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718A -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 Google Patents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718A
KR20050044718A KR1020047008681A KR20047008681A KR20050044718A KR 20050044718 A KR20050044718 A KR 20050044718A KR 1020047008681 A KR1020047008681 A KR 1020047008681A KR 20047008681 A KR20047008681 A KR 20047008681A KR 20050044718 A KR20050044718 A KR 2005004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reaction mixture
feed
distillation
boil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121B1 (ko
Inventor
틸만 지르히
게르트 카이벨
알렉산더 바르티니
마티아스 데른바흐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083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447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4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1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where at least one distillation column contains at least one dividing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74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29/76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C07C29/80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2Trihydroxylic alcohols, e.g. glycero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염기의 존재하에 n-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임의로 수소화시켜 얻어진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이 단리된다. 분할 컬럼 또는 전처리 컬럼을 갖는 증류 컬럼 또는 후컬럼을 갖는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증류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적은 투자, 적은 에너지 비용 및 감소된 고비점 부산물의 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METHOD FOR THE ISOLATION OF TRIMETHYLOL PROPANE FROM A REACTION MIXTURE}
트리메틸아민의 존재하에 n-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WO 98/28253의 실시예 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화하여 얻어지며, TMP 23.1 중량%, 메탄올 0.4 중량%, 트리메틸아민 (포르메이트로서) 0.87 중량%, 메틸부탄올 0.97 중량%, 에틸프로판디올 0.47 중량%, 고비점 물질 1.07 중량% 및 물 71.6 중량%가 포함된 반응 혼합물을 유속 5 ㎏/시간으로 저비점 물질 컬럼으로 공급하고, 기저부에서 400 mbar 및 175 ℃의 온도에서 탈수시켰다. 혼합물을 컬럼의 중간에 도입하였다. 농축부 및 탈거부는 각각 1 m의 시트 금속 충전물 (공칭 구멍 = 50, 퀴니 롬보팩 9M)을 포함하였다. 환류비는 0.33이었다. 컬럼의 기저부에서, 고비점 물질과 함께 TMP 80 중량% 및 물 약 1 중량%를 포함하는 1.1 ㎏/시간의 스트림을 제거하였다.
컬럼으로부터 100 g/시간의 배출물을 증류에 의한 정제를 위한 분할 벽 컬럼 (NB = 100, 상부 배합부: 0.1 m의 딕슨 링, 하부 배합부: 0.3 m의 딕슨 링, 분할 벽 컬럼의 중앙에서, 공급점 상부에 0.6 m의 딕슨 링 및 공급점 하부에 0.4 m의 딕슨 링을 채운 공급측; 분리점 상부에 0.5 m의 딕슨 링 및 분리점 하부에 0.5 m의 딕슨 링을 채운 분리측이 있음)으로 공급하였다. 증류에 의한 정제는 20 mbar의 탑정 압력, 0.5의 환류비 및 기저부의 배출 온도를 조절하면서 수행되었다.
컬럼의 기저부에서, 잔류 TMP 함량이 12 중량%인 고비점 물질이 분리 제거되었다. 중간 비점 물질, 특히 잔류 TMP 함량이 66 중량%인 2-에틸프로판디올 (5.5 중량%)이 탑정부에서 제거되었다. 측면 배출점에서, 99.0 중량%의 순도 및 30 APHA 미만의 색수를 갖는 TMP가 제거되었다. 증류에 의한 정제의 전체 수율은 79 중량%였다.
본 발명은 염기의 존재하에 n-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고, 적합한 경우 후속적으로 수소화시켜 얻어진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을 단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TMP로도 약칭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은 표면 코팅물,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대용량으로 사용되는 3가 알코올이다. TMP는 n-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축합시켜 제조된다. 공정의 수행 방식에 따라서 상이한 변형 사이에 차이점이 있다.
