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856A -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8856A KR20050048856A KR1020030082594A KR20030082594A KR20050048856A KR 20050048856 A KR20050048856 A KR 20050048856A KR 1020030082594 A KR1020030082594 A KR 1020030082594A KR 20030082594 A KR20030082594 A KR 20030082594A KR 20050048856 A KR20050048856 A KR 200500488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end side
- main body
- rotation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31B50/624—Applying glue on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having all side walls attached to the bottom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는 원지를 적층시켜 공급하면 자동으로 포장박스가 제조되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하나의 제조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주얼 포장박스(Visual Packing Box)란, 박스의 외부에서 내부를 볼수 있도록 박스의 일측을 개방한 것을 말한다. 박스의 개방된 면은 비닐재의 랩으로 덮여 감싸이는데, 이로인해 박스의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박스에 보관된 물품을 박스의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작하는 종래의 제조장치는 전개된 원지(原紙)의 공급에서부터 완성된 포장박스의 제조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지 못하므로 제조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제조장치로 한 종류의 비주얼 포장박스밖에 제조할 수 없으므로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개된 원지(原紙)를 적층하여 공급하면 자동으로 포장박스를 제조하여 다음공정으로 이송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제조장치로 다양의 크기의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는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벤딩선이 표시된 전개된 원지(原紙)를 받쳐서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의 후단부측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의 후단부측을 흡착하여 상측으로 소정 높이 들어올린 후 상기 제 1 이송부의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킨 다음 낙하시키는 제 2 이송부; 상기 제 2 이송부 사이의 상기 본체의 부위에 설치되며 제 2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를 상기 본체의 내부 중앙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3 이송부; 상기 제 3 이송부의 후단부측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의 전단면측을 밀어서 상기 원지를 상기 본체의 후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4 이송부; 상기 제 4 이송부의 후단부측 상기 본체의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 4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원지의 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 및 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제 4 이송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원지를 상기 본체의 후면측 설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부; 상기 본체의 후면측 상기 설정 위치 상측에 설치되고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5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는 누름부;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누름부의 하측에 설치되되, 길이 및 폭 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에 눌려서 상기 원지가 하강되면 상기 원지가 상기 벤딩선을 따라 벤딩되게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원지의 벤딩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원지의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원지의 부위가 상호 접착되게 하여 상기 원지가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포장박스로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포장박스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포장박스형성부; 그리고, 상기 포장박스형성부의 하측으로 낙하된 상기 포장박스를 사용처로 이송하는 제 6 이송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는 본체(100), 본체(100)에 설치된 제어부(150), 제 1, 2, 3, 4, 5 및 6 이송부(200,300,400,500,600,690), 도포부(700), 누름부(800) 및 포장박스형성부(900)를 가진다. 본체(100)는 양측판과 양측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판(110)(도 10 참조)을 가지면서 테이블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 1 이송부(200)는 본체(100)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벤딩선(21)이 표시된 전개된 원지(原紙)(20)를 받쳐서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제 2 이송부(300)는 제 1 이송부(200)의 후단부측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 1 이송부(200)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송된 원지(20)의 후단부측을 흡착하여 상측으로 소정 높이 들어올린 후,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킨 다음 낙하시킨다. 제 3 이송부(400)는 제 2 이송부(300) 사이의 본체(100)의 부위에 설치되며 제 2 이송부(300)에 의하여 이송된 원지(20)를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측으로 이송시킨다. 제 4 이송부(500)는 제 3 이송부(400) 후단부측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 3 이송부(400)에 의하여 이송된 원지(20)의 전단면측을 후방측으로 밀어서 원지(20)를 본체(100)의 후면측으로 이송한다. 도포부(700)는 제 4 이송부(500)의 후단부측 본체(100)의 부위에 설치되며 제 4 이송부(5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지(20)의 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 및 원지(20)의 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도포한다. 제 5 이송부(600)는 제 4 이송부(500) 상측에 설치되며 접착제가 도포된 원지(20)(도 13d 참조)를 본체(100)의 후면측 설정 위치로 이송시킨다. 누름부(800)는 도포부(700)의 후단부측인 본체(100)의 후면측, 즉 상기 설정 위치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 5 이송부(600)에 의하여 이송된 원지(2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른다. 포장박스형성부(900)는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누름부(800)의 하측에 설치되되, 길이 및 폭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누름부(800)에 의하여 눌린 원지(20)가 하강되면 원지(20)가 벤딩선(21)을 따라 벤딩되게 안내함과 동시에 원지(20)의 벤딩에 의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원지(20)의 부위가 이에 대응하는 원지(20)의 부위에 접착되게 하여, 원지(20)가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포장박스(10)로 형성되게 안내한다. 그리고, 포장박스형성부(900)는 포장박스(10)를 본체(100)의 하측으로 이송시킨다. 제 6 이송부(690)는 누름부(800)에 의하여 포장박스형성부(900)의 하측으로 낙하된 포장박스(10)를 사용처로 이송한다.
이하에서는 제 1, 2, 3, 4, 5 및 6 이송부(200,300,400,500,600,690), 도포부(700), 누름부(800) 및 포장박스형성부(9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이송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1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200)는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된 제 1 모터(210)를 가지고, 제 1 모터(210)의 회전축(211)에는 제 1 회전기어(215)가 결합된다. 본체(100)의 일측판 및 타측판에는 제 1 회전바(22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회전바(220)의 일단부측에는 제 2 회전기어(221)가 결합된다. 제 1 회전기어(215)와 제 2 회전기어(221)는 제 1 체인(225)으로 연결되는데, 이로인해 제 1 모터(210)에 의하여 제 1 회전바(220)가 회전된다. 제 1 회전바(220)와 교차하는 형태로 제 2 회전바(230)가 제 1 회전바(22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는데, 제 2 회전바(230)는 제 1 회전바(220)에 의하여 회전한다. 제 1 회전바(220)의 회전력을 제 2 회전바(230)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 1 회전바(22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는 웜(Worm)(241)이 각각 설치되고 제 2 회전바(230)의 일단부에는 웜(241)이 맞물리는 웜기어(245)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 1 회전바(220)와 제 2 회전바(230)는 90°로 교차되어 회전되는 것이다.
