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664A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664A
KR20050083664A KR1020057003456A KR20057003456A KR20050083664A KR 20050083664 A KR20050083664 A KR 20050083664A KR 1020057003456 A KR1020057003456 A KR 1020057003456A KR 20057003456 A KR20057003456 A KR 20057003456A KR 20050083664 A KR20050083664 A KR 2005008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flap position
housing
air conditioner
slid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369B1 (ko
Inventor
마사노리 아꾸쯔
진 요시다
세이이찌 고가
노부히로 오구라
마사즈미 마끼노
가즈히로 시무라
가즈히꼬 시모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411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68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4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69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41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6864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의 측판에 구비된 현수 부재(41)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42)과, 이 제1 부분이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제1 부분의 대향면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의 측판의 하단부 모서리에 계지되는 제2 부분(43)과, 제1 부분이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제1 부분의 대향면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의 외측에 천정판(31)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여 형수 볼트를 통과하는 제3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송풍기, 열교환기 등을 구비하고, 흡입구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를 열교환한 후에 취출구로부터 실내로 공기 조화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 열교환기 및 드레인 팬 등을 수용한 하우징의 측판에 현수 부재를 구비하고, 이 현수 부재에 빔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을 빔에 현수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천정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천정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본체(하우징)의 하면에는 중앙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갖고, 외주부에,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를 갖고, 천정 구멍을 폐색하도록 천정면에 설치된 화장 패널과, 중앙에 흡기구를 갖는 흡입 그릴이 구비되어 있다. 흡입 그릴은 화장 패널에 힌지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화장 패널의 취출구에는 공기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는 플랩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플랩은 그 위치가 제어 장치에 의해 복수 단계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천정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하우징과 현수 볼트의 고정에는 현수 부재가 만에 하나라도 탈락하지 않도록 하우징에 대해 현수 부재가 복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이, 소위 단열 강판제의 천정판과, 2분할된 마찬가지로 단열 강판제의 측판으로 구성된 것이 있지만, 이 하우징을 조립하는 경우, 2분할된 측판을 고리 형상으로 고정해 두고, 이 측판 사이 및 측판과 천정판 사이를 조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천정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가고정 수단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고정 갈고리를 구비하고, 측판들을 종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측판을 고리 형상으로 가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현수 부재가 복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현수 부재의 부착 작업이 곤란한 동시에, 볼트를 사용한 경우, 볼트가 풀어질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갈고리를 이용하여 측판들을 종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고리 형상으로 가고정하는 경우, 측판들의 가고정은 용이하지만, 가고정의 단계에서 고리 형상의 측판의 내경이 결정되므로, 그 내주에 바닥판의 주연부를 끼워 맞추는 경우, 큰 간극이 있거나, 지나치게 강해 끼워 맞춤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 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흡입 그릴을 화장 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해, 화장 패널의 계지부에 계지되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가 흡입 그릴에 구비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에서는 흡입 그릴의 리브에 직교하는 방향에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결락부를 흡입 그릴에 형성하고, 이 결락부에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흡입 그릴로부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를 제거한 경우에, 흡입 그릴의 리브에 전술한 결락부가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장착을 필요로 하는 흡입 그릴에 있어서는 결락부가 눈에 띄지 않으므로 문제는 없지만, 이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흡입 그릴에 있어서는 결락부가 지나치게 눈에 띄기 때문에, 양방의 그릴의 겸용화를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는 제조적인 관점으로부터 보면, 저비용이고 또한 조립이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의 취출구에는 공기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플랩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플랩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여 자동으로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있다. 이에 의해, 취출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윙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플랩은 복수 단계, 예를 들어 F1 내지 F5의 5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고정하거나, 혹은 F1 내지 F5 사이에서 스윙 동작함으로써 풍향을 제어하고 있다. 예를 들어, F1은 천정면에 대해 수평 취출 방향으로, F5는 천정면에 대해 수직 취출 방향으로 설정되고, F2, F3, F4는 F1과 F5 사이에서 플랩의 위치가 차례로 설정되어 있다.
실내기 내에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플랩 모터로서의 AC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플랩의 제어는 마이크로 컴퓨터 내의 플랩 모터 구동 시간의 데이터를 기초로 행해지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가 갖는 플랩 모터 구동 시간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F1로부터 3초 후가 F2의 단계, F1로부터 6초 후가 F3의 단계 등과 같이, F1의 단계를 기준으로 기정치로서 미리 결정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중 F1로부터 F5까지의 임의의 단계(예를 들어, F3)에서 플랩을 고정시키는 경우에서는 플랩이 F1의 단계까지 이동을 개시하여 F1의 위치를 검출한 후, 미리 마이크로 컴퓨터가 기억하고 있는 F3의 단계까지의 플랩 모터 구동 시간을 기초로 플랩을 이동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각 단계에 있어서의 플랩의 위치는 기정치로서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냉방 운전시에, 예를 들어 F1의 단계를 선택한 경우, 취출구로부터 취출된 냉풍이, 예를 들어 천정면에 따라서 흐름으로써 천정면이 냉각되어 결로하고, 그 곳에 실내의 분진이 부착하여 천정면이 오염되는 스머징(smudging)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F3의 단계를 선택한 경우, 취출구로부터 취출된 냉풍이 직접 몸에 닿는 불쾌감(드래프트감)이 생기는 일이 있다. 또한, 플랩을 스윙 동작시키는 경우, 플랩을 스머징이 발생하는 각도나 드래프트감이 생기는 각도까지 스윙시키는 것이 있다. 즉, 어떠한 설치 장소에서도 미리 정해진 플랩의 제어를 행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망(스머징 방지의 요망 혹은 드래프트감 방지의 요망)에 대응한 플랩의 제어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3은 하우징의 외관도이다.
도4는 도3의 Ⅳ-Ⅳ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화살표 V의 확대도이다.
도6은 현수 부재의 하우징에의 조립 부착 작업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실내기의 흡입 그릴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9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 주변의 정면도이다.
도10은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의 주변의 측단면도이다.
도11은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단부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도시하는 바닥면이다.
