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511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511A
KR20050049511A KR1020057005644A KR20057005644A KR20050049511A KR 20050049511 A KR20050049511 A KR 20050049511A KR 1020057005644 A KR1020057005644 A KR 1020057005644A KR 20057005644 A KR20057005644 A KR 20057005644A KR 20050049511 A KR20050049511 A KR 2005004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port
air
filter elemen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355B1 (ko
Inventor
리츠오 다케모토
마사토시 다나카
히로시 요코야마
히토시 스즈키
기요시 에베
요시히로 츠치야
아이 다나카
야스시 나카토가와
이쿠오 오시마
유스케 기노시타
유타카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791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8877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48564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887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910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0081B1/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 메인 바디(20)의 연결 포트(43)를 통해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61)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61)는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를 포함하고 있다. 이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는 도입 포트(62A)와, 유도 포트(62B)와, 이들 사이에 배치된 개구부(64)를 포함하고 있다. 분리 기능에 있어서, 먼지 함유 공기가 도입 포트(62A)로부터 유도 포트(62B)를 향하여 유동하지만, 공기 중 일부가 모터 송풍기(33)에 의해 개구부(64)를 통해 흡입된다. 따라서, 공기는 관성에 의해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에서 직진하는 먼지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흡입된 먼지 함유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제1 먼지 분리부와, 이 제1 먼지 먼지 분리부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먼지 분리부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특히, 제1 먼지 분리부는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먼지의 관성을 이용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고카이 명의의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2001-104223호에는 제1 먼지 분리부에서의 원심 분리와 제2 먼지 분리부에서의 필터 분리에 의해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 진공 청소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먼지 컵과, 이 컵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드는 모터 송풍기를 포함하고 있다. 먼지 컵의 상부 개구에는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먼지 컵의 외주벽에는 흡입 포트가 연결되어 있다. 흡입 포트는 흡입 통로를 통해 먼지를 흡인하는 흡인 포트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먼지 컵에 흡인된 먼지 함유 공기는 모터 송풍기의 작동으로 컵 내부에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밀집된 먼지 입자는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먼지는 먼지 컵에 축적되고, 공기는 필터를 통해 모터 송풍기로 흡인된다.
먼지 컵에 축적된 먼지는 모터 송풍기가 재가동 될 때마다 치솟아 오른다. 필터는 먼지 컵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따라서 치솟아 오른 먼지는 필터에 부착되거나 휘감긴다. 따라서, 필터는 초기 단계에 막히게 되어, 공기 및 먼지의 분리 기능이 쉽게 저하된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제60-157686호에는 제1 먼지 분리부에서의 원심 분리와 제2 먼지 분리부에서의 필터 분리에 의해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실린더형 먼지 수집기 본체 내부는 상부 및 하부 먼지 수집기 챔버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를 책임지는 수평 분리판이 중간부에서 양쪽 먼지 수집기 챔버와 연통하는 배출 실린더를 포함하고 있다. 접선 방향의 흡입 포트가 하부 먼지 수집기 챔버에 배치되어 있다. 흡인 포트와 하부 먼지 수집기 챔버는 제1 먼지 분리부의 사이클론 타입을 형성하고 있다.
배출 팬의 흡인 측을 덮고 있는 상부 먼지 수집기 챔버에는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와 상부 먼지 수집기 챔버는 제1 먼지 분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배출 팬이 작동하면, 제1 먼지 분리부는 사이클론식 먼지 분리를 실행하게 된다. 이 때, 공기는 상부 먼지 수집기 챔버의 필터를 통해 배출 팬에 흡인된다.
상부 및 하부 먼지 수집기 챔버에 축적된 먼지는 모터 송풍기가 재가동될 때마다 치솟아 오른다. 치솟아 오른 먼지는 필터에 때때로 부착되거나 얽히게 된다. 그러므로, 필터는 초기 단계에 막히고, 공기 및 먼지의 분리 기능은 쉽게 저하된다.
고카이 명의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2-306380호에는 주름형 배출 팬을 사용하여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필터링하는 진공 청소기가 공지되어 있다.
사각 프레임인 분할부가 배출 필터를 포위하고 있다. 배출 필터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리드(plead)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 송풍기가 작동하는 동안 배출 필터의 표면에 들러붙는 먼지는 쉽게 벗겨져 떨어진다. 분할부의 하부 프레임은 배출 필터로부터 떨어지는 먼지를 수용하고 유지한다. 이것은 효과적인 필터 영역을 감소시키고, 배출 필터의 성능을 불가피하게 저하시킨다. 만약, 제2 먼지 분리부가 주름형 필터를 채용한다면,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효율이 감소할 것이다.
고코구 명의의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61022563호에는 제1 먼지 분리부에서의 관성 분리와 제1 분리부의 주름형 필터에서의 필터 분리에 의해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하는 진공 청소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 진공 청소기는 주름형 메인 필터의 전방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격벽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격벽은 필터 유지 부재의 한 쪽 외주부와 접촉하고 있다. 격벽에는 바닥판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고, 아래쪽으로부터 메인 필터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부판과 일체로 배치되어 있는 제1 필터가 격벽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필터는 호스 포트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불침투성 벽과 메시부(mesh section)를 포함하고 있다. 호스 포트 대향벽은 먼지 수집기 케이스의 큰 먼지 챔버로부터 메인 필터의 전방부에 안내되는 공기 흐름을 전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먼지 수집기 케이스의 호스 연결 포트는 호스 연결 대향벽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호스 연결 포트로부터 먼지 수집기 케이스로 들어온 먼지 함유 공기는 호스 포트 대향벽과 충돌한다. 그러므로, 공기 중의 큰 먼지는 큰 먼지 챔버에 떨어진다. 한편, 호스 포트 대향벽의 표면에 따른 공기 흐름은 메시부를 관통하고, 흐름 방향을 역전시킨다. 호스 포트 대향벽의 배면을 따라 흐른 후에, 공기는 메인 필터를 통해 흐른다.
먼지 함유 공기가 호스 포트 대향벽과 충돌하여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기법에 있어서, 공기 흐름 중의 먼지의 관성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기법은 교시되어 있지 않다. 먼지 함유 공기가 호스 포트 대향벽과 충돌함에 따라, 난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바람 손실이 커진다. 또한, 공기 흐름은 호스 대향벽을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바람 손실이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공기 및 먼지의 분리 기능은 메인 필터의 상류측에서 쉽게 저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다.
도 2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메인 바디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청소기 메인 바디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뚜껑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도 2의 청소기 메인 바디가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먼지 컵이 도시되어 있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먼지 컵에 대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먼지 분리부가 제거되고, 추가로 제1 먼지 분리부의 필터가 제거된 상태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 5의 먼지 컵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먼지 분리부가 제거되고, 추가로 제1 먼지 분리부의 필터도 제거된 상태의 도 5의 먼지 컵이 도시되어 있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먼지 분리부가 제거된 상태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 5의 먼지 컵 하부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닥판이 제거된 상태의 도 5의 먼지 컵이 도시되어 있는 하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먼지 컵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먼지 분리부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 먼지 분리부에 배치되어 있는 필터 프레임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2 먼지 분리부에 배치되어 있는 필터 요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진공 청소기 코드 릴과 먼지 낙하 장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진공 청소기 코드 릴과 먼지 낙하 장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코드 릴과 함께 도 15의 먼지 낙하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먼지 낙하 장치의 회전력 전달 기구가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F18-F18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F19-F1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컵이 도시되어 있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컵이 도시되어 있는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먼지 컵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먼지 분리부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및 먼지 분리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제1 먼지 분리부와, 제1 먼지 축적부와, 제2 먼지 분리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먼지 분리부는 청소기 메인 바디의 연결 포트와 청소기 메인 바디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 송풍기의 흡입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먼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먼지는 제1 먼지 축적부에 축적된다. 제2 먼지 분리부는 제1 먼지 분리부와 모터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먼지 분리부는 흡입 포트로 흡인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매트형 필터 요소(mat filter element)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먼지 분리부는 연결 포트를 통해 흡입 포트로 흐르는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하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의 축선은 직선이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는 도입 포트와, 유도 포트와,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 포트를 관통하는 먼지 함유 공기는 도입 포트로 안내된다. 분리된 먼지는 유도 포트를 통해 유도된다. 개구부는 도입 포트와 유도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를 통해,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로 향하는 공기 흐름의 일부가 모터 송풍기의 흡입 포트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에 의해, 공기는 관성에 의해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직진하는 먼지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모터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연결 포트로 흡인된 공기와 먼지는 제1 먼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다. 분리된 밀집 먼지는 제1 먼지 축적부에 축적되고, 제2 먼지 분리부의 필터 요소에 들러붙는 것이 방지된다.