제 2 회전바(23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는 제 3 회전기어(233)가 각각 결합되어 대향하고, 제 3 회전기어(233)의 상측에는 제 1 지지판(235)이 설치되어 대향한다. 그리고, 제 2 회전바(230)의 양단부측에 결합 및 위치된 제 3 회전기어(233) 및 제 1 지지판(235)에는 제 2 체인(237)이 동시에 감기고, 제 2 회전바(23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설치된 제 2 체인(237)은 대향한다. 제 2 회전바(230)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각 회전바(230)의 양단부측에 제 2 체인(237)이 설치되므로, 제 2 체인(237)은 4개가 설치된다. 쌍을 이루는 제 2 회전바(23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바(230a)의 양단부에 위치된 제 2 체인(237)과 다른 하나의 회전바(230b)의 양단부에 위치된 제 2 체인(237)에는 다수의 받침레일(250)이 설치된다. 어느 하나의 회전바(230a) 및 다른 하나의 회전바(230b)에 설치된 받침레일(250) 중 대향하는 받침레일(250)은 동일 높이에 위치된다. 받침레일(250)은 제 2 체인(237)과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승강을 반복한다. 받침레일(250)에는 플레이트(255)가 지지되며, 플레이트(255)에는 원지(20)가 적층되어 탑재된다. 그리하여, 제 1 모터(210)의 회전에 의하여 제 2 체인(237)이 회전하면, 플레이트(255)에 탑재된 원지(20)가 본체(100)의 상측으로 이송된다.
본체(100)의 일측에는 플레이트(255)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260)가 마련된다. 플레이트(255)의 높이를 감지하는 이유는, 상승한 받침레일(250)에 지지된 어느 플레이트(255)를 빼내고 하측에 위치된 받침레일(250)에 지지된 플레이트(255)에 원지(20)를 탑재시켜 적층하는 시기를 알기 위함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플레이트(255)에 탑재되어 적층된 원지(20)는 플레이트(255)의 상승에 의하여 본체(100)의 상측으로 이송된다. 본체(100)의 상측으로 이송된 원지(20)는 제 2 이송부(300)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공급되는데, 이로인해 플레이트(255)에 탑재되어 적층된 원지(20)는 점점 줄어든다. 그러므로, 상승한 플레이트(255)의 높이를 센서(260)에서 감지하면, 하측에 위치한 플레이트(255)에 원지(20)를 탑재ㆍ적층하고 상측의 플레이트를 빼내면 된다(도 3b 및 도 4b 참조).
플레이트(255)에 탑재된 원지(20)의 후면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연결판(미도시)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양측면 및 전면은 본체(100)의 전면측 상측에 위치된 연결판(110)에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바(271,275)에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제 1 유동방지바(271)는 안내로(272a)가 형성되어 고정된 고정판(272)과 고정판(272)의 안내로(272a)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접촉바(273)를 가진다. 접촉바(273)의 하단부는 플레이트(255)의 상면과 접촉되어 플레이트(255)가 상승하면 동일하게 상승한다. 그리고, 플레이트(255)의 전면 외측으로 원지(20)의 전면이 돌출되도록 플레이트(255)의 크기를 구성하면, 제 2 유동방지바(275)는 승강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제 1 유동방지바(271)는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대향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유동방지바(275)의 상하 길이 및 제 2 유동방지바(275)가 본체(10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원지(20)의 크기와 대응하여 제 1 유동방지바(271) 사이의 거리 및 제 2 유동방지바(275)의 돌출거리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이송부(200)의 동작을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1 이송부의 동작을 보인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1 이송부의 동작을 보인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4a의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된 받침레일(250)에 플레이트(255)의 양측면을 얹고, 플레이트(255)에 원지(20)를 탑재하여 적층한 후, 원지(20)의 양측면 및 전면에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바(271,275)가 접촉되게 조절한다. 그후, 제어부(150)에 의하여 제 1 모터(210)를 구동하면, 제 1 모터(210)에 의하여 제 1 회전바(220)→제 2 회전바(230)→제 2 체인(237)이 회전한다. 그러면, 받침레일(250)이 본체(100)의 상측으로 상승하므로, 플레이트(255)에 탑재되어 적층된 원지(20)도 상승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측으로 이송된 원지는 전술한 제 2 이송부(300)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이송된다.
플레이트(255)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센서(260)가 플레이트(255)의 높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인(237)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받침레일(250)에 다른 플레이트(255)를 놓고 원지(20)를 탑재하여 적층한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55)를 빼낸다.
다음에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이송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 및 제 3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송부(300)는 제 2 모터(310), 제 3 및 제 4 회전바(321,325), 제 1 및 제 2 지지바(341,345) 및 흡착노즐(350)을 가진다.
제 2 모터(310)는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제 2 모터(310)의 회전축(미도시)에는 제 4 회전기어(331)가 결합된다. 제 3 및 제 4 회전바(321,325)는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3 회전바(321)에는 제 5 및 제 6 회전기어(333,334)가 결합되고, 제 4 회전바(325)에는 제 7 회전기어(336)가 결합된다. 제 4 회전기어(331)와 제 5 회전기어(333)는 제 3 체인(338)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 6 회전기어(334)와 제 7 회전기어(336)는 제 4 체인(339)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 2 모터(310)에 의하여 제 4 회전바(325)가 회전한다.
제 1 지지바(341)는 제 4 회전바(325) 바로 상측의 본체(100)의 부위에 설치되고, 제 2 지지바(345)는 제 1 지지바(341) 상측의 본체(100)에 설치된다. 제 1 지지바(341)와 제 2 지지바(345) 사이에는 제 1 이송부(200)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송되어 오는 원지(20)를 흡착하는 흡착노즐(350)이 마련된다. 흡착노즐(350)은 진공펌프(미도시)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 4 회전바(325), 제 1 지지바(341) 및 제 2 지지바(345)에는 흡착노즐(350)을 상측으로 상승시키는 제 1 수단과 상승된 흡착노즐(350)을 후방측으로 회동시키는 제 2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수단에 대하여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제 1 수단은 제 1 캠(361), 회동편(363), 제 1 롤러(365), 제 1 지지팔(367), 제 5 회전바(368) 및 승강바(369)를 가진다. 제 1 캠(361)은 제 4 회전바(325)의 일단부측에 결합되며 웅덩이 형상으로 패인 불균일면(361a)과 호형상의 균일면(361b)을 가진다. 회동편(363)은 V형상으로 마련되고 제 1 지지바(341)의 일단부측에 중앙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롤러(365)는 회동편(363)의 하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캠(361)의 외주면에 자신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그리하여, 제 1 캠(361)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롤러(365)가 승강하면, 회동편(363)은 제 4 회전바(325)에 지지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진자형태로 운동한다. 제 1 지지팔(367)은 한쌍으로 마련되고 제 2 지지바(345)에 후단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대향한다. 제 5 회전바(368)는 제 1 지지팔(367)의 전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흡착노즐(350)이 결합된다. 흡착노즐(350)은 제 5 회전바(368)와 동일하게 회전한다. 승강바(369)는 회동편(363)의 상단부측에 자신의 하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지지팔(367)의 측면 중앙부측에 자신의 상단부측이 결합되어, 진자운동하는 회동편(363)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제 1 지지팔(367)의 전단부측을 상승시킨다. 이로인해 흡착노즐(350)이 상승되는 것이다.
