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431A - 모터 유닛 - Google Patents

모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431A
KR20050067431A KR1020057007923A KR20057007923A KR20050067431A KR 20050067431 A KR20050067431 A KR 20050067431A KR 1020057007923 A KR1020057007923 A KR 1020057007923A KR 20057007923 A KR20057007923 A KR 20057007923A KR 20050067431 A KR20050067431 A KR 20050067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mponent
motor unit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키 아마가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Publication of KR2005006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4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8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associated with geared commutator motors of the worm-and-whe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제어 회로부의 스페이스를 축소하여, 모터 유닛을 소형화한다. 모터와 구동 제어부(4)를 일체화한 모터 유닛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4)를 2개의 회로 부품 수용부(33, 34)를 입체적으로 배치한 적층 구조로 하고, 양 수용부(33, 34) 사이에 버스바(37)를 배치한다. 회로 부품 수용부(33)에는 회전 센서(40)나 위치 센서(41) 등의 신호계 회로 부품을 실장한 프린트 기판(38)을 배치한다. 회로 부품 수용부(34)에는 FET(44)나 릴레이(45) 등의 파워계 회로 부품을 배치한다. 파워계 회로 부품은 버스바(37)에 직접 실장되고, 버스바(37)를 끼워 프린트 기판(38)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회로 부품 수용부(34)는 회로 부품 수용부(33)에 대하여 유닛 외면측에 배치되고, 그 외측에는 히트 싱크(32)가 장착된다.

Description

모터 유닛{Motor unit}
본 발명은 모터와 감속 기구나 제어 회로를 일체화시킨 모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퍼나 슬라이드 도어 등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자동차용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자동차 정면유리 닦기용의 와이퍼 장치에서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링크에 의해서 와이퍼 아암을 작동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와이퍼 시스템의 고기능화에 동반하여, 이러한 링크 구동방식 대신에,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와이퍼 동작을 컨트롤하는 방식도 많이 보인다. 이러한 모터 제어 구동방식에서는 제품 모듈화 등의 관점에서, 제어 회로를 모터와 일체화시킨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02-511038호 처럼, 모터는 감속 기구를 포함시킨 하나의 유닛으로서 실차에 탑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모터 유닛에 있어서는 제어 회로부를 하우징 내에 평면적으로 배치하고, 제어 회로부에 회로 부품을 평면적으로 재치하기 때문에, 회로 부품의 실장 면적이 넓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어 회로부에서는 파워 MOSFET나 릴레이 등의 파워계 소자도 모두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기판상에서는 전류량에 맞추어서 구리박 패턴 폭을 넓게 잡을 필요가 있고, 그 만큼, 기판 면적이 확대된다. 파워계 소자는 그 방열성을 고려하면 기판 면적은 넓은 쪽이 바람직하고, 이 점에서도 기판 면적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 요인에 의해 제어 회로부가 커지는 경향이 있고, 유닛이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유닛이 대형화되면, 차체측에 그것과 맞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해야만 하여,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유닛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부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축소하여,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커버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하부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히트 싱크를 분리한 상태의 하부 케이스를 도 2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하부 케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2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를 하방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5는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하부 케이스의 도 2에 있어서 상면측의 모양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6은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하부 케이스의 도 2에 있어서 하면측의 모양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본 발명의 모터 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구비한 구동 제어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모터 유닛으로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배치된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와,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사이에 배치된 연락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 제어부를 제 1 및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구비한 입체적인 구조로 함으로써, 회로 부품을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평면적인 확장을 억제하여 작은 스페이스 내에 모터 구동 제어용의 회로 부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종래의 모터 유닛에 비하여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고, 차체측의 설치 스페이스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양 수용부의 회로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연락선이 흡수하기 때문에, 응답성 등의 정밀도가 좋은 모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모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프린트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 상기 프린트 기판과 상기 연락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부품을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모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과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 배치된 회로 부품을, 상기 연락선을 끼워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로써, 스페이스 효율 좋게 회로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신호계의 회로 부품을 배치하고,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 파워계의 회로 부품을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배치되는 프린트 기판상을 흐르는 전류량이 작아지고, 구리박 패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기판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파워계 회로 부품을 상기 연락선에 직접 실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모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대하여 유닛 외면측에 배치하여도 좋고, 이로써, 파워계 회로 부품을 외기측에 배치할 수 있으며, 거기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 좋게 외기로 방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의 외측에 히트 싱크를 설치하고, 방열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모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닛을,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감속 기구가 수용되는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제어부가 수용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커버 어셈블리를, 상하에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입체적으로 배치한 2실 구조로 하거나, 상기 커버 어셈블리에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구획하는 격벽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격벽에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하는 연락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커버 어셈블리를, 상기 격벽을 구비하여 상기 격벽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격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면에 파워계 회로 부품을 고정하거나, 케이스 커버의 외면측에 복수의 핀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측에 흑색 알루마이트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의 모터 유닛(1)은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전동모터(2)와 감속 기구부(3) 및 구동 제어부(4)가 일체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동모터(2)의 회전출력은 감속 기구부(3)에서 감속되어 도시하지 않는 와이퍼 기구를 구동한다.
