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417B1 - 통합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417B1
KR100613417B1 KR20040001581A KR20040001581A KR100613417B1 KR 100613417 B1 KR100613417 B1 KR 100613417B1 KR 20040001581 A KR20040001581 A KR 20040001581A KR 20040001581 A KR20040001581 A KR 20040001581A KR 100613417 B1 KR100613417 B1 KR 100613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control unit
ssh
unit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0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231A (ko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홍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헌 filed Critical 홍기헌
Priority to KR2004000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4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41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호텔이나 대형 빌딩, 혹은 아파트단지나 대형 위락시설 등에 설치되어, 음성이나 음악, 혹은 경고음 등의 오디오신호를 적절하게 방송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보조 방송장치(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1∼GOM)들이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FSH)와 제2중계장치(SSH1∼SSHN)에 연결되어서 단순한 구조의 네트워크를 이루므로, 배선작업이 획기적으로 단순화되고, 제품비용 및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보다 다양한 기능 부여가 가능하게 되고, 네트워크의 확장이 상당히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 방송시스템{Combination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메인 방송관리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제1중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도 2의 제2중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도 2의 보조 방송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도 2의 방송출력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도 8의 제2중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도 8의 방송출력장치와 외부 기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메인 방송관리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조 방송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방송출력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도 14의 방송출력장치와 실외폰 및 도어잠금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중계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중계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도 19의 제1중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중계장치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9의 제2중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중계장치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ASH, ASH1∼ASHX ; 보조 중계장치, DL, DL1∼DLM ; 도어잠금장치,
FSH, FSH1∼FSHX ; 제1중계장치, GO, GO1∼GOM ; 방송출력장치,
MM ; 메인 방송관리장치, ODP, ODP1∼ODPM ; 실외폰,
OE, OE1∼OEM ; 외부 기기, SM, SM1∼SMN ; 보조 방송장치,
SSH, SSH1∼SSHN ; 제2중계장치, 111 ; 마이크,
112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113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114 ; 디스플레이, 115 ; 제1커넥터,
11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117 ; 메인 제어유닛,
118 ; 입력유닛, 118a ; 키보드,
118b ; 마우스, 118c ; 터치패널,
119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120 ; 스피커, 121 ; 보조기억유닛,
122 ; 카메라,
123 ;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124 ; CD-ROM 드라이브, 125 ; 제2커넥터,
126 ; 전화신호 변·복조유닛, 211 ; 제1커넥터,
212 ;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131∼213N ; 제2커넥터,
2141∼214N ;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15 ; 제1중계제어유닛, 216 ; 작동제어유닛,
217 ; 입력유닛, 218 ; 출력유닛,
219 ; 제3커넥터, 220 ; 제3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311 ; 제1커넥터, 312 ;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313 ; 제2커넥터, 314 ;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3151∼315M ; 제3커넥터, 3161∼316M ; 데이터신호 변조유닛,
3161'∼316M' ; 제3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317 ; 제2중계제어유닛, 318 ; 작동제어유닛,
319 ; 입력유닛, 320 ; 출력유닛,
321 ; 제4커넥터, 322 ; 제4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411 ; 마이크,
412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413 ; 커넥터, 414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415 ; 작동상태 표시유닛, 415a ; 발광다이오드,
415b'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415b" ; 디스플레이, 416 ; 제어유닛,
417 ; 입력유닛, 417a ; 전체방송스위치,
417b ; 특정주소 입력스위치, 417c ; 방송스위치,
417d ;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유닛,
417d' ; 외출선택스위치, 417d" ; 저장내용확인스위치,
418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419 ; 스피커, 420 ; 보조기억유닛,
421 ; 카메라,
422 ;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511 ; 제1커넥터, 512 ; 데이터신호 복조유닛,
512' ;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51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514 ; 스피커, 515 ; 제어유닛,
516 ; 데이터 송·수신유닛, 517 ;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518 ; 마이크,
519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520 ; 입력유닛, 520a ; 양방향통신 제어스위치,
520b ; 특정주소 입력스위치,
520c ;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
520c' ; 외출선택스위치, 520c" ; 저장내용확인스위치,
521 ; 작동상태 표시유닛, 521a ; 발광다이오드,
521b'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521b" ; 디스플레이, 522 ; 보조기억유닛,
523 ; 카메라,
524 ;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525 ; 제3커넥터, 526 ; 제3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611 ; 데이터 송·수신유닛, 612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613 ; 제어유닛, 711 ; 마이크,
712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71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714 ; 스피커, 715 ; 제1커넥터,
71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717 ; 제어유닛,
718 ; 입력유닛, 719 ; 카메라,
720 ;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723 ; 제2커넥터.