제 2 수단은 제 2 캠(371), 멈춤레버(373), 제 2 롤러(375), 회동레버(377), 스프링(379)을 가진다. 제 2 캠(371)은 제 4 회전바(325)의 타단부측에 결합되며 삿갓 형상의 불균일면(371a)과 호형상의 균일면(371b)을 가진다. 멈춤레버(373)는 V형상으로 마련되어 하단부측은 제 1 지지바(341)의 타단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측은 회동레버(377)와 접촉된다. 그리하여, 멈춤레버(373) 자신이 회동하는 때에는 제 5 회전바(368)가 회동되게 하고 자신이 정지한 때에는 제 5 회전바(368)가 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롤러(375)는 멈춤레버(373)의 하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2 캠(371)의 외주면에 자신의 외주면이 접촉한다. 그리하여, 제 2 캠(371)이 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면서 멈춤레버(373)를 회동 및 정지시킨다. 회동레버(377)는 제 5 회동바(368)의 일측에 상단부측이 결합되어 수직을 이루고, 하단부측에는 멈춤레버(373)의 상단부측에 걸리는 걸림돌기(377a)가 형성된다. 멈춤레버(373)는 걸림돌기(377a)와 접촉되어 회동레버(377)를 회동 및 회동되지 못하게 한다. 스프링(379)은 일측은 제 2 지지바(345)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동레버(377)에 지지되어 멈춤레버(373)의 회동시 회동레버(377)가 제 5 지지바(368)를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수단의 동작을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수단의 동작을 보인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회전바(325)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1 캠(361)의 불균일면(361a)의 중앙부에 제 1 롤러(365)가 접촉되고, 제 2 캠(371)의 균일면(371b)의 3/1 지점에 제 2 롤러(375)가 접촉되며, 흡착노즐(350)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는 흡착노즐(350)에 원지(20)가 흡착된다(도 10 참조).
이러한 최초의 상태에서, 제 4 회전바(3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롤러(365)는 제 1 캠(361)의 불균일면(361a)과 균일면(361b)의 경계면과 접촉되고, 제 2 롤러(375)는 제 2 캠(371)의 균일면(371b)의 2/3 지점과 접촉한다. 그러면, 제 1 캠(361)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롤러(365)가 상승하면서 회동편(363)을 진자형태로 운동시켜 상승시킨다. 그러면, 승강바(369)가 상승하면서 제 1 지지팔(368)의 전단부측을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즉, 제 1 지지팔(368)의 후단부측은 제 2 지지바(34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지지팔(368)의 전단부측은 후단부측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상승된다. 이때, 멈춤레버(373)의 위치 변화는 없다. 즉, 멈춤레버(373)의 상단부측에 걸림돌기(377a)가 걸려 있으므로 회동레버(377)는 회동되지 않는다.
그후, 제 4 회전바(325)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롤러(375)는 제 2 캠(371)의 불균일면(371a)의 중앙부에 접촉하고 제 1 롤러(365)는 제 1 캠(361)의 균일면(361b)과 접촉한다. 그러면, 제 2 캠(371)과 접촉된 제 2 롤러(375)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제 2 롤러(375) 및 멈춤레버(373)가 제 1 지지바(34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멈춤레버(373)의 상단부측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걸림돌기(377a)를 매체로 멈춤레버(373)와 접촉된 회동레버(377)도 스프링(379)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회동레버(377)에 의하여 제 5 회전바(368)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흡착노즐(350)을 후방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에는, 승강바(369)의 위치 변화는 없다.
그후, 제 4 회전바(325)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8d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롤러(375)는 제 2 캠(371)의 불균일면(371a)과 균일면(371b)의 경계면에 접촉하고 제 1 롤러(365)는 제 1 캠(361)의 불균일면(361a)과 균일면(361b)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그러면, 제 2 캠(371)과 접촉된 제 2 롤러(375)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제 2 롤러(375) 및 멈춤레버(373)가 제 1 지지바(34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멈춤레버(373)의 상단부측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돌기(377a)를 매체로 멈춤레버(373)와 접촉된 회동레버(37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 5 회동바(36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흡착노즐(350)을 전방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에도, 승강바(369)의 위치 변화는 없다.
그후, 제 4 회전바(325)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제 1 지지팔(367) 및 승강바(369)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도 8a의 상태가 된다.
다음에는,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3 이송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의 일부 및 제 3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이송부(400)는 제 2 회전바(325)와 흡착노즐(350) 사이에 설치된다. 제 3 이송부(400)는 본체(100)에 설치된 제 3 모터(410)와 제 3 모터(410)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호 수평을 이루는 제 6 및 제 7 회전바(421,425)를 가진다. 제 3 모터(410)의 회전축에는 제 7 회전기어(431)가 설치되고 제 6 회전바(421)에는 제 8 회전기어(435)가 설치된다. 제 7 회전기어(431)와 제 8 회전기어(435)는 제 5 체인(415)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 6 회전바(421)와 제 7 회전바(425)는 제 1 벨트(44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데, 이로인해 제 3 모터(410)가 회전하면 제 6 및 제 7 회전바(421)도 회전한다.
