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618B1 -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0618B1 KR100530618B1 KR10-2002-0014575A KR20020014575A KR100530618B1 KR 100530618 B1 KR100530618 B1 KR 100530618B1 KR 20020014575 A KR20020014575 A KR 20020014575A KR 100530618 B1 KR100530618 B1 KR 1005306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driving
- cam follower
- hinge devic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힌지 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두 부재를 펼치고 접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부재가 다른 부재에 대하여 펼쳐질 때에는 한번에 펼침 각도 위치까지 펼쳐지고, 다시 접을 경우에는 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 요지
본 발명은, 두 부재를 펼치고 접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일측부에 정상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한 쌍의 구동 캠돌기가 구비된 캠 구동부재; 일측부는 상기 캠 구동부재의 구동 캠 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캠 종동돌기가 구비되고, 타측부는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 캠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캠 구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고,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함께 회전하는 제1 캠 종동부재; 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소정 회전 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하지 않고, 이외 회전 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하며, 회전운동은 방지되는 제2 캠 종동부재; 상기 제1및 제2 캠 종동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캠 구동부재, 제1 및 제2 구동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캠 구동부재, 제1 및 제2 캠 종동부재의 중심을 관통하여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접고 펼쳐지게 연결하는 두 부재 사이의 힌지장치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부재를 접고 펼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있어, 어느 한 부재가 다른 부재에 대하여 펼쳐질 때에는 한번에 펼침 각도 위치까지 펼쳐지고, 다시 접을 경우에는 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여 휴대 전화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킨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힌지장치에 의하여 결합된 두 개의 부재, 즉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접어 둔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할 때에는 펼쳐서 사용한다. 이 두 부재를 연결해주고 원활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힌지장치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단순히 전화 통화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입력, 동화상 감상에서 인터넷 접속까지 가능케 한다.
이러한 추세에도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는 펼치고 접을 때, 단 하나의 각도로만 펼쳐지고 접히는 방식과, 펼치고 접을 때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방식의 힌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하나의 각도로만 펼쳐지고 접히는 방식의 힌지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펼치고 접을 때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방식의 힌지장치는 단순히 통화를 위하여 한 번에 펼칠 수 없어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 부재를 펼치고 접도록 연결해주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부재가 다른 부재에 대하여 펼쳐질 때에는 한번에 펼침 각도 위치까지 펼쳐지고, 접을 때에는 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부재를 펼치고 접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일측부에 정상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한 쌍의 구동 캠돌기가 구비된 캠 구동부재; 일측부는 상기 캠 구동부재의 구동 캠 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캠 종동돌기가 구비되고, 타측부는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 캠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캠 구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고,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함께 회전하는 제1 캠 종동부재; 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소정 회전 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하지 않고, 이외 회전 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하며, 회전운동은 방지되는 제2 캠 종동부재; 상기 제1및 제2 캠 종동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캠 구동부재, 제1 및 제2 구동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캠 구동부재, 제1 및 제2 캠 종동부재의 중심을 관통하여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골부에는 상기 캠 구동부재의 구동 캠돌기 단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일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벽은 직각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 구동부재의 구동 캠돌기 단부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종동 캠돌기는 그 경사면의 기울기가 제1 캠 종동부재의 구동 캠돌기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캠 종동부재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소정 부위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구동 캠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종동돌기가 구비된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힌지 장치는 두 부재를 펼치고 접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로 어떠한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캠 종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는, 크게 캠 구동부재(10)와,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고,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함께 회전하는 제1 캠 종동부재(20)와,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타방향 회전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1 캠 종동부재(20)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제2 캠 종동부재(30)와, 상기 제1및 제2 캠 종동부재(20)(30)를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구성요소(10)(20)(30)(40)들이 수용되는 하우징(50) 및 상기 하우징(50)에 수용된 구성요소(10)(20)(30)(40)들의 중심을 관통하며, 그 구성요소들이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60)을 포함한다.
