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102B1 -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102B1
KR101530102B1 KR1020100138239A KR20100138239A KR101530102B1 KR 101530102 B1 KR101530102 B1 KR 101530102B1 KR 1020100138239 A KR1020100138239 A KR 1020100138239A KR 20100138239 A KR20100138239 A KR 20100138239A KR 101530102 B1 KR101530102 B1 KR 10153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boiling point
neopentyl glycol
separation wall
poi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196A (ko
Inventor
이성규
신준호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13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102B1/ko
Priority to PCT/KR2011/010131 priority patent/WO2012091396A2/ko
Priority to CN201180063741.9A priority patent/CN103282336B/zh
Priority to EP11852228.3A priority patent/EP2660230B1/en
Priority to JP2013547326A priority patent/JP5783491B2/ja
Publication of KR2012007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196A/ko
Priority to US13/929,578 priority patent/US886494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1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where at least one distillation column contains at least one dividing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74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29/76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C07C29/80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by disti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Abstract

본 발명은 네오펜틸글리콜 정제용 분리벽형 증류탑, 및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벽형 증류탑은 1기의 증류탑으로 2기의 증류탑의 효과를 가지므로, 네오펜틸글리콜을 정제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공정 장치에 비해 에너지 절감 효과는 물론 장치의 설비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DIVIDING WALL COLUMN FOR PURIFICATION OF NEOPENTYL GLYCOL, AND PURIFICATION METHOD OF NEOPENTYL GLYCOL}
본 발명은 네오펜틸글리콜 정제용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네오펜틸 글리콜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유(Crude Oil)등과 같은 각종 원료물질은 통상적으로 수많은 화합물질의 혼합물인 경우가 많아 그 자체로 산업에 이용되는 것은 드물고 각각의 화합물로 분리된 후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혼합물을 분리하는 화학공정 중 대표적인 것이 증류공정이다. 통상적으로 증류공정은 고비점 성분과 저비점 성분을 양분하므로, 분리하고자 하는 혼합물의 성분 개수(n)보다 하나 적은 개수(n-1)의 증류탑을 사용하게 된다. 즉, 종래의 증류산업 현장에서 크루드 원료로부터 고순도의 제품을 분리하기 위한 공정은 대부분 연속 2기의 증류탑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증류공정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다. 종래의 공정은 제1탑(11)에서 가장 저비점 성분(D)을 분리하고, 제2탑(21)에서 중비점 성분(S)과 고비점 성분(B)을 분리하는 2 탑 방식이다.
통상적인 알코올류의 증류공정인 기존의 2기 컬럼 증류방식에서 첫번째 컬럼 내의 조성 프로파일(profile)은 도 2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첫번째 컬럼 하부 영역에서 중비점(B)물질의 재혼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네오펜틸글리콜을 중비점으로 분리할 경우 첫번째 컬럼 내의 조성 프로파일은 도 3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오펜틸글리콜의 경우도 첫번째 컬럼 하부 영역에서 재혼합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정은 제품 생산물의 조성은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반면, 첫번째 증류탑 내에서 중간 비점 물질의 재혼합 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증류탑에서의 열역학적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 되어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추가로 소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증류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열통합 구조에 의하여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대표적인 예로 도 4와 같이 페트류크(Petlyuk) 증류탑 구조를 들 수 있다. 페트류크(Petlyuk) 증류탑은 예비분리기(12)와 주분리기(22)를 열적으로 통합된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저비점 물질과 고비점 물질을 1 차적으로 예비분리기에서 분리한 다음, 예비분리기의 탑정 부분과 탑저 부분이 주분리기의 공급단으로 각각 유입되어 주분리기에서 저비점(D), 중비점(S), 고비점(B) 물질을 각각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페트류크(Petlyuk) 증류탑 내의 증류곡선이 평형증류곡선과 유사하게 되어 에너지 효율을 높게 만든다. 하지만 공정의 설계 및 운전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탑 내의 압력 균형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네오펜틸글리콜 정제용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은,
