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020A -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020A
KR20050077020A KR1020050006479A KR20050006479A KR20050077020A KR 20050077020 A KR20050077020 A KR 20050077020A KR 1020050006479 A KR1020050006479 A KR 1020050006479A KR 20050006479 A KR20050006479 A KR 20050006479A KR 20050077020 A KR20050077020 A KR 2005007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arizing plate
panel
housing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가시다께시
류우마사유끼
사가와유끼노리
와끼따도모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0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EVF 패널 표면에 부착되는 더스트나 EVF 패널 표면의 흠집을 저감하여,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EVF 패널(2)과, EVF 패널로의 입사광 및 EVF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상에 배치된 플라스틱 기판(3)에 접합한 편광판(4)과, EVF 패널로의 입사광 및 EVF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영역에 개구부(11)가 형성된 하우징 상부(5)와, 하우징 상부와 결합하는 하우징 하부(6) 및 가요성 기판 압박부(7)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며, 편광판을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하고 EVF 패널을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부, 편광판, 가요성 기판 압박부에 의해 형성된 대략 밀폐 공간 내에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VIDEO CAMERA}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을 대략 밀폐 공간 내에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화질의 열화를 억제하고자 한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영상계 AV 기기는 소형화, 저가격화, 고화소화가 진행되어 놀라운 보급을 하고 있다.
여기서, 영상계 AV 기기의 뷰 파인더에 탑재되는 EVF(Electronic View Finder) 패널(100)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TFT 기판(105)과, TFT 기판과 액정(도시하지 않음)을 협지하여 대향시킨 대향 기판(106)으로 구성되어 있고, TFT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물질의 복굴절 특성을 기초로 하여 광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표시를 행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EVF 패널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TFT 기판 및 대향 기판의 표면에 직접 편광판(104)이 접합되어 있고(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EVF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백 라이트(102)로부터 빛을 조사하여 얻게 된 화상을 EVF 패널의 전방면에 배치된 확대 렌즈계(103)에서 확대하여 원하는 화상을 얻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52727호 공보
그런데, 최근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영상계 AV 기기의 소형화 및 저가격화에 수반하여, 반도체를 비롯하여 사용되는 부품에도 소형화 및 저가격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고,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뷰 파인더에 탑재되어 있는 EVF 패널도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EVF 패널의 소형화가 진행되면, 이에 수반하여 확대 렌즈계에 의한 확대율이 증대되고, 지금까지 이상으로 EVF 패널 표면에 부착된 더스트나 패널 표면의 흠집이 확대되어 확인하기 쉬워지므로 제조상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해져 왔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EVF 패널에서는 TFT 기판 및 대향 기판에 직접 편광판이 접합되어 있지만, TFT 기판이나 대향 기판의 두께가 약 1 ㎜ 정도인 것이나 확대 렌즈계에 의한 확대율이 증대되고 있는 현상을 고려하면, TFT 기판 및 대향 기판과 편광판을 접착할 때에 TFT 기판과 편광판의 계면이나 대향 기판과 편광판의 계면에 부착된 먼지가 확대 렌즈계의 초점 내로 들어와 버림으로써 EVF 패널의 화질 열화가 우려된다.
또한 편광판 그 자체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재(115)의 상층에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16), 보호층의 상층에 PVA(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편광자(117), 편광자의 상층에 TAC로 이루어지는 보호층, 보호층의 상층에 하드 코팅(118) 등의 다층 구조로, 편광판을 제조할 때에 이들의 층간이나 보호막 중에 이물질이 인입됨에 따른 편광판의 내부의 결함에 의해 EVF 패널의 화질이 열화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뷰 파인더 부분의 조립 공정은, EVF 패널의 제조를 행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과 비교하면 그 만큼 청결도가 높지 않은 환경 하에서 행해지고 있어,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더스트가 EVF 패널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의 놀라운 보급에 따라 여행, 운동회, 학예회 등의 여러 환경에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가 사용되도록 되어 왔고, 제조 및 판매까지는 부착되지 않던 미세한 더스트가 사용자의 사용 중에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의 기기 내로 진입하여 EVF 패널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창안된 것이며, 액정 패널 표면에 부착되는 더스트나 액정 패널 표면의 흠집을 저감하여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상에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편광판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액정 패널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편광판에 의해 형성된 대략 밀폐 공간 내에 상기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상에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이며, 상기 편광판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액정 패널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편광판에 의해 형성된 대략 밀폐 공간 내에 상기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 및 편광판에 의해 대략 밀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어, 대략 밀폐 공간 내에 보유 지지되는 액정 패널 표면으로의 먼지 부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대략 밀폐 공간은 외기를 완전하게 차단하는 등의 엄밀한 의미에서의 밀폐 상태는 아니며,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밀폐 상태이면 충분하다.
