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450A -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대나무 제품 - Google Patents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대나무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450A
KR20050048450A KR1020040023313A KR20040023313A KR20050048450A KR 20050048450 A KR20050048450 A KR 20050048450A KR 1020040023313 A KR1020040023313 A KR 1020040023313A KR 20040023313 A KR20040023313 A KR 20040023313A KR 20050048450 A KR20050048450 A KR 20050048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heat treatment
color
temperature
col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523B1 (ko
Inventor
장금식
Original Assignee
장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금식 filed Critical 장금식
Priority to KR102004002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5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16Cylinders and plates for scree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18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with the aid of centrifugal force
    • D21D5/22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with the aid of centrifugal force in apparatus with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에 색을 입히는 방법에 있어서, 제품화될 재료인 대나무를 진공상태의 노에서 175~240℃의 온도로 1시간~2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열처리 온도가 170~177.5℃이면 대나무가 연연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177.5~190℃이면 대나무가 연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190~210℃이면 대나무가 연진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210~230℃이면 대나무가 진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230~250℃이면 대나무가 반검정색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제품{Method for changing color of bamboos by heating and bamboos changed color by heating}
본 발명은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에 색을 입힐 때,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대나무의 성질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에 따라 대나무를 열처리하여 변색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는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정신을 맑게 하고, 주독과 식독을 풀어주며, 중풍예방과 해열 및 기침, 염증을 삭히는 등, 인체에 여러모로 유익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대나무에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수액(대나무 기름 : 죽력, 竹瀝)은 우황청심환과 같은 신비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는 죽력이 급성기 중풍, 가슴의 답답한 열감, 중풍으로 인한 언어장애 및 의식장애, 그리고 소갈(당뇨병)을 다스리고, 아울러 파상풍, 산후발열과 소아의 경기 등과 같은 일체의 위급한 질병을 다스린다고 하였으며, 특히 중약대사전, 본초강목 등과 같은 한의약 전문서적에서는 죽력을 중풍으로 인한 의식장애, 언어장애 그리고 반신불수의 치료에 필수적인 약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대나무를 이용한 그릇, 수저, 책상 등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제조될 시 제품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대나무 제품에 색을 추가하는 착색과정이 포함된다.
그러나, 기존의 착색과정은 대나무 외부의 색깔 만을 변하게 할뿐, 대나무 내부의 색은 그대로 있기 때문에, 착색을 한 후, 대나무를 자르게 될 경우, 내·외부의 색이 서로 달라 보기 좋은 외관을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착색 도료에는 인체에 해로운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착생공정을 마친 수저나 그릇을 사용할 경우, 유해성분이 몸속으로 침투할 염려가 있으며,
상기 착색공정으로 인해 대나무가 가지고 있는 효능을 현저히 떨어뜨린 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처리되는 온도에 따라 대나무의 색이 변하는 특징으로 이용하여, 원하는 색에 따라 온도를 다르게하여 여러가지 색의 대나무를 얻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대나무에 색을 입히는 방법에 있어서, 제품화될 재료인 대나무를 진공상태의 노에서 170~250℃의 온도로 1시간~2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열처리 온도가 170~177.5℃이면 대나무가 연연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177.5~190℃이면 대나무가 연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190~210℃이면 대나무가 연진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210~230℃이면 대나무가 진밤색으로 변하며, 상기 열처리 온도가 230~250℃이면 대나무가 반검정색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될 대나무를 준비하여 열처리 한다. 이때, 열처리하는 온도에 따라 대나무의 색이 달라지므로 사용되는 용도에 맞게 알맞은 온도를 지정한다.
온도에 따른 대나무의 색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열처리 온도 대나무의 색깔
170~177.5℃ 연연밤색
177.5~190℃ 연밤색
190~210℃ 연진밤색
210~230℃ 진밤색
230~250℃ 반검정색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를 175℃로 하면 대나무의 색깔이 연연밤색, 180℃이면 연밤색, 200℃이면 연진밤색, 220℃이면 진밤색, 240℃이면 반검정색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온도를 낮게 할수록 대나무의 강도는 높아지고, 대나무의 색은 연하면서 곱게 변색된다.
