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980A -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 Google Patents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980A
KR20160074980A KR1020140184306A KR20140184306A KR20160074980A KR 20160074980 A KR20160074980 A KR 20160074980A KR 1020140184306 A KR1020140184306 A KR 1020140184306A KR 20140184306 A KR20140184306 A KR 20140184306A KR 20160074980 A KR20160074980 A KR 20160074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llecting
steel plate
plates
thi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348B1 (ko
Inventor
박금성
배규웅
이상섭
곽명근
김형도
홍성엽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3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27D1/08Manufacture of shaped articles; Press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2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laterally
    • B27M3/005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laterally using g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교차집성판의 각 층의 집성판 사이에 박형 강판이 적층되어 인장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교차집성판의 내력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차집성판과 박형 강판의 하이브리드 형태로 기존 공학용 목재 단면보다 높은 내력과 연성능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고층의 목구조 건축물 부재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박형강판의 형상과 배치 형태를 X자형, 사각평면, 가로띠 또는 세로띠로 다양화함으로써 교차집성판과 박형 강판의 부착강도 및 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목재의 장점인 미관성과 내화성을 확보하여 마감재 역할을 할 수 있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REINFORCING CROSS LAMINATED TIMBER FOR LAMINATING THIN STEEL PLATE}
본 발명은 교차집성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교차 배치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의 내력 및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 사이에 박형 강판(Thin Steel Plate)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보강 교차집성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재는 원목을 가공하여 필요한 목재를 만들 때 두께가 8㎝보다 작고, 너비가 두께보다 세 배 이상인 판 형태의 목재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이러한 판재는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며, 원목이 가지는 단점을 없애고 크고 넓은 판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가공하여 만든 집성판, 합판, MDF, 파티클 보드 등이 있다.
특히, 한정되어 있는 자연의 자원들을 낭비 없이 활용하기 위해 폭이 좁거나 길이가 짧은 나무들을 이어붙이는 집성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판재를 집성판(또는 집성판재)이라고 한다. 이러한 집성판은 접합 방식에 따라 솔리드(Solid), 핑거조인트(Finger Joint)로 구분되고, 상기 핑거 조인트는 접합면이 위에서 보이게 하는 탑 핑거 조인트, 및 접합면이 보이지 않게 하는 사이드 핑거 조인트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가구나 소품들은 각각의 용도도 중요하지만, 작은 소품이나 외관이 중요하지 않은 가구에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핑거 조인트 방식의 집성판이 사용되며, 외관이 중요하거나 부피가 큰 가구나 소품들을 제작할 경우, 솔리드 방식의 집성판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은 제조과정 중에 함수율이 낮도록 건조를 잘 하였다 하더라도, 습한 장소에 보관할 경우, 주위의 수분을 흡수하여 쉽게 팽창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건조한 장소에 보관할 경우, 쉽게 수축하게 되어 반복되는 수축ㅇ팽창작용으로 나뭇결을 따라 갈라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은 습하고 통풍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에 보관할 경우, 흡수되는 수분에 의해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부패되고 검게 변색되어 외관이 아름답다는 장점이 퇴색될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를 동반하기도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은 다공질구조, 예를 들면, 목재 내의 조직과 외계 사이의 가스교환을 담당하는 기공조직을 구성하고 서로 연계되는 미세기공이 무수히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세기공을 통한 수분의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집성판의 표면에 도료를 칠하여 목재 내로 수분이 쉽사리 침투하지 못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것은 도료가 목재 내부로 깊숙이 스며들지 못하고, 표면에만 얇게 도포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충분한 방수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은 그 물리적 성질에 있어서,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좋지 못하고, 비중에 비해 강도가 크기는 하나 그 이상의 강도를 원할 경우, 이를 충족시켜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은, 그 수종이 저급 수종으로 취급되는 소나무 등인 경우, 가격이 저렴하여 수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높은 다공질구조로 무르기 때문에 쉽사리 변형되고, 다량의 진액, 예를 들면, 송진이 분비되어 표면이 얼룩지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에 고급가구ㅇ바닥재ㅇ내장재 등의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통상적인 건축용 구조재에 한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 제조 방법은, 도 1의 a)에 도시된 자재입고 단계, 도 1의 b)에 도시된 갱립(Gang Rip) 단계, 도 1의 c)에 도시된 함침 단계, 도 1의 d)에 도시된 숙성경화 단계, 도 1의 e)에 도시된 단위 집성목 냉각 단계, 도 1의 f)에 도시된 집성판 본체의 수지토출물 제거 단계, 도 1의 g)에 도시된 고주파 집성 단계, 도 1의 h)에 도시된 자외선(UV) 하도 단계, 도 1의 i)에 도시된 집성판 본체 합지 단계, 및 도 1의 j)에 도시된 코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를 참조하면, 자재입고 단계의 경우, 원목 재제소에서 함수율 60~70%의 소나무 원목을 준비하고, 원목의 중심 심재 부분을 제외한 변제 부분을 다수개의 직사각 형태로 재제한다. 여기서, 상기 원목은 가격이 저렴하고 비중이 낮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것이 선택된다. 또한, 상기 원목의 재제된 원목은 대략 90㎜ x 250㎜ 정도의 규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원목은 곰팡이, 부패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 열건조가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열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은 5%~8%를 유지하도록 건조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원목은 집성판을 제작하기 위한 공장으로 입고된다.
