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635A - 주차타워 - Google Patents

주차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635A
KR20050082635A KR1020040011133A KR20040011133A KR20050082635A KR 20050082635 A KR20050082635 A KR 20050082635A KR 1020040011133 A KR1020040011133 A KR 1020040011133A KR 20040011133 A KR20040011133 A KR 20040011133A KR 20050082635 A KR20050082635 A KR 2005008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late
pallet
parking plat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홍
Original Assignee
황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홍 filed Critical 황태홍
Priority to KR102004001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2635A/ko
Publication of KR2005008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6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제1 주차판, 제2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를 구비하며, 플랫폼 층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제2 주차판의 상면과 이동주차대 상에 지지된 제1 주차판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이동주차대를 이용하여 주차판의 진입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주차판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종래까지 팔레트장치의 통로로만 제공되던 공간을 주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주차판의 상면을 일치하게 하여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주차장 운영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주차타워{PARKING TOWER}
본 발명은 건물형 주차설비인 주차타워(parking tow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차된 차량을 신속하게 출고할 수 있는 다층형 주차타워(multistory parking tower)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이다. 이러한 주차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갈등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부수적인 목적으로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 조작의 편의성, 신속한 입고 및 출고, 저렴한 공사비용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차타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차타워의 플랫폼 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차타워(1)는 본 출원인의 다른 권리인 등록실용신안 제20-3354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타워(1)는 타워 구조체(10), 팔레트 장치(20), 수직이송장치(15), 제1 주차판(40) 및 제1 이동주차대(60)를 포함한다. 타워 구조체(10)는 약 10여개의 플랫폼 층(PL)을 제공하며, 플랫폼 층(PL)에는 제1 주차공간(R1), 제2 주차공간(R2) 및 제3 주차공간(R3)이 제공되며, 3개의 주차공간들(R1~R3)이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팔레트 장치(20)의 통로는 좌측으로 제3 주차공간(R3)에 접하고 전방으로는 제1 주차공간(R1)에 접한다.
팔레트 장치(20)는 팔레트 베이스(22), 주차판 이송장치(30) 및 횡주차판 이송장치(50)를 포함한다. 팔레트 베이스(22)는 제1 주차판(40) 또는 다른 주차판들을 지지 및 고정하며, 주차판 이송장치(30)는 팔레트 베이스(22) 상에 장착되며 제1 주차판(4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여 팔레트 장치(20) 및 제1 주차공간(R1) 간에 차량을 서로 이송할 수 있다. 횡주차판 이송장치(50) 역시 팔레트 베이스 상에 장착되며, 횡주차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여 팔레트 장치(20) 및 제3 주차공간(R3) 간에 차량을 서로 이송할 수 있다.
수직이송장치(15)는 수직이송 구동모터(16)를 포함하며, 수직이송 구동모터(16)는 와이어 및 풀리들을 통해 팔레트 장치(20)와 연결되고, 팔레트 장치(20)를 상하로 이송한다.
이동주차대(60)는 레일을 따라 제1 주차공간(R1) 및 제2 주차공간(R2) 사이를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주차대(60)는 이동 모터(62)를 포함하며, 이동 모터(62)는 제1 이동주차대(60)의 롤러(6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이동주차대(60)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주차타워에서 주차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제1 및 제2 주차공간(R1, R2)에서의 주차 과정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차량(C1)이 제1 주차판(40) 상에 적재되고, 팔레트 장치(20)에 의해서 제1 차량(C1)이 적재된 제1 주차판(40)은 목적된 플랫폼 층(PL)으로 이송된다. 제1 차량(C1)을 제1 주차공간(R1)에 주차한 후, 동일 플랫폼 층(PL)에 제2 차량(C2)을 주차하기 위해서 제1 차량(C1) 및 이동주차대(60)를 제2 주차공간(R2)으로 이동시킨 후, 제1 주차공간(R1)으로 제2 차량(C2) 및 제2 주차판(42)을 이송한다.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량(C2) 및 제2 주차판(42)의 높이는 제1 차량(C1) 및 제1 주차판(40)의 높이보다 낮게 유지되며, 그 차이는 대략 이동주차대(60)의 높이에 해당한다.
상기 높이 차이에 의해서 각각 플랫폼 층은 각각의 높이에 따른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해야 하며, 센서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주차타워(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도 더 많은 경우의 상황을 예측하고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주차 제어프로그램은 차량이 이동주차대(60) 상으로 이송되는지 또는 플랫폼 층 상으로 이송되는지를 미리 감지하여 팔레트 장치(20)의 정지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해야 하며, 이동주차대(60)의 유무에 따라 각각의 입구측 주차공간에서 차량 및 주차판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2개 이상 사용하고, 각 센서로부터 잘못 읽어지는 오류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필터링도 수시로 수행해야 한다. 주차 제어에 관한 상기 문제들은 프로그램 상의 처리속도를 늦추는 원인이 되며, 주차 제어시스템의 과부하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차량의 입고 및 출고 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으로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동시에, 차량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차량의 위치 감지를 용이하게 하고, 주차 제어시스템의 운영 프로그램을 최대한 명확하고 단순하게 유지함으로써 신속하고 간단 명료하게 주차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어,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레트 장치 및 플랫폼 층 간의 주차판 이송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차판의 이송방향 및 정지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판을 직선 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2 이상의 방향으로 이송 시킬 수 있어 차량을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제한된 공간 내에서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제1 주차판, 제2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를 포함한다.
타워 구조체는 주차타워의 구조 프레임을 형성하며, 다층의 구조체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한다. 각 플랫폼 층에는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제공된다.
팔레트 장치는 주차판 또는 차량이 적재된 주차판을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이송장치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주차타워의 입구에서부터 차량 및 주차판을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송하거나 차량 및 주차판을 주차된 플랫폼 층으로부터 이송 받아 입구까지 이송한다.
