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982A -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단말기 - Google Patents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982A
KR20050058982A KR1020040104454A KR20040104454A KR20050058982A KR 20050058982 A KR20050058982 A KR 20050058982A KR 1020040104454 A KR1020040104454 A KR 1020040104454A KR 20040104454 A KR20040104454 A KR 20040104454A KR 20050058982 A KR20050058982 A KR 20050058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카와슈우지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9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3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1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 made of the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3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services of sa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은 단말기와 서버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시청될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그 방송 프로그램이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서버는 그 단말기의 ID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가입자 정보 중 일부가 그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 정보를 ID 정보와 연관시킨다.

Description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VIEWING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VIEWING INFORMATION COLLECTING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시청 (viewing)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들 등의 콘텐츠의 (화상 (visual)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그라운드 웨이브 텔레비전의 종래의 시청률 조사의 경우에, 시청률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는 개인 가정에 위치된 텔레비전에 설치되어 있다. 그 후에, 시청된 채널들에 대한 정보 및 그 시청 시간에 대한 정보는 조사국으로 수집된다.
그러나, 아날로그 그라운드 웨이브 텔레비전의 종래의 시청률 조사의 경우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타겟들은 개인 가정에서 시청되는 텔레비전 방송이다. 따라서, 그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개인 가정의 가족들 중에 그 채널의 방송을 실제로 시청한 시청자를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 채널의 방송을 시청한 시청자의 성별, 연령 그룹, 직종 등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 서비스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이들 기술들은 그러한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타겟으로 한다. 예를들어, 일본 공개 특허 출원 JP-A 2002-232604 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그라운드 웨이브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여 송신된 메뉴 스크린과 화상 광고를 수신한다. 메뉴 스크린으로부터 선택된 화상 광고의 시청 이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이 화상 광고의 시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그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화상 광고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한다. 그 화상 광고 서비스 제공자는 화상 광고를 시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communication common carrier) 의 가입자 개인 정보로부터 개인 정보를 획득한다. 그후에, 화상 광고 서비스 제공자는 그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그 개인 정보를 각각의 공중 통신 사업자에게 송신한다.
JP-A 2002-232604 에 개시된 기술에서, 화상 광고의 시청을 나타내는 정보가 화상 광고 회사로 송신된다. 여기서, 이 화상 광고는 통신 요금의 반환 (return) 을 위한 타겟이다. 따라서, 화상 광고 회사에 의해 관리되는 시청 내역 (history) 은, 통신 요금을 반환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시청되는 화상 광고만을 위한 시청 내역이다. 이것은 시청률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가 아니다. 따라서, 시청률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시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JP-A 2002-232604 의 기술에서, 시청 내역은 광고 회사에 의해 관리되고, 개인 정보는 공중 통신 사업자에 의해 관리된다. 따라서, 데이터 관리를 위한 노력과 관리 비용이 과도해진다.
또한, 광고 회사는 시청 내역 데이터를 준비하는 데 과도한 노력을 필요로 하는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시청 결과가 송신될 때마다 공중 통신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 정보가 전달되기 때문이다.
또한, 공중 통신 사업자가 개인 정보를 전달할 때, 이 개인 정보는 외부에 누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되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 정보를 정확히 수집할 수 있는,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그것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 정보 및 시청 내역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노력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그것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청 내역 데이터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통신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그것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유도되는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보안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그것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 및 기타 목적들, 특성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양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시청 정보 수집 서버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메모리 유닛, 시청 유닛, 제어 유닛, 및 제 1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은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시청 유닛은 시청 콘텐츠로서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여 시청되도록 한다. 제어 유닛은,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통신 유닛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한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는 제 2 통신 유닛,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분석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통신 유닛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킨다. 분석 유닛은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고, 제 1 정보가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유닛,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분석 유닛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를 제공한다. 통신 유닛은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출력되어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이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다.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 1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킨다. 분석 유닛은,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분석 유닛은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고, 제 1 정보가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서, 분석 유닛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시청 시간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분석 유닛은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정보,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수신 시간은 시청 분석 정보 내에서 각각 연관된다. 수신 시간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이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서,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서, 분석 유닛은,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되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서, 위치 정보 획득 유닛은 기지국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영역의 통신을 관리한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서, 위치 정보 획득 유닛은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정보는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는 요금 데이터베이스 및 어카운팅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요금 데이터베이스는 제 1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요금을 나타내는 통신 요금 정보를 저장한다. 어카운팅 제어 유닛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데이터베이스의 통신 요금을 감액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유닛, 시청 유닛, 제어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메모리 유닛은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시청 유닛은 시청 콘텐츠로서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여 시청되도록 한다. 제어 유닛은,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통신 유닛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통신 사업자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 유닛이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통신 유닛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신 유닛은, 소정량의 제 1 시청 상태 정보마다,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신 유닛은,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부터 출력된 제 1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신 유닛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소정 시간에 송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은 그 위치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시청 정보 수집 방법은, (a)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될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이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출력 단계; (b)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 1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상기 송신 단계; (d)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 의해,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 의해,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고, 제 1 정보가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킨다.