본 발명은 통합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호텔이나 대형 빌딩, 혹은 아파트단지나 대형 위락시설 등에 설치되어, 음성이나 음악, 혹은 경고음 등의 오디오신호를 적절하게 방송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합 방송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오디오출력 제어장치(RP)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 이들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메인 제어장치(TI)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인 제어장치(TI)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이들 장치(RC1∼RCX ; TI)로부터 입력되는 각 오디오신호들을 임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 ;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오디오출력 제어장치(RP)로 출력하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작동을 제어하고,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로 출력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보조 제어장치(SC)로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TI) ;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되어,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장치(SC) ;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되어,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로 분배하는 시그널 분배기(SD) ; 시그널 분배기(SD)와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시그널 분배기(SD)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해당 스피커(S1∼SM)로 출력하고, 해당 작동상태를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S1∼SM) 및;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각 연결라인 에 설치되어,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출력하는 오디오 증폭기(Amp1∼AmpN )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통합 방송시스템이 아파트단지에 적용되어진 일예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보조 제어장치(SC)와 메인 제어장치(TI),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 시그널 분배기(SD)는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에 설치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는 동별 관리실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며, 오디오 수신장치(RX 1∼RXN ; RX)는 동별 아파트에 설치하여,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연계작동되도록 배선작업을 수행하고, 호별로 설치된 스피커(S1∼SM)들을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 ∼RXN ; RX)에 연결하면, 종래 통합 방송시스템이 구축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증폭기(Amp1∼AmpN)는 필요에 따라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적절히 설치될 수 있지만, 보수·관리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 통합 방송시스템은,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을 통해서 방송라인을 임의로 선택하여 오디오 방송을 할 수 있고, 보조 제어장치(SC)를 통해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간접적으로 통제하고 파악하면서 자체 오디오 방송을 할 수 있으며, 메인 제어장치(TI)를 통해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직접적으로 통제하면서 비상방송을 빠르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경우에는, 메인 제어장치(TI)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에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과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이와는 별도로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된 시그널 분배기(SD)에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오디오 출력제어장치(RP)는 2개의 전송라인(오디오신호전송라인과 제어신호전송라인)으로 상호 연결되는 한편, 시그널 분배기(SD)는 제어신호전송라인을 매개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에 연결되면서, 오디오 출력제어장치(RP)는 이와는 별도로 오디오신호전송라인을 매개로 오디오 증폭기(Amp1∼AmpN)를 통해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배선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이로 인해서 통합 방송시스템 설치비용이 크게 증가된다.
또한, 종래 통합 방송시스템의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들간의 연관관계를 고 려해 볼 때, 시스템을 자유롭게 확장하기가 곤란하고, 기능의 다양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배선작업이 편리하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시스템을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통합 방송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에 연결되어,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1중계장치로 출력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방송관리장치와 ;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메인 방송관리장치와 다수의 제2중계장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방송관리장치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각 제2중계장치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중계장치 ;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와 보조 방송장치 및 방송출력장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중계장치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보조 방송장치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제2중계장치 ; 랜통신을 매개로 제2중계장치에 1:1 연결되어, 외 부 소리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2중계장치로 출력하는 보조 방송장치 및; 랜통신을 매개로 제2중계장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2중계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메인 방송관리장치 또는 보조 방송장치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방송출력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은,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FSH)에 연결되어,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1중계장치(FSH)로 출력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다수의 제2중계장치(SSH1∼SSH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방송관리장치(MM)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각 제2중계장치(SSH1∼SSHN)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중계장치(FSH) ;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FSH)와 보조 방송장치(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1∼GOM)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중계장치(FSH)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보조 방송장치(SM1∼SMN)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제2중계장치(SSH1∼SSHN) ; 랜통신을 매개로 제2중계장치(SSH1∼SSHN)에 1:1 연결되어,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2중계장치(SSH1∼SSHN)로 출력하는 보조 방송장치(SM1∼SMN) 및; 랜통신을 매개로 제2중계장치(SSH1∼SSHN )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2중계장치(SSH1∼SSHN)로부터 입력되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또는 보조 방송장치(SM1∼SMN)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방송출력장치(GO1∼GOM)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보조 방송장치(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1∼GOM)들이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FSH)와 제2중계장치(SSH1∼SSHN)에 연결되어서 단순한 구조의 네트워크를 이루므로, 배선작업이 획기적으로 단순화되고, 보다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네트워크의 확장이 상당히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MM, FHS, SSH1∼SSHN, SM1∼SM N, GO1∼GOM)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들을 이용하였다.
