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802A -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802A
KR20050077802A KR1020050008193A KR20050008193A KR20050077802A KR 20050077802 A KR20050077802 A KR 20050077802A KR 1020050008193 A KR1020050008193 A KR 1020050008193A KR 20050008193 A KR20050008193 A KR 20050008193A KR 20050077802 A KR20050077802 A KR 2005007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ug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377B1 (ko
Inventor
하세가와나오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short real-time information, e.g. alarms, notifications, alerts, 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carrier systems)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또한 발신처를 오퍼레이터가 입력하는 수고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예를 들면 긴급 시간 등에 있어서의 동보 송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CUG 서버는, 긴급 동보(emergency multicasting)의 신청을 받으면,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 조건에 맞는 무선 통신 단말의 데이터의 검색 요구를 프레젠스 서버에 발신하여, 그 위치 조건에 적합한 무선 통신 단말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동작으로서, CUG 서버는, 프레젠스 서버의 현재 상태 테이블(33a)을 검색하고, 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신청된 긴급 동보의 발신처가 되는 무선 통신 단말(1)의 사용자 정보를 픽업한다. 그런 다음, 픽업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CUG를 형성하여, 신청된 긴급 동보용의 CUG로서 등록한다.

Description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HALF-DUPLEX RADIO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 간의 반이중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로 접속된, 각 통신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는 통신 사업자 시스템(통신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는 CUG(C1osed User Group)서버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반이중 무선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선 미리 PC 등으로부터 멤버 등록을 하여, 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CUG을 CUG 서버에 등록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CUG가 등록된 후, 그 등록된 CUG 내에 있어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 사업자 시스템의 기술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44508호는 오퍼레이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정보를 입력하고, 노드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CUG 번호를 키로서 접속 노드에 정보를 보유한다. 그런 다음, 그 CUG 번호나 멤버 및 노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멤버가 접속되는 노드 및 해당 CUG의 전체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의 엔트리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조작 수순이 다르고, 또한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 사이에서는,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CUG에의 액세스를 허가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고,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 간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은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경찰서나 소방서등으로부터 긴급 동보를 하려고 해도,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대하여까지는 발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특허 출원에 개시된 시스템은, 오퍼레이터가 라우팅 정보를 수집하여 설정하는 수고를 경감 할 수 있기는 하지만, 오퍼레이터가 CUG에 추가하는 멤버 정보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할 필요가 있고, 또한 여전히 전술한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또한 발신처를 오퍼레이터가 입력한다고 하는 수고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긴급 시 등에 있어서의 긴급 동보 송신을 행할 수 있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multicasting)을 행하기 위한 신청을 발신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 및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동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현재 상태의 조건은,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CUG을 형성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보 송신 단계에서, 미리 등록되어 통신 가능한 모든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검색하여 CUG을 형성하고,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동보 송신이, 상기 발신자 단말과 다른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반이중 무선 통신에서의 발언권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취득한다.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multicasting)을 행하기 위한 신청을 발신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 및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동보 송신 단계를 실행시키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현재 상태의 조건은,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CUG을 형성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보 송신 단계에서, 미리 등록되어 통신 가능한 모든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검색하여 CUG을 형성하고,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동보 송신이, 상기 발신자 단말과 다른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반이중 무선 통신에서의 발언권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취득한다.