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415B1 - 인터폰장치 - Google Patents

인터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415B1
KR100613415B1 KR1020030091774A KR20030091774A KR100613415B1 KR 100613415 B1 KR100613415 B1 KR 100613415B1 KR 1020030091774 A KR1020030091774 A KR 1020030091774A KR 20030091774 A KR20030091774 A KR 20030091774A KR 100613415 B1 KR100613415 B1 KR 10061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signal
analog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211A (ko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홍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헌 filed Critical 홍기헌
Priority to KR102003009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4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폰과 실외폰으로 구성되어진 인터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폰(200)의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는 실외폰(100)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209)이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고, 또한 보조기억유닛(209)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2)이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구조를 이루므로, 실외폰 이용자가 부재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이를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인터폰장치의 다기능화로 인해서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폰장치{Interphone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제어스위치, 11 ;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
12 ;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 12a ; 외출선택스위치,
12b ; 저장내용 확인스위치, 13 ; 도어열림스위치,
14 ; 전화번호 입력스위치, 20 ; 터치판넬(Touch Pannel),
100 ; 실외폰, 101 ; 마이크,
102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1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104 ; 스피커, 105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106 ; 커넥터, 107 ; 제어유닛,
108 ; 입력유닛, 109 ; 카메라,
110 ;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111 ; 커넥터, 112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00 ; 실내폰, 201 ; 커넥터,
202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204 ; 스피커, 205 ; 마이크,
206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207 ; 메인 제어유닛, 208 ; 입력유닛,
209 ; 보조기억유닛,
210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
211 ; 디스플레이, 212 ; 커넥터,
213 ; 전화신호 변·복조유닛, 214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15 ; 데이터 송·수신유닛, 216 ; 제어신호 수신유닛,
217 ; 제어신호 복조유닛, 218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219 ; 커넥터, 300 ; 도어잠금장치,
301 ; 제어유닛.
본 발명은 실내폰과 실외폰으로 구성되어, 실내 부재시 실외폰 이용자에게 부재사실을 알리고,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이를 청취할 수 있도록 된 인터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학교·병원·공장·사무실 등의 구내 연락용이나, 일반 가정에서의 벨 대용으로 이용되는 인터폰장치는, 사용목적과 설치장소, 주변 소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인터폰장치로는, 송화시에는 버튼 또는 키를 누르고 말을 하고, 수화시에는 손을 떼고 상대방의 말을 듣는 프레스투토크(press to talk)식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프레스투토크식 인터폰장치는 그 구조가 가장 단순하여 제품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이 상당히 불편하고, 기능이 너무 단순하여, 현재는 차츰 사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프레스투토크식 보다는 그 구조가 복잡하지만, 동시에 쌍방향 통화가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기능을 다양화하기에 용이한 상호통화식 인터폰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상호통화식 인터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폰(100)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폰(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외폰(1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101)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10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104)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106)로 출력하거나, 커넥터(106)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과, 실내폰(200)의 커넥터(201)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06) ;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내폰(2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102,103,10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7) 및; 제어유닛(1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108)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실내폰(200)은, 실외폰(100)의 커넥터(106)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01)와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 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01)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204) ;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으로 출력하는 마이크(205)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205)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 ; 입력유닛(2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외폰(1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202,203,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207) 및; 메인 제어유닛(2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0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인터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방문자가 실외폰(100)의 입력유닛(108 ; 통상 버튼형태의 호출스위치가 이용된다)을 조작하면,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유닛(108) → 제어유닛(1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커넥터(106)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201)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 되고,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초기호출 오디오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메인 제어유닛(207)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스피커(204)로 전송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이 방문자가 호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스피커(204)를 통해서 청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에 있는 사람이 입력유닛(208)인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N으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 →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으로 전송되는데,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외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스피커(204)를 통해서 출력되고, 마이크(20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실외폰(100)으로 전송되는 한편, 실내폰(200)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제어유닛(107)으로 입력되면, 제어유닛(107)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과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스피커(104)를 통해서 출력되고, 마이크(10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실내폰(200)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실외폰(100)과 실내폰(200)에 의한 쌍방향 동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실내에 있는 사람이 입력유닛(208)인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FF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 →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으로 전송되는데,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피커(204)와 마이크(205)로의 신호전송이 차단되는 한편, 실내폰(200)으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제어유닛(107)으로 입력되면, 제어유닛(107)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과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피커(104)와 마이크(101)로의 신호전송이 차단된다. 따라서, 실외폰(100)과 실외폰(200)에 의한 쌍방향 동시 통화가 종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인터폰장치는, 실내 부재중임을 실외폰 이용자(방문자)에게 알리고,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청취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지 못하여, 실외폰 이용자가 실내 부재중임을 파악하기 힘들고, 방문 사실과 방문 목적등의 메시지를 남기고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실내 부 재시 실외폰 이용자에게 부재사실을 알리고,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이를 청취할 수 있도록 된 인터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으로 출력하는 마이크와 ;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 ;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로 출력하거나, 커넥터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과, 실내폰의 커넥터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내폰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제어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으로 구성되어진 실외폰과 :