상기 캠 구동부재(10)는, 중앙에 상기 지지축(60)이 삽입되는 삽입공(10a)이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단부(13)가 후술하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삽입홈(23)에 삽입되는 한 쌍의 구동 캠 돌기(1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구동 캠 돌기(12)는 골부와 정상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1)의 삽입공(10a) 내측에는 상기 지지축(60)의 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돌기(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는, 중앙에 상기 지지축(60)이 삽입되는 삽입공(20a)이 형성되고,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캠 돌기(12)에 면하는 일측면은 대향되게 한 쌍의 캠 종동돌기(21)가 형성되고, 골부에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캠 돌기(12) 단부(13)가 삽입되는 삽입홈(23)이 형성되며, 타측부는 그 단부(24)가 후술하는 제2 캠 종동부재(30)의 삽입홈(33)에 삽입되는 한 쌍의 구동 캠돌기(2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에 형성되는 종동 캠돌기(21)와 구동 캠돌기(22)의 경사 기울기는 상기 구동 캠 돌기(22)가 더 큰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삽입홈(23)은 원주방향의 일측벽(23a)이 상기 캠 돌기(21)의 경사면에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타측벽은 직각벽(23b)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캠 구동부재(10)가 회전하는 방향의 제1 캠 종동부재(20) 삽입홈(23)의 일측벽(23a)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캠 구동부재(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캠 종동부재(20)에 대하여 구속되지 않고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에 반하여, 그 반대측벽은 직각벽(23b)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캠 구동부재(10)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에 구속되어 함께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삽입홈(23)에 삽입되는 캠 구동부재(10)의 캠 돌기(12) 단부(13)는 상기 삽입홈(2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 캠돌기(21)가 형성된 제1 캠 종동부재(20)의 일측면은 상기 캠 돌기(12)가 형성된 캠 구동부재(10)의 일측면과 서로 대응되어 안착된다.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는, 중앙에 상기 지지축(60)이 삽입되는 삽입공(30a)이 형성되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일면 소정 부위에 대칭되는 한 쌍의 종동돌기(31)가 형성된다.
상기 종동돌기(31) 사이의 평탄부(32)에는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의 단부(24)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삽입홈(3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3)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두 부재를 완전히 펼쳤을 때, 펼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는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의 삽입홈(33)은 원주 방향의 양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33)에 삽입되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 단부(24)는 상기 삽입홈(3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는 상기 하우징(50)내에서 직선운동은 가능하나 회전운동은 구속되게 구비된다. 예를 들면, 직선운동만 가능하고 회전운동은 방지되도록 별도의 구속수단을 구비한다거나, 하우징(50)에 양측벽을 평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캠 종동부재(20)를 상기 하우징(5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중앙으로 상기 지지축(60)이 통과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의 타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지지축(60)은,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삽입공(10a)과 제1 및 제2 캠 종동부재(20)(30)의 삽입공(20a)(30a) 및 탄성부재(40)를 통과하여 회전가능하여 지지하는 지지몸체(61)와, 상기 지지몸체(61)의 일단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그 단차부가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고정돌기(14)에 걸리는 단차 헤드(62) 및 상기 지지몸체(61)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50)의 외면에 밀착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조립된 상태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하 힌지 장치의 동작을 참조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힌지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본체로부터 펼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a 내지 6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로부터 펼치고 접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 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가 접혀지는 동작 과정에서의 힌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캠면 전개도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접혀져 있는 상태, 즉 도5 의 P1 위치에서의 힌지 장치는 도 6a 및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구동부재(10)의 구동 캠돌기(12) 단부(13)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삽입홈(23)에서 일정 각도만큼 종동 캠돌기(21)의 일측벽(23a)에 위치되어 한 부재에 항상 닫히고자 하는 힘을 제공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 단부(24)는 제2 캠 종동부재(31)의 삽입홈(33)에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4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펼치게 되면, 즉 캠 구동부재(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돌기(21) 경사면의 기울기가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작기 때문에, 캠 구동부재(10)의 구동 캠돌기(12) 단부(13)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돌기(21)의 일측 경사면을 타고 진행된다. 다시 말해서, 캠 구동부재(10)가 제1 캠 구동부재(20)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구동 캠돌기(12)가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돌기(21) 경사면을 타고 진행됨에 따라, 제1 캠 종동부재(20)와 제2 캠 종동부재(30)는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탄성부재(40)는 수축된다.
