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763A -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763A
KR20050062763A KR1020050047112A KR20050047112A KR20050062763A KR 20050062763 A KR20050062763 A KR 20050062763A KR 1020050047112 A KR1020050047112 A KR 1020050047112A KR 20050047112 A KR20050047112 A KR 20050047112A KR 20050062763 A KR20050062763 A KR 2005006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l
seaweed
dried
kelp
y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양규
Original Assignee
강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양규 filed Critical 강양규
Priority to KR102005004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2763A/ko
Publication of KR2005006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763A/ko
Priority to KR1020050123480A priority patent/KR200601254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극피동물(棘皮動物)중 해삼과(海蔘科)에 속하는 해삼(학명, Stichopus japonicus)은 바다의 인삼으로 불리거나 최고의 스테미나 식품으로 그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동양권에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소비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연생산량이 매년 크게 감소하고 있어 신규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량생산의 양식이 시급하다. 소비시장인 중국의 경우 연간 약 10억 마리 이상의 인공종묘가 생산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량생산의 배경에는 해삼양식용 사료의 개발에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중국산 양식사료는 시판중에 있으나, 중국산 종묘와 한국산 종묘는 차이가 크며 그 때문에 중국산 양식 사료를 사용할 경우 낮은 생존률과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1.영양성 2.빠른성장성 3.높은 생존률 등을 특히 고려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삼종묘, 1년생, 2년생, 3년생 해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생장에 영양이 충분하고 생존률이 높아 출하시기를 1년여 앞당길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해 해삼의 주 먹이인 지충이,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해조류와 어분, 대두박, 혈분 등을 첨가하여 과립형태로 만들어 물에 녹여 즙형태로 공급하여 오염을 최소화 하며, 천연건조 혹은 40℃이하의 건조과정을 통해 영양손실을 최소화하여 만든 것이다.

Description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feeding a seaslug cultivation}
본 발명은 해삼양식용 사료의 재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삼의 주먹이인 지충이, 미역, 다시마, 모자반, 갈파래 등의 해조류와 활성펄, 깻묵, 효소분말, 미네랄, 대두박, 어분, 조갯살, 수지박, 혈분 등을 첨가하여 해삼의 성장기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먹임으로써 양식출하시기를 앞당겨 어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뿐 아니라, 인건비 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해삼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양식어민이 직접 생사료를 구해 자연건조시킨 후, 썰어서 투입하였으나, 이는 생사료구매의 곤란함과 기계구매의 지출, 인건비 상승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다른 어종의 양식보다 오히려 더욱 곤란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어민이 구할 수 있는 생사료의 종류 및 수량은 한정되어 있고, 양식어종의 성장발달을 위한 사료로서 영양평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이로인한 가장 중요한 영양의 불균형으로 인한 집단폐사의 경우도 적지 않아 양식에 고충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해삼의 섭식생태가 바다저면에 쌓여 있는 침전물을 섭취하는 bottom-feeders로 칭해진 섭식생물이므로 이러한 조건에 맞게 기존의 플레이크, 스틱, 펠렛, 타블렛 형을 탈피하여 과립형으로 만들어 성장단계에 따라 3종류로 각각 사료 조성비를 달리하여 만든 것을 사용시에는 물에 녹여 즙과 같은 형태로 투여하여 섭식이 쉽고, 자연상태의 해삼보다 영양면에서 충분하여 성장속도가 빠르며, 폐사율이 적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충이(31.4~40.4%), 미역(4.5~6.0%), 다시마(1.0~1.5%), 모자반(10.0~15.0%), 갈파래(2.0~7.0%), 활성펄(10.0%), 깻묵(2.0~5.0%), 효모분말(1.0~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2.0~5.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1.0~3.0%), 옥수수전분(1.0~2.2%), 어분(7.0~9.7%), 수지박(1.0~2.0%), 혈분(2.0~5.0%), 육골분(1.5~8.0%), 조갯살(1.0~1.5%), 잡게(1.0%), ,쌀겨(3.0%), 계란껍질(1.0%), B2(0.1%), 발효제(0.2%)의 총 24가지로 이루어지며, 각 원료는 모두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자연건조를 원칙으로 하며, 불가능 하더라도 40℃이하의 건조방식을 택하며 각각 성장단계에 맞추어 소정의 크기로 분쇄후 5가지 종류로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작한다.