응축기, 재비기 및 분리벽을 포함하는 주탑을 포함하는 분리벽형 증류탑에 있어서,
주탑은 탑정구역, 상부 공급구역, 상부 유출구역, 하부 공급구역, 하부 유출구역 및 탑저구역으로 구분되며, 1 개 이상의 유입 흐름과 3개 이상의 유출 흐름을 가지고,
유입 흐름은 크루드 네오펜틸글리콜이 함유된 원료(F)가 주탑의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이 접하는 공급 중간단(NR1)으로 유입되는 것이고,
유출 흐름 중 하나 이상은 네오펜틸글리콜 흐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DWC: Dividing Wall Column)은 페트류크(Petlyuk) 증류탑과 열역학적 관점에서는 유사하나 구조적인 관점에서 탑 내에 분리벽을 설치함으로써 예비분리기를 주분리기 내부에 통합시킨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의 증류탑은 예비분리기와 주분리기 간의 압력 균형의 어려움과 이로 인한 운전 상의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해소해 줌으로써 운전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2기의 증류탑이 하나로 통합되어 투자 비용도 대폭 절감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기, 재비기, 및 분리벽을 포함하는 주탑을 포함하는 분리벽형 증류탑에 있어서,
상기 주탑은 탑정구역, 상부 공급구역, 상부 유출구역, 하부 공급구역, 하부 유출구역 및 탑저구역으로 구분되고,
크루드 네오펜틸글리콜이 함유된 원료(F)가 주탑의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이 접하는 공급중간단(NR1)으로 유입되고, 저비점 성분(D)은 탑정구역에서 유출되고, 고비점 성분(B)은 탑저구역에서 유출되고, 중비점 성분(S)은 상부 유출구역 및 상기 하부 유출구역이 접하는 유출중간단(NR2)으로 유출되며,
상기 중비점 성분은 실질적으로 네오펜틸글리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벽형 증류탑을 제공한다.
상기 원료(F)는 네오펜틸글리콜 함량이 55 중량% 이상, 또는 8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은 주탑(1)과 주탑(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된 응축기(31)과 재비기(41)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기(31)는 가스 상태의 혼합물의 기화열을 빼앗아 응축시키는 장치로서, 종래 화학공학 장치에 사용되는 응축기를 비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비기(41)는 액체 상태의 혼합물에 기화열을 제공하여 기화시키는 장치로서, 종래 화학공학 장치에 사용되는 재비기를 비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탑(1)은 크게 6 부분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탑정구역(100)은 분리벽이 없는 주탑의 상부의 영역을 말한다. 상부 공급구역(200)은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입물(원료) 흐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이다. 상부 유출구역(300)은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출물 흐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이다. 하부 공급구역(400)은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입물 흐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이다. 하부 유출구역(500)은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출물 흐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이다. 또한, 탑저구역(600)은 분리벽이 없는 주탑의 하부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주탑(1)은 적어도 1개의 유입 흐름 및 적어도 3개의 유출 흐름을 갖는다. 유입 흐름은 크루드 네오펜틸글리콜인 원료(F)가 주탑(1)의 상부 공급구역(200) 및 하부 공급구역(400)이 접하는 공급중간단(NR1)으로 유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유출 흐름으로는, 탑정구역(100)에서 유출되는 저비점 성분(D), 탑저구역(600)에서 유출되는 고비점 성분(B), 상부 유출구역(300) 및 하부 유출구역(500)이 접하는 유출중간단(NR2)으로 유출되는 중비점 성분(S)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유출중간단(NR2)으로 유출되는 중비점 성분(S)은 실질적으로 네오펜틸글리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루드 네오펜틸글리콜 원료’라 함은 주성분이 네오펜틸글리콜인 혼합물로서, 당해 증류공정의 목적물(증류 대상물)인 것을 말하고, 상기 ‘주성분’은 혼합물 각각의 개별성분 중 가장 많이 포함된 일성분을 칭하는 것이다. 