제1 먼지 분리부의 공기와 먼지의 분리 기능에 있어서, 흡인된 먼지 함유 공기는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흐를 수 있는 반면, 유동 공기의 일부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모터 송풍기로 흡입된다. 따라서, 공기는 관성에 의해 공기 경로 형성 부재에서 직진하는 먼지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부에서 소용돌이의 발생은 방지된다. 또한, 먼지 함유 공기의 흐름은 역전되거나 우회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 손실이 작다. 따라서, 공기와 먼지의 분리 능력은 저하되지 않고, 청소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먼지 분리부와, 제1 먼지 축적부와, 제2 먼지 분리부와, 격벽과, 제2 먼지 축적부를 포함한다. 제1 먼지 분리부는 청소기 메인 바디의 연결 포트와 이 청소기 메인 바디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 송풍기의 흡입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먼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먼지는 제1 먼지 축적부에 축적된다. 제2 먼지 분리부는 제1 먼지 분리부와 모터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먼지 분리부는 흡입 포트로 흡인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필터링하는 매트 필터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필터 요소는 직립 자세로 사용된다.
격벽은 제1 먼지 분리부에 내장되어 있는 부압 공간과 제1 먼지 축적부를 분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격벽과 필터 요소의 하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갭은 부압 공간보다 좁고, 부압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제2 먼지 축적부는 갭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있고, 제2 먼지 분리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먼지 축적부에 있어서, 필터 요소로부터 떨어지는 먼지는 제1 먼지 축적부로부터 분리되어 축적된다.
제1 먼지 분리부는 연결 포트를 통해 흡입 포트를 향해 흐르는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하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의 축선은 직선이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는 도입 포트와, 유도 포트와,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 포트를 관통하는 먼지 함유 공기는 도입 포트로 안내된다. 분리된 먼지는 유도 포트를 통해 유도된다. 개구부는 도입 포트와 유도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를 통해,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모터 송풍기의 흡입 포트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에 의해, 공기는 관성에 의해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직진하는 먼지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연결 포트로 흡인되는 공기와 먼지는 제1 먼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다. 분리된 밀집 먼지는 제1 먼지 축적부에 축적되고, 제2 먼지 분리부의 필터 요소에 들러붙지 못한다.
제1 먼지 분리부에서의 먼지와 공기의 분리 기능에 있어서, 흡인된 먼지 함유 공기는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흐를 수 있게 되는 반면, 유동 공기의 일부가 공기 경로 형성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모터 송풍기로 흡입된다. 따라서, 공기는 관성에 의해 공기 경로 형성 부재에서 직진하는 먼지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분리부에서 소용돌이의 형성은 억제된다. 또한, 먼지 함유 공기의 흐름은 역적되거나 우회되지 않기 때무에, 바람 손실이 작다. 따라서, 공기와 먼지 성능은 저하되지 않고,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모터 송풍기의 작동이 중단되면, 제2 먼지 분리부의 필터 요소에 들러붙은 먼지는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하고, 제2 먼지 축적부에 축적된다. 모터 송풍기가 재가동된 직후에는, 부압 공간에서의 공기가 교란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란이 제2 먼지 축적부로 퍼지는 것은 좁은 갭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제2 먼지 축적부에 축적된 먼지가 치솟아 오르고 필터 요소에 다시 들러붙는 것은 억제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도면 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가 청소기 메인 바디(2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메인 바디(20)는 가요성 먼지 흡입 호스(21)의 한 쪽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먼지 흡입 호스(21)의 다른 쪽 단부는 손잡이 조작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22)는 손잡이(22A)를 포함하고 있다. 이 손잡이(22A)는 원격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22B)를 포함하고 있다.
수동 조작부(22)는 튜브가 부착/분리 가능하도록 확장/수축 가능한 연장 파이프(2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장 파이프(23)의 팁 단부가 부착/분리 가능 흡인 포트 부재(24)에 연결되어 있다. 먼지 흡입 호스(21)와, 연장 파이프(23)와, 흡인 포트 부재(24)는 흡입 통로 부재(25)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청소기 메인 바디(20)는 메인 바디 케이스(30)와, 먼지 컵(50)과, 뚜껑 부재(40)를 포함하고 있다. 먼지 컵(50)은 메인 바디 케이스(30)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뚜껑 부재(40)는 힌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메인 바디 케이스(30)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고, 뚜껑 부재(40)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메인 바디 케이스(30)는 케이스 주요부(34)와 컵 수용부(35)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주요부(34)에는 모터 송풍기(33)가 내장되어 있다. 모터 송풍기(33)는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흡입 포트(33A)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 송풍기(33)는 흡입 포트(33A)의 대부분이 케이스 주요부(34)의 상부 근처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컵 수용부(35)는 케이스 주요부(34)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컵 수용부(35)는 오목형 상방향 개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먼지 컵(50)은 컵 수용부(35)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놓여져 있다. 먼지 컵(50)은 폐쇄된 뚜겅 부재(40)와 컵 수용부(35) 사이에 수직으로 유지되어 있고, 청소기 메인 바디(20)에 부착되어 있다.
팽창부(하나만 도시되어 있음; 36)는 케이스 주요부(34)의 폭방향으로 대향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팽창부(36)는 케이스 주요부(34)의 전방부 근처 상부로부터 후방부 근처의 하부에 걸쳐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배출부(38)는 케이스 주요부(34)의 대향 측벽과 대향 팽창부(36)의 전방부 근처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부(38)는 배출 공기 경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모터 송풍기(33)의 배출 포트(33B, 도 3 참조)와 연통되어 있다. 배출 포트(33B)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배출 공기 경로를 통해 배출부(38)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대향 팽창부(36)의 하단부에는 후륜(37)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컵 수용부(35)의 하부에는 캐스터(castor)를 포함하는 전륜(39)이 부착되어 있다. 청소기 메인 바디(20)는 전륜(39)과 후륜(37)에 의해 집안 마루와 같은 청소할 바닥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 주요부(34)에는 이후 설명할 먼지 낙하 장치(149)와 코드 릴(125)이 통합되어 있다. 코드 릴(125)은 모터 송풍기(33) 아래에 마련되어 있다. 이 코드 릴(125)은 모터 송풍기(33) 등에 상업 교류 전력원의 전력을 공급한다.
먼지 낙하 장치(149)는 구동력으로서 전력 코드를 추출/삽입하는 코드 릴(125)의 회전을 이용하여 작동된다. 이 먼지 낙하 장치(149)에 진동을 가하여 후술하는 필터 요소(82)에 먼지를 낙하시킨다.
먼지 낙하 장치(149)는 생략될 수 있다. 코드 릴(125) 대신에, 모터 송풍기(33)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될 수도 있다. 먼지 낙하 장치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먼지 낙하 작동부는 메인 바디 케이스(30) 외측에 배치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먼지 낙하 장치가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뚜껑 부재(40)는 상부판(41)과 주벽(42)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판(41)은 평면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벽(42)은 상부판(41)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벽(42)의 전방부는 연결 포트(43)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연결 포트는 먼지 흡입 호스(21)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포트(43)는 뚜껑 부재(4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의 연결 포트(43) 대향 단부는 각각 개방되어 있다. 뚜껑 부재(4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 포트(43)의 후방 단부 개구부(45)는 전방측(상류)으로부터 후술하는 제1 먼지 분리부(61)와 직접 연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지 컵(50)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와, 이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에 배치되어 있는 손잡이부(54)와, 개방/폐쇄 가능한 바닥판(57)을 포함하고 있다.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후방부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개구부(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음; 51)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전방벽(50a)에는 공기 구멍(52)이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부(54)는 공기 구멍(52) 아래 위치하고, 전방벽(50a)에 배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는 제1 먼지 축적부(55)와, 모터 송풍기(33)의 작동에 의해 부압 상태로 전환되는 공간(56; 이하 본 명세서에서 부압 공간으로 부른다)과, 제1 먼지 분리부(61)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먼지 축적부(55)는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부압 공간(56)은 제1 먼지 축적부(55)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부압 공간(56)은 제1 먼지 분리부(61)의 후술하는 개구(64)로부터 후술하는 제2 먼지 분리부(80)로 안내되는 공기 경로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부압 공간(56)은 후술하는 공기 구멍(59)으로부터 제2 먼지 분리부(80)로 안내되는 공기 경로로도 작용한다.
제1 먼지 축적부(55)와 부압 공간(56)은 청소기 메인 바디(20)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정렬되어 있다. 먼지 축적부(55)와 부압 공간(56)의 정렬 방향은 청소기 메인 바디(20)의 경사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전후 방향(축 방향) 중 어느 방향이라도 좋다.