전동모터(2)는 스테이터(stator; 10)와 로터(rotor; 11)로 이루어진다. 스테이터(10)에는 바닥이 있는(有底) 통형상의 요크(12)와, 요크(12)의 내주면에 고정된 영구자석(13)과, 브러쉬(14) 및 브러쉬(14)를 보유하는 브러쉬 호울드(15)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11)측에는 스테이터(10) 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축(16)과, 모터축(16)에 고정된 아마츄어 코어(17; armature core)와, 아마츄어 코어(17)에 권취된 코일(18)과, 아마츄어 코어(17)의 측방에서 모터축(16)에 고정된 커뮤테이터(commutator; 19)가 설치되어 있다.
요크(12)의 개구측말단 가장자리부에는 케이스 프레임(21)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 프레임(21)의 측말단부에는 브러쉬 호울더(15)의 나사(22)로써 고정되어 있다. 브러쉬 호울더(15)에는 브러쉬(14)가 내외 직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브러쉬(14)는 스프링(23)에 의해서 커뮤테이터(19)측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고, 또한 커뮤테이터(19)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고, 이들의 기본적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모터와 동일하다.
케이스 프레임(21) 내에는 모터축(16)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기 위한 감속 기구부(3)가 배치되어 있다. 감속 기구부(3)는 기어 감속 기구로 이루어지고, 모터축(16)의 회전을 웜(24), 웜 기어(25), 제 1 기어(26), 제 2 기어(27)에 의해서 감속하여 구동축(28)으로부터 출력시킨다. 모터축(16)의 선단부는 요크(12)로부터 케이스 프레임(21) 내로 돌출하고 있고, 거기에는 서로 역비틀림의 나사홈이 새겨진 한 쌍의 웜(24a, 24b)이 형성되어 있다. 웜(24a)은 케이스 프레임(21)의 저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웜 기어(25)와 맞물려 있다. 웜(24b)은 웜 기어(25)와 한 쌍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또 하나의 웜 기어와 맞물려 있다.
웜 기어(25)에는 동축상에 소직경의 제 1 기어(26)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1 기어(26)는 대직경의 제 2 기어(27)와 맞물려 있다. 제 2 기어(27)는 케이스 프레임(21)의 저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28)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또 하나의 웜 기어에도 소직경의 제 1 기어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 2 기어(27)와 맞물려 있다. 구동축(28)은 케이스 프레임(21)의 바닥부로부터 돌출하여, 도시하지 않는 와이퍼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또, 케이스 프레임(21)의 바닥부에는 구동축(28)을 덮도록 시일 러버(seal rubber; 29)가 장착되어 있다. 모터축(16)의 회전은 웜(24a, 24b), 웜 기어(25) 및 도시하지 않는 웜 기어, 제 1 기어(26) 및 도시하지 않는 제 1 기어, 제 2 기어(27)를 거쳐서 감속되어 구동축(28)에 도달하여 와이퍼 장치를 작동시킨다.