흡착노즐(350)에 흡착된 원지(20)는 회전하는 제 1 벨트(440)의 상면으로 이송되어 후방측으로 공급된다. 원지(20)가 제 1 벨트(440)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정확하게 공급되기 위해서는 원지(20)와 제 1 벨트(440) 사이에 적정한 마찰력이 작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벨트(440)의 상면측에는 원지(20)를 제 1 벨트(440)측으로 소정 힘으로 누르는 제 3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수단은 제 3 지지바(450), 제 2 지지팔(461), 제 3 롤러(465), 접촉바(470)로 마련된다. 제 3 지지바(450)는 제 6 회전바(421)의 상측 부위의 본체(100)에 설치된다. 제 2 지지팔(461)은 다수개 마련되어 제 3 지지바(450)에 후단부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3 롤러(465)는 제 2 지지팔(461)의 전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벨트(440)와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바(470)는 대략 ┗┛형상으로 마련되어 후단부측은 제 6 회전바(421)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측은 제 1 벨트(440)와 접촉하며 전단부측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벤딩된다. 그러면, 제 1 벨트(440)의 상면으로 이송된 원지(20)는 제 3 롤러(465)와 접촉바(470)의 자중에 의하여 눌리므로, 원지(20)와 제 1 벨트(440)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로인해, 제 1 벨트(440)의 상면에 탑재된 원지(20)는 제 1 벨트(440)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정확하게 이송되는 것이다. 접촉바(470)의 전단부측을 상측으로 경사지게 벤딩시킨 이유는, 접촉바(470)와 제 1 벨트(440) 사이로 원지(20)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제 2 및 제 3 이송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노즐(350)이 원지(20)의 전단부측을 흡착한 순간을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모터(310)가 계속하여 회전하면, 제 1 캠(361)과 제 1 롤러(365)(8b 참조)의 작용에 의하여 승강바(369)가 상승하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노즐(35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흡착노즐(350)에 의하여 원지(20)의 전단부측이 상승되므로, 원지(20)의 전단부측은 제 1 벨트(440)와 제 1 롤러(465) 사이 및 제 1 벨트(440)와 접촉바(470)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모터(310)가 계속하여 회전하면, 제 2 캠(371)과 제 2 롤러(375)의 작용에 의하여 멈춤레버(373)의 상단부측이 후방측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회동레버(377)가 스프링(379)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회동되면서 제 5 회전바(368)가 회동시키므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노즐(350)이 본체(350)의 후방측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흡착노즐(350)에 흡착된 원지(20)의 전단부측이 제 1 벨트(440)의 상면에 탑재된다.
제 1 벨트(440)의 상면에 탑재된 원지(20)는 제 1 롤러(465)와 접촉바(470)에 의하여 제 1 벨트(440)측으로 눌리므로, 제 1 벨트(440)와 원지(20) 사이에는 적정한 마찰력이 생긴다. 그러므로, 원지(20)는 제 1 벨트(440)의 회전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4 이송부 및 제 5 이송부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4 이송부 및 제 5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4 이송부, 제 5 이송부 및 도포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이송부(500)는 제 2 이송부(300)의 제 2 모터(310)(도 6 참조)에 의하여 작동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모터(310)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3 회전바(321)에는 제 9 회전기어(511)가 설치되고, 본체(100)의 연결판(110)에는 제 10 회전기어(513)가 설치된다. 제 9 회전기어(511)와 제 10 회전기어(513)는 제 6 체인(521)으로 연결된다. 제 10 회전기어(513)의 축상에는 제 11 회전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본체(100)의 연결판(110)에는 본체(10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 2 지지판(530)이 설치되는데, 제 2 지지판(530)의 상면에는 제 3 이송부(400)로부터 이송된 원지(20)(도 13a 참조)가 탑재된다. 제 2 지지판(530)의 전단부측에는 제 8 회전바(540)가 관통 설치되고, 제 2 지지판(53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 8 회전바(54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11 회전기어와 제 7 체인(525)을 매체로 연결된 제 12 회전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제 2 지지판(530)의 내측에 위치된 제 8 회전바(540)에는 제 13 회전기어(551)가 설치되고, 제 2 지지판(530)의 후단부측 내측에는 제 14 회전기어(553)가 설치되며, 제 13 회전기어(551)와 제 14 회전기어(553)는 제 8 체인(555)을 매체로 연결된다. 제 8 체인(555)에는 접촉돌기(560)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데, 접촉돌기(560)는 원지(20)의 전단면과 접촉되어 원지(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제 2 지지판(530)의 외측에는 원지(20)의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원지(20)가 정확하게 본체(100)의 후면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한쌍의 지지레일(580)이 대향되게 설치된다. 지지레일(580)은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직선왕복운동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판(110)에 설치된 제 4 모터(591)가 회전하면 제 9 회전바(593)가 제 9 체인(592)에 의하여 회전하고, 이로인해 제 10 체인(594)을 매체로 제 9 회전바(593)와 연결된 제 1 회전나사(595)가 회전한다. 그런데, 제 1 회전나사(595)는 지지레일(580)에 결합된 제 1 너트(585)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 1 회전나사(595)가 회전하면 제 1 너트(585) 및 지지레일(580)은 직선운동한다. 이로인해, 지지레일(580)의 폭이 조절되는 것이다.
제 5 이송부(600)는 제 2 지지판(530)의 후단부측 내부에 설치된 ┗┛형상의 케이스(610)를 가진다. 케이스(610)의 전면 외측에는 제 5 모터(620)가 설치되고, 제 5 모터(620)의 회전축(621)은 케이스(610)의 전면을 관통하여 후면에 지지된다. 제 5 모터(620)의 회전축(621)의 외면에는 치(齒)가 형성된다. 회전축(621)에는 회전축(621)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운동판(630)이 설치되고, 운동판(630)에는 피스톤(643)(도 13d 참조)이 내장된 실린더(640)가 설치된다. 실린더(640)는 압축기(미도시)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데, 이로인해 피스톤(643)이 직선왕복운동한다. 운동판(630)의 후단부측에는 제 1 지지브라켓(650)이 설치되고, 제 1 지지브라켓(650)에는 삼각형상의 걸림레버(6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레버(660)는 피스톤(640)의 단부에 연결되어 피스톤(640)이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정ㆍ역회전되면서 기립되었다 누웠다한다. 걸림레버(660)는 기립되어 제 4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원지(20)의 전단면을 후방측으로 밀어서 원지(20)를 본체(100)의 후면측 설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2를 참조하여 도포부(700)를 설명한다. 도포부(700)는 본체(10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레일(710)과 이동레일(710)에 설치된 분사노즐(720)을 가진다. 분사노즐(720)은 접착제가 저장된 접착제저장부(미도시)와 연통되어 접착제를 공급받는다. 제 4 이송부(500)로부터 원지(20)가 이송되어 원지(20)의 후단부측 및 전단부측이 분사노즐(720)의 하측에 위치되면, 제어부(150)(도 1 참조)의 제어에 의하여 분사노즐(720)은 원지(20)의 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 및 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도포한다.