도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랩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1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5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랩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플랩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17은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9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플랩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20은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현수 부재의 부착 작업이 쉽고, 측판들의 가고정이 쉬운 천정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흡입 그릴로부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를 제거한 경우라도 흡입 그릴의 리브에 결락부가 남는 일이 없고, 저비용이고 조립이 쉬운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사용자의 요망에 대응한 플랩의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스머징의 방지 혹은 드래프트감을 방지하는 플랩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송풍기, 열교환기 및 드레인 팬 등을 수용한 하우징의 측판에 현수 부재를 구비하고, 이 현수 부재에 천정의 빔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을 빔에 현수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이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제1 부분의 대향면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의 측판의 하단부 모서리에 계지되는 제2 부분과, 제1 부분이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제1 부분의 대향면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의 외측에 상부판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여 현수 볼트를 통과시키는 제3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과, 상기 제1 부분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부분의 요동을 방지하는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요동을 방지하는 상기 방지 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된 내측에 움푹 패이는 오목부와, 상기 제1 부분의 대향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볼록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송풍기, 열교환기 및 드레인 팬 등을 하우징 내에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판금제의 천정판과 2분할된 판금제의 측판으로 구성되어 2부분으로 분할된 측판들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고정 갈고리로, 고리 형상으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르면, 화장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흡입 그릴에 형성된 가이드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흡입 그릴의 측면으로부터 그 일부가 상기 화장 패널의 계지부 내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이며, 흡입 그릴에 형성된 보스부에 나사를 거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측방에 형성된 굴곡 부재와, 상기 굴곡 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가이드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마다 하나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에는 상기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르면, 화장 패널과, 상기 화장 패널에 힌지 결합되는 흡입 그릴과, 상기 흡입 그릴에 형성된 보스부에 나사를 거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측방에 형성된 굴곡 부재와, 상기 굴곡 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가이드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와,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일부가 상기 화장 패널의 계지부에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흡입 그릴의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따르면,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갖고, 공기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는 플랩을 구비하고, 이 플랩의 플랩 위치를 복수의 단계로 변경하는 제어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각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플랩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는 실내의 천정면에 대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2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와 상기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복수의 취출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에는 적어도 상기 제1 단계에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취출 모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취출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와 상기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복수의 취출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에는 적어도 상기 제2 단계에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취출 모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취출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6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와 상기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복수의 취출 모드를 기억하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취출 모드에 있어서의 선택된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에 상기 플랩을 제어하는 플랩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7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갖고, 공기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는 플랩을 구비하고, 이 플랩의 스윙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동작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8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를 갖고, 상기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 중 어느 하나의 플랩 동작 범위를 선택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9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플랩 위치를 복수의 단계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는 상기 복수의 단계 중 2개의 단계 사이에서 스윙 동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0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1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2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4방향 천정 카세트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적응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판금제의 상자형의 공기 조화기 본체(하우징)(1)를 갖고, 현수 볼트(2)로 천정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 본체(1)는 하방이 개구되어 천정에 매립된 경우, 이 개구측이 피조화실에 대향한다. 이 공기 조화기 본체(1)의 내측에는 팬 모터(5)가 고정되고, 이 팬 모터(5)의 샤프트에는 블레이드차(7)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팬 모터(5) 및 블레이드차(7)가 송풍기(9)를 구성하고 있다. 이 송풍기(9)를 둘러싸도록 다각 형상으로 구부려진 열교환기(11)가 배치되고, 이 열교환기(11)의 하면(11A)을 덮도록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13)이 배치되고, 이 드레인 팬(13)에는 송풍기(9)의 벨 마우스(14)나 도시하지 않은 전송 박스 등의 각종 부품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부호 12는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재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실외기에 구비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등과, 실내기의 열교환기(11)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을 구비하고 있고, 냉방 운전시(혹은 드라이 운전시)에는 실내기의 열교환기(11)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실내기의 열교환기(11)가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 본체(1)의 하면에는 화장 패널(21)이 부착되고, 이 화장 패널(21)에는 흡입구(22)와 취출구(23)가 형성되고, 흡입구(22)의 내측에는 필터(25)가 장착되어 있다.
도2는 하우징(1)의 조립 부착 사시도이다. 이 하우징(1)은 판금제의 천정판(31)과, 2분할된 판금제의 측판(32, 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판(32, 33)들은 두군데의 연결부(A, B)에서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 쪽 측판(32)은 연결부(A)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32A)와, 연결부(B)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32B)를 구비하고, 다른 쪽 측판(33)은 연결부(A)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33A)와, 연결부(B)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33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3은 하우징(1)의 외관도, 도4는 도3의 Ⅳ-Ⅳ 단면도, 도5는 도3의 화살표 V의 확대도이다.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A)에서는 종방향의 중간 정도에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고정 갈고리(35)를 구비한다. 이 가고정 갈고리(35)는 한 쪽 측판(32)의 연결 부재(32A)에 일체로 형성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측에 거의 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다른 쪽 측판(33)의 연결 부재(33A)에 형성된 받침 구멍(37)에 결합된다. 이에 따르면, 도4를 참조하여 한 쪽 측판(32)을 화살표 X방향으로 움직여 가고정 갈고리(35)를 받침 구멍(37)에 결합하고, 그 후, 한 쪽 측판(32)을 화살표 Y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움직임으로써 가고정이 완료된다.
가고정 갈고리(35)는 끝이 가는 형상을 갖고, 그것을 받는 받침 구멍(37)은 가고정 갈고리(35)와 받침 구멍(37)의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서, 그 결합이 강해지도록 끝이 가는 형상의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이상은 연결부(A)를 도시하였지만, 다른 연결부(B)의 구성도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연결부(A)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판금제의 천정판(31)의 주위(전체 주위 혹은 일부)에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높이의 급하강 부재(31A)가 일체로 형성된다. 측판(32, 33)은 측판(32, 33)의 상부 모서리가 급하강 부재(31A)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측판(32, 33)들은 상기 순서에 따라서 2군데의 연결부(A, B)에서 고리 형상으로 가고정된다. 이 경우, 가고정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고정 갈고리(35)를 이용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가고정 갈고리(35)를 받침 구멍(37)에 심하게 결합함에 따라서, 상기 측판(32, 33)의 상부 모서리가 급하강 부재(31A)의 외면에 강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가고정 완료시에는 측판(32, 33)과 천정판(31) 사이에 간극은 생기지 않는다.
