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442A -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442A
KR20010098442A KR1020010017331A KR20010017331A KR20010098442A KR 20010098442 A KR20010098442 A KR 20010098442A KR 1020010017331 A KR1020010017331 A KR 1020010017331A KR 20010017331 A KR20010017331 A KR 20010017331A KR 20010098442 A KR20010098442 A KR 2001009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asing
slide cam
cylindrical cas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050B1 (ko
Inventor
하야시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9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각도를 규제하는 힌지 유닛을 이용하여, 보스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보증함과 아울러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의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는 힌지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고정부(46) 내에는 통형상 케이스(45)가 배치되어 있고, 통형상 케이스(45)의 축심부에는 샤프트(34)가 끼워져 있다. 한편, 슬라이드 캠(38)의 외주면에는 통형상 케이스(45)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49)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캠(38)은 통형상 케이스(4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힌지 유닛(10)으로서 일체로 조립된 슬라이드 캠(38)을 통형상 케이스(4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부(46)에 통형상 케이스(45)를 부착하는 것만에 의해서 덮개(20)를 회전시킬 때의 요동이 없어진다. 따라서, 힌지 유닛(10) 자체에 의해서 슬라이드 캠(38)의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증됨과 아울러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이 흡수된다.

Description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Hinge unit and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힌지 유닛과, 이 힌지 유닛을 이용하여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는 접이식 휴대전화(100)에 사용되는 힌지 유닛(102A,102B)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힌지 유닛(102A,102B)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104) 및 제 2 케이싱(106)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케이싱(106)에 형성된 제 2 힌지부(108A,108B)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돌기(110A,110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보스(112A,112B)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0A,110B)에 걸어맞춤 가능한 가이드 홈(114A,11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보스(112A,22B)는, 가이드 홈(114A,114B)에 가이드 돌기(110A,110B)가 걸어맞춰지는 상태로 제 2 힌지부(108A,108B) 내에 배치되며, 따라서 제 2 힌지부(108A,108B)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암보스(112A,112B)의 일단면에는 스프링(124A,124B)이 맞닿아 있으며, 이 스프링(124A,124B)에 의해서 암보스(112A,112B)가 후술하는 수보스(120A,120B)측으로 탄지되게 된다. 또, 암보스(112A,112B)의 타단면에는 대략 V자형상의 오목부(116A, 116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케이싱(104)에 형성된 제 1 힌지부(118A,118B) 내에는 상기 암보스(112A,112B)와 대면하는 수보스(120A,120B)가 배치되어 있으며, 암보스(112A, 112B)측으로의 단면에는 암보스(112A,112B)의 오목부(116A,116B)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부(122A,122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케이싱(104)과 제 2 케이싱(106)을 상대 회전시키면, 수보스 (120A,120B)의 볼록부(122A,122B)와 암보스(112A,112B)의 오목부(116A,116B)의 걸어맞춤상태에 따라서 암보스(112A,112B)가 스프링(124A,124B)에 의해서 제 2 힌지부(108A,108B)의 축방향으로 슬리이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힌지 유닛(102A,102B)에서는 암보스(112A,112B)가 직접 제 1케이싱(104) 및 제 2 케이싱(106)에 장착되기 때문에, 힌지 유닛(102A,102B)을 제 1 케이싱(104) 및 제 2 케이싱(106)에 조립하였을 때, 제 1 케이싱(104), 제 2 케이싱(106) 및 힌지 유닛(102A,102B)의 각각의 제조오차에 의해서, 암보스(112A, 112B)가 제 2 힌지부(108A,108B)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제 1 케이싱(104), 제 2 케이싱(106)의 회전방향으로의 요동(덜거덕거림)이 발생하지 않는 힌지구조를 얻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암보스(112A,112B)와 제 2 힌지부(108A,108B) 간에는, 암보스(112A, 112B)를 제 2 힌지부(108A,108B)에 대하여 여유(clearance)를 갖게 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제 1 케이싱(104) 및 제 2 케이싱(106)에 부착된 좌우 보스의 위상(位相)을 변경하여 상기 여유를 흡수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이한 보스형상의 금형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스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보증함과 아울러,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의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부착부분을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부착부분을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A)는 힌지 유닛의 측단면도,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폐쇄된 상태의 측면도, (C)는 캠 면의 이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7의 (A)는 힌지 유닛의 측단면도,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중간까지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C)는 캠 면의 이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8의 (A)는 힌지 유닛의 측단면도,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C)는 캠 면의 이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9는 종래의 힌지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힌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힌지 유닛 14 - 본체(제 1 케이싱)
15 - 스토퍼 20 - 덮개(제 2 케이싱)
28 - 고정 캠 36 - 압축 코일 스프링(탄지수단)
38 - 슬라이드 캠 45 - 통형상 케이스
47 - 홈부(걸어맞춤부) 48 - 돌기(피걸어맞춤부)
49 - 걸어맞춤 볼록부(피걸어맞춤부) 51 - 걸어맞춤 오목부(걸어맞춤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샤프트에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드 캠 및 고정 캠이 끼워져 있으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캠은 탄지수단에 의해서 고정 캠측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캠과 고정 캠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캠 및 고정 캠의 맞닿음면에는 캠 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 면은 슬라이드 캠과 고정 캠의 상대 회전각도에 따라서 접촉/이탈하여 전면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형태를 취한다.