또한, 액정 패널을 편광판과 이격하여 보유 지지함으로써 액정 패널과 편광판의 계면에 먼지가 부착되는 일이 없고, 또한 편광판의 내부의 결함에 대해서는 디포커스 효과에 의해 확인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액정 패널을 보유 지지하고, 액정 패널을 대략 밀폐 공간 내에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하는 액정 패널 보유 지지부가 액정 패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하기 위한 매치 플레이트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액정 표시 장치의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에 이바지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하우징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여기서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1)는 EVF 패널(2), 플라스틱 기판(3)에 접합된 편광판(4), 하우징 상부(5), 하우징 하부(6) 및 가요성 기판 압박부(7)를 구비하고,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부,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 및 가요성 기판 압박부에 의해 구성된 상자형 형상의 대략 밀폐 공간에 EVF 패널이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EVF 패널은 밀봉제에 의해 소정의 간극을 거쳐서 포개어진 TFT 기판(8) 및 대향 기판(9)과 이들 TFT 기판 및 대향 기판의 간극 내에 보유 지지된 액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TFT 기판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행하기 위한 가요성 기판(1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TFT 기판은 화소 개구부, TFT 소자, 배선 등을 형성하는 유효 영역인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이외의 모든 영역이며, 주변 회로 영역과 밀봉 영역 및 그 외측 영역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을 갖고, 표시 영역에는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화소의 사이에는 행방향에 따라 배열된 스캔 라인이나 열방향에 따라 배열된 데이터 라인 등의 신호선이 설치되고, 이들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부근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구동용 스위칭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편광판은 반드시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지만, 편광판과 플라스틱 기판을 접합하여 플라스틱 기판이 외측이 되도록 후술하는 편광판 삽입부에 삽입함으로써, 플라스틱 기판에 의해 편광판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편광판에는 플라스틱 기판이 접합되어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 하부는 바닥판 및 측판으로 구성되고, EVF 패널로의 입사광 및 EVF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영역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과 측판의 내측에 EVF 패널의 두께와 대략 동등한 간격을 거친 볼록부에 의해 구성된 EVF 패널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바닥판과 측판의 내측에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한 편광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간격을 거친 볼록부에 의해 구성된 편광판 삽입부(13)가 EVF 패널로의 빛의 입사측 및 EVF 패널로부터의 빛의 출사측의 양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 삽입부는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한 편광판을 삽입함으로써, 플라스틱 기판이 측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색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측판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에 형성된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사이에는 슬릿(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EVF 패널과 같이 EVF 패널 표면에 직접 편광판을 접합하지 않고 EVF 패널과 이격하여 편광판을 배치하므로, 종래의 EVF 패널과 비교하면 백 라이트로부터 EVF 패널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버려 EVF 패널의 광투과율의 저하가 우려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EVF 패널 삽입부와 출사측의 편광판 삽입부의 거리보다도 EVF 패널 삽입부와 입사측의 편광판 삽입부의 거리 쪽이 짧아지는 위치에 EVF 패널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상부는 천정판 및 측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측판에는 하우징 하부의 측판 외측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부(15)와 결합하는 걸어 맞춤 구멍부(16)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상부의 천정면과 하우징 하부의 바닥면이 대향하도록 양자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천정판에는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EVF 패널 삽입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EVF 패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간격을 거친 볼록부에 의해 구성된 EVF 패널 압박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편광판 삽입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한 편광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간격을 거친 볼록부에 의해 구성된 편광판 압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EVF 패널 삽입부에서 충분히 EVF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반드시 하우징 상부에는 EVF 패널 압박부가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마찬가지로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편광판 삽입부에서 충분히 편광판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반드시 하우징 상부에는 편광판 압박부가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보다 안정적으로 EVF 패널이나 편광판을 고정하여 진동 등에 의해서도 확실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 상부에 EVF 패널 압박부 및 편광판 압박부가 형성된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EVF 패널 압박부를 구성하는 볼록부에 의해, EVF 패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EVF 패널 삽입부 및 EVF 패널 압박부는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부,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 및 가요성 기판 압박부에 의해 구성된 상자형 형상의 대략 밀폐 공간 내에 EVF 패널을 편광판과 이격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반드시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EVF 패널 압박부를 구성하는 볼록부에 의해 EVF 패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하도록 구성할 필요는 없다. 