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786A - 와이퍼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786A
KR20050054786A KR1020030088421A KR20030088421A KR20050054786A KR 20050054786 A KR20050054786 A KR 20050054786A KR 1020030088421 A KR1020030088421 A KR 1020030088421A KR 20030088421 A KR20030088421 A KR 20030088421A KR 20050054786 A KR20050054786 A KR 2005005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cking member
arm
locking
arm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950B1 (ko
Inventor
박위영
안희재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950B1/ko
Priority to US10/877,309 priority patent/US6938297B2/en
Publication of KR2005005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60S1/3459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mounting head and a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모터에 링키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공을 구비하는 아암헤드; 일단부는 상기 아암헤드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타단부는 자동차의 유리창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아암헤드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에 걸려서 그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샤프트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그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상기 아암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록킹부재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는 샤프트와 아암헤드 간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조립체{Wiper assembly}
본 발명은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암헤드와 샤프트 간의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조립체는, 자동차의 유리창의 표면을 닦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로서, 종래의 와이퍼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1과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유리창(200)을 닦기 위하여 구동모터(102)에 링키지(104)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10)와, 이러한 샤프트(110)가 삽입되는 샤프트공(122)을 구비하고 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아암헤드(120)와, 일단부는 아암헤드(120)와 회전축(132)에 의해 결합되어 그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타단부는 자동차의 유리창(100)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134)와 결합되는 아암(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와이퍼 조립체(100)의 아암헤드(120)와 아암(130) 사이에는 결합스프링(136)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스프링(136)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34)가 자동차의 유리창(200)에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결합스프링(136)은, 사용자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아암(130)을 자동차의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정 각도 이상이 되도록 접으면, 그 접혀져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아암헤드(120)와 대략 직선을 이루고 있던 아암(130)을 접어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유지되면, 사용자는 유리창(200)을 닦던가 와이퍼 블레이드(134)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아암(130)이 결합되어 있는 아암헤드(120)는, 구동모터(102)에 링키지(104)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110)에 결합된다. 그런데, 샤프트(110)와 아암헤드(120) 사이의 결합된 상태는 구동모터의 높은 회전력을 전달해야 하므로 견고하여야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결합을 이루기 위한 방법이나 분리하기 위한 방법은 간편하게 이루어져야할 필요성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와이퍼 조립체(100)는 아암헤드(120)와 샤프트(110) 사이의 결합과 분리를 위해 록커(140)를 사용한다. 상기 록커(140)는, 아암헤드(120)에 형성된 제1돌기(124)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록커(140)와 아암헤드(120)사이에 마련된 코일스프링(160)에 의해 샤프트(11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있다. 이러한 코일스프링(160)의 일단은 록커(140)의 스프링걸이(142)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암헤드(120)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록커(140)를 사이에 두고 아암헤드(120)의 반대쪽에는, 아암헤드(1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돌기(126) 및 상기 제1돌기(124)에 나사(152)들을 통해 고정되는 덮개(15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커(140)의 일단부에는 스토퍼부(144)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와이퍼 조립체(100)는, 아암헤드(120)에 마련된 샤프트공(122)에 샤프트(110)의 결합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샤프트공(122) 입구로 샤프트헤드(112)를 가져간다. 다음으로 샤프트공(122)의 입구를 가로막고 있는 록커(140)를, 코일스프링(160)의 탄성을 극복하며 제1돌기(124)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샤프트공(122)입구를 가로막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록커(140)의 상태를 유지한 채, 샤프트헤드(112)를 샤프트공(122)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록커(140)에 작용한 힘을 제거하면, 록커(140)는 코일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110)쪽으로 돌아가게 되고, 록커(140)의 일단부는 헤드(122)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어 샤프트공(122)으로부터 샤프트(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아암헤드(120)로부터 샤프트(110)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술한 조립하는 방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록커(140)를 코일스프링(160)의 탄성을 극복하며 샤프트(11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샤프트(110)를 샤프트공(122)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퍼 조립체(100)는, 아암헤드(120)와 샤프트(110) 간의 결합이나 분리작업을 위해서, 작업자가 록커(140)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 채 샤프트(110)를 아암헤드(120)의 샤프트공(122)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두손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견고한 결합상태유지를 위해 강한 탄성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록커(140)를 회전하는 것 자체가 힘들 경우도 있다. 