청구항 제 23 항에 따른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에서, 단계 (b)는, (b1)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에서, 단계 (b)는, (b2)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하도록,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에서,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체화되고, 실행될 때, 시청 정보 수집에 사용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인 컴퓨터로 하여금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를 제공하며, 상기 단계는, (f)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출력되어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이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고,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 1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상기 수신 단계; (g)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h)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i) 제 1 정보가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킨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i)는, (i1)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2) 만일, 시청 시간이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정보,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수신 시간이 서로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시간은,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i)는, (i3)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되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i4) 위치 정보가 제 1 정보 및 제 1 시청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i3)은, (i31) 기지국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기지국은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영역의 통신을 관리하는 상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i3)은, (i32)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제 2 정보는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는, (j)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데이터베이스의 통신 요금을 감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금 데이터베이스는, 제 1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요금을 나타내는 통신 요금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체화되고, 실행될 때, 시청 정보 수집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인 컴퓨터로 하여금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를 제공하며, 상기 단계는, (k) 시청될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된 콘텐츠인 상기 출력 단계; (l)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m)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통신 사업자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상기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l)은, (l1)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시키기 위해서 시청 콘텐츠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콘텐츠 식별 정보는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l)은, (l2)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시키기 위해 시청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시청 시간은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되는 시간인 상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m)은, (m1)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m)은, (m2) 소정량의 제1 시청 상태 정보마다,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m)은, (m3)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부터 출력된 제 1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m)은, (m4)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소정 시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러덕트에서, 단계 (m)은, (m5)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m6) 위치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그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되는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그 후에, 송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 정보 수집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검색한다. 시청 정보 수집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고 가입자 정보로부터 검색된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정보로부터 시청 정보를 준비한다. 또한, 시청 정보 수집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는 위치도 제공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적인 다이어그램이다.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 (100),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및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을 포함한다.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은 공중 통신 사업자에 속하며,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은 방송 회사에 속하며, 휴대용 단말기 (100) 에 텔레비전 방송을 제공한다.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은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400) 에 연관되어 있다.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400) 은 광고 클라이언트에 속하며,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에 광고를 제공한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휴대용 단말기 (100) 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100) 는 셀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랩탑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이동성) 정보 프로세서이다. 휴대용 단말기 (100) 는 무선 통신 유닛 (110), 안테나 (101), 방송 수신 유닛 (120), 안테나 (102), 제어 유닛 (130), 동작 유닛 (133), 메모리 유닛 (135), 사운드 유닛 (131), 화상 표시 유닛 (132), 및 클럭 (134) 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유닛 (110) 은 안테나 (101) 를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과 통상의 2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무선 통신을 위하여 회선 제어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위치 등록 신호가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의 무선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방송 수신 유닛 (120) 은 안테나 (102) 를 통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한다.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개시 이후에 동작 유닛 (133) 에 의해 채널이 선택 (변경) 되면, 제어 유닛 (130) 은 그 채널의 선택을 인지하고, 시청 개시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포착한다. 제어 유닛 (130) 은 시청되는 채널의 채널 식별 정보와 시청 개시 시간을 연관시킨다. 그 후에,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을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 (100) 의 사용자가 텔레비전 방송 시청을 종료한 이후에, 제어 유닛 (130) 은 텔레비전 방송 시청의 종료를 인식한다. 그 후에, 제어 유닛 (130) 은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 종료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포착한다.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의 종료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 를 나타내는 종료 시간 식별 정보와 그 종료 시간을 연관시킨다. 그 후에,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그것을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종료 시간 식별 정보는 "999"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운드 유닛 (131) 은, 무선 통신 유닛 (110) 이 안테나 (101) 를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 신호의 사운드 입력/출력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사운드 유닛 (131) 은, 방송 수신 유닛 (120) 이 안테나 (102) 를 통해 수신하는 텔레비전 방송의 음성 재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화상 표시 유닛 (132) 은 통신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그 통신 신호는, 스크린상의 스크린 동작 (operation screen) 으로서, 안테나 (101) 를 통하여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화상 표시 유닛 (132) 은, 방송 수신 유닛 (120) 이 안테나 (102) 를 통하여 수신한 방송 화상을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동작 유닛 (133) 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 (100) 의 제어 입력/출력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들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버튼 및 텐 키 (ten key) 이다.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는 동작 유닛 (133) 을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개시 또는 종료하거나 채널을 선택한다.
클럭 (134) 은 제어 유닛 (130) 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메모리 유닛 (135) 은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유닛 (135) 은 제어 유닛 (130) 에 의해 준비된 시청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시청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시청 상태 정보 (10) 에서, 하나의 기록은 채널 식별 정보 (11) 와 시청 시간 (12) 으로 구성된다. 채널 식별 정보 (11) 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되는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또는 텔레비전 방송 시청의 종료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 를 나타내는 종료 시간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시청 시간 (12) 은, 채널의 시청이 개시된 시간 또는 채널의 시청이 종료된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시청 상태 정보 (10) 가 동일한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되지만,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시청 상태 정보 (10) 는 각각 상이한 메모리들 (미도시)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의 구성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은 무선 통신 기지국 (211), 통신 안테나 (201), 통신 교환국 (221), 및 서버 (230) 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기지국 (211) 은 복수의 무선 통신 기지국들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각각의 무선 통신 기지국에 할당된다. 또한, 무선 통신 기지국 (211) 은 통신 안테나 (201) 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100) 와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통신 교환국 (221) 은, 고정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개별적인 휴대용 단말기들 사이에서 상이한 공중 통신 사업자에 속하는 장치를 가지고 회선 교환 또는 패킷 교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통신 안테나 (201), 무선 통신 기지국 (211), 및 통신 교환국 (221) 은 통상적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이다.
서버 (230) 는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 프로세서이다. 서버 (230) 는 서비스 제어국 (24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시청률 분석 유닛 (243), 통신 유닛 (244) 및 메모리 (245) 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어국 (240) 은 전체 통신 서비스를 관리하고 제어한다. 예를들어, 무선 통신을 위한 회선 제어 프로세스가 수행될 때, 서비스 제어국 (240) 은 다음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서비스 제어국 (240) 은, 위치 등록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로부터 검색한다. 그 후에, 서비스 제어국 (240) 은, 휴대용 단말기 (100) 로부터 송신된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211) 의 식별 정보와 그 검색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연관시킨다. 그 후에, 서비스 제어국 (240) 은 그것들을, 다음에 설명할,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에 저장한다.
