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613A -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 Google Patents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613A
KR20050079613A KR1020040046901A KR20040046901A KR20050079613A KR 20050079613 A KR20050079613 A KR 20050079613A KR 1020040046901 A KR1020040046901 A KR 1020040046901A KR 20040046901 A KR20040046901 A KR 20040046901A KR 20050079613 A KR20050079613 A KR 2005007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yarn
section
regula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나카요시히로
아이하라다카쓰구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스즈키 와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스즈키 와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스즈키 와퍼
Publication of KR2005007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3/00Warping machines
    • D02H3/04Sample warp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 D01H13/1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D01H13/1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stopping supply only
    • D01H13/18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stopping supply only by cutting or clamping yarns or roving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00Creels, i.e. apparatus for supplying a multiplicity of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16Reeds, combs, or other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pacing of threads
    • D02H13/18Reeds, combs, or other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pacing of threads with adjustable spac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5/00Beam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7/00Combined warping and beam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사감기수단에 의해 정경드럼에 사를 직접 감음으로써,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전부 해소하여, 적어도 정경폭, 정경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를 가지는 무늬정경을 회전크릴로부터의 1본 또는 복수본의 사의 동시감기에 의해 효율 좋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도록 한 직접감기 샘플정경기를 제공한다.
내(內)드럼판 및 외(外)드럼판을 구비한 정경드럼과,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外周面) 상에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사감기수단과, 동종 및/또는 이종의 사가 감겨 있는 복수본의 보빈을 가지고, 또한 상기 감기수단의 회전과 동기(同期)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크릴과, 상기 정경드럼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또한 사감기수단의 길이방향의 이동과 동기하여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이동하는 복수본의 실뜨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크릴로부터의 1본 또는 복수본의 사를 상기 사감기수단에 의해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에 직접 감도록 했다.

Description

직접감기 샘플정경기{Direct winding sample warper}
본 발명은, 정경드럼의 외주측에 사를 직접감기함으로써 정경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직접감기 샘플정경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국 특허 제 152910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샘플정경기가 알려져 있다. 이 제 1의 공지의 샘플정경기는, 정경드럼의 측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정경드럼에 사를 감는 1본의 얀가이드와, 상기 정경드럼을 지지하는 기대(基臺)의 일단부에 상기 얀가이드에 대응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사 교환시에는 사 교환위치로 회동돌출하고, 사 수납시에는 대기위치로 회동수납되는 복수개의 사 선택수단, 즉 사 선택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사 선택장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이종 및/또는 동종의 사가 감겨 있는 복본수의 보빈을 세우는 고정크릴을 가지고, 얀가이드와 사선택장치와의 사이에서 사의 주고받음을 행함으로써, 설정된 사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사를 교환하여, 정경드럼 상의 컨베이어에 사를 감는 것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 제 17677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샘플정경기도 알려져 있다. 이 제 2의 공지의 샘플정경기는, 정경드럼의 측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얀가이드를 복수본 설치하고, 회전크릴에 의해 인출된 복본수의 사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감도록 한, 소위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샘플정경기의 기본적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특허공보 등에 의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일본국 특허 제 285478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경길이에 관계없이, 긴 샘플 및 소로트의 제품의 정경을 가능하게 하는 정렬감기를 행할 수 있는 샘플정경기도 공지이다. 정렬감기 가능한 샘플정경기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특허공보에 상술되어 있으므로, 재차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종래의 정렬감기기구부착 샘플정경기를 이용하여, 장척(長尺)(감기횟수를 증가시키는)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면, 사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감겨지기 때문에, 감겨진 사가 길어짐에 따라, 그 장력이 증대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이 곤란해지고, 이 컨베이어 벨트를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불리함이 있었다.
또한, 신장이 있는 사를 정렬감기 정경하면, 컨베이어 벨트는 큰 조임압(壓)을 받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의 장착 가이드 구조의 강도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와 같이, 금후 더욱더 다종다양한 사의 정렬감기 정경의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상기한 종래 구조의 정렬감기 기구를 구비한 샘플정경기에 의한 정경은 불가능해져 버릴 것이 예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를 생략하고, 사감기수단에 의해 정경드럼에 사를 직접 감음으로써,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전부 해소한 구조의 직접감기 샘플정경기에 대한 제안을 이미 행했다(일본국 특허 제 3413402호). 이 이미 제안된 직접감기 샘플정경기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지 않고, 정경드럼에 직접 사를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샘플정경기에 있어서는 불가피했던 감기장력의 증대에 따른 트러블의 발생이 전혀 없어진 잇점이 있었으나, 사감기기구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실제의 조업에 이용하는 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았다.
