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325A -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325A
KR20050061325A KR1020040105910A KR20040105910A KR20050061325A KR 20050061325 A KR20050061325 A KR 20050061325A KR 1020040105910 A KR1020040105910 A KR 1020040105910A KR 20040105910 A KR20040105910 A KR 20040105910A KR 20050061325 A KR20050061325 A KR 20050061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plug
connection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052B1 (ko
Inventor
사사키교이치
스즈키마사요시
코바야시타츠시
노다카즈후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05006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는, 광파이버가 장착된 접속부재를, 2개 마주하여 어댑터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를 광파이버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광파이버의 축 방향으로, 상기 광파이버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압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OPT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광파이버 등의 광기능부품(이하, "접속부재"라고도 함)들을 접속하는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심 접속용의 광파이버 커넥터에 있어서는, F01형 단심 광파이버커넥터(Sectional specification for fiber optic connector-Type FC, 이하 "FC형 광커넥터"라고 함), F04형 단심 광파이버 커넥터(Sectional specification for fiber optic connector-Type SC, 이하 "SC형 광커넥터"라고 함), F14형 광파이버커넥터(Type MU connector family, 이하 "MU형 광커넥터"라고 함) 및 LC형 광커넥터타이프 등의 접속부품이 제공되고 있다.
또, 다심 접속용의 광파이버 커넥터로서는, F13형 다심 광파이버 커넥터(Type MPO connector family, 이하 "MPO형 광커넥터"라고 함), MPX형 광커넥터 및 MTP형 광커넥터라는 타이프 등의 접속부품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광파이버 커넥터는,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맞대게 하는 것으로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MPO형 광커넥터에서는, 광파이버커넥터 어댑터에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광파이버 커넥터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광파이버 커넥터 어댑터에 내장된 내부 하우징내에서 광파이버 커넥터 플러그 들이 맞붙어 접속된다.
특히, 광파이버의 축방향 착탈을 용이하게 한 푸시플(push pull)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들 푸시플식 커넥터는, 접속되는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착탈하기 때문에 백프레인 등의 장치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어댑터와의 접속에서 간단하게 광파이버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지된 접속부품으로는, 일본특개평8-5869호공보, 일본특개평8-240746호공보, 일본특개2000-139642호공보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파이버 커넥터를 프린터기판(예를 들어, 마더보드 등)상이나 장치내에서 광파이버의 접속에 사용할 때에, 커넥터의 착탈방향으로 작업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여 작업시간이 길어 지거나, 커넥터를 끼울 때에 페루울 단부를 파손시키거나 커넥터를 스리브나 가이드용 샤프트에 접촉시켜 파손 또는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착탈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배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디바이스의 설치를 불가능하게 하는 등 기판 상의 공간을 유효하게 쓸 수 없다.
또한, 커넥터의 착탈방향이 안정되지 않고, 커넥터의 착탈할 때의 반동으로 광파이버 접속부품이 주위의 부품과 접촉하여, 광파이버 또는 주위의 부품을 파손시킬 위험이 있다.
더욱이, 접속시간을 단축하거나, 접속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착탈동작을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고, 래치기구를 이용하여 착탈 시에 래치가 계합하는 것으로서, 페루울에 인가되는 압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부품점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광파이버의 설계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 된다.
본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광기능부품들을 접속할 때에 조립이 용이하고 작업자가 광파이버를 손상됨이 없이 접속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더불어 기판상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광학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발명은 광파이버를 지속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로 배치된 한쌍의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를 탑재하는 어댑터와, 광파이버를 지속유지하는 상태에 있는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광학접속구조이다.
이에따라, 이동수단에 의해 광파이버를 유지한 상태의 접속부재를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광기능부품인 광파이버들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속부재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된 상기 한쌍의 광파이버들이 맞대고 있는 상태로서, 상기 광파이버에 대하여 상기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파이버들이 맞대고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보다 밀접하게 광파이버들을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를 장착하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접속부재를 취급할 때, 플러그가 있으므로 직접 손으로 접속부재를 파지하는 것이나 다른 부품 등의 접촉에 의해서 접속부재 단부나 광파이버 단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광파이버 및/또는 상기 플러그에 대하여 접동(摺動)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접속부재를 어댑터에 장착할 때, 플러그의 단부로부터 접속부재의 단부를 내측에 위치시켜, 상기 플러그 단부를 다른 한쪽의 플러그의 플러그 단부들 간에 맞대게 할 수 있다. 그 다음, 플러그에 대하여 접속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접속부재들을 맞대게 함으로써, 어댑터에 대한 접속부재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접속부재들이 접촉하여 파손될 가능성도 보다 적어진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 및/또는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플러그에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어댑터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어댑터를 기판 상에 장착할 때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 및/또는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속부재 단체로서의 접속이 가능하고, 부품점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착탈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쌍의 광학접속구조마다 캠부재 등의 이동수단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구조전체로서의 부품점수가 줄어 들 뿐만 아니라 오동작으로 인해 접속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압수단과 이동수단이 일체화하여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스프링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프링구조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광파이버들이 맞대고 있는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부설되고 동시에 스프링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구조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광파이버들이 맞대고 있는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 중, 한쪽의 접속부재내에 있어서 광파이버들을 맞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속부재의 기계적 또는 열적 변화에 대하여 신뢰성을 갖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수단에 의한 접속부재의 이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속공정을 간략화하고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간의 상대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속부재의 선단부의 위치결정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이동수단에 의한 접속부재의 맞춤·고정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부품점수를 줄일 수가 있을 뿐아니라 접속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단수 또는 복수의 캠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캠부재인 경우에는 복수의 접속부재의 접속공정이 효율적으로 일시에 수행가능하여 접속공정을 간략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개방방향으로 상기 어댑터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속작업을 부담없이 수행할 수 있고 수율이 향상되어 접속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접속부재의 이동에 사용되는 상기 접속부재와의 접촉면을 갖으며, 상기 접촉면은 광파이버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촉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서 조금씩 연속적으로 접속부재를 압압(押壓)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광파이버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수단에 가해지는 동력의 전달방향을 광파이버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서 회전하는 방향에서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조작에 의해 접속부재를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접속부재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여 배치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가 회전조작에 의하여 편심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수단에 있어서 캠부의 편심이동에 의한 동력전달 방향을 직선적으로 작용하도록 변환시킬 수 있고 접속부재를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동력전달부 및 회전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가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수단에 있어서 조작부 자체의 회전에 의한 동력의 전달방향을 직선적으로 작용하도록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접속부재를 광파이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의 광학접속구조을 이용하여 광학접속을 이루는 광학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이동수단을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광파이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의 접속부재를 상기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학접속방법이다.
이에 따라, 이동수단의 회전조작에 의한 동력의 전달방향이 변환되는 것에 의해 작용방향을 바꿀 수가 있고 보다 간편한 위치, 즉 접속부재를 탑재하는 어댑터의 개방방향에서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접속작업성의 개선으로도 이어지게 된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상기 접속부재에 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이동수단의 동력전달부를 편심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수단의 회전조작에 의한 동력의 전달방향의 변환을 달성할 수 있고, 접속부재의 접속작업을 보다 간편한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수단의 동력전달부를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수단의 회전조작에 의한 동력의 전달방향의 변환을 달성할 수 있어, 접속부재의 접속작업을 보다 간편한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발명을 실시한 제 1 광학접속구조를 이용한 어댑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 중에서 부호(101)는 어댑터, 부호(102)는 압압수단, 부호(103)은 이동수단, 부호(111)는 어댑터 본체, 부호(112)는 이동수단을 어댑터에 부착하는 부착부재, 부호(113)는 동력전달부, 부호(123)는 동력전달조작부를 각각 나타낸다.