도 4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이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는 휴대용 단말기 (100) 의 가입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것은 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다. 이 가입자 정보 (20) 는 단말기 식별 정보 (21), 이름 (22), 주소 (23), 연령 (24), 성별 (25), 직업 (26) 등으로 구성된다.
단말기 식별 정보 (21) 는,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고 검색을 위한 키 코드로서 수행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며, 이것은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 정보와 동일하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는 단말기 식별 정보 (21) 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그것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 정보가 그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특정 정보로서 정의되고,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에 표시된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로서 정의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그 전화번호에 대한 특정 정보를 대체하기 위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100) 와 서버 (30) 사이에 위치되고, 가입자 정보 및 시청 상태 정보는 결과적으로 서로 연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주소 (23), 연령 (24), 성별 (25), 및 직업 (26) 은 휴대용 단말기 (100) 의 통신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시기에 등록된 정보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는, 단말기 식별 정보 (21), 이름 (22), 주소 (23), 연령 (24), 성별 (25), 및 직업 (26) 으로 구성된 하나의 기록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는 가입자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갱신된다. 예를들어,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는 가입자의 생일이 도래할 때마다 연령에 1을 더함으로써 갱신된다.
도 5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이다.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는, 휴대용 단말기 (100) 가 놓인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관리하며, 이것은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이다. 이 위치 정보 (30) 에서, 하나의 기록은 단말기 식별 정보 (31) 및 위치 정보 (32) 로 구성되며, 그것들은 서로 연관된다. 단말기 식별 정보 (31) 는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이다. 위치 정보 (32) 는, 무선 통신의 회선 제어 프로세스에서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송신된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211) 의 식별 정보이다. 회선 제어 프로세스는 통상적인 셀룰러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또한, 이 위치 정보 (32) 에 관해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의 이동에 응답하여, 그 새로운 정보가 갱신된다.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서비스 제어국 (240) 에 의해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검색한다. 또한,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검색된 단말기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된 가입자 정보로부터, 주소의 일부인 거주 지역 (주, 도시, 타운 또는 마을의 이름), 연령, 성별, 직업 등과 같은 프리셋 (preset) 정보만을 판독한다. 그후에,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와 판독된 현재의 정보를 연관시켜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준비하고, 그것을 메모리 (245) 에 저장한다. 또한,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준비한다. 이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는, 예를들어, 각각의 연령, 각각의 직업 또는 각각의 거주지역 등에 대한 시청률이다.
통신 유닛 (244) 은 고정 통신 네트워크 (500) 를 통하여 방송 회사 시스템 (300) 과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 또는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송신한다.
메모리 (245) 는,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에 의해 준비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 및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의 구성을 이하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은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 프로세서이다. 방송 회사 시스템 (300) 는 방송 제어 유닛 (321),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유닛 (322), 방송 광고 유닛 (323), 통신 유닛 (324), 광고 제어 유닛 (325), 방송 송신 유닛 (311) 및 안테나 (301) 를 포함한다.
방송 제어 유닛 (321) 은 전체 텔레비전 방송을 제어한다.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유닛 (322) 은 방송 프로그램들의 콘텐츠 정보 (데이터) 를 갖는다. 방송 광고 유닛 (323) 은 방송 광고들의 콘텐츠 정보를 갖는다. 통신 유닛 (324) 은, 고정 통신 네트워크 (500) 를 통하여 송신되는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 및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수신한다.
광고 제어 유닛 (325) 은 방송 광고의 방송 타이밍을 판단하고, 방송 제어 유닛 (321) 으로 하여금 이전 타이밍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에 그 광고를 삽입하거나 그 방송 프로그램을 가지고 그 광고를 오버랩하도록 지시한다. 방송 제어 유닛 (321) 은, 시간을 측정하면서,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및 방송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고, 그것들을 방송 송신 유닛 (311) 으로 송신하여 안테나 (301) 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 (100) 로 텔레비전 방송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 제어 유닛 (321) 은 통신 유닛 (324)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률 분석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시청률 분석의 세부사항을 결정한다.
이하, 이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처음에는,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서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개시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101).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개시 시간을 획득하면, 그 시청 개시 시간으로부터 시청 상태 정보 및 시청되는 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에,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상태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102).
제어 유닛 (130) 은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103).
다음으로, 제어 유닛 (130) 은 그 채널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104). 만일, 제어 유닛 (130) 이 채널의 변경을 인식하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101로 회귀한다.
만일, 제어 유닛 (130) 이 그 채널의 변경을 인식하지 않으면, 제어 유닛 (130) 은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105). 만일, 제어 유닛 (130) 이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를 인식하지 않으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104로 회귀한다.
만일, 제어 유닛 (130) 이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를 인식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종료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106).
시청 종료 시간을 획득한 이후에,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종료 시간 및 그 시청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부터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그 시청 상태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107).
제어 유닛 (130) 은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108).
전술한 바와 같이,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으로,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인,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 (100) 가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면, 서비스 제어국 (240) 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10).
서비스 제어국 (240) 이 그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111).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그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이 단말기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판독한다 (단계 S112).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판독된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에 관련시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메모리 (245) 에 저장한다 (단계 S113).
서비스 제어국 (240) 은 메모리 (245) 에 저장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통신 유닛 (244) 을 통하여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114).
또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가 메모리 (245) 의 소정 레벨까지 축적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그것을 메모리 (245) 에 저장한다 (단계 S115).
서비스 제어국 (240) 은 저장된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통신 유닛 (244) 을 통하여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116).