본발명자들은 이미 제안한 직접감기 샘플정경기에 대한 개량을 더욱 행하여, 실용에 적합한 직접감기 샘플정경기를 완성하여 제안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감기수단에 의해 정경드럼에 사를 직접 감음으로써,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전부 해소하여, 적어도 정경폭, 정경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를 가지는 무늬정경을 회전크릴로부터의 1본 또는 복수본의 사의 동시감기에 의해 효율 좋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도록 한 직접감기 샘플정경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직접감기 샘플정경기는, 내(內)드럼판 및 외(外)드럼판을 구비한 정경드럼과,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 상에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사감기수단과, 동종 및/또는 이종의 사가 감겨 있는 복수본의 보빈을 가지고 상기 사감기수단의 회전과 동기(同期)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크릴과, 상기 정경드럼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감기수단의 길이방향의 이동과 동기하여 연속적 또는 간결적(間缺的)으로 이동하는 복수본의 실뜨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크릴로부터의 1본 또는 복수본의 사를 상기 사감기수단에 의해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에 직접 감도록 한 것이다.
상기 사감기수단으로서는,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접동(摺動)이 자유롭게 설치된 접동 베이스와, 상기 접동 베이스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베이스와, 상기 회전 베이스에 설치된 복수본의 얀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의 각각을 사감기위치 및 사감기 휴지위치로 변위가능하게 하면, 사의 감기상태와 사의 감기 휴지상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무늬정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적합하다.
상기 접동 베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 1 클립장치 및 복수개의 픽업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베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회전 베이스의 회전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커터를 구비한 복수개의 제 2 클립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사의 감기상태와 사의 감기 휴지상태와의 교환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 중의 소정의 얀가이드가 사감기위치로부터 사감기 휴지위치로 변위하면, 상기 얀가이드에 의해 상기 정경드럼에 감겨져 있던 사는 상기 정경드럼의 사감기위치로부터 풀리고, 상기 얀가이드에 대응하는 제 1 클립장치 및 커터를 구비한 제 2 클립장치에 각각 클립되고 또한 상기 클립된 사가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되며, 그 절단된 사가 상기 제 2 클립장치에 의해 클립된 상태로 당해 사의 감기를 행하지 않는 채 상기 얀가이드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얀가이드가 사감기 휴지위치로부터 사감기위치로 변위하면, 상기 픽업장치가 상기 얀가이드와 상기 사를 클립한 상태의 제 2 클립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사 부분을 픽업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클립장치로부터 사를 풀고, 상기 얀가이드가 상기 정경드럼으로의 사의 감기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정경폭, 정경 총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에 의해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사용하여 각 섹션이 복수의 사층을 가지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각 얀가이드가 정경사 피치(R)(R=정경폭÷정경 총본수)분의 간격을 가지고 사 배열순으로 사의 감기를 행함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周)째의 사층을 작성하고, 또한 각 얀가이드가 얀가이드 1회전당 사의 직경의 1/2배 이상의 피치(P)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가 사감기 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 1 섹션의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을 작성하고,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고, 상기 사감기수단이 제 2 섹션 이후의 각 섹션의 정경본수에 따라 거리(Z)(Z=정경폭÷정경 총본수×동시정경본수)분만큼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순차 이동하여, 각 섹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정경폭, 정경 총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에 의해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사용하여 각 섹션이 복수의 사층을 가지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각 얀가이드의 사감기 개시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사 배열순으로 사를 감음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째의 사층을 작성하고, 또한 각 얀가이드가 얀가이드 1회전당 사의 직경 d의 1/2배 이상의 피치(PA)(PA≥d/2)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가 사감기 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 1 섹션의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을 작성하고,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고, 상기 사감기수단이 제 2 섹션 이후의 각 섹션의 정경본수에 따라 거리(Z)(Z=정경폭÷정경 총본수×동시정경본수)분만큼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순차 이동하여, 각 섹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정경폭, 정경 총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에 의해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사용하여 각 섹션이 복수의 사층을 가지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각 얀가이드가 정경사 피치(RA)(RA≥rA(rA=직전에 감겨진 사의 반경 + 감겨지는 사의 반경))분의 간격을 가지고 사 배열순으로 사의 감기를 행함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째의 사층을 작성하고, 또한 각 얀가이드가 얀가이드 1회전당 정경사 피치(RA)의 1/2배 이상의 피치(PR)(PR≥RA/2)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가 사감기 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 1 섹션의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을 작성하고,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고, 상기 사감기수단이 제 2 섹션 이후의 각 섹션의 정경본수에 따라 거리(Z)(Z=정경폭÷정경 총본수×동시정경본수)분만큼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순차 이동하여, 각 섹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하나, 도시예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접감기 샘플정경기의 일부절결(切缺) 측면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경기 프레임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摘示)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크릴 프레임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뜨기바 프레임 이동용 모터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회전크릴 프레임 이동용 모터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Ⅱ-Ⅱ선 시시(矢視)방향으로부터 본 정경드럼 및 접동(摺動) 베이스의 적시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Ⅱ-Ⅱ선 시시방향으로부터 본 정경드럼 및 회전 베이스의 적시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0은 본 발명에 관한 직접감기 샘플정경기로서, 정경드럼(1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정경드럼(12)은, 내드럼판(14)과, 상기 내드럼판(14)에 서로 대향(對向)하여 설치된 외드럼판(16)과, 상기 내드럼판(14) 및 상기 외드럼판(16)을 개재하여 횡가(橫架)된 복수본의 드럼스포크(18)로 구성되어 있다.