열처리하는 시간은 1시간~2시간 정도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시간 30분동안 열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대나무의 색을 변화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살균작용도 함께 되어 대나무 내에 좀벌레 등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도 한다.
이와같은 열처리는 진공처리가 된 노에서 이루어지며, 노의 내부에 시간 조절이 가능한 디지털 열 감지기를 설치하여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열 감지기는 700℃까지 온도의 감지가 가능한 제품이며, 일정한 시간을 설정하여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어지므로, 정확한 온도와 시간에서 대나무의 열처리가 가능하다.
노 내부에서는 뜨거운 열기운이 대나무의 속까지 침투하게 되므로, 대나무 표면의 변색 뿐만 아니라, 표면의 색과 동일하게 대나무 내부의 색이 변하게 되어 제품을 제조할 시에 일관된 색으로의 통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노에서 사용되는 연료는 가스가 가장 바람직하며, 가스를 사용할 경우, 화력조절이 용이하여 편리하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노의 내부에서 열처리되는 대나무의 형태가 판제형식으로 처리된 것일 경우, 열처리가 이루어진 후, 필요한 형태로 붙여서 사용되며, 또한 열처리 공정 이전에 대나무로 원하는 형태를 제조한 후, 열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대나무를 변색한 후,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먼저, 대나무를 준비하여 이를 판제형태로 제조한다. 이때, 대나무 제품의 모형이나 용도에 따라 상기 대나무 판제의 두께를 다르게 한다.
일반적으로 대나무 판제의 두께는 4~15㎜정도로 제조되나, 경우에 따라서 더 두껍게도 가능하다.
상기 판제형태의 대나무를 원하는 색에 따라 일정한 온도로 1시간 30분 동안 노에서 열처리하여 변색시킨다. 판제의 두께에 따라 상기 열처리 시간은 조절가능하며, 판제가 두꺼울수록 열처리 시간을 길게하도록 한다.
이때, 온도에 따른 대나무의 변색정도는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색이 변색된 대나무 판제를 이용하여 용도에 맞추어 제품을 제작한다.
실시예 2: 대나무로 제품을 제조한 후, 변색하는 방법
먼저, 대나무를 이용하여 수저, 그릇 등의 원하는 제품을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대나무 제품을 원하는 색깔에 따라 노 속에서 특정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1시간 30분 동안 열처리하여 색을 변색시킨다.
이때, 온도에 따른 대나무의 변색정도는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설정 시간이 지나 대나무 제품을 노 속에서 꺼내면 원하는 색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대나무 제품은 대나무의 특성상 습기에 민감하여 시간이 지나면 제품에 변형이 오기 쉬우나,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제품은 열처리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습기에도 제품의 변형이 오지 않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삶은 대나무나 화학약품으로 표백처리된 대나무 제품의 경우에는 바구미와 같은 좀벌레가 많이 발생하나,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제품은 열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살균작용이 함께 이루어져 좀벌레 등의 서식이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제품은 온도만 다르게 하여줌으써 비교적 단시간의 열처리로 원하는 색의 대나무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열처리로 인한 변색은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대나무 고유의 효능 또한 보존된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은 염색으로는 대나무 내부까지 채색이 되는 것이 아니라 대나무의 표면만 채색되어 단면을 자르게 되면 내부와 외부의 색이 서로 차이가 나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열처리 공정으로 채색을 하게 되면 대나무의 표면 뿐만 아니라 내부 또한 일정한 색으로 채색이 되어져 제품의 미적요소가 한층 높아지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대나무 제품이 보존 가능 기간이 6~13개월 정도로 대부분 1년 미만인 것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된 대나무 제품은 그 보관 기간이 제한이 없어 양호한 상태로 영구히 보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대나무에 색을 입히는 방법에 있어서,
    제품화될 재료인 대나무를 진공상태의 노에서 170~250℃의 온도로 1시간~2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를 170~177.5℃로 하여 대나무를 연연밤색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를 177.5~190℃로 하여 대나무를 연밤색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를 190~210℃로 하여 대나무를 연진밤색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를 210~230℃로 하여 대나무를 진밤색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를 230~250℃로 하여 대나무를 반검정색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제품.
