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920A -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920A
KR20050075920A KR1020040003632A KR20040003632A KR20050075920A KR 20050075920 A KR20050075920 A KR 20050075920A KR 1020040003632 A KR1020040003632 A KR 1020040003632A KR 20040003632 A KR20040003632 A KR 20040003632A KR 20050075920 A KR20050075920 A KR 20050075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setting resin
end plate
plate
aggregated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권
Original Assignee
김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권 filed Critical 김서권
Priority to KR102004000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920A/ko
Publication of KR2005007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9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10Butting blanks of veneer; Joining same along edges; Preparatory processing of edges,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판으로 구성되는 집성판 본체의 무수한 미세기공에 가열경화제·반응지연제가 혼합된 열경화성수지를 충전시켜 미세기공으로 구성되는 기공조직 사이의 연결을 끊음으로써 미세기공을 통한 수분출입이 차단되어 수분으로 발생될 수 있는 부패·변형·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열경화성수지를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로 함으로써 내열성·내약품성·강도 등 물리적성질이 향상되어 외부의 각종 훼손원인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급가구·바닥재·내장재 등으로 사용이 곤란한 소나무와 같은 저급수종을 고부가가치의 고급목재화할 수 있는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Laminated wood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aminated wood board}
본 발명은 나무판을 섬유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접착하여 만든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공조직을 통한 수분출입이 차단되므로 수분에 의한 각종 변형·변색·부패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상된 화학적, 물리적성질로 훼손원인에 따른 피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크게 침엽수재와 활엽수재로 구별되는 목재는 그들의 식물학적인 기원에 관계없이 가볍고 가공하기 쉬우며, 비중에 비해 강도가 크고, 전기의 전도가 잘 안되며, 외관이 아름답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부패·변형·변색·흡수성 및 열과 약품에 약하다는 단점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집성판재는 제조과정 중 함수율이 낮도록 건조를 잘 하였다 하더라도 습한 장소에 보관할 경우 주위의 수분을 흡수하여 쉽게 팽창하게 되고, 반대로 건조한 장소에 보관할 경우 쉽게 수축하게 되어 반복되는 수축·팽창작용으로 나뭇결을 따라 갈라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는 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의 집성판재는 습하고 통풍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에 보관할 경우 흡수되는 수분에 의해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므로 이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부패되고 검게 변색되어 외관이 아름답다는 장점이 퇴색될 뿐만 아니라 아울러 심한 악취를 동반하기도 하였다.
종래기술의 집성판재에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목재의 높은 흡수성을 꼽을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의 집성판재는 다공질구조, 보다 자세하게는 목재 내의 조직과 외계 사이의 가스교환을 담당하는 기공조직을 구성하고 서로 연계되는 미세기공이 무수히 있어 이 미세기공을 통한 수분의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했던 것이다.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집성판재의 표면에 도료를 칠하여 목재 내로 수분이 쉽사리 침투하지 못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나, 이는 도료가 목재 내부로 깊숙이 스며들지 못하고 표면에만 얇게 발라지는 것에 불과하므로 충분한 방수효과를 거둘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의 집성판재는 그 물리적성질에 있어서,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좋지 못하고, 비중에 비해 강도가 크기는 하나 그 이상의 강도를 원할 경우 이를 충족시켜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집성판재에 있어서, 그 수종이 저급수종으로 취급되는 소나무 등인 경우 가격이 저렴하여 수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다공질구조로 무르기 때문에 쉽사리 변형되고 다량의 진액(송진)이 분비되어 표면이 얼룩지는 등의 단점이 있어 고급가구·바닥재·내장재 등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통상 건축용 구조재에 한정하여 사용하곤 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의 기공조직을 구성하는 미세기공에 열경화성수지를 충전시켜 기공조직을 통한 수분의 출입을 차단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각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성판재는 단판의 미세기공에 열경화성수지가 충진되어 숙성경화되고, 다수개의 단판이 상호간의 변부가 결합되도록 집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집성판재 제조방법은 원목이 제재되어 공급되면, 공급된 원목을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직사각 형태의 단판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단판을 열경화성수지가 공급되는 함침기 내에 투입하여 열경화성수지가 단판의 미세기공으로 충진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충진된 열경화성수지가 가열실에서 가열숙성되어 단판과 일체화되도록 하고 연이어 냉각실에서 상온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단판의 양측변부를 정재단하고 재단된 변부를 각각 집성하여 다수장의 단판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성판재의 구조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3,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집성판재는 여러 장의 단판(베니어단판이라고도 한다)(2)이 서로간에 측면이 긴밀히 맞닿도록 집성된 기본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여러장의 단판(2)이 집성된 판재를 집성판 본체(1)로 지칭하기로 하며, 상기 집성판 본체(1)의 각 단판(2)에는 기공조직을 구성하는 무수한 미세기공(2a)에 열경화성수지(thermosetting resin)가 액체상태로 침투되어 충전되고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므로써 단판(2)과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경화성수지(3)는 고분자화합물이라 단판(2) 내 침투성이 좋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를 채택하여 사용된다.