20은 마루(22) 상에 설치된 정경기 프레임이다. 상기 프레임(20)에는 주축 파이프(24)가 수평방향으로 돌설(突設)되고, 상기 주축 파이프(24)에는 상기 정경드럼(1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26은 주축 메탈이다.
상기 정경기 프레임(20)의 상면에는 상기 주축 파이프(24)와 평행한 방향으로 실뜨기바 프레임용 슬라이드 레일(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8) 상에는 실뜨기바 프레임용 슬라이드 블록(30)을 개재하여 실뜨기바 프레임(32)이 이동가능하게 재치(載置)되어 있다. 상기 실뜨기바 프레임(32)에는 복수본의 실뜨기수단, 즉 실뜨기바(33a∼33f)가 상기 정경드럼(12)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서로 평행상태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34는 상기 실뜨기바 프레임(32)의 내부에 설치된 실뜨기바 프레임 이동용 모터이다. 상기 모터(34)의 구동축(34a)에는 모터 풀리(35)가 설치되어 있다. 36은 나사너트 회전유니트(37)를 내장한 유니트 메탈로서, 실뜨기바 프레임(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나사너트 회전유니트(37)에는 정경기 프레임(20)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실뜨기바 프레임용 나사샤프트(38)가 나합(螺合)되어 있다. 상기 나사너트 회전유니트(37)에는 나사너트 풀리(39)가 고착되어 있다. 40은 풀리 벨트로서, 상기 모터 풀리(35) 및 나사너트 풀리(39)를 개재하여 가설(架設)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기구에 의해 모터(34)를 구동하면, 모터 풀리(35), 풀리 벨트(40) 및 나사너트 풀리(39)를 개재하여 나사너트 회전유니트(37)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실뜨기바 프레임(32)이 슬라이드 레일(28) 상을 이동하며, 그것과 동시에 실뜨기바(33a∼33f)가 정경드럼(12)의 측방을 이동한다. 정경시에는, 상기 실뜨기바(33a∼33f)는 후술하는 사감기수단의 이동과 동기하여 간결적(間缺的)으로 이동한다.
42는 마루(22) 상에 상기 정경기 프레임(20)과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회전크릴용 슬라이드 베이스이다.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2)의 상면에는 상기 주축 파이프(24)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크릴 프레임용 슬라이드 레일(4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44) 상에는 회전크릴 프레임용 슬라이드 블록(46)을 개재하여 회전크릴 프레임(48)이 이동가능하게 재치되어 있다.
50은 상기 회전크릴 프레임(48)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크릴 프레임 이동용 모터이다. 상기 모터(50)의 구동축(50a)에는 모터 풀리(51)가 설치되어 있다. 52는 나사너트 회전유니트(53)를 내장한 유니트 메탈로서, 회전크릴 프레임(4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나사너트 회전유니트(53)에는 슬라이드 레일(44) 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회전크릴 프레임용 나사 샤프트(54)가 나합되어 있다. 상기 나사너트 회전유니트(53)에는 나사너트 풀리(55)가 고착되어 있다. 56은 풀리 벨트로서, 상기 모터 풀리(51) 및 나사너트 풀리(55)를 개재하여 가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기구에 의해 모터(50)를 구동하면, 모터 풀리(51), 풀리 벨트(56) 및 나사너트 풀리(55)를 개재하여 나사너트 회전유니트(53)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회전크릴 프레임(48)이 슬라이드 레일(44) 상을 이동한다. 실뜨기바 프레임(32) 및 회전크릴 프레임(48)은 실뜨기바 프레임 이동용 모터(34) 및 회전크릴 이동용 모터(50)에 의해 정경이 개시되면, 미리 설정된 정경 총본수, 정경폭, 정경길이의 조건에 따라 정경 하류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동기(同期)이동한다.
상기 회전크릴 프레임(48)의 가대(架臺)(48a) 상면에는 한 쌍의 축수(軸受) 메탈(57, 5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수 메탈(57, 57)에는 드라이브 샤프트(58)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58)는 모터 풀리(59), 풀리 벨트(60) 및 카운터 풀리(61)를 개재하여 드라이브 모터(62)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58)에는 회전크릴(6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크릴(64)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58)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회전크릴(64)은 지지 플레이트(66)를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66)에는 이종 및/또는 동종의 사(68)가 감겨 있는 복수본의 보빈(70)이 세워져 있다. 72는 상기 보빈(70)의 전방에 지지 샤프트(74)를 개재하여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로서, 상기 보빈(70)으로부터의 사(68)를 가이드하는 작용을 한다.