상기 메인 방송관리장치(MM)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 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111)와 ; 메인 제어유닛(1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11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유닛(11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2) ; 메인 제어유닛(1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117)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11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3)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외부로 영상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4) ; 제1중계장치(FSH)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115) ; 메인 제어유닛(1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1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115)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11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메인 제어유닛(11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 ; 입력유닛(11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112,113,116)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117) 및; 메인 제어유닛(1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11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유닛(118)으로는 공지의 키보드(118a)나 마우스(118b) 또는 디스플레이에 장착되는 터치패널(118c)등의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제1중계장치(FSH)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방송관리장치(MM) 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211)와 ; 제1중계제어유닛(2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211)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2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 출력하는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1∼214N)을 개별적으로 상호 1:1 연결하는 다수의 제2커넥터(2131∼213N) ; 제1중계제어유닛(2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해당 제2커넥터(2131∼213N)로 출력하거나, 해당 제2커넥터(2131∼213N )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1∼214N) 및; 각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2141∼214N)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2141∼214N)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계장치(FSH)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을 상호 연 결하는 제1커넥터(311)와 ; 제2중계제어유닛(3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311)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3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출력하는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4)을 상호 연결하는 제2커넥터(313) ; 제2중계제어유닛(3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2커넥터(313)로 출력하거나, 제2커넥터(313)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출력하는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4) ;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을 개별적으로 상호 1:1 연결하는 다수의 제3커넥터(3151∼315M) ;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해당 제3커넥터(3151∼315M)로 출력하는 다수의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 및; 각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314)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314)과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2중계장치(FSH ; SSH, SSH1∼SSHN)의 중계제어유닛(215 ; 317)은, 중계장치(SH)의 각 커넥터(C1∼C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의 전송속도(통상적으로 10Mbps,100Mbps,1000Mbps 정도의 전송속도)와 통신방식(Half Duplex 또는 Full Duplex)을 체크하여, 각 랜통신라인의 통신방식을 일치시키면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적절하게 자동으로 조절하고, 중계장치(SH)의 각 커넥터(C1∼CN)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며, 전송패킷(랜통신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이 패킷단위로 이루어진다)의 크기와, 이에 따른 송수신 지연시간(데이터 입력부터 데이터 출력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결정한다
상기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41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411)와 ; 제어유닛(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41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416)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412) ;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414)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413) ; 제어유닛(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416)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413)로 출력하거나, 커넥터(413)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 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416)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414) ; 제어유닛(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이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작동상태 표시유닛(415) ; 입력유닛(417)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412,414,4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16) 및; 제어유닛(4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41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상태 표시유닛(415)으로는, 제어유닛(416)에 의해 직접 작동 제어되는 발광다이오드(415a)나 ; 제어유닛(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416)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415b")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415b')과,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415b')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외부로 영상출력하는 디스플레이(415b")로 이루어진 영상출력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417)으로는, 전체방송스위치(417a)와 특정주소 입력스위치(417b) 및 방송스위치(417c)를 갖춘 기계적인 접점방식의 스위치기구를 이용하였다.