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774A - 버스 제어형 전원 스위치 - Google Patents

버스 제어형 전원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774A
KR20050053774A KR1020057006617A KR20057006617A KR20050053774A KR 20050053774 A KR20050053774 A KR 20050053774A KR 1020057006617 A KR1020057006617 A KR 1020057006617A KR 20057006617 A KR20057006617 A KR 20057006617A KR 20050053774 A KR20050053774 A KR 2005005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power supply
power
input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879B1 (ko
Inventor
안톤 워너 켈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5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3Management of data rate on the b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주변 장치는 전원을 동작하기 위한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갖는다. 이 장치는 버스를 통한 원격 장치와의 통신에 적절한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는 버스 인터페이스 및 전원 간에 접속된다. 스위치 회로는, 버스 활동을 감지하도록 그리고 전송한 버스 활동에 따라 전원을 기동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전원이 비활성 상태일 때, 동작가능하며, 여기서 스위치 회로는 활동이 버스 상에서 감지되지 않을 때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버스 제어형 전원 스위치{BUS CONTROLLED POWER SWITCH}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턴온 및 턴오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라우터, 허브,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주변 장치는 흔히 하나 이상의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컴퓨터 및/또는 다른 컴퓨터에 접속된다. SOHO(Small Office and HOme Offic) 및 DHT(Digital Home Networks)와 같은 비교적 작은 네트워크에서, 대부분의 주변 장치는 개별적으로 턴온되거나 중앙 전원 스위치에 의해 턴온된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화 동작은 주변 장치가 컴퓨터와 동일한 공간 내에 있지 않다면 불편해진다. 전원 제어 문제는, 네트워크에서 여러 주변 장치가 서로 원격 배치되어 있을 때 그리고/또는 컴퓨터(들)로부터 원격 배치되어 있을 때 악화된다. 결국, 이러한 장치는 종종 턴오프되지 않고, 대기 모드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력을 일정하게 소모하게 된다. 버스 상에 활동이 없을 때 감지 회로부에서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유지되며 버스 활동을 감지하는 주변 장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주변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데 유용한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주변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데 유용한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또다른 주변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데 유용한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또다른 주변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주변 장치는 전원을 동작하기 위한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포함한다. 이 주변 장치는 버스를 통해 원격 장치와 통신하는데 적합한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는 버스 인터페이스와 전원 간에 접속된다. 스위치 회로는, 전원이 비활동 상태에 있을 때, 버스 활동을 감지하고 전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이 스위치 회로는 버스 상에서의 활동 부재를 감지하면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도 1은 버스 인터페이스(30)에 접속된 버스(25)를 통해 컴퓨터 등의 다른 전자 장치(20)에 접속된 프린터와 같은 주변 장치(10)를 나타낸다. 장치(10)는 버스(25) 및 버스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외부 장치(20)에 직접 접속하거나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길 바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인터페이스(30)는 전원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프린터(10)와 통신하기 위한 유니버설 싱크로너스 버스(USB) 커넥터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입력선(34)은 데이터 신호를 컴퓨터(20)로부터 USB 제어기(12)에 전달한다. 전원선(34)은 전원 신호를 컴퓨터(20)로부터 커넥터(30)를 통해 전원 스위치(40)로 전달한다. 전원 스위치(40)는 간단한 계전기,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 또는 메인 전원 접속부(50)를 전원(60)에 스위칭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스위칭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시, 컴퓨터(20)에 전원이 공급되면, USB 전원선(32)은 활성화되어, 스위치(40)가 클로즈되고, 이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전원(60)을 활성화하며 전력을 제어기(12)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활성화 시에, 장치는 대기 모드 또는 동작 실행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20)가 턴오프되거나 USB 접속부가 분리되면, 전원선(34) 상의 신호에 의해 스위치(40)가 상태를 변경하게 되며 즉 오픈되며, 이에 따라 메인 접속부(50)로부터 전원(60)의 접속이 불가되며, 따라서 프린터(10)를 자동적으로 턴오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를 구현하는데 유용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인터페이스(30')는 주변 장치(10')를 버스(25')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버스 시스템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전력 분배없이 구현된다. 한 쌍의 입력선(34')은 데이터 신호를 이더넷 제어기(12')로 전달한다. 한 쌍의 출력선(36)은, 출력 신호를, 네트워크 상의 외부 장치로 라우팅하기 위해 버스(25) 상으로 전달하도록 제어기(12')로부터 이더넷 커넥터(30')로 전달한다. 이더넷 네트워크(예를 들어, 이더넷 10/100base-T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PC와 같은) 마스터 장치는 입력선(34') 상에 주기적 스캐닝 펄스를 제공함으로써 버스(25)를 주기적으로 스캔한다. 이러한 스캐닝 펄스는 수동 신호 검출기(38)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기는, 검출기(38)에 의해 검출되는 스캐닝 펄스에서의 작은 양의 스캐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기(12')에 제공하기 위해 전원(69)을 활성화하기 위한, 즉 턴온하기 위한 신호(39)를 발생한다.