실외폰의 커넥터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와 ;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 ;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 ;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 ;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외폰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 및; 메인 제어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으로 구성되어진 실내폰을 갖춘 인터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의 메인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으로 입력되는 실외폰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메인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이 실내폰에 보강 구비되고, 보조기억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이 실내폰의 입력유닛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시에 쌍방향 통화가 가능한 상호통화식 인터폰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폰(100)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폰(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내폰(200)의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는 실외폰(100)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209)이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고, 보조기억유닛(209)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2)이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외폰(100)으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101)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10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104)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106)로 출력하거나, 커넥터(106)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과, 실내폰(200)의 커넥터(201)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06) ;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내폰(2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102,103,10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7) 및; 제어유닛(1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108)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실내폰(200)으로는, 실외폰(100)의 커넥터(106)에 연결되어진 외 부 데이터전송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01)와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01)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204) ;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으로 출력하는 마이크(205)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205)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 ; 입력유닛(2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외폰(1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202,203,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207) 및; 메인 제어유닛(2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08)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은, 실내폰 작동제어수단과,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실내폰 작동제어수단으로는 기계적인 접촉방식의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으로는 기계적으로 접촉되는 버튼 타입의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12)를 이용하였으며, 버튼 타 입의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스위치(12)로는 외출선택스위치(12a)와, 저장내용 확인스위치(12b)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방문자가 실외폰(100)의 입력유닛(108 ; 통상 버튼형태의 호출스위치가 이용된다)을 조작하면,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유닛(108) → 제어유닛(1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커넥터(106)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201)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되고,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초기호출 오디오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메인 제어유닛(207)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스피커(204)로 전송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이 방문자가 호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스피커(204)를 통해서 청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에 있는 사람이 입력유닛(208)인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N으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 →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으로 전송되는데,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응답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 을 제어하여, 실외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스피커(204)를 통해서 출력되고, 마이크(20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실외폰(100)으로 전송되는 한편, 실내폰(200)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제어유닛(107)으로 입력되면, 제어유닛(107)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과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가 스피커(104)를 통해서 출력되고, 마이크(10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실내폰(200)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실외폰(100)과 실내폰(200)에 의한 쌍방향 동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실내에 있는 사람이 입력유닛(208)인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FF로 조작하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 →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으로 전송되는데,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로부터의 종료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과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피커(204)와 마이크(205)로의 신호전송이 차단되는 한편, 실내폰(200)으로부터의 종료신호가 제어유닛(107)으로 입력되면, 제어유닛(107)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과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피커(104)와 마이크(101)로의 신호전송이 차단된다. 따라서, 실외폰(100)과 실외폰(200)에 의한 쌍방향 동시 통화가 종료된다.
반면, 실내에 있던 사람이 외출하면서 외출선택스위치(12a)를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하여 실내 부재중임을 선택하게 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외출선택스위치(12a)로부터의 부재신호를 입력받아서, 미리 설정되어진 실내 부재시의 인터폰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 부재중인 상태에서, 방문자(실외폰 사용자)가 실외폰(100)의 입력유닛(108)을 조작하면,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유닛(108) → 제어유닛(1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커넥터(106)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201)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되고,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부재중임을 알리는 부재중신호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으로 출력하게 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부재중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 → 스피커(104)로 전송되므로, 일정시간 동안 실외폰(100)의 스피커(104)를 통해서 출력되는 부재중신호를 매개로 방문자가 실내 부재중인 상태를 즉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 부재중신호의 출력이 완료되면, 실내폰(200)의 메인 제어유닛(207)에서 데이터저장신호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으로 출력하게 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데이터저장신호가 메인 제어유닛(2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커넥터(201)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106)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제어유닛(107)으로 전송되고,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데이터저장신호가 실외폰(100)의 제어유닛(107)으로 입력되면, 제어유닛(107)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을 