한편, 슬라이드 캠은 통형상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드 캠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캠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함과 아울러 슬라이드 캠의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을 흡수한다.
상기한 힌지 유닛에 있어서, 덮개에 통형상 케이스를 고정하고 본체에 고정 캠을 고정한 경우를 상정하면, 슬라이드 캠과 고정 캠의 맞닿음면에는 각각 캠 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캠과 슬라이드 캠의 상대 회전각도에 따라서 전면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상태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덮개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개방시키면, 덮개와 함께 통형상 케이스가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캠이 캠 면의 기능에 의해서 통형상 케이스 내로 압입됨으로써, 캠 면의 맞닿음 형태가 일부 맞닿음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단계에서 덮개를 더 개방하면,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캠이 고정 캠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하는 힘은 캠 면에 의해서 슬라이드 캠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힌지 유닛의 통형상 케이스 내에서 슬라이드 캠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캠의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이 흡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및 덮개에 상기 힌지 유닛을 고정시키는 것만에 의해서, 덮개는 요동이 없는 상태로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통형상 케이스가 없는 종래의 힌지 유닛을 본체 및 덮개에 장착하였을 때와 같이, 장착부와 슬라이드 캠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요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체 및 덮개의 힌지 유닛의 부착부와 힌지 유닛의 각각의 제조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통형상 케이스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캠이 통형상 케이스 내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저항을 받기 때문에, 덮개가 천천히 샤프트의 둘레를 회전하게 됨으로써 고급감을 주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1 케이싱에 고정 캠을 부착하고, 제 2 케이싱에 통형상 케이스를 부착하여,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에 힌지 유닛을 고정하는 것만에 의해서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요동되는 일 없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과 힌지 유닛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요동을 문제로 하는 종래의 힌지 구조에 비해 부착이 간단하다.
또, 슬라이드 캠과 고정 캠이 상대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회전토크 등의 기계적인 수치는 힌지 유닛 자체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제 1 케이싱 및 제 2케이싱의 치수오차 등에 의한 회전토크의 분산이 적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2 케이싱에 복수의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에는 통형상 케이스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 1 케이싱에는 상기 축부에 대향하는 복수의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부에는 고정 캠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위상이 다른 보스를 배치함에 의해서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을 흡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복수의 축부에 동일한 힌지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보스의 위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을 공유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금형으로 힌지 유닛을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통형상 케이스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제 2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추는 것만에 의해서 통형상 케이스가 제 2 케이싱에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2 케이싱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케이싱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가 제 1 케이싱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 2 케이싱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힌지 유닛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없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10)(도 4 참조)이사용된 휴대전화(1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전화(12)의 본체(14)(제 1 케이싱)의 단부에는 대략 각주(角柱)형상의 지지체(16)(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체(16)의 양측 및 다이얼부(18)는 오목하게 절결되어 있으며, 덮개(20)(제 2 케이싱)가 덮여졌을 때에 본체(14)의 외면과 덮개(20)의 외면이 일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체(16)에 끼워맞춰지도록 상기 덮개(20)에서 돌출형성된 대략 원기둥형상의 2개의 축부(22)에는 힌지 유닛(10)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힌지 유닛(10)에 의해서 축부(22)가 지지체(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축부(22) 중 어느 일측에는 스토퍼(15)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스토퍼(15)가 지지체(16)의 받이시트(16A)에 맞닿음으로써 덮개(20)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힌지 유닛(10)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없다.