케이스 프레임(21)의 도 1에 있어서 상측에는 구동 제어부(4)가 수용된 커버 어셈블리(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커버 어셈블리(3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커버 어셈블리(30)는 합성수지제의 하부 케이스(31)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히트 싱크(케이스 커버; 32)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하부 케이스(31)의 평면도이고, 히트 싱크(32)를 분리한 상태의 하부 케이스(31)를 도 2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하부 케이스(31)의 저면도이고, 도 2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31)를 하방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도 6은 하부 케이스(31)의 사시도이고, 도 5는 하부 케이스(31)의 도 2에 있어서 상면측의 모양을 도시하고, 도 6은 도 2에 있어서 하면측의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31)의 내부는 상하에 회로 부품 수용부(33, 34)를 입체적으로 배치한 2실 구조로 되어 있다. 상하의 회로 부품 수용부(33, 34) 사이는 하부 케이스(31) 내에 형성된 격벽(35)으로써 구획되어 있다. 격벽(35)에는 양 수용부(33, 34) 내를 연통하는 연락 구멍(36)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락 구멍(36)에는 금속제의 버스바(연락선; 37)가 배선되어 있어, 양 수용부(33, 34)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하측의 회로 부품 수용부(33;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는 신호계의 칩부품이 실장된 프린트 기판(38)이나 콘덴서(39) 등이 수용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38)상에는 모터축(16)의 회전 검출을 하는 회전 센서(40)나, 구동축(28)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41) 등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 센서(40)에 대응하여 모터축(16)에는 회전 검출용 센서 마그넷(42)이 장착되어 있고, 회전 센서(40)로부터는 모터축(16)의 회전에 동반하여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위치 센서(41)에 대응하여 제 2 기어(27)에는 위치 검출용 센서 마그넷(43)이 장착되어 있고, 위치 센서(41)에 의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절대위치(예를 들면, 하반전위치)가 검출된다. 위치 센서(41)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절대위치를 검출하는 동시에, 회전 센서(40)로부터의 펄스신호를 카운트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의 절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파악된다. 이로써, 와이퍼 블레이드의 현재 위치가 정확하게 검출된다.
상측의 회로 부품 수용부(34;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는 파워계의 회로 부품인 FET(44)나 릴레이(45), 다이오드(46), 콘덴서(47) 등이 수용된다. 회로 부품 수용부(34) 내에는 프린트 기판(3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37)가 배선되어 있고, FET(44)등의 디스크리트(discrete) 부품은 버스바(37)상에 직접 실장된다. 버스바(37)에는 파워계 회로 부품에 흐르는 전류량에 맞추어서 폭이 넓은 금속판이 사용된다. 버스바(37)는 에폭시계의 수지로써 고정되고, 서로 절연된다.
하부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커버를 겸한 히트 싱크(32)가 장착되어 있다. 히트 싱크(32)의 내면측에는 FET(44)가 나사(48)로 고정된다. FET(44)는 그 상면(44a)이 히트 싱크(32)의 내면(32a)에 직접 접촉한 상태로 장착된다. 히트 싱크(32)의 외면측에는 복수의 핀(49)이 형성되어 있다. FET(44)에서 발생한 열은 히트 싱크(32)에 직접 전도하여, 핀(49) 등을 통하여 히트 싱크(32)의 외면로부터 빠르게 방열된다. 또, 히트 싱크(32)에는 방열성 향상을 위해서 흑색 알루마이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제어부(4)에서는 하부 케이스(31)의 내부를 입체적인 2실 구조로서 회로 부품을 적층 배치함으로써, 평면적인 확장을 억제하여 작은 스페이스 내에 모터 구동 제어용의 회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모터 유닛에 비하여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어, 차체측의 설치 스페이스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1) 내부는 버스바(37)를 끼우고, 프린트 기판(38)과 FET(44) 등의 디스크리트 부품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31) 내에 스페이스 효율 좋게 회로 부품이 배치된다.