참고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프탈산무수물(phthalic anhydride/C8H4O3)과 같은 포화2염기산,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과 같은 불포화2염기산과 글리콜(glycol)의 축합반응에서 얻어지는 분자량 2000~3000 정도의 불포화선상폴리에스테르와 스티렌(styrene/C6H5CH) 등 반응성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유리섬유를 복합체로 하여 경화시키면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이 되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료로서, 내열성과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수지(3), 즉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는 이를 가열하여 경화시키기 위한 가열경화제(4)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전체 100중량%에 대해 2중량%가 혼합됨과 아울러 가열경화제(4)가 상온에서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량의 반응지연제(5)가 혼합된다.
이 때, 가열경화제(4)는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C14H10O4)이고, 반응지연제(5)는 산소와의 활발한 접촉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가열경화를 지연시키는 히드로퀴논(hydroquinone/C6H4OH2)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집성판재는 단판(2) 간의 집성력을 높이고, 집성판 본체(1)의 자체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재로 채택된 부직포(8)가 일측면에 부착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성판 본체(1)의 일측면에는 보다 높은 강도의 집성판재를 구현하기 위해 베이스패널(6)이 결합된 구성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패널(6)은 일반 합판에 상기된 열경화성수지(3)가 충전되고 가열경화되어 물리적 강도 및 내화학성 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상기 집성판 본체(1)와 베이스패널(6)의 결합체 외면에는 여러 색체 및 질감의 도료를 도포하여서된 도료층(7)이 형성된다.
도면상 상기 도료층(7)은 베이스패널(6)의 하측에만 도시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집성판 본체(1)의 외면까지 코팅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집성판재는 단판(2)이 집성된 집성판본체(1)에 가열경화제(4)와 반응지연제(5)가 혼합된 열경화성수지(3)를 침투시키면 수종에 따라 각기 상이하기는 하나 통상적으로 단판(2) 무게의 60~130%에 해당하는 양의 열경화성수지(3)가 침투된다.(단판을 소나무로 한 경우 다른 수종에 비해 다공질성이 높아 침투성이 우수하다)
이 때, 열경화성수지(3)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단판(2)의 각 미세기공(2a)에 채워져 미세기공(2a)을 메우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단판(1)에 열을 가하면 반응지연제(5)에 의해 상온에서의 경화반응이 억제되어 있던 가열경화제(4)의 작용으로 열경화성수지(3)는 단판(2)의 미세기공(2a)에서 경화된다. 이때 열경화성수지(3)는 미세기공(2a)으로 구성되는 기공조직 사이의 연결을 끊는다.
따라서, 본 집성판재는 그 단판(2)의 미세기공(2a)이 경화된 열경화성수지(3)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의 자유로운 출입이 차단되고, 열경화성수지(3)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침투시키지 않은 종래기술의 집성판재에 비해 물리적성질이 향상된다.(소나무의 경우 2.5 ~ 3배의 강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성판재 보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6을 참조하여 일례로 수종을 소나무로 한 본 발명의 집성판재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하자. 본 발명의 집성판재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10단계로 대별 구성된다.
1. 자제 입고단계(도 5의 (a), 도 6의 S10)
원목 제제소에서는 함수율 60~70%의 소나무 원목을 준비하고, 원목의 중심 심재 부분을 제외한 변제 부분을 다수개의 직사각 형태로 제재한다.
여기서, 상기 원목의 선택은 가격이 저렴하고 비중이 낮으며 가공성이 우수하여 파레트, 건설재 등으로 사용되는 뉴질랜드산 소나무(학명: Radiuta Pine)가 채택된다.
또한, 상기 원목의 제재된 원목은 대략 90㎜×250㎜ 정도의 규격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제재된 원목은 곰팡이, 부패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 열건조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열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은 5%~8%를 유지하도록 건조함이 바람직 하며, 이는 후술될 수지함침시 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작업수행된 목재는 본 발명에 의한 집성판재를 제작하기 위한 원자재가 되며, 이는 원목 제재소에서 이미 가공처리되어 집성판재를 제작하기 위한 공장으로 입고된다.