후술하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어댑터(101)는 상방 개방형이고, 광파이버(10)가 장착된 접속부재(1)와, 광파이버(20)가 장착된 접속부재(2)를 탑재하는 어댑터 본체(111)를 갖는다. 상기 접속부재(1,2)는 광파이버를 지속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마주 대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어댑터(101)에는 접속부재(1,2)에 대하여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압수단(10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압수단은 스프링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구조를 갖는 압압수단(102)으로서는 광파이버 단부간에 광파이버 축방향으로 압력을 주는 것을 의도하며, 예를들어, 스프링(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 압압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갖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101)에는, 접속부재(1,2)를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의 캠부재(10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103)는, 어댑터(101)에서 상방으로 개방가능한 부착부재(112)를 통하여 부착된다.
도2 (a)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학접속구조에 사용되는 캠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 (b)는 그 상면도이다. 제 1 캠부재(103)는 접속부재(1) 또는 접속부재(2)에 당접하여 압압하는 동력전달부로서의 캠부(113)와, 캠부재(103)자체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동력전달 조작부로서의 캠조작부(123)와, 회전조작할 때, 조작구가 삽입되는 조작그루브(133)를 구비한다.
도 2에 일예로 나타낸 제 1 캠부재(103)에서는, 평면타원형태의 캠부(113)를 마련하고, 상기 캠부(113) 상면에는, 회전축이 되는 조작부(123)가 상방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어댑터(101)에 캠부재(103)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는 접속부재 자체만으로의 접속이 가능하여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캠부재(103)를 플러그(후술)에 장착하는 경우는, 어댑터(101)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어댑터(101)를 기판 상에 장착할 때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실시예의 제 1 광학접속구조(10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도 3과 같이, 상방 개방형의 어댑터(101)에 광파이버(10,20)가 유지(장착)된 접속부재(1,2)를 어댑터(101)의 상방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탑재하고, 이어서 부착부재(112)를 닫는다(도 3 (a) 참조).
그리고, 캠부재(10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접속부재(2)를 접속부재(1)에 접근시켜 접촉·맞닿게 한다(도 3 (b) 참조).
그 다음, 캠부재(103)을 회전하는 것으로 접속부재(2)를 접속부재(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압압수단인 스프링(102)으로부터 압압을 받아, 접속부재(1,2)간에는 서로 맞대고 있는 상태로 고정시켜, 본 실시예의 제 1 광학접속구조(100)를 얻을 수 있다(도 3 (c) 참조).
상기와 같이 어댑터(101)에 접속부재(1,2)를 장착할 때, 접속부재(1,2)간에 거리를 두고 장착할 수 있어서 접속부재 단부들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에 의한 접속부재가 손상되는 일이 없고, 또 광파이버가 접속부재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경우, 장착시에 광파이버들 간에 접촉하여 파손될 우려가 없다.
또한, 캠부재를 이용하여 작용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보다 간편한 위치,즉 상방에서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접속작업성의 개선으로 이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재료 및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재료로는 질코니아,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으로 만들어 진 것이 주로 사용된다. 또, 단면형태는, 예를들어 원형, 사각형의 것이 주로 사용된다.
광파이버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관통구멍 형태는, 광파이버가 안정되고 고정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으나, 주로 원통형, 삼각주형이 사용된다. 또 광파이버는 접속부재에 접착제로 영구고정하거나 기계적으로 파지되어 교체가 가능하게 하여도 상관없다.
더욱이 접속부재가 갖는 관통구멍의 수에도 제한은 없고, 보수점검 등의 용도로 다수의 광파이버가 고정될 수 있는 관통홀을 갖고 있어도 문제가 없다.
접속부재와 광파이버의 고정으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우레탄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나이론계, 페놀계, 폴리이미드계, 비닐계, 시리콘계, 고무계, 불소화 에폭시계, 불소화 아크릴계, 불소화 폴리이미드 등 각종의 감압접착제(점착제), 열가소성접착제, 열경화형접착제, 자외선(UV)경화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작업의 용이성 측면에서는, UV경화접착제 및 열가소성접착제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광파이버 접속방법은 어떠한 제한도 없고, 모든 기존의 광파이버 접속방법들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굴절율 정합제를 접합하는 광파이버 간에 도포하여 접속하거나, 또는 광파이버 간에 맞대어 있는 PC(Physical Contact)접속을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 접속부품에 사용되는 광파이버는, 광파이버 접속부품의 적용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예를들어 석영 또는 플라스틱제의 싱글모드 광파이버, 멀티모드 광파이버 등이 주로 사용된다.
굴절율정합제을 사용하는 경우는 재료, 형태, 설치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어, 재료로서는 광파이버의 굴절율, 재질에 의해 적당한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예를들어 시리콘오일, 시리콘그리스 등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굴절율정합제의 형태는 액체상태나 고체상태라도 좋고, 예를들어 오일상태, 그리스상태, 젤상태, 필름상태의 것이라도 좋다.
광파이버를 맞대게 할 때의 광파이버 단면에 걸리는 압압력은 기존의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 가하여도 상관없고, 또 광파이버의 중심축 방향에 직접 압압력을 가하거나, 접속부재에 광전송매체 중심축방향의 압압력을 간접적으로 가하여도 좋다.
또한, 압압력으로는 플러그나 어댑터에 설치한 판스프링이나 수지 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광학접속구조에 이용하는 플러그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러그(104)에 광파이버(30)을 장착하고, 또한 플러그(104)에 접속부재(3)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접속부재(3)을 취급할 때에 플러그(104)를 파지하면 되기 때문에 손이나 다른 부품 등의 접촉에 의한 접속부재(3)의 단부 및 광파이버(30)의 단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04)에 대하여 접속부재(3)가 접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으로, 어댑터에 장착할 때에, 도 4 (b)와 같이 플러그(104)의 단부(104a) 보다 접속부재(3)의 단부(3a)를 내측에 설치하고, 또 한쪽의 플러그의 플러그단부들 간에 맞대게 하는 것으로서 어댑터에 대하여 접속부재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접속부재들이 접촉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보다 적어진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 2 광학접속구조에 이용되는 접속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접속부재(11)는 압압수단으로서 스프링(202)이 접하는 받침부(14)와, 상기 받침부(14)보다 전방의 선단부(12)와, 상기 받침부(14) 보다 후방의 기단부(13)를 구비하고, 기단부(13)에 광파이버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 2 광학접속구조에 이용하는 접속부재 간의 접속공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접속부재(11)가 플러그(204)에 고정된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와, 접속부재(21)가 플러그(304)에 고정됨과 동시에 캠부재(203)이 장착된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20)가 맞대고 있는 접속부재(11,21)들이 접속된다.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는 플러그(204)과 상기 플러그(204)에 접착되어 기단부(13)에 광파이버(40)이 접속된 접속부재(11)와 접속부재(11)의 받침부14에 접한 상태에서 접속부재(11)의 기단부(13)에 장착된 스프링(202;압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20)는 플러그(304)와, 상기 플러그(304)에 장착되고 기단부(23)에 광파이버(40)가 접속된 접속부재(21)와 접속부재(21)의 받침부(24)에 접한 상태에서 접속부재(21)의 선단부(22)에 장착된 스프링(202;압압수단)과 접속부재(21)의 받침부(24)의 기단부측 측면에 접하도록 플러그(304)에 장착된 제 2 캠부재(203;이동수단)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광학접속구조에 이용하는 캠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b)는 그 상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캠부재(203)은 접속부재(21)에 있어서 받침부(24)에 당접하여 압압하는 캠부(213)와 캠부재(203)자체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캠조작부(223)와 회전조작할 때에 조작기구가 삽입되는 캠조작그루브(233)을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 캠부(213)은 평면원형을 하고 있다.
