지체(H1)에 관한 밀어넣기버튼(26)을 밀어넣기 조작함으로써, 도 30(b) 중, 화살표 a방향으로 걸어멈춤체(8)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오목볼록하게 걸어맞춤한 상태대로 제 2 힌지체(H2)에 관한 개방구조부(6){회전운동부세체(13)}의 개방회전운동 부세력에 의해 공동회전운동한다. 이 때, 걸어멈춤체(8)는 걸어맞춤 부세체(22)에 의해서 항상 걸어맞춤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약 180°공동회전운동한 후, 다시 캠걸어맞춤부(11)의 걸어맞춤오목부(9)에 걸어멈춤체(8)는 걸어맞춤한다{도 30 (c) 참조}.
계속해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도 31(b) 중, 화살표 d방향으로 제 2 연결체(4)를 회전운동시키면, 캠걸어맞춤부(11)는 걸어멈춤체(8)에 의해 걸어멈춤이 유지되어 캠부(10)만이 회전운동한다. 이 때, 캠걸어맞춤부(11) 및 걸어멈춤체(8)가 걸어맞춤 부세체(12){및 걸어맞춤 부세체(22)}에 저항하여 도 31(b) 중, a방향으로 후퇴하여,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진다{도 31(b) 참조}. 그 후, 더욱 제 2 연결체(4)를 도 31(c) 중,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에 저항하여 회전운동시키고, 다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기까지의 사이는,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의 사이에 마찰저항에 의한 프리스탑 작용이 생겨, 이 프리스탑 영역을 지난 후에는, 걸어맞춤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함으로써 폐쇄부세회전운동력이 생기고, 따라서, 중합부(2)는 본체부(1)에 완전히 폐쇄상태가 된다{도 31(c) 참조}.
다음에,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수동으로 개방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힌지장치(H)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제 2 연결체(4)를 회전운동시키면,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리거나 벗겨지려고 하면서 조금 벗어나는 기미로 공동회전운동한다. 이 때,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지기도 전에 캠걸어맞춤부(11)의 걸어맞춤오목부(9)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후퇴하면서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지고, 회전운동부세체(13)에 힘이 가해져서 결국은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는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하고, 그 후, 다시 걸어맞춤부세체(22)에 힘이 가해지는 걸어멈춤체(8)가 전진하여 걸어맞춤오목부(9)로 끼워넣기 걸어멈춤하는 것이 된다.
이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질 때까지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이 생기고 있고, 캠걸어맞춤부(11)의 걸어맞춤오목부(9)로부터 걸어멈춤체(8)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진 후에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개방회전운동 부세력이 생기고 있다.
계속해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제 2 연결체(4)를 회전운동시키면, 캠걸어맞춤부(11)는 걸어멈춤체(8)에 의해 걸어멈춤이 유지되어 캠부(10)만이 회전운동한다{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방향, 즉, 이 캠부(10)만이 회전운동하는 방향으로의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와의 오목볼록 걸어맞춤은, 이 걸어맞춤힘보다도 캠걸어맞춤부(11)에 대한 걸어멈춤체(8)의 걸어맞춤힘이 능가하도록 캠면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음으로써, 이 캠걸어맞춤부(11)가 공동회전운동하지 않고 회전운동을 정지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해당 캠걸어맞춤부(11)로부터 캠부(10)가 걸리거나 벗겨져 회전운동하는 것이 된다.). 이 때, 캠걸어맞춤부(11) 및 걸어멈춤체(8)가 걸어맞춤부세체(12){및 걸어맞춤부세체(22)}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완전히 걸리거나 벗겨진다. 그 후, 더욱 제 2 연결체(4)를 회전운동부세체(13)의 부세에 저항하여 회전운동시켜, 다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기까지의 사이는, 캠부(10)의 꼭대기부분(10a)과 캠걸어맞춤부(11)의 꼭대기부분(11a)과의 사이에 마찰저항에 의한 프리스탑 작용이 생겨, 이 프리스탑 영역을 지난 후에는, 걸어맞춤부세체(12)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10)와 캠걸어맞춤부(11)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함으로써 폐쇄부세회전운동력이 생기고, 따라서, 중합부(2)는 본체부(1)에 완전히 폐쇄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할 때에, 예를 들면 전화기를 가지는 손으로 본체부(1)와 중합부(2)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음으로써,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거나, 혹은, 밀어넣기버튼(26)을 밀어넣기 조작하면, 중합부(2)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되는 등, 중합부(2)의 개방조작을 쉽고 신속히 할 수 있는 것이 되고 매우 실용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에 의해 최대한 개방시킨 위치(P3)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부(1)에 대하여 중합부(2)를 사용하기 쉬운 원하는 각도로 정지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어, 보다 한층 실용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부(1)와 중합부(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에 배치되는 힌지장치(H)로서, 폐쇄구조부(5) 및 회전운동저지구조부(7)를 구비하는 제 1 힌지체(H1)와, 개방구조부(6)를 구비하는 제 2 힌지체(H2)로 이루어지는 힌지구조(더블힌지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이 힌지장치(H)를 배치하기 위한 본체부(1)와 중합부(2)와의 피봇부착연결부(25)를 좌우로 분할하고 또한 각 피봇부착부{제 1 피봇부착부(25A) 및 제 2 피봇부착부(25B)} 를 작게 할 수 있고, 이 좌우의 피봇부착부의 사이{제 1 피봇부착부(25A)와 제 2 피봇부착부(25B)와의 사이}에 빈 부분(S)이 생기게 되므로, 이 빈 부분(S)이 본체부(1) 내에 배치되는 전자부품과 중합부(2) 내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을 전기접속하는 배선을 배치하는 것에 알맞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그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 1,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요건의 구체적 구성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2)

  1.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고,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이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 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한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구조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에 의한 폐쇄구조부의 개방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저지구조부를 구비하여, 이 폐쇄구조부에 대한 회전운동저지구조부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의 개방회전운동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에서 회전운동저지구조부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폐쇄구조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고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에서 회전운동저지구조부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구조부에 대한 회전운동저지구조부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부를 상기 회전운동저지구조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구비하여, 상기 폐쇄구조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구비하여, 이 걸어멈춤체가 폐쇄구조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구조부에 의한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폐쇄구조부에서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개방구조부에 의한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폐쇄구조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에서 걸어멈춤체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폐쇄구조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에서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이 제 1 연결체에 상대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제 2 부재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중 어느 한쪽에 캠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부세체를 구비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를 구비하고,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중 어느 한쪽에 회전방지상태로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7.