2. 갱립(Gang Rip)단계(도 5의 (b), 도 6의 S20)
상기와 같이 원목 제재소에서 원자재가 입고되면, 이 원자재를 집성판재를 제작하기 위한 부재로 형성하기 위해 두께 3㎜, 폭 250㎜, 길이 3000㎜ 내외로 절삭하여 플레이트의 형태의 단판(2)을 형성하는 갱립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은 칼날을 이용한 로타리 슬라이스컷, 단판 슬라이스컷 등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세포조직의 형상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상 띠톱이라 호칭되는 밴드 소우(band saw)를 이용하여 작업수행하게 된다.
3. 함침단계(도 5의 (c), 도 6의 S30)
상기와 같이 된 단판(2)은 부패, 변형, 변색 등의 수분에 관련한 여러 취약성을 보완하고, 내열성, 내약품성, 강도 등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경화성수지를 침투시키고 가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지 침투단계는 액상의 열경화성수지(3)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열경화성수지의 중량%에 대해 2중량%의 가열경화제인 과산화벤조일, 정량의 반응지연제인 히드로퀴논이 혼합되어 있다)가 담기는 상부탱크(41)와, 이 상부탱크(41)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하부탱크(42)와, 이 하부탱크(42)로 상부탱크(41) 내의 열경화성수지(3)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3)과, 이 공급관(43)에 설치되는 밸브(44)와, 하부탱크(42)로 공급된 열경화성수지(3)를 상부탱크(41)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45)과, 이 회수관(45)에 설치되는 펌프(46)를 포함해 구성되는 함침기에 의해 행해진다.
3-1. 침지단계(도 6의 S31) : 하부탱크(4)에 단판(2)를 투입하고 하부탱크(42)를 약 76bar의 진공상태로 약 60분간 유지하여 건조 중 불가피하게 단판(2)에 묻게 되는 각종 불순물을 제거한다. 다음 진공상태를 해제하고 밸브(44)를 조작하여 상부탱크(41) 내의 열경화성수지(3)를 단판(2)이 완전히 잠기도록 공급관(43)을 통해 하부탱크(42)로 공급, 열경화성수지(3)에 집성판(2)을 침지시킨다.
그 다음, 하부탱크(42)를 약 76bar의 진공상태로 하여 열경화성수지(3)의 에어를 제거하고 이 진공상태를 약 60분간 유지한다. 그러면 열경화성수지(3)는 자연히 그 침투작용으로 단판(2)에 스며들어 그 미세기공(2a)에 충전된다.
3-2. 가압단계(도 6의 S32) : 침지단계는 단판(2)에 열경화성수지(3)를 자연 침투시키는 것이라면, 가압단계는 침지단계 후 열경화성수지(3)를 강제 침투시켜 침투정도를 보다 조밀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이다.
즉, 이 단계는 침투되어 충진된 열경화성수지(3)의 밀도를 높여 보다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한 것이며, 이 단계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판에 의해 양쪽에서 단판(2)를 약 10Kg/cm2의 압력으로 약 120분간 가압하여 수행된다.
물론, 이 압력으로 열경화성수지(3)는 강제적으로 단판(2)에 고루 분포되며, 그 다음 펌프(46)를 작동시켜 회수관(45)을 통해 하부탱크(42) 내의 열경화성수지(3)를 상부탱크(41)로 전량 회수한 후 하부탱크(42)로부터 단판(2)을 꺼낸다.
한편 도 5의 (c)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47은 활발한 산소와의 접촉 시 효과적으로 열경화성수지(3)의 반응을 지연시키는 반응지연제(5)를 위해 하부탱크(42)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이다.
4. 숙성경화단계(도 5의 (d), 도 6의 S40)
수지 침투단계에서 단판(2)의 미세기공(2a)에 충전된 열경화성수지(3)를 가열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단판(2)과 일체화시키는 단계이다.
수지 침투단계를 마친 단판(2)을 그 즉시 가열실(51)로 투입하여 가열시스템에 의해 약 120℃의 온도로 약 240분간 열을 가한다. 그러면 반응지연제(5)에 의해 상온에서의 반응이 억제되어 있던 가열경화제(4)의 작용으로 열경화성수지(3)는 경화된다.
