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547A -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 Google Patents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547A
KR20220107547A KR1020210010305A KR20210010305A KR20220107547A KR 20220107547 A KR20220107547 A KR 20220107547A KR 1020210010305 A KR1020210010305 A KR 1020210010305A KR 20210010305 A KR20210010305 A KR 20210010305A KR 20220107547 A KR20220107547 A KR 2022010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reinforcing
wooden board
woo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233B1 (ko
Inventor
이무상
Original Assignee
이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상 filed Critical 이무상
Priority to KR102021001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6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or tap hol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bar or gril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이 개시된다.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은 복수의 원목 조각이 결합되어 형성된 가구용 원목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목 조각 중 일부 원목 조각에 형성된 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용 홈, 및 상기 보강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구용 원목판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Description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Wood board for furniture having bend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원목 조각이 결합된 원목판의 비트림을 방지하기 위한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에 관한 것이다.
가구용 원목판은 책상, 침대, 식탁, 진열장 및 싱크대 등 다양한 가구에 사용된다. 특히 가구용 원목판은 도 1과 같이 원목 책상 상판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가구용 원목판은 일반적으로 작은 원목 조각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접착시킨 목재로 제작된다. 작은 원목 조각이 사용됨에 따라 가구용 원목판에서 목재 고유 결점인 옹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접착되는 원목 조각의 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가구용 원목판을 제작할 수 있다. 다만, 가구용 원목판은 원목 조각의 결합 부분이 떨어질 수 있고 나무를 이어 붙였기 때문에 무늬가 일정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초기 가구용 원목판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일정 시간 경과 후의 가구용 원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영역(15)이 영역(17)로 변경된 것과 같이, 가구용 원목판은 원목 조각의 가로 접착면이 시간이 지나며 차츰 휘어져서 틈(영역(17) 참조)이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가구용 원목판을 제작 또는 판매하는 업체는 장시간 보관된 가구용 원목판을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0458854 B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원목판의 휘어짐과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원목판의 휘어짐 및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보강용 홈의 최상의 크기 비율을 제공할 수 있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원목판의 휘어짐 및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보강용 홈의 최상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원목판의 휘어짐 및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보강용 홈의 최상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은,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은, 복수의 원목 조각이 결합되어 형성된 가구용 원목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목 조각 중 일부 원목 조각에 형성된 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용 홈, 및 상기 보강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구용 원목판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원목 조각의 높이의 18/28 내지 2/3일 수 있다. 상기 홈의 길이는, 상기 원목 조각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홈은, 일자형일 수 있다. 상기 보강용 홈의 길이는, 상기 가구용 원목판의 너비의 0.75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홈은, 상기 가구용 원목판의 너비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은, 상기 보강용 홈을 복수개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용 홈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홈은, 상기 가구용 원목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원목일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삼면이 상기 보강용 홈에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은, 상기 보강용 홈을 복수개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용 홈 중 4개의 보강용 홈이 연결되어 마름모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름모꼴 홈 사이에 일자형 보강용 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홈은, 상기 가구용 원목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에 의하면, 보강용 홈에 보강부재가 삽입됨에 따라 원목 조각이 보강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원목 조각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원목 조각의 가로 접합면의 휘어짐이 방지되고, 원목 조각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용 홈을 형성하는 홈과 해당 원목 조각과의 최상의 크기 비율을 제공하여 비틀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원목 조각의 인장 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보강용 홈의 최상의 배치를 제공하여, 가구용 원목판의 전체적인 비틀림을 가장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용 홈의 최상의 형태를 제공하여, 보당 강력하게 가구용 원목판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원목 책상 상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초기 가구용 원목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일정 시간 경과 후의 가구용 원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 및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조각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 및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 및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1)은 복수의 원목 조각(10), 보강용 홈(20) 및 보강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1)은 복수의 원목 조각(1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구용 원목판(1)은 판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이 사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원목 조각(10)은 서로 접착제로 접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원목 조각(10)은 직육면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목 조각(10)은 폭 3 내지 4cm, 길이 15 내지 30cm, 높이 27 내지 28mm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조각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목 조각(10)에는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홈(11)은 원목 조각(10)이 서로 접착되어 원목판을 형성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홈(11)은 가구용 원목판(1)의 반대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홈(11)은 가구용 원목판(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반대결 방향으로 파서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11)의 깊이는, 원목 조각(10)의 높이의 18/28 내지 2/3일 수 있다. 홈(11)의 깊이가 원목 조각(10)의 높이 보다 18/28 작게 형성된 경우에는, 보강부재(40)에 의한 비틀림 방지 기능 및 떨어짐 방지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홈(11)의 깊이가 원목 조각(10)의 높이 보다 2/3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원목 조각(10)의 인장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11)의 길이는, 원목 조각(10)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홈(11)의 길이가 원목 조각(10)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되면, 원목 조각(10)간의 접착면 높이 보다 보강부재(30)의 접착면이 길게 형성되어, 원목 조각(10)의 접착면을 휘게하는 힘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원목 조각(10)의 비틀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보강용 홈(20)은 복수의 원목 조각(10) 중 일부 원목 조각에 형성된 홈(11)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1)은 보강용 홈(20)을 복수개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용 홈(20)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용 홈(20)의 간격은 보강용 홈(20)의 길이의 1 내지 1.2배이내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용 홈(20)의 간격이 보강용 홈(20)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보강용 홈(20) 및 보강부재(30)가 추가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보강용 홈(20)의 간격이 보강용 홈(20)의 길이 1.2배 보다 큰 경우에는, 가구용 원목판(1)의 비틀림 방지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즉, 가구용 원목판(1)에 부분적인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용 홈(20)은 가구용 원목판(1)의 일측(21) 및 타측(2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용 홈(20)은 가구용 원목판(1)의 중앙(25)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용 홈(20)은 가구용 원목판(1)의 일측(21), 타측(23) 및 중앙(25)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용 홈(20)은, 일자형일 수 있다. 보강용 홈(20)이 일자형인 경우에는, 보강용 홈(20)의 생성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보강부재(30)를 제작하고 부착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4에 보강용 홈(20)이 일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강용 홈(2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용 홈(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원목판(1)의 너비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용 홈(20)의 길이는, 가구용 원목판(1)의 너비의 0.75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구용 원목판(1)의 너비의 0.75배의 길이는 갖는 보강부재(30)를 가구용 원목판(1)에 설치할 수 있어, 전체 원목 조각(10) 간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원목 조각(10)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보강용 홈(20)에 삽입되어 원목 조각(1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부재(30)는 보강목일 수 있고, 보강목은 원목일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보강용 홈(20)의 체적과 대응하는 제척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삼면이 보강용 홈(20)에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보강부재(30)는, 좌측면(31), 우측면(33) 및 밑면(35)이 원목 조각(10)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30)는 보다 강력하게 원목 조각(10)과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복수의 원목 조각(10)과 결합됨으로써, 원목 조각(10) 간의 접착면이 휘어지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보강용 홈(20)에 보강부재(30)가 삽입됨에 따라 원목 조각(10)이 보강부재(30)에 결합됨으로써, 원목 조각(30)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원목 조각(10)의 가로 접합면의 휘어짐이 방지되고, 원목 조각(1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30)를 보강용 홈(20)에 삽입하고, 프레스로 눌러 강접착 후에 면처리(사포작업) 가공하여, 보강부재(30)의 장착을 마무리할 수 있다. 면처리 과정에서, 보강부재(30) 상하 1~2mm 정도 면처리 가공하여 날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 및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용 홈(20)은 가구용 원목판(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보강용 홈(61, 62, 63, 64)이 연결되어 마름모꼴 홈(60)을 형성할 수 있다. 보강부재(30)가 서로 밀착되게 결합됨에 따라 더 넓은 면적에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되어, 가구용 원목판의 비틀림 방지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두개의 마름모꼴 홈(60) 사이에 일자형 보강용 홈(2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치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원목판(1)은 다양한 크기 및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가구용 원목판 1
원목 조각 10
보강용 홈 20
보강부재 30