전원(60)을 활성화할 때,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버스(25)가 사용중인지 또는 시스템으로부터 접속 분리되어 있는지를 자신의 입력 단자(RX+, RX-)에서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제어기(12')가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버스 활동의 부재 또는 시스템으로부터의 버스 인터페이스의 접속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는 코맨드 신호(62)를 발생하여 전원(60)을 턴오프시킨다.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가 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버스 활동은,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는 펄스 패키지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펄스 패키지를 검출하여 주변 장치를 턴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주변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전력을 소모하지 않고 버스 비활동(inactivity)을 감지하도록 동작가능한 예시적인 상세 회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장치는 이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300)를 포함한다. 버스(25') 상에서 전달되는 펄스 패키지(23)는 이더넷 버스 커넥터(30') 에서 수신되며 포트(RD+, RD-)로부터 신호선(34')을 통하여 회로(300)에 입력된다. 신호선은 버스 활동을 가리키는 데이터 신호를 이더넷 제어기/수신기(12')의 입력 포트에 전달한다. 또한, 신호선(34')은 트랜스포머(T1)에 접속되며, 이것은 전원으로부터 버스를 분리한다. 트랜스포머(T1)의 출력(V1a)은 저항(R3)을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b1)에 접속되며, 이 저항은 네트워크(25)용 입력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트랜스포머(T1)의 출력(V1b)은 노드(300b)에서 Q1의 이미터(e1)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c1)는 노드(300a)에서 커패시터(C3)에 접속된다. 제너 다이오드(D5) 및 저항(R4)은 서로 병렬로 접속되며 커패시터(C3)와 접속된다.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Q2)는 노드(300a)에 접속된 게이트 단자(g2)를 구비한다. Q2의 드레인 단자(d2)는 저항(R2)을 통하여 노드(300b)에 접속되는 한편 소스 단자(s2)는 노드(300c)에서 충전 커패시터(C2)에 접속된다. 저항(R2) 값은, 스위칭 모드 전원 제어 회로(74)용 전력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전류를 커패시터(C2)에 공급하는 한편 전원의 활성화 모드 동안 상당량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도록 비교적 큰 값으로 선택된다. 스위칭 모드 전원(SMPS; 70)은 제어 회로(74)에서 공급 전압(Vcc)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72)에서 노드(300c)에 접속된다. 또한, SMPS(70)은 트랜스포머(T2)의 일차 권선(w1)에 에너지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 회로(74)의 출력에 따른 스위치(7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주변 장치는, 버스 비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자신의 감지 회로부가 비활성 상태에서 임의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주변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신호선(34') 상에 버스 활동이 부재중이라면,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고 감지 회로부에 의해 어떠한 전력도 소모되지 않는다. Q1이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커패시터(C3)는 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Q2도 오프 상태이며, 이에 따라 어떠한 전력도 Q2에서 소모되지 않는다. 입력선(34') 상에 펄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1, Q2)는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1)는 커패시터(C3)를 충전하여 Q2가 바이어스 온(biased on )되도록 입력선(34') 상의 버스 활동에 따른다. 이것은 다시 전압(Vcc)을 공급하도록 C2를 충전시켜 전원 전압(Vs)을 출력하도록 SMPS(70)의 제어 회로(74)를 활성화한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활동을 가리키는 펄스 신호(23)는 선(34')을 통하여 수신되며 스텝다운 트랜스포머(T1)에 의해 분리된다. 베이스 단자(b1)에서 입력되는 펄스 신호는 트랜지스터(Q1)를 바이어스 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Q1은 분리된 펄스 신호를 정류하고 커패시터(C3)를 충전한다. C3에 걸친 전압은 MOSFET(Q2)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것은 C2를 충전한다. 