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707B1 -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707B1
KR100857707B1 KR1020070103464A KR20070103464A KR100857707B1 KR 100857707 B1 KR100857707 B1 KR 100857707B1 KR 1020070103464 A KR1020070103464 A KR 1020070103464A KR 20070103464 A KR20070103464 A KR 20070103464A KR 100857707 B1 KR100857707 B1 KR 10085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using
vehicle
covering shelf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배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4Rea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치백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고정되어 힌지로드를 갖는 커버링 쉘프를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링 쉘프 개폐체에 있어서, 이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 이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일측에 힌지로드가 결합되는 로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회동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재; 이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전·후 이동되도록 수용되며, 일측에 회동돌기에 상응하는 회동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일측이 회동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슬라이딩부재에 지지되는 탄성체; 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이 슬라이딩부재에 지지 되며, 외주면에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재; 이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 되는 커버; 일측이 이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커버에 지지되는 지지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가 제공된다.
헤치백 차량, 커버링 쉘프, 러기지 사이드 트림, 회동부재, 슬라이딩부재, 지지부재

Description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covering shel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커버링 쉘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치백 차량의 커버링 쉘프를 테일 게이트 도어의 개폐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치백 타입의 차량(도 1 참조)은 노치백 타입의 차량과 달리 트렁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리어 시트(rear seat)와 테일 게이트 도어(tail gate door,300) 사이를 트렁크로 사용한다. 이 트렁크의 상면에 커버링 쉘프(covering shelf)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트렁크를 차폐함과 동시에 그 상면에 작은 물품 등을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커버링 쉘프는 테일 게이지 도어에 고정 로프로 고정되어 테일 게이지 도어가 열려 짐에 따라 동시에 올라가게 되어 공간 내부로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68612호(1992.11.17) "자동차용 커버링 쉘프의 힌지결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는 테일 게이지 도어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따라서, 커버링 쉘프에 물건을 올려놓았을 경우 테일 게이지 도어를 열면 커버링 쉘프가 고정 로프의 당김에 의해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그 위에 올려져 있는 물건들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 로프 이탈시에는 다른 걸림 구조가 없어 사용시 불편하고, 고정로프가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시 걸림이 발생하고, 사용자에 의한 조절시(커버링 쉘프의 고정 로프를 테일 게이지 도어에 걸거나 걸지 않거나 함)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일 게이지 도어의 개폐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커버링 쉘프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와 관련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고정되어 힌지로드를 갖는 커버링 쉘프를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링 쉘프 개폐체에 있어서, 이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 이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일측에 힌지로드가 결합되는 로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회동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재; 이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전·후 이동되도록 수용되며, 일측에 회동돌기에 상응하는 회동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일측이 회동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슬라이딩부재에 지지되는 탄성체; 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이 슬라이딩부재에 지지 되며, 외주면에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재; 이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 되는 커버; 일측이 이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커버에 지지되는 지지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테일 게이지 도어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커버링 쉘프를 개폐함과 더불어 작동 성능이 우수한 커버링 쉘프 개폐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커버링 쉘프 개폐체가 러기지 사이드 트림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여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에 채용된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5 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의 설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1)는 하우징(10), 회동부재(20), 슬라이딩부재(30), 탄성체(40), 지지부재(50), 커버(60), 지지탄성체(7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동부재(20)와 슬라이딩부재(30)와 지지부재(50) 등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후술할 회동몸체(21)가 지지되는 반원 형상의 지지홈(11)과 후술할 지지원판을 지지하는 단턱(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12)과 이격 된 위치에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3)의 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4)이 형성된다. 나 아가,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결합돌기(15)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12)은 후술할 회전부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홈(13)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의 내주면 중앙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후술할 슬라이딩부재(30)와 지지부재(50)가 전·후 이동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14)은 도 2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된 지지부재(50)의 걸림돌기(52)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도 6b 참조)을 한다. 상기 결합돌기(15)는 하우징(10)이 러기지 사이드 트림(200)에 용이하게 결합(러기지 사이드 트림(200)에 결합돌기(15)에 상응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음)되도록 함과 더불어 결합 된 후 헛돌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100)의 힌지로드(11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며, 하우징(10)의 지지홈(11)에 지지되며 로드홈(21a)을 갖는 회동몸체(21)와, 상기 회동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10)의 단턱(12)에 걸리는 회동판(22)과, 상기 회동판(22)에 형성되는 회동돌기(23)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몸체(21)에는 로드홈(21a)이 형성되어 있어 단면상 반원 형상을 가지며, 이 로드홈(21a)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100)의 힌지로 드(110)가 결합 된다. 구체적으로, 힌지로드(110)의 단부에는 상기 회동몸체(2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걸림체(110a)가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몸체(21)와 면 접촉한다. 따라서, 힌지로드(110)가 회전하면 걸림체(110a)가 회동몸체(21)에 면 접촉되어 있으므로 회동부재(20)는 힌지로드(110)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동판(22)은 얇은 두께를 갖는 원형 형상의 판으로 회전부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돌기(23)는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22)의 중앙 부분 양 가장자리면 일직선상에 각각 1개씩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슬라이딩부재(3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출력 수단이 된다.