KR1020040023313A 2004-04-06 2004-04-06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대나무 제품 KR10055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13A KR100553523B1 (ko) 2004-04-06 2004-04-06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대나무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13A KR100553523B1 (ko) 2004-04-06 2004-04-06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대나무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450A true KR20050048450A (ko) 2005-05-24
KR100553523B1 KR100553523B1 (ko) 2006-02-20

Family

ID=3724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13A KR100553523B1 (ko) 2004-04-06 2004-04-06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대나무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5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1855C2 (nl) * 2008-07-28 2010-01-29 Moso Internat B 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strand woven bamboeproduct en constructie-element.
WO2010014005A1 (en) * 2008-07-28 2010-02-04 Moso International B.V.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and woven bamboo product
EP2269788A1 (en) * 2008-04-18 2011-01-05 Hangzhou Dazhuang Floor Co., Ltd. A recombined bamboo section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604A (ja) 2000-01-26 2001-07-31 Mokuzai Taikyusei Kojo Gijutsu Kenkyu Kumiai 染色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9788A1 (en) * 2008-04-18 2011-01-05 Hangzhou Dazhuang Floor Co., Ltd. A recombined bamboo section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269788A4 (en) * 2008-04-18 2011-10-05 Dasso Ind Group Co Ltd RECOMBINANT MATERIAL COMPOSED OF BAMBOO SEC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2008355033B2 (en) * 2008-04-18 2013-01-10 Dasso International Inc. A recombined bamboo section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NL2001855C2 (nl) * 2008-07-28 2010-01-29 Moso Internat B 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strand woven bamboeproduct en constructie-element.
WO2010014005A1 (en) * 2008-07-28 2010-02-04 Moso International B.V.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and woven bamboo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523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2214A (zh) 一种人参的炮制工艺
KR100840991B1 (ko) 냄새 없는 흑마늘의 제조 방법
Siti Mahirah et al.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cimum basilicum leaves
KR101039640B1 (ko) 뽕잎추출물 및 양파즙의 혼합물 코팅액을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CN106260331A (zh) 一种萱草花蕾茶的制作方法
KR100553523B1 (ko) 열처리에 의한 대나무 채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대나무 제품
KR20170092365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1721A (ko)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곶감
KR101877349B1 (ko) 황칠 구운 소금 제조방법
CN106983691B (zh) 一种含莲多酚的抗氧化收缩毛孔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217235B1 (ko)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항균성 및 살충력이 우수한 기능성 한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3826B1 (ko) 신규한 칠황버섯 및 이를 배양하는 방법
KR20210132827A (ko) 메리골드 꽃 발효 숙성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89827A (zh) 一种古籍雕版的保护方法
KR101689260B1 (ko) 초벌구이를 이용한 오리고기 제조방법
KR102501391B1 (ko) 갈변 및 맛 변질 방지 감태 블랜칭 조성물
KR100563996B1 (ko)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70029A (zh) 一种清热润燥柑胎养生茶
KR20040065115A (ko) 홍삼엑기스 함유 건오징어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745416B (zh) 补气健脾保健白酒及其制备方法
KR20150053649A (ko) 오미자를 이용한 생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CN1186987C (zh) 茳芒茉莉消渴茶及其制备方法
KR20140144315A (ko) 망고와인 제조방법
KR102489040B1 (ko) 꾸지뽕이 함유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KR20130087116A (ko) 맥문동과 인삼류를 이용한 장아찌 절임용 사포닌 소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장아찌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