접착제가 도포된 원지(20)는 제 5 이송부(600)에 의하여 이송되는데, 제 4 이송부(500), 제 5 이송부(600) 및 도포부(700)의 작용을 도 13a 내지 도 1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 제 3 이송부 및 도포부의 동작을 보인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이송부(400)의 제 1 벨트(440)에 의하여 원지(20)가 제 4 이송부(500)의 제 2 지지판(530)으로 이송된다. 이때, 원지(20)의 양측면은 지지레일(5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 8 회전바(540)에 의하여 제 7 체인(525)이 회전하고 제 7 체인(525)에는 접촉돌기(5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 지지판(530)에 탑재된 원지(20)의 전단면은 접촉돌기(560)에 접촉되어 제 2 지지판(530)의 후단부측으로 이송된다.
접촉돌기(560)에 의하여 원지(20)가 이송되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720)의 하측 근방에 원지(20)의 후단부측이 위치되면 분사노즐(720)이 접착제를 원지(20)의 하단부측 양측 소정 위치에 분사하여 도포한다. 그리고,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720)의 하측 근방에 원지(20)의 상단부측이 위치되면, 분사노즐(720)의 접착제를 원지(20)의 하단부측 양측 소정 위치에 분사하여 도포한다.
그후,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560)에 의하여 원지(20)가 최대로 이송되면, 실린더(640)의 외측으로 피스톤(643)이 돌출되어 걸림레버(660)를 회동시키면서 걸림레버(660)를 세운다. 그후, 제 5 모터(620)가 구동하여 회전축(621)이 정회전하면 운동판(630)이 케이스(610)의 후단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레버(660)가 원지(20)의 전단면에 접촉되어 원지(20)를 본체(100)의 후면측으로 밀어서, 원지(20)를 본체(100)의 설정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후, 피스톤(643)이 실린더(64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걸림레버(660)를 눕히고, 회전축(621)이 역회전되어 운동판(630)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다음에는,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여 누름부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누름부 및 포장박스형성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누름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800)는 본체(100)의 후면측에 설치된 ┏┓형상의 지지틀(810)을 가진다. 지지틀(810)에는 ┏┓형상의 승강틀(82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틀(820)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누름추(825)가 설치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제 6 모타(860)가 설치되고, 제 6 모터(860)는 제 2 벨트(865)를 통하여 제 10 회전바(850)을 회전시킨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고정틀(840)이 대향되게 설치되는데, 고정틀(840)의 일측에는 제 10 회전바(85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지지된다. 고정틀(840)의 다른 일측에는 제 1 링크(831)의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 1 링크(831)의 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운동로(83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0 회전바(850)의 양단부에는 ┏┛형상의 회전레버(855)의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회전레버(855)의 타단부는 제 1 링크(831)의 운동로(8351)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제 6 모타(860)에 의하여 제 10 회전바(850) 및 회전레버(855)가 회전하면, 제 1 링크(831)는 회전레버(855)에 의하여 고정틀(840)에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진자형태로 운동한다.
제 1 링크(831)의 타단부측에는 제 2 링크(835)의 하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링크(835)의 상단부측은 승강틀(820)의 측면 하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링크(835)의 상단부측은 제 1 링크(831)의 일단부측 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름부(800)의 동작을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a 내지 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누름부의 동작을 보인 도 15의 측면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추(825)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6 모터(860)가 회전하여 고정틀(840)에 설치된 제 10 회전바(8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레버(8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회전레버(855)의 타단부가 제 1 링크(831)의 운동로(835a)에 삽입되어 있고, 제 1 링크(831)의 일단부는 고정틀(54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 1 링크(831)는 회전레버(855)에 의하여 고정틀(540)에 지지된 일단부측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제 1 링크(831)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타단부측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제 1 링크(831)의 일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된 제 2 링크(835)가 하강하고, 이로인해 승강틀(820)이 하강하면서 누름추(825)를 하강시킨다. 이후, 회전레버(855)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크(8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타단부가 최대로 하강되고, 이로인해 누름추(825)는 최대로 하강하게 된다.
제 1 링크(835)의 타단부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 회전레버(855)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크(831)는 고정틀(840)에 지지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 1 링크(831)의 타단부가 상승하고, 이로인해 제 2 링크(835) 및 승강틀(820)이 상승하므로 누름추(825)가 상승하게 된다.
즉, 회전레버(855)의 회전에 의해 제 2 링크(831)가 진자형태로 운동하면서 자유단부측인 타단부측을 승강시킨다. 그리고, 제 1 링크(831)의 타단부측에 결합된 제 2 링크(835)가 승강하면서 누름추(825)를 승강시킨다.
도 14 및 도 17을 참조하여 포장박스형성부를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포장박스형성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형성부(900)는 누름부(8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본체(100)의 양측판과 평행을 이루면서 대향하는 한쌍의 제 3 지지판(910)을 가진다. 본체(100)의 양측판에는 양단부측이 지지된 제 4 지지바(911)에 설치되고, 제 3 지지판(910)은 제 4 지지바(911)에 지지되어 직선왕복운동한다. 제 3 지지판(910)의 대향면에는 각각 제 4 지지판(915)이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때, 한쌍의 제 3 지지판(910) 중 어느 하나의 제 3 지지판(910)에 대향되게 설치된 제 4 지지판(915)과 다른 하나의 제 3 지지판(910)에 대향되게 설치된 제 4 지지판(915)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제 3 지지판(910)에 설치된 제 4 지지판(915) 사이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 3 지지판(910)에 설치된 제 4 지지판(915) 사이에는 소정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제 5 지지판(920)이 각각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 5 지지판(920)은 4개(도 20a 참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4개의 제 5 지지판(920)의 내부 공간이 이루는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각각의 제 5 지지판(920)에는 다수의 제 4 롤러(923)가 설치되고, 제 4 롤러(923)에는 제 3 벨트(925)가 감긴다. 이때, 상하로 배치된 각각의 제 4 롤러(923)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형상 및 제 3 벨트(925)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도 20a참조). 그리고, 도 17 및 도 18a를 참조하면, 제 5 지지판(920)에는 제 4 롤러(923)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7 모터(927)가 설치된다. 제 7 모터(927)에는 제 15 회전기어(928a)가 설치되고, 제 4 롤러(923) 중 어느 하나에는 제 16 회전기어(928b)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5 회전기어(928a)와 제 16 회전기어(928b)는 제 11 체인(929)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 7 모터(927)가 구동하면 제 4 롤러(923)가 회전하고, 이로인해 제 3 벨트(925)가 회전하는 것이다. 누름추(825)에 의하여 눌린 원지(20)는 사각형상의 포장박스(10)로 형성되면서 하강하는데, 제 3 벨트(925)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포장박스(10)를 본체(100)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이송한다.