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이 서로 접속되어 이루어져 있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반이중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기와, 상기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현재 상태 취득부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을 행하기 위한 신청을 받으면, 상기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의 각 현재 상태 취득부가 보유하고 있는 각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현재 상태의 조건은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이고, 상기 현재 상태 취득부는, 위치 정보 취득부로서, 해당 위치 정보 취득부를 각각 포함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동보 송신을 행하기 위한 상기 신청을 받으면,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의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해 CUG을 형성하고, 해당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동보 송신을 위한 신청을 받으면, 통신 제어 시스템의 위치 정보 취득부에, 통신 제어 시스템에 미리 등록되어 통신이 가능한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검색할 것을 요구하여 CUG을 형성하고,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동보 송신이, 상기 발신자 단말과 다른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반이중 무선 통신에서의 발언권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로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상 사용시에는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통신 제어 시스템) 내에서 양호한 무선 통화가 가능하고, 긴급 동보를 발할 때에는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도 발신 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신 사업자 시스템(A, B, C, …)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된다.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은, 무선 통신 제어기(2)와, 위치 정보 취득 수단(3)을 구비하여, 이 무선 통신 제어기(2)가, 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 끼리의 사이에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은, 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의해 반이중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단말이다.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제어기(2)는, 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과,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 사이에서의 통상의 통신을 접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대하여 자신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CUG 등의 고객 정보를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 사이에 있어서의 개인 정보의 누설 방지가 도모된다. 하나의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반이중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등록됨으로써, 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끼리의 사이에서 반이중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는 통신 사업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제어기(2)로서, 무선 기지국(21)(21-1, 21-2,…)과, 호 제어 서버(22)와, PoC(Push to talk Over Cel1ular) 서버(23)와, CUG 서버(24)를 구비하며, 위치 정보 취득부(3)로서, 프레젠스 서버(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호 제어 서버(22)와 PoC 서버(23)가, CUG 서버(24)로부터 송신된 CUG의 정보에 기초하여 반이중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하고, 또한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장치는 메모리 내에 (도시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프로그램에 기초를 둔 제어에 의해서 동작한다.
도 3은 무선 통신 단말(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무선 통신 단말(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와, 제어기(12)와, 디스플레이(13)와, 메모리(14)와, 조작부(15)와, 마이크로폰(송화부)(161)과, 스피커(162)(수화기)와, 프레스 투 토크 스위치(17)와, 무선 통신부(11)에 접속된 안테나(1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11)는 안테나(111)에 의한 무선 통신에 관한 신호 처리 등을 행하여,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기(12)는 무선 통신 단말(1)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디스플레이(13)는 무선 통신을 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메모리(14)는 설정된 CUG에서의 다른 무선 통신 단말(1)을 특정하는 정보나, CUG 서버(24)의 어드레스 등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조작부(15)는, 디스플레이(13)에 의한 표시 모드의 전환 등 사용자가 본 무선 통신 단말(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입력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 단말(1)은, 반이중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무선 통신 단말(1)로부터 미리 설정된 CUG의 다른 무선 통신 단말(1)(통신 상대)에 대하여 음성을 발신하는 경우, 프레스 투 토크 스위치를 눌러 송화 상태로 되어, 마이크로폰(161)이 수신한 음성이 CUG 멤버로서 등록된 다른 무선 통신 단말(1)에 대하여 발신된다.
프레스 투 토크 스위치가 눌려져 있지 않은 수화 상태에서는, CUG의 다른 무선 통신 단말(1)이 음성을 발신한 경우, 그 음성을 수신하여 스피커(162)에 의해 음성을 발음한다.
무선 기지국(21)(21-1,21-2,‥)은, 각 무선 통신 단말(1) 사이에서 반이중 무선 통신을 행하고, 그 해당 데이터를 호 제어 서버(22) 사이에서 송수신한다.
도 4는 호 제어 서버(2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호 제어 서버(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우터(221)와, 호 제어기(222)와, 패킷 듀플리케이터(223)와, 메모리(224)를 구비한다. 이 라우터(221)가 각 무선 기지국(21) 및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도 5는 PoC 서버(2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PoC 서버(2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관리부(231)와, 메모리(232)를 구비한다.
이 통신 관리부(231)는, CUG 서버(24)로부터 CUG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호 제어 서버(22)에 의한 반이중 무선 통신 단말과의 통신을 관리한다. 메모리(232)는, 통신 관리부(231)가 반이중 무선 통신의 관리를 행할 때에 CUG 서버(24)로부터 송신된 CUG 데이터(CUG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의 테이블) 등을 저장한다.