고순도의 네오펜틸글리콜을 얻기 위해서는, 크루드 네오펜틸글리콜 원료의 네오펜틸글리콜 함량이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99 중량% 이상의 고순도 네오펜틸글리콜을 얻기 위해서는 5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네오펜틸글리콜인 것’의 의미는 그 혼합물 자체를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네오펜틸글리콜로서 간주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구체적으로는, 네오펜틸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급원료에 비해 네오펜틸글리콜 함량이 더 높으며, 네오펜틸글리콜 성분이, 전체 혼합물에 있어서, 적어도 90 중량% 초과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분리벽형 증류공정이 종래의 연속 2기 증류공정보다 에너지가 적게 소요되는 이유는 구조적 차이로 해석할 수 있다. 분리벽형 증류탑에서는 분리벽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이 예비분리기의 역할을 하므로 고비점 물질과 저비점 물질의 분리로 인해 액체 조성이 평형증류곡선과 거의 일치하게 되고 재혼합(remixing) 효과가 억제되어 분리를 위한 열역학적 효율이 향상된다.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은 종래 공정의 예비분리기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즉,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을 통칭하여 예비분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예비분리영역으로 유입되는 원료 성분은 저비점 물질과 고비점 물질로 분리된다. 예비분리영역에서 분리된 저비점 성분과 고비점 성분의 일부는 탑정구역으로 유입되고, 일부는 다시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으로 유입되어 재증류된다.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은 종래 공정의 주분리기 역할을 한다. 즉,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을 통칭하여 주분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주분리영역의 분리벽 상부 부분에서는 주로 저비점 물질과 중비점 물질로 분리되고, 하부 부분에서는 주로 중비점 물질과 고비점 물질이 분리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조성 프로파일(profile)은 도 6과 같다.
저비점 성분은 주탑의 탑정구역과 응축기를 거친 후 일부는 저비점 제품(D)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는 액상 유량(LD)으로 다시 주탑의 탑정구역으로 환류된다. 또한, 고비점 성분은 주탑의 탑저구역과 재비기를 거친 후 일부는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는 기상 유량(VB)으로 다시 주탑의 탑저구역으로 환류된다.
분리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의 설계는 기존의 열복합형 증류탑의 설계를 기초로 하며 최소단 탑 설계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증류탑의 효율은 탑내 증류단의 액체조성 분포가 평형증류곡선과 유사할 때 최대가 되므로 우선 전환류 조작으로 증류탑이 운전된다고 가정하여 최소단 증류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즉, 원료공급단에서의 액체조성과 원료의 조성이 같다고 가정하고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을 설계하며,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은 중비점 제품의 농도를 시작으로 계단식 평형조성 설계법에 의해 탑중간에서 상부로 탑내의 액체조성을 계산하고 다시 주분리기의 역할을 하는 하부 유출구역을 중간비점 제품의 농도를 시작으로 탑중간에서 탑저로 평형조성 계산법에 의해 계단식으로 탑내의 액체조성을 차례차례 계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액체조성의 분포로부터 원료공급단과 제품의 조성을 가지는 단의 수를 헤아리면 예비분리기의 역할을 하는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 및 주분리기 역할을 하는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 단수를 각각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진 탑의 단수는 이론단수로서, 이상적인 단수이기 때문에 실제 탑에서 단수는 통상의 설계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에서는 탑정구역, 상부 공급구역, 상부 유출구역, 하부 공급구역, 하부 유출구역 및 탑저구역에 각각 구비되는 단수는,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되는 이론단수의 90 내지 140 %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산출된 이론단수의 90% 미만일 경우에는 예비분리영역에서 저비점과 고비점 물질의 분리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140% 초과일 경우에는 최소환류비 영역이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으며, 투자비만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주탑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벽의 길이는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 또는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의 증류곡선에 따라 산출된 단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된다. 분리벽형 증류탑에서 최적의 분리벽 구간을 설계할 때 예비분리영역과 주분리영역과의 액체 조성에 대한 평형증류 곡선방법 등으로 분리벽 구간을 정하여 이론단수 및 환류량 등을 구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펜스케-언더우드(Fenske-Underwood) 식을 이용하여 이론단수를 구하였다. 상기 펜스케-언더우드(Fenske-Underwood) 식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식이다.