전술한 구성에 따라,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은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자 그룹을 추정할 수 있고, 최다수의 시청자 그룹에 적합한 광고를 방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은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는 서버 (230) 에 설치된다. 그러나,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가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내에 위치된다면, 서버 (230) 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위치된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개시 시간과 시청 종료시간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시간 데이터가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위치된 클럭으로부터 판독된다면, 그 시청 개시 및 종료 시간은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따라 변화되며, 이것은 시청 분석 정보의 정확성 감소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로부터 송신된 시청 상태 정보에 시청 시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인식되고, 만일 시청 시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시청 개시 시간과 시청 종료 기간이 서버 (230) 에 위치된 클럭으로부터 획득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서버 (230) 가 클럭 (246) 을 갖는 구성에 있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개시 이후에, 동작 유닛 (133) 이 그 채널을 선택 (변경) 하면, 제어 유닛 (130) 은 그 채널이 선택된 것을 인식한다. 그 후에, 제어 유닛 (130) 은 시청되는 채널에 대한 채널 식별 정보를 시청 상태 정보로서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또한,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면, 제어 유닛 (130) 은 그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를 인식하고 시청의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시청 상태 정보로서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또한, 시청 상태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송신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국 (240) 에 의해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검색한다. 그 후에,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검색된 단말기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된 가입자 정보로부터 프리셋 정보만을 판독한다. 또한, 시청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시청 시간이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만일, 시청 시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클럭 (246) 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에,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판독된 가입자 정보, 시청 상태 정보가 수신된 시간, 및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를 연관시키고,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클럭 (246) 은 시간 정보를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에 제공한다.
이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처음으로, 휴대용 단말기 (100) 에서 수행되는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면, 제어 유닛 (130) 은 시청되는 채널 식별 정보를 시청 상태 정보로서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201).
제어 유닛 (130) 은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202).
제어 유닛 (130) 은 그 채널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203). 여기서, 만일 그 채널이 변경되면, 동작 흐름은 단계 S201로 회귀한다.
반면에, 만일 그 채널이 변경되지 않으면, 제어 유닛 (130) 은 그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204). 여기서, 만일, 그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지 않으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203으로 회귀한다.
반면에, 만일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면,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시청 상태 정보로서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205).
제어 유닛 (130) 은 그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206).
전술한 바와 같이,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인,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 (100) 가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면, 서비스 제어국 (240) 이 그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 (단계 S210).
서비스 제어국 (240) 이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시청 시간이 그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211).
만일, 그 시간 정보가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된 것으로 인식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제 1 실시형태의 단계 S111로부터 그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7 참조). 반면에, 그 시간 정보가 그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클럭 (246) 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판독한다 (단계 S212).
다음으로,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213).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이 단말기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된 그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판독한다 (단계 S214).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판독된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시간 정보 및 그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시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메모리 유닛 (245) 에 저장한다 (단계 S215).
서비스 제어국 (240) 은 메모리 (245) 에 저장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통신 유닛 (244) 을 통하여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216).
또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가 메모리 (245) 의 소정 레벨까지 축적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메모리 (245) 에 저장한다 (단계 S217).
서비스 제어국 (240) 은 그 저장된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통신 유닛 (244) 을 통하여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218).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정보가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에 부가되는 구성으로 인하여, 시청 시간은 개별 휴대용 단말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청 분석 정보의 정확도가 증대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는 서버 (230) 에 설치된다. 그러나,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가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내에 놓인다면, 그것이 서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채널이 선택 (변경) 될 때마다의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시청 상태 정보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되는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 개시 시간이 연관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들에 그 구성을 채용하는 것은 트래픽 증가의 가능성과 효율적인 통신 불가능을 초래할 수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메모리 유닛 (135) 에 시청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축적된 시청 상태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하면, 그 축적된 시청 상태 정보는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송신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제어 유닛 (130) 은,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되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기능들에 더하여, 소정량의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소정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유닛 (130) 은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모든 시청 상태 정보를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송신한다.
이 실시형태의 동작들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개시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301).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개시 시간을 획득하면, 시청되는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 개시 시간으로부터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302).
제어 유닛 (130) 은, 그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하면, 소정량의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03). 즉, 제어 유닛 (130) 은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된 시청 상태 정보의 양이 소정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유닛 (130) 이, 만일 소정량의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시청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304).
반면에, 제어 유닛 (130) 이, 만일 소정량의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되었다고 판단하면, 모든 시청 상태 정보와 단말기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305). 그 송신 이후에, 제어 유닛 (130) 은 단계 S304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 (130) 은 그 채널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306). 여기서, 만일 그 채널의 변경이 인식되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301로 회귀한다.
반면에, 만일 그 채널이 변경이 인식되지 않으면, 제어 유닛 (130) 은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307). 여기서, 만일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가 인식되지 않으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306으로 회귀한다.
반면에, 만일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가 인식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종료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308). 만일, 시청 종료 시간을 획득하면,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와 시청 종료 시간으로부터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309).
제어 유닛 (130) 은,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되는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가 저장될 때, 소정량의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10).
제어 유닛 (130) 은, 만일 소정량의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그 시청 상태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311).
반면에, 제어 유닛 (130) 은, 만일 소정량의 시청 상태 정보가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된 것으로 판단하면, 모든 시청 상태 정보와 단말기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312). 그 송신 이후에, 제어 유닛 (130) 은 단계 S304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 (100) 는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서비스 제어국 (240) 으로 송신한다. 서비스 제어국 (240) 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350).
서비스 제어국 (240) 이 그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351).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이 단말기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판독한다 (단계 S352).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판독된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그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와 연관시켜,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메모리 유닛 (245) 에 저장한다 (단계 S353).