제1 먼지 축적부(55)의 바닥면은 개방되어 있다. 바닥판(57)은 축선(J) 둘레에서 개방/폐쇄 가능하게 제1 먼지 축적부(55)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바닥판(57)을 개방하면, 제1 먼지 축적부(55)에 축적된 먼지를 버릴 수 있다. 바닥판(57)의 폐쇄 상태는 손잡이부(54)에 배치되어 있는 압박식 조작 버튼과 연결되어 있는 기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해제될 수 있다.
제1 먼지 축적부(55)와 부압 공간(56)은 서로 연속하는 상승벽(60)과 천장벽(58)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상승벽(60)과 천장벽(58)은 격벽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승벽(60)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하부에, 그리고 개구부(51)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천장벽(58)은 상승벽(60)의 상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있고, 전방벽(50a)에 연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먼지 축적부(55)는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격벽과 하부 외주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부압 공간(56)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격벽과 상부 외주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먼지 축적부(55)의 천장벽(58)에는 공기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먼지 축적부(55)는 이 공기 구멍(59)을 통해 부압 공간(56)과 연통하고 있다. 공기 구멍(59)은 제1 먼지 축적부(55)의 중간부와 실질적으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 도 8,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 구멍(59)에는 필터(F1)가 부착되어 있다. 필터(F1)에는 예를 들어 그물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벽(58)에는 구멍(58A; 도 7 및 도 9 참조)이 마련되어 있고, 상승벽(60)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상승벽(60)에는 안내벽(55G; 도 5 및 도 10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안내벽(55G)은 제1 먼지 축적부(55)에서 나선형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멍(58A)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먼지 분리부(61)는 부압 공간(56)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먼지 분리부(61)는 실린더형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와 안내부(63)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내부 공간은 직선 공기 경로(62a)로서의 기능을 한다. 안내부(63)를 통해,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는 제1 먼지 축적부(55)와 연통하여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제1 먼지 축적부(55)로 안내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는 직선형 축선(SL)을 포함하고 있고, 축방향 대향 단부는 양쪽 모두 개방되어 있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는 대향하는 단부 개구부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분리용 개구부(64)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개구부(64)는 먼지를 포획하기 위한 필터(F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자세히 말하자면,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는 한 쌍의 대형 및 소형 원형 프레임부(W1, W2)와 복수 개의 리브(W3)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리브(W3)는 프레임부(W1, W2)를 연결하고 있다. 각 개구(64)는 대향하는 프레임부(W1, W2)와 리브(W3)로 포위되어 있는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필터(F2)는 예를 들어, 그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형으로 프레임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는 예를 들어, 축방향의 시브 대향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면, 실린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의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 한쪽 단부의 개구부는 도입 포트(62A)를 형성하고 있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축방향의 다른 쪽 단부의 개구부는 유도 포트(62B)를 형성하고 있다.
직선 공기 경로(62a)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축선(SL)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 메인 바디의 축방향(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직선 공기 경로(62a)는 연속적으로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개구부(64)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부압 공간(56)을 통해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와 연통하고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대경 도입 포트(62A)의 직경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공기 구멍(52)의 직경보다 크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는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 구멍(52)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도입 포트(62A)가 전방벽(50a)에 돌출되어 있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유도 포트(62B)의 직경은 공기 구멍(52)과 도입 포트(62A)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직경은 도입 포트(62A)로부터 유도 포트(62B)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축선(SL)이 연장하는 방향은 뚜껑 부재(40)의 연결 포트(43) 축선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속되어 있다.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는 이 축선의 연장부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포트(43)와, 공기 구멍(52)과, 직선 공기 경로(62a)와, 개구(51)와,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는 청소기 메인 바디(20)의 축선 방향(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63)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유도 포트(62B)와 연속되어 있다. 안내부(63)는 튜브형이고, 유도 포트(62B)에 접합되어 있는 개구부(63B)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부(63)는 튜브형인 공기 안내벽부(63B)와 경사벽부(63A)을 포함하고 있다. 경사벽부(63A)는 유도 포트(62B)의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공기 안내벽부(63B)는 경사벽부(63A)로부터 굴곡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공기 안내벽부(63B)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유도 포트(62B)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63)의 하부는 경사벽부(63A)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튜브부(63C)를 형성하고 있다. 이 튜브부(63C)는 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 연장하고, 천장벽(58)과 상승벽(60)에 연결되어 구멍(58A)을 덮고 있다. 이러한 연결에 의해, 안내부(63)는 직선 공기 경로(62a)를 제1 먼지 축적부(55)에 연결하고 있다.
상승벽(60)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 개구(51)의 단부로부터 약간 내측(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51)로부터 상승벽(60)에 이르는 깊이(H)는 개구(51)를 폐쇄하도록 후술하는 필터(80)를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를 부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에는 지지벽(71)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벽(71)은 상승벽(60)의 하단부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벽(71)과 상승벽(60) 사이에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2 먼지 축적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먼지 축적부(72)는 제1 먼지 축적부(55)와 별개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먼지를 축적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먼지 축적부(72)에는 제1 먼지 축적부(55)에 축적된 먼지보다 더 미세한 먼지가 축적된다. 이 제2 먼지 축적부(72)는 복수 개의 지지 리브(73)에 의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지지벽(71)과 지지 리브(73)는 후술하는 필터(80)를 지지하고 있다.
제1 먼지 축적부(55)와 제2 먼지 축적부(72)의 하단 개구부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양 먼지 축적부(55, 72)의 하단 개구부는 모두 개방/폐쇄 가능하도록 바닥판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하나의 바닥판(57)을 개방하면, 제1 및 제2 먼지 축적부(55, 72)에 축적된 먼지를 동시에 버릴 수 있고, 이러한 점은 사용하기에 편리한다. 제2 먼지 축적부(72)는 바닥판(57)에 의해 폐쇄식 단부 구조를 갖는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떠한 공기 흐름도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식 통로 구조를 가진 제2 먼지 축적부(72)를 통과하지 못한다. 또한, 부압 공간(56)의 난류가 제2 먼지 축적부(72)로 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난류가 제2 먼지 축적부(72)의 상부로 전파되는 경우, 축적 상태로 내부에 축적되는 대부분의 먼지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면, 제2 먼지 축적부(72)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먼지는 난류의 영향이 전파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치솟아 오르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경사형 또는 깔때기형 배플이 제2 먼지 축적부(72)에 배치되는 것을 금지할 수는 없다. 이 배플은 먼지가 위에서부터 제2 먼지 축적부(72)로 낙하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제2 먼지 축적부에 대한 난류의 영향을 억제한다.
바닥판(57)의 내면에는 환형 실링 재료(74; 도 5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링 재료(74)는 동시에 양 먼지 축적부(55, 72)의 하단부가 바닥판(57)에 기밀식으로 폐쇄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것은 단일 실링 재료(74)가 이러한 방식으로 공유되어 있는 경우, 실링 재료가 각각의 먼지 축적부(55, 72)에 필요하지는 않다는 점에서 더 우수하다. 제2 먼지 축적부(72)는 이 제2 먼지 축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1 먼지 축적부(55)와 연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승벽(60)의 전체 하단부는 폐쇄된 바닥판(57)의 내면과 접촉하여 양 먼지 축적부(55, 72)를 분할하고 있다. 실링 재료(74)는 양 먼지 축적부(55, 72)의 하단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필터(80)는 개구부(51)가 폐쇄되도록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필터(80)는 제2 먼지 분리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 필터(80)는 제1 먼지 축적부(55)와 부압 공간(56)의 정렬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필터(80)는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개구부(51)에 끼워맞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개구부(51)에 끼워맞춤된 필터(80)는 예를 들어 부압 공간(56)과 먼지 축적부(55)의 후방 전체 둘출 영역 대부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에 부착된 필터(80) 상부는 부압 공간(56)과 제1 먼지 분리부에 대향하게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80)의 하부는 상승벽(60) 근처에 그리고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천장부에 배치되어 있는 스텝부(53A)와, 상승벽(60)과 각 리브(73)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는 코너부(53B)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텝부(53A)와 코너부(53B)는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에 대한 필터(80)의 끼워맞춤 깊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에 의해, 필터(80)는 직립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방으로 경사졌다는 것은 필터(80)의 상단부가 필터(80)를 관통하는 공기 회로를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경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필터 요소(82)가 전체 필터(80)가 경사지는 것에 대신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필터가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는 개념도 포함하고 있다.
필터(80)가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는 것은 상류측에서 필터(8)의 표면에 들러붙어 있는 먼지가 진공 청소기(10)의 작동 중단에 의해 자유롭게/쉽게 떨어진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이러한 경우에, 떨어지게 될 먼지가 하부 위치에 들러붙어 있는 먼지에 의해 방해 받을 수 없다. 먼지 낙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필터(80)는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대신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약간 후방으로 필터를 경사/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에 부착되어 있는 필터(80)의 하단부와 상승벽(60)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갭(G)은 위에 배치되어 있고 갭과 연통하고 있는 부압 공간(56)보다 훨씬 더 좁고, 공기 경로 단면적이 작다. 갭(G)의 하단부는 갭(G)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먼지 축적부(72)와 연통하고 있다.