상기 분리벽의 길이는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되는 탑정구역, 상부 공급구역, 하부 유출구역 및 탑저구역 전체 이론단수의 40 내지 85% 범위일 수 있다. 40% 미만일 경우에는 예비분리영역에서 저비점 물질 일부가 하부로 쳐저 주분리기의 제품으로 포함될 우려가 있고, 85% 초과일 경우에는 컬럼 내부에서 저비점/중비점 물질의 액상/기상 및 중비점/고비점 물질의 액상/기상의 원할한 평형흐름을 유지하기 어려워 컬럼 제작상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네오펜틸글리콜을 정제하기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의 운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탑정구역의 온도는, 0.235 내지 0.328 atm의 탑정구역의 압력에서 110 내지 12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110℃ 미만인 경우에는 저비점 물질이 예비분리영역 하부로 처질 수 있어 제품 순도에 영향을 끼치고,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부로 고비점 물질(HEAVIES)이 예비 분리영역 상부로 올라가 제품 순도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탑저구역의 온도는, 0.235 내지 0.328 atm의 탑정구역의 압력에서 172 내지 182℃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172℃ 미만인 경우에는 제품인 중비점 물질이 하부로 떨어져 제품 생산량이 감소하고, 18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비점 물질(HEAVIES)이 제품인 중비점 물질과 함께 측류유출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이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중비점(S) 성분이 유출되는 유출중간단(NR2)의 온도는, 0.235 내지 0.328 atm의 탑정구역의 압력에서 170 내지 178℃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170℃ 미만인 경우에는 저비점 물질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178℃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비점 물질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제품 순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증류탑을 감압 또는 가압 운전할 경우 상기 온도범위는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력이 상승할 수록 상한온도 및 하한온도는 상승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온도와 압력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1 내지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탑정구역의 온도는, 0.141 내지 0.422 atm의 탑정구역 압력에서, 104.8 내지 149.4℃ 범위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탑저구역의 온도는, 0.141 내지 0.422 atm의 탑정구역 압력에서, 160.3 내지 190.6℃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이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중비점(S) 성분이 유출되는 유출중간단(NR2)의 온도는, 0.141 내지 0.422 atm의 탑정구역 압력에서, 171.1 내지 208.0℃ 범위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분할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은 3성분 혼합물에 대한 증류시스템의 탑 효율 개선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 시스템은 주탑 내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고효율인 평형증류의 증류시스템과 유사한액 조성 분포를 가지는 예비분리기 및 주분리기의 기능을 하는 공간이 형성토록 하여 2기의 증류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을 이용하여 네오펜틸글리콜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분리벽형 증류탑에 크루드 네오펜틸글리콜 원료를 제공하여 네오펜틸글리콜을 분별증류함으로써, 고순도의 네오펜틸글리콜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은, 응축기, 재비기 및 분리벽을 포함하는 주탑을 포함하며,
주탑은 탑정구역, 상부 공급구역, 상부 유출구역, 하부 공급구역, 하부 유출구역 및 탑저구역으로 구분되며, 1 개 이상의 유입 흐름과 3개 이상의 유출 흐름을 가지고,
유입 흐름은 크루드 네오펜틸글리콜이 함유된 원료(F)가 주탑의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이 접하는 공급 중간단(NR1)으로 유입되는 것이고,