호 제어 서버(22)와 PoC 서버(23)가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라우터(221)에 의해 접속된 각 무선 기지국(21)과의 통신에 대하여, 호 제어기(222)와 통신 관리부(231)가 CUG 서버(24)에 의한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를 CUG로서 등록된 다른 무선 통신 단말 모두에 송신하기 위해서, 패킷 듀플리케이터(31)가 발신되어 온 데이터의 패킷을 소요의 수로 복제하여, 그 복제된 패킷을 라우터(32)가, 송신처로 되는 무선 통신 단말(1)이 귀속하는 무선 기지국(2)에 대하여 송신한다.
CUG 서버(24)는, 무선 통신 단말(1)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에 접속 허가/불허가의 인증을 행함과 함께, 등록된 CUG의 정보를 저장하여, 접속의 인증을 행한 때에, 그 무선 통신 단말(1)을 포함하는 CUG의 정보를 PoC 서버(23)에 송신한다.
도 6은 프레젠스 서버(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프레젠스 서버(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31)와, 위치 정보 취득부(32)와, 메모리(33)를 구비하며, 메모리(33)에 현재 상태 테이블(33a)을 저장한다.
위치 정보 취득부(32)는, 그 위치 정보 취득부가 포함되는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 각각의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 위치 정보의 취득부(32)는, 항상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현재 상태 테이블(33a)은, 위치 정보 취득부(32)에 의해 취득된 각 무선 통신 단말(1)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킨 현재 상태의 정보를, 그 무선 통신 단말의 사용자명과 관련지어 저장한다.
또한, 전술한 현재 상태는, 위치 정보 취득부(32)에 의해 소정의 식별 방법으로 식별되거나, 다른 각종의 방법에 의해 취득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의 전원이 OFF로 되어 있거나 각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등, 무선 통신 제어기(2)가 그 무선 통신 단말(1)과 교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말(11)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도 없다. 그 경우에는, 취득되어 있는 무선 통신 단말(1)의 현재 상태 중에서 가장 새로운 정보를 현재 상태 테이블(33a)이 현재 상태로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본 실시 형태에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긴급 동보를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이 긴급 동보를 행할 때의 CUG 형성, 등록 동작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긴급 동보의 동작 전체를 도시하는 시퀀스차트이다.
여기서, 긴급 동보시에는, 지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1)에 의한 CUG을 형성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그 CUG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 단말(1)에 대하여 일제동보(동보 송신)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긴급 동보를 위한 CUG을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해 있는 무선 통신 단말(1)도 포함시켜 형성한다.
우선, 긴급 동보를 발하려고 하는 발신자가,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1)로부터 CUG 서버(24)에 대하여 긴급 동보의 신청을 행한다 (단계 S1). 도 7, 도 8의 예에서는, 이 발신자의 무선 통신 단말을 부호 1X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긴급 동보의 신청시에, 발신자는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1X)(발신자 단말)에 의해 긴급 동보 모드를 선택하고, 도 9에 예시하는 긴급 동보 발신 모드의 화면에 의해, 발신처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1)을 한정(narrow down)하기 위한 위치 조건을 입력한다.
CUG 서버(24)는, 이 긴급 동보의 신청을 받으면,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 조건에 적합한 무선 통신 단말(1)의 데이터의 검색 요구를 프레젠스 서버(3)에 발신하고 (단계 S2), 그 위치 조건에 맞는 무선 통신 단말(1)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단계 S3).
이 단계 S2와 S3의 사이에서, CUG 서버(24)는, 프레젠스 서버(3)의 현재 상태 테이블(33a)을 검색하고, 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신청된 긴급 동보의 발신처가 되는 무선 통신 단말(1)의 사용자 정보를 픽업하고, 픽업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CUG를 형성하여, 신청된 긴급 동보용의 CUG로서 등록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현재 상태 테이블(33a)이, 사용자명에, 장소( 위치 정보)와, 회선의 접속 가부(ON LINE/OFF LINE)와, 사용자의 상태를 관련되게 만든 것으로 하여 예시하고 있다.