더욱이, 전문작업자가 아닌 일반 소비자가 이러한 조립과 분리를 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작업자체가 불가능할 가능성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와 아암헤드 간의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와이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조립체는, 구동모터에 링키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공을 구비하는 아암헤드; 일단부는 상기 아암헤드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타단부는 자동차의 유리창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아암헤드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에 걸려서 그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샤프트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그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상기 아암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록킹부재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록킹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록킹부재에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아암에 구비된 당김부와, 상기 록킹부재를 록킹위치로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아암의 당김부가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부를 걸어서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록킹부재를 록킹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턱부에 걸릴 수 있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경사진 경사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스토퍼가 록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에 집입하면 상기 록킹부재의 스토퍼가 상기 경사가이드부에 의해 밀려 상기 스프링부재를 탄성변형시키며 록킹해제위치로 후퇴되며 상기 샤프트의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에 집입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록킹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록킹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록킹부재에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록킹부재를 록킹해제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당김부;와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걸림부를 밀어 상기 록킹부재를 잠금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는 그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키홈이 구비되고. 상기 아암헤드의 사프트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홈에 결합되는 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과 상기 아암헤드의 사프트공의 내측면에 널링(Knurling)가공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에는 그 록킹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복수의 장공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아암헤드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장공들을 관통하며 상기 덮개부재가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핀이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아암헤드와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 가이드되며 슬라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조립체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 따른 일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는, 샤프트(10), 아암헤드(20), 아암(30), 록킹부재(40), 록킹부재 이동수단, 그리고 덮개부재(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프트(10)는, 구동모터에 링키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으로서, 턱부(12)와 경사가이드부(14)와 키홈(16)를 구비한다. 다만, 구동모터나 링키지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며 제시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턱부(12)는, 샤프트(10) 상단부의 직경이 확대된 샤프트헤드(11)에 마련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14)는 턱부(12)가 형성된 위치의 상단에 형성된다. 즉, 경사가이드부(14)와 턱부(12)를 연결하는 선은 샤프트(10)의 축선과 평행하다. 경사가이드부(14)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의 중심쪽으로 기울어진 형상이다. 상기 키홈(16)은 샤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샤프트헤드(11)에 한 쌍이 마련된다. 한편, 샤프트(10)의 샤프트헤드(11)의 외측면에는 널링(knurling)가공이 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샤프트(10)의 상단에 샤프트헤드(11)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러한 직경이 확대된 샤프트헤드(11) 없이 샤프트(10)의 상단부에 직접 상기 턱부(12), 경사가이드부(14), 키홈(1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암헤드(20)는 샤프트공(22)과 키(24)와 가이드핀(26)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공(22)은 상기 샤프트(10)의 샤프트헤드(11)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상기 키(24)는 이러한 샤프트공(22)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샤프트(10)에 마련된 키홈(16)과 대응되어 상호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의 내측면에는 형성된 널링가공된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헤드(1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널링가공된 부분과 상호 대응된다. 따라서, 샤프트(10)와 아암헤드(20)사이의 결합은 견고하게 이루어져, 샤프트(10)의 회전 토오크가 아암헤드(20)에 손실없이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 가이드핀(26)은, 도 3을 참조하면, 아암헤드(20)의 하단부에 모두 4개가 아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30)은, 회전축(32)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아암헤드(2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30)의 타단부에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자동차의 유리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결합스프링(36)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아암(30)에는 갈고리 형상의 당김부(54)가 양쪽에 하나 씩 모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40)는, 스토퍼부(42)와 장공(44)과 걸림부(52)를 구비하며,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를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아암헤드(20)에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부(42)는, 샤프트(10)가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10)의 샤프트헤드(11)에 마련된 턱부(12)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스토퍼부(42)의 단부는 샤프트(10)의 경사가이드부(14)의 경사와 대략 비슷한 정도로 아래를 향해 꺾여져 있다.