도 5, 도 6,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80)는 필터 프레임(81)과 이 필터 프레임(81)의 내부 전체에 내부를 폐쇄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필터 요소(82)를 포함하고 있다. 이 필터 요소(82)는 매트형의 필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매트는 편평한 판 형태 또는 주름진 형태이고, 단일 층 또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필터 요소(82)의 필터 재료로는, 종이, 코튼, 직물, 유리 섬유(glass wool), 부직포 직물, 발포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1의 도면 부호 78은 필터 프레임(81) 둘레에 끼워맞춰져 있는 환형 고무 실링 패킹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웨이브형으로 굴곡되어 있는 매트로 형성되어 있는 주름형 필터 요소(82)가 사용된다. 이 필터 요소(82)의 그물은 필터 요소(8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필터(F1, F2)의 그물보다 더 미세하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름형 필터 요소(82)는 수직방향으로 필터 요소 표면에서 연장하고 있는 표면홈(82b)을 포함하고 있다. 표면홈(82b)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유사하게, 필터 요소(82)는 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면홈(82a)을 포함하고 있다. 이 후면홈(82a)은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82)의 상류측 표면에는 표면 처리층(82C)이 마련되어 있다. 이 표면 처리층(82C)은 투과성이 있고, 상류측 표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고 표면 특성을 매끄럽게 하는 코팅층이다.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표면 처리층(82C)은 먼지가 필터 요소(82)의 표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한다. 표면 처리층(82C)은 스테인레스 강,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미세 금속 입자를 상류측 표면에 예를 들어 스퍼터링에 의해 부착시켜 마련된다.
이러한 경우에, 금속 미세 입자는 수 옹스트롬 정도로 상류측 표면에 부착되어, 필터 요소(82)가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데에 필요한 가스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다. 표면 처리층(82C)은 금속 미세 입자층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 요소(82)를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화물(ethylene tetrafluoride) 용액에 침지하고, 이어서 이 필터 요소를 건조로에 건조시켜, 표면 처리층(82C)을 필터 요소(82)의 대향 전후방면에 마련할 수도 있다.
필터 프레임(81)은 사방에서 필터 요소(82)를 지지하고 있다. 필터 프레임(81)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부(81a)가 요소 지지부(84)와 도 6 및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지지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부(85)를 포함하고 있다. 요소 지지부(84)와 경사부(85)는 먼지 방출부(83)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요소 지지부(84)는 폐쇄부(84a)와 컷아웃부(cutout; 84b)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은 교대로 정렬되어 있다. 이 폐쇄부(84a)와 컷아웃부(84b)는 필터 요소(82)의 주름부에 대향하게 소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폐쇄부(84a)는 필터 요소(82)의 후방 표면홈(82a)의 하단부를 폐쇄하고, 하단부에 끼워맞춤/접합되어 있다. 컷아웃부(84b)는 먼지 통과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컷아웃부(84b)는 필터 프레임(81)의 전방측(상류측)에서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컷아웃부(84b)는 필터 요소(82)의 표면홈(82b) 하단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요소 지지부(84)와 유사한 요소 지지부(86)가 필터 프레임(81)의 상측 프레임부(81b)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 요소(82)의 상단부는 요소 지지부(86)에 접합되어 있다. 필터 요소(8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양 요소 지지부(84, 86)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채널이 필터 브레임(81)의 상하부에 필터 요소(82)의 전방/후방 표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85)는 요소 지지부(84)의 후방 에지(하류측의 에지)로부터 전방/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경사부(85)는 컷아웃부(84b)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경사부(85)와 요소 지지부(8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이 필터 프레임(8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공간은 표면홈(82b)과 연통하고 있다. 경사부(85)의 전방 돌출폭은 폐쇄부(84a)의 돌출폭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공간은 이 공간 아래의 제2 먼지 축적부(72)와 연통하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주요부(34)에 내장되어 있는 코드 릴(125)은 권취 드럼(126)과, 브레이크 장치(131) 등을 포함하고 있다. 권취 드럼(126)은 지지축(12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파워 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 권취 드럼(126)이 회전하면, 전력 코드(KD; 도 3 참조)는 감겨진다. 이 지지축(122)은 메인 마디 케이스(30)의 바닥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 드럼(126)은 상측 플랜지(127)와 하측 플랜지(128)을 포함하고 있다. 상측 플랜지(127)의 상면에는 대경 구동 기어(12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대경 구동 기어(129)에는 상측 플랜지(127)의 외주방향에서 환형으로 정렬되어 있는 다수의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22)에는 베이스 판(123)과 베이스 판 프레서(12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베이스 판(123)에 브레이크 장치(131)가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131)는 브레이크 아암(132)과, 브레이크 롤러(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판(123)은 수직 피봇(123a)을 포함하고 있고, 브레이크 아암(132)은 이 수직 피봇(132a)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롤러는 브레이크 아암(132)의 자유단에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은 브레이크 롤러가 상측 플랜지(127)의 외주면과 압박되게 접촉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아암(132)을 압박한다.
브레이크 장치(131)에 있어서, 브레이크 롤러를 상측 플랜지(127)와 브레이크 아암(132) 사이의 갭에 쐐기형으로 밀어 넣어서, 권취 드럼(126)의 회전을 구속한다. 브레이크 롤러는 브레이크 아암(132)을 압박하는 스프링과 권취 드럼(126)을 압박하는 파워 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압박된다.
전력 코드(KD)를 인출하면, 권취 드럼(126)은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롤러는 권취 드럼(126)의 회전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아암(132)과 상측 플랜지(127) 사이의 쐐기형의 브레이크 롤러 바이트가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측 플랜지(127)에 대한 브레이크 롤러의 가압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전력 코드(KD)의 인출을 중단하면, 권취 드럼(126)은 파워 스프링에 의해 전력 코드(KD)를 감는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아암(132)과 상측 플랜지(127) 사이의 쐐기형의 브레이크 롤러 바이트는 권취 드럼(126)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그러므로, 전력 코드(KD)는 인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손잡이(133)를 아래로 누르면, 브레이크 장치(131)의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손잡이(133)는 손잡이부(134)와 이 손잡이부(134)의 대향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아래로 연장하는 다리부(135)를 포함하고 있고, 뒤집어진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33)는 이 상태에서 메인 바디 케이스(30)의 위로 인출될 수 있고, 이 상태의 청소기 메인 바디(20)를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133)는 대개 손잡이부(134)가 메인 바디 케이스(30)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은 위치로 유지되어 있고, 브레이크 해제 시에 이 상태에서 손잡이를 누른다.
하나의 다리부(135) 하단부에는 테이퍼 판(130)이 배치되어 있다. 테이퍼 판(13)의 경사 캠표면(135a)은 상측으로부터 브레이크 아암(132)의 리브(121)와 접촉하고 있다. 손잡이(133)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아암(132)은 피봇(12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롤러는 상측 플랜지(127)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장치(131)에 의해 해제된다.
케이스 주요부(34)에는, 진동 인가 장치(149)와 같이 필터(80)에 들러붙은 먼지를 떨어내기 위한 먼지 낙하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 인가 장치(149)는 격자판(116)과, 이 격자판(116)과 필터(8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대경 기어(150)를 포함하고 있다. 격자판(116)은 케이스 주요부(34)의 전방벽(11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벽(113)은 격자판(116)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대경 기어(150)는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대경 기어(150)는 보스(151)와, 복수 개의 아암(152)과, 환형 기어부(153)와, 환형 지지부(154)와, 돌출부(157)를 포함하고 있다.
