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889A -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889A
KR20030090889A KR1020020028493A KR20020028493A KR20030090889A KR 20030090889 A KR20030090889 A KR 20030090889A KR 1020020028493 A KR1020020028493 A KR 1020020028493A KR 20020028493 A KR20020028493 A KR 20020028493A KR 20030090889 A KR20030090889 A KR 2003009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photographing
rang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889A/ko
Publication of KR2003009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를 부분적으로 확대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해상도가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확대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피사체 영상의 전체 윤곽을 추출하여 뷰파인더에 표시하는 제1 단계와, 피사체 영상 중 현재 캡쳐되는 영상의 범위를 뷰파인더에 표시된 전체 윤곽 영상에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촬영 범위를 확인하여 셔터 버튼을 누를 때마다 해당 피사체의 부분 영상을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상기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MAGNIFICATION IMAGE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HELD TERMINAL INTEGRATED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는 기본적으로 사진기의 기능을 하지만 일반 필름을 사용하는 사진기와는 달리 필름 대신에 전자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메모리(디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 피씨(PC)에 연결하여 자유롭게 편집 또는 메일(Mail)로 전송하거나 프린터를 할 수 있으며 씨씨디(CCD)에서 나온 전자 신호를 이용하여 EE 모드 화면을 엘씨디(LCD) 또는 티브이(TV) 모니터로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성능에 따라 촬영 영상의 크기 차이가 있지만, 보통 356 x 244의 해상도 크기로 영상을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좌우 또는 상하로 길이가 긴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 피사체 전체를 한번에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가 너무 작게 촬영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피사체를 확대하는 경우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사체를 부분적으로 확대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해상도가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창안한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대 촬영시 피사체의 윤곽을 화면 내에 표시함과 아울러 현재 촬영 범위와 이전 촬영 범위를 피사체 윤곽 부분에 표시함으로써 피사체의 부분 확대 화면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확대 영상 촬영 장치의 블록도.
도2는 도1에서 현재 캡쳐되는 촬영 범위를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분 영상의 합성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대 영상 촬영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카메라부120 : 무선통신부
130 : 마이크로 프로세서140 : 엘씨디(LCD)
150 : 키패드160 : 플래시 메모리
170 : 디램(DRAM)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확대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피사체의 촬영 범위를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분할된 촬영 범위에 대해 순서대로 촬영하여 부분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촬영이 종료되면 부분 영상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해상도가 좋은 영상을 얻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확대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피사체 영상의 전체 윤곽을 추출하여 뷰파인더에 표시하는 단계와, 뷰파인더에 표시된 전체 윤곽 영상에 현재 캡쳐되는 영상의 범위와 바로 직전에 촬영된 영상의 범위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촬영 범위를 확인하여 셔터 버튼을 누를 때마다 해당 피사체의 부분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상기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순서대로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관련한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120)와, 통화 버튼, 메뉴 버튼, 숫자 버튼, 셔터 버튼, 편집 버튼, 줌 배율 설정 버튼 등의 통화 및 촬영에 관련한 버튼을 구비한 키 패드(150)와, 피사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160)와, 피사체 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부(110)와, 사용자가 통화 관련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해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캡쳐된 피사체 영상을 디램(DRAM)(170)에 일시 저장하여 엘씨디(LCD)(140)에 표시하면서 사용자의 셔터 버튼 입력시마다 상기 디램(170)에 저장된 해당 피사체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플래시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로 구성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확대 촬영 모드 설정시 피사체의 전체 영상을 캡쳐하도록 카메라부(110)를 제어함과 아울러 디램(170)에서 읽은 피사체의 전체 영상을 윤곽선 처리하여 그 피사체의 윤곽 영상을 엘씨디(140)에 표시하고 현재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현재 캡쳐되는 피사체의 영상 범위와 이전에 촬영된 피사체 영상의 촬영 범위를 상기 엘씨디(140)에 표시된 윤곽선 영상 위에 동시에 표시하며 사용자의 셔터 버튼 입력시마다 상기 디램(170)으로부터 읽은 현재 촬영 범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플래시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촬영이 종료되면 확대 촬영된 다수개의 부분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평상시 마이크로 프로세서(130)가 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하여 통화 관련 동작을 수행하며 이 동작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에 관련한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일반적인 촬영 모드인지 또는 확대 촬영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활대 촬영 모드라 함은 줌 모드, 파노라마 모드와는 동일한 방법으로 촬영하지만 최종적으로 얻는 영상은 일반적인 촬영시의 영상과 비교할 때 크기는 동일하고 해상도를 향상된 영상을 얻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카메라부(110)는 