그리고, 제 3 지지판(910)의 상면에는 제 5 지지바(931)가 설치되어 대향하는데, 제 5 지지바(931)에는 제 5 이송부(600)의 걸림레버(660)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원지(20)가 탑재된다(도 18a 참조). 제 5 지지판(9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포장박스(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제 5 지지판(920)의 상면에는 안내판(935)이 설치된다. 안내판(935)은 제 5 지지바(931)의 높이 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되고, 상단부측은 외측으로 벤딩된다. 안내판(935)의 상단부측을 연결한 가상의 사각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10)의 사각형 보다 넓은 사각형을 이룬다. 이는, 원지(20)가 누름추(825)에 의하여 눌렸을 때, 원지(20)가 벤딩선(21)(도 1 참조)을 따라 정확하게 벤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포장박스형성부(900)의 동작을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포장박스형성부의 동작을 보인 도 17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원지(20)가 제 5 이송부(500)에 의하여 누름추(825)의 직하방에 위치된 제 5 지지바(931)의 상면으로 이송되어 오면, 누름추(825)가 하강하여 원지(20)를 누른다. 그러면, 원지(20)는 안내판(935)의 벤딩된 상단부측과 접촉되면서 벤딩선(21)(도 1 참조)을 따라 조금 벤딩된다. 그후, 누름추(825)가 더 하강하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20)는 안내판(935)과 누름추(825) 사이에 끼이게된다. 즉, 하강된 원지(20)는 안내판(935)과 누름추(825) 사이에서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박스로 형성되고, 이때, 원지(20)의 벤딩된 부위와 이에 대응되는 부위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호 접착되어 포장박스(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포장박스(10)는 제 7 모터(927)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3 벨트(925)의 안내를 받아 본체(100)의 하측으로 하강한 후, 제 6 이송부(690)에 의하여 사용처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할 수 있다. 크기가 다른 포장박스를 제조할 수 있기 위해서는 포장박스(10)의 밑면에 해당하는 부위의 크기를 조절하면 된다. 즉,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제 5 지지판(92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길이를 조절한 후, 이에 대응되는 누름추(825)로 교체하여 포장박스를 제조하면 된다.
먼저, 제 5 지지판(920)의 길이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도 17,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지지판(915)의 외측에 제 8 모터(950)가 설치되고, 제 8 모터(950)의 회전축(951)은 대향하는 제 4 지지판(915) 사이에 설치된다. 제 8 모터(950)의 회전축(951)의 외주면에는 치(齒)가 형성되는데, 회전축(9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치의 방향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951)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 2 너트(955)가 결합되어, 회전축(951)이 회전함에 따라 상호 멀어지고 가까와지는 형태로 직선운동한다. 그리고, 제 2 너트(955)에 제 5 지지판(920)이 결합된다.
그리하여, 제 8 모터(950)를 정ㆍ역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축(951)에 체결된 제 2 너트부재(955)가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지므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지지판(920)도 상호 멀어지고 가까와진다. 그러면, 제 5 지지판(920)의 길이방향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제 5 지지판(92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도 17,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 제 9 모터(970) 및 제 9 모터(970)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11 회전바(972)가 설치된다. 제 11 회전바(972)는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4 벨트(971)를 매체로 제 9 모터(970)와 연결된다. 그리고, 일측은 본체(100)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 3 지지판(910)에 관통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 12 회전바(974)가 마련된다. 이때, 제 3 지지판(910)을 관통하는 제 12 회전바(974)의 부위 외주면에는 치(齒)가 형성되고, 제 3 지지판(910)에는 제 12 회전바(974)가 체결되는 나사공(910a)이 형성된다. 제 11 회전바(972) 및 제 12 회전바(974)는 제 16 회전기어(976) 및 제 17 회전기어(977)가 각각 설치되고, 제 16 회전기어(976)와 제 17 회전기어(977)는 제 12 체인(979)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 9 모터(970)를 정ㆍ역회전시키면 제 11 회전바(972) 및 제 12 회전바(974)가 정ㆍ역회전하게 되고, 제 12 회전바(974)의 정ㆍ역회전에 의하여 제 3 지지판(910)이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한다. 그런데, 제 3 지지판(910)에 제 5 지지판(9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5 지지판(920)이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진다. 이로인해, 제 5 지지판(920)의 폭방향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설명한 제 1 유동방지바(271)의 폭과 제 2 유동방지바(275)의 돌출 거리, 도 11에서 설명한 지지레일(580)의 폭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는 원지를 적층시켜 공급하면 자동으로 포장박스가 제조되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하나의 제조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1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1 이송부의 동작을 보인 도 2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1 이송부의 동작을 보인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 및 제 3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수단의 동작을 보인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의 일부 및 제 3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 및 제 3 이송부의 동작을 보인 도 5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4 이송부 및 제 5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4 이송부, 제 5 이송부 및 도포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 2 이송부, 제 3 이송부 및 도포부의 동작을 보인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누름부 및 포장박스형성부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누름부를 보인 사시도.