유출 흐름은, 탑정구역에서 유출되는 저비점 성분(D), 탑저구역에서 유출되는 고비점 성분(B), 및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이 접하는 유출중간단(NR2)으로 유출되는 중비점 성분(S)을 포함하며, 유출중간단(NR2)으로 유출되는 흐름은 실질적으로 네오펜틸글리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은 1기의 증류탑으로 2기의 증류탑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네오펜틸글리콜을 정제하기 위한 종래의 공정 장치에 비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장치의 설비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고순도의 네오펜틸글리콜을 생산하기 위한 2기 컬럼 방식의 증류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2기 컬럼 방식의 증류공정에서 첫번째 컬럼 내의 조성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2기 컬럼 방식의 증류공정에서 첫번째 컬럼 내의 네오펜틸글리콜의 조성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페트류크(Petlyuk) 증류탑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의 컬럼내 조성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을 이용하여 네오펜틸글리콜을 증류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2기 컬럼 방식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네오펜틸글리콜을 증류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본 발명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분리벽형 증류탑(DWC)을 설계 제작하여 운전을 실시하였다. 실제 운전을 통하여 요구하는 제품의 조성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는 종래의 분리벽 없는 2기의 증류탑을 사용하고, 실시예는 분리벽이 있는 1기의 증류탑을 사용하였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을 이용한 경우이고, 도 7은 종래의 2 기의 컬럼을 포함하는 증류탑을 이용한 경우이다. 도 6 및 도 7의 번호 1 내지 8 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개별 흐름(stream)을 나타내는 식별번호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는 표 1과 같은 이론단수를 가졌으며, 실험결과는 하기 표 2 내지 3과 같다. 표 2는 실시예에 따른 흐름별 조건 및 조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3은 비교예에 따른 흐름별 조건 및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항목 이론단수
실시예 탑정 구역(100) 20
상부 공급구역(200) 8
상부 유출구역(300) 20
하부 공급구역(400) 25
하부 유출구역(500) 10
탑저 구역(600) 10
비교예 첫번째 컬럼 35
두번째 컬럼 30
실시예 흐름 번호 1 2 3 4 5 6
조건 온도(℃) 147 50.1 50.1 50.1 152.5 182.4
압력(atm) 5.716 0.1971 0.1971 0.1971 0.1690 0.3657
유량(kg/hr) 23302.6 14500 2427.3 6759.7 13100 1015.79
조성 저비점(중량%) 39.30 99.30 99.60 99.30 0.10 2.90
중비점(NPG)
(중량%)
59.30 0.40 0.40 0.70 99.80 78.50
고비점(중량%) 1.40 0.00 0.00 0.00 0.10 18.60
합계(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흐름 번호 1 2 3 4 5 6 7 8
조건 온도(℃) 147.1 50.1 50.1 50.1 173.5 152.5 152.5 170.3
압력(atm) 3.842 0.2018 0.2018 0.2018 0.3151 0.1652 0.1652 0.2383
유량(kg/hr) 23002.8 16713 2444.6 6559.2 13999 2000 12954.1 899
조성 저비점(중량%) 39.30 99.40 99.50 99.40 0.50 0.40 0.40 2.20
중비점(중량%) 59.30 0.60 0.50 0.60 97.00 99.40 99.40 61.40
고비점(중량%) 1.40 0.00 0.00 0.00 2.50 0.20 0.20 36.40
합계(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2 및 3을 비교하면, 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튜탑을 이용하면 재혼합 현상 제거 및 분리 효율 증가로 인해 99.8 wt%의 고순도 네오펜틸글리콜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제품 순도증가로 인한 네오펜틸글리콜의 추가적인 정류 리싸이클(recycle)단계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표 4는 실시예(DWC)와 비교예(기존)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절감율을 산출한 결과이다.
비교예 실시예 절감량
(MMKcal/hr)
절감율(%)
에너지 소비량
(MMKcal/hr)
첫번째 컬럼 두번째 컬럼 합계 4.48 2.5 35.8
4.63 2.35 6.98
기존 증류탑을 이용한 비교예는 컬럼 2 기와 열교환기 4 기가 요구되지만,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은 컬럼 1 기와 열교환기 2 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은 투자비 측면에서 기존 투자비 대비 약 30% 정도 절감 가능하다. 특히, 에너지 절감율은 기존 대비 약 35.8%로 크게 절감되었다.