대경 기어(150)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는 보스(151)는 격자판(116)의 지지축(15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아암(152)은 보스(151)와 일체로 그리고 보스(151)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형 기어부(153)는 각 아암(152)에 위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환형 지지부(154)는 보스(151)와 환형 기어부(15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각 아암(152)과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157)는 환형 지지부(154)와 아암(152) 사이의 교차부 중 하나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157)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돌출부의 팁 단부는 필터 요소(82)의 후방 표면홈(82b)에 얕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150)는 회전력 전달 기구(158)를 통해 코드 릴(125)과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력 전달 기구(158)는 회전축(159)과, 링크 요소인 제1 피니언(160; 소경 기어)과, 구동 회전 부재인 제2 피니언(161; 소경 기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격자판(116)은 실린더부(113a)와 이 실린더부와 연통하는 축관통 구멍(113b)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축(159)은 축관통 구멍(113b)과 실린더부(113)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159)의 한 쪽 단부는 먼지 컵(50)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는 메인 바디 케이스부(34)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 피니언(160)은 회전축(159)의 한 쪽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피니언은 기어(150)의 환형 기어부(153)와 맞물린다. 제1 피니언(160)은 축관통 구멍(114b)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보스(160a)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피니언(161)은 회전축(159)의 다른 쪽 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159)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피니언은 코드 릴(125)의 구동 기어(129)와 맞물려 코드릴(125)과 연결된다. 도 17,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 도면 부호 159a는 안내 볼록부를 지시하고, 이 안내 볼록부(159a)는 회전축(159)의 외주면에서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력 전달 장치(158)는 실린더형 피동 회전 부재(162)를 포함하고 있다. 이 회전 부재(162)는 회전축(159)의 안내 볼록부(159a)가 배치되는 부분에 끼워맞춤되고, 제1 피니언(160)과 격자판(1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162)는 회전축(159)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부재가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고, 상대 회전은 불가능하다.
회전력 전달 장치(158)는 일방향 클러치(163)를 포함하고 있다. 클러치(163)의 대부분은 제1 피니언(161)이 피동 회전 부재(162)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163)는 서로 맞물리는 래치 클로(164, 165)와, 코일 스프링(166)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래치 클로(164)는 제2 피니언(161)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래치 클로(165)는 피동 회전 부재(162)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66)은 하나의 래치 클로(164) 상에서 다른 래치 클로(165)를 압박한다.
코드 릴(125)이 전력 코드(KD)를 인출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치 클로(164, 165)는 서로에 대해 회전한다. 코일 스프링(166)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피동 회전 부재(162)는 제2 피니언(161)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축(159) 상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래치 클로(164)는 래치 클로(165) 위를 타고 넘는다. 반대로, 코드 릴(125)이 전력 코드(KD)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치 클로(164, 165)는 서로 맞물린다. 따라서, 제2 피니언(161)은 피동 회전 부재(162)와 일체로 회전한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력 전달 장치(158)는 축관통 구멍(113b)과 회전축(159) 사이를 밀봉하는 환형 실링 부재(167)를 포함하고 있다. 이 환형 실링 부재(167)는 회전축(159)의 외주부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격자판(116)과 접해 있다. 코일 스프링(166)은 환형 실링 부재(167)와 피동 회전 부재(16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66)은 실링 부재(167)를 격자판(116)에 압박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66)은 피동 회전 부재(162)의 래치 클로(165)를 제2 피니언(161)의 래치 클로(164)에 압박한다. 실링 부재(167)는 축관통 구멍(113b)와 제1 피니언(160)의 보스부(160a) 사이에서 압박된다. 따라서, 회전축(159)과 축관통 구멍(113a) 사이의 공간도 환형 실링 부재(167)에 의해 밀봉된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도면 부호 115는 격자판(116)에 배치되어 있는 실린더부를 나타내고 있다.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는 환형 고무 탄성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매개로 하여 실린더부(115)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전술한 것을 비롯한 진공 청소기의 조작을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지 컵(50)은 메인 바디 케이스(30)의 컵 배치부(35)에 놓여져 있다. 그러므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뚜껑 부재(40)를 폐쇄한 후에는, 흡수 통로 부재(25)의 먼지 흡입 호스(2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뚜껑 부재(40)의 연결 포트(43)에 연결되어 있다. 먼지 흡입 호스(21)는 연장 파이프(23)를 매개로 하여 흡인 포트 부재(24)에 이미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 조작부(22A)의 조작 스위치(22B)를 조작하여 모터 송풍기(33)를 구동한다. 따라서,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와 연통하고 있는 먼지 컵(50)의 부압 공간(56)은 부압 상태로 전환된다. 이 부압은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직선 공기 경로(62a) 및 개구부(64)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공기 구멍(52)과, 뚜껑 부재(40)의 연결 포트(43)와, 먼지 흡입 호스(21)와, 연장 파이프(23)와, 그리고 흡인 포트 부재(24)에 연속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평면 상에서 청소되는 먼지는 공기와 함께 흡인 포트 부재(24)로부터 흡입된다.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흡입 통로 부재(25)를 통해 통과되고, 연결 포트(43)로 흡입된다. 연결 포트(43)로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먼지 컵(50)의 공기 구멍(52)을 통해 통과되고, 제1 먼지 분리부(61)의 직선 공기 경로(62a)로 흡입된다.
직선 공기 경로(62a)로 흡인된 공기 중 일부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개구부(64) 제1 필터(F2)를 통해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부압 공간(56)으로 흡입되고, 또한 필터(80)를 통해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로 흡입된다.
공기와 함께 청소기 메인 바디(20)의 전방/후방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직선 공기 경로(62a)로 흡입되는 먼지 중에, 소정의 질량보다 작은 질량을 가진 먼지는 관성에 의해 방향이 급격하게 전환되고, 개구부(64)를 통해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질량을 가진 먼지는 개구부(64)를 관통하는 공기로부터 분리되고, 직선 공기 경로(64a)에서 직진한다. 직선 공기 경로(62a)에서 직진하는 먼지는 안내부(63)의 공기 안내벽부(63B)와 충돌하고, 안내부(63)를 따라 제1 먼지 축적부(55)로 안내된다.
개구부(64)로부터 부압 공간(56)으로 외측으로 흡입되지 않는 공기는 질량을 갖는 먼지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안내판(63)을 관통하고, 제1 먼지 축적부(55)로 안내된다. 제1 먼지 축적부(55)로 안내된 공기는 안내판(55G)에 의해 제1 먼지 축적부(55)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하측 나선형 유동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먼지 축적부(55)로 안내된 먼지는 나선형 유동에 의해 제1 먼지 축적부(55)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압축되고 축적된다. 제1 먼지 축적부(55)에서 선회하는 공기는 제1 먼지 축적부(55)의 중간부에서 상승/역전되고, 천장벽(58)의 공기 구멍(59)을 관통하여, 부압 공간(56)으로 흡입된다.
한편,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공기 경로로 안내되는 가벼운 먼지는 작은 관성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 관성력으로 먼지가 직선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벼운 먼지는 직선 공기 경로(62a)에서 직선으로 유동하지 않고,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부압에 의해 개구부(64)의 필터(F2)를 관통하는 공기의 부압 공간(56)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가벼운 먼지는 필터(F2)의 내주면에 들러붙어 있게 된다.
들러붙어서 필터(F2)가 거의 막히면, 필터(F2)를 관통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 이 때, 부압 공간(56)의 부압은 그 감소량 만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천장벽의 공기 구멍(59)을 관통하여 제1 먼지 축적부(55)의 부압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직선 공기 경로(62a)에서 직진하는 공기 속도와 공기의 유량이 증가한다. 공기 경로(62a)에서 직진하는 공기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진하는 공기는 필터(F2)에 들러붙어 있는 먼지를 쉽게 벗겨낸다.
즉, 실린더형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직경은 상류측의 도입 포트(62A)로부터 하류측의 유도 포트(62B)를 향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 경로(62a)에서 직진하는 공기는 필터(F2)의 전체 표면과 균일하게 접하게 되고, 직선 공기 경로(62a)의 중간부 근처에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경로(62a)에서 직진하는 공기는 필터(F2)의 내측 흡입부에 들러붙어 있는 먼지를 쉽게 벗겨낸다.
필터(F2)가 이러한 방식으로 막히게 되면, 공기 경로(62a)에서 직진하는 공기의 유량은 증가하고, 모터 송풍기(33)에 의해 흡인된 공기의 유량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필터(F2)의 막힘과 관계없이, 소정의 흡입력으로 먼지를 일정하게 흡입할 수 있다.
필터(F2)로부터 벗겨진 먼지는 큰 질량을 가진 먼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안내부(63)를 통해 제1 먼지 축적부(55)로 안내되고,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법에 의해 분리되며, 먼지 축적부(55)에 축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먼지 분리부(61)에서는, 거친 먼지와 같이 큰 질량을 갖는 먼지를 직진하게 하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이 분리 기능을 직진 유동 관성 분리 기능으로 부르기로 한다. 이러한 분리 기능에서는, 먼지 함유 공기가 회전하고, 나선형 유동의 진행방향이 역전되며, 먼지가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법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바람 손실이 적다.
공기 구멍(52)과, 직선 공기 경로(62a)와,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 개구부(51)의 상부와, 모터 송풍기(33)의 흡입 포트(33A)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된다. 그러므로, 필터(F2)와 부압 공간(56)을 통해 공기 경로(62a)로부터 모터 송풍기(33)로 흡입된 공기는 도 3의 화살표 Q로 나타낸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유동하고, 유동은 대체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 손실이 감소하고, 모터 송풍기(33)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실린더형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와 뚜껑 부재(40)의 연결 포트(43)는 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의 공기 구멍(52)으로 안내된 먼지 함유 공기의 도입 방향과 공기 경로 형성 부재(62)의 연장 방향은 직선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바람 손실은 감소할 수 있다.