76은 기단부를 지름을 작게 하고 선단부를 지름을 크게 한 랩모양의 보빈 베이스로서, 지지체(77)를 개재하여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63)에 접속되고,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6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정경드럼(12)의 내드럼판(14)과 외드럼판(16)과의 사이에 주축 파이프(24)에 평행하게 복수본의 가이드 샤프트(78)가 설치되어 있다(도 6). 80은 원환(圓環)모양의 접동 베이스로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78)를 개재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동 베이스(80)의 외측면에는 링모양의 슬라이드 레일(82)이 설치되어 있다(도 6). 84는 원환모양의 회전 베이스로서, 복수개의 슬라이드 블록(86)을 개재하여 상기 접동 베이스(80)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동 베이스(80)의 슬라이드 레일(82) 상을 회전이 자유롭게 회동한다(도 7).
상기 회전 베이스(84)에는 복수본(도시예에서는 8본)의 얀가이드(88)가 설치되어 있다(도 7). 상기 얀가이드(88)는 얀가이드 위치변환장치(90)를 구비하고, 사감기위치(P1) 및 사감기 휴지위치(P2)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7). 상기 접동 베이스(80)와 회전 베이스(84)와 얀가이드(88)에 의해 사감기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얀가이드 위치변환장치(90)는 상기한 얀가이드의 P1 및 P2의 위치변환을 행하는 이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렬감기를 행할 때에 정렬감기에 필요한 얀가이드의 변위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얀가이드 위치변환장치(90)는 펄스모터, 실린더, 솔레노이드 등을 구동원으로 사용하여, 얀가이드(88)를 변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접동 베이스(80)의 외측면에는,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88)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 1 클립장치(92) 및 픽업장치(9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클립장치(9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長孔)(96)을 가지는 클립 베이스(98)를 구비하고, 상기 장공(96)에 한 쌍의 클립 로드(100, 100)를 개폐가 자유롭게 수납설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클립로드(100, 100)를 닫음으로써 사를 클립하고, 상기 클립 로드(100, 100)를 엶으로써 사를 해방하도록 동작한다. 클립 로드(100, 100)는 어느 한 쪽을 고정으로 하고, 다른 쪽을 가동으로 하여 개폐하는 구조여도 좋다. 또한, 클립 로드(100, 100)의 쌍방이 회전이 자유롭게 롤러식 또는 어느 한 쪽이 롤러식이어도 좋고, 이 롤러식이 우회전 또는 좌회전방향의 외력(外力)에는 회전하지 않는 원웨이크러치(브레이크)를 보유하는 롤러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립 로드(100, 100)의 쌍방이 박판 워셔식 또는 어느 한 쪽이 워셔식이어도 좋다. 이 클립 로드(100, 100)의 개폐를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를 사용하여, 공급 에어압의 조정에 의해 클립력 또는 클립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의 절단 전과 절단 후의 클립력 또는 클립압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상기 픽업장치(94)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픽업 베이스(102)에 픽업 로드(104)를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픽업 로드(104)를 닫음으로써 사를 픽업하고, 상기 픽업 로드(104)를 엶으로써 사를 해방하도록 동작한다. 이 픽업 로드(104)의 개폐를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를 사용하여, 공급 에어압의 조정 및 유량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베이스(84)의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회전 베이스(84)의 회전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커터(106)를 구비한 복수개의 제 2 클립장치(108)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클립장치(108)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106)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클립장치(92)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재차의 설명은 생략하나, 클립 베이스(98a)의 장공(96a)에 수납설치된 클립 로드(100a, 100a)를 닫음으로써 사를 클립하고, 상기 클립 로드(100a, 100a)를 엶으로써 사를 해방하도록 동작한다.
110은 조인트 파이프로서, 상기 회전 베이스(84)의 외측면에 그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파이프(110)는 상기 얀가이드(88)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 파이프(110)의 타단부는 상기 보빈 베이스(76)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 베이스(84), 조인트 파이프(110), 보빈 베이스(76) 및 회전크릴(64)은 서로 동기하여 회전하고, 회전크릴(64)의 보빈(70)으로부터 급사되는 사(68)를 얀가이드(88)에 가이드하여 공급하는 작용을 행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같이, 회전 베이스(84)와 보빈 베이스(76)를 조인트 파이프(110)로 연결함으로써 기계적 동기회전이 아닌, 모터 등을 사용하여 단독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회전 베이스(84)로 하여 보빈 베이스(76)의 회전과 전기적으로 동기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작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얀가이드(88)에 의해 정경드럼(12) 상에 사감기 및 사의 감기 휴지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1∼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감기상태의 사를 사감기 휴지상태로 하는 데에는, 상기 복수의 얀가이드(88) 중의 소정의 얀가이드(88a)가 제 1 클립장치(92)의 바로 앞까지 회전해 오면, 사감기위치(P1)로부터 사감기 휴지위치(P2)로 변화하고, 상기 얀가이드(88a)에 의해 정경드럼(12)에 감겨져 있던 사(68a)는 정경드럼(12) 표면으로부터 접동 베이스(80)방향으로 풀려서 복수개의 제 1 클립장치(92) 중의 대응하는 제 1 클립장치(92a)에 클립되고, 또한 복수개의 제 2 클립장치(108) 중의 대응하는 제 2 클립장치(108a)에 클립된다(도 11). 