서비스 제어국 (240) 은 메모리 유닛 (245) 에 저장된 그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통신 유닛 (244) 을 통하여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354).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시청 상태 정보가 집합적으로 (collectively) 송신되기 때문에, 그 시청 상태 정보는 효율적인 통신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송신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시청 상태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모든 시청 상태 정보와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가,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 정보, 모든 시청 상태 정보 및 시청 종료시간을 송신하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제 3 실시형태의 구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제 3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은, 전술한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휴대용 단말기 (100) 가 판단 장치 (136) 를 갖는 구성에 있다.
판단 장치 (136) 는,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을 나타내는 정보 송신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 장치 (136) 는, 만일 정보 송신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유닛 (130) 으로 하여금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이 실시형태의 동작들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제 3 실시형태의 동작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개시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401).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개시 시간을 획득하면, 시청되는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 개시 시간으로 구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상태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402).
다음으로, 제어 유닛 (130) 은 그 채널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403). 여기서, 만일 채널의 변경이 인식되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401로 회귀한다.
반면에, 만일 채널의 변경이 인식되지 않으면, 제어 유닛 (130) 은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404). 여기서,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가 인식되지 않으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403으로 회귀한다.
만일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가 인식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종료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405). 시청 종료 시간 획득 이후에,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및 시청 종료 시간으로부터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에,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상태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406).
판단 장치 (136) 는,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을 나타내는 정보 송신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07).
만일, 판단 장치 (136) 가, 그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정보 송신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403으로 회귀한다. 판단 장치 (136) 가, 만일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정보 송신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유닛 (130) 으로 하여금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S408).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의 송신 요청을 수신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시청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해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409).
전술한 구성에 기인하여, 시청 상태 정보는 집합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시청 상태 정보는 효과적인 통신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가 시청 상태 정보의 정보 송신 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모든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은, 제어 유닛 (130) 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시청 상태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만일, 시청 상태 정보의 정보 송신 신호의 수신 이전에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시청 상태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모든 시청 상태 정보가 송신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가 정보 송신 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모든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가,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모든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 지정 시간에 송신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가하였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것은 제 4 실시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제 3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휴대용 단말기 (100) 가 지정 시간 인식 유닛 (137) 을 갖는 구성에 있다.
지정 시간 인식 유닛 (137) 은, 만일 판단 장치 (136) 가 정보 송신 신호의 수신을 판단하면, 그 수신된 정보 송신 신호로부터 송신 시간 지정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한다. 송신 시간 지정 정보는,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의 송신 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송신 지정 시간에, 지정 시간 인식 유닛 (137) 은, 제어 유닛 (130) 으로 하여금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이 실시형태의 동작들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제 3 및 제 4 실시형태의 동작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개시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501).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개시 시간을 획득하면, 시청되는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 개시 시간으로 구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 (130) 은 메모리 유닛 (135) 에 그 시청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502).
다음으로, 제어 유닛 (130) 은, 채널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503). 여기서, 만일 채널의 변경이 인식되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501로 회귀한다.
반면에, 만일 채널의 변경이 인식되지 않으면, 제어 유닛 (130) 은,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504). 여기서, 만일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가 인식되지 않으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503으로 회귀한다.
만일,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가 인식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종료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505). 시청 종료 시간 획득 이후에,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및 시청 종료 시간으로부터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그후에, 제어 유닛 (130) 은 그 시청 상태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506).
판단 장치 (136) 는,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나타내는 정보 송신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07).
판단 장치 (136) 가,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정보 송신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그 동작 흐름은 단계 S503으로 회귀한다.
판단 장치 (136) 가, 무선 통신 유닛 (110)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정보 송신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지정 시간 인식 유닛 (137) 은 수신된 정보 송신 신호로부터 송신 시간 지정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송신 시간 지정 정보는,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지정 시간 인식 유닛 (137) 은 송신 시간 지정 정보를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508).
그후에, 지정 시간 인식 유닛 (137) 은, 제어 유닛 (130) 으로 하여금 송신 지정 시간의 도착 시에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S509).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 요청을 수신하면, 메모리 유닛 (135) 에 축적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시청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510).
전술한 구성에 기인하여, 시청 상태 정보가 집합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시청 상태 정보는 효율적인 통신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송신 지정 시간에 시청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은, 제어 유닛 (130) 이,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시청 상태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만일 송신 지정 시간 이전에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시청 상태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것이 송신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 또는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의 거주 지역은 휴대용 단말기 (100) 의 통신 서비스를 가입시 등록된 정보이다. 이것은, 휴대용 단말기 (100) 가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는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100) 가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는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것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그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을 사용하고,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표시된 기능들에 더하여,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로부터 검색한다. 또한,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검색된 위치 정보, 가입자 정보로부터 판독된 정보 및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를 연관시키고,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하여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이 실시형태의 동작들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 (100) 에서 수행되는 시청 상태 정보의 생성 및 송신을 위한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처음으로, 휴대용 단말기 (100) 가 그 자신의 위치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에 등록 (갱신) 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7은 제 6 실시형태의 위치 등록을 위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 (100) 는 위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하여 위치 등록 신호를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기지국 (211) 으로 송신한다 (단계 S601). 서비스 제어국 (240) 은 무선 통신 기지국 (211) 에 의해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S602).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하면, 서비스 제어국 (240) 은,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211) 의 식별 정보를 검색된 단말기 식별 정보와 연관시킨다. 그후에, 서비스 제어국 (240) 은 그것들을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에 저장한다 (단계 S603).
다음으로,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서 수행되는,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준비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8은 제 6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서비스 제어국 (240) 이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61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1) 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이 단말기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판독한다 (단계 S611).