관련되게 만들어져 있는 각 정보는,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이 접속 가능(ON LINE)인 경우에는 항상 또는 소정의 시간마다 갱신되고, 접속 불능(OFF LINE)인 경우에는, 이미 취득되어 있는 최신의 정보로 되어있다.
또한, 이 단계 S2와 S3의 사이에는, 긴급 동보의 신청을 받은 CUG 서버(24)가, 미리 등록되어 통신 가능한 모든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레젠스 서버(3)에 대하여 데이터의 검색 요구를 발신하여, 전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 중에서 지정된 위치 조건에 맞는 것을 검색한다.
이 것에 의해,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도 포함시킨 긴급 동보용의 CUG을 형성할 수가 있고, 지정된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보다 많은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긴급 동보를 발신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신청된 긴급 동보용의 CUG가 형성되면, CUG 서버(24)는 그 CUG 데이터를 PoC 서버(23)에 송신한다 (단계 S4). PoC 서버(23)와 호 제어 서버(22)는, 신청자의 무선 통신 단말(1X)에 대하여, 긴급 동보로서의 발신 가능 상태로 된 것을 통지한다 (단계 S5).
통지를 받은 무선 통신 단말(1X)은, 디스플레이(13)에,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여, 발신자에게 긴급 동보의 발신 가능 상태로 된 것을 통지한다.
이렇게 해서 긴급 동보의 발신 가능 상태로 되면, 위치 조건에 적합하여 수신측으로 된 무선 통신 단말(1Y)(lY-1.lY-2,…)은, ON LINE인 한 강제적으로 수신 상태로 되어, 발신자가 무선 통신 단말(1X)의 프레스투 토크 스위치(17)를 누르고 있는 동안, 무선 통신 단말(1X)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등을 수신하게 된다 (단계 S6).
이 수신시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발신자가 경찰서의 담당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수신측으로 된 무선 통신 단말(1Y)은, ON LINE 인 한, 발신자의 정보에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13)에 표시하여, 발신자로부터의 음성을 스피커(162)로부터 출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반이중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을, 긴급 동보를 신청한 무선 통신 단말(1X)이 강제적으로 얻는 것이 된다.
또한, 발신자의 무선 통신 단말(1X)이 긴급 동보로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한다. 이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신측으로 되는 무선 통신 단말(1Y)이, 디스플레이(13)에 도 12의 (a),(b)의 화면을 수초마다 교대로 표시한다.
이러한 화상 데이터에 의해 긴급 동보를 행하는 것에 따르면, 수신자측으로 된 무선 통신 단말(1Y)을 휴대하는 사용자가, 스피커에 의한 음성 출력이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수신자측에 돌연의 음성 출력에 의한 부담을 주는 일없이 긴급 동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과 화상 데이터의 양방을 긴급 동보로서 송신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보다 알기 쉽게 정보를 수신자측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긴급 시간 등에, 발신자로부터의 일제 동보(긴급 동보)를, 복수의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대하여, 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Y)에 수신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수신측이 되는 무선 통신 단말(1Y)은 특별한 기능을 요구하지 않고, 일반적인 무선 통신 단말이라도 되기 때문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모든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있어서의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ON LINE 인 모든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반이중 무선 통신으로서의 발언권을 발신자 단말에 통합한 동보 송신(긴급 동보)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경찰서나 소방서 등으로부터 긴급을 요하는 통지를,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이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으로서의 각 기능을 실현 할 수 있으면, 각 서버의 구성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서버가 다른 서버의 기능을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도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서버가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서버의 기능을 구비하거나,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개의 서버의 기능을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하는 것으로서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화면 표시는 일례이고, 본 발명으로서의 각 기능을 실현 할 수 있으면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긴급 동보의 신청시에 있어서의 위치 조건의 지정을 어드레스에 의해 입력하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범위를 지정 할 수 있으면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범위 지정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긴급 동보의 신청 시에 발신자가 위치 조건을 지정하고, 신청을 받은 CUG 서버(24)가 그 지정된 위치 조건에 맞는 사용자를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의 현재 상태 테이블(33a)로부터 픽업하여 긴급 동보용의 CUG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또한 회선 상태가 ON LINE인 것을 픽업의 조건에 추가하는 것도 된다..