상기 장공(44)은, 록킹부재(4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아암헤드(20)의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핀(26)에 대응되도록 모두 4개 마련된다. 이러한, 장공(44)은 가이드핀(26)에 끼워져서 록킹부재(40)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해 준다
상기 걸림부(52)는, 상기 아암(30)이 접혀지며 회동하게 되면, 상술한 아암(30)에 마련된 당김부(54)에 걸려서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록킹위치는, 록킹부재(40)의 스토퍼부(42)가 샤프트(10)의 턱부(12)에 걸려서, 그 샤프트(10)가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는 록킹부재(40)의 위치이다(도 6a 참조).
그리고, 상기 록킹해제위치는, 록킹부재(40)의 스토퍼부(42)가 샤프트(10)의 턱부(12)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그 샤프트(10)가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위치이다(도 7a 참조).
한편, 록킹부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부(46)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부재 이동수단(50)은, 아암(3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록킹부재(40)를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걸림부(52)와 당김부(54)와 스프링부재(5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재(40)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당김부(54)는 아암(30)에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56)는,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을 가진 부재를 물결모양으로 접은 것으로서, 상기 록킹부재(40)를 록킹위치로 바이어스시킨다. 스프링부재(56)는, 도 6a 내지 도 6e 및 도 7a 내지 도 7d의 단면도들을 참조하면, 그 일단부가 아암헤드(20) 내부의 벽에 지지되고, 다탄부가 록킹부재(40)의 지지부(46)에 의해 지지되어 아암헤드(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재(60)는, 록킹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아암헤드(20)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각 가이드핀(26)에 마련된 체결공에 나사(62)가 체결됨으로써 가이드핀(26)에 고정된다. 가이드핀(26)에 고정된 덮개부재(60)는 결과적으로 록킹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아암헤드(2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록킹부재(40)를 지지한다. 또한, 록킹부재(40)는 아암헤드(20)에 장착된 스프링부재(56)가 아암헤드(20)의 하단부의 개구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1)의 샤프트(10)와 아암헤드(20) 간의 결합, 분리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와이퍼 조립체(1)에 있어서 샤프트(10)와 아암헤드(20) 간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를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의 하단에 위치시킨다. 이때, 스프링부재(56)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40)는 록킹위치에 있다.
다음으로, 도 6b에는, 샤프트(10)의 경사가이드부(14)가 록킹부재(40)의 스토퍼부(42)의 바로 아래에 오도록 하며, 샤프트(10)를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의 입구에 위치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샤프트(10)에 한 쌍의 키홈(16)을 구비하고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에는 한 쌍의 키(2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키(24)와 키홈(16)의 위치를 맞추면, 스토퍼부(42)와 경사가이드부(14)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샤프트(10)의 샤프트헤드(11)를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안으로 밀어 넣으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에 마련된 경사가이드부(14)에 위치한 록킹부재(40)의 스토퍼부(42)는 경사가이드부(14)의 경사면을 따라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스프링부재(56)는 록킹부재(40)의 지지부(46)에 의해 가압되게 되며, 록킹부재(40)는 샤프트(10)의 집입이 진행됨에 따라 록킹해제위치로 슬라이딩된다.
도 6d에는 샤프트헤드(11)가 거의 샤프트공(22)안으로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스토퍼부(42)는 경사가이드부(14)를 지나 샤프트헤드(11)의 외주면 상에 위치해 있고, 록킹부재(40)는 록킹해제위치에 있다.