또한,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612).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하면,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이 단말기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된 위치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S613).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판독된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을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와 연관시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시청률 분석 유닛 (243) 은 그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메모리 (245) 에 저장한다 (단계 S614).
서비스 제어국 (240) 은 메모리 (245) 에 저장된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를 통신 유닛 (244) 을 통하여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615).
전술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셀룰러 시스템의 휴대용 전화기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 변형예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 (100) 는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전자파를 수신함으로써 자신의-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GPS 정보 획득 유닛을 갖는다. 제어 유닛 (130) 은 이 GPS 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송신한다. 서비스 제어국 (240) 은, GPS 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와 함께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단말기 식별 정보를 검색하고, 그 수신된 위치 정보와 연관시키고 그 안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GPS를 이용하는 구성의 경우에, 위치 정보의 정확도는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시청 상태 정보는 위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키 국 (key station)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시청되는지 또는 지역국 (local station)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시청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이로써 시청 분석 정보의 정확도를 증대시킨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부가된 구성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2 실시형태에 부가된 구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키 코드로서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가지고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위치 정보 및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가입자 정보가 연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말기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가입자 정보는 서로 연관될 수 있고, 2개의 데이터베이스가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제 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내지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실시간 시청 분석 정보 또는 통계적인 시청 분석 정보를 방송 회사 시스템 (300) 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만일, 사용자가 시청률 분석에 협력한다면, 통신 대금 (통화 요금) 이 그 협력 시간에 따라 할인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것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제 7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이 요금 데이터베이스 (247) 및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 (100) 의 제어 유닛 (130) 에 의해 수행되는 저장 프로세스, 및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되는 시청 상태 정보도 상이하다.
제어 유닛 (130) 은,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고 동작 유닛 (133) 에 의해 채널이 선택되면, 시청 개시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그후에,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개시 시간을 채널 식별 정보와 연관시키고, 그후에 그것들을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또한, 채널이 변경된 때 또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된 때,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종료 시간으로서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그 시청 개시 시간과 시청 종료 시간으로부터 시청 시간을 계산한다. 그후에,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시간을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된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 개시 시간과 연관시켜,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시청 시간이 시청 종료 시간과 시청 개시 시간으로부터 계산된다. 그러나, 시청 개시 시간으로부터 시청 종료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 (100) 에 타이머가 설치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 (135) 은 시청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도 20은 시청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 시청 상태 정보 (40) 에서, 하나의 기록은 채널 식별 정보 (41), 시청 개시 시간 (42), 및 시청 시간 (43) 으로 구성된다. 채널 식별 정보 (41) 는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시청되는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시청 개시 시간 (42) 은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채널의 표시가 개시되는 시간이다. 시청 시간 (43) 은 그 채널이 휴대용 단말기 (100) 에 표시되는 동안의 시간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시청 시간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시청이 종료된 시청 종료 시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청 개시 시간 및 시청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시청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장치는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설치된다.
요금 데이터베이스 (247) 는 가입자의 통신 요금을 관리한다. 도 21은 요금 데이터베이스 (247) 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이다. 요금 데이터 (50) 의 하나의 기록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 단말기 식별 정보 (51), 통신 요금 (52), 사례금 (reward money; 53) 및 청구 요금 (charge fee; 54) 으로 구성된다.
단말기 식별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이며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언급된 단말기 식별 정보와 동일하다.
통신 요금 (52) 은 통신 회선에 대한 대금이며, 계약 가입자에 의한 통신 회선의 사용에 대응한다. 사례금 (53) 은, 사용자가 시청 분석에 협력한 시간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사례금이다. 청구 요금 (54) 은 계약 가입자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부과되는 대금이다.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계약 가입자가 통신 회선을 사용할 때마다 통신 요금 (52) 을 계산하고, 그것을 합산하여 저장한다. 또한,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시청 분석에 협력한 시간에 기초하여 사례금 (53) 을 계산하고, 그것을 합산하여 저장한다. 또한,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통신 요금 (52) 과 사례금 (53) 으로부터 계약 가입자에 대한 청구 요금 (54) 을 계산하고, 그것을 저장한다.
이 실시형태의 동작들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처음으로, 시청 정보를 준비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22는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면, 제어 유닛 (130) 은 클럭 (134) 으로부터 시청 개시 시간으로서 현재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701).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개시 시간을 획득하면, 시청되는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 개시 시간을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702).
다음으로, 제어 유닛 (130) 은, 채널이 변경되는지 또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단계 S703).
만일 채널의 변경이 인식되거나 텔레비전 방송 수신이 종료되면, 제어 유닛 (130) 은 시청 종료 시간으로서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시청 개시 시간과 시청 종료 시간으로부터 시청 시간을 계산한다 (단계 S704). 그 후에, 제어 유닛 (130) 은 계산된 시청 시간, 시청된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 개시 시간으로부터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 유닛 (135) 에 저장한다 (단계 S705).
제어 유닛 (130) 은 생성된 시청 상태 정보를 단말기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유닛 (110) 을 통하여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으로 송신한다 (단계 S706).
다음으로, 협력 시간에 기초하여 통신 대금을 할인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제 7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서비스 제어국 (240) 이 시청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시청 상태 정보의 시청 시간을 판독한다 (단계 S710).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판독된 시청 시간에 기초하여 사례금을 계산한다 (단계 S711).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요금 데이터베이스 (247) 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712).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계산된 사례금을 검색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관련된 사례금에 합산한다 (단계 S713).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은 합산된 사례금과 통신 요금으로부터 청구 요금을 계산하고 청구 요금의 날짜를 갱신한다 (단계 S714).