단, 이동수단으로서의 캠부재(203)은 도 1과 같이 어댑터에 장착되어 있서도 좋고 캠부재에 의해 플러그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간접적으로 접속부재가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광학접속구조에 이용하는 어댑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어댑터(201)는 접속하는 한쌍의 접속부재를 마주하며 간격을 두어 각각 배치하는 오목 패인 단차로 이루어진 2개의 플러그 고정용 오목단부(211,221)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광학접속구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도 9와 같이 2개의 접속부재(11,21)를 접속하는 경우, 우선 제 2 어댑터(201)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플러그 고정용 오목단부(211,221)에, 각각의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120)를 서로의 접속부재(11,21)의 선단부(12,22)가 마주하도록 설치한다(도 9 (a) 참조).
이때,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에 있어서 접속부재(11)의 선단부(12)에 미리 위치결정부재(105)를 부착하여 놓는다.
이어서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20)에 설치된 캠부재(203)를 회전하여 스프링(202)의 기단측에 향하는 부세력를 구속하고, 더불어 접속부재(21)의 선단부(22)를 위치결정부재(105)의 위치결정 삽통구멍(115)내에 삽입한다. 이것으로 접속부재(12,22)는 위치결정되어 압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202)에 의한 압압을 받고, 맞대어 고정된다(도 9 (b) 참조).
이에따라, 본 실시예의 제 2 광학접속구조(200)가 얻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재(11)는, 플러그(204)내에 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도 좋고 압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202)에 의해 받침부(14)의 기단부 측이 압압되어 선단부에 향하여 부세된 상태로 플러그(204)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캠부재(203)는,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접속부재(21)이 접동가능하게 장착된 플러그(304)에 부착되어도 좋고, 캠부재(203)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압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202)에 의해 받침부(24)의 선단측이 압압되어 기단부에 향하여 부세된 접속부재(21)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 접속부재(11,2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120))는 어댑터 또는 플러그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접속부재 간의 접합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미리 압압수단인 스프링으로부터 압압을 받은 상태에 있어서, 캠부재(103)에 의해 접속부재(31)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캠부재(10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고정력을 해방하고 접속부재(31)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다른 한쪽의 접속부재(11)에 맞대게 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도 10 및 도 11은 제 3 광학접속구조를 형성할 때의 접속부재 간의 접속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3 광학접속구조에서는 도 10과 같이 상술한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와 제 3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30)가 맞대고 있게 됨으로써 접속부재(11,31)간이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제 3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30)는 플러그(404)와 상기 플러그(404)에 장착되고 기단부(33)에 광파이버(50)가 접속된 접속부재(31)와 접속부재(31)의 받침부(34)에 접한 상태에서 접속부재(31)의 기단부(33)에 장착된 스프링(202;압압수단)과, 접속부재(31)의 받침부(34)의 선단부 측에 접하도록 플러그(404)에 장착된 제 1 캠부재(103)로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 3 광학접속구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도 11과 같이 2개의 접속부재(11,31)를 접속하는 경우, 우선 상술한 제 2 어댑터(201)에 설치된 2개의 플러그 고정용 오목단부(211,221)에 각각의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130)를 서로 접속부재(11,31)의 선단부(12,32)가 마주하게끔 설치한다(도 11 (a) 참조).
이때,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에 있어서 접속부재(11)의 선단부(12)에 미리 위치결정부재(105)를 부착하여 놓는다.
이어서 제 3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30)에 설치된 캠부재(103)를 회전하여 스프링(202)의 선단부로의 부세력를 개방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202)의 부세력에 의해 접속부재(31)의 선단부(32)를 위치결정부재(105)내에 삽입한다. 이것으로 접속부재(11,31)의 선단부(12,32)는 위치결정되어 압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202)에 의한 압압을 받어 맞대어 고정된다(도 11 (b) 참조).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제 3 광학접속구조(300)가 얻어진다.
단, 상기플러그(404)에 장착된 이동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캠부재(103)을 이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캠부재는 전술한 제 1 캠부재(103)에 한하지 않고 제 2 캠부재(203)로도 좋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4 광학접속구조(400)에 사용하는 플러그를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제 4 광학접속구조를 형성할 때의 접속부재 간의 접속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4 광학접속구조에서는 도 12와 같이 전술한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와 접속부재(41)를 플러그(504)에 고정함과 동시에 캠부재(303)를 접속부재(41)의 선단부(42)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제 4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40)가 맞대는 것에 의해 접속부재(11,41)간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 4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40)는 플러그(504)와 상기 플러그(504)에 장착되고 기단부(43)에 광파이버(60)가 접속된 접속부재(41)와 접속부재(41)의 받침부(44)에 접한 상태에서 접속부재(41)의 기단부(43)에 장착된 스프링(202;압압수단)과 접속부재(41)의 받침부(44)의 선단부 측에 접하도록 상기 플러그(504)에 착탈가능한 제 3 캠부재(303;이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303)은 브메랑 모양의 본체로 되어 있고, 기재의 일단 측의 캠부(313)와 기재의 타단 측의 조작부(323)와 기재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에 연장되도록 설치된 볼록부의 캠 조작지점(3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부재(303)는 그 캠조작지점(333)이 플러그(504)의 캠부재 고정그루브(514)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에 장착되어 있다. 캠부재(303)의 조작부(323)를 선동하면 캠조작지점(333)과 캠부재 고정그루브(514)와의 접점을 지점으로 조작부(323)가 선동하도록 되어 있고 조작부(323)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캠부(313)을 접속부재(41)의 받침부(44)에 접하게 되고 접속부재(41)를 그 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4 광학접속구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도 13과 같이 2개의 접속부재(11,41)를 접속할 경우, 우선 전술한 제 2 어댑터(201)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플러그 고정용 오목단부(211,221)에 각각의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140)을 서로 접속부재(11,41)의 선단부(12,42)간에 마주하도록 설치한다(도 13 (a) 참조).
이때,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에 있어서 접속부재(11)의 선단부(12)에 미리 위치결정부재(105)를 부착하여 놓는다.
이어서, 제 4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40)에 설치된 캠부재(303)을 회전하여 스프링(202)의 선단측을 향하여 부세력을 개방하는 것으로 스프링(202)의 부세력에 의해 접속부재(41)의 선단부(42)을 위치결정부재(105)내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서 접속부재(11,41)의 선단부(12,42)는 위치결정되어 압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202)에 의한 압압을 받아, 맞대어 지고 고정된다(도 13 (b) 참조).