상기 지지체(16)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2)와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원기둥형상의 수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24)의 내주벽에는 축부(22)측의 일부에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힌지 유닛(10)을 구성하는 고정 캠(28)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체의 일단부에 캠 면(32)을 오목하게 형성한 것으로서, 샤프트(3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고정 캠(28)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납부(24)의 가이드 돌기를 따라서 슬리이드 가능한 가이드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고정 캠(28)은 수납부(24)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지지체(16)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부(22)에는 지지체(16)와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원기둥형상의 고정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부(46)의 내주벽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돌기(48)(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부(46) 내에는 통형상 케이스(45)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통형상 케이스(45)의 축심부(軸芯部)에는 샤프트(34)가 끼워져 있다. 이 통형상 케이스(45)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돌기(48)에 걸어맞춤 가능한 홈부(47)(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형상 케이스(45)는 고정부(46)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며, 축부(22)와 일체로 되어 샤프트(34)의 둘레를 회전한다.
또, 통형상 케이스(45)는 그 두께가 일정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통형상 케이스(45)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47)에 대향하여 그 내주면에는 걸어맞춤 볼록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케이스(45)의 내주면에는 단턱부(45A)가 형성되어 있으며{도 6의 (A) 참조}, 이 단턱부(45A)를 경계로 하여 통형상 케이스(45)는 대경측(大徑側)과 소경측(小徑側)으로 구별된다. 통형상 케이스(45)의 대경측의 내경 칫수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캠(38)의 외경 칫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드 캠(38)이 통형상 케이스(45)에 수납 가능하게 된다. 또, 통형상 케이스(45)의 소경측의 내경 칫수는 후술하는 샤프트(34)의 플랜지부(40)의 외경 칫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드 캠(38)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한다.
여기서, 통형상 케이스(45)의 대경측의 개구단부에서 단턱부(45A)까지의 길이는 슬라이드 캠(38)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캠(38)은 상기 고정 캠(28)과의 맞닿음에 의해서 통형상 케이스(45)의 내주면을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슬라이드 캠(38)의 외주면에는 상기 통형상 케이스(45)의 걸어맞춤 볼록부 (49)(피걸어맞춤부)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51)(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캠(38)은 통형상 케이스(45)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가능하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 유닛(10)으로서 일체로 조립된 슬라이드 캠(38)을 통형상 케이스(45)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부(46)에 통형상 케이스(45)를 부착하는 것만에 의해서 덮개(20)를 회전시킬 때의 요동이 없어진다.
따라서, 힌지 유닛(10) 자체에 의해서 슬라이드 캠(38)의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증됨과 아울러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이 흡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본체 또는 덮개에 힌지 유닛의 슬라이드 캠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오차에 의한 요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 슬라이드 캠(38)과 고정 캠(28)이 상대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회전토크 등의 기계적인 수치는 힌지 유닛(10) 자체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본체(14) 및 덮개(20)의 칫수오차 등에 의한 회전토크의 분산이 적다.
여기서, 통형상 케이스(45)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캠(38)이 통형상 케이스(45) 내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저항을 받기 때문에, 덮개(20)가 천천히 샤프트(34)의 둘레를 회전하게 됨으로써 고급감을 주게 된다.
한편, 샤프트(34)의 일단부측에 형성된 플랜지부(40)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36)의 일단부가 맞닿아 있으며, 이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타단부는 슬라이드 캠(38)에 맞닿아서 이 슬라이드 캠(38)을 고정 캠(28)측으로 탄지하고 있다. 또, 샤프트(34)의 타단부측에는 대략 타원형상의 스토퍼(44)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고정 캠(28)이 샤프트(34)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계속해서, 슬라이드 캠(38)과 고정 캠(28)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드 캠(38)에는 고정 캠(28)의 캠 면(32)과 걸어맞춤 가능한 캠 면(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캠(38)의 캠 면(33)의 정상부(33A)와 고정 캠(28)의 캠 면(32)의 계곡부(32B)가 이맞물림되어 있지 않고, 캠 면(32,33)끼리가 전면에 걸쳐서 맞닿아 있지 않다.