카니짜로 (Cannizzaro) 방법에서, 부티르알데히드는 화학양론적 양의 염기의 존재하에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한다. 이것은 초기에는 2,2-디메틸올부탄알을 형성하고, 이는 이어서 교차-카니짜로 반응에서 포름알데히드 분자와 더 반응하여 포름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을 형성한다. 이 방법은 부산물로 1 몰당량의 포르메이트가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후처리되어야만 하고, 포름알데히드의 소비를 증가시킨다.
수소화 방법은 보다 발전된 것이다. 여기서, 부티르알데히드는 촉매량의 3차 아민의 존재하에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한다. 반응은 2,2-디메틸올부탄알 단계에서 정지하며, 이 생성물은 이어서 수소화되어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제공한다. 화학양론적 양의 포르메이트가 형성되지 않으며 방해되는 부산물이 보다 적은 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얻어진 용액을 보다 용이하게 후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WO 98/28253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출발 물질을 디메틸올부탄알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미반응하거나 부분 반응한 출발 물질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해내어 알돌 반응 단계로 되돌리며; 잔류물을 촉매적 및(또는) 열적으로 처리하여 모노메틸올부탄알을 디메틸올부탄알 및 에틸아크롤레인으로 전환시키고; 에틸아크롤레인을 분리하여 알돌 반응 단계로 되돌릴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조 TMP는 통상의 방법으로 증류에 의해 후처리된다.
DE 199 63 435에는 수소화 방법으로 얻어지는 조 TMP를 증류에 의해 정제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증류에 의한 정제에 있어서, 증류에 의해 물, 메탄올, 트리알킬아민 및(또는) 트리알킬암모늄 포르메이트를 제일 먼저 분리시키고, 얻어지는 잔류물을 TMP가 휘발성인 온도로 가열하고, TMP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일부 이상 분해시킨다. TMP 및 TMP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증류로 분리시키고, 얻어진 증류물을 증류하여 보다 휘발성인 화합물을 분리하고 순수한 TMP를 얻는다. 그 후, 얻어진 TMP에 또 다른 증류에 의한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저비점 물질 및 TMP를 둘 다 탑정부에서 제거시켜야 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보다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속적인 컬럼에서의 증류는, 특히 컬럼의 기저부에서 체류 시간이 긴 경우, 생산 수율을 감소시키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을 상당량 형성한다. 따라서, 분별되는 혼합물이 선행 증류의 탑정부로부터의 생성물이라 해도, TMP보다 휘발성이 높은 화합물의 제거는 보다 고비점 물질의 형성을 수반한다. 이들 고비점 물질은 재순환되고 열적으로 부분 분해될 수 있지만, 이 방법에서 상대적으로 다량의 고비점 물질을 순환시키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또한, 복수의 컬럼을 구성하고 조작하는 것은 중요한 비용 인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을 단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방법은 자본 비용이 낮고,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고순도의 TMP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i) 내지 ⅳ)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는 것을 마침내 발견하였다.
i) 공급점 상부에 위치한 농축부 및 공급점 하부에 위치한 탈거부를 갖는 공급 컬럼으로 반응 혼합물을 도입하고,
ⅱ) 상부 말단에 응축기를 갖고 농축부의 상부 말단과 연통하는 하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말단에 가열기를 갖고 탈거부의 하부 말단과 연통하는 제2 배합 컬럼을 제공하며,
ⅲ)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배합 컬럼과 연통하는 배출 컬럼 (offtake column)을 제공하고,
ⅳ) 배출 컬럼의 측면 배출점에서 순수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을 배출시키고, 상부 배합 컬럼의 탑정부 또는 상부 영역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비점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배출시키며, 하부 배합 컬럼의 기저부 또는 하부 영역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카니짜로 방법, 즉 화학양론적 양의 염기의 존재하에 얻어진 반응 혼합물, 및 수소화 방법, 즉 촉매량의 3차 아민의 존재하에 후속적으로 수소화시켜 얻어진 혼합물 양자를 후처리하기에 적합하다.