가고정 완료 후, 측판(32, 33)들 및 측판(32, 33)들과 급하강 부재(31A) 사이가 조이기에 의해 본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고정 완료시에 측판(32, 33)과 천정판(31)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가고정 완료 후, 측판(32, 33)들 및 측판(32, 33)과 급하강 부재(31A) 사이를 조이기에 의해 본고정하는 경우, 정밀도 좋고, 확실하게 본고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현수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하우징(1)의 4구석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현수 부재(41)가 고정되고, 이 현수 부재(41)에 현수 볼트(2)가 통과되고, 이 현수 볼트(2)에 의해 하우징(1)이 천정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이 현수 부재(41)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42)과, 이 제1 부분(42)이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화살표 P방향으로 삽입되고, 하우징(1)의 측판(32, 33)의 내면에 제1 부분(42)의 대향면(42A)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1)의 측판(32, 33)의 하단부 모서리에 계지되는 제2 부분(43)과, 마찬가지로 제1 부분(42)이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화살표 P방향으로 삽입되고, 하우징(1)의 측판(32, 33)의 내면에 제1 부분(42)의 대향면(42A)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1)의 외측에 천정판(31)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여 현수 볼트(2)를 통과시키는 홈(44)(도4)을 구비한 제3 부분(4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에 형성되는 개구(도시하지 않음)는 적어도 제2 부분(43)의 높이(H)를 받아들이는 크기를 갖고, 또한 현수 부재(41)를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현수 부재(41)가 화살표 P방향으로 삽입된 후, 하우징(1)의 측판(32, 33)의 내면에 제1 부분(42)의 대향면(42A)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이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도시하지 않음)의 크기에 기인하여 현수 부재(41)가 요동하고, 현수 부재(41)와 측판(32, 33)을 1개의 나사(47)에 의해 고정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판(32, 33)의 내면과, 제1 부분(42)의 대향면(42A) 사이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분(42)의 요동을 방지하는 방지 수단(50)이 마련된다. 이 방지 수단(50)은 측판(32, 33)의 내면에 형성된 하우징(1)의 내측에 움푹 패이는 오목부(51)와, 제1 부분(42)의 대향면(42A)에 형성된 오목부(51)에 결합하는 볼록부(5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오목부(51)에 볼록부(52)를 결합시킴으로써 현수 부재(41)의 요동이 방지되므로, 1개의 나사(47)에 의한 고정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현수 부재(41)를 하우징(1)에 부착한 경우, 하우징(1)에 형성되는 개구(도시하지 않음)의 상부 모서리에 제3 부분(45)이 접촉하고, 하우징(1)의 측판(32, 33)의 하단부 모서리에 제2 부분(43)이 계지된다. 이것에 따르면, 본 현수 부재(41)는 그 자체로 하우징(1)의 중량을 받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나사(47)는 오로지 현수 부재(41)와 측판(32, 33)을 연결하기 위해 기능하고, 이 나사(47)에 의해 하우징(1)의 중량을 받는 일은 없다. 가령, 이 나사(47)가 풀어져도 하우징(1)으로부터의 현수 부재(41)의 이탈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5)의 단면도이다. 도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50)는 천정 내부(201)에 수납되는 판금제의 본체(202)와, 중앙에 흡입구(203)를 갖고, 외주부의 4변에 취출구(204)를 갖고, 천정 구멍(205)을 폐색하도록 천정면(206)에 설치되는 화장 패널(207)과, 중앙에 흡기구(208)를 갖는 흡입 그릴(209)을 구비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는 송풍기(11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송풍기(110)는 터보 팬(111)과, 천정판(112)에 부착된 팬용 모터(11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노즐구(114)는 흡기구(208)로부터의 공기를 터보 팬(111)으로 안내한다. 또한, 드레인 팬(115)은 내측 수직 상승부(115a)와 외측 수직 상승부(115b)를 갖고, 각진 고리 형상으로 발포 스티롤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핀형 열교환기(116)는 터보 팬(11)의 토출측에 이 팬을 둘러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재(117)는 본체(202)의 주위에 권취되어 있고, 도풍(導風)부(121)는 열교환기(116)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취출구(204)로 유도하고 있다. 또한, 현수 볼트(122)는 본체(202)를 현수 부재(123)로 천정 빔에 현수한다. 또한, 공기 청정용 필터(124)는 흡입 그릴 하류측에 부착되어 있다.
도8은 흡입 그릴(209)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207)의 1변에는 힌지(125)를 거쳐서 흡입 그릴(209)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흡입 그릴(209)에는 필터 압박(127)에 의해 압박된 상태에서 필터(124)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런데, 공기 조화기(15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이 필터(124)의 메인터넌스 등으로 인해, 그 때마다 흡입 그릴(209)이 개폐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힌지(125)를 거쳐서 흡입 그릴(209)이 회전되고, 흡입 그릴(209)이 폐쇄되었을 때에는 흡입 그릴(209)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100)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도9 참조)가 화장 패널(207)의 계지부(구멍)(135)에 계지됨으로써, 흡입 그릴(209)은 화장 패널(207)에 고정된다.
도9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 주변의 정면도이다. 도10은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의 주변의 측단면도이다. 도11은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단면도이다.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100)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209)의 리브(209a) 사이에 따라서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흡입 그릴(9)에의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100)의 부착 상태를 설명한다.
흡입 그릴(209)의 이측에는 보스부(10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스부(102)에 와셔(103)를 거쳐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가 나사(105)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는 수지제이고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의 대략 중앙부에는 긴 구멍 형상의 나사 구멍(10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의 하면에는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를 화살표 A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조작자가 이용하는 손잡이부(106)가 흡입 그릴의 손잡이용 구멍(209c)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의 양측방에는 일단부가 자유단부(101b)가 되도록 굴곡 부재(10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의 굴곡 부재(101c)의 비형성 부분에는 양측방에, 미끄럼 이동시에 흡입 그릴(209)의 리브(209a)에 접촉하여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리브(107)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 부재(101c)의 자유단부(101b)에는 흡입 그릴(209)의 리브(209a)에 형성된 결합 절결부(209b)에 결합 가능하게 결합 돌기(101d)가 설치되어 있다.