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511)와 ; 제1커넥터(5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 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1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514) ;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5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이 아파트단지에 적용되어진 것을 일예로 하여 이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메인 방송관리장치(MM)는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에 설치하고, 상기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는 동별 관리실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는 각 세대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는 각 동별로 설치하고, 상기 제1중계장치(FSH)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및 각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한 적절한 곳에 설치한 후,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각 구성요소들(MM, FHS, SSH1∼SSHN, SM1∼SMN, GO1∼GOM)을 상호 연결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을 완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동 관리실의 관리자가 제1보조 방송장치(SM1)의 입력유닛(417)을 구성하는 전체방송스위치(417a)를 ON으로 전환하면, 제1보조 방송장치 마이크(411)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제1보조 방송장치(SM1)의 마이크(411) → 제1보 조 방송장치(SM1)의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412) → 제1보조 방송장치(SM1)의 제어유닛(416) → 제1보조 방송장치(SM1)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414) → 제1보조 방송장치(SM1)의 커넥터(413) → 랜통신라인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제2커넥터(313) →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4) →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제2중계제어유닛(317)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모든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 →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해당 제3커넥터(3151∼315M) → 해당 랜통신라인 → 제1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 ∼GOM)의 제1커넥터(511) → 제1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 → 제1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제어유닛(515) → 제1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3) → 제1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스피커(514)로 전달되어, 제1동 관리실의 관리자 음성이 제1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스피커(514)를 통해서 모든 제1동 세대로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4)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제2중계제어유닛(317)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제1동에 해당되는 제2중계장치(SSH1)의 제1커넥터(311) → 랜통신라인 → 제1중계장치(FSH)의 해당 제2커넥터(2131) → 제1중계장치(FSH)의 해당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1) → 제1중계장치(FSH)의 제1중계제어유닛(215) → 제1중계장치(FSH)의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제1중계장치(FSH)의 제1커넥터(211) → 랜통신라인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제1커넥터(115)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메인 제어유닛(117)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3)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디스플레이(114)로 전달되어,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디스플레이(114)를 통해서 제1동 관리실의 관리자가 현재 방송중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동 관리실의 관리자가 제1보조 방송장치(SM1)의 입력유닛(417)을 구성하는 특정주소 입력스위치(417b)를 조작하여 방송할 특정 세대를 선택한 후에, 방송스위치(417c)를 ON으로 전환하면, 제1보조 방송장치(SM1)의 마이크(411)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선택된 특정 세대의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를 구성하는 스피커(514)를 통해서만 출력된다.
상기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입력유닛(417)을 구성하는 키보드(118a)나 마우스(118b) 또는 터치패널(118c)을 조작하여 전체방송을 선택하면,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마이크(111)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마이크(111)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2)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메인 제어유닛(117)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 →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제1커넥터(115) → 랜통신라인 → 제1중계장치(FSH)의 제1커넥터(211) → 제1중계장치(FSH)의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제1중계장치(FSH)의 제1중계제어유닛(215) → 제1중계장치(FSH)의 모든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1∼214N) → 제1중계장치(FSH)의 해당 제2커넥터(2131∼213 N) → 해당 랜통신라인 → 각 제2중계장치(SSH1∼SSHN)의 제1커넥터(311) → 각 제2중계장치(SSH1∼SSHN)의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각 제2중계장치(SSH1∼SSHN)의 제2중계제어유닛(317) → 각 제2중계장치(SSH1∼SSH N)의 모든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 → 각 제2중계장치(SSH1∼SSHN )의 해당 제3커넥터(3151∼315M) → 해당 랜통신라인 → 각 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 M)의 제1커넥터(511) → 각 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 → 각 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제어유닛(515) → 각 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3) → 각 동 세대별 방송출력장치(GO1∼GOM)의 스피커(514)로 전달되어,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 음성이 모든 방송출력장치(GO1∼GOM)의 스피커(514)를 통해서 각 동의 모든 세대로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각 제2중계장치(SSH1∼SSHN)의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각 제2중계장치(SSH1∼SSHN)의 제2중계제어유닛(317) → 각 제2중계장치(SSH1∼SSHN)의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4) → 각 제2중계장치(SSH1∼SSHN)의 제2커넥터(313) → 해당 랜통신라인 → 각 보조 방송장치(SM1∼SMN)의 커넥터(413) → 각 보조 방송장치(SM1∼SM N)의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414) → 각 보조 방송장치(SM1∼SMN)의 제어유닛(416) → 각 보조 방송장치(SM1∼SMN)의 작동상태 표시유닛(415)으로 전달되어, 각 동 관리실의 관리자가 작동상태 표시유닛(415)을 통해서 현재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방송중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임의의 동 관리실의 관리자가 해당 보조 방송장치(SM1∼SMN)의 입력유닛(417)을 조작하여 방송을 시도하더라도, 이를 통한 방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참고로, 상기 보조 방송장치(SM1∼SMN)의 제어유닛(416)은 메인 방송관리장치(MM)를 이용한 방송이 끝날 때까지, 해당 보조 방송장치(SM1∼SMN)의 입력유닛(417)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무시하 게 된다.