제1 주차판 및 제2 주차판은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롤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주차판들은 입구에서부터 차량을 적재하여 차량과 함께 플랫폼 층의 주차공간 중 어느 하나로 이송되며, 차량을 출고할 때도 적재된 차량과 함께 이송되어 주차타워의 입구로 되돌아온다. 주차판은 적재하고 있던 차량을 출고한 후, 주차타워의 입구로부터 다른 차량을 적재하여 다시 다른 주차공간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주차판 보관실로 이송되어 다음 사용시까지 보관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주차판은 주로 이동주차대에 적재된 상태로 플랫폼 층 내에서 수평이동을 하며, 제2 주차판은 이동주차대가 이동한 후 빈 주차공간으로 남아 있는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주차판을 구분한 것은 명세서 내에서 각 주차판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분이 발명의 권리범위를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및 제2 주차판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주차판이 사용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적용에 따라서는 구조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주차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팔레트 장치가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송되며, 해당 플랫폼 층에 도착하면 그 플랫폼 층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에 근접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제1 또는 제2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해서 팔레트 장치에는 제1 주차판 이송장치가 장착된다. 제1 주차판 이송장치는 팔레트 장치 상의 주차판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주차판을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입구측 주차공간에 위치한 주차판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후 구동력을 전달하여 팔레트 장치 상으로 주차판을 이송할 수가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주차대는 제1 주차판을 적재한 후 플랫폼 층 상에서 수평하게 이동한다. 저면에 이송롤러가 장착된 제1 주차판은 오직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주차대에 의해서 제1 주차판을 수직 또는 일정 각도 틀어진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타워에서는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제2 주차판의 상면과 이동주차대 상에 지지된 제1 주차판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 될 수 있다. 종래 이동주차대를 이용한 플랫폼 층에서 제1 주차판 및 제2 주차판의 상면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주차판들에 적재된 차량의 위치도 쉽게 파악할 수가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주차판이 이송되는 경우와 제2 주차판이 이송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차량의 위치를 별도로 감지하고 별도로 작동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플랫폼 구조에서는 제1 주차판 및 제2 주차판의 상면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차량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입고 및 출고의 제어를 비교적 단순하고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 층의 구조는 주차공간들을 2차원적으로 배열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주차공간들을 직선 또는 평행한 직선 구조로 배열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주차공간들을 (2X2), (2X3) 및 (3X3) 등의 구조로 배열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팔레트 장치를 위한 통로 외에는 모두 주차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좁은 지역 내에서 설치되어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표 1]은 주차공간 배치의 예시들을 간략하게 도시하여 정리한 것이다.
우선, (2X2) 구조에서 각 플랫폼 층에 4개의 공간이 형성되며, 4개 중 어느 하나를 팔레트 장치의 통로로 사용할 수 있다(흑색 표시 참고). 참고로, 플랫폼 층은 제1 입구측 주차공간(I) 및 제2 입구측 주차공간(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머지 주차공간(↕)은 이동주차대의 이송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머지 주차공간(↕)은 제1 입구측 주차공간(I)로부터 제1 주차판을 이송 받는 것이 시간 절약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차량이 전후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면, 상하 방향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좌우 방향의 이동에 소용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기 때문에, 제1 입구측 주차공간(I)와 팔레트 장치 간에 신속하게 이동시킨 후,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이동하는 이동주차대는 팔레트 장치가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이송되는 것이 시간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2X2) 구조에서 제2 입구측 주차공간(II)은 이동주차대 없이 단독으로 차량을 주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차타워는 다른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주차판을 포함하며, 팔레트 장치에는 제2 입구측 주차공간(II)으로 제3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주차판 이송장치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2X3) 구조에서 각 플랫폼 층에 6개의 공간이 형성되며, 1, 2행 중 하나의 중앙을 팔레트 장치의 통로로 사용할 수 있다(흑색 표시 참고). 팔레트 장치의 통로를 기준으로 좌우로 제1 입구측 주차공간(I, I')이 배치되고, 전방에 제2 입구측 주차공간(II)이 배치된다.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은 (2X2) 구조와 유사하지만, 제1 주차판 이송장치는 좌우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I, I')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주차판을 이송할 수 있다.
끝으로, (3X3) 구조는 각 플랫폼 층에 총 9개의 공간이 형성되며, 중앙에 위치한 공간을 팔레트 장치의 통로로 사용할 수 있다(흑색 표시 참고). (3X3) 구조에서는 이동주차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일 예에 따르면, 팔레트 장치의 통로를 기준으로 전후/좌우에 각각 제1 내지 제4 입구측 주차공간이 배치되고, 각각 이동주차대를 이용하여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인접한 주차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역시 이동주차대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은 (2X2) 구조와 유사하지만, 제1 및 제2 주차판 이송장치는 각각 전후 또는 좌우에 위치한 입구측 주차공간(I~IV)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차판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제1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를 포함한다. 타워 구조체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며, 팔레트 장치는 수직이송장치에 의해서 플랫폼 층 간에 차량 또는 주차판을 이송한다.
제1 주차판은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차량과 함께 팔레트 장치에 의해 이송되거나 플랫폼 층의 특정 주차공간에서 차량을 지지한다. 제1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1 가이드판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판은 대략 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주차판 이송장치에 맞물려서 제1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매개가 된다. 이를 위해서 제1 가이드판은 팔레트 장치 및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이송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주차판 이송장치는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팔레트 장치 및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 제1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주차판 이송장치는 팔레트 장치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제1 슬라이딩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슬라이딩 이동부,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된 제1 주차판 구동부, 및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되며 제1 주차판 구동부와 연동하여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1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 이동부에 의해서 제1 슬라이딩 베이스가 플랫폼 층의 입구측 주차공간에 접근 또는 후퇴하게 되며, 제1 슬라이딩 이동부에 의해서 제1 가이드롤러부 및 제1 가이드판이 선택적으로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할 수가 있다.