상기의 조성물에 의거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1 : 치삼용(유생기이후 파판부착 직후 사료)
건조된 원료들을 20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40.4%), 미역(6.0%), 다시마(1.0%), 모자반(15.0%), 갈파래(7.0%), 활성펄(10.0%), 깻묵(2.0%), 효모분말(1.0%),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3.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1.0%), 옥수수전분(1.0%), 어분(9.7%), B2(0.1%), 발효제(0.2%)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치삼용사료의 제조방법과
실시예2 : 전반기 유삼용(해삼의 크기가 0.5cm 가량 성장된 해삼용)
건조된 원료들을 100~12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1.4%), 미역(4.5%), 다시마(1.5%), 모자반(10.0%), 갈파래(5.0%), 활성펄(10.0%), 깻묵(5.0%), 효모분발(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3.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3.0%), 옥수수전분(2.2%), 어분(7.0%), 수지박(2.0%), 혈분(3.0%), 육골분(6.0%), 조개살(1.0%), 잡게(1.0%), B2(0.1%), 발효제(0.2%) 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전반기 유삼용사료의 제조방법과
실시예3 : 후반기 유삼용(해삼의 크기가 0.5~2.0cm 가량 성장된 해삼용)
건조된 원료들을 100~12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1.4%), 미역(4.5%), 다시마(1.5%), 모자반(10.0%), 갈파래(5.0%), 활성펄(10.0%), 깻묵(3.0%), 효모분말(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2.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1.0%), 옥수수전분(2.2%), 어분(7.0%), 수지박(2.0%), 혈분(5.0%), 육골분(8.0%), 조개살(1.0%), 잡게(1.0%), 계란껍질(1.0%), B2(0.1%), 발효제(0.2%) 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후반기 유삼용사료의 제조방법과
실시예4 : 전반기 양성용(해삼의 크기가 1.0~7.0cm 가량 성장된 해삼용)
건조된 원료들을 10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1.7%), 미역(6.0%), 다시마(1.0%), 모자반(10.0%), 갈파래(2.0%), 활성펄(10.0%), 깻묵(5.0%), 효모분말(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5.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3.0%), 옥수수전분(2.2%), 어분(8.2%), 수지박(1.0%), 혈분(2.5%), 육골분(1.5%), 조개살(1.5%), 잡게(1.0%), 쌀겨(3.0%), 계란껍질(1.0%), B2(0.1%), 발효제(0.2%)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전반기 양성용사료의 제조방법과
실시예5 : 후반기 양성용(해삼의 크기가 3.0~10.0cm 이상까지 성장된 해삼용)
건조된 원료들을 10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0.7%), 미역(6.0%), 다시마(1.0%), 모자반(13.0%), 갈파래(2.0%), 활성펄(10.0%), 깻묵(5.0%), 효모분말(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3.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3.0%), 옥수수전분(2.2%), 어분(8.2%), 수지박(1.0%), 혈분(2.0%), 육골분(2.0%), 조개살(1.5%), 잡게(1.0%), 쌀겨(3.0%), 계란껍질(1.0%), B2(0.1%), 발효제(0.2%)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후반기 양성용사료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성장기별로 각기 다르게 혼합된 사료를 급이한 결과 기존의 생사료 만을 급이한 경우에 비하여 1년생은 길이 1.2cm, 중량은 8.1g 이 증가 했으며, 2년생은 1.4cm, 68.0g 이, 3년생은 3.2cm, 110.0g 이 증가 했으며, 3년생에 이미 출하적정상태가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종묘실험장에 실험방법을 의뢰하여 직접실험한 결과로서 다음의 표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1〉
〈표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삼의 생식에 기초를 둔 것으로 자연상태에 해삼이 1분에 10m를 이동하는 것을 감안해서 플레이크나 스틱형 같이 부유하거나 바로 섭식하지 못하여 오염의 원인이 되는 형태를 탈피하여 물에 녹여 즙과 같은 형태로 섭식하게 되므로 성장에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영양의 불균형으로 인한 각종 어병의 감소는 물론 폐사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영양의 공급으로 빠른 성장을 보여 출하시기를 1년여 앞당길 수 있게된다.