한편,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메인 방송관리장치(MM)의 입력유닛(417)을 구성하는 키보드(118a)나 마우스(118b) 또는 터치패널(118c)을 조작해서 특정 동과 특정 세대를 선택하여, 해당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를 구성하는 스피커(514)를 통해서만 선별적으로 방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가 1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 )가 양방향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의 제2중계제어유닛(3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3커넥터(3151∼315M)로 출력하거나, 제3커넥터(3151∼315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출력하는 제3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61'∼316M')이, 제2중계장치(SSH ; SSH1∼SSH N)의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으로 대용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의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511)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5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2')이,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의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으로 대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가 양방향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기능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7)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외부 기기(OE ; OE1∼OEM)로 유·무선 송신하거나, 외부 기기(OE ; OE1∼OE 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수신하여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유닛(516)과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데이터 송·수신유닛(516)으로 출력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유닛(516)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7)을 보강하여, 외부 기기(OE)를 메인 방송관리장치(MM)에서 유·무선으로 작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기기(OE)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로 유·무선 송신하거나,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수신하여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유닛(611)과 ; 제어유닛(613)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613)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데이터 송·수신유닛(611)으로 출력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유닛(6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613)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 및;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6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13)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의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7)과 데이터 송·수신유닛(516), 외부 기기(OE)의 데이터 송·수신유닛(611)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으로는, PLC통신모듈이나, 무선 랜 통신모듈, LonWorks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유선 랜 통신모듈 등과 같은 공지의 유·무선 통신모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OE)로는, 소방센서기구나, 가스센서기구, 방법센서기구, 원격검침기구와 같은 감지기구나, TV,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 등을 적용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보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9)으로 출력하는 마이크(518)와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518)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9) ; 제어유닛(5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520) 및;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이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작동상태 표시유닛(521)을 보강 설치하는 한편, 상기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및/또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에, 제어유닛(117 ; 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17 ; 416)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20 ; 419)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9 ; 418)과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9 ; 418)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120 ; 419)를 보강 설치하면,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 보조 방송장치(SM ; SM1∼SM N)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 또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 ; GO1∼GOM)간의 상호 음성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유닛(520)으로는, 통화상태를 ON/OFF 제어하는 양방향통신 제어스위치(520a)와, 통신코져하는 주소를 호출하기 위한 특정주소 입력스위치(520b)를 갖춘 기계적인 접점방식의 스위치기구를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작동상태 표시유닛(521)으로는, 제어유닛(515)에 의해 직접 작동 제어되는 발광다이오드(521a)나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521b")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521b')과,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521b')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외부로 영상출력하는 디스플레이(521b")로 이루어진 영상출력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와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및/또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 N)에, 제어유닛(117 ; 416 ; 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17 ; 416 ; 515)으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제어유닛(117 ; 416 ; 515)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121 ; 420 ; 522)을 보강 설치하면, 관리자 혹은 거주자의 부재시에 방송 내용이나 통화 메시지를 보조기억유닛(121 ; 420 ; 522)에 저장하고, 필요시에 이를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 417d 」와 「 520c 」는 보조기억유닛(420 ; 52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이고, 미설명부호 「 417d' 」와 「 520c' 」는 보조 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417d ; 520c)를 구성하는 외출선택스위치, 미설명부호 「 417d" 」와 「 520c" 」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417d ; 520c)를 구성하는 저장내용확인스위치이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와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및/또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 N)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23 ; 422 ; 524)으로 출력하는 카메라(122 ; 421 ; 523)와 ; 제어유닛(117 ; 416 ; 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122 ; 421 ; 523)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17 ; 416 ; 515)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23 ; 422 ; 524)을 보강 설치하면,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 또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 ; GO1 ∼GOM)간의 상호 화상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의 작동상태 표시유닛(415 ; 521)으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415b' ; 521b')과 디스플레이(415b" ; 521b")로 이루어진 영상출력기구를 이용해야 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메인 제어유닛(117)에 의 해 작동제어되는 CD-ROM 드라이브(124)를 메인 방송관리장치(MM)에 설치하여, CD에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이를 방송할 수도 있고, 또한 제2커넥터(125)와 전화신호 변·복조유닛(126)을 메인 방송관리장치(MM)에 설치하고, 전화선을 매개로 메인 방송관리장치(MM)를 소방서나 경찰서, 또는 방범회사의 자체 시스템의 연결하여, 비상시에 메인 방송관리장치(MM)로부터의 비상신호가 자동으로 전화선을 통해서 해당 기관의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실외폰(ODP ; ODP1∼ODPM)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3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26)을 상호 연결하는 제3커넥터(525)와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3커넥터(525)로 출력하거나, 제3커넥터(52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26)을 보강 설치하여,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실외폰(ODP)을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양방향 