단,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EVF 압박부를 구성하는 볼록부에 의해 EVF 패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할 수 있으면, 별도로 매치 플레이트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EVF 압박부를 구성하는 볼록부에 의해 EVF 패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 기판 압박부는 바닥판 및 측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측판에는 하우징 하부의 측판의 외부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부와 결합하는 걸어 맞춤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 하부의 바닥판과 가요성 기판 압박부의 바닥판이 포개지도록 양자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상부, 하우징 하부 및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에 의해 대략 밀폐 상태인 상자형 형상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가요성 기판 압박부와 하우징 하부를 결합시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하우징 하부의 바닥판에는 가요성 기판을 삽입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을 폐색하여 보다 밀폐 정도를 높이기 위해 가요성 기판 압박부를 하우징 하부와 결합시킨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로서 EVF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고 있지만, 프로젝터용 패널 등이라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도3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하부의 바닥판에 형성된 슬릿에 가요성 기판을 삽입 관통하여, EVF 패널 삽입부에 EVF 패널을 삽입한다. 이 때,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가 EVF 패널 가이드의 역할을 다하기 때문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도3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판 삽입부에,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을 플라스틱 기판이 외측이 되도록 삽입한다. 이 때, 편광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가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의 가이드의 역할을 다하기 때문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EVF 패널 삽입부에 EVF 패널이 삽입되고 편광판 삽입부에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이 삽입되면 충분하고, 반드시 EVF 패널을 삽입한 후에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을 삽입할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을 삽입한 후에 EVF 패널을 삽입해도 좋다.
다음에, 도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하부의 측판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부와 하우징 상부의 측판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부를 결합시켜, 하우징 상부의 상부판과 하우징 하부의 바닥판이 대향하도록 하우징 하부와 하우징 상부를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도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하부의 바닥판에 형성된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가요성 기판을 입사측으로 90도 절곡한 후, 하우징 하부의 측판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부와 가요성 압박부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부를 결합시켜 하우징 하부의 바닥판과 가요성 압박부의 바닥판이 포개지도록 하우징 하부와 가요성 압박부를 결합함으로써, 도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 형상의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투과형의 EVF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였지만,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부,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 및 가요성 기판 압박부에 의해 구성된 상자형 형상의 대략 밀폐 공간에 EVF 패널이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되면 좋고, 반사형의 EVF 패널이라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부, 플라스틱 기판에 접합된 편광판 및 가요성 기판 압박부에 의해 구성된 상자형 형상의 대략 밀폐 공간에 EVF 패널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대략 밀폐 공간 내로의 먼지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EVF 패널 표면으로의 먼지 부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가 상자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에 부착하는 세트 조립시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요철이 적은 상자형 형상이므로 범용성이 풍부하여 다양한 제품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EVF 패널을 편광판과 이격하여 보유 지지함으로써 편광판을 EVF 패널에 직접 접합하고 있었을 때에 발생하고 있던 EVF 패널과 편광판의 계면에 먼지가 부착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일이 없고, 또한 편광판의 제조시에 발생하는 편광판 내부의 결함에 대해서도 디포커스 효과에 의해 그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EVF 패널 압박부를 구성하는 볼록부에 매치 플레이트로서의 역할을 부가함으로써, EVF 패널과 매치 플레이트와의 얼라인먼트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매치 플레이트의 부착시에는 TFT 기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하기 위해 TFT 기판과 매치 플레이트와의 얼라인먼트 작업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EVF 패널 삽입부에 EVF 패널을 삽입한 후에, 하우징 하부와 하우징 상부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EVF 패널 삽입부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EVF 패널 압박부를 구성하는 볼록부가 매치 플레이트로서 기능하므로 얼라이먼트의 필요가 없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액정 패널이 대략 밀폐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를 탑재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이하, 제품이라 함)의 조립시, 제품의 물류시, 제품의 사용 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의 액정 패널 표면으로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액정 패널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시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액정 패널 표면으로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 표면의 먼지를 닦아내는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이 대략 밀폐 공간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의 조립시에 실수로 흠집을 발생시켜 버리는 일도 없어져, 액정 패널 표면의 흠집의 저감에 의해 액정 패널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이 대략 밀폐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세트 조립시의 응력 등의 다양한 외적 응력으로부터 액정 패널을 보호할 수 있어 액정 패널의 수명 장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을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액정 패널과 편광판의 계면에 먼지가 부착되는 일이 없어, 액정 패널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을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편광판의 제조시에 발생되는 편광판 내부의 결함에 대해서도, 디포커스 효과에 의해 그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액정 패널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과 편광판을 직접 접합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품 폐기시의 산업 폐기물의 분별이 용이한 동시에, 재생 및 재활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하우징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4는 종래의 EVF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5는 편광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표시 장치