전술한 구성의 채용은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통신 요금의 감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하나의 기록이 채널 식별 정보, 시청 개시 시간 및 시청 시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이 실시형태의 시청 상태 정보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록은 채널 식별 정보와 시청 시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청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이 시청 상태 정보가 수신되기 바로 직전에 수신된 시청 상태 정보를 판독하고, 그후에 채널 식별 정보가 시청된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거나 텔레비전 방송 수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만일 시청된 채널의 식별 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인식하면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이 상호 시청 시간들로부터 시청 시간을 계산하도록, 어카운팅 제어 유닛 (248) 이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부가된 구성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2 실시형태 내지 제 6 실시형태에 부가된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제 1 내지 제 7 실시형태는 텔레비전 방송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라디오 방송, 인터넷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7 실시형태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 대신 통신 기능 및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이 설치된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내지 제 7 실시형태의 시청 상태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시청되는 텔레비전 방송의 채널 식별 정보 및 시청된 시간 정보로 구성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시청되는 프로그램 또는 광고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의 경우에는,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되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 정보가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시청 정보가 정확하게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정보 및 시청 내역 데이터가 공중 통신 사업자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개인 정보 및 시청 내역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노력 및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정보 및 시청 내역 데이터가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시청 내역 데이터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노력 및 통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정보 및 시청 내역 데이터가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에서 유지되며, 개인 정보는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 정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보안 효율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개념적인 다이어그램.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시청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표.
도 4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14) 의 콘텐츠들을 나타내는 표.
도 5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의 콘텐츠들을 나타내는 표.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제 6 실시형태의 위치 등록을 위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제 6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9는 제 7 실시형태의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시청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표.
도 21은 요금 데이터베이스 (247) 의 콘텐츠들을 나타내는 표.
도 22는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1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3은 제 7 실시형태의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00) 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단말기 200 : 공중 통신 사업자 시스템
241 :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2 :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247 : 요금 데이터베이스 300 : 방송 회사 시스템
400: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Claims (44)

  1. 휴대용 단말기 및 시청 정보 수집 서버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시청 콘텐츠로서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여 시청되도록 하는 시청 유닛,
    상기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제 1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 유닛,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키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유닛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5.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출력되어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이며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상기 통신 유닛;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키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유닛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유닛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상기 시청 시간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1 정보,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수신 시간이 서로 연관되는 상기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시간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인, 시청 정보 수집 서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유닛은,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되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유닛은 기지국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영역의 통신을 관리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유닛은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요금을 나타내는 통신 요금 정보를 저장하는 요금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금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통신 요금을 감액하는 어카운팅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
  14.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시청 콘텐츠로서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여 시청되도록 하는 시청 유닛;
    상기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통신 사업자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소정량의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마다,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소정 시간에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시청될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이며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출력 단계;
    (b)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상기 송신 단계;
    (d)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 의해,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에 의해,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키는, 시청 정보 수집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상기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2)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하도록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 수집 방법.
  27.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시청 정보 수집에 사용되는 시청 정보 수집 서버인 컴퓨터로 하여금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단계는,
    (f)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시청 콘텐츠가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출력되어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이며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상기 수신 단계;
    (g)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h) 상기 제 1 가입자 정보내의 소정의 제 1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연관되는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연관시키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는,
    (i1)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된 시청 시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2) 만일, 상기 시청 시간이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정보,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수신 시간이 서로 연관되는 상기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시간은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는,
    (i3)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되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i4)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상기 시청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3)는,
    (i31) 기지국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영역의 통신을 관리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3)는,
    (i32)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 27 항에 있어서,
    (j)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데이터베이스의 통신 요금을 감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금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 1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통신 요금을 나타내는 통신 요금 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시청 정보 수집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인 컴퓨터로 하여금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단계는,
    (k) 시청될 시청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된 콘텐츠인 상기 출력 단계 ;
    (l) 상기 시청 콘텐츠가 시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m)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통신 사업자의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상기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l)은,
    (l1)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시청 콘텐츠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상기 시청 콘텐츠를 식별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l)은,
    (l2)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에 포함시키기 위해 시청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청 시간은 상기 시청 콘텐츠가 출력되어 시청되는 시간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m)은,
    (m1)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m)은,
    (m2) 소정량의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마다,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2.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m)은,