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제 1 부재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이 제 1 연결체에 상대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제 2 부재에 회전방지상태로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캠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부세체를 구비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를 구비하고,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캠부와 캠걸어맞춤부는 걸리거나 벗겨지고 걸어맞춤부세체의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캠부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와의 꼭대기부분에서 맞닿아 마찰저항이 생김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회전방지상태로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체를 끼워넣어 걸어맞춤할 수 있는 걸어맞춤오목부를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설치하여, 이 걸어맞춤오목부에 끼워넣는 걸어멈춤체의 끼워넣기부에 테이퍼면을 형성함으로써, 이 걸어맞춤오목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체는, 밀어넣기버튼부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폐쇄구조부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0.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한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상기 제 1 힌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상기 폐쇄구조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에 의한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저지구조부를 설치하여, 이 폐쇄구조부에 대한 회전운동저지구조부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부를 상기회전운동저지구조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1.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상기 제 1 힌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이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폐쇄구조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에 의한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저지구조부를 설치하여, 이 폐쇄구조부에 대한 회전운동저지구조부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밀어넣기버튼부를 상기 회전운동저지구조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2.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제 2 부재 또는 제 1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상기 제 1 힌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상기 폐쇄구조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고, 이 걸어멈춤체가 폐쇄구조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구조부에의한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폐쇄구조부에서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개방구조부에 의해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고, 이 걸어멈춤체는, 밀어넣기버튼부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폐쇄구조부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3.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제 2 부재 또는 제 1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구성되고, 이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중 어느 한쪽에 캠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부세체를 구비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2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이 회전운동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서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걸어멈춤체는,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 밀어넣기버튼부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4.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제 2 부재 또는 제 1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구성되고, 이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캠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부세체를 구비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이 회전운동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서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캠부와 캠걸어맞춤부는 걸리거나 벗겨져 걸어맞춤부세체의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캠부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의 꼭대기부분에서 맞닿아 마찰저항이 생김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고, 이 걸어멈춤체는,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 밀어넣기버튼부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5.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상기 제 1 힌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6.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 자유자재로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상기 제 1 힌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이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7.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상기 제 1 힌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상기 폐쇄구조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개방구조부에 의한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저지구조부를 설치하여, 이 폐쇄구조부에 대한 회전운동저지구조부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의 개방회전운동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에서 회전운동저지구조부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폐쇄구조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에서 회전운동저지구조부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8.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제 2 부재 또는 제 1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폐쇄구조부를 상기 제 1 힌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폐쇄구조부를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는 개방구조부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상기 폐쇄구조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가 폐쇄구조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구조부에 의한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폐쇄구조부에서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개방구조부에 의해 폐쇄구조부의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폐쇄구조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개방구조부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폐쇄구조부에서 걸어멈춤체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폐쇄구조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폐쇄구조부에서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9.