이 것에 따르면, 현재그 위치에 있는 사용자만을 보다 고정밀도로 픽업하여 CUG을 형성하여, 긴급 동보를 행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단말이 OFF LINE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젠스 서버(3)가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 없는 동안에,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하고 있을 가능성도 고려하여, 보다 고정밀도로 현재 그 위치에 있는 사용자만을 픽업하여 긴급 동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긴급 동보의 신청 시에 발신자가 지정하는 검색 조건은, 위치 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상태 테이블(33a)에 저장된 각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를 도시하는 정보이면 다른 정보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단계 S2로부터 S3의 동작에서, 각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대하여, 지정된 현재 상태를 도시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에 의해 CUG을 형성하고, 그 CUG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 단말(1Y)에 대하여 일제 동보로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시스템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은, 각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면 그 양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ROM, 하드디스크,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EEPR0M 등에 저장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한 전술한 각 기능이, 전술한 기록 매체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컴퓨터의 CPU 등이 처리를 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그리고, 그 경우, 전술한 기록 매체로부터, 혹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은 적용되는 것이다.
즉,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본 발명의 신규한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록 매체 및 해당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신호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에 따르면,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되는 컴퓨터에,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 형태에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또한 발신처를 오퍼레이터가 입력한다고 하는 수고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예를 들면 긴급 시간 등에 있어서의 동보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특정한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일 뿐,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동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각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하나의 통신 사업자 시스템 주위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단말(1)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호 제어 서버(22)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PoC 서버(23)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프레젠스 서버(3)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동보를 행할 때의 CUG 형성, 등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긴급 동보를 행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차트이다.
도 9는 긴급 동보 모드를 선택했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긴급 동보의 발신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긴급 동보의 수신 상태로 되었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긴급 동보를 화상에 의해 수신할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b)는 긴급 동보를 화상에 의해 수신할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C : 통신 사업자 시스템(통신 제어 시스템)
1 : 무선 통신 단말
2 : 무선 통신 제어기
21 : 무선 기지국
22 : 호 제어 서버
23 : PoC 서버
24 : CUG 서버
3 프레젠스 서버(위치 정보 취득 수단)
33a : 현재 상태 테이블

Claims (20)

  1. 반이중(half-duplex)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multicasting)을 행하기 위한 신청을 발신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 및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동보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의 조건은,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CUG을 형성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CUG을 형성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 송신 단계에서, 미리 등록되어 통신 가능한 모든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검색하여 CUG을 형성하고,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동보 송신이, 상기 발신자 단말과 다른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반이중 무선 통신에서의 발언권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8. 컴퓨터에,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multicasting)을 행하기 위한 신청을 발신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 및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동보 송신 단계
    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의 조건은,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CUG을 형성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각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고,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CUG을 형성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 송신 단계에서, 미리 등록되어 통신 가능한 모든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검색하여 CUG을 형성하고,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동보 송신이, 상기 발신자 단말과 다른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반이중 무선 통신에서의 발언권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
  13. 제8항에 있어서,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
  14. 제10항에 있어서,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프로그램.