공급 컬럼, 배출 컬럼,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배합 컬럼은 별개의 플랜트 구성 요소이거나, 복수의 기능을 조합한 컬럼의 부분 또는 챔버일 수 있다. "연통 컬럼"이란 표현은 상승하는 증기 및 하강하는 응축물이 그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분할 벽 컬럼을 사용하여 증류를 수행한다. 즉, 공급 컬럼 및 배출 컬럼이 각 말단에서 배합 대역을 향해 개방되고 컬럼의 종방향 길이부를 지나 연장되는 챔버로서 구성되며, 분할 벽에 의해 서로 분할된다. 분할 벽을 갖는 증류 컬럼은 자체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 [ECN, October 2 - 8, 1995, 26쪽, "BASF Distils Energy Savings"; Chem. Eng. Res. Des. (1993) 71(3), 307쪽, "The control of dividing wall column"; US 2,471,134, Chem. Eng. Res. Des., Part A: Trans IChemE, Sept. 1993, 639 내지 644쪽, "Heat transfer across the wall of dividing wall"]에 기재되어 있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열적으로 커플링된 전처리 컬럼을 갖는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증류를 수행한다. 즉, 배출 컬럼,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배합 컬럼이 원피스 (one-piece) 증류 컬럼으로서 구성되고, 공급 컬럼이 증류 컬럼 이전의 전처리 컬럼으로서 구성된다. 별법으로, 열적으로 커플링된 후컬럼을 갖는 증류 컬럼을 사용한다. 즉, 공급 컬럼,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배합 컬럼이 원피스 증류 컬럼으로서 구성되고, 배출 컬럼이 증류 컬럼과 연결된 후컬럼으로서 구성된다. 보조 컬럼을 갖는 증류 컬럼이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 [Chem. Eng. Res. Des., Part A: Trans IChemE, March 1992, 118 내지 132쪽, "The design and optimization of fully thermally coupled distillation columns"]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이점은, 특히 더 이상 탑정부를 통해 제거할 필요 없이 측면 배출점에서 제거될 수 있는 순수한 TMP 분획에 기인한다. 이는 원래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공지된 방법과 비교하여 상당한 에너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물에 대해 비교적 온화한 조건하에 달성될 수 있는 컬럼의 뜨거운 기저부에서 목적하는 생성물의 체류 시간의 단축은 수율을 감소시키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DE 199 634 35에서 교시되는 방법의 중요한 특징이 물, 메탄올, 트리알킬아민 및(또는) 트리알킬암모늄 포르메이트를 제거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TMP가 휘발성인 온도로 가열하여 TMP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일부 이상 분해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DE 199 634 35는 본 발명의 방법을 자명하게 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후처리될 수 있는 반응 혼합물에는 통상 TMP와 함께 물, 메탄올, 메틸부탄올 등의 1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 예를 들면 에틸프로판디올 등의 디올, 또한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TMP의 아세탈 및 1가 알코올과 다가 알코올, 예를 들면 디올의 에테르가 포함되며, 또한 3차 암모늄 포르메이트도 포함될 수 있다. 수소화 방법에 의해 얻어진 반응 혼합물은 통상 트리메틸올프로판 10 내지 40 중량%, 메탄올 0.5 내지 5 중량%, 1가 알코올 1 내지 6 중량%, 3차 암모늄 포르메이트 1 내지 10 중량%, 디올 0 내지 5 중량%, 고비점 물질 2 내지 10 중량% 및 물 50 내지 80 중량%의 조성을 갖는다.