굴곡 부재(101c)는 도9의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손잡이부(106)를 잡고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를 미끄럼 이동시키면 휘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흡입 그릴(20)의 주위측의 결합 절결부(20b)에 결합하고 있던 결합 돌기(101d)가 결합 절결부(209b)의 측벽을 타고 넘어 흡입 그릴(209)의 리브(209a)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한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를 미끄럼 이동시키면, 굴곡 부재(101c)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결합 돌기(101d)가 흡입 그릴(209)의 중앙측의 결합 절결부(209b)에 결합한다. 이 때, 클릭음이 발생하고, 조작자는 소위 조작상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공기 조화 장치의 반송시에는 반송시에 흡입 그릴(209)이 잘못하여 개방되거나 하지 않도록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용 구멍을 마련하여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흡입 그릴(209)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용 나사에 의해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를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송시에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가 화장 패널(7)의 계지부(구멍)(135)로부터 발출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의 고정은 보스부(102)에 대해 와셔(103) 및 나사(105)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소위 특수 부품을 이용할 필요도 없고, 부품점수를 필요 최저한으로 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의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상의 클릭감을 내기 위한 굴곡 부재(101c)를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101c)의 측방에 설치하였으므로,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100)의 두께를 압박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흡입 그릴(209)의 리브(209a)에 대해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흡입 그릴(209)로부터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100)를 제거하였다고 해도 흡입 그릴(209)의 리브(209a)에 결락부는 생기지 않으므로,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100)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라도 동일 형식의 흡입 그릴(9)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대해 도1, 도12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은 도1에서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1)(도1 참조)의 평면도이다.
도12에 있어서, 화장 패널(21)에는 흡입구(303)와,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4개의 취출구(304A, 304B, 304C, 304D)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취출구(304A, 304B, 304C, 304D)에는 플랩(305A, 305B, 305C, 305D)이 설치되어 있고, 플랩(305A, 305B)의 2매의 플랩을 구동하는 플랩 모터(306A)가 설치되고, 플랩(305C, 305D)의 2매의 플랩을 구동하는 플랩 모터(30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플랩 모터(306A, 306B)는 제어 장치(307)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어 장치(7)에 의해 각 플랩 모터(306A, 306B)가 개별로 구동 제어된다. 즉, 플랩(305A, 305B)이 동기하여 동작하고, 플랩(305C, 305D)이 동기하여 동작한다. 플랩 모터(306A, 306B)는 스텝핑 모터이다. 또한, 취출구(304A 내지 304D)를 일반적으로 취출구(304), 플랩(305A 내지 305D)을 일반적으로 플랩(305)으로 한다.
도13은 플랩 모터(306A, 306B)를 구동하는 제어 장치(307)의 블럭도이다. 각 플랩 모터(306A, 306B)는 구동 회로(321A, 321B)를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322)(이하,「마이크로 컴퓨터」라 함)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322)에는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23)(예를 들어, EEPROM) 및 리모트 컨트롤러(324)(이하,「리모콘」이라 함)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회로(321A, 321B), 마이크로 컴퓨터(322) 및 EEPROM(323)은 기판에 실장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장 박스에 수납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 매체(예를 들어 ROM이나 EEPROM 등)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공기 조화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특히,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플랩(305)(도12), 즉 플랩 모터(306A, 306B)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플랩(305)을 보유 지지(고정)하는 제어나 플랩(305)의 스윙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리모콘(324)의 지령에 따라서 EEPROM(323)을 참조하여 플랩 모터(306A, 306B)를 제어한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플랩(305)을 보유 지지(고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경우, 플랩(305)의 위치를 복수의 단계, 예를 들어 5단계(F1 내지 F5)로 리모콘(324)의 지령에 따라서 변경하는 제어를 행한다.
리모콘(324)에는, 예를 들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모드 스위치(340), 취출구 선택 스위치(341), 풍향 설정 스위치(342), 스윙 절환 스위치(343), 운전/정지 스위치(345), 설정 스위치(346, 347), 조작 스위치(348) 및 데이터 입력용 스위치(349) 등이 설치되고, 또한 표시부(3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350)에는, 예를 들어 운전 모드(냉방, 드라이 또는 난방), 취출구(A, B 또는 C, D), 풍향(F1, F2, F3, F4 또는 F5), 스윙 등의 각 문자 및 기호나 데이터 등이 표시된다.
운전 모드 절환 스위치(340)는, 예를 들어 냉방 운전 모드, 드라이 운전 모드 또는 난방 운전 모드로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취출구 선택 스위치(341)는 도12에 도시하는 취출구(304A 및 304B), 혹은 취출구(304C 및 304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이고, 취출구 선택 스위치(341)가 눌릴 때마다 표시부(350)에 있어서의 취출구의 A 및 B, 혹은 C 및 D의 표시로 차례로 바뀌고, 풍향 설정의 대상이 되는 취출구(304A 및 304B), 혹은 취출구(304C 및 304D)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또한, 표시부(350)에 표시되는 취출구(A, B, C, D)는 각각 취출구(304A, 304B, 304C, 304D)(도12)에 대응하고 있다.
풍향 설정 스위치(342)는 플랩(305A, 305B, 305C, 305D)(도12)의 위치를 복수의 단계, 예를 들어 5단계(F1 내지 F5)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고정할 때의 설정 스위치이고, 풍향 설정 스위치(342)가 눌릴 때마다 표시부(350)에 있어서의 풍향 표시(F1, F2, F3, F4, F5)가 차례로 바뀌고, 대응하는 단계(F1 내지 F5)가 선택되고, 선택된 단계에 대응하여 플랩(305)(도12)의 위치가 설정된다.