  15.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이 서로 접속되어 이루어져 있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반이중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기와,
    상기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현재 상태 취득부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을 행하기 위한 신청을 받으면, 상기 복수의 통신 제어 시스템의 각 현재 상태 취득부가 보유하고 있는 각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의 동보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의 조건은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이고, 상기 현재 상태 취득부는, 위치 정보 취득부로서, 해당 위치 정보 취득부를 각각 포함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동보 송신을 행하기 위한 상기 신청을 받으면,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의 각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해 CUG을 형성하고, 해당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동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동보 송신을 위한 신청을 받으면, 통신 제어 시스템의 위치 정보 취득부에, 통신 제어 시스템에 미리 등록되어 통신이 가능한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현재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검색할 것을 요구하여 CUG을 형성하고, 상기 CUG에 등록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동보 송신이, 상기 발신자 단말과 다른 통신 제어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반이중 무선 통신에서의 발언권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동보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50008193A 2004-01-29 2005-01-28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671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0967A JP3997995B2 (ja) 2004-01-29 2004-01-29 半二重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JP-P-2004-00020967 200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802A true KR20050077802A (ko) 2005-08-03
KR100671377B1 KR100671377B1 (ko) 2007-01-19

Family

ID=3465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8193A KR100671377B1 (ko) 2004-01-29 2005-01-28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15422B2 (ko)
EP (1) EP1560453B1 (ko)
JP (1) JP3997995B2 (ko)
KR (1) KR100671377B1 (ko)
CN (1) CN100405770C (ko)
HK (1) HK1080635A1 (ko)
TW (1) TWI263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7332B1 (en) * 2004-04-16 2006-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Group Address Creation
KR100735328B1 (ko) * 2005-02-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그시스템
EP1860907A4 (en) * 2005-03-14 2012-04-04 Nec Corp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WO2007052594A1 (ja) * 2005-11-04 2007-05-10 Sharp Kabushiki Kaisha PoCサーバ自動検索方法、品質調整方法、及び、これらの方法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JP4853001B2 (ja) * 2005-11-30 2012-01-1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交換システム、情報交換方法、及び、情報交換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
EP1981298A4 (en) * 2006-01-12 2015-03-18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S CONVERSATION METHOD AND PROGRAM SOFTWARE
WO2007126029A1 (ja) * 2006-04-27 2007-11-08 Kyocera Corporation 携帯電話端末、サーバ及びグループ通話システム
JP4877952B2 (ja) * 2006-08-30 2012-02-1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lanを利用した音声通話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中継装置
WO2008026430A1 (fr) * 2006-08-30 2008-03-06 Pioneer Corporation Dispositif de terminal de communication, procédé de communication, programme de communication et support d'enregistrement
US8032169B2 (en) * 2007-11-28 2011-10-0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overhead floor control in a distribu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network
JP5025440B2 (ja) * 2007-12-04 2012-09-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通信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
EP2236001B1 (en) * 2008-01-22 2015-04-22 Savox Communications Oy AB (LTD)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necting an ad-hoc communication network to a permanent communication network
US8320897B2 (en) * 2009-06-30 2012-11-2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gramming inter-(sub) system interface identity data at a unit or individual subscriber
JP2013051687A (ja) * 2012-09-18 2013-03-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EP3864873A4 (en) * 2018-10-08 2022-06-08 Nokia Technologies OY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253A (ja) 1984-02-27 1985-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同報通信方式
US5493286A (en) * 1994-03-10 1996-02-20 Motorola, Inc.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in a geographic region
DE19537101A1 (de) * 1995-10-05 1997-04-1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Aufbau von Nachrichtenverbindungen für Gruppen- und/oder Sammelruf
EP0851628A1 (en) 1996-12-23 1998-07-01 ICO Services Ltd. Key distribution for mobile network
US5987331A (en) * 1996-11-20 1999-11-16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to communication system gateway method and apparatus