다음으로, 도 1의 b)를 참조하면, 갱립(Gang Rip) 단계의 경우, 원목 재제소에서 원자재인 원목이 입고되면, 이러한 원자재를 집성판을 제작하기 위한 단위 집성목으로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두께 3㎜, 폭 250㎜, 길이 3000㎜ 내외로 절삭하여 플레이트의 형태의 단위 집성목(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의 c)를 참조하면, 함침 단계의 경우 침지 및 가압 단계로 구분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위 집성목(2)은 부패, 변형, 변색 등의 수분에 관련한 여러 취약성을 보완하고, 내열성, 내약품성, 강도 등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경화성수지(3)를 침투시키고 가압한다. 이러한 함침 단계의 경우, 액상의 열경화성수지(3)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열경화성수지의 중량%에 대해 2중량%의 가열경화제인 과산화벤조일, 정량의 반응지연제인 히드로퀴논이 혼합되어 있다)가 담기는 상부탱크(41); 이 상부탱크(41)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하부탱크(42); 이 하부탱크(42)로 상부탱크(41) 내의 열경화성수지(3)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3); 이 공급관(43)에 설치되는 밸브(44); 하부탱크(42)로 공급된 열경화성수지(3)를 상부탱크(41)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45); 및 이 회수관(45)에 설치되는 펌프(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함침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d)에 도시된 숙성경화 단계로서, 먼저, 단위 집성목(2)의 미세기공에 충전된 열경화성수지(3)를 가열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단위 집성목(2)과 일체화시키는 수지 침투 단계가 수행되고, 이후, 단위 집성목(2)을 가열실(51)로 투입하여 가열시스템에 의해 약 120℃의 온도로 약 240분간 가열하며, 가열경화제의 작용으로 열경화성수지(3)가 경화된다.
다음으로, 도 1의 e)에 도시된 단위 집성목 냉각 단계는, 가열을 마친 단위 집성목(2)을 그 즉시 가열실(51)과 연이어 있는 냉각실(61)로 이동시켜 냉각시스템에 의해 약 5℃ 이하의 상온으로 충분히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도 1의 f)에 도시된 집성판 본체의 수지토출물 제거 단계는, 단위 집성목(2)의 미세기공에서 일부 흘러나온 상태로 가열되어 경화된 수지토출물을 제거하여 단위 집성목(2)의 표면을 단정하게 하는 단계이다. 이것은 샌딩머신(70)에 의해 작업을 수행하거나, 날카로운 도구에 의한 수작업 방식 등 표면을 단정하게 마감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수지가 충진된 단위 집성목(2)을 집성하기 위해서는 양측 변부의 직선도유지가 대단히 중요한 관건이기 때문에, 수지토출물이 제거된 단위 집성목(2)은 그라인더 등에 의해 양 측면이 정재단된다.