렌즈계로 입사된 피사체의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카메라부(110)에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디램(DRAM)(170)에 일시 저장하면서 그 디램(17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엔코딩하여 엘씨디(LCD)(140)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엘씨디(14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키패드(150)에 구비된 셔터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디램(170)으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읽어 압축한 후 플래시 메모리(160)에 저장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촬영 모드의 경우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키 패드(150)를 이용하여 확대 촬영 모드를 설정한 경우 피사체의 확대 배율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카메라부(110)에 구비된 렌즈계를 피사체를 향하게 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일반적인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카메라부(110)에서 캡쳐한 영상을 디램(170)에 저장하면서 엘씨디(140)에 표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엘씨디(14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확대 촬영할 피사체 영상임을 확인시키기 위해 키패드(150)에서 확인 키를 입력시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디램(170)으로부터 피사체 영상 데이터를 읽어 윤곽선 처리한 후 엘씨디(140)의 일측 화면 상에 피사체 전체에 대한 윤곽선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피사체 영상을 확대하여 캡쳐하도록 카메라부(1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른 확대 영상을 엘씨디(14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카메라부(110)에서 캡쳐하고 있는 영상의 범위를 판별하여 현재 캡쳐되는 영상을 엘씨디(140)에 표시하면서 그 엘씨디(140)에 표시된 피사체 윤곽선 영상 상에 캡쳐 범위를 표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디램(170)으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읽어 압축한 후 플래시 메모리(160)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피사체의 다음 일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부(110)에 구비된 렌즈계의 촬영 방향을 조정하면 상기 카메라부(110)는 피사체 영상을 확대하여 캡쳐하게 되고 이 캡쳐된 영상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30)에 의해 엘씨디(140)에 표시되어진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도2의 예시도와 같이, 엘씨디(14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 윤곽선 영상 위에 이전에 촬영한 영상 범위를 표시하면서 현재 캡쳐되는 영상의 범위를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엘씨디(140)에 표시되는 촬영 범위를 보면서 현재 캡쳐되는 영상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엘씨디(140)의 화면을 보면서 바로 이전에 촬영된 영상과 현재 캡쳐되는 영상의 연결 부분을 일치시키거나 일부분이 겹치도록 카메라부(110)의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디램(170)으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읽어 압축한 후 플래시 메모리(160)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확대 촬영 모드가 설정된 동안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후, 확대 촬영이 종료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도3(a)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160)에 저장된 피사체의 부분 영상들을 순서대로 읽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윤곽 데이터를 생성한 후 비교하여 결합 부분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도3(b)와 같은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영상을 촬영하면 한 화면에 표시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보다 해상도가 더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피사체에 대한 부분 촬영을 위한 확대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부분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피사체의 전체 윤곽을 생성한 후 사용자가 설정한 줌 배율에 따라 부분 영상을 촬영 범위를 정하고 그 설정된 촬영 범위에 대한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부분 영상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윤곽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윤곽 데이터를 비교하여 결합 부분을 일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경우보다 좀 더 효율적으로 연결 부분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파노라마 사진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지털 카메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상도가 좋은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피사체 영상을 여러 장으로 분할하여 촬영하고 이를 촬영된 영상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함으로써 해상도가 향상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확대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피사체 영상의 전체 윤곽을 추출하여 뷰파인더에 표시하는 제1 단계와,
    피사체 영상 중 현재 캡쳐되는 영상의 범위를 뷰파인더에 표시된 전체 윤곽 영상에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촬영 범위를 확인하여 셔터 버튼을 누를 때마다 해당 피사체의 부분 영상을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복수의 부분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촬영 범위는 이전 촬영 범위와 현재 촬영 범위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뷰파인더는 휴대용 단말기의 LCD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4.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확대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피사체 영상의 촬영 범위를 분할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분할한 촬영 범위에 대해 순차적으로 부분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분할한 부분 영상의 촬영이 종료되면 그 부분 영상들을 순서대로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단계의 피사체 영상의 촬영 범위는
    사용자가 설정한 배율을 기준으로 피사체 영상의 촬영 범위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방법.