이어서, 상기 사(68a)는 상기 제 2 클립장치(108a)에 구비된 커터(106a)에 의해 절단되고, 그 절단된 사(68a)가 상기 제 2 클립장치(108a)에 의해 클립된 상태로 상기 사(68)의 정경드럼(12) 상으로의 감기를 행하지 않는 채 얀가이드(88a)는 회전을 계속한다(도 12). 또한, 제 1 클립장치(92)에 의한 사(68a)의 클립동작은 정경의 진행과 동시에 불필요해지므로 적절한 시점에서 해제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사감기 휴지상태의 사(68a)를 사감기상태로 하는 데에는, 상기 복수개의 픽업장치(94) 중의 대응하는 픽업장치(94a)가 얀가이드(88a)와 제 2 클립장치(108a)에 클립되어 있는 사(68a)를 픽업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클립장치(108a)에 의한 사(68a)의 클립상태를 해제하고, 얀가이드(88a)가 사감기 휴지위치(P2)로부터 사감기위치(P1)로 변위함으로써 정경드럼(12)으로의 사의 감기를 행한다(도 10 및 도 11). 또한, 상기 픽업장치(94a)에 의한 사(68a)의 픽업상태는 사(68a)의 정경드럼(12)으로의 감기작업이 재개된 후 적절한 시점에서 해제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의 감기 및 사의 감기 휴지를 각 얀가이드(88)에 대해 행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무늬 데이터(사 배열순, 색사 배열순)에 따라, 복수본 동시정경에 의한 무늬정경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정경폭, 정경 총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에 의해 정렬감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한데, 도 18∼도 21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8∼도 21에 있어서, 112는 베개부재로서, 감기개시시의 정렬감기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드럼스포크(18)의 기단부 상면에 내드럼판(14)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베개부재(112)의 상면에는 선단방향 아랫쪽으로 경사진 테이퍼면(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개부재(112)의 테이퍼면(114)의 각도는 감겨진 사(68)가 베개부재(112)의 테이퍼면(114)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각도가 적합하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섹션이 복수의 사층을 가지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복수본의 사를 정경하는 경우의 제 1의 태양의 베개부재 및 정렬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 1회째(제 1 섹션)의 동시정경본수가 5본(A, B, C, D, E)인 경우는, 지정된 5본의 얀가이드(88)는 사감기순(사 배열순)으로 정경사 피치(R)(R=정경폭÷정경 총본수)분의 간격을 가지고 제 1주(周)째의 감기를 행하여, 제 1주째의 사층(A1, B1, C1, D1, E1)을 작성한다.
이 제 1 섹션에 있어서, 또한 각 얀가이드(88)가 얀가이드 1회전당 사의 직경 d의 1/2배 이상의 피치(P)(P≥d/2)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얀가이드(88)가 사감기 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 2주째의 사층(A2, B2, C2, D 2, E2)을 작성한다. 이 제 2주째의 사층의 작성과 동일하게 제 3주째 이후의 사층(A3, B3, C3 , D3, E3), (A4, B4, C4, D4, E4), (A5 , B5, C5, D5, E5) 및 (A6, B6, C6, D6, E6)도 작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한다.
상기 사감기수단은 제 2 섹션 이후의 섹션의 정경본수에 따라 거리(Z)(Z=정경폭÷정경 총본수×동시정경본수)분만큼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순차 이동하고, 각 섹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할 수 있다. 도 18에 있어서, 제 2섹션에 있어서의 Z는 Z1로 표시하고, 제 3 섹션에 있어서의 Z는 Z2로 표시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회째(제 2 섹션)의 동시정경본수가 3본(F, A, C)이면, 지정된 3본의 얀가이드(88)가 제 1 섹션의 제 1주째의 사감기와 동일하게 하여 제 2 섹션의 제 1주째의 사층(F1, A1, C1)을 작성하고, 이어서 제 1 섹션의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의 작성과 동일하게 제 2주째 이후의 사층(F2, A2, C2), (F3, A3, C3), (F4, A4, C4), (F5, A5 , C5) 및 (F6, A6, C6)의 작성을 행함으로써 제 2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주째(제 3 섹션)의 동시정경본수가 4본(D, G, F, B)의 경우도 제 1 섹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의 감기를 행함으로써,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렬감기가 가능해진다. 동일하게 제 4주째(제 4 섹션) 이후의 정렬감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태양으로 정렬감기를 행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복수본의 사를 정경하는 경우의 제 2의 태양의 베개부재 및 정렬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 1 섹션의 동시정경본수가 5본(A, B, C, D, E)인 경우에, 지정된 5본의 얀가이드(88)의 사의 감기개시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사(V1)(이 경우는 5본의 사(A1, B1, C1, D1, E1)로 이루어진다)의 감기를 행함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째의 사층(V1)(A1, B1, C1, D1, E1 )을 작성한다.