도 16a 내지 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누름부의 동작을 보인 도 15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포장박스형성부를 보인 사시도.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포장박스형성부의 동작을 보인 도 14의 개략 측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포장박스형성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보인 도 17의 개략 측면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포장박스형성부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보인 도 17의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200,300,400,500,600,690 : 제 1,2,3,4,5 및 6 이송부
700 : 도포부 800 : 누름부
900 : 포장박스형성부
Claims (9)
-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벤딩선이 표시된 전개된 원지(原紙)를 받쳐서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상기 제 1 이송부의 후단부측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의 후단부측을 흡착하여 상측으로 소정 높이 들어올린 후 상기 제 1 이송부의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킨 다음 낙하시키는 제 2 이송부;상기 제 2 이송부 사이의 상기 본체의 부위에 설치되며 제 2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를 상기 본체의 내부 중앙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3 이송부;상기 제 3 이송부의 후단부측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의 전단면측을 밀어서 상기 원지를 상기 본체의 후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4 이송부;상기 제 4 이송부의 후단부측 상기 본체의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 4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원지의 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 및 전단부측 양측 소정 부위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도포하는 도포부;상기 제 4 이송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원지를 상기 본체의 후면측 설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부;상기 본체의 후면측 상기 설정 위치 상측에 설치되고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5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원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는 누름부;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누름부의 하측에 설치되되, 길이 및 폭 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에 눌려서 상기 원지가 하강되면 상기 원지가 상기 벤딩선을 따라 벤딩되게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원지의 벤딩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원지의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원지의 부위가 상호 접착되게 하여 상기 원지가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포장박스로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포장박스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포장박스형성부; 그리고,상기 포장박스형성부의 하측으로 낙하된 상기 포장박스를 사용처로 이송하는 제 6 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제 1 모터,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기 제 1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 1 회전바, 상기 제 1 회전바와 수직을 이루며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바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2 회전바, 일측은 상기 제 2 회전바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감겨서 지지되고 중앙부측 및 타측은 상기 제 2 회전바의 양단부측 상측에 설치된 제 1 지지판에 감겨서 지지되며 상기 제 2 회전바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 2 체인,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회전바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바에 설치된 상기 제 2 체인 및 다른 하나의 회전바의 설치된 상기 제 2 체인에 각각 대응됨과 동시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을 반복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원지가 적층되어 탑재되는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승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본체의 전면측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탑재되어 상기 본체에 후면이 상기 원지의 양측면 및 전면과 각각 접촉하여 상기 원지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제 2 모터,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3 회전바,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3 회전바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4 회전바, 상기 제 4 회전바 바로 상측의 상기 본체의 부위에 설치된 제 1 지지바, 상기 제 1 지지바 상측의 상기 본체의 부위에 설치된 제 2 지지바, 상기 제 1 지지바와 상기 제 2 지지바 사이에 마련되며 진공펌프와 연통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송되어 오는 상기 원지를 흡착하는 흡착노즐, 상기 흡착노즐을 상측으로 상승시키는 제 1 수단, 상승된 상기 흡착노즐을 후방측으로 회동시키는 제 2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제 2 회전바의 일단부측에 결합된 제 1 캠, 상기 제 1 지지바의 일단부측에 중앙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V형상의 회동편, 상기 회동편의 하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캠의 외주면에 자신의 외주면이 접촉되며 상기 제 1 캠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회동편을 진자형태로 운동시키는 제 1 롤러, 상기 제 2 지지바에 후단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팔, 상기 제 1 지지팔의 전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착노즐이 결합된 제 5 회동바, 상기 회동편의 상단부측에 자신의 하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지지팔의 측면 중앙부측에 자신의 상단부측이 결합되어 상기 회동편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제 1 지지팔의 전단부측을 승강시켜 상기 흡착노즐을 승강시키는 승강바로 마련되며,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제 2 회전바의 타단부측에 결합된 제 2 캠, 상기 제 1 지지바의 타단부측에 하단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V형상의 멈춤레버, 상기 멈춤레버의 하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캠의 외주면에 자신의 외주면이 접촉하여 상기 제 2 캠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하면서 상기 제 1 지지바를 중심으로 상기 멈춤레버를 회동시키는 제 2 롤러, 상단부측은 상기 제 5 회동바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하단부측은 상기 멈춤레버의 상단부측이 걸려서 상기 멈춤레버가 회동하면 자신도 회동하면서 상기 흡착노즐을 후방측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멈춤레버가 정지해 있으면 상기 멈춤레버에 의하여 회동되지 못하는 회동레버, 일측은 상기 제 2 지지바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회동레버에 지지되어 상기 멈춤레버의 회동시 상기 회동레버가 후방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마련되고,상기 회동레버에는 상기 멈춤레버가 걸림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3 이송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 3 모터,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3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 6 회전바, 상기 제 6 회전바와 수평을 이루고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7 회전바, 상기 제 6 회전바와 상기 제 7 회전바에 감겨서 상기 제 6 회전바의 회전력을 상기 제 7 회전바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이송부에 의하여 자신의 상면으로 이송된 상기 원지를 후방측으로 이송하는 제 1 벨트, 상기 원지와 상기 제 1 벨트 사이에 적정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원지를 상기 제 1 벨트측으로 누르는 제 3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제 6 회전바의 상측 부위의 본체에 설치된 제 3 지지바, 상기 제 3 지지바에 후단부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 2 지지팔, 상기 제 2 지지팔의 전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벨트와 접촉하는 제 3 롤러, ┗┛형상으로 마련되어 후단부측은 상기 제 6 회전바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측은 상기 제 1 벨트와 접촉하며 전단부측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벤딩된 접촉바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4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제 3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지가 탑재되는 제 2 지지판, 상기 제 2 지지판의 전단부측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제 2 이송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 8 회전바, 상기 제 2 지지판의 내측에 위치된 제 8 회전바에 설치된 제 13 회전기어, 상기 제 2 지지판의 후단부측 내측에 설치된 제 14 회전기어, 상기 제 13 회전기어와 상기 제 14 회전기어를 연결하는 제 8 체인, 상기 제 8 체인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제 8 체인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지지판에 탑재된 상기 원지의 전단면을 밀어서 상기 원지를 상기 제 2 지지판의 후단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접촉돌기를 가지고,상기 제 2 지지판의 외측에는 상기 원지의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상기 원지가 정확하게 상기 본체의 후면측으로 이송되는 안내하는 지지레일이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레일은 