슬라이딩부재(30)는 상기 회동부재(20)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10) 내에서 전·후로 이동되어 회동부재(20)를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회동부재(20)의 회동돌기(23)와 상응하는 회동홈(3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용홈(31b)이 형성된 슬라이딩몸체(31)와, 상기 슬라이딩몸체(31)가 하우징(10)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시 하우징(10)의 가이드홈(13)에 지지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돌기(32)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홈(31a)은 바람직하게는 도 2를 기준으로 바닥(31aa)과 좌 측벽(31ab)과 우 측벽(31ac)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몸체(31)에 4개가 이격 형성된 다. 구체적으로, 좌 측벽(31ab)은 바닥(31aa)과 직각을 이루어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며, 우 측벽(31ac)은 바닥(31aa)과 경사를 이루어 회동부재(20)의 회동돌기(23)가 우 측벽(31ac)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고 그 결과 슬라이딩부재(30)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용홈(31b)은 후술할 지지부재(50)의 수용돌기(51a)가 수용되는 것으로 지지부재(50)를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시킨다. 또한, 수용홈(31b)은 지지부재(50)가 하우징(10)의 걸림턱(14)에 걸렸을 경우 원활히 회전되도록 결합 되었을시 수용돌기(51a)와 적정 유격을 갖는다.
탄성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판(22)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부재(30)에 지지 된다. 상기 탄성체(40)는 회동부재(20)와 슬라이딩부재(30) 간에 적절한 반발력을 가지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지지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재(30)의 수용홈(31b)에 삽입되는 수용돌기(51a)를 갖는 지지몸체(51)와, 상기 지지몸체(5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0)의 가이드홈(13)에 지지되는 걸림돌기(52)와, 상기 지지몸체(51)의 타측에 형성되는 회전지지돌기(5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회동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부재(30)와 함께 하우징(10) 후방(도 2 기준)으로 이동된 후 하우징(10)의 걸림턱(14)에 걸려 후술할 지지탄성체(7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을 막아준다(도 6b 참조). 이때, 지지부재(50)는 후술할 커버(60)를 따라 회전하는 데 이에 대한 내용은 커버(60) 부분에서 설명한다.
커버(60)는 도 2를 기준으로 하우징(10)의 후방에 끼워 맞춤 결합 되며, 이 커버(60)의 일측에는 한 쌍의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가 이격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의 두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데(도 2 참조), 이는 지지부재(50)가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를 따라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한,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 사이의 이격 공간은 하우징(10)의 가이드홈(13)과 일직선상에 형성되되, 가이드홈(13) 보다 넓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50)는 회동부재(20)의 회전에 의해 도 2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된 후 걸림턱(14)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재(50)의 회전지지돌기(53)는 커버(60)의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에 접촉되고, 후술할 지지탄성체(70)는 압축되어 최대의 탄성에너지를 갖게 된다. 지지부재(50)가 걸림턱(14)에 걸리면서 가이드홈(13)에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압축된 탄성에너지를 갖는 지지탄성체(70)와 두께를 달리 갖는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에 의해 지지부재(50) 는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를 따라서 회전된다.
지지탄성체(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이 지지부재(50)에 지지되고 타측이 커버(60)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탄성체(70)는 하우징(10)의 걸림턱(14)에 걸린 지지부재(50)를 다시 하우징(10)의 가이드홈(13)으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체(40)보다 높은 스프링 상수를 갖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걸림턱(14)에 걸린 지지부재(50)가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를 따라서 회전되다가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 압축된 지지탄성체(70)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가이드홈(13)으로 삽입된다. 이는 회동부재(20)의 회동돌기(23)는 슬라이딩부재(30)의 회동홈(31a) 우측벽을 따라서 상승 된 후 다음 회동홈(31a)으로 삽입되므로 지지부재(50)에 작용 되는 힘은 탄성체(40)와 지지탄성체(70) 뿐이고, 지지탄성체(70)는 탄성체(40)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갖고 있고, 회전지지돌기(53)가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경우 걸림돌기(52)가 가이드홈(13)과 동일 선상에 있으므로 지지부재(50)를 가이드홈(13)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도 6 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의 작동 상태도로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a는 커버링 쉘프가 닫혀져 있는 상태이고, 도 6b는 커버링 쉘 프가 열리려고 하는 상태이고, 도 6c는 커버링 쉘프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커버링 쉘프(100)를 들어올리면 걸림체(110a)를 갖는 힌지로드(110)와 연결된 회동부재(20)가 회전된다. 회동부재(20)가 회전되면서 회동돌기(23)가 슬라이딩부재(30)의 회동홈(31a) 우 측벽(31aa,도 2 참조)을 따라서 상승하고, 그 결과 슬라이딩부재(30)와 지지부재(50)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후방으로 이동된 지지부재(5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4)에 걸려 지지탄성체(70)의 탄성력을 막아준다. 이 상태를 살펴보면, 회전지지돌기(53)와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는 접촉되어 있고, 슬라이딩부재(30)는 탄성체(40)에 의해 회동부재(20)와 이격 되어 있으므로 회동부재(20)는 자유롭게 회동 된다. 계속해서 커버링 쉘프(100)를 들어올리면 회동부재(20)의 회동돌기(23)는 다음번 회동홈(31a)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 동안 지지부재(50)는 지지탄성체(70)와 회전지지돌기 가이드(60a)의 두께 변화에 따라 회전되어 다시 처음의 위치 즉 가이드홈(13)과 걸림돌기(52)가 평행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탄성체(70)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지지부재(50)는 하우징(10) 전방으로 이동되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10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커버링 쉘프(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링 쉘프(100)를 살짝 들어올리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20)가 슬라이딩부재(30)와 지지부재(50)를 밀어내서 지지부재(50)는 걸림턱(14)에 걸리고, 이 상태에서 회동부재(20)는 슬라이딩 부재(30)에 잠긴 상태가 해제되므로 커버링 쉘프(10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역회전하게 되어 도 6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헤치백 차량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의 단면도,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에 채용된 하우징의 정면도,
도 5 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의 설치 상태도,
도 6 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커버링 셀프 개폐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버링 쉘프 개폐체 10 : 하우징
11 : 지지홈 12 : 단턱
13 : 가이드홈 14 : 걸림턱
15 : 결합돌기 20 : 회동부재
21 : 회동몸체 21a : 로드홈
22 : 회동판 23 : 회동돌기
30 : 슬라이딩부재 31 : 슬라이딩몸체
31a : 회동홈 31b : 수용홈
32 : 슬라이딩 돌기 40 : 탄성체
50 : 지지부재 51 : 지지몸체
51a : 수용돌기 52 : 걸림돌기
53 : 회전지지돌기 60 : 커버
60a : 회전지지돌기 가이드 70 : 지지탄성체
100 : 커버링 쉘프 110 : 힌지로드
110a : 걸림체 200 : 러기지 사이드 트림
300 : 테일 게이트 도어