이 제 1 섹션에 있어서, 또한 각 얀가이드(88)가 얀가이드 1회전당 사의 직경 d의 1/2배 이상의 피치(PA)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의 예에서는 PA=5d/2로 되어 있다. 이어서,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88)가 사감기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정경동작을 행함으로써 제 1 섹션의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 V2(A2, B2, C2, D2, E2), V3(A3, B3, C3, D3, E3), V4(A4, B4, C4, D4, E4), V5(A5, B5, C5, D5, E5) 및 V6(A6, B6, C6, D6, E6 )을 작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한다. 이어서 도 18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제 2 섹션(동시정경본수가 3본(F, A, C) 및 W1∼W6의 사층) 및 제 3 섹션(동시정경본수가 4본(D, G, F, B) 및 X1∼X6의 사층)에 대해서도,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렬감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태양으로 정렬감기를 행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복본수의 사를 정경하는 경우의 제 3의 태양의 베개부재 및 정렬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정렬감기에 있어서 감기시작에 있어서의 제 1주째의 사층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 1 섹션의 동시정경본수가 5본(A, B, C, D, E)이지만, 사(C)의 직경이 다른 사(A, B, D, E)보다도 큰 경우에,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정된 5본의 얀가이드(88)가 정경사 피치(RA)(RA≥da(da=직전에 감겨진 사의 반경 + 감겨지는 사의 반경)분의 간격을 가지고 사 배열순으로 사의 감기를 행함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째의 사층을 작성한다. 이 제 1 섹션에 있어서, 또한 각 얀가이드(88)가 얀가이드 1회전당 정경사 피치(RA)의 1/2 이상의 피치(PR)(PR≥RA/2)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88)가 사감기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을 작성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사의 감기시작의 상태에서는, 정경사 피치(R1)는 사(A1)의 반경 + 사(B1)의 반경 또는 사(D1)의 반경 + 사(E1)의 반경 등이고, 피치(R 2)는 사(B1)의 반경 + 사(C1)의 반경 이상 또는 사(C1)의 반경 + 사(D1)의 반경 이상이다. 단, 도 21에 도시한 상태는 사의 감기시작일 뿐으로, 제 2주째의 사가 감기면, 두꺼운 사(C2)는 사(B1)와 사(C1)의 사이로 미끄러져서, 도 20에 도시한 상태, 즉 사(C1)와 사(C2)가 늘어선 상태가 된다. 제 3주째∼제 6주째의 사(C3∼C6)도 동일하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C3)과 사(C4) 및 사(C5)와 사(C6)가 늘어선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사(C1∼C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겨지나, 나머지 사 (A1, B 1, D1, E1, F1)는 도 1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한다. 이어서, 도 18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 2 섹션(사(F, A, C)) 및 제 3 섹션(사(D, G, F, B))에 대해서도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렬감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를 생략하고, 사감기수단에 의해 정경드럼에 사를 직접 감음으로써,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전부 해소하고, 또한 회전크릴로부터의 1본 또는 복수본의 사의 동시감기에 의해 무늬정경을 효율 좋게 단시간에 정경할 수 있다는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접감기 샘플정경기의 일부절결(切缺) 측면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경기 프레임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摘示)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크릴 프레임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뜨기바 프레임 이동용 모터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회전크릴 프레임 이동용 모터 부분을 도시하는 적시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Ⅱ-Ⅱ선 시시(矢視)방향으로부터 본 정경드럼 및 접동(摺動) 베이스의 적시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Ⅱ-Ⅱ선 시시방향으로부터 본 정경드럼 및 회전 베이스의 적시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의 제 1 섹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개략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의 픽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개략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의 제 2 클립장치를 도시하는 사시개략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에 있어서, 사감기상태로부터 사감기 휴지상태로의 제 1의 이행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에 있어서, 사감기상태로부터 사감기 휴지상태로의 제 2 이행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에 있어서, 사감기 휴지상태로부터 사감기상태로의 제 1의 이행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샘플정경기에 있어서, 사감기 휴지상태로부터 사감기상태로의 제 2의 이행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사감기상태로부터 사감기 휴지상태로 이행하는 사가 제 1 클립장치 및 제 2 클립장치에 클립된 도 8과 동일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개략설명도이다.
도 16은, 사감기 휴지상태로부터 사감기상태로 이행하는 사가 픽업장치에 픽업된 상태에서 정경드럼에 감기는 도 11과 동일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개략설명도이다.
도 17은, 얀가이드의 동작을 도시하는 적시확대설명도이다.