수소화 방법으로 TMP를 제조하기 위해서, 부티르알데히드는 통상 2 내지 8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 몰의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한다. 3차 아민은 부티르알데히드에 기준하여 통상 0.001 내지 0.2 몰당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7 몰당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아민은 트리메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의 트리알킬아민이다. 반응은 통상 5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80 ℃에서 수행된다. 체류 시간은 온도에 따라 통상 0.25 내지 12시간으로 설정된다. WO 98/28253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 후, 알돌 축합 반응에서 얻어진 디메틸올부탄알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수소 기체의 존재하에 통상의 조건하에 수소화된다. 적합한 수소화 촉매는, 특히, 예를 들면 WO 95/32171에 기재된 구리를 함유하는 지지 촉매이다. 수소화 반응은 예를 들면 반응 용액이 하향류 방식 또는 상향류 방식으로 촉매층으로 펌핑되는, 촉매층을 함유하는 반응관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반응 혼합물이 공급 컬럼으로 도입되기 전에, 반응 혼합물로부터 존재하는 수분의 대부분을, 바람직하게는 잔류 수분 함량이 5 중량% 미만, 특히 2 중량% 미만이 되도록 제거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탈수 공정에서,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메탄올 및 3차 아민 또는 3차 암모늄 포르메이트 등의 다른 저비점 물질도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증기압이 방해하는 일 없이 저압에서 후속 증류를 수행할 수 있다. 수분은 증류 및(또는) 감압으로 제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증발기 및(또는) 증류 컬럼이 그러한 목적에 적합하며; 하나 이상의 단에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20 mbar 내지 상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20 내지 100 mbar 범위의 저압 및 체류 시간이 짧은 장치, 예를 들면 박막 증발기, 강하 경막 증발기 또는 나선관 증발기를 사용하는 경우, 3차 암모늄 포르메이트는 통상 저비점 물질과 함께 증류 제거된다. 100 mbar를 초과하는 압력에서, 3차 아민 및 TMP 포르메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3차 암모늄 포르메이트와 TMP의 반응은 증발기내 또는 증류 컬럼의 기저부에서 일어난다. 3차 아민은 저비점 물질과 함께 증류 제거한다. 증류에 의해 3차 아민과 함께 분리되는 메탄올 및 물이 제거되고, 알돌 축합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대량의 TMP 포르메이트가 형성되는 조건하에서 반응 혼합물을 탈수시키는 경우, 반응 혼합물이 공급 컬럼으로 도입되기 전에 TMP 포르메이트를 분해시켜 TMP를 회수하는 처리를 반응 혼합물에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예를 들면 TMP 이외에 알코올, 특히 C1-C4-알칸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상기 알코올 및 TMP의 포르메이트를 형성하는, 자체로서 공지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열적으로 또는 염기 촉매의 존재하에 에스테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EP-A 289 9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촉매량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알콕시드의 존재하에, 또는 WO 97/173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3차 아민,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에스테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150 ℃ 내지 250 ℃, 특히 180 ℃ 내지 22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TMP 포르메이트 1 몰당 0.005 내지 0.05 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 시간은 전형적으로 10시간 이하이다. 적합한 반응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개별 반응기 또는 체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증류에 의한 정제의 목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은 상부 및 하부 배합 컬럼과 연통하고 다시 배출 컬럼과 연통하는 공급 컬럼으로, 탈수되고 에스테르 교환된 것일 수 있는 반응 혼합물을 도입한다. 증류에 의한 정제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 (고비점 물질, 특히 TMP 아세탈)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비점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이 분리된다. 반응 혼합물이 탈수된 것인 경우, 저비점 물질의 대부분은 이미 제거되었고, 증류에 의한 정제는 본질적으로 중간 비점 물질, 즉 물의 비점 및 TMP의 비점 사이의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분리한다.
증류에 의한 정제는 통상 5 내지 100 mbar,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bar, 특히 10 내지 30 mbar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환류비는 통상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이다.