플랫폼 층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에는 이동주차대가 배치되며, 이동주차대는 팔레트 장치로부터 주차판을 이송 받아 다른 주차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 및 주차판을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랫폼 층에서 주차공간들은 (2X2), (2X3) 및 (3X3) 등과 같이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차타워는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주차판을 포함하며, 제2 주차판 이송장치는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팔레트 장치 및 플랫폼 층의 제2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제3 주차판을 이송할 수 있다. 2차원적 배열에 대한 주차 구조는 이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플랫폼 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우선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130), 제1 주차판(110), 제2 주차판(120), 제3 주차판(180),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 제2 주차판 이송장치(150) 및 이동주차대(16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주차타워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의 타워 구조체 및 팔레트 장치(130)를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 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타워 구조체 및 수직 이송장치를 참고하여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인 플랫폼 층(PL), 팔레트 장치(130), 제1 주차판(110), 제2 주차판(120), 제3 주차판(180),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 제2 주차판 이송장치(150) 및 이동주차대(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층(PL)은 (2X2)의 공간 구조를 가지며, 그 중 하나가 팔레트 장치(130)의 통로로 이용되고, 나머지 3개의 공간들이 L-자 형상으로 배열된다.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의 구조에서는 (2X3) 및 (3X3)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적용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 요소 및 구조는 이하 설명이 적용될 수가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플랫폼 층(PL)은 팔레트 장치(130)의 통로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및 팔레트 장치(130)의 통로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제2 입구측 주차공간(R2)을 포함하며,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의 전방에 내부 주차공간(R3)이 위치한다. 주차판들은 팔레트 장치(130)에 의해 목적된 플랫폼 층(PL)으로 이송되고, 제1 또는 제2 입구측 주차공간(R1,R2)을 통해서 플랫폼 층(PL)으로 진입한다.
플랫폼 층(PL)은 차량 및 주차판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2X2) 구조에서 통로를 제외한 3개의 공간을 주차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구측 주차공간(R1, R2)을 제외한 내부 주차공간(R3)은 이동주차대(160)의 사용에 의해서 활용될 수 있다.
팔레트 장치(130)는 수직이송장치에 의해서 통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팔레트 장치(130) 상에는 주차판이 적재되며, 주차판을 적재한 상태에서 목적된 플랫폼 층(PL)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팔레트 장치(130)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 주차판(110,12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팔레트 레일(132) 및 제3 주차판(18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팔레트 레일(134)이 장착된다. 주차판들은 주차판 이송장치에 의해 팔레트 레일 상에서 이동하며, 인접한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되어 롤러지지레일로 전환되고 지지된다.
제1 입구측 주차공간에 위치한 이동주차대(160)는 주차대 몸체를 형성하는 중심몸체(162), 중심몸체(162)의 전후 하단에 형성된 롤러지지편(164) 및 이동주차대(160)에 장착된 주차대 롤러(166)를 포함한다. 중심몸체(162)는 대략 차폭의 너비로 이격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종축바(162a) 및 2개의 종축바(162a)를 연결하는 횡축바(162b)들을 포함한다. 종축바(162a) 각각의 전후단부의 저면에는 롤러지지편(164)이 용접 또는 나사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된다. 롤러지지편(164)은 종축바(162a)의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며, 이동주차대(160)가 이동하는 도중에 제1 주차판(110)의 이송롤러(11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동주차대(160)의 중심몸체(162) 좌우에는 주차대 롤러(166)가 장착되며, 주차대 롤러(166)에 의해서 이동주차대(160)는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및 내부 주차공간(R3) 간에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가 있다.
플랫폼 층(PL)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는 제1 롤러지지레일(172)이 형성된다. 제1 롤러지지레일(172)은 제1 또는 제2 주차판(110,120)의 이송롤러(112, 122) 간의 폭만큼 이격되어 주차판의 이송롤러(112, 122)를 지지한다. 제1 롤러지지레일(172)는 이동주차대(160)의 롤러지지편(164)에 대응하는 그루브(174)가 형성된다. 제1 롤러지지레일(172) 및 롤러지지편(164)의 상면은 대략 일치하며, 이동주차대(160)가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으로 이송되면서 롤러지지편(164)이 제1 롤러지지레일(172)의 그루브(174)로 삽입되어 평평한 상면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롤러지지레일(172)의 상면과 중심몸체(162)의 저면이 근접하게 통과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서는 이동주차대(160) 이용 여부에 관계 없이, 제1 주차판(110) 및 제2 주차판(120)이 제1 롤러지지레일(172) 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주차대(160)에 적재된 제1 주차판(110)과 이동주차대(160) 없이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주차된 제2 주차판(120)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제1 주차판(110) 및 제2 주차판(120)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주차판들과 함께 이송되는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를 적게 사용함으로써 주차타워의 운전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경우의 수를 간단하게 정리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주차대(160)의 사용 유무와 관계 없이 팔레트 장치(130)는 언제나 동일한 높이에서 제1 및 제 2 주차판(110, 120)을 이송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동주차대(160) 유무에 따라 팔레트 장치(130)의 정지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제어 변수가 줄어들어 신속하게 차량을 입고 및 출고할 수가 있다.
제2 입구측 주차공간(R2)에도 제2 롤러지지레일(176)이 형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입구측 주차공간(R2)에서는 이동주차대를 사용하지 않으며, 단지 제3 주차판(180)이 입고 또는 출고되고, 제2 주차판 이송장치(150)에 의한 왕복운동을 한다.
도 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이동주차대 및 제1 롤러지지레일이 상호 결속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이동주차대 및 제1 롤러지지레일이 상호 결속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주차판(110)을 적재한 팔레트 장치(130)가 목적하는 플랫폼 층(PL)에 접근하거나 접근하기 전에, 이동주차대(160)가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으로 이송된다. 이동주차대(160)는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및 내부 주차공간(R3) 사이를 레일을 따라 움직인다.
