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495A - 인터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495A
KR20050068495A KR1020030099975A KR20030099975A KR20050068495A KR 20050068495 A KR20050068495 A KR 20050068495A KR 1020030099975 A KR1020030099975 A KR 1020030099975A KR 20030099975 A KR20030099975 A KR 20030099975A KR 20050068495 A KR20050068495 A KR 2005006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p
control unit
unit
analog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페이
Priority to KR102003009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8495A/ko
Publication of KR2005006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4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n exchange line
    • H04M9/006Exchange lin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폰장치를 구성하는 실내폰들이 중계장치를 매개로 네트워크 연결되어진 인터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이 실내폰(IDP1∼IDPN)들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이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M1∼MN)를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실내폰(IDP1∼IDPN)들간의 연결이 기계적인 접촉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다양한 형태로 동시에 자유롭게 다중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인터폰 시스템의 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폰 시스템{Interphone system}
본 발명은 인터폰장치를 구성하는 실내폰들이 중계장치를 매개로 네트워크 연결되어진 인터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시에 자유롭게 다중 통화가 가능하고, 통신라인 연결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인터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학교·병원·공장·사무실 등의 구내 연락용이나, 일반 가정에서의 벨 대용으로 이용되는 인터폰장치는, 사용목적과 설치장소, 주변 소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인터폰장치로는, 송화시에는 버튼 또는 키를 누르고 말을 하고, 수화시에는 손을 떼고 상대방의 말을 듣는 프레스투토크(press to talk)식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프레스투토크식 인터폰장치는 그 구조가 가장 단순하여 제품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이 상당히 불편하고, 기능이 너무 단순하여, 현재는 차츰 사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프레스투토크식 보다는 그 구조가 복잡하지만, 동시에 쌍방향 통화가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기능을 다양화하기에 용이한 상호통화식 인터폰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아파트단지 등의 경우에는, 실내폰과 실외폰으로 구성된 인터폰장치가 세대별로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각 인터폰장치의 실내폰들이 중계장치를 매개로 네트워크 연결되어진 인터폰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세대별 거주자가 실내폰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인터폰 시스템은, 통신라인을 기계식으로 절환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세대별 인터폰장치의 실내폰들이 1:1로 접속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동시에 자유롭게 다중 통화를 할 수 없으므로, 인터폰 시스템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또한, 종래 인터폰 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기계식 접점을 이루는 중계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초래되고, 통신라인간의 연결이 안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동시에 자유롭게 다중 통화가 가능하고, 통신라인 연결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인터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폰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폰으로 인터폰장치가 구성되고, 다수를 이루는 인터폰장치의 실내폰들이 중계장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실내폰들이 중계장치를 매개로 상호 네트워크 연결되어진 인터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인터폰장치의 실내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와 ; 커넥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중계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해당 커넥터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제어유닛으로 출력하거나, 중계제어유닛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커넥터로 출력하는 다수의 변·복조기 및; 변·복조기들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를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계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폰(ODP1∼ODPN)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폰(IDP1∼IDPN)으로 인터폰장치(IP1∼IPN)가 구성되고, 다수를 이루는 인터폰장치(IP1∼IPN )의 실내폰(IDP1∼IDPN)들이 중계장치(SH)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실내폰(IDP1∼IDP N)들이 중계장치(SH)를 매개로 상호 네트워크 연결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중계장치(SH)는,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인터폰장치(IP1∼IPN)의 실내폰(IDP1∼IDP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C1∼CN )와 ; 커넥터(C1∼C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중계제어유닛(SC)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해당 커넥터(C1∼CN)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제어유닛(SC)으로 출력하거나, 중계제어유닛(SC)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커넥터(C1∼CN)로 출력하는 다수의 변·복조기(M1∼MN) 및; 변·복조기(M1∼MN)들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M1∼MN)를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계제어유닛(SC)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이 실내폰(IDP1∼IDPN)들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이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M1∼MN)를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실내폰(IDP1∼IDPN)들간의 연결이 기계적인 접촉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에서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처리하여,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실내폰(IDP1∼IDPN)들을 