통신가능토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실외폰(ODP)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711)와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71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71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2)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71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71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714) ;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716)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715)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7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715)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71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71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716) ; 입력유닛(71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712,713,7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17) 및; 제어유닛(7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718)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를 실내폰으로 활용하고, 이에 실외폰(ODP)를 연결하여,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와 실외폰(ODP)을 인터폰으로 이용하므로, 세대별 인터폰을 통합 방송시스템으로 흡수하여 네트워크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폰(ODP ; ODP1∼ODPM)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720)으로 출력하는 카메라(719)와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719)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71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720)을 보강 설치하면, 방송출력장치(GO ; GO1∼GOM) 이용자가 실외폰(ODP) 이용자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음성통화할 수 있는 화상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와 도 5 및 도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중계장치(FSH)와,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를 이용하여 이들 중계장치(FSH ; SSH, SSH1∼SSHN)를 구성하는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원격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중계장치(FSH)와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전송라인으로,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제1중계장치(FSH) 및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들 간의 랜통신라인을 이용하면 되므로, 별도의 제어신호 전송라인을 배선작업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제1중계장치(FSH) 및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을 연결하고 있는 하나의 랜통신라인으로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가 전송되면서, 상기 제1중계장치(FSH)와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도 함께 전송되므로, 보안상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와 도 5 및 도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중계장치(FSH)와,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를 이용하고, 메인 방송관리장치(MM)를 이용하여 이들 중계장치(FSH ; SSH, SSH1∼SSHN)의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원격제어하게 되면, 네트워크가 확장될수록 보안상의 문제가 더욱 크게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및/또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유닛(216 ; 318)과 ; 작동제어유닛(216 ; 3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17 ; 319) 및; 작동제어유닛(216 ; 318)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18 ; 320)을 보강 설치하여, 작업자가 해당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의 출력유닛(218 ; 320)을 매개로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면서, 입력유닛(217 ; 319)를 직접 수조작해서 작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전송경로와, 오디오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의 전송경로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므 로, 보안상의 문제는 초래되지 않게 되지만, 해당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해당 중계장치(FSH, FSH1 ∼FSHX ; SSH, SSH1∼SSHN)의 설치위치로 이동하여 직접 수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20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및/또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 )에,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유닛(216 ; 318)과 ; 작동제어유닛(216 ; 318)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18 ; 320) ;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또는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을 상호 연결하는 원격제어를 위한 커넥터(219 ; 321) ; 작동제어유닛(216 ; 318)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작동제어유닛(216 ; 318)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9 ; 321)로 출력하거나, 커넥터(219 ; 32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작동제어유닛(216 ; 318)으로 출력하는 원격제어를 위한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20 ; 322)을 보강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의 작동을 원격제어하면서, 이의 중계 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전송경로와, 오디오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의 전송경로를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보안상의 문제없이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 )를 편리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간의 배선작업이 다소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상기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와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 )의 전체 숫자가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를 위한 커넥터(219 ; 321)를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메인 방송관리장치(MM)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지만, 이들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의 갯수가 증가하게 되면, 이러한 네트워크 구축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및/또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 N)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방송관리장치(MM)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각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중계장치(ASH)를 보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중계장치(ASH)는, 상기 제1·2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보조 중계장치(ASH ; ASH1∼ASHX)를 이용하고 있는 도 19에 도시된 통합 방송시스템이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 확장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도 자유로운 네트워크 확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폰(ODP ; ODP1∼ODPM)에 제2커넥터(723)를 보강 설치하고,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도어잠금장치(DL ; DL1∼DLM)를 실외폰(ODP ; ODP1∼ODPM)에 연결하여,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를 이용하여 실외폰(ODP ; ODP1∼ODPM)을 통해서 도어잠금장치(DL ; DL1∼DL M)를 간접 제어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잠금장치(DL ; DL1∼DLM)를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연결하여, 방송출력장치(GO ; GO1∼GO M)를 매개로 도어잠금장치(DL ; DL1∼DLM)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2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인터넷망이나 주차장 비상콜장치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자유로이 확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주차장 비상콜장치는, 상기 실외폰(ODP ; ODP1∼ODPM)과 유사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보조 방송장치(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1∼GOM)들이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FSH)와 제2중계장치(SSH1∼SSHN)에 연결되어서 단순한 구조의 네트워크를 이루므로, 배선작업이 획기적으로 단순화되고, 제품비용 및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보다 다양한 기능 부여가 가능하게 되고, 네트워크의 확장이 상당히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에 연결되어,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로 출력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다수의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방송관리장치(MM)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각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와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 및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 )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 ;
    랜통신을 매개로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1:1 연결되어, 외부 소리 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로 출력하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 및;