그 다음, 캠부재(303)를 플러그(504)의 캠부재고정홈(514)에서 인출한다(도 13 (c) 참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제 4 광학접속구조(400)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캠부재의 형상(구조)은 도 2 및 도 7과 같이 회전손잡이형(식)으로 설치된 것이나 도12 및 도13과 같이 레버형(식)이라도 좋고, 접속부재형상이나 플러그형상 등,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4 캠부재(303)가 플러그(504)로부터 착탈가능한 경우, 한쌍의 광학접속구조마다 캠부재를 준비할 필요는 없어 구조전체로서의 부품점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오동작의로 접속상태가 변화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5 광학접속구조(500)에 사용되는 플러그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5 광학접속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제 5 광학접속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어댑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 5 광학접속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캠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접속부재(51)는 도 5에 나타낸 접속부재(11)과 마찬가지로 압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202)이 접한 받침부(54)와 상기 받침부(54)로부터 전방의 선단부(52)와 상기 받침부(54)로부터 후방의 기단부(53)를 구비한다. 접속부재(51)에는 그 기단부(53)에 광파이버(70)가 접속되고, 또한 기단부(53)에 스프링(202)이 장착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3 어댑터(301)은 상면이 개방된 유저(有底)틀체이고 접속하는 한쌍의 접속부재가 마주하고 간격을 두어 각각 배치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광파이버의 축방향을 따라서 측방틀부에 캠부재(403)가 장착되는 캠부재 고정홈(3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4 캠부재(403)는 접속부재(51)의 받침부(54)에 당접하여 압압하는 동력전달부로서의 캠부(413)와 캠부재(403) 자체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동력전달조작부로서의 캠조작부(42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 17은 제 5 광학접속구조를 형성할 때의 접속부재 간의 접속방법의 일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우선,도 14에 나타낸 접속부재(51a)를, 도 15에 나타내는 제 3 어댑터(301)에 장착한다(도 17 (a) 참조).
이어서, 어댑터(301)에 도 16에 나타낸 제 4 캠부재(403)을 장착하여, 즉, 제 4 캠부재(403)의 캠부(413)을 제 3 어댑터(301)의 캠부재 고정그루브(311)에 계합시켜, 상기 캠부재(403)의 조작부(423)를 도면 오른쪽 방향으로 누른다(도 17 (b) 참조).
또한, 다른 한쪽의 접속부재(51b)를 어댑터(301)에 장착한다(도 17 (c) 참조).
그리고, 캠부재(403)를 광파이버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즉, 원주형태로 회전시켜 왼쪽 방향으로 젖히는 것으로, 접속부재(51a)를 해방하고 접속부재(51b)와 맞닿게 한다. 그 다음, 제 4 캠부재(403)의 캠부(413)을 제 3 어댑터(301)의 캠부재 고정그루브(311)로부터 떼어낸다(도 17 (d) 참조).
그 다음, 캠부재를 어댑터로부터 떼어 내는 것으로서 제 5 광학접속구조(500)가 형성된다(도 17 (e) 참조).
이와 같이 제 5 광학접속구조(500)에서는 제 3 어댑터(301)로부터 제 4 캠부재(403)가 착탈가능하다.
또한, 도 18과 같이 제 5 캠부재(503)에 압압수단으로서 판스프링(302)을 설치하여도 좋고, 이럴 경우에는 캠부재(503)와 일체형으로 가공된 것이나 별도로 가공한 부재를 캠부재에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도 18에 나타낸 제 5 캠부재(503)는 기단부 측에 캠부재 회동지축(523)을 갖춤과 동시에 압압수단으로서의 판스프링(302)를 갖으며, 보다 선단부 측에 후술하는 제 4 어댑터의 어댑터계지부(411)와 계합하는 캠부재계지부(513)을 구비한다.
한편, 도 19에 나타낸 제 4 어댑터(401)는 어댑터본체(411)의 기단부 측에 전술한 제 5 캠부재(503)의 캠부재회동지축(523)을 계합하는 캠부재회동계지부(421)를 갖음과 동시에 선단부측에 전술한 제 5 캠부재(503)의 캠부재계지부(513)와 계합하는 어댑터계지부(411)을 구비한다.
캠부재(503)와 어댑터(401)을 사용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6 광학접속구조(600; 도 20C)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도 20A 내지 도 20C와 같이 접속부재(11a,11b)를 도 19에 나타낸 제 4 어댑터(401)에 장착한다(도 20 (a) 참조).
이어서, 도 18의 캠부재(503)를 어댑터(401)에 장착하고 캠부재(503)을 젖히는 것으로서 판스프링(302)의 탄성력에 의해 한쪽의 접속부재(11a)를 광파이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속부재(11a)의 단을 위치결정부재(105)내에서 삽입된다(도 20 (b) 참조).
더욱이, 캠부재(503)를, 어댑터(401)가 덮힐 때까지 젖히고 캠부재계지부(513)와 어댑터계지부(411)와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압압수단인 판스피링(302)의 변형에 의해 접속부재(11a)의 받침부(14a)에 압압력이 작용하여 맞닿게 되어 광학접속구조(600)가 얻어진다(도 20 (c) 참조).
또한, 압압수단에 대하여는, 어댑터, 플러그의 어느 쪽에 설치하더라도 이동수단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어댑터 또는 플러그와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부품점수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7 광학접속구조(70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도 21과 같이 광파이버용 관통구멍(38)에 광파이버(80)가 삽입된 접속부재(61)가, 가이드핀(109)을 통하여 플러그(604)에 장착된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50)를 2개 준비한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나 있는 레버형의 제 6 캠부재(603)를 구비하는 제 5 어댑터(501)에 장착한다. 제 5 어댑터(501)과 제 6 캠부재(603)는 일단 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 5 어댑터(501)의 위에 제 6 캠부재(603)가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5 어댑터(501)에 있어서 제 6 캠부재(603)과의 연결부 측에는 압압수단으로서의 판스프링(402)이 일체화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6 캠부재(603)의 아래면(즉, 제 5 어댑터(501)측)에는, 2개의 캠부(613a,613b)가 간격을 갖고 있고, 제 5 어댑터(501)과의 연결부 측과 그 반대의 선단측에 각각 일체화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부(613a,613b)는 광파이버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접촉면(조작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접촉면은 서로 마주하고 있다.
플러그(604a)와 광파이버(80a)와의 상대위치 및 플러그(604b)와 광파이버(80b)와의 상대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604a)는 위치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플러그(604b)와 광파이버(80b)는 일체화되어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접속부재(61a,61b)는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접속부재(61a)와 광파이버(80a), 및 접속부재(61b)와 광파이버(80b)의 상대위치는 변경할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광학접속구조(700)로의 접속방법은 우선 레버형 캠부재(603)를 해방하고 어댑터(501)에 한쌍의 플러그(604a,604b)를 서로의 접속부재(61a,61b)들 간에 마주하도록 장착한다(도 22 (a) 참조).
이어서, 캠부재(603)를 젖혀서 한쪽의 캠부(613a)의 광파이버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된 접촉면(조작면)이 한쪽의 접속부재(61a)와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접속부재(61a)가 이동하고 2개의 광파이버 단부를 한쪽의 광파이버용 관통구멍(38)내에 위치시킴으로서 광파이버 간의 단면을 위치결정한다(도 22 (b) 참조).