공급 컬럼, 상부 배합 컬럼, 하부 배합 컬럼 및 배출 컬럼은 분리-활성 내재물을 함유한다. 내재물은 규칙 충전물, 예를 들면 슐저 (Sulzer) 멜라팩 (Mellapak), 슐저 BX, 몬쯔 (Montz) A1 또는 몬쯔 A3 또는 퀴니 (Kuehni) 롬보팩 (Rhombopak), 또는 충전재의 불규칙층, 예를 들면 딕슨 (Dixon) 링, 라시히 (Raschig) 링, 하이-플로 (High-Flow) 링 또는 라시히 수퍼 (Raschig Super) 링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혼합물은 대략 공급 컬럼의 중간에서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수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은 대략 배출 컬럼 중간의 측면 배출점에서 기체 또는 액체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기체 형태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수한 TMP는 통상 98.5 중량% 이상의 순도 및 0 내지 200 APHA의 색수 (DIN ISO 6271; ASTM-D 1209-93에 따라 측정됨)를 갖는다. 컬럼의 기저부에 모이는, 고비점 물질로부터 내려온 스트림을 배출시켜 상대적으로 고비점 구성 요소 및(또는) 색을 부여하는 구성 요소의 축적을 방지한다. 1 내지 50 중량%의 정상 상태의 TMP 함량이 통상 컬럼의 기저부에서 수립된다. 탑정부에서, TMP 함량이 0 내지 80 중량%인 저비점 물질 및 중간 비점 물질이 제거된다.
첨부된 도면 및 하기의 실시예로 본 발명의 방법을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고, 분할 벽 컬럼을 포함하는 플랜트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고, 상류 전처리 컬럼을 갖는 증류 컬럼을 포함하는 플랜트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나타낸 형태에 있어서, 저비점 물질 컬럼 (2)로 TMP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이 도입되고, 여기서 물 및 메탄올 또는 3차 아민 등의 저비점 물질의 혼합물 (3)이 분리된다. TMP, 고비점 물질 및 저비점 물질 컬럼 (2)에서 분리되지 않은 저비점 물질을 포함하고, 저비점 물질 컬럼 (2)에서 내려온 기저물 (4)는 반응기 (6)으로 공급되고, 여기서 TMP 포르메이트가 분해된다. 이는 라인 (5)를 통해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을 첨가하여 달성된다. 알코올의 첨가 (5) 및 반응기 (6)의 사용은 선택적이다. 처리된 반응 혼합물 (7)은 농축부 (9a) 및 탈거부 (9b)를 갖는 공급 컬럼 (9), 탈거부 (10a) 및 농축부 (10b)를 갖는 배출 컬럼 (10), 또한 상부 배합 컬럼 (11) 및 하부 배합 컬럼 (12)를 갖는 분할 벽 컬럼 (8)로 향한다. TMP의 비점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 (13)은 컬럼 (8)의 탑정부에서 증류 제거된다. 고비점 물질이 풍부한 기저물 (14)가 잔류한다. 순수한 TMP (15)는 배출 컬럼의 측면 배출점에서 제거된다.
도 2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 1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1에서 나타낸 플랜트와는 상이하게, 증류 컬럼 (16) 및 열적으로 커플링된 전처리 컬럼 (17)의 조합을 분할 벽 컬럼 (8)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전처리 컬럼 (17)은 농축부 (17a) 및 탈거부 (17b)를 갖는다.