    랜통신을 매개로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로부터 입력되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또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송관리장치(MM)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111)와 ; 메인 제어유닛(1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11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유닛(11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2) ; 메인 제어유닛(1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117)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11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3)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외부로 영상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4) ;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 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115) ; 메인 제어유닛(1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1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115)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11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메인 제어유닛(11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 ; 입력유닛(11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112,113,116)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117) 및; 메인 제어유닛(1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1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는, 메인 방송관리장치(MM)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211)와 ; 제1중계제어유닛(2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211)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2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 출력하는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1∼214N)을 개별적으로 상호 1:1 연결하는 다수의 제2커넥터(2131∼213N) ; 제1중계제어유닛(2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해당 제2커넥터(2131∼213N)로 출력하거나, 해당 제2커넥터(2131∼213N )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1∼214N) 및; 각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2141∼214N)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2 ; 2141∼214N)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중계제어유닛(2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는,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311)와 ; 제2중계제어유닛(3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311)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3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출력하는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4)을 상호 연결하는 제2커넥터(313) ; 제2중계제어유닛(3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2커넥터(313)로 출력하거나, 제2커넥터(313)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출력하는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4) ;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을 개별적으로 상호 1:1 연결하는 다수의 제3커넥터(3151∼315M) ;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해당 제3커넥터(3151∼315M)로 출력하는 다수의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 및; 각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314)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2 ; 314)과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1∼316M)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41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411)와 ; 제어유닛(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41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416)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412) ;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414)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413) ; 제어유닛(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416)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413)로 출력하거나, 커넥터(413)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416)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414) ; 제어유닛(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이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작동상태 표시유닛(415) ; 입력유닛(417)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412,414,4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16) 및; 제어유닛(4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4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 )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511)와 ; 제1커넥터(5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1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514) ;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5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의 제2중계제어유닛(3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3커넥터(3151∼315M)로 출력하거나, 제3커넥터(3151∼315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2중계제어유닛(317)으로 출력하는 제3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3161'∼316M')이,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의 데이터신호 변조유닛(316 1∼316M)으로 대용되고,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의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511)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5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제1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2')이,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의 데이터신호 복조유닛(512)으로 대용되어서,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와 방송출력장치(GO ; GO1∼GOM)가 양방향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제2데이터신호 변· 복조유닛(517)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외부 기기(OE ; OE1∼OEM)로 유·무선 송신하거나, 외부 기기(OE ; OE1∼OE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수신하여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유닛(516)과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데이터 송·수신유닛(516)으로 출력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유닛(516)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제2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17)이 보강되고,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방송출력장치(GO ; GO1∼GOM)로 유·무선 송신하거나, 방송출력장치(GO ; GO1∼GO M)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수신하여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유닛(611)과 ; 제어유닛(613)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613)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데이터 송·수신유닛(611)으로 출력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유닛(6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613)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 및;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61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6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13)을 갖춘 외부 기기(OE ; OE1∼OEM)가 보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9)으로 출력하는 마이크(518)와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518)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519) ; 제어유닛(5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520) 및;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이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작동상태 표시유닛(521)이 보강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및/또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에, 제어유닛(117 ; 416)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17 ; 416)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20 ; 419)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9 ; 418)과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19 ; 