스윙 절환 스위치(343)는 플랩(305)을 스윙 동작으로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스윙 절환 스위치(343)는 플랩(305)의 복수의 스윙 동작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스윙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스윙 절환 스위치(343)가 눌렸을 때에 스윙 동작으로 절환되고, 또한 스윙 절환 스위치(343)가 눌릴 때마다 스윙 동작 범위가 절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운전/정지 스위치(345)는 운전/정지를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설정 스위치(346, 347), 조작 스위치(348) 및 데이터 입력용 스위치(349)는 EEPROM(323)(도13)의 내용을 재기입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346, 347)를 동시에 압박 조작함으로써 EEPROM(323)의 내용을 재기입하는 모드가 되어 조작 스위치(348) 및 데이터 입력용 스위치(349)로 EEPROM(323)의 내용을 재기입하는 것이다.
도15는 플랩(305)의 플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N0 내지 N7은 플랩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N1 내지 N6은 플랩(305)의 각 단계(F1 내지 F5)에 할당되는 플랩 위치를 나타나낸다. N0 및 N7은 플랩(305)이 진동하는 한계의 플랩 위치이다. 이 플랩(305)의 한계의 플랩 위치는, 예를 들어 플랩(5)이 화장 패널(21)(도1) 등에 닿거나, 플랩(305)이 취출구(304)를 폐색해 버리는 위치를 넘어 플랩(305)이 이동하는 일이 없는 가동 영역의 한계의 위치이다.
또한, N0 또는 N7은 기준이 되는 플랩(305)의 이니셜 위치를 나타낸다. 즉, 운전 정지시에 플랩(305)이 이동하는 플랩 위치를 나타낸다. 이 N0, N7은 플랩(305)의 각 단계(F1 내지 F5)에 할당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해, 각 단계(F1 내지 F5)에 있어서, 취출구(304)를 폐색해 버리거나, 플랩(305)이 화장 패널(21) 등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N0은 기준이 되는 플랩(305)의 이니셜 위치로, 운전 정지시에는 플랩(305)이 이 이니셜 위치(N0)에 설정되고, 취출구(304)[취출구(304A 내지 304D)]가 폐색된다.
N1은 천정면에 대해 대략 수평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경우의 플랩 위치이다. 그리고, N2, N3 …과, 플랩 위치가 바뀜에 따라서, 취출 방향이 하향으로 바뀐다. N6은 천정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경우의 플랩 위치이다.
플랩(305)은 리모콘(324)에 의해 선택 가능한 5단계(F1 내지 F5)로 변경 가능하고, 각 단계(F1 내지 F5)에는 플랩 위치(N0 및 N7)를 제외한 플랩 위치(N1 내지 N6)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계(F1, F2, F3, F4, F5)에는 플랩 위치(N1, N3, N4, N5, N6)가 할당되어 있다. 즉, EEPROM(23)(도13)에는 단계(F1, F2, F3, F4, F5)와, 플랩 위치(N1, N3, N4, N5, N6)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25)(이하,「대응 관계 테이블」이라 함)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플랩 모터(6A, 6B)로서 스텝핑 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EEPROM(23)에 기억되는 플랩 위치(N0 내지 N7)는 스텝핑 모터의 스텝 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플랩 위치(N2)는, 플랩 위치(N1)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1)와, 단계(F1)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N3)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2)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N1 내지 N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예비의 플랩 위치이다.
도13 중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이 대응 관계 테이블(325)을 참조하여 리모콘(324)의 풍향 설정 스위치(342)(도14)로 선택된 단계(F1 내지 F5)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1 내지 N6)에 플랩(5)[플랩 모터(306A, 306B)]을 제어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예를 들어 플랩 위치(N1)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1)에 플랩(5)이 제어된 경우, 실내의 천정면에 대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기 위해, 특히 냉방 운전시나 드라이 운전시에 실내의 천정면에 스머징이 생기는 일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플랩 위치(N4)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3)에 플랩(305)이 제어된 경우, 냉방 운전시나 드라이 운전시에 냉풍이 직접 인체에 닿는 불쾌감을 나타내는 드래프트감을 부여하는 일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콘(324)에 설치한 스위치(346 내지 349)(도14)로 단계(F1 내지 F5)와 플랩 위치(N1 내지 N6)와의 대응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346 내지 349)는 단계(F1 내지 F5)와 플랩 위치(N1 내지 N6)와의 대응 관계를 변경하는 스위치이고, 이들 스위치(346 내지 349)의 조작에 의해 EEPROM(323)의 대응 관계 테이블(325)(도13)이 재기입된다. 이 대응 관계 테이블(325)을 재기입할 때에는 표시부(350)(도14)의 테이블 데이터 표시창에 표시되는 대응 관계 테이블(325)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스위치(346 내지 349)의 조작에 의해 재기입할 수 있다.