마지막으로, 도 6e는, 샤프트(10)의 샤프트헤드(11)가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안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록킹부재(40)는 가압되었던 스프링부재(56)의 복원력에 의해 록킹위치로 회복되었다. 즉, 샤프트헤드(11)가 샤프트공(22)에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록킹부재(40)의 스토퍼부(42)가 샤프트(10)에 형성된 턱부(12)로 진입할 수 있게 되어, 록킹해제위치까지 밀려나 있던 록킹부재(40)가 록킹부재(40)의 지지부(46)를 가압하는 스프링부재(56)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록킹위치로 회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d는 와이퍼 조립체(1)에 있어서 샤프트(10)와 아암헤드(20) 간의 분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분리작업은 도 6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아암(30)을 자동차의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아암(30)은 회전축을(3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일정한 각도에 이르게 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40)의 걸림부(52)에 아암(30)의 당김부(54)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암(30)을 더 회동시키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0)의 당김부(54)는 록킹부재(40)의 걸림부(52)를 걸어 록킹부재(40)를 록킹해제위치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샤프트(10)는 아암헤드(20)로부터 손쉽게 분리되게 된다(도 7c 참조). 도 7d는 접었던 아암(30)이 다시 처음과 같은 상태로 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나 어떤 일반 사용자라도, 아암(30)이 결합되어 있는 아암헤드(20)를 한 손에 잡고 샤프트(10)에 대고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을 함으로써 아암헤드(20)와 샤프트(10) 간의 결합을 완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아암(30)을 한손으로 접은 후, 간단히 아암헤드(20)를 샤프트(10)로부터 들어올리는 동작만을 함으로써 아암헤드(20)와 샤프트(10) 간의 분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종래 양손을 써서 불편하고 힘든 동작을 하여야만 결합도 분리가 가능하였던 것에 비해 현저히 간편해졌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아암헤드(20)를 샤프트(10)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아암(30)을 접지 않고 상태에서 결합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록킹부재(40)가 록킹해제상태에 있도록 아암(30)을 접은 상태에서 샤프트(10)에 아암헤드(20)를 결합한 후, 아암(30)을 자동차의 유리창쪽으로 다시 회동시켜도 결합은 완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에 의하면 샤프트(10)와 샤프트공(22)에 상호 결합가능한 널링가공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샤프트(10)의 회전 토오크가 아암헤드(20)에 손실없이 전달되어 진다.
한편, 도 8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프링부재(56)의 형상이나 록킹부재(40)의 지지부(46) 및 스토퍼부(42)의 형상이 다른 제2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a)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a)의 경우, 스프링부재(56)로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지부(46)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는 또 스프링지지부(28)가 아암헤드(20)에 마련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록킹부재(40)의 스토퍼부(42)의 단부는, 제1실시예의 경우 그 단부가 아래를 향해 꺾여져 있는 것과는 달리, 꺾여있는 부분 없이 단순한 형상이다.
다만, 제2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a)의 경우에도, 샤프트(10)와 아암헤드(20)의 결합방법이나 분리방법 및 그로 인한 효과는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한편, 제1,2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턱부(12), 스토퍼부(42) 그리고 경사가이드부(1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e에는, 제3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b)가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b)는, 제1, 2실시예와 비교하면, 록킹부재 이동수단이 다르다. 즉, 록킹부재 이동수단으로서, 걸림부(52)와 당김부(54)와 누름부(58)를 채용하고 있다. 스프링부재(56)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걸림부(52)는 록킹부재(40)에 구비된 것으로서, 그 형상은 제1,2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당김부(54) 역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누름부(58)는 아암(30)에 형성된다. 아암(30)이 회전축(32)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록킹부재(40)의 걸림부(52)를 밀게 된다. 누름부(58)에 의해 걸림부(52)를 밀리는 록킹부재(40)는 록킹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즉, 제1, 2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프링부재(56)에 의해 록킹부재(40)가 록킹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것과 달리, 제3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b)의 경우에는 아암(30)이 회동함에 따라 누름부(58)에 의해 걸림부(52)가 밀리며 록킹부재(40)가 록킹위치로 되는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며 제3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b)의 샤프트(10)와 아암헤드(20) 간의 결합방법을 설명한다.
도 9a는, 샤프트(10)가 아암헤드(20)에 결합되기 전에 록킹부재(40)가 록킹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를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에 삽입하기 앞서, 아암(30)을 자동차의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록킹부재(40)의 걸림부(52)에는 아암(30)의 당김부(54)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아암(30)을 더 회동시키게 되면, 록킹부재(40)는 록킹해제위치로 슬라이딩된다.