더욱이 캠부재(603)를 젖히는 것으로 다른 한쪽의 캠부(613b)의 광파이버 중심축에 대하여 사선(斜線)방향인 접촉면(조작면)이 다른 한쪽의 플러그(604b)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플러그(604)를 이동시켜 광파이버(80a,80b) 간을 맞닿게 하고 캠부(613a,613b)로부터 압압력을 받아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어 본 실시예의 광학접속구조(700)가 얻어진다.
이 방법에서는, 2개의 광파이버는 한쪽의 접속부재 중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부재의 기계적 또는 열적변동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접속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성이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접속부재를 이동시켜 2개의 광파이버를 한쪽의 접속부재에 삽입하고 또한 맞추는 공정이, 간단한 레버를 젖히는 공정만으로 수행할 수 있어 신뢰성 유지상태에서 접속공정의 간략화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3과 같이 각각 다른 캠부재 및 접속부재를 준비한 2개의 플러그를 준비하여 이것들을 서로 접합하는 광학접속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23 (a)는, 제 6 플라스고정 접속부재(160)를 나타내고 있고, 제 6 플러그고정접속부재(160)는 광파이버(90)가 장착된 접속부재(71)의 기단부 측에 광파이버 고정부재(108)가 고정되어 상기 광파이버고정부재(108)의 기단부 측에 스프링(202)을 통하여 플러그(70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3 (a)에서는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이동수단으로서 제 7 캠부재(703)가 플러그(704)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7 캠부재(703)은 캠부(713)와 캠조작부(723)을 구비하고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캠부재(703)는 나이프 모양을 하고 있다.
캠부재(703)의 캠부(713)의 측면은 폭방향의 길이가 다른 3개의 면을 갖고 있고,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캠부에 있어서 광파이버 축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3 (b)는 제 7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70)을 나타내고 있고, 제 7 플러그고정접속부재(170)는, 광파이버(1010)가 장착된 접속부재(81)의 기단부 측에 스프링(202)에 의해서 플러그(804)에 장착되어 있다. 또 도 23 (b)에서는 이동수단으로서 전술한 제 1 캠부재(103)가 플러그(804)에 구비되어 있다.
단, 상기 플러그(804)에 장착되는 이동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 1 캠부재(103)을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캠부재는 전술한 제 1 캠부재(103)로 제한하지 않고 제 2 캠부재(203)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광학접속구조(800)에서의 접속방법은 우선 제 6 어댑터(601)에 양쪽의 플러그(704,804)를 장착한다(도 25 (a) 참조). 이 상태에서 캠부재(703)는 가장 긴 캠이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한쪽의 캠부재(10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스프링(202)에 의해 접속부재(81)가 해방된다. 이에따라 광파이버(170)는 고정상태로 접속부재(81)는 접속부재(7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다른 한쪽의 캠부재(70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캠부재(703)는 두번째로 긴 캠부가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위치한다. 이에따라 접속부재(71)는 스프링(202)의 압압에 의해 접속부재(81)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따라 광파이버(160,170)는 접속부재(81)안에 위치하게 된다(도 25 (b) 참조).
그 다음, 캠부재(70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캠부재(703)에 있어서의 가장 짧은 캠부가 광파이버의 축방향에 위치한다. 이에따라 광파이버 고정부재(108)가 해방되고 스프링(202)의 압압에 의해 광파이버 고정부재(108)가 이동하고 광파이버(160,170)가 맞닿아 고정된다(도 25 (c) 참조).
회전캠부재(703)를 플러그(704)에 고정하여도 그 캠부재에 다수의 캠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공정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어, 접속공정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접속부재로서는 미리 접속부재용의 위치결정부재가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위치결정부재는 접속부재의 종류, 광파이버의 종류 등 설치환경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접속부재의 외형을 기준으로 위치결정을 수행할 경우, 유리관, 플라스틱관, 금속관, 세라믹관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수 종류의 복합재료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든다면 플라스틱 또는 유리제의 V자 그루브를 갖는 부재에 금속관을 정열시키고 고정부재로 고정한 것을 들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에 설치하는 관통구멍의 수는 위치결정부재의 강도, 위치정도, 구멍의 형상이 유지된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일렬로 다수의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다수의 접속부재를 동시에 위치결정하거나 보수점검용에 접속되는 광파이버보다도 많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위치결정부재에 설치하는 관통구멍의 형상은 접속부재의 형상에 의해 적의 선택하여 사용한다. 예를들어 원주형상의 접속부재 간을 접속할 때는 원통형, 삼각주형, 사각주형의 것이 주로 사용되어진다.
또한, V자 그루브를 갖는 정열부재 상부에 평면판을 배치시켜 삼각주형의 관통구멍을 갖는 접속부재로서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이들의 관통구멍은 접속부재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내경이 관통구멍 단면에서는 가장 크고 중앙부 부근에서 가장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관통구멍 단면이 면취 또는 콘(원추)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위치 결정부재의 외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나 상기 관통구멍의 외주의 일부를 잘러 내어 사용하여도 좋다. 이것으로, 접속부재를 안정시키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진다.
또한, 위치결정부재가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 그 위치결정부재를 한꺼번에 고정하는 위치결정부재 고정부재가 접속부재에 장착되어도 좋다. 또 그 장착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위치결정부재는 접속부재를 따라서 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접속부재의 위치결정이 가능한 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위치결정부재 및 광학접속구조 자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5와 같이 광파이버 심선(40)(후루카와 덴코우사 제품, 250μm경)의 단부부분의 피복을 제거하는 것으로 광파이버소선(125μm경)을 베껴내서 MU커넥터용 질코니아 페루울(접속부재)(11)(세이코인스투르먼트사 제품, 페루울외경1.25mmΦ)에 삽입·고정·연마한 것을 2개 준비하였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낸 ABS수지를 가공하여 제작한 제 1 플러그(204)에 도 5에 표시한 한쪽의 페루울(11)과 스프링(202)을 장착하고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10)를 형성하였다.
동일하게 ABS수지를 가공하여 제작한 제 2 플러그(204)에 다른 쪽에 페루울(21)와 도 7 (a)에 표시한 캠부재(203)와 스프링(202)을 장착하고 도 6에 나타낸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120)를 형성하였다.
또, 위치결정부재로서 금속분할스리브(105)(도 6 참조)(산와덴키코오교우제품,린청동제)를 페루울(11)의 선단부(12)에 장착하였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플러그를 장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어댑터(201)을 ABS수지를 가공하여 제작하였다. 그 다음, 도 9 (a), 도 9 (b)와 같이 제 1, 제 2 플러그(204,304)를 어댑터(201)에 장착하였다.
제 2 플러그(304)의 캠부재(203)를 정밀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180도 회전시키는 것으로 캠부(213)로 다른 쪽의 페루울(21)의 받침부(24)를 누르고 다른 쪽의 페루울(21)의 선단부(22)를 한쪽의 페루울(11)측에 이동시켜서 페루울(11,21)의 선단부(12,22)을 위치결정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제 2 광파이버접속구조(200)를 제작하였다.
결과물인 광학접속부품은 푸시플의 착탈방법과 달리 캠을 이용함으로써 광파이버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부터의 접속조작이 쉬워지고, 작업스페이스가 작은 기판상에서의 접속작업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손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착탈방향이 안정되지 못하고, 반동으로 광파이버 접속부품이 주위의 부품과 접촉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는 푸시플의 착탈방식과 비교하여 안정된 착탈이 가능하여 광파이버가 파손될 염려가 없어졌다.