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제 2 부재 또는 제 1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구성되어, 이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캠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부세체를 구비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0.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개폐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봇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피봇부착연결부의 좌우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체와, 다른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피봇부착부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힌지체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와, 제 2 부재 또는 제 1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로 구성되고, 이 제 1 힌지체의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캠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이 캠부에 걸어맞춤하는 캠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 분리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걸어맞춤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걸어맞춤부세체를 구비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중합폐쇄상태의 제 2 부재를 개방시켰을 때, 중합폐쇄위치(P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1)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쑥 들어가 걸어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중합폐쇄위치(P1)까지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폐쇄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캠부, 캠걸어맞춤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운동부세체를 상기 제 2 힌지체에 설치하여,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하게 하였을 때,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힘이 가해져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걸어맞춤 상태대로 공동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3)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회전운동 부세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까지의 회전운동영역(A2)에 있어서는, 캠부와 캠걸어맞춤부는 걸리거나 벗겨져서 걸어맞춤 부세체에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캠부의 꼭대기부분과 캠걸어맞춤부의 꼭대기부분에서 맞닿아 마찰저항이 샘김으로써,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임의의 개방각도위치에서 유지하는 프리스탑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멈춤체를 상기 제 1 연결체, 제 2 연결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고,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체가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 회전운동부세체에 의한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의 공동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여, 이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상기 회전운동부세체의 부세력에 의해서는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는 걸리거나 벗겨지지 않고, 상기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체를 끼워 넣어 걸어멈춤할 수 있는 걸어맞춤오목부를 상기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에 설치하여, 이 걸어맞춤오목부에 끼워넣는 걸어멈춤체의 끼워넣기부에 테이퍼면을 형성함으로써, 이 걸어맞춤오목부에 대한 걸어멈춤체의 걸어멈춤힘은, 제 1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재를 상기 캠부와 캠걸어맞춤부에 의한 폐쇄회전운동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위치(P2)보다도 개방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캠부 또는 캠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멈춤체가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는 걸어멈춤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제 10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부를 설치한 본체부와, 표시화면을 설치한 중합부를,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이 조작부를 덮도록 중합배치하여, 이 중합한 상태로부터 상기 중합부를 상대적으로 수평회전운동 또는 기복회전운동하여 조작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혹은 중합부를 표면 및 이면의 반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자전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중합부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갖고, 이 힌지장치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로 하여, 상기 중합부를 상기 제 2 부재 또는 제 1 부재로 한 힌지장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20057002153A 2003-01-31 2003-12-12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0978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4067 2003-01-31
JP2003024067A JP3910542B2 (ja) 2003-01-31 2003-01-31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209785A JP3910566B2 (ja) 2003-08-29 2003-08-29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3-00209785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068A true KR20050088068A (ko) 2005-09-01
KR100978709B1 KR100978709B1 (ko) 2010-08-30

Family

ID=3282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153A KR100978709B1 (ko) 2003-01-31 2003-12-12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434296B2 (ko)
EP (1) EP1589239A4 (ko)
KR (1) KR100978709B1 (ko)
WO (1) WO20040679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26B1 (ko) * 2006-09-20 2007-11-1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857707B1 (ko) * 2007-10-15 2008-09-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KR101039522B1 (ko) * 2010-04-05 2011-06-08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4964A1 (en) * 2004-03-08 2010-06-03 Originatic Llc Electronic Device
WO2006012515A2 (en) * 2004-07-23 2006-02-02 Southco, Inc. Bi-directionally operating hinge assembly
US20060226750A1 (en) * 2005-04-08 2006-10-12 Lee Jeong Y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CN1870873A (zh) * 2005-05-28 2006-11-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装置及应用该铰链装置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630138B1 (ko) * 2005-08-1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4625424B2 (ja) * 2006-05-17 2011-02-02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KR100701500B1 (ko) * 2006-06-16 2007-03-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CN100501177C (zh) * 2006-06-23 2009-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EP2037133A1 (en) * 2006-06-30 2009-03-18 Strawberry Corporatio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hinge device
KR100849318B1 (ko) * 2006-08-22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1140008B (zh) * 2006-09-05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WO2008035895A1 (en) * 2006-09-18 2008-03-27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CN101336074B (zh) * 2007-06-29 2012-08-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装配装置及应用其装配配件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338783B (zh) * 2007-07-04 2011-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912611B1 (ko) * 2007-11-02 2009-08-17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폰 자동 힌지모듈