계속해서,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구동 캠 돌기(12)가 계속 진행되어 도 6c 및 도 6d 에 도시한 바와 같이(디스플레이부는 도 5 의 P2에 위치)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돌기(21) 정상부를 지나면서 제1 캠 종동부재(20)와 제2 캠 종동부재(30)는 후방으로 더 밀리게 되고,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돌기(21) 정상부를 지난 캠 구동부재(10)의 구동 캠돌기(12)는 상기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캠 종동부재(20)와 제2 캠 종동부재(30)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돌기(21) 타측 경사면을 타고 내려와 다시 제1 캠 종동부재(20)의 삽입홈(23)에 안착되어, 도 6e 및 도 6f(디스플레이부는 도 6의 P4에 위치)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의 펼침 동작시에는 캠 구동부재(10)만이 제1 및 제2 캠 종동부재(20)(3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 돌기(21)와 상호 동작되어 소정 정점을 지나면 외력 없이 자체적으로 펼침 위치까지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힌지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가 접히는 동작시의 힌지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f 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가 접혀지는 동작 과정에서의 힌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캠면 전개도이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져 있는 상태(도 5 의 P4 위치)에서의 힌지 장치는 도 6e 및 도 6f 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접는 동작을 실행하면, 즉 캠 구동부재(10)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캠 구동부재(10)의 캠 구동돌기(12)의 단부(13)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삽입홈(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3)의 직각벽(23a)이 형성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캠 구동돌기(12)의 단부(13)는 상기 삽입홈(23)의 직각벽(23a)에 걸리기 때문에, 캠 구동부재(10)는 제1 캠 종동부재(20)와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캠 구동부재(10)와 제1 캠 종동부재(20)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도 7a 와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 단부(24)는 제2 캠 종동부재(30)의 삽입홈(33)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 캠 종동부재(30)의 평면부(32)로 진행된다.
이 때,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이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측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가 구동 캠돌기(22) 단부(24)는 제2 캠 종동부재(30)의 평면부(32) 상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는 제2 캠 종동부재(30)의 평면부(32)의 임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여도 그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의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는 도 5 의 P3나 P3' 또는 P2'의 위치에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캠 종동부재(30)의 평면부(32)의 원주방향 길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캠 구동부재(10)와 제1 캠 종동부재(20)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도 7c 및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캠 종동부재(30)의 종동돌기(31)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 돌기(22)의 일측 경사면에 슬라이딩 되면서 구동 캠 돌기(22)의 정상부에 위치된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는 도 5 의 P2 위치가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는 후방으로 밀리고, 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0)는 더 수축된다.만약, 이때 사용자가 다시 디스플레이부를 P3나 P3'상태로 되돌릴 경우, 다시말해 종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디스플레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캠돌기 단부(13)는 종동 캠돌기(21)의 경사면을 가압하고, 상술된 디스플레이부가 닫힌 상태에서의 개방시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40)에 가압된 상태로, 상기 구동캠돌기(22)의 경사면은 종동돌기(31)에 지지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캠돌기 단부(13)은 종동 캠돌기(21)의 경사면을 타고 진행되지 않고, 탄성부재(4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캠 종동부재(20)와 캠 구동부재(10)는 고정된 상태로 같이 회전되어 다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위치된다.