작동 제어하여, 실외폰 마이크(101)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마이크(101)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 → 제어유닛(1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커넥터(106)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201)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되며,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전송되는 실외폰 마이크(101)로부터의 오디오신호는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보조기억유닛(209)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부재중신호의 출력후에 방문자가 방문자의 인적사항이나, 방문 목적등을 실외폰을 향해 말하게 되면, 방문자의 음성메시지가 보조기억유닛(209)에 저장되는데,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시간은 실내폰(200)의 메인 제어유닛(207)에 적절한 시간으로 미리 셋팅되어질 수도 있고, 실외폰(108)의 재조작신호를 데이터저장 종료신호로 인식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 두 방식을 적절하게 응용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외출했던 사람이 실내로 돌아와서 외출선택스위치(12a)를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전환하고, 저장내용 확인스위치(12b)를 조작하게 되면, 메인 제어유닛(207)이 보조기억유닛(209)과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의 작동을 제어하여, 보조기억유닛(209)에 저장되어진 녹음내용이 스피커(204)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기억유닛(209)과, 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2)이 보강 구비되어, 실외폰 이용자에게 부재사실을 알리고,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이를 청취할 수 있게 되므로, 인터폰장치의 기능이 크게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으로 출력하는 카메라(109)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109)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이 실외폰(100)에 보강 구비되는 한편,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211)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0)과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영상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1)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호출신호를 들은 실내에 있는 사람이 실내폰 작동제어스위치(11)를 ON으로 조작하게 되면, 마이크(101)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마이크(101) →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 → 제어유닛(1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커넥터(106)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201)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메인 제어유닛(207)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스피커(204)로 전송되면서, 카메라(109)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카메라(109) →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 → 제어유닛(107)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커넥터(106) → 외부 데이터전송라인 → 커넥터(201)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메인 제어유닛(207)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0) → 디스플레이(211)로 전송되므로, 실내에 있는 사람이 방문자의 음성을 들으면서, 방문자의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실내 부재시에 방문자의 음성메시지와 더불어 방문자의 모습을 보조기억유닛(209)에 저장할 수 있게 되어 방범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폰 제어유닛(107)과, 도어잠금장치(300)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11)를 실외폰(100)에 보강 설치하고, 도어잠금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잠금장치 작동제어수단(13)을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보강하면, 실내폰(200) 이용자가 도어잠금장치(300)를 손쉽게 작동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어잠금장치(300)가 실외폰(100)의 제어유닛(107)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단순하게 작동제어되는 방식의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어잠금장치(300)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폰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111)로 출력하거나, 커넥터(1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2)을 실외폰(100)에 보강 설치하여, 도어잠금장치(300)의 제어유닛(301)과 실외폰(100)의 제어유닛(107)이 상호 쌍방향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폰(200) 이용자가 도어잠금장치(300)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외부 전화신호전송라인과, 전화신호 변·복조유닛(213)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12)와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12)로부터의 아날로그 전화신호를 디지털 전화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전화신호를 아날로그 전화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2)로 출력하는 전화신호 변·복조유닛(213)이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수단(14)이 실내폰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폰(200)을 전화기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실내 부재시에 방문자(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 및/또는 영상을 저장하면서, 전화통화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상기 실내폰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5)로 출력하거나, 커넥터(21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과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외부 기기(가전기기나, 조명등, 커튼개폐장치 등의 기기 ; 도시안됨)로 유·무선 송신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유닛(215)이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실내폰(200)으로 전화를 걸어서, 외부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상기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과 데이터 송·수신유닛(215)으로는, PLC통신모듈이나, 무선 랜 통신모듈, LonWorks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유선 랜 통신모듈 등과 같은 공지의 통신모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기기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수단(214,215)이 구비되어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원격조정장치로부터의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유닛(216)과 ; 제어신호 수신유닛(216)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디지털 제어신호로 복조하여 이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 력하는 제어신호 복조유닛(217)을 실내폰(200)에 보강 설치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실내에서 무선원격제어기(도시안됨)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들을 원격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폰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9)로 출력하거나, 커넥터(219)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8)과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8)과, 외부 인터넷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19)를 실내폰(200)에 보강 설치하여, 외부에 있는 사람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서 실내폰(200)에 접속하여 외부 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기계적인 접속방식의 제어스위치(10)를 이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폰(200)의 디스플레이(211) 화면에 설치되어, 화면에 접촉된 위치를 파악하는 터치판넬(20)을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계적인 접속방식의 제어스위치(10)와 터치판넬(20)을 모두 입력유닛(208)으로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 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동시에 쌍방향 통화가 가능한 상호통화식 인터폰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진 것을 일예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프레스투토크식 인터폰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제어 역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폰(200)의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는 실외폰(100)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209)이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고, 보조기억유닛(209)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2)이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구조를 이루므로, 실외폰 이용자가 부재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이를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인터폰장치의 다기능화로 인해서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폰 이용자의 모습이 실외폰에 구비되어진 카메라(109)를 통해 입력되어서 실내폰에 구비되어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보조기억유닛(209)에 실외폰 이용자의 음성메시지 뿐만아니라 실외폰 이용자의 모습도 저장하여 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면, 인터폰장치의 방범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PLC통신모듈이나, 무선 랜 통신모듈, LonWorks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유선 랜 통신모듈 등과 같은 공지의 통신모듈을 실내폰(200)에 설치하고, 전화나, 인터넷, 터치판넬, 무선원격제어기 등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면, 외부 기기의 작동을 보다 자유롭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으로 출력하는 마이크(101)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10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2)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1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104)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106)로 출력하거나, 커넥터(106)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05)과, 실내폰(200)의 커넥터(201)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06) ; 입력유닛(1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내폰(2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102,103,10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7) 및; 제어유닛(1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108)으로 구성되어진 실외폰(100)과 :