다음으로, 도 1의 g)에 도시된 고주파 집성 단계는, 정재단된 단위 집성목(2)을 목적하는 폭의 집성판으로 형성하기 위해 양측의 변부를 맞대어 부착시키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600㎜ 이상의 폭으로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단위 집성목(2)을 집성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집성 단계를 통해 집성된 집성판 본체(1)는 집성된 각 단위 집성목(2)간의 결합력 및 집성판 본체(1)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인 부직포(8)가 일 측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의 h)에 도시된 자외선(UV) 하도 단계는, 완성된 집성판 본체(1)에, 후술될 코팅단계에서 평활한 상도도막을 얻기 위해 부직포(8)가 결합된 이면에 자외선램프(80)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자외선 하도단계까지 완료되면, 일단의 집성판이 완성되고, 완성된 집성판은 제품으로 출하되어 집성판을 목적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i)에 도시된 집성판 본체 합지 단계는, 일반 합판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패널(6)의 상면에 집성판 본체(1)가 적층되도록 접착, 합지하여 집성판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이때, 베이스패널(6)과 집성판 본체(1) 사이에 부직포(8)가 위치되도록 하여 보다 높은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패널(6)은 일반적인 합판 이외에도 통상의 중밀도섬유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합판은 전술한 함침 및 숙성경화과정이 수행된 강화합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접착방식은 열접착이 상온에서 프레스 압력으로만 접착하는 냉압접착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로는 초산비닐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냉압접착은 접착 후 피착물의 뒤틀림이나 휨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고, 초산비닐계 접착제는 내열성ㅇ내수성 등이 우수한 한편 타 접착제에 비해 포르말린(Formalin)(극약으로 지정되어 있는 수용액이다)의 방출이 미미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합지 단계는 집성판의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보다 높은 강도의 집성판을 제작하기 위한 과정이다.
다음으로, 도 1의 j)에 도시된 코팅 단계는, 완성된 집성판에 도료를 코팅하여 도료층(7)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베이스패널(6)의 하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면 수분에 의해 부패 또는 변형 등이 발생기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전체 외면에 도료를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내스크래치성ㅇ내오염성ㅇ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도료이며, 이후 필요에 따라 집성판을 도장하고 포장하면 집성판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철골조 모듈러 유닛 주택은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며, 많은 고객에게 고품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주택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완성도가 높은 박스형 철골조를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최소한의 공정으로 단기간에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철골조 모듈러유닛 주택은 공장생산부재를 사용하므로 손실(Loss)이 적고, 또한, 재사용 및 재생사용에 가장 적합한 주택생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이러한 철골조 모듈러 유닛 주택은 주로 단층 또는 2층의 높이로 건설되고 있으며, 가장 높이 건축할 수 있는 높이는 4층 규모 이내로 설계된다.
또한, 이러한 철골조 모듈러 유닛 주택의 시공시 사용되는 전술한 집성판(또는 집성판재)의 경우, 각 목재의 레이어(Layer)가 단일 방향으로 구성되어 목재의 탄성계수나 응력변화가 크기 때문에 동일한 강성 및 높은 강도를 확보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각 층마다 방향을 달리하여 목재를 적층하여 접착하는 2방향 면재인 교차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을 사용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차집성판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각 층마다 방향을 달리하여 목재를 적층하여 접착하는 2방향 면재인 교차집성판(CLT: 10)의 경우, 전술한 철골조 모듈러 유닛 주택의 바닥판의 휨강도 및 벽체의 횡력저항 시에 연성 능력을 확보하기에는 상당히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348506호(출원일: 2004년 1월 19일), 고안의 명칭: "집성판재"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5-75920호(공개일: 2005년 7월 26일), 발명의 명칭: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3-9923호(공개일: 2003년 2월 5일), 발명의 명칭: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11-148200호(공개일: 2011년 8월 4일), 발명의 명칭: "목재 집성판"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1999-138511호(공개일: 1999년 5월 25일), 발명의 명칭: "집성판"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1999-156813호(공개일: 1999년 6월 15일), 발명의 명칭: "함금속 처리제에 의한 목재의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처리된 목재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334715호(출원일: 2003년 9월 9일), 발명의 명칭: "겹층 집성판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교차 배치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에 있어서,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 사이에 박형 강판(Thin Steel Plate)을 삽입하여 적층함으로써 교차보강판의 내력 및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박형강판의 형상과 배치 형태를 X자형, 사각평면, 가로띠 또는 세로띠로 다양화함으로써 교차집성판과 박형 강판의 부착강도 및 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목재의 장점인 미관성과 내화성을 확보하여 마감재 역할을 할 수 있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LT)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 X자형으로 형성된 강판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 사이에 배치되는 X자형 박형 강판; 및 상기 X자형 박형 강판이 상기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되, 상기 X자형 박형 강판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 상에 펀칭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 상기 X자형 박형 강판 및 상기 제2 집성판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X자형 박형 강판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가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여 상기 제1 집성판 및 상기 제2 집성판을 일체로 합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X자형 박형 강판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평면 강판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 사이에 배치되는 사각평면 박형 강판; 및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이 상기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되,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 상에 펀칭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 및 상기 제2 집성판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 가로띠(Horizontal Strip) 강판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로띠 박형 강판; 및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이 상기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 상에 펀칭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 및 상기 제2 집성판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 세로띠(Vertical Strip) 강판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의 제1 단위 집성목 사이에 배치되는 세로띠 박형 강판; 및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이 삽입된 제1 집성판 및 상기 제2 