    (m3)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의 송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3.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m)은,
    (m4) 상기 제 1 시청 상태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소정의 시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4.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m)은,
    (m5)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m6)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시청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040104454A 2003-12-12 2004-12-10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단말기 KR20050058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5109 2003-12-12
JP2003415109A JP2005176067A (ja) 2003-12-12 2003-12-12 視聴情報収集システム、視聴情報収集サーバ、及び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982A true KR20050058982A (ko) 2005-06-17

Family

ID=3451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454A KR20050058982A (ko) 2003-12-12 2004-12-10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38661A1 (ko)
EP (1) EP1542381A3 (ko)
JP (1) JP2005176067A (ko)
KR (1) KR20050058982A (ko)
CN (1) CN16278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62B1 (ko) * 2013-10-15 2015-03-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2736A (ko) * 2014-03-13 2019-01-08 더 닐슨 컴퍼니 (유에스) 엘엘씨 데이터베이스 사업자에 의한 기인오류 및/또는 논-커버리지에 대해 노출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7843A (ja) * 2005-02-16 2006-08-31 Sony Corp コンテンツ情報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情報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R2890822B1 (fr) * 2005-09-09 2007-10-26 Alcatel Sa Dispositif et procede d'obtention automatisee d'informations relatives aux audiences de programmes transmis par un reseau de communication
JP4559945B2 (ja) * 2005-09-28 2010-10-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07110438A (ja) * 2005-10-13 2007-04-26 Tokyo Fm Broadcasting Co Ltd デジタルラジオ放送波受信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バ装置
JP2007202031A (ja) * 2006-01-30 2007-08-09 Kyocera Corp 移動型放送受信装置及び視聴情報送信方法
CN101051375A (zh) * 2006-04-04 2007-10-10 银河联动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用户信息收集分析及营销的系统及方法
KR100768911B1 (ko) * 2006-07-25 200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임 쉬프트 기능을 위한 영상 기록방법 및 그 영상기록장치
JP4207065B2 (ja) * 2006-07-26 2009-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資産管理システム、資産管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14886B2 (ja) * 2007-12-20 2013-10-16 日本テレビ放送網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端末及びサーバと、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
CN101521897B (zh) * 2008-02-27 2016-08-03 英特托拉斯技术公司 一种数据收集方法及移动终端
JP4506885B2 (ja) * 2008-08-29 2010-07-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92740B2 (ja) * 2008-08-29 2010-06-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48533B2 (ja) * 2008-08-29 2010-09-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20626B2 (ja) * 2009-02-04 2014-06-11 株式会社ビデオリサーチ 情報処理装置、視聴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視聴判定プログラム
DE102009007607A1 (de) * 2009-02-05 2010-11-11 Vodafone Holding Gmbh Ermitteln des Nutzerverhaltens bei audiovisuellen Diensten für Mobilfunkendgeräte
EP2239869A1 (en) * 2009-04-06 2010-10-13 Gemalto SA A method for measuring audience data, corresponding token and terminal
US9674636B2 (en) * 2009-09-03 2017-06-06 Interactive Wireless Technologies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data using a mobile device
US8706024B2 (en) * 2009-12-11 2014-04-22 Aldo G. Cugnini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mobile content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JP5725746B2 (ja) * 2010-07-14 2015-05-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5765895B2 (ja) * 2010-07-14 2015-08-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KR101369475B1 (ko) 2013-01-23 2014-03-06 (주)엔써즈 방송 시청률 조사 시스템 및 방법
CN103856792A (zh) * 2014-03-13 2014-06-11 冯维 基于智能设备的电视收视率统计计算方法及系统
KR102102453B1 (ko) 2016-01-08 2020-04-20 주식회사 아이플래테아 시청률 산출 서버, 시청률 산출 방법, 및 시청률 산출 리모트 장치
CN112868002A (zh) * 2020-02-25 2021-05-2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联动系统、终端装置管理服务器、订阅者管理服务器
JP7472006B2 (ja) * 2020-12-11 2024-04-22 Tvs Regza株式会社 受信装置、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909238A (pt) * 1998-03-04 2000-11-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istema de guia de programa com monitoração de uso de publicidade e atividades do usuário
US20020065826A1 (en) * 2000-07-19 2002-05-30 Bell Christopher Nathan Systems and processes for measuring, evaluating and reporting audience response to audio, video, and other content
US20030005432A1 (en) * 2000-11-28 2003-01-02 Ellis Michael D.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 with research features
US20040049779A1 (en) * 2000-12-20 2004-03-11 Johan Sjoblom Interactive television
JP2002320246A (ja) * 2001-01-15 2002-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履歴利用システム及びそれに関する装置
JP2002324025A (ja) * 2001-02-20 2002-11-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視聴率調査装置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配信番組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視聴率調査システム、視聴率調査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ネットワーク配信番組受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視聴率調査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配信番組受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6934508B2 (en) * 2001-03-19 2005-08-23 Navigaug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omprehensive vehicle radio listener statistics
US7305691B2 (en) * 2001-05-07 2007-12-04 Act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ed programming outside of the home
JP3946472B2 (ja) * 2001-08-01 2007-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コンピュータ
US20020183059A1 (en) * 2002-06-08 2002-12-05 Noreen Gary Keith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broadcast medi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62B1 (ko) * 2013-10-15 2015-03-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2736A (ko) * 2014-03-13 2019-01-08 더 닐슨 컴퍼니 (유에스) 엘엘씨 데이터베이스 사업자에 의한 기인오류 및/또는 논-커버리지에 대해 노출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68431B2 (en) 2014-03-13 2023-01-31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compensate for server-generated errors in database proprietor impression data due to misattribution and/or non-co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2381A3 (en) 2006-01-11
JP2005176067A (ja) 2005-06-30
CN1627816A (zh) 2005-06-15
EP1542381A2 (en) 2005-06-15
US20050138661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8982A (ko) 시청 정보 수집 시스템, 시청 정보 수집 서버, 및 휴대용단말기
KR1004511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US20040203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service delivery to mobile devices
EP1198114A2 (en)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JP200508677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携帯端末、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課金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080215351A1 (e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8331915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anking contact information and related advertisements in response to query on communication device
JP2002099576A (ja) 天気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天気情報提供方法
KR20010102668A (ko)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선별적 광고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5474842B2 (ja) 広告提供サーバ、広告提供システムおよび広告提供方法
JP2003284139A (ja) 情報提供サービス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06570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携帯端末、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070271591A1 (en) Viewing/listening information collecting server, a viewing/listening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and viewing/listening information transmitting program
WO2009035215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advertising service
JP4167658B2 (ja) セルブロードキャストを用いる居場所判定方法、その携帯端末、プログラム
US20050059412A1 (en)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and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program
KR20080017202A (ko)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방송 안내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200816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EP1693768A2 (en) Information posting system and information posting method
JP2008191193A (ja) 広告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広告配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3890283B2 (ja) 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JP3971768B2 (ja) 情報提供者と情報利用者とを連携させるサーバ
WO2008130269A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рекламных сообщений с учетом месторасполож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рекламодателей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150025107A (ko) 가맹점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5026779A (ja) 視聴データ収集システムにおける視聴データ収集サーバ、移動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