이동주차대(160)가 제1 롤러지지레일(172)에 접근하면서, 이동주차대(160)의 롤러지지편(164)이 제1 롤러지지레일(172)의 그루브(174)로 삽입된다. 롤러지지편(164) 및 제1 롤러지지레일(172)의 상면이 대략 일치하기 때문에 제1 주차판(110)은 용이하게 제1 롤러지지레일(172) 상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주차판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주차판 및 제1 주차판 이송장치 간의 상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주차판(110)은 이송롤러(112) 및 가이드판(114)을 포함한다. 이송롤러(112)는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과 팔레트 장치(130) 간의 이송방향, 즉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롤러지지레일(172) 간에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된다. 또한, 가이드판(114)은 제1 주차판(110)의 저면에는 이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판재 형상의 가이드판(114)이 제1 주차판(110) 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1 주차판(110)의 가이드판(114)는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와 맞물려 제1 주차판(110)을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가이드판(114)이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와 용이하게 결속되기 위해서, 가이드판(114)의 단부가 제1 주차판(110)의 좌우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가이드롤러부(148)와 용이하게 맞물릴 수가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위치한 제1 주차판(110)과 결속되기 위해서,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는 부분적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 제1 슬라이딩 이동부(144), 제1 주차판 구동부(146) 및 제1 가이드롤러부(148)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는 팔레트 장치(130) 상에 장착되며, 제1 또는 제2 주차판(110,120)의 가이드판(114) 위치에 대응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는 팔레트 장치(130) 상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팔레트 장치(130)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는 제3 주차판(18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제2 팔레트 레일(134)의 아래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 내부에는 제1 주차판 구동부(146), 상호 맞물린 기어 커플(147) 및 제1 가이드롤러부(148)를 포함한다. 제1 주차판 구동부(146)의 회전은 기어 커플(147)로 전달되며, 기어 커플(147)의 각각 제1 가이드롤러부(148)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주차판 구동부(146)의 회전은 기어 커플(147)을 통해 제1 가이드롤러부(148)로 전달되고, 제1 가이드롤러부(148)와 결속된 가이드판(114)이 있는 경우 제1 가이드롤러부(148)의 회전에 의해서 제1 주차판(110)을 좌우로 이송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롤러부(148)는 제2 팔레트 레일(134)의 외측에 위치하며, 외측에서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슬라이딩 이동부(144)가 사용된다. 제1 슬라이딩 이동부(144)는 베이스 구동부 및 베이스 구동부의 피니언과 맞물린 랙 부재(142a)를 포함한다. 랙 부재(142a)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피니언 및 랙 부재(142a) 간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가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 장치(130)에는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외에도 제2 주차판 이송장치(150)가 장착된다.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와 마찬가지로, 제2 주차판 이송장치(150)도 제2 슬라이딩 베이스(152), 제2 슬라이딩 이동부(154), 제2 주차판 구동부(156) 및 제2 가이드롤러부(158)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딩 베이스(152)는 제2 슬라이딩 이동부(154)에 의해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제2 가이드롤러부(158)가 제3 주차판(180)의 가이드판(184)과 맞물려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제2 주차판 이송장치(150)에 의해서 제3 주차판(180)이 팔레트 장치(130) 및 제2 입구측 주차공간(R2)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다.
도 9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및 제2 주차판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3 주차판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주차판(110) 및 제2 주차판(120)에서 가이드판(114)은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제3 주차판(180)에서 가이드판(184)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팔레트 장치(130) 상에 제1 주차판 이송장치(140)가 좌측 후방에 장착되고, 제2 주차판 이송장치(150)가 우측 전방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주차판(110)에서 가이드판(114)은 약간 왼쪽에 치우쳐 있으며, 제3 주차판(180)에서 가이드판(184)은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다. 하지만, 가이드판(114, 124, 184)의 위치는 제1 또는 제2 주차판 이송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이동주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제1 주차판(110), 제2 주차판(120), 제3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제2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주차대(260) 및 플랫폼 층(PL) 상의 내부 주차공간에 배치된 제3 롤러지지레일(178)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제1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이동주차대(260)는 중심몸체(262), 롤러지지편(264), 주차대 롤러(266), 보조몸체(268) 및 연결바(267)를 포함한다. 중심몸체(262)는 제1 입구측 주차공간에 위치한 이동주차대(260)의 중앙에서 몸체를 형성하며, 롤러지지편(264)은 중심몸체(262)의 전후 하단에 용접이나 나사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되고, 보조몸체(268)가 중심몸체(262)의 전후방에 위치하여 중심몸체(262)와 함께 롤러지지편(264)을 지지한다. 중심몸체(262) 및 보조몸체(268)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연결바(267)가 제1 주차판 이송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중심몸체(262) 및 보조몸체(268)를 연결한다. 보조몸체(268) 역시 저면이 제1 롤러지지레일(172)의 상면과 일치하거나 상부에 근접하게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참고로, 도 11a는 제1 주차판(110)이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위치한 이동주차대(260) 상에 적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11b는 제1 주차판(110) 및 이동주차대(260)가 내부 주차공간(R3)으로 이송되고,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제1 주차판(120)이 이송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이동주차대(260)가 이송되어 있으며, 이동주차대(260)의 롤러지지편(264)이 각각 제1 롤러지지레일(172)의 그루브(174)에 삽입되는 위치에 정지해 있다. 이때, 그루브(174)에 롤러지지편(264)이 삽입되면서 제1 롤러지지레일(172)의 상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중심몸체(262) 및 보조몸체(268) 사이로 제1 주차판(110)의 이송롤러(112)가 진입할 수 있다. 제1 주차판(110)은 모든 이송롤러(112)가 롤러지지편(264)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정지한다. 이때, 내부 주차공간(R3)에는 제1 롤러지지레일(172)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3 롤러지지레일(178)이 장착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이동주차대(260)가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서 내부 주차공간(R3)으로 이송되고, 제1 주차판(110) 및 차량도 같이 내부 주차공간(R3)으로 이송된다. 그와 동시에,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는 차량을 적재한 제2 주차판(120)이 제1 주차판 이송장치에 의해서 팔레트 장치로부터 이송된다.