더욱이 기판에 평행하게 회전력을 주기 때문에 기판에 대한 수직방향의 압압력이 작용하지 않아 기판을 파손시키는 일이 없어졌다. 또한, 래치기구를 복잡하게 복합시킨 광커넥터와 비교하여 페루울 등의 접속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도 줄어 광커넥터의 설계가 용이해졌다.
결과물인 제 2 광파이버 접속구조(200)에 대하여 광파이버의 접속점에 있어서의 접속손실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한 쪽의 광파이버 심선(40)에 FC형커넥터를 통하여 광강도 측정기(라이트 웨이브 멀티메터 8163A 아지렌트 테크롤로지사 제)를 접속하였다. 그리고 다른 쪽의 광파이버 심선(40)으로 측정용 광신호를 입사하여 접속점을 통과하여 한쪽의 광파이버 심선(40)에서 출사한 측정용 광신호의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입사전의 측정용 광신호의 광강도와 출사후의 측정용 광강도의 측정치로부터 접속손실을 구하여 FC형 커넥터의 접속손실을 차감하여 광파이버의 접속점의 접속손실로 하였다.
그 결과, 접속손실은 평균 0.2 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 14와 같이, MU커넥터용 질코니아페루울(접속부재)(15)에 광파이버(70)를 삽입·고정·연마한 것을 2개 준비하였다. 또한 한 쪽의 페루울(51a)에 1개의 스프링(202)을 장착하였다. 또 다른 한쪽에 페루울(51b)에 위치결정부재로서 금속분할스리브(105)(산와덴키코오교우 제품, 린청동제)를 장착하였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루울(51a,51b)룰 장착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3 어댑터(301) 및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아암(조작부)(423)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제 4 캠부재(403)를 제작하였다.
이어서, 도 17과 같이 스피링부착의 페루울(51a)을 어댑터(301)에 장착하였다.(도 17 (a) 참조)
그 다음, 캠부재(403)를 어댑터(301)에 장착하고 아암을 우측에 젖히는 것으로 캠부(413)가 페루울 받침부를 누름으로서 스프링을 수축하면서 페루울(51a)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도 17 (b) 참조).
그 다음, 다른 한쪽의 페루울(51b)을 어댑터(301)에 장착하고(도 17 (c) 참조),캠부재(403)를 좌측으로 젖히는 것으로(도 17 (d) 참조), 캠부(413)로부터 페루울(51a)은 해방되어 좌측으로 이동하고 페루울 선단부(52a)는 분할스리브(105)안에 삽입되고 페루울 간이 위치결정되어 페루울 간을 맞닿게 할 수 있었다.
그 다음, 캠부재(403)를 플러그(301)에서 제거하고 본 실시예에 의한 제 5 광파이버 접속구조(500)가 얻어졌다(도 17 (e) 참조).
결과물인 광학접속부품은 실시예2의 광학접속구조에 대하여 기재한 것과 같이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었다. 또한, 본 광학접속구조의 경우에는, 접속공정시에 캠부재가 필요하지만 그 후의 정상상태에서는 캠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수로 인한 캠 접촉 등으로 구성부품을 파손되는 일이 없어지고, 또 잘못하여 착탈동작을 수행하는 일들도 없어졌다.
그 다음, 실시예 1과 같이 접속점에 있어서의 접속손실을 측정한 결과, 접속손실은 평균 0.2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가능하였다.
[실시예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U커넥터용 질코니아 페루울(접속부재)(11)에 광파이버(40)을 삽입·고정·연마한 것을 2개 준비하였다(도 10 참조).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레스판을 가공하여 제작한 본 실시예에 의한 제 4 어댑터(401)에, ABS수지를 가공하여 제작한 도 18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 5 캠부재(503)을 장착하였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루울의 1개에 위치결정부재로서 금속분할스리브(105)(산와덴키코오교우사 제품, 린청동제)를 1개 장착하였다.
그 다음, 상기 2개의 페루울(11a,11b)을 어댑터(401)에 장착하고 캠부재(503)의 캠부재 회동지축(523)을 어댑터(401)의 지축계지부(421)에 계지하는 것으로서 캠부재(503)를 어댑터(401)에 장착하였다.
이어서, 캠부재(503)를 어댑터(401)측으로 젖혀서 캠부재(50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캠부재(503)로 페루울(11a)의 받침부(14a)를 눌러 페루울(11a)을 이동시키고, 금속분할스리브(105)에 페루울 선단부(12a)를 삽입하여 페루울 간을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캠부 일체의 판스프링(302)에 의해 압압력을 가하여 페루울에 맞대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제 6 광파이버 접속구조(600)를 제작하였다.
결과물인 광학접속부품은 실시예2의 광학접속구조에 대하여 기재한 것과 동일하게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었다 또 본 광학접속구조의 경우에는 캠부재가 어댑터와 페루울 및 스리브고정부재를 고정하고 또한 실시예 2에서는 필요로 하였던 압압수단인 스프링을 제거하고, 캠부재와 압압수단으로서 판스프링을 일체화시키는 것으로서 접속부재로서의 페루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가, 최소 부품수로 구성 가능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조립공정도 보다 간단하여졌다.
그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속점에 있어서의 접속손실을 측정한 결과, 접속손실은 평균 0.2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가능하였다.
[실시예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U커넥터용 질코니아 페루울(접속부재)에 광파이버를 삽입·고정·연마한 것을 2개 준비하였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S수지를 가공하여 제작한 본 실시예에 의한 제 7 어댑터(701)에 ABS수지를 가공하여 제작한 도 7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 2 캠부재(203)를 장착하였다. 또 상기 페루울의 한 쪽에 스프링(202)과 위치 결정부재로서 금속분할스리브(105)(산와덴키코오교우사 제품, 린청동제)를 1개 장착하였다.
그 다음, 도 27과 같이 2개의 페루울(11,51)을 어댑터에 장착하고 정밀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90도 회전시켜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캠부(203)에서 페루울(11)의 기단부(13)를 눌려 페루울(11)을 이동시키고 금속분할스리브(105)에 페루울 선단을 삽입하여 페루울 간을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다른 한쪽의 페루울(51)에 설치된 스프링(202)에 의해 압압력을 가하여 페루울에 맞닿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제 9 광파이버 접속구조(900)를 제작하였다.
결과물인 광학접속부품은 실시예 1의 광학접속구조에 대하여 기재한 것과 동일하게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었다. 또한, 본 광학접속구조의 경우에는 어댑터에 캠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플러그는 필요없고 페루울만을 어댑터에 장착하기 때문에 더욱 구성부품을 적게 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간단하여졌다.
그 다음, 실시예 1과 같이 접속점에 있어서의 접속손실을 측정한 결과, 접속손실은 평균 0.2dB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가능하였다.
[실시예5]
도 28과 같이, 8심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20)(후루카와덴코우사 제, 250μm경 광파이버 사용)의 단부 부근의 피복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광파이버소선(125μm 경)을 베껴내고, MT페루울(91,접속부재,시로야만세이사꾸쇼사제, 싱글 모드용)에 삽입·고정·연마하여 플러그 (180)를 2개 제작하였다.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텐레스판을 가공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제 5 캠부재(503)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제 8 어댑터 (801)를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제작하였다.