  6.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피사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피사체 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부와,
    이 카메라부에서 캡쳐된 피사체 영상을 일시 저장하는 디램(DRAM)과,
    확대 촬영 모드 설정시 피사체의 전체 영상을 캡쳐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디램에서 읽은 피사체의 전체 영상을 윤곽선 처리하여 그 피사체의 윤곽 영상을 엘씨디에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현재 캡쳐되는 피사체의 영상 범위와 이전에 촬영된 피사체 영상의 촬영 범위를 상기 엘씨디에 표시된 윤곽선 영상 위에 동시에 표시하면서 사용자의 셔터 버튼 입력시마다 상기 디램으로부터 읽은 현재 촬영 범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며 촬영이 종료되면 확대 촬영된 다수개의 부분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장치.
  7.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피사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피사체 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부와,
    이 카메라부에서 캡쳐된 피사체 영상을 일시 저장하는 디램(DRAM)과,
    사용자가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캡쳐된 피사체 영상을 디램(DRAM)에 일시 저장하여 엘씨디(LCD)에 표시하면서 그 피사체 영상의 촬영 범위를 사용자가 설정한 배율을 참고하여 분할하고 그 분할된 촬영 범위의 부분 영상을 순차적으로 캡쳐하여 저장하며 촬영이 종료되면 캡쳐된 부분 영상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 장치.
KR1020020028493A 2002-05-22 2002-05-22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KR20030090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93A KR20030090889A (ko) 2002-05-22 2002-05-22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93A KR20030090889A (ko) 2002-05-22 2002-05-22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889A true KR20030090889A (ko) 2003-12-01

Family

ID=3238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493A KR20030090889A (ko) 2002-05-22 2002-05-22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8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55B1 (ko) * 2008-05-07 2010-05-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고속촬영장치
WO2011046245A1 (ko) * 2009-10-16 2011-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156684B1 (ko) * 2005-08-03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US8525912B2 (en) 2009-10-16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digital camer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638979B2 (en) 2010-02-16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im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84B1 (ko) * 2005-08-03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0956855B1 (ko) * 2008-05-07 2010-05-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고속촬영장치
WO2011046245A1 (ko) * 2009-10-16 2011-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US8525912B2 (en) 2009-10-16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digital camer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638979B2 (en) 2010-02-16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1904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US753940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utofocus function
JP2005094741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JP5578442B2 (ja) 撮像装置、画像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79798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696614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95832B2 (ja) 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060014228A (ko)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초점 촬영 방법 및 장치
KR20030090889A (ko) 디지털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 영상 촬영방법 및 장치
JP455161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4647518B2 (ja) 撮影装置
JP2000217022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画像デ―タ記録再生方法
CN112422782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414711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056768A (ja) 撮影システム並びに当該撮影システムを構成する撮影装置及び操作装置
JPH11341454A (ja) 画像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3348410A (ja) 音声入力可能なカメラ
JP4227066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装置の画像再生方法
KR10108045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00354181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画像表示方法
KR2008004246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장치 및 방법
JP2010087646A (ja) カメラ装置及び画像切り出し方法、プログラム
JP4409109B2 (ja) 電子カメラ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4038842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015685B1 (ko)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포커스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