또한, 양 수용부(33, 34) 사이를 버스바(37)로써 연락하여, 파워계의 회로 부품을 버스바(37)에 실장하고, 프린트 기판(38)에는 신호계의 회로 부품만을 실장하면, 기판상을 흐르는 전류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상의 구리박 패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기판 사이즈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2실 구조와 더불어, 또한 모터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 수용부(33, 34)의 회로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버스바(37)가 흡수하기 때문에, 응답성 등이 개선되어 모터의 제어 정밀도의 향상도 도모된다.
한편, 구동 제어부(4)에서는 모터축(16)측의 회로 부품 수용부(33)에 신호계의 센서부품을 배치하여, 하부 케이스(31)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회로 부품 수용부(34)에 파워계의 회로 부품을 배치하고 있다. 즉, 파워계 회로 부품은 외기측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 좋게 외기로 방산시킬 수 있다. 또한, 파워계 회로 부품의 배면측에, 하부 케이스(31)의 커버를 겸하여 히트 싱크(3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방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유닛에 의하면, 모터와 구동 제어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모터 유닛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를 제 1 및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구비한 입체적인 구조로 하고, 양 수용부의 사이를 연락선으로써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로 부품을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평면적인 확장을 억제하여 작은 스페이스 내에 모터 구동 제어용의 회로 부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종래의 모터 유닛에 비하여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고, 차체측의 설치 스페이스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양 수용부의 회로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연락선이 흡수하기 때문에, 응답성 등의 정밀도가 좋은 모터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 유닛에 의하면,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배치한 프린트 기판과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 배치한 회로 부품을 연락선을 끼워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스페이스 효율 좋게 회로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 유닛에 의하면,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신호계의 회로 부품을 배치하고,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 파워계의 회로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배치되는 프린트 기판 상을 흐르는 전류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상의 구리박 패턴 면적을 전류량에 맞추어서 작게 할 수 있고, 기판을 소형화하여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모터 유닛에 의하면,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대하여 유닛 외면측에 배치함으로써, 파워계 회로 부품을 외기측에 배치할 수 있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 좋게 외기로 방산시킬 때마다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의 외측에 히트 싱크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38)에는 신호계 회로 부품 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파워계 회로 부품을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31)의 내부를 입체적인 2실 구조로 하였지만, 3실 이상의 입체적 다실 구조로 하거나, 중2층과 같은 방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모터 유닛을 와이퍼 장치의 구동원으로서 사용한 예를 제시하였지만, 그 용도는 와이퍼 장치에는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나 슬라이드 도어, 파워 윈도 선루프 등의 구동원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 유닛은 자동차용 뿐만 아니라,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각종 전동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감속 기구부(3)를 구비한 모터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감속 기구부(3)를 갖지 않는 모터 유닛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모터 유닛은 와이퍼나 슬라이드 도어 등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자동차용의 모터 유닛으로서, 또한, 각종 전동기기의 구동원으로서 유용하고, 특히, 소형화가 요구되는 부위에 사용되는 모터 유닛에 적합하다.

Claims (15)

  1.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구비한 구동 제어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모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배치된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 및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된 연락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는 프린트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과 상기 연락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과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 배치된 회로 부품은 상기 연락선을 끼워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는 신호계의 회로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에는 파워계의 회로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계 회로 부품은 상기 연락선에 직접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는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에 대하여 유닛 외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의 외측에 히트 싱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닛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감속 기구가 수용되는 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제어부가 수용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하에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입체적으로 배치한 2실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를 구획하는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와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하는 연락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상기 제 1 회로 부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격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회로 부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그 내면에 파워계 회로 부품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그 외면측에 복수의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는 알루미늄으로써 형성되고, 그 외면측에는 흑색 알루마이트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닛.