2 : EVF 패널
3 : 플라스틱 기판
4 : 편광판
5 : 하우징 상부
6 : 하우징 하부
7 : 가요성 기판 압박부
8 : TFT 기판
9 : 대향 기판
10 : 가요성 기판
11 : 개구부
12 : EVF 패널 삽입부
13 : 편광판 삽입부
14 : 슬릿
15 : 걸어 맞춤 돌기부
16 : 걸어 맞춤 구멍부
17 : EVF 패널 압박부
18 : 편광판 압박부

Claims (3)

  1.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상에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편광판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액정 패널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편광판에 의해 형성된 대략 밀폐 공간 내에 상기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액정 패널을 상기 대략 밀폐 공간 내에 상기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하는 액정 패널 보유 지지부는, 상기 액정 패널의 주변 영역으로의 입사광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상에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액정 패널로의 입사광 및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이며,
    상기 편광판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액정 패널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편광판에 의해 형성된 대략 밀폐 공간 내에 상기 편광판과 이격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KR1020050006479A 2004-01-26 2005-01-25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 KR20050077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7122A JP2005208492A (ja) 2004-01-26 2004-01-26 液晶表示装置及びビデオカメラ
JPJP-P-2004-00017122 2004-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020A true KR20050077020A (ko) 2005-07-29

Family

ID=3485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479A KR20050077020A (ko) 2004-01-26 2005-01-25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85116A1 (ko)
JP (1) JP2005208492A (ko)
KR (1) KR20050077020A (ko)
CN (1) CN16487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8926B2 (ja) 2005-12-21 2009-1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20120149002A1 (en) * 2008-11-06 2012-06-14 National Taiwan University Educational kit for display device and educational method utilizing the same
US20150000823A1 (en) * 2009-09-18 2015-01-01 Tovis Co., Ltd.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CN105516555A (zh) * 2015-11-26 2016-04-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US10564454B2 (en) 2017-11-08 2020-02-18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Method for attaching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111344769A (zh) * 2017-11-08 2020-06-26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6671420B2 (ja) * 2018-06-18 2020-03-2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4399B2 (ja) * 1992-06-30 2003-06-09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液晶表示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ユニットを用いた液晶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8738A (zh) 2005-08-03
US20050185116A1 (en) 2005-08-25
JP2005208492A (ja)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5627A1 (en) Display apparatus
US10690959B2 (en) Display apparatus
JP3697104B2 (ja) 液晶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投射型表示装置
JP5066896B2 (ja) 電気光学装置用実装ケース、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077020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비디오 카메라
JP200034716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投射型表示装置
JP2010210906A (ja) 表示装置
JP5470800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H0876081A (ja) 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324821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投射型表示装置
JP5287119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389836B2 (ja) 液晶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投射表示装置
CN104698692A (zh) 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JP5195260B2 (ja) 電子機器
JP4121437B2 (ja) 面状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14010377A (ja) 電気光学モジュール、電気光学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7206723A (ja)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投射型表示装置
JP5121239B2 (ja) 表示装置
JP200605860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34180A (ja) 実装ケース、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4006478A (ja) 電気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4089216B2 (ja) 液晶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投射装置
JP200905856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312181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投射型表示装置
JP3415100B2 (ja) 投射型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