선별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동시에 자유롭게 다중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터폰장치(IP1∼IPN)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호 통화식 인터폰장치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르면 상기 실외폰(ODP ; 도 1의 "ODP1∼ODPN"에 해당)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101)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10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104)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106)로 출력하거나, 커넥터(106)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과, 실내폰(IDP ; 도 1의 "IDP1∼IDPN"에 해당)의 커넥터(201)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06) ;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내폰(IDP)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102,103,10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7) 및; 제어유닛(1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10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외폰(ODP)의 입력유닛(108)으로는 통상 버튼형태의 호출스위치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실내폰(IDP)은, 실외폰(ODP)의 커넥터(106)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01)와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01)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204) ;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으로 출력하는 마이크(205)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205)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 ; 입력유닛(2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외폰(ODP)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202,203,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207) ; 메인 제어유닛(2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08)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10)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0)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및;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과, 실내폰(IDP)의 커넥터(201)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내폰(IDP)의 입력유닛(208)으로는 기계적인 접촉방식의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와, 숫자입력스위치(12)를 이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터치패널 등과 같은 공지되어진 다양한 형태의 모든 입력수단들이 적용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실외폰(ODP)과 실내폰(IDP)간의 통신상태
방문자가 실외폰(ODP)의 입력유닛(108 ; 통상 버튼형태의 호출스위치가 이용된다)을 조작하면,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유닛(108) → 제어유닛(1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커넥터(106)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201)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되고,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초기호출 오디오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메인 제어유닛(207)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스피커(204)로 전송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이 방문자가 호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스피커(204)를 통해서 청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에 있는 사람이 입력유닛(208)인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N으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 →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으로 전송되는데,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외폰(ODP)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스피커(204)를 통해서 출력되고, 마이크(20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실외폰(ODP)으로 전송되는 한편, 실내폰(IDP)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제어유닛(107)으로 입력되면, 제어유닛(107)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과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폰(IDP)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스피커(104)를 통해서 출력되고, 마이크(10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실내폰(IDP)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실외폰(ODP)과 실내폰(IDP)에 의한 쌍방향 동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실내에 있는 사람이 입력유닛(208)인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FF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 →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으로 전송되는데,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피커(204)와 마이크(205)로의 연결이 차단되는 한편, 실내폰(IDP)으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제어유닛(107)으로 입력되면, 제어유닛(107)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과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피커(104)와 마이크(101)로의 연결이 차단된다. 따라서, 실외폰(ODP)과 실외폰(IDP)에 의한 쌍방향 동시 통화가 종료된다.
2. 중계장치(SH)를 이용한 실내폰(IDP)들간의 통신상태