이동주차대(260)가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동되며, 제1 주차판(110)도 롤러지지편(264)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함께 이동한다. 제1 주차판(110) 및 이동주차대(260)가 내부 주차공간(R3)으로 이송될 때, 이동주차대(260)의 롤러지지편(264)이 제3 롤러지지레일(178)의 그루브로 삽입되면서 이동주차대(260)가 정지하게 되고, 롤러지지편(264)이 제3 롤러지지레일(178)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지지되면서 제1 주차판(11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서는 이동주차대(260) 이용 여부에 관계 없이, 제1 롤러지지레일(172), 제3 롤러지지레일(178) 및 롤러지지편(264)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주차판(110) 및 제2 주차판(120)의 상면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제1 주차판(110) 및 제2 주차판(120)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주차판들과 함께 이송되는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를 되도록 적게 사용함으로써 주차타워의 운전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경우의 수를 간단하게 정리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주차대(260)의 사용 유무와 관계 없이 팔레트 장치는 언제나 동일한 높이에서 제1 및 제 2 주차판(110, 120)을 이송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동주차대(260) 유무에 따라 팔레트 장치의 정지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제어 변수가 줄어들어 신속하게 차량을 입고 및 출고할 수가 있다.
제2 주차판(120)이 차량과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으로부터 출고된 후에, 제1 주차판(110) 및 이동주차대(260)가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동주차대(260)가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으로 이송된 다음, 팔레트 장치의 제1 주차판 이송장치는 이동주차대(260)에 적재된 제1 주차판(110)을 팔레트 장치로 위치 전환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제1 주차판(310), 제2 주차판(320), 제3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제2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36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에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롤러지지레일을 포함하지 않으며, 특징적으로 이송롤러(312, 322)의 크기가 다른 제1 및 제2 주차판(310, 320) 및 롤러지지편을 포함하지 않는 이동주차대(360)를 포함한다. 그 외의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주차판 이송장치 등은 이전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주차판(310)은 제1 이송롤러(312) 및 제1 가이드판(314)을 포함하며, 제2 주차판(320)은 제2 이송롤러(322) 및 제2 가이드판(324)을 포함한다. 다만, 제1 이송롤러(312)의 직경이 제2 이송롤러(322)의 직경보다 작으며, 제1 가이드판(314)의 높이가 제2 가이드판(324)의 높이보다 낮다. 일반적으로 제1 주차판(310)이 이동주차대(360) 상에 적재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이송롤러(312, 322)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제1 및 제2 주차판(310, 320)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주차판(320)이 적재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의 플랫폼 베이스가 기준면이라면, 이동주차대(360)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주차대(360)에서 제1 이송롤러(312)를 지지하는 면이 기준면이 된다. 이때 기준면을 중심으로 팔레트 장치가 높이를 달리하여 정지하게 된다. 즉, 동일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주차판을 적재하더라도, 이동주차대(360)의 유무에 따라 제1 또는 제2 주차판(310, 320)이 결정되며, 팔레트 장치가 정지하는 높이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판(324)이 제1 가이드판(314)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1 주차판 이송장치의 가이드롤러부는 기준면으로부터 거의 일정한 높이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판(314, 324)과 결속될 수 있다.
플랫폼 층에서 제1 주차판(310) 및 제2 주차판(320)의 상면을 동일하게 유지된다. 제1 주차판(310) 및 제2 주차판(320)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주차판들과 함께 이송되는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를 되도록 적게 사용함으로써 주차타워의 운전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경우의 수를 간단하게 정리할 수가 있다.
이동주차대(360)는 중심몸체(362), 중심몸체(362)의 전후로 형성된 롤러지지부(364) 및 주차대 롤러(366)를 포함한다. 이전 실시예와 같은 롤러지지편은 없지만, 롤러지지부(364)가 전후로 형성되어 제1 주차판(310)의 제1 이송롤러(312)를 지지하며, 롤러지지부(364)와 중심몸체(362) 사이에는 턱이 형성되어, 이동주차대(360)의 이동시 제1 주차판(310)이 전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제1 주차판(310), 제2 주차판(420), 제3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제2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36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에서도 롤러지지레일을 포함하지 않으며, 특징적으로 제2 주차판(420)를 제외한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주차판 이송장치 등은 제3 실시예 및 이전 실시예들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주차판(310)은 제1 이송롤러(312) 및 제1 가이드판(314)을 포함하며, 제2 주차판(420)은 제2 이송롤러(422), 높이보정부재(426) 및 제2 가이드판(424)를 포함한다. 다만, 제1 및 제2 이송롤러(312, 422)의 직경이 동일하지만, 높이보정부재(426)가 제2 이송롤러(422) 및 제2 주차판(420) 사이에 개재되어 제2 주차판(420)이 제1 주차판(310)보다 높다. 또한, 제1 가이드판(314)의 높이가 제2 가이드판(424)의 높이보다 낮다. 일반적으로 제1 주차판(310)이 이동주차대(360) 상에 적재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2 이송롤러(422)에 높이보정부재(426)를 이용하여 제2 주차판(420)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주차판(310, 420)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주차판(420)이 적재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의 플랫폼 베이스가 기준면이라면, 이동주차대(360)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주차대(360)에서 제1 이송롤러(312)를 지지하는 면이 기준면이 된다. 이때 기준면을 중심으로 팔레트 장치가 높이를 달리하여 정지하게 된다.
동일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주차판을 적재하더라도, 이동주차대(360)의 유무에 따라 제1 또는 제2 주차판(310, 420)이 결정되며, 그 동시에 팔레트 장치가 정지하는 높이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판(424)이 제1 가이드판(314)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1 주차판 이송장치의 가이드롤러부는 기준면으로부터 거의 일정한 높이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판(314, 424)과 결속될 수 있다.