5. 단판 냉각단계(도 5의 (e), 도 6의 S50)
가열을 마친 단판(2)을 그 즉시 가열실(51)과 연이어 있는 냉각실(61)로 이동시켜 냉각시스템에 의해 약 5℃ 이하의 온도(상온으로 일컬어지는)로 충분히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집성판본체(1)의 양측에는 냉각판(62)이 각각 내측으로 가압력을 공급하며 구비되어 냉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집성판본체(1)의 각종 변형(뒤틀림)을 방지한다.
6. 집성판본체의 수지토출물 제거단계(도 5의 (f), 도 6의 S60)
도 5의 (e)와 같이 단판(2)의 미세기공(2a)에서 일부 흘러나온 상태로 가열되어 경화된 수지토출물을 제거하여 단판(2)의 표면을 단정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샌딩머신(70)에 의해 작업을 수행하거나, 날카로운 도구에 의한 수작업 방식 등 표면을 단정하게 마감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와 같이 수지가 충진된 단판(2)을 집성하기 위해서는 양측 변부의 직선도유지가 대단히 중요한 관건이기 때문에, 수지토출물이 제거된 단판(2)은 그라인더 등에 의해 양측면이 정재단 된다.
7. 고주파 집성단계(도 5의 (g), 도 6의 S70)
상기와 같이 정재단된 단판(2)은 목적하는 폭의 집성판으로 형성되기 위해 양측의 변부를 맞대어 부착시키는 고주파 집성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완성된 집성판본체(1)는 목적하는 600㎜ 이상의 폭으로 형성하기 위해 다수장(도면에서는 3장)의 단판(2)을 집성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집성단계를 통해 집성된 집성판 본체(1)는 집성된 각 단판(2)간의 결합력 및 집성판 본체(1)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로 부직포(8)가 일측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포함하게 된다.(도 6의 S80)
8. 자외선(UV) 하도(도 5의 (h), 도 6의 S90)
이와 같이 완성된 집성판 본체(1)에, 후술될 코팅단계에서 평활한 상도도막을 얻기 위해 부직포(8)가 결합된 이면에 자외선램프(80)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 자외선 하도단계까지 완료되면 일단의 집성판재가 완성되고, 완성된 집성판재는 제품으로 출하되어 집성판재를 목적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9. 집성판 본체 합지단계(도 5의 (i), 도 6의 S100)
일반 합판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패널(6)의 상면에 집성판 본체(1)가 적층되도록 접착, 합지하여 집성판재를 이루는 단계이며, 이 때, 베이스패널(6)과 집성판 본체(1)의 사이에 상기된 부직포(8)가 위치되도록 하여 보다 높은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패널(6)은 일반 합판 외에도 통상의 중밀도섬유판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합판은 3, 4의 과정에서 설명된 함침 및 숙성경화과정이 수행된 강화합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방식은 열접착이 상온에서 프레스압의 힘으로만 접착하는 냉압접착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로는 초산비닐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여기서 냉압접착은 접착 후 피착물의 뒤틀림이나 휨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고, 초산비닐계 접착제는 내열성·내수성 등이 우수한 한편 타 접착제에 비해 포르말린(Formalin)(극약으로 지정되어 있는 수용액이다)의 방출이 미미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합지단계는 집성판재의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으로, 보다 높은 강도의 집성판재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이 된다.
10. 코팅 단계(도 5의 (j), 도 6의 S110)
완성된 집성판재에 도료를 코팅하여 도료층(7)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베이스패널(6)의 하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면 수분에 의해 부패·변형 등이 생기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이며, 전체 외면에 도료를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내스크래치성·내오염성·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도료이며, 이후 필요에 따라 본 집성판재를 도장하고 포장하면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미세기공으로 구성되는 기공조직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미세기공을 통한 집성판 본체 내 수분출입이 차단되어 수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패·변형·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방수작용으로 본 발명의 집성판재를 주방이나 욕실 등의 다습한 장소에서도 구애 없이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경화성수지를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로 함으로써 이 불포화폴리에스테르가 갖는 특성으로 내열성·내약품성·강도 등 화학적, 물리적 성질이 향상되어 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위에서와 같은 이점으로 인해 고급가구나 바닥재, 내장재 등의 용도로 사용이 곤란한 소나무와 같은 저급수종을 고부가가치의 고급목재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성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성판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성판재의 단판에 침투되어 있는 열경화성수지의 분자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성판재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성판재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집성판 본체
2 : 단판 2a : 미세기공
3 : 열경화성수지(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4 : 가열경화제(과산화벤조일)
5 : 반응지연제(히드로퀴논)
6 : 베이스패널
7 : 도료층
8: 부직포

Claims (8)

  1. 단판(2)의 미세기공(2a)에 열경화성수지(3)가 충진되어 숙성경화되고, 다수개의 단판(2)이 상호간의 변부가 결합되도록 집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된 단판(2)의 일측면에는 높은 집성력을 제공하고 단판(2) 자체의 강도를 높이도록 한 보강재로 부직포(8)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집성된 단판(2)의 일측면에는 단판(2)이 집성된 판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위한 베이스패널(6)이 상호 면접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6)은