즉, 압축 코일 스프링(36)에 의해서 탄지되는 슬라이드 캠(38)은, 압축 코일 스프링(36)으로부터 받는 추진력이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됨으로써, 슬라이드 캠(38)을 수납한 통형상 케이스(45)를 통해서 덮개(20)를 본체(14)측으로 압압시킨다. 따라서, 덮개(20)는 요동되는 일 없이 본체(14)를 커버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12)를 꺼꾸로 놓더라도 덮개 (20)가 개방되지 않는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0)를 화살표 M방향으로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개방시키면, 캠 면(33)의 정상부(33A)와 캠 면(32)의 기능에 의해서, 슬라이드 캠(38)이 고정 캠(28)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통형상 케이스(45)의 내측으로 되밀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덮개(20)가 정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캠(38)의 캠 면(33)의 정상부(33A)와 고정 캠(28)의 캠 면(32)의 에지부(32A)가 맞닿는 위치까지 덮개(20)를 개방시키면(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상태에서의 덮개(20)의 개방 각도가 θ=150°로 설정되어 있다), 클릭감이 얻어짐과 동시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면(33)의 정상부(33A)가 캠 면(32)의 계곡부(32B)를 향해서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써, 덮개(20)가 자연스럽게 M방향으로 개방된다(개방각도 θ=160°).
즉, 캠 면(32)과 캠 면(33)의 기능에 의해서,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탄지력에 의해서 눌려지는 슬라이드 캠(38)의 축방향으로의 이동력이 슬라이드 캠(38)의 회전력(화살표 Q방향)으로 변환된다.
상기 덮개(20)의 개방상태에서 덮개(20)를 더 개방하려고 하여도, 축부(22)에 돌출형성된 스토퍼(15)가 지지체(16)의 받이시트(16A)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덮개(20)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캠(38)의 캠 면(33)의 정상부(33A)와 고정 캠 (28)의 캠 면(32)의 계곡부(32B)가 이맞물림되어 있지 않고, 캠 면(32,33)끼리가 전면에 걸쳐서 맞닿아 있지 않다.
따라서, 압축 코일 스프링(36)에 의해서 탄지되는 슬라이드 캠(38)이 통형상 케이스(45)와 함께 M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기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45)를 통해서 덮개(20)의 스토퍼(15)가 지지체(16)의 받이시트(16A)에 맞닿는다. 따라서, 덮개(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요동되는 일 없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캠(38)과 고정 캠(28)의 맞닿음면에 각각 캠 면(32,33)을 형성함으로써, 힌지 유닛(10)을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위상이 다른 보스를 배치함에 의해서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좌우 축부(22)에 동일한 힌지 유닛(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보스의 위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을 공유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금형으로 힌지 유닛(10)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캠(38)에 걸어맞춤 오목부(51)를 형성하고, 통형상 케이스 (45)에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51)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볼록부(49)를 형성하였으나, 슬라이드 캠(38)과 통형상 케이스(45)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출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요철(凹凸)을 반대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 통형상 케이스(45)에 홈부(47)를 형성하고, 고정부(46)에는 상기 홈부 (47)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48)를 형성하였으나, 통형상 케이스(45)를 고정부 (46)에 고정할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요철을 반대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유닛(10)을 본체(14) 및 덮개(20)의 좌우에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힌지 유닛(10)을 복수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본체(14) 및 덮개(20)의 형상에 따라서는 상기 힌지 유닛(10)이 1개라 하더라도 충분히 요동없는 상태로 회전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임시 조립한 힌지 유닛(10)을 구성함으로써, 힌지 유닛(10)에 대한 하중시험이나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케이스(45)를 덮개(20)에 배치함과 아울러 고정 캠(28)을 본체(14)에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배치하여도 된다. 또, 조립의 간편성을 고려한 힌지 유닛(10)으로서가 아니라 단순한 힌지구조로서 생각한 경우에는, 축부(22)의 일측을 축부재로 축지지하고, 축부(22)의 타측에 통형상 케이스 (45) 및 고정 캠(28)을 배치한 후, 압축 코일 스프링(36)에 의해서 탄지력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덮개(20)의 개방 각도는 캠 면(32)의 형상을 변경함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체(14)에 대하여 덮개(20)를 회전 가능하게 한 휴대전화(12)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힌지 유닛(10)을 이용한 제품이면 되기 때문에, 접이식 휴대전화에 대해서도 본 발명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 뿐만 아니라, AV기구의 덮개와 같이 개방 각도가 설정되어 있는 것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통형상 케이스가 없는 종래의 힌지 유닛을 본체 및 덮개에 장착했을 때에 장착부와 슬라이드 캠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요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체 및덮개의 힌지 유닛의 부착부와 힌지 유닛의 각각의 제조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캠이 통형상 케이스 내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저항을 받기 때문에, 덮개가 천천히 샤프트의 둘레를 회전하게 됨으로써 고급감을 주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과 힌지 유닛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요동을 문제로 하는 종래의 힌지 구조에 비해 부착이 간단하다. 또, 슬라이드 캠과 고정 캠이 상대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회전토크 등의 기계적인 수치는 힌지 유닛 자체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의 치수오차 등에 의한 분산이 적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복수의 축부에 동일한 힌지 유닛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을 공유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금형으로 힌지 유닛을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추는 것만에 의해서 통형상 케이스가 제 2 케이싱에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힌지 유닛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없다.