도 18은, 복수본의 사를 정경하는 경우의 제 1의 태양의 베개부재 및 정렬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복수본의 사를 정경하는 경우의 제 2의 태양의 베개부재 및 정렬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복수본의 사를 정경하는 경우의 제 3의 태양의 베개부재 및 정렬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정렬감기에 있어서 감기시작에 있어서의 제 1주(周)째의 사층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2: 정경드럼, 14: 내(內)드럼판, 16: 외(外)드럼판, 18: 드럼스포크, 20: 정경기 프레임, 22: 마루, 24: 주축 파이프, 26: 주축 메탈, 28: 실뜨기바 프레임용 슬라이드 레일, 30: 실뜨기바 프레임용 슬라이드 블록, 32: 실뜨기바 프레임, 33a∼33f: 실뜨기바, 34: 실뜨기바 프레임 이동용 모터, 34a: 구동축, 35: 모터 풀리, 36: 유니트 메탈, 37: 나사너트 회전유니트, 38: 실뜨기바 프레임용 나사샤프트, 39: 나사너트 풀리, 40: 풀리 벨트, 42: 슬라이드 베이스, 44: 회전크릴 프레임용 슬라이드 레일, 46: 회전크릴 프레임용 슬라이드 블록, 48: 회전크릴 프레임, 48a: 가대(架臺), 50: 회전크릴 이동용 모터, 50a: 구동축, 51: 모터 풀리, 52: 유니트 메탈, 53: 나사너트 회전유니트, 54: 회전크릴 프레임용 나사 샤프트, 55: 나사너트 풀리, 56: 풀리 벨트, 57: 축수(軸受) 메탈, 58: 드라이브 샤프트, 59: 모터 풀리, 60: 풀리 벨트, 61: 카운터 풀리, 62: 드라이브 모터, 63: 드라이브 베이스, 64: 회전크릴, 66: 지지 플레이트, 68, 68a: 사, 70: 보빈, 74: 지지샤프트, 76: 보빈 베이스, 77: 지지체, 78: 가이드 샤프트, 80: 접동 베이스, 82: 슬라이드 레일, 84: 회전 베이스, 86: 슬라이드 블록, 88, 88a: 얀가이드, 90: 얀가이드 위치변환장치, 92, 92a: 클립장치, 94, 94a: 픽업장치, 96, 96a: 장공(長孔), 98, 98a: 클립 베이스, 100, 100a: 클립 로드, 102: 픽업 베이스, 104: 픽업 로드, 106, 106a: 커터, 108, 108a: 클립장치, 110: 조인트 파이프, 112: 베개부재, 114: 테이퍼면

Claims (9)

  1. 내(內)드럼판 및 외(外)드럼판을 구비한 정경드럼과,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 상에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사감기수단과, 동종 및/또는 이종의 사가 감겨 있는 복수본의 보빈을 가지고 상기 사감기수단의 회전과 동기(同期)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크릴과, 상기 정경드럼의 측면 길이방향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감기수단의 길이방향의 이동과 동기하여 연속적 또는 간결적(間缺的)으로 이동하는 복수본의 실뜨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크릴로부터의 1본 또는 복수본의 사를 상기 사감기수단에 의해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에 직접 감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감기수단이, 상기 정경드럼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접동(摺動)이 자유롭게 설치된 접동 베이스와, 상기 접동 베이스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베이스와, 상기 회전 베이스에 설치된 복수본의 얀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의 각각을 사감기위치 및 사감기 휴지위치로 변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 베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 1 클립장치 및 복수개의 픽업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베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의 회전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커터를 구비한 복수개의 제 2 클립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본의 얀가이드 중의 소정의 얀가이드가 사감기위치로부터 사감기 휴지위치로 변위하면, 상기 얀가이드에 의해 상기 정경드럼에 감겨져 있던 사는 상기 정경드럼의 사감기위치로부터 풀리고, 상기 얀가이드에 대응하는 제 1 클립장치 및 커터를 구비한 제 2 클립장치에 각각 클립되고 또한 상기 클립된 사가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되며, 그 절단된 사가 상기 제 2 클립장치에 의해 클립된 상태로 당해 사의 감기를 행하지 않는 채 상기 얀가이드가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얀가이드가 사감기 휴지위치로부터 사감기위치로 변위하면, 상기 픽업장치가 상기 얀가이드와 상기 사를 클립한 상태의 제 2 클립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사 부분을 픽업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클립장치로부터 사를 풀고, 상기 얀가이드가 상기 정경드럼으로의 사의 감기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정경폭, 정경 총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에 의해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사용하여 각 섹션이 복수의 사층을 가지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각 얀가이드가 정경사 피치(R)(R=정경폭÷정경 총본수)분의 간격을 가지고 사 배열순으로 사의 감기를 행함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周)째의 사층을 작성하고, 또한 각 얀가이드가 얀가이드 1회전당 사의 직경의 1/2배 이상의 피치(P)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가 사감기 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 1 섹션의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을 작성하고,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고, 상기 사감기수단이 제 2 섹션 이후의 각 섹션의 정경본수에 따라 거리(Z)(Z=정경폭÷정경 총본수×동시정경본수)분만큼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순차 이동하여, 각 섹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8.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정경폭, 정경 총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에 의해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사용하여 각 섹션이 복수의 사층을 가지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각 얀가이드의 사감기 개시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사 배열순으로 사를 감음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째의 사층을 작성하고, 또한 각 얀가이드가 얀가이드 1회전당 사의 직경 d의 1/2배 이상의 피치(PA)(PA≥d/2)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가 사감기 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 1 섹션의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을 작성하고,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고, 상기 사감기수단이 제 2 섹션 이후의 각 섹션의 정경본수에 따라 거리(Z)(Z=정경폭÷정경 총본수×동시정경본수)분만큼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순차 이동하여, 각 섹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9.