보다 상세하게, C3에 걸친 전압이 트랜지스터(Q2)의 소정의 임계 레벨에 도달하면, MOSFET 트랜지스터(Q2)는 전류를 충전 커패시터(C2)에 제공하도록 바이어스 온된다. C2 상의 전압(V)이 임계 시작 전압(Vcc)에 도달하면, 전원 제어 회로(74)가 활성화되어 트랜스포머(T2)를 GND와 주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스위치(76)를 활성화하는 주기적 스위칭 신호(39)를 발생하여 주변 장치용 스위칭 모드 출력 공급 전압(Vs)을 발생하게 된다. 전원은 회로(300)에 의해 버스 활동의 부재가 검출될 때까지 활성화 상태 즉 턴온 상태로 유지되고, 및 R4, C3, R2, C2 회로 구성 요소의 시상수에 의해 추가 지연이 발생한다. 시상수는 회로(300)에 대하여 추가 노이즈 내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주목하길 바란다. 버스 인터페이스 상에 펄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C2는 결국 방전되어 최소 동작값(Vop) 아래로 그 값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제어 회로가 비활성화되며 전원이 턴오프된다. 전원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압값은 임계 시작 전압(Vcc)과 같을 수 있으며,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임계 시작 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것은, 임계 시작 전압이 전형적으로 전원을 동작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압 레벨 또는 평균 전압 레벨보다 크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에서든, C2가 최소 동작 전압 레벨 아래로 방전될 때 제어 회로가 비활성화되고 전원이 턴오프되듯이 C2에서의 최소 동작 전압 레벨이 존재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바이패스 스위치(S1)가 상기한 버스 제어형 동작 모드를 위한 바이패스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바이패스 스위치(S1)에 의해 사용자는 버스(25')로부터의 입력 펄스를 감지하고 전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관련된 회로부 및 Q1, Q2를 바이패스할 수 있으며, 대신에 커패시터(C2)를 직접 충전하도록 R2 및 S1를 통해 전류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서, S1이 클로즈되면, 버스 상에서의 활동에 상관없이 메인 전압(Vmains과의 접속시에 전원이 활성화된다. 스위치(S1)가 오픈되면, 주변 장치는 원격 시작 모드에 있게 되며, 여기서 버스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는 전원을 활성화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S1)가 오픈되고 어떠한 입력 펄스 신호(23)도 버스 상에 존재하지 않으면, 버스 비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부는 트랜지스터(Q1, Q2)를 포함하여 비활성화 상태에서 어떠한 전력도 소모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의 회로는, 입력선 상에 펄스(23)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작가능하고, 버스 비활동으로 인해 Q1 및 Q2의 셧오프가 발생한 후 전원이 턴오프되며, 회로의 시간 지연에 따른 C2의 후속 방전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한 셧다운 방법은 프린터가 컴퓨터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소정의 인쇄 동작을 수행하고 처리를 초기화하여 그 태스크를 실행할 때처럼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장치는 네트워크 상에 버스 활동이 없더라도 인쇄 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도 4는 버스 활동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활성화 상태에서 전원을 유지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70')은, (통상 클로즈 상태인) 스위치(78)를 통하여 커패시터(C2)에 결합된 다이오드(D2)에 접속된 추가 권선(w3)을 포함한다. Q2가 온 상태로 되면, 전류는 R2 및 Q2를 통하여 전달되어 커패시터(C2)가 충전된다. 임계 시작 전압 레벨(Vcc)에 도달하면, 제어 회로(74)가 활성화되어 스위치(76)를 GND로 주기적으로 스위칭하게 된다. 이에 의해 트랜스포머(T2)는 전력을 w2를 통한 이차측으로 전달하도록 주기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게 된다. 이 경우, 스위치(78)를 통하여 커패시터(C2)에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접속되고 T2의 일차측에 접속된 권선(w3)은, 전원(70')의 입력에서 전압을 효율적으로 래치하도록 커패시터(C2) 및 제어 회로(74)에 추가 전력 소스를 제공한다. 이것은, 버스 상의 펄스 신호(23)의 임의의 후속 휴지(cessation)에 상관없이 전원 활동을 유지하도록 C2가 적절한 레벨로 충전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도 4의 전원은, (예를 들어, 버스 활동을 감지함으로써) 전원이 초기에 활성화된 후 버스 활동의 추후 부재에도 불구하고 장치가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하다.