1: 주탑 11: 제1탑
21: 제2탑 12: 예비분리기
22: 주분리기 31: 응축기
41: 재비기 51: 분리벽
100: 탑정구역 200: 상부 공급구역
300: 상부 유출구역 400: 하부 공급구역
500: 하부 유출구역 600: 탑저구역
NR1: 공급중간단 NR2: 유출중간단
F: 원료(피드) B: 고비점 물질
D: 저비점 물질 S: 중비점 물질

Claims (10)

  1. 분리벽이 없는 주탑의 상부의 영역인 탑정구역;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입물 흐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인 상부 공급구역;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출물 흐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인 상부 유출구역;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입물 흐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인 하부 공급구역; 분리벽에 의해 일면이 구획되는 영역이고, 유출물 흐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서브영역 하부 유출구역; 및 분리벽이 없는 주탑의 하부 영역인 탑저구역을 포함하는 주탑;
    주탑의 상부 공급구역 및 상부 유출구역, 그리고 주탑의 하부 공급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을 각각 분리하는 분리벽;
    주탑의 상단에 연결된 응축기; 및
    주탑의 하단에 연결된 재비기를 포함하며,
    1개의 유입 흐름과 3개의 유출 흐름을 가지고,
    상기 유입 흐름은 네오펜틸글리콜이 55 중량% 이상 함유된 원료가 주탑의 상부 공급구역 및 하부 공급구역이 접하는 공급 중간단으로 유입되는 것이고,
    상기 유출 흐름은 저비점 성분은 탑정구역에서 유출되고, 고비점 성분은 탑저구역에서 유출되고, 중비점 성분은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이 접하는 유출중간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고비점 성분은, 0.235 내지 0.328 atm의 탑정구역의 압력에서, 110 내지 120℃ 범위의 탑정구역 온도에서 분리되는 성분이고,
    중비점 성분은, 0.235 내지 0.328 atm의 탑정구역의 압력에서, 170 내지 178℃ 범위의 유출중간단 온도에서 분리되는 성분이고,
    저비점 성분은, 0.235 내지 0.328 atm의 탑정구역의 압력에서, 172 내지 182℃ 범위의 탑저구역 온도에서 분리되는 성분이고,
    중비점 성분은 네오펜틸글리콜 흐름이고,
    탑정구역의 온도는, 0.141 내지 0.422 atm의 탑정구역 압력에서, 104.8 내지 149.4℃ 범위이고,
    탑저구역의 온도는, 0.141 내지 0.422 atm의 탑정구역 압력에서, 160.3 내지 190.6℃ 범위이고,
    상부 유출구역 및 하부 유출구역이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중비점 성분이 유출되는 중간단의 온도는, 0.141 내지 0.422 atm의 탑정구역 압력에서, 171.1 내지 208.0℃ 범위인 분리벽형 증류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출중간단으로 유출되는 네오펜틸글리콜 흐름은,
    네오펜틸글리콜 순도가 99 중량% 이상인 분리벽형 증류탑.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주탑의 탑정구역, 상부 유출구역, 하부 공급구역, 하부 유출구역 및 탑저구역에 구비되는 각 구역별 단수는, 펜스케-언더우드(Fenske-Underwood) 식을 통해 산출되는 이론단수의 90 내지 140% 범위인 분리벽형 증류탑.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탑정구역, 상부 공급구역, 하부 유출구역 및 탑저구역에 대하여 펜스케-언더우드(Fenske-Underwood) 식을 통해 산출되는 전체 이론단수의 40 내지 85% 범위인 분리벽형 증류탑.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벽형 증류탑을 이용하여 네오펜틸글리콜을 정제하는 방법.
KR1020100138239A 2010-12-29 2010-12-29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KR10153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239A KR101530102B1 (ko) 2010-12-29 2010-12-29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PCT/KR2011/010131 WO2012091396A2 (ko) 2010-12-29 2011-12-27 고순도 네오펜틸글리콜 생산을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201180063741.9A CN103282336B (zh) 2010-12-29 2011-12-27 用于生产高纯度新戊二醇的隔壁塔以及使用其的制造方法
EP11852228.3A EP2660230B1 (en) 2010-12-29 2011-12-27 Method for producing high-purity neopentyl glycol using a dividing wall column
JP2013547326A JP5783491B2 (ja) 2010-12-29 2011-12-27 高純度のネオペンチルグリコール生産のための分離壁型蒸留塔及びこれを利用した製造方法
US13/929,578 US8864948B2 (en) 2010-12-29 2013-06-27 Dividing wall column for producing high-purity neopentyl glyco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239A KR101530102B1 (ko) 2010-12-29 2010-12-29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196A KR20120076196A (ko) 2012-07-09
KR101530102B1 true KR101530102B1 (ko) 2015-06-18

Family

ID=4638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239A KR101530102B1 (ko) 2010-12-29 2010-12-29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4948B2 (ko)
EP (1) EP2660230B1 (ko)
JP (1) JP5783491B2 (ko)
KR (1) KR101530102B1 (ko)
CN (1) CN103282336B (ko)