KR1020057007923A 2002-11-05 2003-09-05 모터 유닛 KR20050067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0741A JP4265902B2 (ja) 2002-11-05 2002-11-05 モータユニット
JPJP-P-2002-00320741 2002-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431A true KR20050067431A (ko) 2005-07-01

Family

ID=3231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923A KR20050067431A (ko) 2002-11-05 2003-09-05 모터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62528B2 (ko)
EP (1) EP1564870B1 (ko)
JP (1) JP4265902B2 (ko)
KR (1) KR20050067431A (ko)
CN (1) CN100394678C (ko)
DE (1) DE60325637D1 (ko)
WO (1) WO2004042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5415B2 (ja) * 2005-06-17 2011-06-22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モータ
US7579730B2 (en) * 2005-11-09 2009-08-25 Asmo Co., Ltd.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8013059B4 (de) * 2008-03-06 2017-12-14 Sew-Eurodrive Gmbh & Co Kg System mit Getriebe
DE102008024610A1 (de) 2008-05-21 2009-11-26 Valeo Systèmes d'Essuyage Externe Steuereinheit für einen elektromotorischen Hilfsantrieb für Fahrzeuge sowie elektromotorischer Hilfsantrieb mit einer solchen Steuereinheit
JP5251687B2 (ja) * 2009-04-02 2013-07-3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US10320265B2 (en) 2009-07-30 2019-06-11 Mitsuba Corporation Wiper motor
EP3468012B1 (en) 2009-07-30 2021-03-03 Mitsuba Corporation Motor with speed reduction mechanism
JP2011083065A (ja) * 2009-10-02 2011-04-21 Mitsuba Corp 駆動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
EP2325426B1 (en) * 2009-11-20 2015-06-1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riving device
JP2012147519A (ja) * 2011-01-07 2012-08-02 Mitsuba Corp モータ装置
CN103609002B (zh) * 2011-07-08 2016-05-0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动机
RU2640377C2 (ru) * 2013-03-29 2017-12-28 Мицуба Корпорейшн Бесщеточный двигатель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JP6026972B2 (ja) 2013-08-07 2016-11-16 アスモ株式会社 減速機付モータ
CN103683679A (zh) * 2013-08-09 2014-03-26 张岳峰 一种电子式无触点单向旋转智能雨刮器电机
CN103427567B (zh) * 2013-08-09 2015-10-28 张岳峰 一种电子式无触点双向旋转智能雨刮器电机
CN103401491A (zh) * 2013-08-09 2013-11-20 张岳峰 电子式无触点双向旋转智能雨刮器电机控制电路工作原理
US9231503B2 (en) 2014-05-28 2016-01-05 Goog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motor power boards
JP6723201B2 (ja) * 2017-07-13 2020-07-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970207A (zh) * 2018-09-30 2020-04-07 广东德昌电机有限公司 印刷电路板以及使用该印刷电路板的电机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9665A1 (de) * 1984-10-30 1986-05-07 Ebm Elektrobau Mulfingen Gmbh & Co, 7119 Mulfingen Kollektorloser gleichstrommotor
US4712030A (en) * 1985-12-06 1987-12-08 Fasco Industires, Inc. Heat sink and mounting arrangement therefor
US4795867A (en) * 1986-01-17 1989-01-03 Diesel Kiki Co., Ltd. Motor actuator for air conditioning system
US4857812A (en) * 1986-07-07 1989-08-15 Mitsuba Electric Mfg. Co., Ltd. Electric motor system for automobiles
IT216960Z2 (it) * 1989-03-07 1991-10-21 Roltra Spa Dispositivo attuatore per alzacri stallo elettrico
DE3930144A1 (de) * 1989-09-09 1991-03-21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ischer motor, insbesondere elektrischer kleinmotor zum antrieb von scheibenwischern an kraftfahrzeugen
JPH0590776A (ja) * 1991-09-30 1993-04-09 Fanuc Ltd プリント板ユニツト
JP2983405B2 (ja) * 1993-03-23 1999-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回路装置
FR2706395B1 (fr) * 1993-06-10 1995-07-28 Valeo Systemes Dessuyage Module d'entraînement électrique pour 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JPH0775315A (ja) * 1993-09-01 199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法
DE4434373C2 (de) * 1994-09-15 1999-04-01 Mannesmann Ag Elektrozug mit drehzahlgeregelter Geschwindigkeit
FR2730204B1 (fr) * 1995-02-08 1997-04-04 Valeo Systemes Dessuyage Motoreducteur, notamment pour l'entrainement d'un dispositif d'essuie-glace de vehicule