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정경폭, 정경 총본수, 정경길이(감기횟수) 및 사 배열순의 정경 데이터에 의해 복수본의 얀가이드를 사용하여 각 섹션이 복수의 사층을 가지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복본수 동시정경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각 얀가이드가 정경사 피치(RA)(RA≥rA(r A=직전에 감겨진 사의 반경 + 감겨지는 사의 반경))분의 간격을 가지고 사 배열순으로 사의 감기를 행함으로써 제 1 섹션의 제 1주째의 사층을 작성하고, 또한 각 얀가이드가 얀가이드 1회전당 정경사 피치(RA)의 1/2배 이상의 피치(PR)(PR≥R A/2)분 변위하면서 사감기를 행함과 동시에, 사의 감기가 미리 설정한 정경길이(감기횟수)에 달하면 상기 얀가이드가 사감기 개시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 1 섹션의 나머지 제 2주째 이후의 사층을 작성하고, 이와 같이 하여 n(n≥1)층의 사층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고, 상기 사감기수단이 제 2 섹션 이후의 각 섹션의 정경본수에 따라 거리(Z)(Z=정경폭÷정경 총본수×동시정경본수)분만큼 연속적 또는 간결적으로 순차 이동하여, 각 섹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섹션의 정렬감기 정경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KR1020040046901A 2004-02-06 2004-06-23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KR20050079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1023A JP4086793B2 (ja) 2004-02-06 2004-02-06 直巻きサンプル整経機
JPJP-P-2004-00031023 2004-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613A true KR20050079613A (ko) 2005-08-10

Family

ID=3485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901A KR20050079613A (ko) 2004-02-06 2004-06-23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86793B2 (ko)
KR (1) KR20050079613A (ko)
CN (1) CN1651625A (ko)
DE (1) DE102005005170B4 (ko)
TW (1) TW2005268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6001696D1 (de) * 2006-07-26 2008-11-13 Mayer Textilmaschf Musterkettenschärmaschine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Musterkettbaumes
DE502006005365D1 (de) * 2006-12-09 2009-12-24 Mayer Textilmaschf Musterkettenschärmaschine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Musterkette
EP2189559B1 (de) * 2008-11-22 2011-05-25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Musterkettenschärmaschine
EP2239356B1 (de) * 2009-04-08 2011-06-01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Musterkettenschär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usterkettenschärmaschine
CN101929014B (zh) * 2010-08-30 2011-12-07 苏州迪盛织造整理有限公司 分条整经与浆丝机的衔接装置
EP3101162B1 (de) * 2015-06-03 2018-12-19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Musterkettenschärmaschine
EP3399081B1 (de) * 2017-05-04 2020-04-08 KARL MAYER R&D GmbH Musterkettenschär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789B2 (ja) * 1993-11-09 1999-02-03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整列巻き可能な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JP3413402B2 (ja) * 2000-10-27 2003-06-03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直巻きサンプル整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1625A (zh) 2005-08-10
JP4086793B2 (ja) 2008-05-14
TW200526829A (en) 2005-08-16
DE102005005170B4 (de) 2010-05-06
JP2005220491A (ja) 2005-08-18
DE102005005170A1 (de)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0895B1 (en) Coil winding apparatus and winding method
JP5278662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KR100388656B1 (ko) 전자제어샘플정경기,정경방법및회전식크릴
KR100331976B1 (ko) 실교환기구가부착된전자제어샘플정경기
KR20050079613A (ko) 직접감기 샘플정경기
EP1507730B2 (de) Verfahren und spulmaschine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auf einer hülse zu einer spule
EP2284304B1 (de) Musterkettenschärmaschine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Musterkette
KR100374578B1 (ko) 실교환기구부착 전자제어 샘플정경기(整經機), 고속정경(整經)방법 및 실의 되감기 장치
KR940010463B1 (ko) 자동사침 잡음장치
JP2006241602A (ja) サンプル整経機及びサンプル整経方法並びに回転式クリール
JP2005089173A (ja) 糸状物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KR20050077717A (ko) 사 회수기구부착 샘플 정경기
KR100468101B1 (ko) 샘플 정경기 및 정경방법
DE19832811A1 (de)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Fadens
DE102004002521B4 (de) Lösch- und Reinigungsvorrichtung für Zylinder einer Druckmaschine
EP1209265B1 (en) Sample warper with short feed belts
JP3418568B2 (ja) 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における糸交換機構
DE10309276A1 (de) Musterketten-Schärmaschine
JP2002138337A (ja) 直巻きサンプル整経機
US20050060857A1 (en) Sample warper with idle running preventing mechanism of yarn guide
DE19722769A1 (de) 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von Wickeln aus Faserband
JP2004225235A (ja) 柄用経糸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柄経糸用部分整経機
JPH05162923A (ja) クリール装置
JP2006183175A (ja) サンプル整経機及びサンプル整経方法
DE1774056C (de) Einrichtung zum Aufspulen von faden oder drahtförmigem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