전원은 전원(70')의 제어 입력(75)에서 제어 신호(C1)를 통하여 턴오프될 수 있다. 제어 신호(C1)는 제어기/수신기(12')에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이것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거쳐 버스 상에서의 신호 활동의 부재를 검출한 후에 자신의 태스크를 완료(예를 들어, 인쇄 동작의 완료)하게 되면 스위치(78)를 오픈하도록 제어 신호(CI)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C2가 방전될 수 있으며, 제어 회로(74)를 비활성화시키고 전원(70')을 턴오프시킨다. 전원과 관련된 래칭 및 셧다운 프로세스 뿐만 아니라 제어 입력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수신기와 관련된 셧오프 기능성은, 소프트웨어에서의 실행가능 명령, 하드웨어에서의 회로 소자 및/또는 구성 요소, 펌웨어에서의 프로그래밍가능한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등가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가 실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및 실시예를 포함하여 넓게 해석된다.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2년 10월 18일 제출한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제60/419,63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Claims (17)

  1. 전원 동작을 위한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주변 장치로서,
    버스를 통하여 원격 장치와 통신하는데 적합한 버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와 전원 간에 접속되며, 상기 전원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버스 활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상기 버스 활동에 따라 상기 전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압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버스 상에 어떠한 활동도 존재하지 않을 때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 주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입력을 구비하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에서 펄스 신호가 존재할 때 비전도 상태로부터 전도 상태로 되는 주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커패시터에 결합된 입력을 갖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상기 전도 상태에 있을 때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상기 커패시터 상에서의 충전에 따라 비전도 상태로부터 전도 상태로 되는 주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출력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의 제어 회로에 입력 전압을 제공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전원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주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전원의 초기 활성화에 따라 상기 버스 활동에 상관없이 상기 전원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데 충분한 전압 신호를 상기 전원에 제공하는 래칭 회로를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비활성화 상태로 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원에 결합된 제어 입력을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입력 공급 전압의 소스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경로를 제공하여 버스 활동에 상관없이 상기 전원을 활성화하도록 상기 스위치 회로를 바이패스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버스 활동의 부재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 지연 후에 비활성화되는 주변 장치.
  9. 전원 동작을 위한 버스 제어형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주변 장치로서,
    버스를 통해 원격 장치와 통신하는데 적합한 버스 인터페이스와,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결합된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 간에 결합된 제2 커패시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 상에 펄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전력을 소모하지 않고,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 상에 펄스가 존재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제1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활성화하여, 상기 전원을 활성화하는데 충분한 전압 신호가 상기 제2 커패시터에서 발생하는 주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소정의 간격에 걸친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비활동에 따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입력 전압의 소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전도 상태일 때 상기 제2 커패시터를 상기 전원을 활성화하는데 충분한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저항을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버스 활동의 부재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 지연 후에 비활성화되는 주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지연은, 버스 활동이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스위칭 회로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의 방전과 관련된 지연을 포함하는 주변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이더넷 버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 활동은 스캐닝 펄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주변 장치.