높이보정부재(426)를 이용함으로써 플랫폼 층에서 제1 주차판(310) 및 제2 주차판(420)의 상면을 동일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주차판(310) 및 제2 주차판(420)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주차판들과 함께 이송되는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를 되도록 적게 사용함으로써 주차타워의 운전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경우의 수를 간단하게 정리할 수가 있다.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주차대(360)는 중심몸체(362), 중심몸체(362)의 전후로 형성된 롤러지지부(364) 및 주차대 롤러(366)를 포함한다. 롤러지지부(364)가 전후로 형성되어 제1 주차판(310)의 제1 이송롤러(312)를 지지하며, 롤러지지부(364)와 중심몸체(362) 사이에는 턱이 형성되어, 이동주차대(360)의 이동시 제1 주차판(310)이 전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5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530), 제1 주차판(510), 제2 주차판(520), 제3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제2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56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및 제2 주차판(510, 520)의 이송롤러(512, 522)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내륜(512a, 522a)와 외륜(512b, 522b)으로 구성된 2단 구조로 형성되고, 이동주차대(560)는 롤러지지편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외의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주차판 이송장치 등은 이전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랫폼 층(PL) 상에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과 내부 주차공간(R3)이 제공된다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상에는 제2 주차판(520)이 적재되어 있으며, 내부 주차공간(R3)에는 이동주차대(560) 및 제1 주차판(510)이 차례로 적재되어 있다.
제1 주차판(510)은 제1 이송롤러(512) 및 제1 가이드판(514)을 포함한다. 제1 주차판(510)은 제1 이송롤러(512)에 의해 지지되어 팔레트 장치(530)의 제1 팔레트 레일(532) 및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이때 제1 주차판(510)은 가이드롤러부와 맞물린 제1 가이드판(514)을 통해 힘을 전달 받아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및 팔레트 장치(530) 간에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송롤러(512)는 제1 내륜(512a) 및 제1 외륜(512b)을 포함한다. 제1 내륜(512a)은 제1 팔레트 레일(532)의 너비만큼 또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제1 팔레트 레일(532)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1 내륜(512a)의 양측에는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제1 외륜(512b)이 형성된다. 제1 외륜(512b)은 제1 내륜(512a)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1 이송롤러(512)가 제1 팔레트 레일(532)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이동주차대(560)에서는 롤러지지대(564) 상에서 제1 주차판(510)을 지지한다.
이동주차대(560)는 중심몸체(562), 제1 이송롤러(512)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대(564) 및 주차대 롤러(566)를 포함하며, 제1 주차판(510)을 적재한 상태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및 내부 주차공간(R3) 간에 이동할 수 있다.
제2 주차판(520)은 제2 이송롤러(522) 및 제2 가이드판(524)을 포함한다. 제1 주차판(510)과 마찬가지로, 제2 주차판(520)도 제2 이송롤러(522)에 의해 지지되어 팔레트 장치(530)의 제1 팔레트 레일(532) 및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이때 제2 주차판(520)은 가이드롤러부와 맞물린 제2 가이드판(524)을 통해 힘을 전달 받아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및 팔레트 장치(530) 간에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송롤러(522)는 제2 내륜(522a) 및 제2 외륜(522b)을 포함한다. 제2 내륜(522a)도 제1 내륜(512a)과 마찬가지로 제1 팔레트 레일(532)에 의해서 지지되며, 제2 내륜(522a)의 양측에는 제2 외륜(522b)이 형성된다. 제2 외륜(522b)은 제2 이송롤러(522)가 제1 팔레트 레일(532)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거나 플랫폼 층(PL) 상에서 제2 주차판(520)을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차판(510)이 이동주차대(560)에 적재되어 있고 제2 주차판(520)이 플랫폼 층(PL) 상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 제1 주차판(510) 및 제2 주차판(520)은 각각 제1 외륜(512b) 및 제2 외륜(522b)에 의해서 지지되며, 제1 내륜(512a) 및 제2 내륜(522a)의 저단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면, 제1 이송롤러(512)와 제2 이송롤러(522)의 중심이 반드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주차판(510) 및 제2 주차판(520)이 플랫폼 층(PL) 또는 팔레트 장치(530) 중 어디에서도 제1 내륜(512a) 및 제2 내륜(522a)의 저단이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팔레트 레일(532)의 상면과 일치하는 높이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주차판(510)은 제1 팔레트 레일(53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 위치한 이동주차대(560)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이송되며, 제2 주차판(520) 역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으로 이송된다.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팔레트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팔레트 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16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팔레트 레일 및 이송롤러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및 도 16을 참조하면, 팔레트 장치(530) 상에 제1 팔레트 레일(532) 및 제2 팔레트 레일(534)이 서로 교차하여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이송롤러(512)의 경우 제1 내륜(512a)이 제1 팔레트 레일(532)과 접하며, 제1 내륜(512a)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외륜(512b)이 제1 팔레트 레일(532)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도 15의 (b) 참고). 제2 이송롤러(522)에서도 제2 내륜(522a)이 제1 팔레트 레일(532)과 접하며, 제2 외륜(522b)이 제1 팔레트 레일(532)의 상부 양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도 15의 (a) 참고). 이때, 제1 내륜(512a) 및 제2 내륜(522a)이 동일한 레일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주차판(510) 및 제2 주차판(520)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외륜(512b) 및 제2 외륜(522b)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1 주차판(510)이 이동주차대(560)로 진입하거나 제2 주차판(520)이 플랫폼 층(PL) 상으로 진입하여도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가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팔레트 레일(532) 및 제2 팔레트 레일(534)의 교차 지점에 레일이 부분적으로 이격된 공간(536)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536)은 제1 외륜(512b) 및 제2 외륜(522b)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536)은 대략 제1 외륜(512b) 또는 제2 외륜(522b)의 너비만큼 이격되는 것이 좋다.