제1실내폰(IDP1) 이용자가 제1실내폰(IDP1)의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N으로 전환하고, 숫자입력스위치(12)를 조작하여 제3실내폰(IDP3 ; 다른 어떤 실내폰이라도 가능)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하게 되면, 메인 제어유닛(208)에서 숫자입력스위치(1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자신의 고유 어드레스(고유 발신 어드레스)와 제3실내폰(IDP3)의 고유 어드레스(고유 수신 어드레스)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으로 출력하게 되어, 메인 제어유닛(2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제1실내폰(IDP1)의 메인 제어유닛(208) → 제1실내폰(IDP1)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 제1실내폰(IDP1)의 커넥터(210) → 랜통신라인 → 중계장치(SH)의 제1커넥터(C1) → 중계장치(SH)의 제1변·복조기(M1) →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제1실내폰(IDP1)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중계제어유닛(SC)으로 입력되면, 중계제어유닛(SC)에서는 호출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를 파악한 후에, 제1실내폰(IDP1)에 해당되는 제1변·복조기(M1)와 제3실내폰(IDP3)에 해당되는 제3변·복조기(M3)를 통신 연결하여, 제1변·복조기(M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제3변·복조기(M3)로, 제3변·복조기(M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제1변·복조기(M1)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으로 입력되어진 제1실내폰(IDP1)으로부터의 호출신호는 이후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 →중계장치(SH)의 제3변·복조기(M3) → 중계장치(SH)의 제3커넥터(C3) → 랜통신라인 → 제3실내폰(IDP3)의 커넥터(210) → 제3실내폰(IDP3)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제1실내폰(IDP1)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중계장치(SH)를 통해서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초기호출 오디오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메인 제어유닛(207)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스피커(204)로 전송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이 스피커(204)를 통해서 호출사실을 청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실내폰(IDP3) 이용자가 제3실내폰(IDP3)의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N으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 → 제3실내폰(IDP3)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 제3실내폰(IDP3)의 커넥터(210) → 랜통신라인 → 중계장치(SH)의 제3커넥터(C3) → 중계장치(SH)의 제3변·복조기(M3) →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 → 중계장치(SH)의 제1변·복조기(M1) → 중계장치(SH)의 제1커넥터(C1) → 랜통신라인 → 제1실내폰(IDP1)의 커넥터(210) → 제1실내폰(IDP1)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 제1실내폰(IDP1)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3실내폰(IDP3)의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제3실내폰(IDP3)의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실내폰(IDP3)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제3실내폰(IDP3)의 스피커(204)를 통해서 출력되고, 제3실내폰(IDP3)의 마이크(20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제1실내폰(IDP1)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제3실내폰(IDP3)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제1실내폰(IDP1)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제1실내폰(IDP1)의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제1실내폰(IDP1)의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3실내폰(IDP3)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제1실내폰(IDP1)의 스피커(204)를 통해서 출력되고, 제1실내폰(IDP1)의 마이크(20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제3실내폰(IDP3)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실내폰(IDP1)과 제3실내폰(IDP3)이 중계장치(SH)를 통해서 쌍방향 동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실내폰(IDP1) 이용자가 제1실내폰(IDP1)의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FF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제1실내폰(IDP1)의 메인 제어유닛(207) → 제1실내폰(IDP1)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 제1실내폰(IDP1)의 커넥터(210) → 랜통신라인 → 중계장치(SH)의 제1커넥터(C1) → 중계장치(SH)의 제1변·복조기(M1) →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 → 중계장치(SH)의 제3변·복조기(M3) → 중계장치(SH)의 제3커넥터(C3) → 랜통신라인 → 제3실내폰(IDP3)의 커넥터(210) → 제3실내폰(IDP3)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된다. 이때, 제1실내폰(IDP1)의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제1실내폰(IDP1)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제1실내폰(IDP1)의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제1실내폰(IDP1)의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실내폰(IDP1)의 스피커(204)와 마이크(205)로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하는 한편, 제1실내폰(IDP1)으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제3실내폰(IDP3)의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제3실내폰(IDP3)의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3실내폰(IDP3)의 스피커(204)와 마이크(205)로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중계장치(SH)를 통한 제1실내폰(IDP1)과 제3실내폰(IDP3)간의 쌍방향 동시 통화가 종료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경우, 기계적인 접촉방식으로 통신라인을 변경하지 아니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이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상응하게 통신라인을 변경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1:1 통신방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동시에 자유롭게 다중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제1실내폰(IDP1) 이용자가 제3실내폰(IDP3)을 호출하여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실내폰(IDP3)을 통화 대기상태로 전환한 후에, 제2실내폰(IDP2), 혹은 임의의 다른 실내폰을 호출하여 통화하거나, 제3실내폰(IDP3)과 제2실내폰(IDP2), 혹은 임의의 다른 실내폰을 모두 통화 연결하여 동시에 집단 통화를 할 수도 있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에 이용되는 인터폰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실내폰(IDP)의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는 실외폰(ODP)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211)이 실내폰(IDP)에 보강 구비되고, 보조기억유닛(211)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3)이 실내폰(IDP)의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3)으로는 기계적인 접촉방식의 외출선택스위치(13a)와 저장내용 확인스위치(13b)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르면, 실내 부재시에 실내폰 호출자(다른 실내폰 이용자, 또는 해당 실외폰 이용자)에게 부재사실을 