  15. 버스 상에서 전개되는 입력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는 주변 장치로서,
    상기 주변 장치용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와,
    입력 공급 전압의 소스에 결합된 제1 메인 전류 전도 단자, 상기 전원 제어기의 입력 공급 단자에 결합된 제2 메인 전류 전도 단자, 및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제어 단자를 갖는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임계 전압을 초과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임계 전압을 초과할 때 상기 제어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버스 활동을 나타내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버스 비활동을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부재일 때, 상기 제어기에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력을 소모하지 않고 수동적 비전도 상태로 유지되는 주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전류 전도 단자는 노이즈 내성을 제공하도록 필터 커패시터에 결합되는 주변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베이스 접합에 의해 결정되는 주변 장치.
KR1020057006617A 2002-10-18 2003-10-16 버스 제어형 전원 스위치 KR101016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963202P 2002-10-18 2002-10-18
US60/419,632 2002-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774A true KR20050053774A (ko) 2005-06-08
KR101016879B1 KR101016879B1 (ko) 2011-02-22

Family

ID=3210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617A KR101016879B1 (ko) 2002-10-18 2003-10-16 버스 제어형 전원 스위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11970B2 (ko)
EP (1) EP1552372B1 (ko)
JP (1) JP4447461B2 (ko)
KR (1) KR101016879B1 (ko)
CN (2) CN101201692B (ko)
AU (1) AU2003282290A1 (ko)
MX (1) MXPA05004097A (ko)
WO (1) WO20040364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4388B1 (en) * 1996-12-03 2001-03-20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Synthesis of epothilones, intermediates thereto and analogues thereof
US7325749B1 (en) * 2003-12-17 2008-02-05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Distributed solid state programmable thermostat/power controller
JP2005242498A (ja) * 2004-02-25 2005-09-08 Contec Co Ltd データ伝送設備
US7610428B2 (en) * 2005-12-30 2009-10-27 Augmentix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US20070180277A1 (en) * 2006-01-27 2007-08-02 Subramanian Jayaram Enhanced printer power management
JP4961999B2 (ja) * 2006-12-25 2012-06-2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TWM318147U (en) * 2007-01-10 2007-09-01 Cheng Uei Prec Ind Co Ltd A switch control circuit for external hard disk
JP2009009532A (ja) * 2007-06-29 2009-01-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7870408B2 (en) * 2007-12-12 2011-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versal serial bus wakeup circuit
US8095815B2 (en) * 2008-10-14 2012-0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chip
TW201115319A (en) * 2009-10-19 2011-05-01 Wistron Corp A pro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JP2011090577A (ja) * 2009-10-23 2011-05-06 Fujitsu Ltd 記憶装置、記憶システムおよび記憶装置起動方法
DE102009052947B3 (de) * 2009-11-12 2010-12-16 Sinitec Vertriebsgesellschaft Mbh Energiesparschaltung für ein Peripheriegerät, Peripheriegerät, Vermittlungsgerät und Arbeitsverfahren
JP4944214B2 (ja) * 2010-02-09 2012-05-30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周辺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8428751B2 (en) 2010-03-18 2013-04-23 Covidien Lp Electrode delivery system
JP2012070207A (ja) * 2010-09-24 2012-04-05 Buffalo Inc 周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2455773A (zh) * 2010-10-18 2012-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存储装置及其节能控制方法
CN102135771B (zh) * 2011-03-08 2012-12-12 傲视恒安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直流网络电源控制器
TWI474679B (zh) * 2011-05-16 2015-02-21 Via Tech Inc 橋接器以及其操作方法
DE102012204075A1 (de) * 2012-03-15 2013-09-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Busankoppler für ein Busgerät eines Bussystems, Busgerät eines Bussystems sowie Bussystem
US9319101B2 (en) 2012-09-28 2016-04-19 Siemens Industry, Inc. System and method for ground fault detection in a transformer isolated communication channel of a network device
US9013980B2 (en) * 2012-09-28 2015-04-21 Siemens Industry, Inc. System and method for fail-safe communication across a compromised communication channel of a network device
JP6020353B2 (ja) * 2013-05-29 2016-11-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遠隔操作方法、遠隔制御方法、遠隔操作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DE102014216444A1 (de) * 2014-08-19 2016-02-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witch-Einheit, Ethernet-Netzwerk und Verfahren zur Aktivierung von Komponenten in einem Ethernet-Netzwerk
US10057959B2 (en) * 2014-09-29 2018-08-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over ethernet powered device having automatic power signatur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295A (en) * 1981-05-26 1984-11-20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varying the output of a waveform generator to gradually or rapidly vary a control signal from an initial value to a desired value
US4542303A (en) * 1983-10-03 1985-09-17 Motorola, Inc. Comparator circuit
JPS6084644A (ja) * 1983-10-15 1985-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コンピユ−タのウオツチドツグタイマ
NL8702749A (nl) * 1987-11-18 1989-06-16 Philips Nv Afstandsbedieningssysteem met ontwaak signaal.