즉, 스머징이 발생하는 경우,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1)를 예비의 플랩 위치(N2)로 변경하면[즉, 대응 관계 테이블(325)에 있어서의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1)를 예비의 플랩 위치(N2)에 재기입하면], 천정면의 스머징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드래프트감을 부여하는 경우, 단계(F2)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3)를 예비의 플랩 위치(N2)로 변경하고, 또한 단계(F3)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4)를 플랩 위치(N3)로 변경하면[즉, 대응 관계 테이블(25)에 있어서의 단계(F2)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3)를 예비의 플랩 위치(N2)에 재기입, 또한 단계(F3)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4)를 플랩 위치(N3)에 재기입하면] 드래프트감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플랩(305)(도12)을 스윙 동작시키는 경우, 통상 플랩(305)을 미리 정해진 1개의 동작 범위에서만 플랩(305)을 스윙시키는 것이지만, 특히 냉방 운전시나 드라이 운전시에 드래프트감이나 천정면에 스머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326)(도13)를 EEPROM(323)에 기억시키고, 상기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 중 어느 하나의 플랩 동작 범위를 리모콘(324)으로 선택 가능하게 하여 플랩 동작 범위를 변경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EEPROM(323)에는 단계(F1 내지 F5) 중 2개의 단계 사이에서 스윙 동작하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플랩 동작 범위(26)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EEPROM(323)에는 단계(F1 내지 F3)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A)와, 단계(F1 내지 F5)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B)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리모콘(324)에 설치한 스윙 절환 스위치(343)로 플랩 동작 범위(326A 또는 326B)를 선택하고,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선택된 플랩 동작 범위(326A 또는 326B)를 참조하여 플랩(305)을 스윙 제어한다. 또한, 이들 단계(F1 내지 F5)에는 상술한 대응 관계 테이블(325)에 의해 플랩 위치(N1 내지 N6)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계(F1 내지 F5)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B)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드래프트감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단계(F1 내지 F3)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A)를 선택함으로써 드래프트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랩 위치(N1)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1)까지 플랩(305)을 스윙하는 경우에, 천정면에 스머징이 발생하는 것이면 대응 관계 테이블(325)에 있어서,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예비의 플랩 위치(N2)로 변경함으로써 스머징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플랩 위치(N4)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3)까지 플랩(305)을 스윙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A)가 선택되어도 드래프트감이 생기는 경우에는 대응 관계 테이블(325)에 있어서, 단계(F2)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예비의 플랩 위치(N2)로 변경하고, 또한 단계(F3)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N3으로 변경함으로써 드래프트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플랩 위치(N3)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2)와, 플랩 위치(N4)가 대응하고 있는 단계(F3) 사이에 예비의 플랩 위치(N3')를 마련해도 좋고, 단계(F2)에 플랩 위치(N3')를 대응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단계(F3)에 플랩 위치(N3')를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비의 플랩 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플랩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EEPROM(323)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 관계 테이블(325)에 있어서의 각 단계(F1 내지 F5)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1 내지 N6)를 재기입함으로써 스머징의 방지 혹은 드래프트감을 방지하는 플랩(5)의 제어를 스머징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응 관계 테이블(325)을 리모콘(324)의 스위치(346 내지 349)로 재기입할 수 있으므로, 재기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비의 플랩 위치를 1개만 마련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비의 플랩 위치를 복수 마련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랩을 스윙 동작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2개의 플랩 동작 범위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 2개의 플랩 동작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단계(F2 내지 F4) 사이에서 스윙하는 경우라도 좋고, 플랩 동작 범위 및 플랩 동작 범위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작은 플랩의 스윙 동작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를 도16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도1 및 도12 내지 도15에서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16에 있어서, 단계(F1 내지 F5)와, 플랩 위치(N1 내지 N6)의 대응 관계를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취출 모드의 각각에 대응시킨 대응 관계 테이블(327)(도17)을 EEPROM(323)에 기억시키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이 대응 관계 테이블(327)을 참조하여 리모콘(360)으로 선택된 취출 모드에 있어서의 선택된 각 단계(F1 내지 F5)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에 플랩(305)을 제어한다.
도17에 있어서의 스머징 레스 모드 및 드래프트 방지 모드는 리모콘(360)(도16, 도18)으로 절환하는 취출 모드이다.
또한, 각 취출 모드는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에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시에는 하향의 공기의 취출이 드래프트감을 발생시키는 일이 많기 때문에, 스머징 레스 모드 및 드래프트 방지 모드 중 어떠한 경우라도 하향의 냉풍의 취출이 규제된다. 구체적으로는 하향의 공기의 취출을 나타내는 단계(F4, F5)의 선택을 금지하고 있다. 즉, EEPROM(323)의 대응 관계 테이블(327)에 있어서, 냉방 운전의 스머징 레스 모드 및 드래프트 방지 모드의 F4, F5에는 위치 데이터가 대응하고 있지 않고, 리모콘(360)의 풍향 설정 스위치(42)에서는 F4, F5의 선택이 스킵되어 F1 내지 F3만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난방 운전시에는 드래프트감을 느끼는 일이 적기 때문에, 스머징 레스 모드 및 드래프트 방지 모드 중 어떠한 경우라도 하향에의 공기의 취출을 허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계(F4, F5)의 선택을 허용하고 있다. 즉, F4, F5에는 위치 데이터가 대응하고 있고, 리모콘(360)의 풍향 설정 스위치(42)에서는 F1 내지 F5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8에 있어서, 리모콘(360)에는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가 설치되어 있고,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는 복수의 취출 모드로서의 스머징 레스 모드와, 드래프트 방지 모드를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로 스머징 레스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표시부(350)에「스머징 레스」의 문자가 표시되고, 드래프트 방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표시부(350)에「드래프트 방지」의 문자가 표시된다.
스머징 레스 모드는 벽면에 따른 공기의 취출을 금지한 모드이다. 즉, 어떠한 단계로 설정해도 취출구로부터 취출된 공기가 실내의 천정면에 따라서 흐르는 일은 없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에 있어서는 단계(F1)에 취출구로부터 취출된 공기가 실내의 천정면에 따라서 흐르는 플랩 위치(N1)로부터 약간 하향의 풍향이 되는 플랩 위치(N2)가 대응하고 있어, 각 단계(F2, F3)에 각각 플랩 위치(N3, N4)가 대응하고 있다. 난방 운전에 있어서는 F1, F2, F3, F4, F5에 N2, N3, N4, N5, N6이 대응하고 있다. 이에 의해, 냉방 운전시에 스머징 레스 모드일 때에는 스머징의 발생이 방지된다.
드래프트 방지 모드는, 특히 냉방 운전시에 스머징 레스 모드보다 약간 상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에 있어서 각 단계(F1, F2, F3)에는 스머징 레스 모드일 때보다도 상향의 풍향이 되는 N1, N2, N3이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스머징 레스 모드에 있어서 드래프트감이 생기는 경우, 드래프트 방지 모드로 함으로써 드래프트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난방 운전시에는 드래프트감을 부여하는 일은 적기 때문에, 드래프트 방지 모드는 스머징 레스 모드와 동일한 대응 관계이다. 또한, 냉방 운전시와 마찬가지로 드래프트 방지 모드와, 스머징 레스 모드에서 다른 대응 관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플랩(305)을 스윙 동작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냉방(혹은 드라이) 운전시에 플랩(5)을 스윙 동작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리모콘(360)의 스윙 절환 스위치(343)로 단계(F1 내지 F3)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A)가 선택되고,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로 스머징 레스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대응 관계 테이블(327)의 스머징 레스 모드를 참조하여 플랩(305)을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2)와, 단계(F3)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4) 사이에서 플랩을 스윙 제어한다.