도 1은 해삼양식용사료의 성장기별 성분 구성표
도 2는 해삼의 생육상태별 급이체계
도 3은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작 구성도

Claims (5)

  1. 천연 혹은 40℃미만의 온도로 건조된 원료들을 20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40.4%), 미역(6.0%), 다시마(1.0%), 모자반(15.0%), 갈파래(7.0%), 활성펄(10.0%), 깻묵(2.0%), 효모분말(1.0%),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3.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1.0%), 옥수수전분(1.0%), 어분(9.7%), B2(0.1%), 발효제(0.2%)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치삼용사료의 제조방법
  2. 천연 혹은 40℃미만의 온도로 건조된 원료들을 100~12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1.4%), 미역(4.5%), 다시마(1.5%), 모자반(10.0%), 갈파래(5.0%), 활성펄(10.0%), 깻묵(5.0%), 효모분말(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3.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3.0%), 옥수수전분(2.2%), 어분(7.0%), 수지박(2.0%), 혈분(3.0%), 육골분(6.0%), 조개살(1.0%), 잡게(1.0%), B2(0.1%), 발효제(0.2%) 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전반기 유삼용사료의 제조방법
  3. 천연 혹은 40℃미만의 온도로 건조된 원료들을 100~12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1.4%), 미역(4.5%), 다시마(1.5%), 모자반(10.0%), 갈파개(5.0%), 활성펄(10.0%), 깻묵(3.0%), 효모분말(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2.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1.0%), 옥수수전분(2.2%), 어분(7.0%), 수지박(2.0%), 혈분(5.0%), 육골분(8.0%), 조개살(1.0%), 잡게(1.0%), 계란껍질(1.0%), B2(0.1%), 발효제(0.2%) 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후반기 유삼용사료의 제조방법
  4. 천연 혹은 40℃미만의 온도로 건조된 원료들을 10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1.7%), 미역(6.0%), 다시마(1.0%), 모자반(10.0%), 갈파래(2.0%), 활성펄(10.0%), 깻묵(5.0%), 효모분말(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5.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3.0%), 옥수수전분(2.2%), 어분(8.2%), 수지박(1.0%), 혈분(2.5%), 육골분(1.5%), 조개살(1.5%), 잡게(1.0%), 쌀겨(3.0%), 계란껍질(1.0%), B2(0.1%), 발효제(0.2%)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전반기 양성용사료의 제조방법
  5. 천연 혹은 40℃미만의 온도로 건조된 원료들을 100mesh 이하로 분쇄한 후, 지충이(30.7%), 미역(6.0%), 다시마(1.0%), 모자반(13.0%), 갈파래(2.0%), 활성펄(10.0%), 깻묵(5.0%), 효모분말(1.5%), 복합비타민(0.8), 미네랄(0.8%), 대두박(3.0%), 계란노른자(1.0%), 고구마가루(3.0%), 옥수수전분(2.2%), 어분(8.2%), 수지박(1.0%), 혈분(2.0%), 육골분(2.0%), 조개살(1.5%), 잡게(1.0%), 쌀겨(3.0%), 계란껍질(1.0%), B2(0.1%), 발효제(0.2%)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 15%이하로 건조시켜서 된 후반기 양성용사료의 제조방법
KR1020050047112A 2005-06-02 2005-06-02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KR20050062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12A KR20050062763A (ko) 2005-06-02 2005-06-02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050123480A KR20060125455A (ko) 2005-06-02 2005-12-14 해삼 양식용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12A KR20050062763A (ko) 2005-06-02 2005-06-02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763A true KR20050062763A (ko) 2005-06-27

Family

ID=372547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112A KR20050062763A (ko) 2005-06-02 2005-06-02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050123480A KR20060125455A (ko) 2005-06-02 2005-12-14 해삼 양식용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480A KR20060125455A (ko) 2005-06-02 2005-12-14 해삼 양식용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6276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13B1 (ko) * 2011-12-13 2012-05-10 조영택 어육분말, 어육 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005215A (zh) * 2012-12-28 2013-04-03 青岛农业大学 一种用于刺参幼参饲料的海泥替代物
CN103027202A (zh) * 2012-12-11 2013-04-10 青岛恒生源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稚参养殖全价饲料
CN103082153A (zh) * 2013-02-07 2013-05-08 大连海洋大学 一种添加复合益生菌的海参配合饲料
KR101449557B1 (ko) * 2013-03-13 2014-10-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미세조류 클로렐라를 주성분으로 하는 해삼용 사료 조성물
CN104738325A (zh) * 2013-12-26 2015-07-01 王宝燕 一种幼参用饲料
KR20170002234A (ko) 2015-06-29 2017-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켈프밀을 이용한 치삼용 완전배합사료
KR20170013134A (ko) 2015-07-27 2017-0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탈지미강을 기반으로 한 해삼종묘 생산용 순식물성 완전배합사료