CN101469738B (zh) * 2007-12-29 2012-07-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20090188080A1 (en) * 2008-01-29 2009-07-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US7814620B2 (en) * 2008-01-29 2010-10-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US20090320239A1 (en) * 2008-06-26 2009-12-3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fold hing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CN101660568A (zh) * 2008-08-29 2010-03-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660569A (zh) * 2008-08-29 2010-03-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224405B2 (en) * 2008-12-18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Implementation of friction hinge with a range of motion and detent separation greater than 180 degrees
CN101782104B (zh) * 2009-01-16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套筒及应用该套筒的铰链结构
CN102032265B (zh) * 2009-09-24 2013-01-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207128A (zh) * 2010-03-30 2011-10-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套筒及应用该套筒的铰链结构
CN102221041B (zh) * 2010-04-19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424160B2 (en) * 2010-08-11 2013-04-23 E-Lead Electronics Co., Ltd. Asymmetrical resistant hinge set
CN102454692B (zh) * 2010-10-21 2015-03-18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454693B (zh) * 2010-10-29 2013-12-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486203B (zh) * 2010-12-03 2014-04-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562781B (zh) * 2010-12-09 2014-03-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745820B2 (en) * 2011-09-30 2014-06-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Rotary hinge with adjustable damping assembly
TWI522780B (zh) * 2013-11-06 2016-02-2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EP3521646B1 (en) * 2016-09-30 2021-12-22 Hangzhou Amphenol Phoenix Telecom Parts Co., Ltd. Rotating part hinge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309A (en) 1995-05-18 1997-07-1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xially aligned cover release mechanism
US6348567B1 (en) * 1995-12-06 2002-02-19 Cv Molecular Therapeutics Inc. Peptides and their use to ameliorate cell death
JP2001355371A (ja) * 2000-06-14 2001-12-26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小型ヒンジ装置
US6678539B1 (en) * 2001-01-22 2004-01-13 Lu Sheng-Nan Mobile phone cover hinge
JP3544949B2 (ja) * 2001-02-05 2004-07-21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TWI241822B (en) * 2001-03-22 2005-10-11 Nifco Inc Rotary actuator for hinge
TW507979U (en) * 2001-04-04 2002-10-21 Benq Corp magnetic hinge apparatus
JP4357136B2 (ja) 2001-04-19 2009-11-04 株式会社ニフコ ヒンジ装置
KR100665709B1 (ko) * 2001-04-26 2007-01-1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JP3656041B2 (ja) * 2001-07-06 2005-06-02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TW482229U (en) * 2001-07-17 2002-04-01 Hinge Basestrong Co Ltd Rotating axle structure with lift and close function
JP3906702B2 (ja) * 2002-02-12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530618B1 (ko) 2002-03-18 2005-11-23 이영화 힌지 장치
JP2004044665A (ja) * 2002-07-10 2004-02-12 Nippon Koki Co Ltd 携帯電子機器
JP2004060697A (ja) * 2002-07-25 2004-02-26 Ykm:Kk 多段階展開ヒンジ装置
JP2004270714A (ja) * 2003-03-05 2004-09-30 Nifco Inc ヒンジユニット及びこのヒンジユニットを用いたヒンジ構造
US7895710B2 (en) * 2003-07-23 2011-03-01 Fujitsu Limited Hinge device
TWM255628U (en) * 2003-09-05 2005-01-11 Fih Co Ltd Hinge assembly
JP2005163885A (ja) * 2003-12-02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
KR100539919B1 (ko) * 2003-12-30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325540B2 (ja) * 2004-11-12 2009-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26B1 (ko) * 2006-09-20 2007-11-1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857707B1 (ko) * 2007-10-15 2008-09-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KR101039522B1 (ko) * 2010-04-05 2011-06-08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9239A1 (en) 2005-10-26
US7653968B2 (en) 2010-02-02
KR100978709B1 (ko) 2010-08-30
EP1589239A4 (en) 2008-04-30
US20080201900A1 (en) 2008-08-28
US20060005353A1 (en) 2006-01-12
WO2004067976A1 (ja) 2004-08-12
US7434296B2 (en) 200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8068A (ko)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US9506281B1 (en) Compact bipositional lateral edge locking load bearing rotation lock mechanism
US9281856B2 (en) Support base for electronic device
JP2011503466A (ja) 携帯端末用自動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US20180145714A1 (en) Protect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tablet device
JP2003065321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8549709B2 (en) Button activated spring-loaded hinge assembly
US20100050382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20152581A1 (en) Hinge assembly for a cover
JP4372029B2 (ja) 枢着装置並びに枢着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3924195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80092336A1 (en) Hinge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TWI548321B (zh) 滑動機構及帶有該滑動機構的裝置
JP2004060697A (ja) 多段階展開ヒンジ装置
JP2005188531A (ja) プッシュオープンヒンジ装置
JP3668450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3910542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14882B1 (ko) 양 방향 개폐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 방향 개폐기기
JP4104967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3727271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JP4357520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N216692740U (zh) 一种夹持装置及支架
JP3910566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TWI802472B (zh) 具有腳架的電子裝置
JP3458105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