부압 공간(56)에서의 공기는 필터(80)를 관통하고, 모터 송풍기(33)로 흡인된다. 따라서, 필터(Fa, F2)를 관통하는 미세한 먼지는 필터(80)의 필터 요소(82)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화된 공기는 모터 송풍기(33)로 흡입된다.
제1 먼지 분리부(61)는 필터(8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거친 먼지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먼지 분리부(61)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제1 먼지 분리부(61)에 의해 제거되는 큰 먼지는 필터(80)에 들러붙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80)는 초기 단계에 현저하게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필터(80)는 부압 공간(56)을 비롯한 제1 먼지 분리부(61)와 먼지 축적부(55)의 정렬 방향으로 연장하고, 부압 공간(56)과 먼지 축적부(55)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제1 먼지 분리부(61)와 모터 송풍기(3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필터(80)는 제1 먼지 분리부(61)의 투영 영역 뿐 아니라 먼지 축적부(55)의 투영 영역에도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필터(80)는 먼지 축적부(55)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크게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케이스 부재(53)와 청소기 메인 바디(20)는 대형화 되지 않는다.
제2 먼지 분리부를 형성하는 필터(80)는 대형인 필터 요소(82) 전체로 먼지를 필터링한다. 따라서, 필터(80)의 바람 손실은 감소될 수 있고, 난류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 요소(82)가 막히고 바람 손실이 과도하게 커지는 시점이 지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필터 요소(82)의 세정 및 세척, 새로운 필터(80)로의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 간격 즉, 필터의 연속적인 사용가능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80)에 의해 바람 손실이 감소하는 경우, 먼지 함유 공기를 청소기 메인 바디(20)의 연결 포트(43)로 흡입하는 힘은 쉽게 저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먼지 분리부(61)의 분리 공기 경로(62a)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량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먼지 분리부(61)의 분리 기능이 초기 단계에서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초기 단계에서 청소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필터(80)는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필터 요소(82)의 상부(한 쪽 단부)에 접해있는 메인 유동(Q)의 일부가 필터 요소(82)의 경사를 따라 필터 요소(82)의 하부를 향해 안내된다.
필터 요소(82)는 주름형이고, 필터 요소의 주름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필터 요소(82)의 다수의 표면홈(82a)은 필터 요소(82)의 하부 영역에도 공기를 쉽게 유포하기 위한 안내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유동(Q)을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전체 필터 요소(82) 전체가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80)는 주름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세워서 사용되는 필터(80)는 주로 상류측 표면에 의해 먼지를 유인한다. 상류측 표면에 들러붙은 대부분의 먼지는 모터 송풍기(33)의 작동이 중단되지 않아도 그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떨어지게 된다.
표면 처리층(82C)은 상류측의 필터 요소(82)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 처리층(82C)에 의해 필터 요소(82)의 표면에 들러붙은 먼지를 쉽게 벗겨내고, 이 먼지가 필터 재료의 표면에 감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측의 필터 요소(82)의 표면의 먼지는, 먼지가 필터 요소(82)의 필터 재료 표면에 직접 들러붙는 경우와 비교할 때 쉽게 떨어진다.
떨어진 먼지는 필터 프레임(81) 하측 프레임부(81a)의 컷아웃부(84b)를 관통한다. 이 먼지는 필터 요소(82)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부(85)를 미끄러져 나간다. 따라서, 필터(80)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하측 프레임부(81a)를 통해 아래쪽으로 방출되고, 제2 먼지 축적부(72)에 축적된다.
필터 요소(82)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필터 프레임(81)의 하측 프레임부(81a)는 필터 요소(82)로부터 먼지가 떨어지는 것을 중단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먼지가 표면홈(82b)에서 위쪽으로 성장하고, 필터 요소(82)의 하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80)의 연속 사용가능 기간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요소(82)의 표면홈(82b)의 하부에 먼지가 축적되어 경화될 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필터 요소(82)를 세척 및 세정하는 경우, 세정에 필요한 노동력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요소(82)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필터 프레임(81)의 하측 프레임부(81a)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떨어지는 먼지는 제2 먼지 축적부(72)로 아래쪽으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요소(82)의 상부가 막히게 되는 경우, 실질적인 필터 부분은 필터 요소(82)의 하부에서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도, 필터(80)의 연속 사용가능 기간은 연장될 수 있다.
필터 요소(82)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요소 지지부(84)는 아래로부터 하측 프레임부(81a)의 경사부(85)로 덮혀 있다. 그러므로, 유지 보수와 같은 필터(80)의 처리에 있어서, 경사부(85)는 필터 요소(82)의 하단부가 소정의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요소 지지부(84)에 필터 요소의 소정의 접합을 유지하는 데에 신뢰성이 높다.
먼지 컵(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형 제2 먼지 축적부(72)는 바닥판(5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는 제2 먼지 축적부(72)를 통해 유동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먼지 축적부(72)는 도 3의 화살표 Q로 도시되어 있는 메인 유동으로부터 벗어나서, 메인 유동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멀리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갭(G)은 필터 요소(82)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먼지의 통로로 가능할 정도록 좁고, 갭(G)에서 난류가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제2 먼지 축적부(72)의 상단 개구부는 일부를 제외하고 필터 프레임(81)의 하측 프레임부(81a)로 덮혀 있다.
따라서, 모터 송풍기(33)가 재가동될 때마다, 메인 유동(Q)에 의해 부압 공간에서 발생되는 난류는 제2 먼지 축적부(72)로 쉽게 확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 먼지 축적부(72)에 축적된 미세한 먼지가 솟아 올라, 이 먼지가 다시 필터 요소(82)의 표면에 들러붙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필터 요소(82)는 초기 단계에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먼지가 다시 들러붙는 것이 방지되면, 필터 요소(82)의 공기 경로 저항이 초기 단계에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모터 송풍기(33)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 함유 공기를 연결 포트(43)로 실질적으로 유인하는 능력은 쉽게 저하되지 않고, 청소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공기는 제1 먼지 분리부(61)의 전술한 직선 유동 관성 분리 기능에 의해 먼지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메인 유동(Q)의 에너지는 증대되고, 유동 경로는 정화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부압 공간(56)을 매개로 하여 개구부(64)로부터 필터 요소(80)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동 위치는 대략 결정된다. 따라서, 부압 공간(56)에서의 난류의 발생은 감소될 수 있고, 제2 먼지 축적부(72)에서의 난류의 영향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에 있어서, 전력 코드(KD)가 코드 릴(125)에 대해 추출/삽입될 때마다, 이와 관련하여, 진동 인가 장치(149)는 필터 요소(82)를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필터 요소(82)에 들러붙어 있는 미세한 먼지는 강제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청소기 메인 바디(20)로부터 인출한 전력 코드를 권취하기 위해, 손잡이(133)의 제1 손잡이부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눌러내린다.
핸들(133)을 눌러 내리면, 코드 릴(125) 브레이크 장치(131)의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코드 릴(125)의 권취 드럼(126)은 전력 코드(KD)를 권취하는 파워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된다.
권취 드럼(126)의 회전과 관련하여, 기어(150)는 회전력 전달 기구(168)를 매개로 하여 회전한다. 기어(150)의 회전에 의해, 기어(150)의 돌출부(157)는 주름형 필터 요소(82)의 주름부 위를 타고 넘어, 이동한다.
돌출부는 필터 요소(82)의 주름부 위를 타고 넘는 경우, 다음 주름부와 충돌하고, 필터 요소(82)를 진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진동이 가해지면, 미세한 먼지는 필터 요소(82)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먼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먼지 축적부(72)에 축적된다.