집성판이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은 상기 제1 집성판의 제1 단위 집성목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집성판의 제1 단위 집성목에 펀칭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의 두께는 상기 제1 집성판의 제1 단위 집성목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집성판의 각 층의 집성판 사이에 박형 강판이 적층되어 인장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교차집성판의 내력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차집성판과 박형 강판의 하이브리드 형태로 기존 공학용 목재 단면보다 높은 내력과 연성능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고층의 목구조 건축물 부재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강판의 형상과 배치 형태를 X자형, 사각평면, 가로띠 또는 세로띠로 다양화함으로써 교차집성판과 박형 강판의 부착강도 및 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의 장점인 미관성과 내화성을 확보하여 마감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내의 목조 건축의 수요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구조용 복합부재로서 체육관 및 상업빌딩 등 대규모 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성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차집성판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에서 X자형 박형 강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각평면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각평면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에서 가로띠 박형 강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세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세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은 다양한 단면 형태의 박형 강판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X자형 박형 강판(100), 사각평면 박형 강판(200), 가로띠 박형 강판(300) 및 세로띠 박형 강판(4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제1 내지 제 4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X자형 박형 강판(130)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100)]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에서 X자형 박형 강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10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으로서, 제1 집성판(110), 제2 집성판(120, X자형 박형 강판(130) 및 접착제(140)를 포함한다.
제1 집성판(110)은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1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집성판(120)은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1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1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상기 제2 집성판(120)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X자형 박형 강판(130)은 X자형으로 형성된 강판(Steel Plate)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제2 집성판(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 상에 펀칭(Punching)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130a)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홀(h)이 형성된 형태(130b)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140)가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여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상기 제2 집성판(120)을 일체로 합성시킬 수 있다.
접착제(140)는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이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제2 집성판(120)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110),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 및 상기 제2 집성판(120)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200)]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각평면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각평면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각평면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20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LT)으로서, 제1 집성판(210), 제2 집성판(220) 및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성판(210)은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2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집성판(220)은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2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2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평면 강판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집성판(210) 및 제2 집성판(2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 상에 펀칭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이 상기 제1 집성판(210) 및 제2 집성판(220)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210),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 및 상기 제2 집성판(220)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200)을 형성할 수 있다.
[가로띠 박형 강판(330)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300)]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에서 가로띠 박형 강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30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LT)으로서, 제1 집성판(310), 제2 집성판(320), 가로띠 박형 강판(330) 및 접착제(340)를 포함한다.
제1 집성판(310)은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3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집성판(320)은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3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3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로띠 박형 강판(330)은 가로띠(Horizontal Strip) 강판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제2 집성판(120)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 상에 펀칭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띠 박형 강판(330a)이거나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띠 박형 강판(330b)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340)는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이 상기 제1 집성판(310) 및 제2 집성판(320)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310),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 및 상기 제2 집성판(320)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300)을 형성할 수 있다.
[세로띠 박형 강판(430)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400)]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세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분해조립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세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세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40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LT)으로서, 제1 집성판(410), 제2 집성판(420) 및 세로띠 박형 강판(430)을 포함한다.