도 17a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2 이송롤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7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이송롤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팔레트 장치(530)에서 제2 이송롤러(522)는 제2 내륜(522a)을 통해 제1 팔레트 레일(532) 상에 지지되며,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서는 제2 외륜(522b)을 통해 플랫폼 층(PL) 상에 지지된다. 팔레트 장치(530) 및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간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이송롤러(522)의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17b를 참조하면, 팔레트 장치(530)에서 제1 이송롤러(512)는 제1 내륜(512a)을 통해 제1 팔레트 레일(532) 상에 지지되며,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에서는 제1 외륜(512b)을 통해 이동주차대(560)의 롤러지지대(564) 상에 지지된다. 팔레트 장치(530) 및 제1 입구측 주차공간(R1) 간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이송롤러(512)의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주차판(510) 및 제2 주차판(520)의 상면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내륜(512a) 및 제2 내륜(522a)의 저단 높이를 상호 일치시킴으로써 팔레트 장치(530)도 주차판의 종류와 무관하게 일정한 높이에 정지할 수 가 있다. 즉, 이동주차대(560) 유무에 따라 팔레트 장치(530)의 정지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제어 변수가 줄어들어 신속하게 차량을 입고 및 출고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주차판(510) 및 제2 주차판(520)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주차판들과 함께 이송되는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를 적게 사용함으로써 주차타워의 운전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경우의 수를 간단하게 정리할 수가 있다.
실시예 6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들이며, 도 19는 도 18의 (b)에서 B방향으로 보이는 주차판 및 이동주차대가 적층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제1 주차판(610), 제2 주차판(620), 제3 주차판, 제1 주차판 이송장치, 제2 주차판 이송장치 및 이동주차대(6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는 제1 주차판(610), 제2 주차판(620) 및 이동주차대(660)를 제외한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주차판 이송장치 등은 이전 실시예들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주차판(610)은 제1 이송롤러(612) 및 제1 가이드판(614)을 포함하며, 제2 주차판(620)은 제2 이송롤러(622) 및 제2 가이드판(624)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주차대(660)도 중심몸체(662) 및 주차대 롤러(666)을 포함한다. 다만, 이동주차대(660)의 저면 높이가 제2 주차판(620)의 상면 높이보다 적어도 높게 유지되고 중심몸체(662) 및 주차대 롤러(666)의 폭이 제2 주차판(620)의 폭보다 넓어서, 제2 주차판(620)가 이동주차대(66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주차판(620)에 차량이 적재되지 않는 한, 이동주차대(66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주차판(620) 상에 적재된 차량이 주차타워로부터 출고된 후에도 제2 주차판(620)이 플랫폼 층의 제 위치로 이동하여 보관될 수 있다. 이는 별로 주차판들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주차 제어 프로그램을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운영할 수 있다. 물론, 별도로 주차판 보관실을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다.
팔레트 장치는 제1 주차판(610) 및 제2 주차판(620)을 구별하여, 각 플랫폼 층에서 정지하는 위치를 달리할 수 있으며, 팔레트 장치가 정지된 후에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베이스(142), 제1 슬라이딩 이동부(144), 제1 주차판 구동부(146), 기어 커플(147) 및 제1 가이드롤러부(148) 등을 이용하여 가이드판(614, 624)이 형성된 제1 및 제2 주차판(610, 620)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타워는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으로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입고 및 출고 과정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이 저렴하다. 특히, 이동주차대를 이용하되 이동주차대의 이용 유무와 관계 없이,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진입하는 주차판의 상면을 일치시킴으로써 차량이 진입하는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주차타워의 감지 및 제어 시스템을 단순하게 유지하여 차량을 오류 없이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장점을 이용하여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으며,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주차판 이송장치와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판이 서로 맞물려서 주차판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가이드판의 이송이 용이하며, 방향 전환 및 위치 제어를 매우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차타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차타워의 플랫폼 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차타워에서 주차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플랫폼 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이동주차대 및 제1 롤러지지레일이 상호 결속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이동주차대 및 제1 롤러지지레일이 상호 결속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주차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주차판 및 제1 주차판 이송장치 간의 상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및 제2 주차판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3 주차판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이동주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팔레트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팔레트 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팔레트 레일 및 이송롤러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a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2 이송롤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이송롤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에서 제1 입구측 주차공간 및 내부 주차공간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19는 도 18의 (b)에서 B방향으로 보이는 주차판 및 이동주차대가 적층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제1 주차판 120:제2 주차판
130:팔레트 장치 140:제1 주차판 이송장치
150:제2 주차판 이송장치 160:이동주차대

Claims (18)

  1.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타워 구조체;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차량들을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 장치;
    상기 차량들 중 하나를 적재하기 위한 제1 주차판;
    상기 차량들 중 다른 하나를 적재하기 위한 제2 주차판;
    상기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플랫폼 층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주차판 이송장치; 및
    상기 제1 주차판을 상기 플랫폼 층 상에서 수평하게 이송하기 위한 이동주차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제2 주차판의 상면은 상기 이동주차대 상에 지지된 상기 제1 주차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들 중 또 다른 하나를 적재하기 위한 제3 주차판; 및
    상기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플랫폼 층의 제2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상기 제3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주차판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은 상기 팔레트 장치에서 차량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구측 주차공간은 상기 팔레트 장치에서 차량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주차판의 저면에는 이송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에는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롤러지지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제1 및 제2 주차판의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롤러지지레일 상에는 상기 이동주차대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복수개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주차대는 상기 제1 롤러지지레일의 상면과 저면이 일치하거나 상부에 근접하게 통과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중심몸체; 및 상기 중심몸체의 전후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주차대가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롤러지지레일의 상기 그루브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이동주차대 상으로 이송된 상기 제1 주차판의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주차대가 수평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주차판도 상기 롤러지지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이동주차대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제2 주차판의 상면이 상기 이동주차대 상에 지지된 상기 제1 주차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주차대는 상기 이동주차대의 전후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몸체와 함께 상기 롤러지지편을 지지하는 보조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심몸체 및 상기 보조몸체가 일체를 이루며, 상기 보조몸체의 저면도 상기 제1 롤러지지레일의 상면과 일치하거나 상부에 근접하게 통과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과 인접한 다른 주차공간에도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3 롤러지지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제3 롤러지지레일도 상기 제1 롤러지지레일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이동주차대의 상기 롤러지지편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제1 주차판의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1 이송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2 이송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제2 주차판의 상면이 상기 이동주차대 상에 지지된 상기 제1 주차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이송롤러는 상기 제1 