상기 제 8 어댑터 (801)에, 한쪽의 플러그(180a)를 스프링(202), 압압판 (106), 가이드핀 (109)에 의해 고정하였다. (도 30 (a) 참조).
이어서, 어댑터(801)에 다른 쪽의 플러그 (180b)를 도 30 (a)와 같이 장착하였다.
그 다음, 캠 부재 (203)를 정밀마이너스 드라이버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으로, 스프링(202)에 의해 플러그(180a)가 해방되고, 플러그(180a)는 스프링(202)에 의한 압압에 의해서, 다른 쪽의 플러그(180b)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이드핀(109)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다른 쪽의 플러그 (180b)에 맞대게 된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제 10 광파이버 접속 구조(1000)를 제작하였다 (도 30 (b) 참조).
결과물인 광학접속부품은, 실시예 2의 광학접속구조에 대하여 기재한 것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었다. 본 광학접속구조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에서 캠부의 압압력은 작용하지 않고, 항상 캠에 응력이 걸려 있지 않기 때문에 캠부의 내구성이 증가하고, 보다 부품을 소형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MT 클립에서는, 기판에 클립을 고정하고, MT페루울를 장착 시키는 경우, 미리 MT페루울에 가이드핀을 통하여 맞닿게 한 후, MT클립에 장착하는데, 그때, 기판에는 상방으로부터 과다한 압압력이 가해지는 위험이 있지만, 본 광학접속 구조의 경우에는, 상방으로부터 압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기판이 파손되는 일이 없어졌다.
그 다음, 실시예 1과 같이, 접속점에 있어서의 접속손실을 측정한 결과, 접속손실은 평균 0.5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가능하였다.
[실시예6].
도 31과 같이 8심 광파이버 테이프심선 (1030)(후루카와덴코우사 제, 250μm경 광파이버 사용)의 단부 부근의 피복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광파이버소선(125 경)을 드러내고, 피복 단부로부터 10mm 지점에 광파이버 소선을 잘랐다.
상기 광파이버 소선을 MT페루울(접속부재)(1001)(시로야만세이사꾸쇼사제, 싱글 모드용)에 삽입하여 플러그(190)를 2개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도 32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면에 캠삽입그루브(117)를 갖는 가이드핀 고정부재(107)와, 도 33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 8 캠부재(803)를 준비하였다.
도 3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이드핀 고정부재(107)의 가이드핀 삽통구멍(127)에 가이드핀(109)을 고정하고, 이 가이드핀(109)을 상기 한쪽의 플러그(190a)의 MT페루울(1001a)의 가이드핀 삽통구멍(219)에 삽입하여 부착하고, ABS수지에 의해 제작한 제 1 플러그 상부 부품(904a)에 스프링(202)과, 도 33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의한 제 8 캠부재(803)를 끼워서 설치하였다.
그 다음, 제 1 플러그 하부부품(904b)을 부착하고, 도 34와 같이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10)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30)은, 제 1 플러그 상부부품(904a)과, 제 1 플러그 하부부품(904b)으로 좁혀지게 해서 고정시켰다. 또한, 제 8 캠부재(803)는, 캠 조작부(823)와, 상기 가이드핀 고정부재(107)의 상면에 설치된 캠삽입그루브(117)에 삽입되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핀상태의 캠부(813)를 가진다.
또한,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광파이버 고정부재(108)와, 도 36과 같이 스프링구조를 갖는 판스프링(602)를 일체화시킨 본 실시예에 의한 제 9의 캠 부재(903)을 준비하였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파이버 고정부재(108)의 가이드핀 삽통구멍(128)에 가이드핀(109)을 고정시키고 상기 가이드핀(109)을 다른 쪽의 플러그(190b)의 MT페루울(1001b) 가이드핀삽통구멍(219)에 스프링(202)을 통하여 삽입하여 부착한다.
또한 ABS수지에 의해 제작한 제 2 플러그 상부부품(1004a)에 도 36에 나타낸 제 9 캠부재(903)과 제 2 플러그 하부부품(1004b)를 부착하고, 도 37과 같은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20)를 제작하였다.
여기에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은 광파이버 고정부재의 그루브에 에폭시계 접착제로 고정하였다. 또 ABS수지를 가공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제 6 어댑터(601)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도 38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제 6 어댑터(601)에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10) 및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20)를 장착하였다(도 38 (a) 참조).
이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제 8 캠부재(803)를 90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제 1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10)의 가이드핀(109)을,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20)의 가이드핀 구멍(127)에 삽입된다(도 38 (b) 참조).
더욱이, 캠부재(803)를 90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가이드핀 고정부재(107)에 의해 MT페루울(1001a)이 눌려져 MT페루울(1001a)가 슬라이드되고 제 1 플러그의 MT페루울 안에 양 플러그의 광파이버가 위치하도록 하였다(도 38 (c) 참조).
또한, 캠부재(803)의 캠부(813)의 이동경로와, 가이드핀 고정부재(107)의 캠삽입그루브(177)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캠부재(803)의 회전에 의해 캠부(813)가 캠삽입그루브(177)의 외측의 테두리부분을 계합하는 것으로서 가이드핀 고정부재(107)를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20)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제 2 플러그 고정접속부재(220)의 본 실시예에 의한 제 9 캠부재(903)를 180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제 2 캠부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스프링구조를 갖고 있는 판스프링(602)의 탄성 반발력으로 광파이버고정부재(108)를 눌러서 광파이버 간에 압압을 가하여 맞닿게 하여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제 10 광파이버접속구조(1100)를 제작하였다(도 38 (d) 참조).
해당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이 전술된 것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변형예들 및 수정예에까지 포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 들어가는 이러한 모든 변형예 및 수정예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물인 광학접속부품은 푸시플의 착탈방법가 달리 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광파이버 중심축 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접속조작이 쉬워서 작업스페이스가 작은 기판상에서의 접속작업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착탈방향이 안정되지 않고, 또 반동으로 광파이버 접속부품이 주위의 부품과 접촉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는 푸시플의 착탈방식과 비교하여 안정된 착탈이 가능하고 광파이버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졌다.
또한, 기판에 평행한 회전력을 가하기 때문에 기판에 대한 수직방향에 압압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기판을 파손시키는 일이 없어졌다.
더욱이, 캠을 이용하는 함으로서 광파이버의 맞닿게 하는 것과, 광커넥터의 고정 등의 서로 다른 동작을 1회의 동작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광커넥터 접속공정을 단축화 하였고, 또한 가이드핀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돌기물이 없어졌으며 접속부재로 이용되는 MT페루울에 광파이버를 완전히 수납한 상태로, 플러그를 어댑터에 수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가이드핀과 광파이버와의 접촉, 또는 접속부재와 광파이버간의 접촉에 의해 광파이버가 파손될 염려가 없어졌다. 래치기구를 복잡하게 복합한 광커넥터와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광커넥터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었다.
또한, 부품 점수가 적어져서 광커넥터의 착탈방법과 다른 방향으로 캠이 동작함으로 광파이버 중심축에 수직방향으로의 접속조작이 쉬워져 기판상면으로부터의 접속작업성이 향상되었다.