리모콘(360)의 스윙 절환 스위치(43)로 단계(F1 내지 F5)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B)가 선택되고,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로 스머징 레스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대응 관계 테이블(327)의 스머징 레스 모드를 참조하여 플랩(305)을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2)(냉방 운전시의 플랩 위치)와, 단계(F5)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6)(난방 운전시의 플랩 위치) 사이에서 플랩을 스윙 제어한다.
다음에, 난방 운전시에 플랩(305)을 스윙 동작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난방 운전시에는 취출 모드가 스머징 레스 모드와 드래프트 방지 모드에 관계없이 동일한 스윙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리모콘(360)의 스윙 절환 스위치(43)로 단계(F1 내지 F3)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26A)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대응 관계 테이블(327)의 스머징 레스 모드 혹은 드래프트 방지 모드를 참조하여 플랩(305)을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2)와, 단계(F3)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4) 사이에서 플랩을 스윙 제어한다.
리모콘(360)의 스윙 절환 스위치(343)로 단계(F1 내지 F5) 사이에서 플랩(305)이 스윙 동작하는 플랩 동작 범위(326B)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대응 관계 테이블(327)의 스머징 레스 모드 혹은 드래프트 방지 모드를 참조하여 플랩(305)을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2)와, 단계(F5)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6) 사이에서 플랩을 스윙 제어한다.
이상, 제1 변형예에 따르면, 각 단계(F1 내지 F5)와 플랩 위치(N1 내지 N6)를 대응시킨 복수의 취출 모드로서, 스머징 레스 모드와 드래프트 방지 모드를 갖는 대응 관계 테이블(327)이 EEPROM(323)에 기억되고, 복수의 취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취출 모드를 선택하는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를 구비하였으므로, EEPROM(323)의 대응 관계 테이블(327)을 재기입하지 않아도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의 조작에 의해, 스머징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F1)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N1)를 예비의 플랩 위치(N2)로 변경할 수 있고, 또한 드래프트를 방지하기 위해 단계(F2)에 대응하고 있는 플랩 위치(N3)를 예비의 플랩 위치(N2)로 변경하고, 단계(F3)에 대응하고 있는 플랩 위치(N4)를 플랩 위치(N3)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하게 플랩(305)의 각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에 따르면, 플랩(305)을 스윙 동작시키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대응 관계 테이블(327)을 참조하여 리모콘(360)의 취출 모드 절환 스위치(344)로 선택된 취출 모드에 대응하고, 스윙 절환 스위치(343)로 선택된 스윙 동작 범위에서 스윙 제어하기 때문에, EEPROM(323)의 대응 관계 테이블(27)을 재기입하지 않아도 취출 모드 및 플랩 동작 범위를 절환함으로써 스머징 혹은 드래프트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9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제3 실시예 및 제1 변형예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9에 있어서, EEPROM(323)의 대응 관계 테이블(323)[혹은(327)]에 있어서의 플랩 위치(N0 내지 N7)는 플랩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이들 플랩 위치 변수(N0 내지 N7)에 대응하는 스텝핑 모터로서의 플랩 모터(306A, 306B)의 스텝 수(수치)가 기억되는 데이터 테이블(328)이 EEPROM(323)에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19에 있어서 S11에는 0, S21에는 200, … 등의 수치가 기억되어 있다.
이 데이터 테이블(328)에 있어서의 플랩 위치 변수(N0 내지 N7)에 대응하는스텝핑 모터로서의 플랩 모터(306A, 306B)의 스텝 수 Smn(m = 1, 2, …, 8, n = 1, 2, 3, 4)는, 예를 들어 리모콘(380)의 스위치(346 내지 349)의 조작으로 재기입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텝 수 S21에 있어서의 200의 수치 데이터를, 예를 들어 210 증의 수치로 재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플랩 위치(N0 내지 N7)를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 테이블(328)(도20)은 공기 조화 장치(실내기)의 복수의 형식에 대응한 플랩 위치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4방향 카세트형, 2방향 카세트형, 천정 현수형 및 벽걸이형 등의 공기 조화 장치의 복수의 형식에 대응한 플랩 위치의 데이터가 데이터 테이블(328)(도20)에 기억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322)는 미리 대응하는 기종(4방향 카세트형, 2방향 카세트형 혹은 천정 현수형 및 벽걸이형 등)의 플랩 위치의 데이터를 참조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 제2 변형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 장치의 복수의 형식에 대응한 플랩 위치가 데이터 테이블(328)(도20)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각종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테이블(325)(327) 및 (328)을 기억한 EEPROM(323)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에 따르면, 각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즉, N0 내지 N7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 Smn)를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EEPROM(323)에 기억시키고, 이 플랩 위치를 재기입하는 수단으로서의 스위치(346 내지 349)(도14 또는 도18)를 구비하였으므로, 스위치(46 내지 49)의 조작으로 EEPROM(23)에 기억되어 있는 플랩 위치의 데이터를 재기입할 수 있으므로, 플랩(5)의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로서, 4방향 천정 카세트형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랩을 갖고, 플랩의 제어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 예를 들어 2방향 천정 카세트형, 천정 현수형 혹은 벽걸이형 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4방향 천정 카세트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4매의 플랩을 2개의 플랩 모터로 구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4매의 플랩을 1개의 플랩 모터로 구동하는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고, 4매의 플랩을 각각 독립적으로 4개의 플랩 모터로 구동하는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현수 부재의 조립 부착 작업을 쉽게 하고, 또한 측판들의 가고정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의 부품 점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하고, 조립도 쉽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제조의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망에 대응하여 플랩의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스머징의 방지 혹은 드래프트감을 방지하는 플랩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Claims (21)

  1. 송풍기, 열교환기 및 드레인 팬 등을 수용한 하우징의 측판에 현수 부재를 구비하고, 이 현수 부재에 천정의 빔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을 빔에 현수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이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제1 부분의 대향면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의 측판의 하단부 모서리에 계지되는 제2 부분과, 제1 부분이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제1 부분의 대향면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의 외측에 천정판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여 현수 볼트를 통과시키는 제3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과, 상기 제1 부분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부분의 요동을 방지하는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요동을 방지하는 상기 방지 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된 내측에 움푹 패이는 오목부와, 상기 제1 부분의 대향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볼록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송풍기, 열교환기 및 드레인 팬 등을 하우징 내에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판금제의 상부판과 2부분으로 분할된 판금제의 측판으로 구성되어 분할된 측판들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고정 갈고리로, 고리 형상으로 가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화장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흡입 그릴에 형성된 가이드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흡입 그릴의 측면으로부터 그 일부가 상기 화장 패널의 계지부 내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이며,
    흡입 그릴에 형성된 보스부에 나사를 거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측방에 형성된 굴곡 부재와,
    상기 굴곡 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가이드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마다 하나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에는 상기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중앙 부근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
  8. 화장 패널과,
    상기 화장 패널에 힌지 결합되는 흡입 그릴과,
    상기 흡입 그릴에 형성된 보스부에 나사를 거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측방에 형성된 굴곡 부재와, 상기 굴곡 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가이드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로크 장치와,