이송롤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1 이송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2 이송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제2 주차판의 상면이 상기 이동주차대 상에 지지된 상기 제1 주차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주차판의 저면 및 상기 제2 이송롤러 사이에는 높이보정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1 이송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2 이송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를 지지하며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제1 팔레트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송롤러는 상기 제1 팔레트 레일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내륜 및 상기 제1 내륜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외륜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롤러도 상기 제1 팔레트 레일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내륜 및 상기 제2 내륜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외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륜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내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서는 상기 제1 팔레트 레일의 측면과 부분적인 접함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에서는 상기 플랫폼 층 또는 상기 이동주차대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플랫폼 층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륜의 저단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팔레트 레일 및 상기 이동주차대 상에서 상기 제1 외륜의 저단도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팔레트 레일 및 상기 플랫폼 층 상에서 상기 제2 외륜의 저단도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타워는 상기 차량들 중 또 다른 하나를 적재하기 위한 제3 주차판 및 상기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플랫폼 층의 제2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상기 제3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주차판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는 상기 제3 주차판을 지지하며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제2 팔레트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팔레트 레일의 교차 부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외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팔레트 레일이 부분적으로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주차판을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이송하기 위한 주차판 이송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주차판의 저면에는 각각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 판이 형성되며,
    상기 주차판 이송장치는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가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판에 접근 또는 후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이동부;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된 주차판 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판의 측면에 접한 후 상기 주차판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3. 복수개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타워 구조체;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차량을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 장치;
    상기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1 주차판;
    상기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플랫폼 층의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상기 제1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주차판 이송장치; 및
    상기 제1 주차판을 상기 플랫폼 층 상에서 수평하게 이송하기 위한 이동주차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주차판의 저면에는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이송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가이드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차판 이송장치는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슬라이딩 이동부;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된 제1 주차판 구동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가이드판의 측면에 접한 후 상기 제1 주차판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1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주차판; 및
    상기 팔레트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플랫폼 층의 제2 입구측 주차공간 간에서 상기 제3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주차판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구측 주차공간은 상기 제1 입구측 주차공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주차판 이송장치는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 베이스;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슬라이딩 이동부;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된 제2 주차판 구동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2 가이드판의 측면에 접한 후 상기 제2 주차판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제2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는 상기 제1 주차판의 이송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팔레트 레일 및 상기 제3 주차판의 이송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팔레트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팔레트 레일의 지지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팔레트 레일이 상호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는 상기 제2 팔레트 레일의 아래를 통과하고, 상기 제1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제2 팔레트 레일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는 상기 제1 팔레트 레일의 아래를 통과하고, 상기 제2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제1 팔레트 레일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 장착된 베이스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 구동부의 피니언과 맞물리고 일 단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에 고정된 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피니언 및 상기 랙 부재 간의 상호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를 이동하여 상기 제1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제1 가이드판을 맞물리게 하거나 맞물린 상기 제1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제1 가이드판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2 주차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주차대의 하부 공간은 상기 제2 주차판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커서 상기 차량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제2 주차판 상으로 상기 이동주차대가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 장치로 상기 제1 주차판을 이송하거나 상기 팔레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주차판을 이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KR1020040011133A 2004-02-19 2004-02-19 주차타워 KR20050082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33A KR20050082635A (ko) 2004-02-19 2004-02-19 주차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33A KR20050082635A (ko) 2004-02-19 2004-02-19 주차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635A true KR20050082635A (ko) 2005-08-24

Family

ID=3726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133A KR20050082635A (ko) 2004-02-19 2004-02-19 주차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26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33B1 (ko) * 2012-11-07 2014-02-05 박현건 기계식 주차설비
KR101433579B1 (ko) * 2012-11-07 2014-08-26 박현건 기계식 주차설비
CN107035196A (zh) * 2017-04-21 2017-08-11 武汉电力设备厂 一种载车板电磁牵引平面移动搬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33B1 (ko) * 2012-11-07 2014-02-05 박현건 기계식 주차설비
KR101433579B1 (ko) * 2012-11-07 2014-08-26 박현건 기계식 주차설비
CN107035196A (zh) * 2017-04-21 2017-08-11 武汉电力设备厂 一种载车板电磁牵引平面移动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755B1 (ko) 파킹 장치
JPH10115118A (ja) 格納場における格納物方向転換装置
CN105986687B (zh) 一种载车板及使用该载车板的智能停车设备
KR20050082635A (ko) 주차타워
JPH075167Y2 (ja) 駐車場設備
CN217498014U (zh) 装卸车系统
JP2009166934A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JP3116224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194350B2 (ja) 搬送用分割パレットおよびこのパレットへの車の移載装置
JP3024222U (ja) パレット式収納システム
KR100554377B1 (ko)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방법
JPH074296Y2 (ja) 駐車場設備
KR200335487Y1 (ko) 주차타워
JP2591903B2 (ja) 駐車場設備
JP2591902B2 (ja) 駐車場設備
CN220164826U (zh) 白车身存储转运系统
KR20050110171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관리방법
CN219905605U (zh) 一种立体储存设备
CN114046069B (zh) 一种升降平台、智能停车系统及智能停车方法
JP4634298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H0640284Y2 (ja) 自動車搬送装置
JPH02210171A (ja) 駐車場設備の搬送台車走行制御方法
JP3916106B2 (ja) 特殊パレット付き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出庫方法
KR20050118387A (ko)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JP2922081B2 (ja) 立体駐車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