418)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120 ; 419)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와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및/또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에, 제어유닛(117 ; 416 ; 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17 ; 416 ; 515)으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제어유닛(117 ; 416 ; 515)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121 ; 420 ; 522)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와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및/또는 보조 방송장치(SM ; SM1∼SMN)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23 ; 422 ; 524)으로 출력하는 카메라(122 ; 421 ; 523)와 ; 제어유닛(117 ; 416 ; 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122 ; 421 ; 523)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17 ; 416 ; 515)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23 ; 422 ; 524)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실외폰(ODP ; ODP1∼ODPM)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제3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26)을 상호 연결하는 제3커넥터(525)와 ; 제어유닛(51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515)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3커넥터(525)로 출력하거나, 제3커넥터(52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515)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526)이 보강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711)와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71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71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2)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71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71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71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714) ; 방송출력장치(GO ; GO1∼GOM)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716)을 상호 연결하는 제1커넥터(715)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71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제1커넥터(715)로 출력하거나, 제1커넥터(71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71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716) ; 입력유닛(71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 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712,713,7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17) 및; 제어유닛(7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718)을 갖춘 실외폰(ODP ; ODP1∼ODPM)이 보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폰(ODP ; ODP1∼ODPM)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720)으로 출력하는 카메라(719)와 ; 제어유닛(71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719)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71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720)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및/또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유닛(216 ; 318)과 ; 작동제어유닛(216 ; 3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17 ; 319) 및; 작동제어유닛(216 ; 318)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18 ; 320)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및/또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유닛(216 ; 318)과 ; 작동제어유닛(216 ; 318)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계제어유닛(215 ; 317)의 작동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18 ; 320) ; 메인 방송관리장치(MM) 또는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에 연결되어진 랜통신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6)을 상호 연결하는 원격제어를 위한 커넥터(219 ; 321) ; 작동제어유닛(216 ; 318)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작동제어유닛(216 ; 318)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9 ; 321)로 출력하거나, 커넥터(219 ; 32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작동제어유닛(216 ; 318)으로 출력하는 원격제어를 위한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20 ; 322)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송관리장치(MM)와 제1중계장치(FSH ; FSH1∼FSHX) 및/또는 제2중계장치(SSH ; SSH1∼SSHN)에 랜통신라인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방송관리장치(MM)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각 중계장치(FSH, FSH1∼FSHX ; SSH, SSH1∼SSHN)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신호의 고유 발신·수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송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중계장치(ASH ; ASH1∼ASHX)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KR20040001581A 2004-01-09 2004-01-09 통합 방송시스템 KR100613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1581A KR100613417B1 (ko) 2004-01-09 2004-01-09 통합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1581A KR100613417B1 (ko) 2004-01-09 2004-01-09 통합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231A KR20050073231A (ko) 2005-07-13
KR100613417B1 true KR100613417B1 (ko) 2006-08-25

Family

ID=3726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1581A KR100613417B1 (ko) 2004-01-09 2004-01-09 통합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4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24B1 (ko) 2008-07-01 2010-08-10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KR101640752B1 (ko) * 2015-10-27 2016-07-20 (주)진명아이앤씨 리버스 앰프음원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4567A (ko) 2018-12-17 2020-06-25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 출력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946B1 (ko) * 2007-01-18 2008-10-27 권영현 송출지역 자동전환 방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152225B1 (ko) * 2011-11-24 2012-06-11 주식회사 영전 Can 통신방식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24B1 (ko) 2008-07-01 2010-08-10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KR101640752B1 (ko) * 2015-10-27 2016-07-20 (주)진명아이앤씨 리버스 앰프음원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4567A (ko) 2018-12-17 2020-06-25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 출력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231A (ko)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310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電子機器
JPH0686362A (ja) 電気機器操作装置
CN101317386A (zh) 具有多媒体功能的视频对讲机
JP4622656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613417B1 (ko) 통합 방송시스템
JP4586647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7053633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6222887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住戸機及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5260359A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KR20090091007A (ko)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
JP2691419B2 (ja) 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KR100219672B1 (ko) 집단주택 관리 시스템의 화상 및 음성 송수신 장치
JP3581227B2 (ja) 集合住宅用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JP2717266B2 (ja) 住宅用画像録画再生システム
JP5270823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932530B1 (ko) 자동전환장치를 가지는 공동현관 출입통제 시스템
KR200427297Y1 (ko) 양방향 구내 방송용 제어장치
JP4965943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683452B2 (ja) 集合住宅向けテレビドアホンの多重化方式
JPS6065653A (ja) 放送装置
JPH0583762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ヨンシステム
KR100613415B1 (ko) 인터폰장치
JP548059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919323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S6229385A (ja) インタ−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