제1 집성판(410)은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4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집성판(420)은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4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4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세로띠 박형 강판(430)은 세로띠(Vertical Strip) 강판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430)은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에 펀칭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430)의 두께는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430)이 삽입된 제1 집성판(410) 및 상기 제2 집성판(420)이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410, 4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4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교차집성판은 각 층의 집성판마다 펀칭된 박형 강판으로 보강한 형태의 공학용 복합부재로서, 대표적인 공학용 목재인 교차집성판과 다양한 형상의 절곡형 박형 강판을 결합하여 복합화함으로써 합성력과 연성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은, X자형 박형 강판(130),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 가로띠 박형 강판(330) 또는 세로띠 박형 강판(430)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집성판의 각 층의 집성판 사이에 박형 강판이 적층되어 인장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교차집성판의 내력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차집성판과 박형 강판의 하이브리드 형태로 기존 공학용 목재 단면보다 높은 내력과 연성능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고층의 목구조 건축물 부재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박형강판의 형상과 배치 형태를 X자형, 사각평면, 가로띠 또는 세로띠로 다양화함으로써 교차집성판과 박형 강판의 부착강도 및 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목재의 장점인 미관성과 내화성을 확보하여 마감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내의 목조 건축의 수요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구조용 복합부재로서 체육관 및 상업빌딩 등 대규모 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X자형 박형 강판을 적층한 교차집성판
110: 제1 집성판
120: 제2 집성판
130, 130a, 130b: X자형 박형 강판
140: 접착제
111: 제1 단위 집성목
121: 제2 단위 집성목
200: 사각평면 박형 강판을 적층한 교차집성판
210: 제1 집성판
220: 제2 집성판
230: 사각평면 박형 강판
211: 제1 단위 집성목
221: 제2 단위 집성목
300: 가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교차집성판
310: 제1 집성판
320: 제2 집성판
330: 가로띠 박형 강판
340: 접착제
311: 제1 단위 집성목
321: 제2 단위 집성목
400: 세로띠 박형 강판을 적층한 교차집성판
410: 제1 집성판
420: 제2 집성판
430: 세로띠 박형 강판
411: 제1 단위 집성목
421: 제2 단위 집성목

Claims (14)

  1.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1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110);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1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1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120);
    X자형으로 형성된 강판(Steel Plate)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제2 집성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X자형 박형 강판(130); 및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이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제2 집성판(120)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140)
    를 포함하되,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 상에 펀칭(Punching)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110),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 및 상기 제2 집성판(120)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1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140)가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여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상기 제2 집성판(120)을 일체로 합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박형 강판(130)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5.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LT)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2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210);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2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2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220);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평면 강판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집성판(210) 및 제2 집성판(220) 사이에 배치되는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 및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이 상기 제1 집성판(210) 및 제2 집성판(220)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
    를 포함하되,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110, 120) 상에 펀칭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210),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 및 상기 제2 집성판(220)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2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평면 박형 강판(230)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210, 220)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8.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LT)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3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310);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3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3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320);
    가로띠(Horizontal Strip) 강판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110) 및 제2 집성판(120)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로띠 박형 강판(330); 및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이 상기 제1 집성판(310) 및 제2 집성판(320)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340)
    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은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 상에 펀칭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성판(310),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 및 상기 제2 집성판(320)이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3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띠 박형 강판(330)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310, 320)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12.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1 집성판 및 제2 집성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교차집성판(CLT)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단위 집성목(411)을 이어 붙여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성판(410);
    다수의 제2 단위 집성목(421)을 이어 붙여 상기 제1 집성판(4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집성판(420);