다시,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상태인 디스플레이부의 위치가 도 5 의 P2인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기 캠 구동부재(10)와 제1 캠 종동부재(20)가 더 회전하게 되면, 도 7e 및 도 7f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의 종동돌기(31)는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의 타측 경사면으로 슬라이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는 완전히 접힌 도 5 의 P1 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의 종동돌기(31)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의 타측 경사면에 위치된 상태이고, 수축된 탄성부재(40)에 의하여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로 탄성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제1 캠 종동부재(20)는 양측 돌기 경사각의 차이에 의하여 제1 캠 종동부재(20)가 외력없이 회전되며, 상기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 단부(24)는 제2 캠 종동부재(30)의 삽입홈(33)에 안착되고, 이와 동시에 캠 구동부재(10)의 캠 구동돌기(12) 단부(13)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종동 캠돌기(21)의 일측벽(23a)의 경사면으로 올라가게 되어 도 6a 및 도 6b 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의 접는 동작시에는 캠 구동부재(10)와 제1 캠 종동부재(20)가 함께 회전하면서 평면부(32)를 갖는 제2캠 종동부재(30)와 상호 연동되어 평면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캠 구동부재(10)와 제1 캠 종동부재(20)의 회전이 계속되면, 제2 캠 종동부재(30)의 종동돌기(31)와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가 캠동작하게 되고,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력없이 제1 캠 종동부재(20)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캠 구동부재(10)와 제1 캠 종동부재(20)의 소정 회전 구간에서 상기 제2 캠 종동부재(30)는 직선운동을 하지 않고, 그외의 회전 구간에서는 제1 캠 종동부재(20)의 구동 캠돌기(22)와 제2 캠 종동부재(30)의 종동돌기(31)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어느 한 부재가 다른 부재에 대하여 펼쳐질 때에는 한번에 펼침 각도 위치까지 펼쳐지고, 접을 때에는 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여 통화시 빠른 대응을 위해 즉시 한 번의 펼침동작으로 이용할 수 있고, 동영상 감상등의 이용시에는 접으면서 원하는 시각의 임의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캠 종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측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로부터 펼치고 접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 내지 6f 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가 접혀지는 동작 과정에서의 힌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캠면 전개도.
도 7a 내지 도 7f 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힌지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가 접혀지는 동작 과정에서의 힌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캠면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캠 구동부재 11: 몸체
12: 구동돌기 13: 구동돌기 단부
20: 제1 캠 종동부재 21: 종동 캠돌기
22: 구동 캠돌기 23: 삽입홈
24: 구동 캠돌기 단부 30: 제2 캠 종동부재
31: 종동돌기 32: 평탄부
33: 삽입홈 40: 탄성부재
50: 하우징 60: 지지축
Claims (7)
- 두 부재를 펼치고 접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일측부에 정상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한 쌍의 구동 캠돌기가 구비된 캠 구동부재;일측부는 상기 캠 구동부재의 구동 캠 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캠 종동돌기가 구비되고, 타측부는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 캠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캠 구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고,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함께 회전하는 제1 캠 종동부재;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소정 회전 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하지 않고, 이외 회전 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하며, 회전운동은 방지되는 제2 캠 종동부재;상기 제1및 제2 캠 종동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상기 캠 구동부재, 제1 및 제2 구동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캠 구동부재, 제1 및 제2 캠 종동부재의 중심을 관통하여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골부에는 상기 캠 구동부재의 구동 캠돌기 단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일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벽은 직각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 구동부재의 구동 캠돌기 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힌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종동 캠돌기는 그 경사면의 기울기가 제1 캠 종동부재의 구동 캠돌기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작게 형성되는힌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캠 종동부재는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소정 부위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구동 캠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종동돌기가 구비된 평판으로 이루어지는힌지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2 