그런 다음,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를 아암헤드(20)의 샤프트공(22)에 삽입한다.
도 9d는, 아암(30)을 샤프트(10)의 삽입이 완료된후, 다시 자동차의 유리창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이때, 제1,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부재에 의해 바이어스되고 있지 않는 록킹부재(40)는, 도 9c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한 위치에 그대로 있게 된다. 그러나, 일정각도 이상 아암(30)이 회동하게 되면, 아암(30)의 누름부(58)에 록킹부재(52)가 밀리며 슬라이딩 된다.
도 9e에는, 아암(30)이 다시 처음의 상태와 같이 자동차의 유리창 쪽으로 완전히 회동되어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록킹위치로 슬라이딩된 록킹부재(40)는 아암(30)의 누름부(58)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한되어 샤프트(10)의 턱부(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샤프트(10)로부터 아암헤드(20)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별도로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9a부터 도 9e를 참조하며 설명한 결합하는 순서를 역순으로 행하면, 샤프트(10)와 아암헤드(20) 간의 분리도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1b)도 제1, 2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1, 1a)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조립체에 의하면, 샤프트와 아암헤드 간의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아암헤드와 샤프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와이퍼 조립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조립체를 위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조립체 일부의 저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도 3의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 아암헤드와 샤프트 간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3의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 아암헤드와 샤프트 간의 분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아암헤드와 샤프트 간의 조립방법 및 분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와이퍼 조립체 10 ... 샤프트
12 ... 턱부 14 ... 경사가이드부
16 ... 키홈 20 ... 아암헤드
22 ... 샤프트공 24 ... 키
26 ... 가이드핀 30 ... 아암
40 ... 록킹부재 42 ... 스토퍼부
44 ... 장공 52 ... 걸림부
54 ... 당김부 56 ... 스프링부재
60 ... 덮개부재

Claims (7)

  1. 구동모터에 링키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공을 구비하는 아암헤드;
    일단부는 상기 아암헤드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타단부는 자동차의 유리창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아암헤드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에 걸려서 그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샤프트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그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상기 아암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록킹부재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록킹부재에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아암에 구비된 당김부와, 상기 록킹부재를 록킹위치로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아암의 당김부가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부를 걸어서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록킹부재를 록킹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턱부에 걸릴 수 있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경사진 경사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스토퍼가 록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에 집입하면 상기 록킹부재의 스토퍼가 상기 경사가이드부에 의해 밀려 상기 스프링부재를 탄성변형시키며 록킹해제위치로 후퇴되며 상기 샤프트의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아암헤드의 샤프트공에 집입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록킹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록킹부재에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록킹부재를 록킹해제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당김부;와,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걸림부를 밀어 상기 록킹부재를 잠금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그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키홈이 구비되고.