전력 코드(KD)를 코드 릴(125)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권취 드럼(126)이 회전한다. 따라서, 진동 인가 장치(149)는 필터 요소를 진동시켜 전력 코드(KD)가 감기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먼지가 떨어지게 된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 부분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어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제2 먼지 축적부(72)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기 때문에, 이하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제2 먼지 축적부(72)는 필터(80) 아래 우측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 예를 들어, 제2 먼지 축적부(72)가 제1 먼지 축적부(55)로 더 많이 삽입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제2 먼지 축적부(72)는 부압 공간(56)을 매개로 하여 제1 먼지 분리부(61)로부터 필터(80)를 관통하고 모터 송풍기(33)로 흡인된 공기 유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먼지 축적부(72)의 내부는 입구에 비해 확장되어 있다. 제2 먼지 축적부(72)는 부압 공간(56)의 난류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전술한 것을 제외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비롯하여 도 20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21 및 도 22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대응하는 구성의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는 필터(80)의 먼지 방출 수단(83)과 하측 프레임부(81a)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폐쇄부(84a)와 컷아웃부(84b; 먼지 관통부)는 하측 프레임부(81a)에 교대로 정렬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부(81a)는 제1 실시예에서 채택한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하측 프레임부(81a)는 필터(80)가 개구부(51)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상태로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먼지 축적부(72)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폐쇄부(84a)와 컷아웃부(84b)는 제2 먼지 축적부(72)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관점을 제외하고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성을 비롯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청소할 표면을 세정하기 위해 공기와 함께 청소할 표면의 먼지를 흡인하는 데에 유용한 진공 청소기 분야에서 효과적이다.

Claims (19)

  1. 흡입 포트를 포함하는 모터 송풍기가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메인 바디에 내장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로서,
    연결 포트와 흡입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연결 포트를 통해 흡입 포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먼지 분리부와,
    상기 제1 먼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제1 먼지 축적부와,
    매트형 필터 요소를 포함하고, 제1 먼지 분리부와 모터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먼지 분리부
    를 포함하고, 공기 경로 형성 부재의 축선은 직선이며, 공기 경로 형성 부재는 연결 포트를 관통한 먼지 함유 공기가 안내되는 도입 포트와, 분리된 먼지가 유도되는 유도 포트와, 상기 도입 포트와 유도 포트 사이에 배치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이 개구부를 매개로 하여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흡입 포트로 흡입되어 관성에 의해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직진하는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필터로 덮혀 있는 것인 진공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먼지 축적부와는 별개로 필터 요소로부터 떨어지는 먼지를 축적하고, 제2 먼지 분리부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먼지 축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먼지 축적부는 제1 먼지 분리부로부터 흡입 포트로 안내되는 공기의 유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진공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먼지 분리부와 제1 먼지 축적부는 나란히 배치되고, 제1 먼지 분리부와 모터 송풍기 사이에 배치된 제2 먼지 분리부는 제1 먼지 분리부 투영 영역과 제1 먼지 축적부 투영 영역 중 일부분 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진공 청소기.
  6. 흡입 포트를 포함하는 모터 송풍기가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메인 바디에 내장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로서,
    연결 포트와 흡입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연결 포트를 통해 흡입 포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공기 경로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먼지 분리부와,
    상기 제1 먼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제1 먼지 축적부와,
    매트형 필터 요소를 포함하고, 제1 먼지 분리부와 모터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공기 분리부로부터 흡입 포트로 도달하는 공기가 필터 요소의 상부를 통해 주로 통과하는 제2 먼지 분리부와,
    제1 먼지 분리부가 내장되어 있는 부압 공간을 제1 먼지 축적부로부터 분할하고, 부압 공간과 연통하도록 필터 요소의 하면과 부압 공간 사이에 부압 공간보다 작은 갭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갭의 하단부와 연통하고, 제2 먼지 분리부 아래에 배치되며, 제1 먼지 축적부와는 별개로 필터 요소로부터 떨어지는 먼지를 축적하는 제2 먼지 축적부
    를 포함하고, 공기 경로 형성 부재의 축선은 직선이며, 공기 경로 형성 부재는 연결 포트를 관통한 먼지 함유 공기가 안내되는 도입 포트와, 분리된 먼지가 유도되는 유도 포트와, 상기 도입 포트와 유도 포트 사이에 배치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이 개구부를 매개로 하여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흡입 포트로 흡입되어 관성에 의해 도입 포트로부터 유도 포트를 향해 직진하는 먼지로부터 공기를 분리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이 안내부를 통해 공기 경로 형성 부재의 유도 포트는 제1 먼지 축적부와 연통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8.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에 들러붙는 먼지를 떨어뜨리는 먼지 낙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9. 흡입 포트를 포함하는 모터 송풍기가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메인 바디에 내장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로서,
    연결 포트와 흡입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먼지의 관성력을 이용하여 이 연결 포트를 통해 흡입 포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1 먼지 분리부와,
    상기 제1 먼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제1 먼지 축적부와,
    매트형 필터 요소를 포함하고, 제1 먼지 분리부와 모터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공기 분리부로부터 흡입 포트로 도달하는 공기가 필터 요소의 상부를 통해 주로 통과하는 제2 먼지 분리부와,
    필터 요소에 들러붙어 있는 먼지를 떨어뜨리는 먼지 낙하 장치
    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먼지 축적부와는 별개로 필터 요소로부터 떨어지는 먼지를 축적하고, 제2 먼지 분리부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먼지 축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먼지 축적부는 제1 먼지 분리부와 모터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진공 청소기.
  12. 제1항,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는 필터 요소의 상단부가 하단부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인 진공 청소기.
  13. 제3항, 제6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먼지 축적부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나란히 배치되며, 이 하단 개구부를 개방/폐쇄하는 하나의 바닥판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14. 제1항,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기 메인 바디에 부착/분리 가능하고, 제1 및 제2 먼지 분리부와 제1 먼지 축적부를 포함하는 먼지 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15. 제3항, 제6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먼지 축적부는 제2 먼지 축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진공 청소기.
  16. 제1항,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먼지 분리부는 필터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를 폐쇄하는 필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필터 요소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먼지를 아래쪽으로 방출하는 먼지 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는 그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필터 요소의 가스 투과성을 유지시키는 표면 처리층을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표면홈과 후방 표면홈을 포함하는 주름형 필터이고, 먼지 방출부는 요소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 요소 지지부는 전방 표면홈의 하단부와 연통하는 먼지 관통부와 후방 표면홈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며, 먼지 관통부와 폐쇄부는 교대로 정렬되어 있는 것인 진공 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방출부는 요소 지지부 아래에 배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이 경사부는 먼지 관통부와 대향하게 전방/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인 진공 청소기.
KR1020057005644A 2002-10-31 2003-03-19 진공 청소기 KR100633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7919A JP3488877B1 (ja) 2002-10-31 2002-10-31 電気掃除機
JPJP-P-2002-00317919 2002-10-31
JP2002348564A JP3488878B1 (ja) 2002-11-29 2002-11-29 電気掃除機
JPJP-P-2002-00348564 2002-11-29
JPJP-P-2003-00009103 2003-01-17
JP2003009103A JP3490081B1 (ja) 2003-01-17 2003-01-17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511A true KR20050049511A (ko) 2005-05-25
KR100633355B1 KR100633355B1 (ko) 2006-10-16

Family

ID=3223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644A KR100633355B1 (ko) 2002-10-31 2003-03-19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98656B2 (ko)
EP (1) EP1554965B1 (ko)
KR (1) KR100633355B1 (ko)
CN (1) CN100525694C (ko)
CA (1) CA2500156C (ko)
WO (1) WO20040392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87B1 (ko) * 2005-07-21 2007-10-09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890851B1 (ko) * 2007-01-12 2009-03-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77266A1 (en) 2002-09-25 2004-04-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EP1743562B1 (en) * 2005-07-13 2011-09-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730944B1 (ko) * 2005-08-18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JP4271204B2 (ja) * 2006-05-26 2009-06-03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US20070289444A1 (en) * 2006-06-14 2007-12-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 capable of collecting dust
KR100778121B1 (ko) * 2006-06-16 2007-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JP4157140B2 (ja) * 2006-09-08 2008-09-24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CA2599303A1 (en)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92269B2 (en) 2006-12-15 2015-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10401246A1 (en) 2016-04-11 2021-12-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65912B2 (en) 2006-12-15 2019-01-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857142B2 (en) 2006-12-15 2024-01-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an energy storage member and a charger for an energy storage member
US9888817B2 (en) 2014-12-17 2018-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090077764A1 (en) * 2007-09-20 2009-03-26 David Charles Hazen Maneuverable Domestic Cleaning Appliance
JP4612668B2 (ja) 2007-11-28 2011-01-12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US8327487B2 (en) 2008-01-31 2012-12-11 Black & Decker Inc. Vacuum filter cleaning device