알리고,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를 보조기억유닛(211)에 녹음하여 이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의하면, 상기 실외폰(ODP ; ODP1∼ODPN)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으로 출력하는 카메라(109)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109)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이 보강 구비되는 한편, 상기 실내폰(IDP ; IDP1∼IDPN)에,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213)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2)과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영상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3)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폰(ODP) 이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외형적인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보조기억유닛(211)에 저장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인터폰장치의 방범기능이 보다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 인터넷장치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2c의 경우에는, 상기 실외폰(ODP ; ODP1∼ODPN)에 도어잠금장치(DL)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11)가 보강 구비되어, 도어잠금장치(DL)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실외폰 제어유닛(107)이 커넥터(111)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도어잠금장치(DL)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잠금장치 작동제어수단(14)이 실내폰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 작동제어수단(14)으로는 기계적인 접촉방식의 도어열림스위치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르면, 실내폰(IDP) 이용자가 실외폰(ODP)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에, 도어열림스위치(14)를 조작하여 도어잠금장치(DL)를 손쉽게 열 수 있게 되어, 인터폰장치의 사용기능이 보다 다양하게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11)와 실외폰 제어유닛(107) 사이에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도시안됨)을 설치하여, 도어잠금장치(DL)와 실외폰 제어유닛(107)이 쌍방향으로 데이터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실내폰(IDP ; IDP1∼IDPN)에 도어잠금장치(DL)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도시안됨 ; 도 2c의 "111"에 해당)를 보강 설치하고, 이 커넥터를 매개로 도어잠금장치(DL)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실내폰 제어유닛(207)을 상호 연결하여, 도어잠금장치(DL)가 실내폰(IDP ; IDP1∼IDPN)에 구비되어진 도어잠금장치 작동제어수단(14)의 조작에 의해 직접적으로 작동제어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실외폰(ODP ; ODP1∼ODPN)의 경우와 같이, 실내폰 제어유닛(207)과 도어잠금장치(DL)가 쌍방향으로 데이터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처리유닛(MP)과 ; 메인 처리유닛(MP)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I) 및;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이, 중계장치(SH)에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메인 처리유닛(MP)은,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을 통해서 중계장치(SH)의 각 커넥터(C1∼C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의 전송속도(통상적으로 10Mbps,100Mbps,1000Mbps 정도의 전송속도)와 통신방식(Half Duplex 또는 Full Duplex)을 체크하여, 데이터 전송속도와 통신방식이 중계제어유닛(SC)에 의해 적절하게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고, 중계장치(SH)의 각 커넥터(C1∼CN)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며, 전송패킷(랜통신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이 패킷단위로 이루어진다)의 크기와, 이에 따른 송수신 지연시간(데이터 입력부터 데이터 출력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결정한다.
상기 입력유닛(I)으로는 메인 처리유닛(MP)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것들이 적용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 처리유닛(MP)의 작동을 몇개의 형태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옵션선택스위치를 이용하였다.
상기 출력유닛(O)으로는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공지의 모든 것들이 적용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해당 작동상태에 따라서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나, 해당 작동상태를 문자나 숫자, 기호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중계장치(SH)에 구비되어진 입력유닛(I)을 조작하여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적절하게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중계장치(SH)의 작동상태를 출력유닛(O)을 통해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터폰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중계장치(SH1,SH2)들이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중계장치(SH1,SH2)의 커넥터(C1∼CN)들과 변·복조기(M1∼MN)들 중에서, 중계장치(SH1,SH2)들 간의 랜통신라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Ca,Cb)와 변·복조기(Ma,Mb)를 취한 후에, 연결코져하는 중계장치(SH1,SH2)의 커넥터(Ca,Cb)에 랜통신라인의 양쪽 선단을 각각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장치(SH1,SH2)들을 자유롭게 상호 연결할 수 있으므로, 인터폰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원격제어기구(RC)와의 랜통신 연결을 위한 변·복조기(Mc)와 커넥터(Cc)가 중계장치(SH)에 구비되어, 원격제어기구(RC)가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커넥터(Cc)에 연결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원격제어기구(RC)는, 중계장치(SH)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커넥터(C)와 ;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C)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처리유닛(MP)으로 출력하거나, 메인 처리유닛(MP)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C)로 출력하는 변·복조기(M) ; 중계장치(SH)를 구성하는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처리유닛(MP) ; 메인 처리유닛(MP)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I) 및;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기구(RC)를 매개로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인터폰 시스템의 관리/유지가 보다 편리하게 