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599A -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599A
KR20050066599A KR1020030097907A KR20030097907A KR20050066599A KR 20050066599 A KR20050066599 A KR 20050066599A KR 1020030097907 A KR1020030097907 A KR 1020030097907A KR 20030097907 A KR20030097907 A KR 20030097907A KR 20050066599 A KR20050066599 A KR 2005006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rrection
image data
scree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455B1 (ko
Inventor
임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 결합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한 경우 영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축소 또는 확대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보정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영상 보정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상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면서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소정개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고 보정율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보정율 만큼 축소 또는 확대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PICTURE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일체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단말기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칭함)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소비자들의 욕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위해 개발된 휴대폰 중의 하나가 디지털 카메라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은 기존의 음성통화 기능과,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다.
이러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은 단순히 텍스트 메시지, 정지 그림 또는 멜로디만을 저장하는 개념이 아니라, 대용량의 메모리 개발과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능에 의해 외부로부터 동영상을 다운받거나 직접 녹화, 재생이 가능함은 물론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편집,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에서의 영상 촬영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영상 촬영 모드를 설정한 후 카메라를 피사체로 향한 상태에서 휴대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영상 구도를 설정하고 셔터 버튼을 눌러 촬영한다.
이후, 촬영된 영상 저장 화면에서 영상 제목을 입력하여 리스트에 등록시키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영상 재생 과정은 영상 목록 화면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시킨 후 원하는 영상 제목을 선택하고 재생 버튼을 누르면 상기에서 선택된 영상 제목에 해당하는 영상이 휴대폰 화면에 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에 결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을 촬영하려는 경우 근접 촬영하게 되므로 카메라 센서가 얼굴을 모두 포착할 수 있도록 렌즈 곡률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근접 촬영을 위해 렌즈 곡률을 높임으로 카메라에서 캡쳐된 영상이 도2(a)의 예시도와 같이 둥글게 되어 사용자 특히, 여성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에 결합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한 경우 영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축소 또는 확대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도록 창안한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보정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영상 보정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상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면서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소정개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고 보정율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보정율 만큼 축소 또는 확대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율은 화면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영상 양측으로 갈수록 축소/확대 비율이 작아지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 결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영상 처리하여 NTSC 영상 데이터로 엔코딩하는 영상 처리부와, 사용자의 선택으로 엘씨디(LCD) 화면에 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자가 영상보정 모드를 설정한 후 보정할 영역을 선택하여 보정율을 설정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설정된 보정율로 확대/축소하고 그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전달하는 영상 보정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 및 영상 보정부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반사광을 입사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부(110)와, 이 카메라부(110)의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영상 처리하여 NTSC 영상 데이터로 엔코딩하는 영상 처리부(120)와, 이 영상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엘씨디(LCD)(140)와, 사용자의 선택으로 상기 엘씨디(140)에 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자가 영상보정 모드를 설정한 후 보정할 영역을 선택하여 보정율을 설정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설정된 보정율로 확대/축소하고 그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부(120)로 전달하는 영상 보정부(150)와, 상기 영상 처리부(120) 및 영상 보정부(15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0)와, 상기 영상 처리부(120), 메모리(130) 및 영상 보정부(150)를 제어하면서 카메라의 전체 동작 및 영상 보정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도1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11)와, 이 렌즈(111)에서 집광된 광량에 따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씨씨디(CCD)(112)로 구성한다.
상기 메모리(130)는 영상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디램(DRAM)과,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촬영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부(110)에 피사체의 반사광이 입사되면 렌즈(111)에서 집광되고 씨씨디(112)에서 그 집광된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0)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신호에 대해 휘도(Y) 및 색도(C) 처리 등과 같은 영상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일시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를 NTSC 엔코딩하여 엘씨디(140)에 출력하여 현재 캡쳐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엘씨디(14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다가 촬영을 원하는 영상인 경우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처리부(120)에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압축 등의 처리를 한 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또한, 영상 재생 및 편집(보정)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엘씨디(140)에 영상 목록 화면이 표시되도록 키 조작한 후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60)의 제어를 받은 영상 처리부(120)가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엘씨디(140)에 표시하게 된다.
만일, 입사광의 각도를 크게 하기 위해 렌즈(111)의 곡률이 매우 큰 경우라면 엘씨디(140)에는 정상적인 영상 보다 상당히 둥글게 왜곡된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영상보정 모드를 설정하면 영상 처리부(120)는 엘씨디(140)에 표시되는 영상 화면을 영역 분할하여 표시한다.
상기 영상의 영역 분할은 얼굴을 가정하면 도4의 예시도와 같이 두상, 광대부분, 턱부분 등으로 분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엘씨디(140)에 표시되는 영상이 얼굴로서 도5(a)와 같이 6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정하고자 하는 부분의 영역을 선택하는데 도5(a)에서 영역(R4,R5)를 선택하고 보정율을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영상 보정이 화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축소 또는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 또는 '+'의 보정율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내측으로 축소, '+'는 외측으로 확대를 의미한다.
이때, 보정율을 '-'로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원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내측으로 축소하는데, 도5(b)와 같이 기준선에 가까운 내측으로 갈수록 그리고 영상의 외측으로 갈 수도록 축소율을 작게 하여 축소하게 된다. 이는 얼굴의 경계 부분이 대부분 도5(b)의 큰 화살표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상 보정부(150)는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보정율에 따라 해당 영상의 선택 부분에 대해 데시메이션과 픽셀 이동을 실행하여 영상을 보정하고 그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보정부(150)에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동시에 그 보정된 영상을 엘씨디(140)에 표시하게 된다.
만일, 영상을 확대 보정하는 경우라면 상기에서 보간(interpolation)과 픽셀 이동을 실행하여 영상을 보정하게 된다.
즉, 상기의 과정을 실행하면 도5(a)와 같은 영상이 도5(c)와 같은 영상으로 보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휴대폰에 결합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 대한 보정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의 곡률이 커서 촬영된 영상이 상당히 둥글게 되는 경우 이를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영상으로 만들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카메라의 구조도.
도2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영상 화면의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 장치의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을 위한 영역 분할 화면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 과정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카메라부 120 : 영상 처리부
130 : 메모리 140 : 엘씨디(LCD)
150 : 영상 보정부 160 : 마이크로 프로세서