    실외폰(100)의 커넥터(106)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과,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01)와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01)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02)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04)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 ;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204) ;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으로 출력하는 마이크(205)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205)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오디오신호변환유닛(206) ; 입력유닛(20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실외폰(1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데이터처리하면서 해당 구성요소들(202,203,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닛(207) 및; 메인 제어유닛(20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08)으로 구성되어진 실내폰(200)을 갖춘 인터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200)의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입력되는 실외폰(100)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보조기억유닛(209)이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고, 보조기억유닛(209)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기억유닛 작동제어수단(12)이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폰(100)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으로 출력하는 카메라(109)와 ;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카메라(109)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신호변환유닛(110)이 보강 구비되고,
    상기 실내폰(200)에, 메인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211)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0)과 ;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신호변환유닛(21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영상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1)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폰 제어유닛(107)과, 도어잠금장치(300)에 연결되어진 외부 데이터전송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11)가 실외폰(100)에 보강 구비되고, 도어잠금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잠금장치 작동제어수단(13)이 실내폰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폰 제어유닛(1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1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111)로 출력하거나, 커넥터(11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1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112)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200)에, 외부 전화신호전송라인과, 전화신호 변·복조유닛(213)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12)와 ;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커넥터(212)로부터의 아날로그 전화신호를 디지털 전화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거나,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전화신호를 아날로그 전화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2)로 출력하는 전화신호 변·복조유닛(213)이 보강 구비되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수단(14)이 실내폰 입력유닛(208)으로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5)로 출력하거나, 커넥터(215)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과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4)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외부 기기로 유·무선 송신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유닛(215)이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200)에, 외부 원격조정장치로부터의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유닛(216)과 ; 제어신호 수신유닛(216)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디지털 제어신호로 복조하여 이를 메인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제어신호 복조유닛(217)이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200)의 디스플레이(211) 화면에 설치되어, 화면에 접촉된 위치를 파악하는 터치판넬(20)이 실내폰(200)의 입력유닛(208)으로 이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폰 제어유닛(207)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207)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조하여 커넥터(219)로 출력하거나, 커넥터(219)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 제어유닛(207)으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8)과 ; 데이터신호 변·복조유닛(218)과, 외부 인터넷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19)가 실내폰(200)에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장치.
KR1020030091774A 2003-12-16 2003-12-16 인터폰장치 KR10061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774A KR100613415B1 (ko) 2003-12-16 2003-12-16 인터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774A KR100613415B1 (ko) 2003-12-16 2003-12-16 인터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211A KR20050060211A (ko) 2005-06-22
KR100613415B1 true KR100613415B1 (ko) 2006-08-17

Family

ID=3725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774A KR100613415B1 (ko) 2003-12-16 2003-12-16 인터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4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211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2861A (en) Device transmitting audio and image information remotely via e-mail
EP0789493A1 (en) Audio-video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 to houses and the like
US20060287735A1 (en) Multifunctional system for application in home automation
KR100613415B1 (ko) 인터폰장치
KR100918040B1 (ko) 다기능 무선제어 가능한 지능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10008246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방법 및 그 장치
JP4586647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6222887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住戸機及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S63275248A (ja) 電話機
KR20030033353A (ko) 도어폰
JP2001186509A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JP3901153B2 (ja) 集合住宅管理通話システム
JP3718907B2 (ja) トイレ内機器のリモコン装置システム
JP4622657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10108621A (ko) 텔리 인터폰 시스템
US20070046780A1 (en) Remote intercom operator with finder
KR100296507B1 (ko) 적외선리모콘 신호수신 기억형 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JP3901152B2 (ja) 集合住宅管理通話システム
KR100828321B1 (ko) 텔레비전을 이용한 화상 전화 시스템 및 방법
KR200221078Y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장치
JP3673935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50068495A (ko) 인터폰 시스템
KR100368953B1 (ko) 착탈이동 가능한 가정용 무선 제어 시스템
KR200169045Y1 (ko) 텔레비전을이용한적외선신호기억제어기
JP3654183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