캠 종동부재의 평면부에는 상기 제1 캠 종동부재의 구동 캠돌기 단부가 안착 및 이탈될 수 있는 삽입홈이 더 구비되는힌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캠 구동부재는중앙에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지지축의 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한 쌍의 구동 캠돌기가 구비되는힌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힌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575A KR100530618B1 (ko) | 2002-03-18 | 2002-03-18 | 힌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575A KR100530618B1 (ko) | 2002-03-18 | 2002-03-18 | 힌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5388A KR20030075388A (ko) | 2003-09-26 |
KR100530618B1 true KR100530618B1 (ko) | 2005-11-23 |
Family
ID=3222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4575A KR100530618B1 (ko) | 2002-03-18 | 2002-03-18 | 힌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06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5100B1 (ko) | 2005-10-31 | 2007-08-01 | 정회관 | 도어의 힌지 장치 및 밀폐 도어 |
KR100978709B1 (ko) | 2003-01-31 | 2010-08-30 |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9165B1 (ko) * | 2004-10-22 | 2006-12-19 | 배헌종 | 힌지구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8461A (ko) * | 1999-05-24 | 1999-09-06 | 김기영 | 폴더형휴대폰의덮개펼침방법및그장치 |
JP2000337008A (ja) * | 1999-05-31 | 2000-12-05 | Sugatsune Ind Co Ltd |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
KR20010098442A (ko) * | 2000-04-11 | 2001-11-08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
KR20030074034A (ko) * | 2002-03-13 | 2003-09-19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힌지장치 |
KR100439744B1 (ko) * | 2000-04-24 | 2004-07-12 | (주)이엘에스 |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
-
2002
- 2002-03-18 KR KR10-2002-0014575A patent/KR1005306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8461A (ko) * | 1999-05-24 | 1999-09-06 | 김기영 | 폴더형휴대폰의덮개펼침방법및그장치 |
JP2000337008A (ja) * | 1999-05-31 | 2000-12-05 | Sugatsune Ind Co Ltd |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
KR20010098442A (ko) * | 2000-04-11 | 2001-11-08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
KR100439744B1 (ko) * | 2000-04-24 | 2004-07-12 | (주)이엘에스 |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
KR20030074034A (ko) * | 2002-03-13 | 2003-09-19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힌지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8709B1 (ko) | 2003-01-31 | 2010-08-30 |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
KR100745100B1 (ko) | 2005-10-31 | 2007-08-01 | 정회관 | 도어의 힌지 장치 및 밀폐 도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5388A (ko) | 2003-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5709B1 (ko) | 힌지장치 | |
KR100675734B1 (ko) |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 |
KR102062240B1 (ko) | 플렉시블 액정용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 |
JP2003028138A (ja) | 移動通信端末機のカバー開閉装置 | |
US7536750B2 (en) | Multi-section hinge mechanism | |
JP2004308872A (ja) |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KR20190094285A (ko) | 탄성구동체 | |
KR100504145B1 (ko)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 |
KR20030086017A (ko) |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 |
KR100930137B1 (ko) | 이동단말기 | |
KR100530618B1 (ko) | 힌지 장치 | |
JP2005188641A (ja) | 二軸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折畳み式の携帯電話機 | |
KR100506380B1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JP2004308891A (ja) | 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 |
JP2910721B2 (ja) |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 |
JP3088351B2 (ja) | ワンタッチ操作可能なヒンジ構造 | |
KR100405055B1 (ko) | 힌지장치 | |
US20120049710A1 (en) | Electrical device with rotation mechanism | |
KR100474633B1 (ko) | 휴대폰의 개폐장치 | |
KR200439440Y1 (ko) | 평행한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가장착된 휴대전화기 | |
KR100654470B1 (ko) |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 |
JP2005220973A (ja) |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用いた構成体 | |
JP2005217795A (ja) | 折畳式情報端末および折畳式情報端末の回転角制御方法 | |
JP4173295B2 (ja) | ヒンジ装置 | |
JP2005009602A (ja) | ヒンジ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