CN107912649A (zh) * 2017-12-15 2018-04-17 重庆东宏鑫科技有限公司 一种海参饲料添加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848B1 (ko) * 2007-12-27 2009-09-07 유한회사 해원 해삼용 사료첨가물
CN101579057B (zh) * 2009-06-12 2012-08-22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添加浒苔配制海参配合饲料的方法
CN102349459A (zh) * 2011-08-12 2012-02-15 大连海洋大学 富铁海参及养殖方法
KR101397758B1 (ko) * 2012-08-26 2014-05-20 전라남도 해삼 종묘 육성용 인공배합사료
CN102987153B (zh) * 2012-12-13 2014-07-23 河南商都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抗生素仔猪保育料及其制备方法
CN103082152A (zh) * 2013-02-07 2013-05-08 大连海洋大学 一种降低海参铅含量的饲料
CN103082154A (zh) * 2013-02-07 2013-05-08 大连海洋大学 一种改善海参肉质的饲料
CN103262953A (zh) * 2013-03-28 2013-08-28 大连宝发海珍品有限公司 一种海参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704517A (zh) * 2013-12-24 2014-04-09 镇江山水湾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刺参人工饲料
KR101444131B1 (ko) * 2014-04-29 2014-09-29 대한민국 해삼 중간육성용 사료 조성물 및 해삼 중간육성방법
CN103989009A (zh) * 2014-05-06 2014-08-20 威海金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海参用耐储存发酵鲜料及其生产方法
CN106889374A (zh) * 2017-02-20 2017-06-27 辽宁天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多种益生菌的海参颗粒饲料
KR102276217B1 (ko) * 2018-06-27 2021-07-13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식 개선물질을 포함하는 해삼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6216B1 (ko) * 2022-07-18 2023-02-08 맥섬석 지.엠.주식회사 가축 혈액, 맥섬석, 법제칼슘을 이용한 양어사료용 또는 배합사료 보조용 진공 압출성형 펠렛의 제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13B1 (ko) * 2011-12-13 2012-05-10 조영택 어육분말, 어육 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027202A (zh) * 2012-12-11 2013-04-10 青岛恒生源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稚参养殖全价饲料
CN103005215A (zh) * 2012-12-28 2013-04-03 青岛农业大学 一种用于刺参幼参饲料的海泥替代物
CN103082153A (zh) * 2013-02-07 2013-05-08 大连海洋大学 一种添加复合益生菌的海参配合饲料
KR101449557B1 (ko) * 2013-03-13 2014-10-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미세조류 클로렐라를 주성분으로 하는 해삼용 사료 조성물
CN104738325A (zh) * 2013-12-26 2015-07-01 王宝燕 一种幼参用饲料
KR20170002234A (ko) 2015-06-29 2017-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켈프밀을 이용한 치삼용 완전배합사료
KR20170013134A (ko) 2015-07-27 2017-0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탈지미강을 기반으로 한 해삼종묘 생산용 순식물성 완전배합사료
CN107912649A (zh) * 2017-12-15 2018-04-17 重庆东宏鑫科技有限公司 一种海参饲料添加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455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2763A (ko) 해삼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CN104026413B (zh) 一种鳙鱼专用缓沉性饲料及其制备工艺
CN104522416B (zh) 一种中华乌鳢的幼鱼颗粒饲料及制备方法
KR101751869B1 (ko) 곤충 사료 제조방법
CN110868869A (zh) 一种零淀粉无粘合剂的虾苗开口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294191A (zh) 一种海参快速生长期专用配合饲料及其制作方法
CN108201025A (zh) 一种多纤维小龙虾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746950A (zh) 一种南美白对虾虾苗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319210A (zh) 一种富含dha营养的淡水鱼饲料
CN113170843A (zh) 促海胆生长的仿生人工饲料
CN104855692A (zh) 一种桡足类室内大规模、高密度养殖饵料
RU255582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дукционног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для молоди трепанг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04161218A (zh) 一种钩鲶鱼类(Ancistrus)幼鱼专用配合饲料制备方法
CN109329657A (zh) 东风螺大螺阶段膨化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Demisu et al. Applications of Arthrospira platensis as an alternative source of food, maintaining nutritional security and awareness creation; there by reducing problems of malnutrition in the society
CN108902554A (zh) 食叶草饵料在水产养殖中的用途
CN105876079A (zh) 以甘蔗尾叶为主要原料制备生物饲料
Sivaji Evaluation of different feeds for the culture of Artemia parthenogenetica
CN108094753A (zh) 一种扣蟹高钙发酵饲料
CN103583909B (zh) 一种稚参开口生长期饵料及其制备方法
CN102771669A (zh) 一种大菱鲆实用饵料配方
KR20180047629A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6165781A (zh) 一种提高雏鸡抵抗力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965147A (zh) 一种大鲵成鲵软颗粒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876266A (zh) 一种含有发酵蚕蛹的罗氏沼虾颗粒饲料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