JP3563835B2 (ja) * 1995-07-12 2004-09-08 光洋精工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GB9615316D0 (en) * 1995-11-16 1996-09-04 Lucas Ind Plc Improvements in electric actuators for vehicle powered steering systems
CN1067495C (zh) * 1996-03-07 2001-06-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动机及其制造方法
DE19726258C2 (de) * 1996-07-01 2001-10-04 Barmag Barmer Maschf Galetteneinheit zum Führen und Fördern eines Fadens
JP3495200B2 (ja) * 1996-09-18 2004-02-0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光通信用回路基板
JP3495201B2 (ja) * 1996-09-18 2004-02-0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光通信用回路基板
JPH11115775A (ja) * 1997-10-20 1999-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2000087643A (ja) * 1998-09-14 2000-03-28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ユニット
CA2396279C (en) * 1999-07-19 2005-05-17 Tokyo R & D Co., Ltd. Motor and production method of motor
JP4128702B2 (ja) * 1999-09-27 2008-07-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FR2807877B1 (fr) * 2000-04-14 2002-10-3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Connecteur a concentrateur de flux pour moteur electrique
JP3774624B2 (ja) * 2000-10-18 2006-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165412A (ja) * 2000-11-24 2002-06-07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ユニット
US6756711B2 (en) * 2000-12-27 2004-06-29 Asmo Co., Ltd.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JP3928694B2 (ja) * 2001-02-22 2007-06-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電子回路装置
DE10153173B4 (de) * 2001-02-27 2019-09-05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Antrieb mit einem Wärmeleitelement zur Wärmeabführung von einer elektrischen Schaltung
JP2003052160A (ja) * 2001-08-06 2003-02-21 Tokyo R & D Co Ltd モータ
US6698224B2 (en) * 2001-11-07 2004-03-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electronic parts operat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JP2003164112A (ja) * 2001-11-20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付きモータ
JP3593102B2 (ja) * 2002-01-08 200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5902B2 (ja) 2009-05-20
WO2004042898A1 (ja) 2004-05-21
EP1564870A1 (en) 2005-08-17
DE60325637D1 (de) 2009-02-12
EP1564870A4 (en) 2007-08-29
US20050280323A1 (en) 2005-12-22
JP2004159392A (ja) 2004-06-03
CN100394678C (zh) 2008-06-11
EP1564870B1 (en) 2008-12-31
CN1695284A (zh) 2005-11-09
US7262528B2 (en) 200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7431A (ko) 모터 유닛
US9521775B2 (en) Drive apparatus
KR101260577B1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및 제어 장치 일체형 전동기
JP549635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6545169B2 (ja) ブラシレスワイパモー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506715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892614B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助力转向装置
US9893595B2 (en) Motor with speed reducer portion including a worm and being accommodated with a circuit board in a housing having a heat-receiving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worm
JP5452332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CN110892616B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动力转向装置
JP2011135712A (ja) 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CN110799391A (zh) 具有两个单独的控制器的车辆制动设备的滑转调节装置的液压总成
JP2008253049A (ja) 電動モータ
JP6474351B2 (ja) ワイパモータ
KR20200035120A (ko)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2009201277A (ja)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
JP4159797B2 (ja) 電動モータ
US9496764B2 (en) Brush holder for an electric motor, and gear mechanism drive unit having a brush holder
JP2017143595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4162541A (ja) 電動ブラシレスウォータポンプ
US11552525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including a refrigerant passage
JP5234331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4664153B2 (ja) 回転電機
JP2017017994A (ja) 減速機付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