Claims (5)

  1. 복수의 원목 조각이 결합되어 형성된 가구용 원목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목 조각 중 일부 원목 조각에 형성된 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용 홈; 및
    상기 보강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구용 원목판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원목 조각의 높이의 18/28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홈을 복수개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용 홈 중 4개의 보강용 홈이 연결되어 마름모꼴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꼴 홈 사이에 일자형 보강용 홈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홈의 길이는,
    상기 가구용 원목판의 너비의 0.75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KR1020210010305A 2021-01-25 2021-01-25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KR102498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05A KR102498233B1 (ko) 2021-01-25 2021-01-25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05A KR102498233B1 (ko) 2021-01-25 2021-01-25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47A true KR20220107547A (ko) 2022-08-02
KR102498233B1 KR102498233B1 (ko) 2023-02-08

Family

ID=8284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305A KR102498233B1 (ko) 2021-01-25 2021-01-25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409A (ja) * 1995-10-03 1997-04-15 Mitsuhiko Tanahashi 集合材及び集合材の製造方法
KR20160074980A (ko) * 2014-12-19 2016-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409A (ja) * 1995-10-03 1997-04-15 Mitsuhiko Tanahashi 集合材及び集合材の製造方法
KR20160074980A (ko) * 2014-12-19 2016-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233B1 (ko)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9500332U3 (da) Hjørnesamling mellem endepartierne af to bræddeagtige emner
CA2364077C (en) Complex laminated bamboo board
KR20220107547A (ko)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가구용 원목판
CN209937149U (zh) 木拼接板
KR100725230B1 (ko) 디아이와이 책장
US20110080030A1 (en) Armrest and methods for maufacturing same
CN111660382A (zh) 木拼接板
DK1292434T3 (da) Lamineret træplade, som er afstivet mod böjning
KR20190112349A (ko) 가구 배면판넬 조립구조
CN201995991U (zh) 一种可以拆开、组合的沙发框架
CN105003058A (zh) 竹木双层地板
CN106193526A (zh) 四层实木复合地砖地板
CN208064774U (zh) 一种抗变形的桌面结构
WO2020177535A1 (zh) 木拼接板
JP3210101U (ja) 集成角材
CN204826541U (zh) 竹木双层地板
JP3133038U (ja) 創作的組立家具
CN203220110U (zh) 一种可以任意伸缩和曲直摆放的陈列架
US20030182892A1 (en) Wooden newel post
CN216364835U (zh) 一种结构稳固的菜板
KR20080097820A (ko) 원목의 사각부재 제조방법
CN210637333U (zh) 板材t型拼接结构
US4931332A (en) Non-warping and torque resistant structural panel for paneling, furniture and flooring
CN201879167U (zh) 包镶式空芯木家具构件
JP3230371U (ja) 檜皮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