Claims (4)

  1.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고정되어 힌지로드를 갖는 커버링 쉘프를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링 쉘프 개폐체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힌지로드가 결합되는 로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회동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전·후 이동되도록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회동돌기에 상응하는 회동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지지되는 탄성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지지 되며,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 되는 커버;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에 지지되는 지지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회전홈 일측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회전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지지돌기를 가이드 하는 회전지지돌기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KR1020070103464A 2007-10-15 2007-10-15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KR10085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464A KR100857707B1 (ko) 2007-10-15 2007-10-15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464A KR100857707B1 (ko) 2007-10-15 2007-10-15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707B1 true KR100857707B1 (ko) 2008-09-08

Family

ID=4002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464A KR100857707B1 (ko) 2007-10-15 2007-10-15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44B1 (ko) * 2008-10-20 2010-01-15 한일이화주식회사 커버링쉘프 댐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193A (ko) * 2002-05-22 2005-01-1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기
KR20050088068A (ko) * 2003-01-31 2005-09-01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0747036B1 (ko) * 2006-07-03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193A (ko) * 2002-05-22 2005-01-1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기
KR20050088068A (ko) * 2003-01-31 2005-09-01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0747036B1 (ko) * 2006-07-03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구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004193호 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088068호 A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47036호 B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44B1 (ko) * 2008-10-20 2010-01-15 한일이화주식회사 커버링쉘프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3060A1 (en) Swing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US8100455B2 (en) Overhead console
KR102603037B1 (ko) 차량의 수납 장치
KR102299334B1 (ko)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KR100857707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JP2002087166A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装置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FR2843606A1 (fr) Porte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6290163A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0103289A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415262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2322847A (ja) 車両用上下開閉ドアのロック装置
US20230295967A1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liding and rotation
JPH0730411Y2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KR101526757B1 (ko) 트렁크 팝업 유지 장치
JP3714067B2 (ja) 上開き扉付きケースの扉開閉装置
KR20230005546A (ko)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KR20190050542A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KR100369007B1 (ko) 자동차의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결합장치
KR200487976Y1 (ko) 포켓 슬라이딩도어용 손잡이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JP4526219B2 (ja) バン型車両における扉の90°開放位置での扉の自動ストッパ装置
KR100821848B1 (ko) 커버링 셀프 조립체
JP5041251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86317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