    상기 슬라이드식 로크 부재의 일부가 상기 화장 패널의 계지부에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흡입 그릴의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갖고, 공기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는 플랩을 구비하고, 이 플랩의 플랩 위치를 복수의 단계로 변경하는 제어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각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플랩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는 실내의 천정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2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와 상기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복수의 취출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에는 적어도 상기 제1 단계에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취출 모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취출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와 상기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복수의 취출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에는 적어도 상기 제2 단계에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취출 모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취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취출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와 상기 플랩 위치를 대응시킨 복수의 취출 모드를 기억하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취출 모드에 있어서의 선택된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에 상기 플랩을 제어하는 플랩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7.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갖고, 공기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는 플랩을 구비하고, 이 플랩의 스윙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동작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를 갖고, 상기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 중 어느 하나의 플랩 동작 범위를 선택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플랩 위치를 복수의 단계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플랩 동작 범위는 상기 복수의 단계 중 2개의 단계 사이에서 스윙 동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0.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계에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보다도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플랩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제2 단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사이의 플랩 위치의 범위 내에 예비의 플랩 위치를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제2 단계에 대응하는 플랩 위치를 상기 예비의 플랩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57003456A 2002-08-30 2003-08-28 공기 조화 장치 KR100695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54112A JP4226865B2 (ja) 2002-08-30 2002-08-30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JP-P-2002-00254112 2002-08-30
JPJP-P-2002-00254109 2002-08-30
JP2002254109A JP4416992B2 (ja) 2002-08-30 2002-08-30 空気調和装置
JPJP-P-2002-00254111 2002-08-30
JP2002254111A JP4226864B2 (ja) 2002-08-30 2002-08-30 スライド式ロック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664A true KR20050083664A (ko) 2005-08-26
KR100695369B1 KR100695369B1 (ko) 2007-03-16

Family

ID=3198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456A KR100695369B1 (ko) 2002-08-30 2003-08-28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3) EP1980795B1 (ko)
KR (1) KR100695369B1 (ko)
WO (1) WO200402091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3845A (zh) * 2012-05-16 2013-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走线装置及空调器
KR20150039399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197298B2 (en) 2013-10-0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KR102046399B1 (ko) * 2018-07-05 2019-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273B1 (ko) * 2007-07-25 2010-07-2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AU2013200371B2 (en) * 2008-11-20 2015-03-26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4483990B2 (ja) 2008-11-20 2010-06-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6135866A1 (ja) 2015-02-24 2016-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2212440A (zh) * 2019-07-10 2021-01-12 贵州玄武岩新材料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车间通风系统
EP3971488A1 (en) 2020-09-18 2022-03-23 Carrier Corporation Return air grille ai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542A (ja) * 1982-08-26 1984-03-02 Babcock Hitachi Kk 折り畳み型ダクト
JPH05240497A (ja) * 1992-02-28 1993-09-17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US5443420A (en) * 1993-06-18 1995-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flow direction control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0189125B1 (ko) * 1996-02-22 1999-06-01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루버제어장치 및 방법
JP3795957B2 (ja) 1996-04-17 2006-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1078257A (ja) * 1996-09-04 1998-03-24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JP3489346B2 (ja) * 1996-09-09 2004-01-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H1089762A (ja) * 1996-09-12 1998-04-10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H10103759A (ja) * 1996-09-25 1998-04-21 Daikin Ind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1137497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H11351661A (ja) 1998-06-05 1999-12-24 Sanyo Electric Co Ltd ファンユニットの吊下装置
JP3953218B2 (ja) 1998-12-28 2007-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0356392A (ja) * 1999-06-14 2000-12-2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断熱・気密型換気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3845A (zh) * 2012-05-16 2013-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走线装置及空调器
CN103423845B (zh) * 2012-05-16 2016-07-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走线装置及空调器
KR20150039399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047972B2 (en) 2013-10-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197298B2 (en) 2013-10-0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KR102046399B1 (ko) * 2018-07-05 2019-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8375B1 (en) 2011-07-20
EP1980799A1 (en) 2008-10-15
EP1548375A1 (en) 2005-06-29
WO2004020915A1 (ja) 2004-03-11
EP1980799B1 (en) 2011-01-26
EP1548375A4 (en) 2008-05-14
EP1980795A1 (en) 2008-10-15
EP1980795B1 (en) 2013-06-26
KR100695369B1 (ko)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369B1 (ko) 공기 조화 장치
JP3368717B2 (ja) 空気調和機
EP3336444B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EP201754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4416992B2 (ja) 空気調和装置
KR20200089362A (ko) 에어컨
EP2163831B1 (en) Air conditioner
CA2279475C (en) Control box door/fairing for front grille of an air conditioner
WO2005033586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200089360A (ko) 에어컨
JPH08270974A (ja) 空気調和装置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89361A (ko) 에어컨
JP2001289456A (ja) 空気調和機
JP2003262358A (ja) 空気調和機
JP200506954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06313577A (ja) 空気調和機
JP3599840B2 (ja) 空気調和機
KR20200089364A (ko) 에어컨
KR20050029317A (ko) 공기조화기의 모터조립체 장착구조
KR20200089359A (ko) 에어컨
KR200229882Y1 (ko) 창문형에어컨의풍향조정장치
JPH08200790A (ja) 空気調和機
AU2019242467A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200712739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