WO (1) WO20120913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5928B (zh) * 2009-03-19 2014-03-12 Lg化学株式会社 用于制备高纯度2-乙基己醇的分隔壁蒸馏塔和采用该分隔壁蒸馏塔的分馏方法
CN102657949B (zh) * 2012-05-09 2013-03-06 河北工业大学 一种提高隔壁塔热力学效率的方法和隔壁塔
KR101582001B1 (ko) * 2012-06-28 2015-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WO2014112808A1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칸올의 제조 장치
JP6329962B2 (ja) * 2013-01-16 2018-05-2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アルカノールの製造装置
KR101728905B1 (ko) * 2014-09-26 2017-05-02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네오펜틸글리콜의 정제 방법
KR102006422B1 (ko) * 2015-06-08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증류 장치
KR101952690B1 (ko) 2015-09-07 2019-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글리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218315B (zh) * 2015-10-09 2017-06-13 吴嘉 一种使用分隔壁精馏塔结合热泵精制甲醇的方法及装置
JP2017165693A (ja) * 2016-03-17 2017-09-21 株式会社ダイセル 酢酸の製造方法
KR102034179B1 (ko) * 2017-09-25 2019-10-18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리덴의 정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1496A (en) * 1974-06-26 1977-05-03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neopentyl glyc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1134A (en) * 1946-07-17 1949-05-24 Standard Oil Dev Co Fractionation apparatus
US4855515A (en) * 1987-08-12 1989-08-08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eopentyl glycol
US4935555A (en) * 1988-11-25 1990-06-19 Elias Carole L Purification of neopentyl glycol
JP3224547B2 (ja) * 1996-10-22 2001-10-29 エルジー・ケミカル・リミテッド ネオペンチルグリコールの連続的製造方法
DE19733903A1 (de) * 1997-08-05 1999-02-11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Hydroxxpivalinsäureneopentylglykolester (HPN)
JP4558870B2 (ja) * 1999-11-08 2010-10-06 株式会社日本触媒 塔式処理方法および装置
DE10021703A1 (de) * 2000-05-04 2001-11-08 Basf Ag Verfahren zur destillativen Trennung von Tetrahydrofuran, gamma-Butyrolacton und/oder 1,4-Butandiol enthaltenden Gemischen
DE10100552A1 (de) 2001-01-09 2002-07-11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stillativen Aufarbeitung von 1,6-Hexandiol, 1,5-Pentandiol ung Caprolacton
DE10160180A1 (de) * 2001-12-07 2003-06-18 Basf Ag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Trimethylolpropan aus einem Reaktionsgemisch
DE10233382A1 (de) * 2002-07-23 2004-01-29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 betriebenen Reindestillation des bei der koppel-produktfreien Synthese von Propylenoxid anfallenden 1.2-Propylenglyko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1496A (en) * 1974-06-26 1977-05-03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neopentyl gly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396A2 (ko) 2012-07-05
JP5783491B2 (ja) 2015-09-24
CN103282336A (zh) 2013-09-04
US8864948B2 (en) 2014-10-21
US20130292243A1 (en) 2013-11-07
KR20120076196A (ko) 2012-07-09
EP2660230A4 (en) 2014-09-17
CN103282336B (zh) 2015-08-05
WO2012091396A3 (ko) 2012-10-04
EP2660230B1 (en) 2017-09-27
JP2014508735A (ja) 2014-04-10
EP2660230A2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488B1 (ko) 고순도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생산을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530102B1 (ko) 네오펜틸글리콜 정제를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정제방법
KR101191122B1 (ko) 고순도 노르말 부탄올 생산용 분리벽형 증류탑, 및 노르말 부탄올 증류방법
KR101165371B1 (ko) 고순도 아크릴산 생산을 위한 분리벽형 증류탑 및 이를 이용한 분별증류방법
JP5720669B2 (ja) 高純度の2−エチルヘキサノール生産のための分離壁型蒸留塔及びこれを利用した分別蒸留方法
KR101146221B1 (ko) 분리벽형 증류탑
KR101251176B1 (ko) 노르말 부탄올 회수용 분리벽형 증류탑
KR101632772B1 (ko) 펜탄 혼합물 분리용 증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펜탄 혼합물 분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