EP1005197A4 (en) * 1998-05-20 2002-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DEVICE
JP3488114B2 (ja) * 1999-02-18 2004-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閉域ユーザグループ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JP2001036645A (ja) 1999-07-19 2001-02-09 Toyo Commun Equip Co Ltd 緊急情報伝達システム
FI19991949A (fi) * 1999-09-13 2001-03-14 Nokia Networks Oy Suljettu käyttäjäryhmäpalvelu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JP2001189704A (ja) 1999-12-28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
FI110561B (fi) * 2000-12-18 2003-02-14 Nokia Corp IP-pohjainen puheviestintä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7386000B2 (en) * 2001-04-17 2008-06-10 Nokia Corporatio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US20030148779A1 (en) 2001-04-30 2003-08-07 Winphori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expediting call establish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US7738407B2 (en) * 2001-08-03 2010-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IPP2T (IP-push-to-talk) wireless LAN mobile radio service
JP2003140997A (ja) * 2001-11-06 2003-05-16 Seiko Epson Corp データ通信制御システム、データ通信制御用サーバ、情報入力装置、データ通信制御用プログラム、入力装置制御用プログラム及び端末機器制御用プログラム
US6873854B2 (en) * 2002-02-14 2005-03-29 Qualcomm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dding a new member to an active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7688764B2 (en) * 2002-06-20 2010-03-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aker arbitration in a multi-participant communication session
JP2004056306A (ja) * 2002-07-17 2004-02-19 Ntt Docomo Inc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中継装置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40098455A1 (en) * 2002-11-14 2004-05-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subscriber units
US7023813B2 (en) * 2002-12-31 2006-04-04 Motorola, Inc. Methods for managing a pool of multicast addresses and allocating address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FI20030429A0 (fi) * 2003-03-24 2003-03-24 Nokia Corp Ryhmäliikennöinti matkaviestinverkossa
US7359724B2 (en) * 2003-11-20 2008-04-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group formation
US20050133123A1 (en) * 2003-12-01 2005-06-23 Touchstone Research Laboratory, Ltd. Glass fiber metal matrix composites
FI20045138A0 (fi) * 2004-04-16 2004-04-16 Nokia Corp Ryhmätiedon hallinta
US7889726B2 (en) * 2004-06-11 2011-02-15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0453B1 (en) 2015-01-28
HK1080635A1 (en) 2006-04-28
CN100405770C (zh) 2008-07-23
US20060171389A1 (en) 2006-08-03
EP1560453A2 (en) 2005-08-03
CN1649286A (zh) 2005-08-03
TW200539599A (en) 2005-12-01
KR100671377B1 (ko) 2007-01-19
JP2005217707A (ja) 2005-08-11
US7715422B2 (en) 2010-05-11
TWI263416B (en) 2006-10-01
JP3997995B2 (ja) 2007-10-24
EP1560453A3 (en)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377B1 (ko)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6549768B1 (en) Mobile communications matching system
KR100916730B1 (ko) 푸쉬투토크 시스템에서 경보 톤을 송신하고 플레이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630239B1 (ko) 호출자 id에 기초하는 호출 자동 응답 방법
US8099100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7460838B2 (en) Control st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060094538A (ko) 모바일 무선 존재 및 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BRPI0502439B1 (pt) Método e servidor para criação e gerenciamento de um grupo de estações móveis para uma sessão de comunicação em uma rede de comunicações, e estação móvel, sistema detelecomunicações e meio que pode ser lido em máquina correlatos
US20060270391A1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1031964A1 (en) Dynamically controlled group call services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9001784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lephone Calling Method and Program Software for The Same
US200301208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group communication system
KR20040101497A (ko) 이동전화용 재난 및 비상 모드
US20070224976A1 (en) PoC system and method of PoC communication
KR100937381B1 (ko) 통화전 발신자 위치 알림 방법
JP4516257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装置
JP2912332B1 (ja) 携帯通信端末の位置検索方法
JP2002159063A (ja) 携帯端末の位置情報提供許諾方法
JP2001352341A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9130482A (ja) 緊急通報時の位置情報転送システム
JP3048961B2 (ja) グループ通信方式
JPH08289355A (ja) 移動体通信端末位置情報伝達方法と装置および該装置を有する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09322254A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用基地局
JP2005020574A (ja) 転送登録代行システム、電話転送システムおよび転送登録代行方法
JP2005072827A (ja) 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