Claims (9)

  1. 염기의 존재하에 n-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고, 적합한 경우 증류에 의해 수소화시켜 얻어진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을 단리하는 방법으로서,
    i) 공급점 상부에 위치한 농축부 및 공급점 하부에 위치한 탈거부를 갖는 공급 컬럼으로 반응 혼합물을 도입하고,
    ⅱ) 상부 말단에 응축기를 갖고 농축부의 상부 말단과 연통하는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말단에 가열기를 갖고 탈거부의 하부 말단과 연통하는 하부 배합 컬럼을 제공하며,
    ⅲ)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배합 컬럼과 연통하는 배출 컬럼 (offtake column)을 제공하고,
    ⅳ) 배출 컬럼의 측면 배출점에서 순수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을 배출시키고, 상부 배합 컬럼의 탑정부 또는 상부 영역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비점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배출시키며, 하부 배합 컬럼의 기저부 또는 하부 영역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촉매량의 3차 아민의 존재하에 n-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고, 후속적으로 수소화시켜 얻어진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을 공급 컬럼으로 도입하기 전에, 반응 혼합물로부터 존재하는 수분의 대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을 공급 컬럼으로 도입하기 전에, 탈수된 반응 혼합물을 트리메틸올프로판 이외의 알코올과 혼합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컬럼 및 배출 컬럼이 각 말단에서 배합 대역을 향해 개방되고 컬럼의 종방향 길이부를 지나 연장되는 챔버로 구성되며, 분할 벽에 의해 서로 분할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컬럼,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배합 컬럼이 원피스 (one-piece) 증류 컬럼으로서 구성되고, 공급 컬럼이 증류 컬럼 이전의 열적으로 커플링된 전처리 컬럼으로서 구성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컬럼, 상부 배합 컬럼 및 하부 배합 컬럼이 원피스 증류 컬럼으로서 구성되고, 배출 컬럼이 증류 컬럼과 연결된 열적으로 커플링된 후컬럼으로서 구성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컬럼, 상부 배합 컬럼, 하부 배합 컬럼 및 배출 컬럼이 충전재의 규칙 충전층 및(또는) 불규칙층 형태의 분리-활성 내재물을 갖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류가 5 내지 100 mbar 범위내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방법.
KR1020047008681A 2001-12-07 2002-12-06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KR100884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60180A DE10160180A1 (de) 2001-12-07 2001-12-07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Trimethylolpropan aus einem Reaktionsgemisch
DE10160180.8 2001-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718A true KR20050044718A (ko) 2005-05-12
KR100884121B1 KR100884121B1 (ko) 2009-02-17

Family

ID=770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681A KR100884121B1 (ko) 2001-12-07 2002-12-06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112707B2 (ko)
EP (1) EP1456159B1 (ko)
JP (1) JP3923472B2 (ko)
KR (1) KR100884121B1 (ko)
CN (1) CN1257141C (ko)
AT (1) ATE334957T1 (ko)
AU (1) AU2002358636A1 (ko)
BR (1) BR0214543B1 (ko)
DE (2) DE10160180A1 (ko)
MX (1) MXPA04004920A (ko)
MY (1) MY128842A (ko)
WO (1) WO200304809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3700B2 (en) 2018-02-01 2021-02-09 Lg Chem, Ltd. Method for producing dimethylolbutanal and distill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6674A2 (de) * 2008-12-09 2010-06-1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thylolen
MY153850A (en) * 2008-12-09 2015-03-31 Basf Se Method for purifying crude polymethylols
US8933277B2 (en) * 2009-01-12 2015-01-13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polymethylols
DE102010033844B4 (de) 2010-08-11 2013-01-03 Oxea Gmbh Verfahren zur Gewinnung von Di-Trimethylolpropan und mit Trimethylolpropan angereicherten Produktströmen aus den Nebenströmen der Trimethylolpropanherstellung
DE102010042936A1 (de) * 2010-10-26 2012-04-26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Dialkylcarbonat
DE102010042934A1 (de) * 2010-10-26 2012-04-26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Dialkylcarbonat
KR101530102B1 (ko) * 2010-12-29 2015-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CA2885432C (en) * 2012-09-28 2017-04-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purity glycol esters
JP6329962B2 (ja) * 2013-01-16 2018-05-2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アルカノールの製造装置
CN106861353A (zh) * 2015-12-14 2017-06-2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分离装置