된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인터폰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중계장치(SH1,SH2)들이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중계장치(SH1,SH2)에 고유 어드레스를 부여하게 되면, 원격제어기구(RC)와 중계장치(SH1,SH2)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단순하게 직렬로 배치하여도 원격제어기구(RC)의 메인 처리유닛(MP)이 중계장치(SH1,SH2)들의 중계제어유닛(SC)을 선택적으로 작동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메인 처리유닛(MP1)과 ;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제1출력유닛(O1) ; 제1메인 처리유닛(MP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메인 처리유닛(MP1)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Cc)로 출력하거나, 커넥터(Cc)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처리유닛(MPc)으로 출력하는 변·복조기(Mc) 및;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원격제어기구(RC)에 연결되는 커넥터(Cc)가, 중계장치(SH)에 보강 구비되어, 원격제어기구(RC)가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커넥터(Cc)에 연결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원격제어기구(RC)는, 중계장치(SH)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커넥터(C)와 ; 제2메인 처리유닛(MP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C)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제2메인 처리유닛(MP2)으로 출력하거나, 제2메인 처리유닛(MP2)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C)로 출력하는 변·복조기(M) ; 중계장치(SH)를 구성하는 제1메인 처리유닛(MP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메인 처리유닛(MP2) ; 제2메인 처리유닛(MP2)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I) 및; 제2메인 처리유닛(MP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장치(SH)를 구성하는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제2출력유닛(O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은 제1메인 처리유닛(MP1)에 의해 이루어지고, 제1메인 처리유닛(MP1)의 작동은 제2메인 처리유닛(MP2)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식, 즉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이 원격제어기구(RC)에 의해 간접 제어되는 방식을 이룬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인터폰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원격제어기구(RC)와 다수의 중계장치(SH1∼SHM)들이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보조 중계장치(SHa)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서, 원격제어기구(RC)와 다수의 중계장치(SH1∼SHM)들이 보조 중계장치(SHa)를 매개로 상호 네트워크 연결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보조 중계장치(SHa)는 원격제어기구(RC)를 매개로 하여 다수의 중계장치(SH1∼SHM)들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제어기구(RC)와 다수의 중계장치(SH1∼SHM)들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C1∼CM)와 ; 커넥터(C1∼CM)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중계제어유닛(SC)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해당 커넥터(C1∼C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제어유닛(SC)으로 출력하거나, 중계제어유닛(SC)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커넥터(C1∼CM)로 출력하는 다수의 변·복조기(M1∼MM) 및; 변·복조기(M1 ∼MM)들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M1∼MM)를 상호 통신가능하게 선별적으로 연결하는 중계제어유닛(SC)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중계장치(SH ; SH1,SH2 ; SH1∼SHN)의 커넥터(C 1∼CN)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카메라장치나, 인터넷 망, 또는 로비 폰, 경비실 폰, 공동현관 폰 등을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로비 폰으로는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실외폰(IDP)과 같은 구조의 것을 이용하고, 상기 공동현관 폰으로는 도 2c에 도시된 실외폰(IDP)과 같이 도어잠금장치(DL)를 갖춘 구조의 것을 이용하며, 상기 경비실 폰으로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내폰(IDP)과 같은 구조의 것을 이용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장치(SH)의 중계제어유닛(SC)이 실내폰(IDP1∼IDPN)들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이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M1∼MN)를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실내폰(IDP1∼IDPN)들간의 연결이 기계적인 접촉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다양한 형태로 동시에 자유롭게 다중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인터폰 시스템의 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에 이용되는 인터폰장치의 일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터폰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터폰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터폰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C, Ca, Cb, C1∼CN, C1∼CM ; 커넥터, DL ; 도어잠금장치,
I ; 입력유닛, IDP, IDP1∼IDPN ; 실내폰,
IP1∼IPN, IP1∼IPM ; 인터폰장치,
M, Ma, Mb, M1∼MN, M1∼MM ; 변·복조기,
MP, MP1, MP2 ; 메인 처리유닛, O, O1, O2 ; 출력유닛,
ODP, ODP1∼ODPN ; 실외폰, RC ; 원격제어기구,
SC ; 중계제어유닛,
SH, SH1, SH2, SH1∼SHM ; 중계장치, SHa ; 보조 중계장치,
11 ;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 12 ; 숫자입력스위치,
13 ;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 13a ; 외출선택스위치,
13b ; 저장내용 확인스위치, 14 ; 도어열림스위치,
101 ; 마이크,
102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1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104 ; 스피커, 105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106 ; 커넥터, 107 ; 실외폰 제어유닛,
108 ; 입력유닛, 109 ; 카메라,
110 ;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111 ; 커넥터, 201 ; 커넥터,
202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204 ; 스피커, 205 ; 마이크,
206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207 ; 실내폰 제어유닛, 208 ; 입력유닛,
209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10 ; 커넥터,
211 ; 보조기억유닛,
212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213 ; 디스플레이.