US5410713A (en) * 1992-01-02 1995-04-25 Smith Corona/Acer Power-management system for a computer
US5423045A (en) * 1992-04-15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management in portable computers
JPH08221156A (ja) 1995-02-15 1996-08-30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端末制御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5617466A (en) * 1995-03-20 1997-04-01 Harris Corporation Mechanism for controllably enabling test set to assert off-hook condition on telephone line in dependence upon detection of prescribed voltage level and absence of data traffic
DE19610762A1 (de) * 1996-03-19 1997-09-25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mit verringerter Oberwellenbelastung des Netzes
US5705948A (en) * 1996-04-01 1998-01-0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Self clocking, variable frequency boost circuit
JP3758096B2 (ja) 1996-05-14 2006-03-22 株式会社ニコン 情報処理装置
DE19732675C2 (de) * 1997-07-29 1999-11-25 Siemens Ag Schaltung zum bedarfsgerechten Ein- und Ausschalten eines Verbrauchers
US6463543B1 (en) * 1999-08-03 2002-10-08 Btech, Inc. Serial bus communications system
JP2001195156A (ja) * 2000-01-17 2001-07-19 Alps Electric Co Ltd コンピュータの電源立ち上げ装置
JP3492586B2 (ja) 2000-03-31 2004-02-03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Lan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2007003A (ja) 2000-06-27 2002-01-11 Melco Inc 外部処理装置およ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2002026812A (ja) * 2000-07-05 2002-01-25 Sharp Corp 電源制御装置およびリモコン用受信装置および光通信装置
US6816976B2 (en) * 2001-03-29 2004-11-09 Cypress Semiconductor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US6909659B2 (en) * 2001-08-30 2005-06-21 Micron Technology, Inc. Zero power chip standby mode
US7032120B2 (en) * 2002-07-18 2006-04-18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power requirements in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while in suspend state and returning to full operation state without loss of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62030A1 (en) 2006-03-23
WO2004036401A3 (en) 2004-12-16
MXPA05004097A (es) 2005-06-08
WO2004036401A2 (en) 2004-04-29
CN100357859C (zh) 2007-12-26
KR101016879B1 (ko) 2011-02-22
JP4447461B2 (ja) 2010-04-07
EP1552372A2 (en) 2005-07-13
CN101201692B (zh) 2010-06-16
AU2003282290A1 (en) 2004-05-04
CN1705927A (zh) 2005-12-07
EP1552372B1 (en) 2015-03-25
US7711970B2 (en) 2010-05-04
CN101201692A (zh) 2008-06-18
JP2006517692A (ja)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879B1 (ko) 버스 제어형 전원 스위치
US7245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response to a fault condition in a switching power supply
JP5843433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256682B1 (en) Signaling of power modes over an interface bus
US20020125867A1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5596465A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a dc-to-dc converter
US20050086546A1 (en) Powered device interface circuit
US7698574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78513A (ko) 자동 전원 개폐 장치
US5812386A (e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corresponding circuit
US10659241B2 (en) Automatic power over ethernet pulse width signaling correction
KR100522017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JP2005132052A (ja) 画像形成装置
US7213160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CA2250675C (en) On/off control device for power source unit
US201201341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0246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294020B2 (ja) 電力制御回路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US11152850B2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165155A (ja) 電源電圧制御装置
US9110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o main controller based upon power-on/off state signal and reset signal for resetting the main controller
JPH03277143A (ja) 給電システム
CN116231835A (zh) 双电源供电控制装置及方法
JP2003318271A (ja) 半導体集積回路
JPS5915222B2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の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