Claims (4)

  1. 휴대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보정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영상 보정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상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면서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소정개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고 보정율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보정율 만큼 축소 또는 확대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영상 획득 단계는
    휴대단말기에 결합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과정과,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받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보정율은 화면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영상 양측으로 갈수록 축소/확대 비율이 작아지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4.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영상 처리하여 NTSC 영상 데이터로 엔코딩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상기 영상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사용자의 선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자가 영상보정 모드를 설정한 후 보정할 영역을 선택하여 보정율을 설정하면 상기 영상 처리 수단으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설정된 보정율로 확대/축소하고 그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영상 보정 수단과,
    상기 영상 처리 수단 및 영상 보정 수단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장치.
KR1020030097907A 2003-12-26 2003-12-26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08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907A KR101080455B1 (ko) 2003-12-26 2003-12-26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907A KR101080455B1 (ko) 2003-12-26 2003-12-26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599A true KR20050066599A (ko) 2005-06-30
KR101080455B1 KR101080455B1 (ko) 2011-11-04

Family

ID=3725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907A KR101080455B1 (ko) 2003-12-26 2003-12-26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94B1 (ko) * 2004-06-16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및 그방법
KR100872349B1 (ko) * 2007-04-03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프레임 삽입 방법
KR101257368B1 (ko) * 2006-06-22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021A (ja) 1997-12-25 1999-07-09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方法および装置
JP2000287071A (ja) 1999-03-31 2000-10-13 Sony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媒体
JP3753617B2 (ja) * 2001-02-16 2006-03-08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3890241B2 (ja) 2002-03-13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94B1 (ko) * 2004-06-16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및 그방법
KR101257368B1 (ko) * 2006-06-22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0872349B1 (ko) * 2007-04-03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프레임 삽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455B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77741A (ja) 電子カメラ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20120200757A1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74034A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US8411133B2 (en) Mobile terminal and panoramic photographing method for the same
KR1006894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촬영 이미지 합성 장치 및방법
JP473516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247666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1006405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8045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6426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의 일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5005791A (ja) 電子カメラ
JP201102987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678273B2 (ja) 撮像装置、動画記憶方法および動画記憶プログラム
KR100698129B1 (ko) 카메라의 풀(full) 영상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이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355855B2 (ja) 撮像装置、撮影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90889A (ko)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JP3882270B2 (ja) 撮像装置、及び記憶媒体
KR100644036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연속촬영시특수효과 적용 방법
JP434937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003803B2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H111460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5039777A (ja)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システム
JP3697489B2 (ja) 電子カメラ
JP4321571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530335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