Claims (11)

  1.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폰(ODP ; ODP1∼ODPN)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폰(IDP ; IDP1∼IDPN)으로 인터폰장치(IP1∼IPN ; IP1∼IP M)가 구성되고, 다수를 이루는 인터폰장치(IP1∼IPN ; IP1∼IPM)의 실내폰(IDP ; IDP1∼IDP N)들이 중계장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실내폰(IDP ; IDP1∼IDPN)들이 중계장치를 매개로 상호 네트워크 연결되어진 인터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SH ; SH1,SH2 ; SH1∼SHM)는,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인터폰장치(IP1∼IPN ; IP1∼IPM)의 실내폰(IDP ; IDP1 ∼IDP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C1∼CN)와 ; 커넥터(C1∼C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중계제어유닛(SC)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해당 커넥터(C1∼CN)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제어유닛(SC)으로 출력하거나, 중계제어유닛(SC)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커넥터(C1∼CN)로 출력하는 다수의 변·복조기(M1∼MN ) 및; 변·복조기(M1∼MN)들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M1∼MN)를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계제어유닛(S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SH ; SH1,SH2)에,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처리유닛(MP)과 ; 메인 처리유닛(MP)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I) 및;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SH ; SH1,SH2)에, 원격제어기구(RC)와의 랜통신 연결을 위한 변·복조기(Mc)와 커넥터(Cc)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중계장치(SH ; SH1,SH2)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커넥터(C)와 ;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C)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처리유닛(MP)으로 출력하거나, 메인 처리유닛(MP)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C)로 출력하는 변·복조기(M) ; 중계장치(SH ; SH1,SH2)를 구성하는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처리유닛(MP) ; 메인 처리유닛(MP)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I) 및;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기구(RC)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SH ; SH1∼SHM)에,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메인 처리유닛(MP1)과 ; 메인 처리유닛(M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제1출력유닛(O1) ; 제1메인 처리유닛(MP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메인 처리유닛(MP1)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Cc)로 출력하거나, 커넥터(Cc)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처리유닛(MPc)으로 출력하는 변·복조기(Mc) 및;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원격제어기구(RC)에 연결되는 커넥터(Cc)가 보강 구비되는 한편,
    상기 중계장치(SH ; SH1∼SHM)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커넥터(C)와 ; 제2메인 처리유닛(MP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C)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제2메인 처리유닛(MP2)으로 출력하거나, 제2메인 처리유닛(MP2)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C)로 출력하는 변·복조기(M) ; 중계장치(SH ; SH1,SH2)를 구성하는 제1메인 처리유닛(MP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메인 처리유닛(MP2) ; 제2메인 처리유닛(MP2)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I) 및; 제2메인 처리유닛(MP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장치(SH ; SH1,SH2)를 구성하는 중계제어유닛(SC)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제2출력유닛(O2)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기구(RC)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구(RC)와 다수의 중계장치(SH1∼SHM)들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C1∼CM)와 ; 커넥터(C1∼CM)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중계제어유닛(SC)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해당 커넥터(C1∼C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제어유닛(SC)으로 출력하거나, 중계제어유닛(SC)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커넥터(C1∼CM)로 출력하는 다수의 변·복조기(M1∼MM) 및; 변·복조기(M1∼MM)들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복조기(M1∼MM)를 상호 통신가능하게 선별적으로 연결하는 중계제어유닛(SC)으로 이루어진 보조 중계장치(SHa)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실외폰(ODP ; ODP1∼ODPN)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101)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10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104)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106)로 출력하거나, 커넥터(106)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과, 실내폰(IDP ; IDP1∼IDPN)의 커넥터(201)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06) ;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내폰(IDP ; IDP1∼IDPN)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102,103,10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7) 및; 제어유닛(1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108)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폰(IDP ; IDP1∼IDPN)은, 실외폰(ODP ; ODP1∼ODPN)의 커넥터(106)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01)와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01)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204) ;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으로 출력하는 마이크(205)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205)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 ; 입력유닛(2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외폰(ODP ; ODP1∼ODPN)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202,203,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207) ; 메인 제어유닛(2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08)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10)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0)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9) 및;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과, 실내폰(IDP ; IDP1∼IDPN)의 커넥터(201)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1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IDP ; IDP1∼IDPN)의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는 실외폰(ODP ; ODP1∼ODPN)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211)이 실내폰(IDP ; IDP1∼IDPN)에 보강 구비되고, 보조기억유닛(211)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3)이 실내폰(IDP ; IDP1∼IDPN)의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폰(ODP ; ODP1∼ODPN)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으로 출력하는 카메라(109)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109)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이 보강 구비되고,
    상기 실내폰(IDP ; IDP1∼IDPN)에,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213)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2)과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영상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3)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폰(ODP ; ODP1∼ODPN)에 도어잠금장치(DL)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11)가 보강 구비되어, 도어잠금장치(DL)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실외폰 제어유닛(107)이 커넥터(111)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도어잠금장치(DL)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잠금장치 작동제어수단(14)이 실내폰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C1∼CN)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카메라장치나, 인터넷 망, 또는 로비 폰, 경비실 폰, 공동현관 폰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SH ; SH1,SH2 ; SH1∼SHM)들이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시스템.
KR1020030099975A 2003-12-30 2003-12-30 인터폰 시스템 KR20050068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75A KR20050068495A (ko) 2003-12-30 2003-12-30 인터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75A KR20050068495A (ko) 2003-12-30 2003-12-30 인터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495A true KR20050068495A (ko) 2005-07-05

Family

ID=3725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975A KR20050068495A (ko) 2003-12-30 2003-12-30 인터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84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3028B (zh) 可编程多媒体控制器的电话服务
US57844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elephone intercom-voice messaging apparatus at doorbell for dwelling
CZ2004279A3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připojení systému domácího videotelefonu k vrátnici prostřednictvím internetu
EP09652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phone intercom doorbell response system
EP0789493A1 (en) Audio-video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 to houses and the like
JP485812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5390240A (en) Data dial system and method
KR20050068495A (ko) 인터폰 시스템
US59057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elephone intercom--voice messaging apparatus at doorbell for dwelling
KR100613417B1 (ko) 통합 방송시스템
KR100613415B1 (ko) 인터폰장치
RU2320094C1 (ru) Система диспетчерской связи
JP3901153B2 (ja) 集合住宅管理通話システム
JPS6065653A (ja) 放送装置
JP200731224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221846B1 (ko) 노래방 기능을 갖춘 키폰시스템
JP3901152B2 (ja) 集合住宅管理通話システム
JP2712241B2 (ja) 電話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4151957A (ja) オフトーク通信装置
JP5934945B2 (ja) 音声通話システム
JPS61240742A (ja) 電話機付属装置
JPH11275238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H08280048A (ja) 電話システム
JPH0729973U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用住宅情報盤、電話用ターミナ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583762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ヨ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