    일반 합판의 미세기공에 열경화성수지가 충진되고 가열경화된 강화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5. 원목이 제재되어 공급되면, 공급된 원목을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직사각 형태의 단판(2)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단판(2)을 열경화성수지(3)가 공급되는 함침기 내에 투입하여 열경화성수지(3)가 단판(2)의 미세기공(2a)으로 충진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충진된 열경화성수지(3)가 가열실에서 가열숙성되어 단판(2)과 일체화되도록 하고 연이어 냉각실에서 상온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단판(2)의 양측변부를 정재단하고 재단된 변부를 각각 집성하여 다수장의 단판(2)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제조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수지(3)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수지(3)를 충진하는 단계는,
    단판(2)을 함침기 내부에 투입하고, 투입된 공간에 액상의 열경화성수지(3)를 공급하여 열경화성수지(3)가 단판(2)의 미세기공(2a)으로 침투하여 충진되는 단계와;
    상기 열경화성수지(3)가 충진된 단판(2)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침투된 열경화성수지(3)의 밀도를 높이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단판(2)이 집성되면, 그 외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외면에 도료를 코팅할 때 보다 높은 평활도의 도막을 얻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판재 제조방법.
KR1020040003632A 2004-01-19 2004-01-19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5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32A KR20050075920A (ko) 2004-01-19 2004-01-19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32A KR20050075920A (ko) 2004-01-19 2004-01-19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385U Division KR200348506Y1 (ko) 2004-01-19 2004-01-19 집성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20A true KR20050075920A (ko) 2005-07-26

Family

ID=3726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32A KR20050075920A (ko) 2004-01-19 2004-01-19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92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80B1 (ko) * 2005-11-10 2007-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의 블로어 모터 작동용 레지스터어셈블리
KR100927170B1 (ko) * 2009-06-18 2009-11-18 이청재 압축판재와 그의 제조방법
KR100985034B1 (ko) * 2010-02-02 2010-10-05 이청재 목재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압축판재의 제조방법
KR101338029B1 (ko) * 2011-11-17 2013-12-06 문중묵 목재를 이용한 외부용 바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4980A (ko) 2014-12-19 2016-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KR20220105097A (ko) 2021-01-19 2022-07-26 남정호 원목을 이용한 집성 판재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80B1 (ko) * 2005-11-10 2007-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의 블로어 모터 작동용 레지스터어셈블리
KR100927170B1 (ko) * 2009-06-18 2009-11-18 이청재 압축판재와 그의 제조방법
KR100985034B1 (ko) * 2010-02-02 2010-10-05 이청재 목재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압축판재의 제조방법
KR101338029B1 (ko) * 2011-11-17 2013-12-06 문중묵 목재를 이용한 외부용 바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4980A (ko) 2014-12-19 2016-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KR20220105097A (ko) 2021-01-19 2022-07-26 남정호 원목을 이용한 집성 판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4271C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wood board
CN101791811B (zh) 组合木方的制造工艺
KR101738348B1 (ko)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CN1039756A (zh) 泡沫复合材料及其成型方法
CA2945045C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EP312922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WO1995002492A1 (fr) Bois de construction stratifie, proced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KR20050075920A (ko)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48506Y1 (ko) 집성판재
KR100979171B1 (ko) 대나무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JPH0716964A (ja) 積層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996110B2 (ja) 化粧板とその製造方法
JP2020033780A (ja) 床材
JP6494419B2 (ja) 木材薬液処理方法
KR102221539B1 (ko) 고단열 내화구조 하이브리드 목질코어 집성재 및 그 제조방법
JP3781605B2 (ja) 樹脂強化化粧板の製造方法
JP2002178311A (ja) 樹脂強化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7257642B2 (ja) 床材
JP2020019148A (ja) 木質建材の製造方法
JP5858443B2 (ja) 板および板要素を処理する方法
JP2000127109A (ja) 木片加工品の製造方法
JP5107845B2 (ja) 木質材料の表面硬化方法
JP2550673Y2 (ja) 積層板
JP2742811B2 (ja) プラスチック複合単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台板の製法
JP2020179613A (ja) 木質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