KR102224267B1 (ko) * 2016-10-31 2021-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224243B1 (ko) * 2016-10-31 2021-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224268B1 (ko) * 2016-10-31 2021-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WO2023140986A1 (en) 2022-01-19 2023-07-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tri-cyclopentadiene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1134A (en) * 1946-07-17 1949-05-24 Standard Oil Dev Co Fractionation apparatus
DE3302525A1 (de) * 1983-01-26 1984-07-26 Basf Ag, 6700 Ludwigshafen Destillationskolonne zur destillativen zerlegung eines aus mehreren fraktionen bestehenden zulaufproduktes
DE3340791A1 (de) * 1983-11-11 1985-05-23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imethylolalkanen aus alkanalen und formaldehyd
GB2303511A (en) * 1995-07-19 1997-02-19 Univ Manchester Compensating for backscattered light
US5767922A (en) * 1996-04-05 1998-06-16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cting scene breaks in a sequence of video frames
DE19653093A1 (de) 1996-12-20 1998-06-2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lkoholen
JP4284477B2 (ja) * 1998-12-25 2009-06-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高純度トリメチロールプロパンの製造法
US6778697B1 (en) * 1999-02-05 2004-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6389417B1 (en) * 1999-06-29 2002-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digital image
DE19963435A1 (de) * 1999-12-28 2001-07-05 Basf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durch Hydrierung hergestelltem Trimethylolpropan durch kontinuierliche Destill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3700B2 (en) 2018-02-01 2021-02-09 Lg Chem, Ltd. Method for producing dimethylolbutanal and distill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58636A1 (en) 2003-06-17
US20040267055A1 (en) 2004-12-30
US7112707B2 (en) 2006-09-26
JP3923472B2 (ja) 2007-05-30
DE10160180A1 (de) 2003-06-18
BR0214543B1 (pt) 2013-04-16
WO2003048093A3 (de) 2004-01-15
DE50207749D1 (de) 2006-09-14
MXPA04004920A (es) 2004-08-11
ATE334957T1 (de) 2006-08-15
EP1456159B1 (de) 2006-08-02
MY128842A (en) 2007-02-28
JP2005511674A (ja) 2005-04-28
WO2003048093A2 (de) 2003-06-12
CN1599707A (zh) 2005-03-23
KR100884121B1 (ko) 2009-02-17
EP1456159A2 (de) 2004-09-15
BR0214543A (pt) 2004-11-03
CN1257141C (zh)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121B1 (ko)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EP0570719B1 (en) Process for producing acetaldehyde dimethylacetal
US7652167B2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organic acid esters
EP0042185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anol
US8562921B2 (en) Ethyl acetate production
KR101773327B1 (ko) 폴리메틸올의 정제 방법
EP2766337B1 (en) Ethyl acetate production
KR20070059116A (ko) 1,4-부탄디올의 정제 방법
KR20110110303A (ko) 폴리메틸올의 제조 방법
KR20090115815A (ko) 히드록시 피발린 알데히드 및 네오펜틸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
KR20090110879A (ko) 매우 순수한 1,4-부탄디올의 제조 방법
KR20110098941A (ko) 조질 폴리메틸올의 정제 방법
US6692616B2 (en) Method for purifying trimethylolpropane, which is produced by hydrogenation, by means of continuous distillation
EP0599883B1 (en)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ethyl-2-(hydroxymethyl)hexanal and 2-butyl-2-ethyl-1,3-propanediol
WO2023170409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refined 1,4-butanediol stream
US6809224B2 (e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formaldehyde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polyols by the addition of solvents before and/or during the distillation
US5235118A (en)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ethyl-2-(hydroxymethyl)hexanal and 2-butyl-2-ethyl-1, 3-propanediol
US4283579A (en) Process for producing diol
US5177267A (en) Continuous process for the recovery of 2 ethylhexanal and a tertiary amine from a mixture comprising 2-ethyl-2-(hydroxymethyl) hexanal, 2-ethylhexanal, tertiary amine and water
US20120271029A1 (en) Process for preparing neopentyl glycol
RU2063958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кротонового альдегида
JPH05306249A (ja) アセタールの製造方法
JPH11106382A (ja) 環状ホルマールの連続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