    상기 아암헤드의 사프트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홈에 결합되는 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과 상기 아암헤드의 사프트공의 내측면에 널링(Knurling)가공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에는 그 록킹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복수의 장공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아암헤드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장공들을 관통하며 상기 덮개부재가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핀이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아암헤드와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 가이드되며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KR10-2003-0088421A 2003-12-06 2003-12-06 와이퍼 조립체 KR10053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421A KR100537950B1 (ko) 2003-12-06 2003-12-06 와이퍼 조립체
US10/877,309 US6938297B2 (en) 2003-12-06 2004-06-25 Wiper assembly with arm head lock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421A KR100537950B1 (ko) 2003-12-06 2003-12-06 와이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786A true KR20050054786A (ko) 2005-06-10
KR100537950B1 KR100537950B1 (ko) 2005-12-20

Family

ID=3463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421A KR100537950B1 (ko) 2003-12-06 2003-12-06 와이퍼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38297B2 (ko)
KR (1) KR100537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75B1 (ko) * 2012-12-28 2013-06-18 동양기전 주식회사 록 백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암 장치
KR101336767B1 (ko) * 2005-12-28 2013-12-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와이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5458B1 (fr) * 2004-09-20 2008-02-15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pour le montage d'un bras d'essuie-glace sur une tete d'entrainement
DE102007027662B4 (de) * 2007-06-15 2017-08-24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vorrichtung
FR2927292B1 (fr) * 2008-02-12 2010-06-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pour le montage et l'immobilisation d'un bras d'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HUE028922T2 (en) * 2010-06-23 2017-01-30 Federal Mogul Sa Wiper tool
US9260082B2 (en) 2013-01-03 2016-02-1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rm assembly having pivotal cover allowing access to pivot shaft
DE102015205870A1 (de) * 2015-04-01 2016-10-06 Robert Bosch Gmbh Wischerarmanbindung
US10046737B2 (en) * 2016-10-14 2018-08-14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rm with integral alignment key
JP6996205B2 (ja) * 2017-10-02 2022-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ワイパ装置
FR3106548B1 (fr) * 2020-01-28 2022-10-28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yage pour petite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0660A (en) * 1941-03-15 1943-06-01 Trico Products Corp Wiper arm for windshield cleaners
US2365251A (en) * 1942-09-17 1944-12-19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cleaner
US2832982A (en) * 1953-05-05 1958-05-06 Lucas Industries Ltd Windshield wiper arm connection
DE1056950B (de) * 1956-11-24 1959-05-06 Avog Elektro Und Feinmechanik Lagerbuechse aus elastischem Werkstoff fuer Scheibenwischerantriebe
US3011200A (en) * 1960-02-01 1961-12-05 Bignon Lucien Charles Al Marie Windscreen wiper arms
US2994900A (en) * 1960-07-01 1961-08-08 Trico Products Corp Windscreen wipers
US3247541A (en) * 1963-08-31 1966-04-26 Rau Swf Autozubehoer Windshield wiper
DE2121112A1 (de) * 1971-04-29 1972-11-1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eibenwischerarm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FR2148834A1 (ko) * 1971-08-05 1973-03-23 Ducellier & Cie
DE2356606C3 (de) * 1973-11-13 1981-07-3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eibenwischer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4050832A (en) * 1976-11-10 1977-09-27 The Anderson Company Windshield wiper pivot arm connection
US5634235A (en) * 1996-07-19 1997-06-03 Sprague Device, Inc. Windshield wiper assembly with arm head retaining mea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767B1 (ko) * 2005-12-28 2013-12-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와이퍼
KR101276575B1 (ko) * 2012-12-28 2013-06-18 동양기전 주식회사 록 백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7950B1 (ko) 2005-12-20
US20050120503A1 (en) 2005-06-09
US6938297B2 (en) 2005-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950B1 (ko) 와이퍼 조립체
KR1017292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US6604392B1 (en) Cylinder lock device
US7249475B2 (en) Padlock
US6301721B1 (en) Shield fixing structure in helmet
CN106930605A (zh) 一种防猫眼开启的执手机构及具有该机构的执手锁
JP2003316472A (ja) 電子機器用機能拡張ユニットの固定機構
CN217812829U (zh) 一种执手装置
KR100501240B1 (ko) 자동차용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핸들이탈방지구조
CN213845434U (zh) 解锁组件、电池、供能套件及可移动平台
CN115110840A (zh) 锁体结构及无钥匙门锁
JP3686168B2 (ja) 抽斗のラッチ装置
JP2002075532A (ja) ロック解除と離脱が簡易なコネクタ構造
KR200391688Y1 (ko) 착탈가능한 동작레버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장치
JPS5832049B2 (ja) 車両用開閉式屋根のロツク装置
CN112825379B (zh) 电池组件
CN215128015U (zh) 一种吸尘器
CN219316651U (zh) 一种带安全锁的基座结构及无基座执手
CN221096120U (zh) 配合门锁使用的门配件
JPH0316733Y2 (ko)
CN215499207U (zh) 摄像机壳体及具有其的摄像机
JP3600429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H0538137Y2 (ko)
JPH09272407A (ja) ワイパーの連結保持具
CN117605352A (zh) 一种按钮隐藏式拉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