    세로띠(Vertical Strip) 강판으로서,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 사이에 배치되는 세로띠 박형 강판(430); 및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430)이 삽입된 제1 집성판(410) 및 상기 제2 집성판(420)이 일체로 합성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
    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430)은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곡 성형되고, 박판 펀칭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에 펀칭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성판(410, 420)은 교번하여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교차집성판(4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띠 박형 강판(430)의 두께는 상기 제1 집성판(410)의 제1 단위 집성목(411) 두께의 1/10 내지 1/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KR1020140184306A 2014-12-19 2014-12-19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KR10173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06A KR101738348B1 (ko) 2014-12-19 2014-12-19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06A KR101738348B1 (ko) 2014-12-19 2014-12-19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980A true KR20160074980A (ko) 2016-06-29
KR101738348B1 KR101738348B1 (ko) 2017-06-08

Family

ID=5636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306A KR101738348B1 (ko) 2014-12-19 2014-12-19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34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3117A (zh) * 2017-07-05 2019-01-15 镇江市阳光西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人造板板芯及其制造方法
CN109794994A (zh) * 2019-03-18 2019-05-24 西南林业大学 一种clt板及连接装置
CN111219032A (zh) * 2018-11-23 2020-06-02 镇江市阳光西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人造结构木地板
EP3650182A4 (en) * 2017-07-05 2021-03-17 Zhenjiang Sunsier Dendro Technology Co., Ltd. PANEL CORE OF AN ARTIFICIAL PANE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20220107547A (ko) * 2021-01-25 2022-08-02 이무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FR3121064A1 (fr) * 2021-03-25 2022-09-30 Juan Wood Building Materials Co.,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ssemblage de planches de bois
CN109794994B (zh) * 2019-03-18 2024-06-04 西南林业大学 一种clt板及连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4264B2 (en) * 2017-07-07 2021-05-25 Jiangsu Global CLT Co., Ltd. Cross-laminated timber processing equipm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8511A (ja) 1997-11-12 1999-05-25 Nippa:Kk 集成板
JPH11156813A (ja) 1997-11-26 1999-06-15 Showa Denko Kk 含金属処理剤による木材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処理された木材
KR20030009923A (ko) 2001-07-24 2003-02-05 산림조합중앙회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제조방법
KR200334715Y1 (ko) 2003-09-09 2003-11-28 박용주 겹층 집성판재
KR200348506Y1 (ko) 2004-01-19 2004-04-28 김서권 집성판재
KR20050075920A (ko) 2004-01-19 2005-07-26 김서권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1148200A (ja) 2010-01-22 2011-08-04 Naiki Mokkosho:Kk 木材集成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009A (ja) * 1998-11-09 2000-05-26 Reijiro Kiyofuji 鋼板被覆木質構造材
JP2001193220A (ja) * 2000-01-07 2001-07-17 Kimio Saito 建築用合成材
JP3969380B2 (ja) * 2003-10-30 2007-09-05 株式会社イトーキ 木材集成天板
JP2007284942A (ja) * 2006-04-14 2007-11-01 Shimizu Corp 木製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8511A (ja) 1997-11-12 1999-05-25 Nippa:Kk 集成板
JPH11156813A (ja) 1997-11-26 1999-06-15 Showa Denko Kk 含金属処理剤による木材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処理された木材
KR20030009923A (ko) 2001-07-24 2003-02-05 산림조합중앙회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제조방법
KR200334715Y1 (ko) 2003-09-09 2003-11-28 박용주 겹층 집성판재
KR200348506Y1 (ko) 2004-01-19 2004-04-28 김서권 집성판재
KR20050075920A (ko) 2004-01-19 2005-07-26 김서권 집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1148200A (ja) 2010-01-22 2011-08-04 Naiki Mokkosho:Kk 木材集成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3117A (zh) * 2017-07-05 2019-01-15 镇江市阳光西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人造板板芯及其制造方法
EP3650182A4 (en) * 2017-07-05 2021-03-17 Zhenjiang Sunsier Dendro Technology Co., Ltd. PANEL CORE OF AN ARTIFICIAL PANE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111219032A (zh) * 2018-11-23 2020-06-02 镇江市阳光西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人造结构木地板
CN109794994A (zh) * 2019-03-18 2019-05-24 西南林业大学 一种clt板及连接装置
CN109794994B (zh) * 2019-03-18 2024-06-04 西南林业大学 一种clt板及连接装置
KR20220107547A (ko) * 2021-01-25 2022-08-02 이무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FR3121064A1 (fr) * 2021-03-25 2022-09-30 Juan Wood Building Materials Co.,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ssemblage de planches de bo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348B1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348B1 (ko)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FI78867C (fi) Dimensionellt stabil, laminerad traeskiva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JP6262175B2 (ja) ハイブリッド木質コア集成材の製造方法
JP6113851B2 (ja) 軽量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軽量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H06280376A (ja) 建築用板
JP2017105158A (ja) 化粧パネル及びパネル製造方法
JP2000355007A (ja) 木質繊維板の積層加工方法
JPH11114911A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6964A (ja) 積層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45387A1 (en) Reinforced foam panel
CN101970773A (zh) 用于构造组件的复合建筑构件及其制造方法
JP6494419B2 (ja) 木材薬液処理方法
KR100545364B1 (ko) 원목 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원목판넬
JP2002018807A (ja) 積層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1773A (ja) 竹繊維集成材とそれを用いた複合集成材
JPH10138404A (ja) 複合板
JPS59229341A (ja) 建築用パネルの製造法
JP3145072B2 (ja) 建築用板
CN201989207U (zh) 竹木复合载货汽车车厢栏板
JP7387133B2 (ja) 積層材及び積層材の製造方法
KR101200500B1 (ko) 조선산업용 폐합판의 재활용 방법
CN106003274A (zh) 一种轻型建筑用竹质复合结构材
WO2001085409A1 (en) Corrugated wood product,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wooden structure
JP2535177Y2 (ja) 建築用板
JP2549259Y2 (ja) 積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