폭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5 이송부는 상기 제 4 이송부의 후단부측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 외측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齒)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에 지지된 회전축을 가지는 제 5 모터,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운동판, 상기 운동판에 설치되며 직선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 상기 운동판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제 1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기립되었다 누웠다하면서 상기 제 4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지의 전단면을 밀어서 상기 원지를 상기 본체의 후면측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걸림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누름부는 상기 본체의 후면측 설정 위치 직상방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틀, 상기 지지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틀, 상기 승강틀의 상면 중앙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틀과 동일하게 운동하며 형성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누름추, 상기 본체에 설치된 고정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10 회전바, 상기 고정틀의 다른 일측에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자신의 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운동로가 형성된 제 1 링크, 상기 제 10 회전바의 단부에 일단부측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운동로에 삽입되며 상기 제 10 회전바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링크를 상기 고정틀에 지지된 일단부측을 기준으로 진자형태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 하단부측은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부측에 결합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승강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틀을 승강시키는 제 2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포장박스형성부는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양측판과 평행을 이루면서 대향하게 설치된 한쌍의 제 3 지지판, 상기 제 3 지지판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제 4 지지판, 한쌍으로 마련되어 대향하는 상기 제 4 지지판 사이에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설치되되, 자신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제 5 지지판, 상기 제 5 지지판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제 4 롤러, 상기 제 4 롤러에 감겨 회전하며 자신의 내부 공간의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조된 포장박스를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3 벨트, 상기 제 3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대향하며 상기 제 5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원지가 탑재되는 제 5 지지바, 상기 제 5 지지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내부 공간의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 5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단부측은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누름부에 의하여 눌린 상기 원지가 상기 벤딩선을 따라 정확하게 벤딩되게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부와 자신 사이에 상기 포장박스가 끼이게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원지의 부위와 이에 대응되게 부위가 상호 접착되게 하여 포장박스가 형성되게 하는 안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제 4 지지판의 외측에는 제 8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 8 모터의 회전축은 대향하는 상기 제 4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8 모터의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방향이 반대인 치(齒)가 형성되고, 상기 제 8 모터의 회전축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 8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호 멀어지고 가까와지는 형태로 직선운동하는 제 2 너트(955)가 결합되며, 상기 제 2 너트에 상기 제 5 지지판이 결합되고,일측은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 3 지지판에 관통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 12 회전바가 설치되며, 상기 제 3 지지판을 관통하는 상기 제 12 회전바의 부위 외주면에는 치(齒)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지지판에는 상기 제 12 회전바의 정ㆍ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3 지지판이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2 회전바의 치의 부위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 12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제 9 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포장박스를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2594A KR100533614B1 (ko) | 2003-11-20 | 2003-11-20 |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2594A KR100533614B1 (ko) | 2003-11-20 | 2003-11-20 |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8856A true KR20050048856A (ko) | 2005-05-25 |
KR100533614B1 KR100533614B1 (ko) | 2005-12-06 |
Family
ID=3724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2594A KR100533614B1 (ko) | 2003-11-20 | 2003-11-20 |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3614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667B1 (ko) * | 2008-12-26 | 2011-06-28 | 삼성포장(주) |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
KR101056597B1 (ko) * | 2009-06-22 | 2011-08-11 | 영신기계(주) | 타발기용 자동급지장치 |
WO2018062607A1 (ko) * | 2016-09-28 | 2018-04-05 | 주식회사 원익큐브 | 종이판재용 피딩벨트 가변장치 |
WO2018079900A1 (ko) * | 2016-10-28 | 2018-05-03 | 주식회사 원익큐브 | 종이판재용 성형블럭 가변장치 |
WO2018088622A1 (ko) * | 2016-11-10 | 2018-05-17 | 주식회사 원익큐브 |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 |
KR102470718B1 (ko) * | 2021-10-19 | 2022-11-28 | 김승희 | 박스 접이 자동화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6886Y1 (ko) * | 2008-01-10 | 2009-12-08 | 최금오 |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0477A (ja) * | 1994-04-25 | 1995-11-07 | Hitachi Chem Co Ltd | プレスプレート分離装置 |
KR20030037484A (ko) * | 2001-11-05 | 2003-05-14 | 채재주 | 팔렛트를 이용한 다단계 폐합성섬유 프레스 장치 및 그 방법 |
KR200277021Y1 (ko) * | 2002-03-07 | 2002-05-30 | 염재수 | 포장기의 포장박스 성형 공급장치 |
KR100489817B1 (ko) * | 2003-06-18 | 2005-05-16 |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 포장용 종이상자 제함장치 |
-
2003
- 2003-11-20 KR KR10-2003-0082594A patent/KR1005336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667B1 (ko) * | 2008-12-26 | 2011-06-28 | 삼성포장(주) |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
KR101056597B1 (ko) * | 2009-06-22 | 2011-08-11 | 영신기계(주) | 타발기용 자동급지장치 |
WO2018062607A1 (ko) * | 2016-09-28 | 2018-04-05 | 주식회사 원익큐브 | 종이판재용 피딩벨트 가변장치 |
WO2018079900A1 (ko) * | 2016-10-28 | 2018-05-03 | 주식회사 원익큐브 | 종이판재용 성형블럭 가변장치 |
WO2018088622A1 (ko) * | 2016-11-10 | 2018-05-17 | 주식회사 원익큐브 |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 |
KR102470718B1 (ko) * | 2021-10-19 | 2022-11-28 | 김승희 | 박스 접이 자동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33614B1 (ko) | 2005-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984538B (zh) | 一种墙面贴砖机 | |
CN112878644A (zh) | 一种带有限位销的墙面贴砖机的贴砖方法 | |
KR100533614B1 (ko) |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 | |
KR100600860B1 (ko) |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 | |
US5921739A (en) | Indexing parts tray device | |
KR20030054612A (ko) | 자동승강이송장치 | |
CN112173235B (zh) | 自动包膜机及全自动包膜方法 | |
KR200206740Y1 (ko) | 포장 박스 적재 장치 | |
CN115477048A (zh) | 家用地垫成品堆叠包装设备 | |
JP3932220B2 (ja) | ジャッキ装置 | |
CN113651107B (zh) | 一种平板玻璃平堆装置 | |
KR102334123B1 (ko) | 프로파일 자동투입장치 | |
CN109108481A (zh) | 打标装置和加热器生产线 | |
CN112193494B (zh) | 包膜机的取料翻转折弯一体式装置 | |
JPH0596663A (ja) | 段ボール箱の底折り押出し装置 | |
CN218704485U (zh) | 一种包装袋开袋装置 | |
KR101199060B1 (ko) | 비닐필름 열 압착기 | |
JP3004148B2 (ja) | ガラス板の転倒装置 | |
KR20180074895A (ko) | 샌드위치패널 적층장치 | |
CN219408480U (zh) | 一种印刷冲版设备 | |
CN209850167U (zh) | 一种用于焊接工件的焊接炉 | |
CN219078499U (zh) | 一种简易升降码垛设备 | |
CN221587192U (zh) | 一种铝板转运装置 | |
CN221234932U (zh) | 纸板自动码叠机 | |
CN219601711U (zh) | 一种降解膜包装定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