Claims (6)

  1. 샤프트에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축방향을 따라서 외주면에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슬라이드 캠과,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대 회전하는 고정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을 상기 고정 캠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캠이 수납되며, 수납된 슬라이드 캠의 회전방향으로의 요동을 흡수하는 통형상 케이스와,
    상기 고정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맞닿음면에, 고정 캠과 슬라이드 캠의 상대 회전각도에 따라서 접촉/이탈하여 전면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형태를 취하는 캠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케이스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유닛.
  3. 제 1 케이싱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정 캠을 부착하고, 제 2케이싱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통형상 케이스를 부착하여,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에 복수의 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에 대향하는 복수의 유지부를 상기 제 1 케이싱에 형성하고,
    상기 축부에 상기 통형상 케이스를 장착하고, 상기 유지부에 상기 고정 캠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 케이싱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에는, 제 2 케이싱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제 1 케이싱에 맞닿아서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KR10-2001-0017331A 2000-04-11 2001-04-02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KR100418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9901A JP2001295829A (ja) 2000-04-11 2000-04-11 ヒンジユニット及びヒンジ構造
JP2000-109901 2000-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442A true KR20010098442A (ko) 2001-11-08
KR100418050B1 KR100418050B1 (ko) 2004-02-11

Family

ID=1862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331A KR100418050B1 (ko) 2000-04-11 2001-04-02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295829A (ko)
KR (1) KR100418050B1 (ko)
TW (1) TW5760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69B1 (ko) * 2002-03-13 2005-01-27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530618B1 (ko) * 2002-03-18 2005-11-23 이영화 힌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682B1 (ko) 2003-06-19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고
JP4306436B2 (ja) * 2003-12-11 2009-08-05 三菱製鋼株式会社 ハーネス配線が可能な2軸ヒンジ機構
JP5223593B2 (ja) * 2008-10-29 2013-06-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1936330B (zh) * 2009-06-30 2013-07-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JP2015084351A (ja) * 2013-10-25 2015-04-3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チルト機構
CN109152246B (zh) * 2017-06-16 2021-08-31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转轴及电子设备
CN108294426A (zh) * 2017-12-29 2018-07-20 张家港鸿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手拎式钱箱
KR102039328B1 (ko) * 2018-02-19 2019-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품 보호 구조를 갖는 전자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69B1 (ko) * 2002-03-13 2005-01-27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530618B1 (ko) * 2002-03-18 2005-11-23 이영화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050B1 (ko) 2004-02-11
JP2001295829A (ja) 2001-10-26
TW576073B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4838B2 (en) Hinge and a mobile phone with the hinge
KR100421083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JP3739250B2 (ja) ヒンジ
JP3732619B2 (ja) ヒンジ装置
US7299523B2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594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568263B2 (en) Hinge apparatus and watch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JP3220412B2 (ja) ヒンジ機構及びヒンジユニット
JPH0879346A (ja) 携帯用電話機のヒンジ機構
KR100790175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방법
JP4625321B2 (ja)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4360593B2 (ja) ヒンジ構造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
KR100227866B1 (ko) 힌지기구 및 힌지유니트
JP2006170255A5 (ko)
KR100375701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KR20040027273A (ko) 접철식 전자기기
EP1619399B1 (en) Hinge
KR10076985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장치
JP2001223479A (ja) ヒンジユニット
KR200346616Y1 (ko) 힌지
KR200353381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CN110671418B (zh) 枢轴结构及应用其的壳体
JP2005337461A (ja) 二軸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