그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속점에 있어서의 접속손실을 측정한 결과, 접속손실은 평균 0.5 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도1(a)의 A-A선 횡단면도, (c)는 캠부재의 부착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캠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제 1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 접속공정을 순차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발명의 플러그를 구비한 광학접속구조의 일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광학접속구조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접속부재의 일예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플러그 고정접속부재의 일예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캠부재의 제 2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제 2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발명의 제 2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플러그 고정접속부재의 제 2 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발명의 제 3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플러그 고정접속부재의 제 3 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발명의 제 4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접속부재의 제 2 예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제 3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캠부재의 제 4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발명의 제 5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캠부재의 제 3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제 4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발명의 제 6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일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발명의 제 7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제 5 예와 캠부재의 제 4 예를 사용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일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캠부재의 제 7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제 6 예를 사용할 때의 제8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제 7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발명의 제 9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예에 있어서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MT페루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어댑터의 제 8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발명의 제 10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예에 있어서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다른 MT페루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예에 있어서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가이드핀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는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캠부재의 제 8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예에 있어서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예에 있어서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광파이버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캠부재의 제 9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예에 있어서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하는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본발명의 제 11 광학접속구조를 구성할 때의 접속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Claims (25)

  1.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마주하는 위치로 배치하여 이루는 한쌍의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를 탑재하는 어댑터와;
    광파이버를 유지한 상태에 있는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를 구비한 광학접속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속부재에 의해 장착된 상기 한쌍의 광파이버들이 서로 맞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광파이버에 대하여, 상기 광파이버의 축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압 수단을 구비한 광학접속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를 장착하는 플러그를 구비한 광학접속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광파이버에 대하여, 접동 가능인 광학접속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에 대하여, 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플러그에 부설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를 장착하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플러그에 부설 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부설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부설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탈착 기능한 구조를 갖는 광학접속구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부설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스프링구조를 갖는 광학접속구조.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부설되고, 또한 스프링구조를 갖는 광학접속구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 중, 한쪽의 접속부재 내에 있어서, 광파이버들을 맞대게 하는 광학접속구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간의 상대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 광학접속구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부설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단수 또는 복수의 캠부재인 광학접속구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개방 방향에서 상기 어댑터에 장착되는 광학접속구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접속부재의 이동에 이용되는 상기 접속부재와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은 광파이버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되어 있는 광학접속구조.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광파이버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광학접속구조.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접속부재에 접하고 배치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가 회전 조작에 의해 편심 이동하는 광학접속구조.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동력 전달부 및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력 전달부가 광파이버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학접속구조.
  23. 제 1항의 광학접속구조를 이용하여, 광학접속 수행하는 광학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의 축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조작가능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이동수단을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광파이버를 장착한 상태에 있는 접속부재를, 상기 광파이버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학접속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접속부재에 접하고 배치되는 상기 이동수단의 동력 전달부를 편심이동시키는 광학접속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수단의 동력전달부를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학접속방법.
KR1020040105910A 2003-12-16 2004-12-14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 KR100783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8298A JP4153418B2 (ja) 2003-12-16 2003-12-16 光学接続構造
JPJP-P-2003-00418298 2003-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325A true KR20050061325A (ko) 2005-06-22
KR100783052B1 KR100783052B1 (ko) 2007-12-07

Family

ID=3478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910A KR100783052B1 (ko) 2003-12-16 2004-12-14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82522B2 (ko)
JP (1) JP4153418B2 (ko)
KR (1) KR100783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2445B2 (en) 2003-09-08 2005-11-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ion
JP4838557B2 (ja) 2005-09-12 2011-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4299855B2 (ja) * 2006-11-30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572065B2 (en) 2007-01-24 2009-08-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connector
US7591595B2 (en) * 2007-01-24 2009-09-22 Adc Telel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adapter
US7744286B2 (en) 2007-12-11 2010-06-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US8634622B2 (en) * 2008-10-16 2014-01-21 Icad, Inc. Computer-aided detection of regions of interest in tomographic breast imagery
US8152384B2 (en) * 2009-10-15 2012-04-10 Corning Cable Systems Llc Push-pull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TW201140168A (en) * 2010-05-11 2011-11-16 Hon Hai Prec Ind Co Ltd Fixing device
JP2013029624A (ja) * 2011-07-28 2013-02-07 Kyocera Corp 光コネクタおよび光伝送モジュール
US20140301700A1 (en) * 2011-07-28 2014-10-09 Takahiro Matsubara Optical connector,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connector
JP5868629B2 (ja) * 2011-08-02 2016-0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源装置
JP5842584B2 (ja) * 2011-09-29 2016-01-13 富士通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6015235B2 (ja) * 2012-08-23 2016-10-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電気複合ケーブル、光コネクタ用カバーおよび接続方法
US10444443B2 (en) 2013-06-27 2019-10-15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Fiber optic cable anchoring device for use with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6498903B2 (ja) * 2014-09-30 2019-04-1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フェルール用クリップ、光モジュール及び光コネクタ
JP2017138535A (ja) * 2016-02-05 2017-08-1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フェルール接続部品
US10631733B2 (en) * 2017-03-13 2020-04-28 Go!Foton Holdings, Inc. Lens combination for an optical probe and assembly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3710U (ko) * 1985-06-07 1986-12-22
JPH085869A (ja) 1994-06-24 1996-01-1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光コネクタ装置
JP2896860B2 (ja) 1995-03-06 1999-05-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多芯コネクタ
JPH0996736A (ja) * 1995-09-29 1997-04-0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器の開閉装置
JP3393181B2 (ja) 1998-11-09 2003-04-07 カネボウ株式会社 陳列棚
JP2001208935A (ja) * 2000-01-24 2001-08-03 Fujitsu Ltd 光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6540409B1 (en) * 2000-03-09 2003-04-01 Kevin S. Yamada Apparatus for creating an optical fiber link
JP2001356241A (ja) * 2000-06-16 2001-12-26 Nec Eng Ltd 光コネクタ
US6698937B2 (en) * 2001-07-11 2004-03-02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connecto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82522B2 (en) 2007-02-27
JP4153418B2 (ja) 2008-09-24
US20050220420A1 (en) 2005-10-06
JP2005181419A (ja) 2005-07-07
KR100783052B1 (ko) 200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052B1 (ko) 광학접속구조 및 광학접속방법
US10429592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optical coupling structure
RU2137164C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и крыш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JP2005091379A (ja)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
JP2009301051A (ja) コネクタホルダおよびコネクタホルダ付き光コネクタ
US11940655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JP4409364B2 (ja) コネクタホルダおよびコネクタホルダ付き光コネクタ
WO2020145011A1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51998A (ja) 光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接続用割スリーブ、支持部材およびアダプタ
JP2011070101A (ja) 光ファイバ固定具および光コネクタ
JP6447038B2 (ja) 光コネクタ結合システム
JP4032973B2 (ja) 多心光コネクタ
KR100671121B1 (ko) 광섬유 접속용 부품, 광섬유 접속 구조 및 광섬유 접속 방법
JP2005121988A (ja) 光ファイバ接続器、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コネクタ変換器
JP4209036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接続方式
WO2016082100A1 (zh) 一种光纤连接器插头及其装配方法
JP5065340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EP1542046B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component, optical fiber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method
JP2005181737A (ja) 光学接続構造
JP2004038023A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2000002818A (ja) 光コネクタ
JP2006139212A (ja) 光コネクタ用工具、工具付き光コネクタ
JP2005338263A (ja) 光学接続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5283740A (ja) 光学接続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7199622A (ja) 光アダプタ固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