US10722086B2 (en) 2017-07-06 2020-07-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65395B2 (en) 2010-03-12 2016-02-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33332B2 (en) 2013-02-27 2016-09-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39359B2 (en) 2011-03-03 2014-06-03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484799B2 (en) * 2011-03-03 2013-07-16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3214B2 (en) 2011-03-03 2015-03-10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39357B2 (en) 2011-03-03 2014-06-03 G.B.D. Corp Filter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01252B2 (en) 2011-03-03 2015-08-11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869345B2 (en) 2011-03-03 2014-10-28 G.B.D. Corp. Canister vacuum cleaner
US8769767B2 (en) 2011-03-03 2014-07-08 G.B.D. Corp. Removable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63202B2 (en) 2011-03-03 2014-07-01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813306B2 (en) 2011-03-03 2014-08-26 G.B.D. Corp. Openable side compartment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8198B2 (en) 2011-03-03 2015-03-17 G.B.D. Corp. Filter housing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3212B2 (en) 2011-03-03 2015-03-10 G.B.D. Corp. Filter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489266B8 (en) 2011-03-23 2015-04-15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Suction cleaner
DE102012105105A1 (de) * 2012-06-13 2013-12-19 Miele & Cie. Kg Feinstaubsammelorgan für einen Staubsauger und Staubsauger mit einem solchen Feinstaubsammelorgan
DE102012107510A1 (de) * 2012-08-16 2014-02-20 Miele & Cie. Kg Feinstaubsammelorgan für einen Staubsauger sowie Staubsauger mit einem solchen Feinstaubsammelorga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Staubsaugers
US9591958B2 (en) 2013-02-27 2017-03-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027198B2 (en) 2013-02-27 2015-05-12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20401B2 (en) 2013-02-27 2016-04-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61669B2 (en) 2013-03-01 2015-10-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27126B2 (en) 2013-03-01 2016-08-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04773B2 (en) 2013-03-01 2015-12-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203341657U (zh) * 2013-04-11 2013-12-18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及其集尘装置
GB2522660B (en) 2014-01-31 2016-04-06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in a vacuum cleaner
GB2522658B (en) * 2014-01-31 2016-04-06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in a vacuum cleaner
GB2522659B (en) 2014-01-31 2016-04-06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in a vacuum cleaner
WO2015153943A1 (en) 2014-04-04 2015-10-08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Vaccum cleaner
CA2928297C (en) * 2014-04-14 2017-11-28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yclone separator
CA2928957A1 (en) 2014-04-14 2015-10-22 Midea Group Co., Ltd. Dust collector for cleaner
US9420925B2 (en) 2014-07-18 2016-08-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1853B2 (en) 2014-07-1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14139B2 (en) 2014-07-18 2016-04-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585530B2 (en) 2014-07-18 2017-03-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45701B2 (en) 2014-08-13 2016-09-20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leaner and vertical cleaner
US10136778B2 (en) 2014-12-17 2018-11-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51519B2 (en) 2014-12-17 2019-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DE202017002619U1 (de) * 2016-05-20 2017-08-04 Lg Electronics Inc. Staubsauger
EP3257566B1 (en) 2016-06-15 2020-11-18 LG Electronics Inc. -1- Air cleaner
JP2019005150A (ja) * 2017-06-23 2019-01-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0631693B2 (en) 2017-07-06 2020-04-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66156B2 (en) 2020-03-18 2023-09-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US10702113B2 (en) 2017-07-06 2020-07-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30327B2 (en) 2020-03-18 2023-08-2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assembly
US10842330B2 (en) 2017-07-06 2020-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37216B2 (en) 2017-07-06 2020-0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06904B2 (en) 2017-07-06 2019-12-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666193B2 (en) 2020-03-18 2023-06-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US10750913B2 (en) 2017-07-06 2020-08-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8B2 (en) 2020-03-18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684226B2 (en) 2018-04-30 2023-06-27 Emerson Electric Co. Motor cover for wet/dry vacuum cleaner with vent openings
US11191403B2 (en) 2018-07-20 2021-12-07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013384B2 (en) 2018-08-13 2021-05-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06799B2 (en) 2018-08-13 2021-05-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92122B2 (en) 2018-08-13 2021-12-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9482014B (zh) * 2019-01-07 2024-01-09 江苏鱼跃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过滤器装置及使用其的氮氧分离装置
CN109620055B (zh) * 2019-01-22 2021-02-02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
CN112205916A (zh) * 2019-07-12 2021-01-1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集尘装置及具有其的吸尘系统
CN117244338B (zh) * 2023-11-17 2024-01-30 陕西中欣福源医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制氧机的前置气体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0789Y1 (ko) 1965-05-21 1968-05-10
JPS4322627Y1 (ko) 1965-06-16 1968-09-24
US3426510A (en) * 1965-09-13 1969-02-11 Mil An Mfg Corp Vacuum cleaner filter bag
JPS479805U (ko) 1971-03-08 1972-10-05
GB1386055A (en) * 1972-09-22 1975-03-05 Electrolux Ab Floor-treating apparatus
CH1283674A4 (ko) 1974-09-23 1977-02-28
JPS5154465U (ko) * 1974-10-12 1976-04-26
JPS588213Y2 (ja) * 1975-05-20 1983-02-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S51146858A (en) 1975-06-11 1976-12-16 Honshu Paper Co Ltd Avurage volvme controlling system in paper loosening process
JPS5299651A (en) * 1976-02-17 1977-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S5412152A (en) 1977-06-30 1979-01-29 Toshihisa Suga Electric cleaner
JPS5471864A (en) 1977-11-17 1979-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cleaner
JPS54161751A (en) 1978-06-09 1979-12-21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vacuum cleaner
JPS5538132A (en) 1978-09-11 1980-03-17 Hitachi Ltd Dust collector of electric cleaner
JPS55155623A (en) 1979-05-21 1980-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S6122563A (ja) 1984-07-11 1986-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電池
JPS6266755A (ja) 1985-09-18 1987-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JPS6476817A (en) 1987-07-04 1989-03-22 Asao Tsuge Vacuum cleaner filter which can keep good permiability
NL9002668A (nl) * 1990-12-05 1992-07-01 Philips Nv Stofzuiger.
JP3073083B2 (ja) 1992-01-23 2000-08-0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複合材料補強用繊維状ポリイミド樹脂成形体
JPH07121253B2 (ja) 1993-01-13 1995-12-25 コトブキ通商株式会社 回収装置
US6334234B1 (en) * 1999-01-08 2002-01-01 Fantom Technologies Inc.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JP3298573B2 (ja) 1999-08-02 2002-07-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遠心力集塵器並びに電気掃除機
US6484350B2 (en) * 1999-12-08 2002-11-26 Shell Electric Mfg. (Holdings) Co. Ltd. Bagless canister vacuum cleaner
US6840972B1 (en) * 2000-02-19 2005-01-11 Lg Electronics Inc. Multi cyclone vacuum cleaner
KR100377015B1 (ko) * 2000-08-07 2003-03-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6428589B1 (en) * 2000-09-29 2002-08-06 Royal Appliance Mfg. Co. Two-stage particle separator for vacuum cleaners
JP3667226B2 (ja) * 2000-11-13 200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635657B2 (ja) * 2001-01-22 2005-04-06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掃除機
JP3528809B2 (ja) 2001-04-16 2004-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A2477266A1 (en) 2002-09-25 2004-04-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US6896719B2 (en) * 2002-09-26 2005-05-24 The Hoover Company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KR100456167B1 (ko) * 2002-11-22 2004-11-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474078B1 (ko) * 2003-06-02 2005-03-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49988B1 (ko) * 2004-07-01 2006-02-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87B1 (ko) * 2005-07-21 2007-10-09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890851B1 (ko) * 2007-01-12 2009-03-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98656B2 (en) 2007-04-03
US20050166560A1 (en) 2005-08-04
EP1554965B1 (en) 2011-08-31
CN1684621A (zh) 2005-10-19
CA2500156A1 (en) 2004-05-13
CN100525694C (zh) 2009-08-12
WO2004039232A1 (ja) 2004-05-13
KR100633355B1 (ko) 2006-10-16
EP1554965A1 (en) 2005-07-20
CA2500156C (en) 2009-12-29
EP1554965A4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355B1 (ko) 진공 청소기
US6146434A (en) Cyclonic dirt cup assembly
JP3626413B2 (ja) 集塵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真空掃除機
KR100764587B1 (ko)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09061310A (ja) 電気掃除機
JP2006110320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JP4262731B2 (ja) 電気掃除機
JP3949615B2 (ja) 電気掃除機
JP4011079B2 (ja) 電気掃除機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JP3762363B2 (ja) 電気掃除機
JP3488877B1 (ja) 電気掃除機
JP5439292B2 (ja) 電気掃除機
JP2009233054A (ja) 電気掃除機
JP3990419B2 (ja) 電気掃除機
JP3762359B2 (ja) 電気掃除機
JP3488878B1 (ja) 電気掃除機
JP3857974B2 (ja) 電気掃除機
JP3762360B2 (ja) 電気掃除機
JP3461824B1 (ja) 電気掃除機
JP2004194977A (ja) 電気掃除機
JP2004135994A (ja) 電気掃除機
JP2007054454A (ja) 集塵容器及び電気掃除機
KR20060022955A (ko) 진공청소기
JP4769049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