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527A -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527A
KR20050041527A KR1020030076730A KR20030076730A KR20050041527A KR 20050041527 A KR20050041527 A KR 20050041527A KR 1020030076730 A KR1020030076730 A KR 1020030076730A KR 20030076730 A KR20030076730 A KR 20030076730A KR 20050041527 A KR20050041527 A KR 2005004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nsumable
memory
develop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897B1 (ko
Inventor
엄윤섭
안승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897B1/ko
Priority to US10/934,371 priority patent/US7177551B2/en
Priority to CNB2004100826821A priority patent/CN1326705C/zh
Priority to JP2004314061A priority patent/JP4826876B2/ja
Publication of KR2005004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예를 들어 복합기, 프린터 등에 널리 채용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당 소모품에 메모리를 부가하여 이 메모리를 통해 소모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과 관련한 데이터의 읽기/쓰기가 가능한 메모리 수단을 상기 소모품에 내장시키고, 상기 메모리 수단을 통해 상기 소모품의 관리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카트리지와 관련되는 신호라인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리필(Refill)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적으로 소모품을 관리하기 때문에 노이즈에 덜 민감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consumption goods of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memory}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예를 들어 복합기, 프린터 등에 널리 채용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당 소모품에 메모리를 부가하여 이 메모리를 통해 소모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나 프린터, 복사기 혹은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복합기 등은 모두 공통적으로 인쇄 기능을 바탕으로 제작된 제품들이며, 따라서 이들 제품들은 화상형성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와 화상형성장치의 엔진부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 보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 컴퓨터와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여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20),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과 제어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0),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엔진부(50),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엔진부(50)를 구동하는 엔진제어부(40),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엔진부(50)의 각 롤러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제공부(80), 및 엔진부(50)에서의 용지 걸림이나 인쇄용지의 유무 등과 같은 인쇄중 발생되는 문제들을 감지하는 센서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엔진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상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기 위하여 대전롤러(51), 감광드럼(52), 노광장치(Laser Scan Unit :LSU)(53), 현상롤러(54), 공급롤러(55), 전사롤러(56), 및 정착기(57)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현상롤러(54)와 전사롤러(56)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 인쇄를 위한 칼라 현상 카트리지들(YC, MC, CC, BC) 및 중간전사벨트(ITB;Image Transfer Belt)와 연관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도 2의 구성을 갖는 엔진부(50)의 인쇄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고전압제공부(80)는 엔진부(50)의 각 롤러(51, 54, 55, 56, 57)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여기서, 고전압제공부(High Voltage Power Supply : HVPS)(80)는 통상적으로 대전롤러(51)에 -1.4kV의 대전전압, 전사롤러(56)에는 +2.0kV의 전사전압, 현상롤러(54)에는 300V의 현상전압, 공급롤러(55)에는 500V의 공급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고압의 대전전압에 의해 대전된 대전롤러(51)가 감광드럼(52)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감광드럼(5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킨다. 이때, 노광장치(53)는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광을 감광드럼(52)에 주사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따라 노광장치(53)는 내부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미도시)가 온(on)되면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화상광을 감광드럼(52)에 방사한다. 감광드럼(52)의 표면상에는 노광장치(53)에서 방사된 화상광에 의해 대전된 인쇄하고자 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고압제공부(80)로부터 고전압을 인가 받은 공급롤러(55)와 공급롤러(55)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을 인가 받은 현상롤러(54)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공급롤러(55)에서 현상롤러(54)로 음전하 성분을 띈 토너가 이동되고, 현상롤러(54)로 공급된 토너는 감광드럼(52)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고압제공부(80)로부터 고전압이 제공된 전사롤러(56)는 감광드럼(52)의 표면의 정전잠상에 토너가 도포됨으로서 형성된 가시상을 인쇄용지에 전사시킨다. 인쇄용지에 전사된 가시상은 정착기(57)의 고열 및 압력에 의해 인쇄용지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과정이 종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특히 칼라로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소모품을 필요로 하는데, 소모품의 예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YC)(MC)(CC)(BC), 중간 전사 벨트 유닛(ITB) 및 감광드럼 유닛 등이 있다. 도 3에서, YC로 지시된 현상 카트리지는 옐로우(Yellow) 색상을 위한 현상 카트리지이고, MC로 지시된 현상 카트리지는 마젠타(Magenta) 색상을 위한 현상 카트리지, CC로 지시된 현상 카트리지는 시안(Cyan) 색상을 위한 현상 카트리지, BC로 지시된 현상 카트리지는 블랙(Black) 색상을 위한 현상 카트리지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칼라 인쇄를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기존의 소모품들은 키(Key) 저항(Ry, Rm, Rc, Rb, Ri, Ro)를 포함하는데, 이들 키 저항들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0)가 해당 소모품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및/또는 리필(Refill)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 및/또는 해당 소모품의 수명을 감지하기 위한 역할 등을 한다.
각 소모품들에 내장된 키 저항들 각각은,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상장치의 메인보드(Main Board)(1)에 실장되는 풀업(Pull-up) 저항(R1)들과 연결되고, 그 공통 연결점은 제어부(10)의 각 포트(Port)에 연결된다. 키 저항들 각각의 한쪽 단자는 그라운드(Ground) 되고, 풀업 저항(R1) 각각의 한쪽 단자는 공급전압(Vcc)을 인가받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당 소모품들의 이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또는 해당 소모품의 내용물(예; 잉크 또는 토너)이 소모됨에 따라 키 저항값들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하게 되고, 키 저항값들이 변화함에 따라 제어부(10)에 인가되는 전압값도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제어부(10)는 인가되는 상기 전압값을 통해 해당 소모품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및/또는 리필(Refill)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 및/또는 해당 소모품의 수명을 감지하기 위한 역할 등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에 키 저항을 내장시켜 소모품을 관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각 소모품에 내장된 키 저항을 개별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소모품의 개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키 저항 감지 포트(Port)가 필요하였다.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10)는 현상카트리지 4개와 중간전사벨트 및 감광드럼의 각 키 저항을 감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의 감지 포트가 필요하다. 즉, 기존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소모품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해당 키 저항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포트가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둘째, 해당 소모품의 키 저항에 대응되는 각각의 포트가 개별적으로 제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복잡할 수 밖에 없었다.
셋째, 해당 소모품의 키 저항을 제어부의 해당 포트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신호 연결선 및/또는 하네스(Harness)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장치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에 키 저항을 내장시켜 소모품을 관리하는 경우, 해당 소모품의 내용물(예; 현상 카트리지의 잉크 또는 토너)을 리필(Refill) 해도 상기 키 저항은 상기 리필 사실을 실질적으로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모품의 리필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에 키 저항을 내장시켜 소모품을 관리하는 경우, 해당 소모품을 제조하는 오이엠 벤더(OEM Vendor)가 많으면 해당 소모품의 오이엠(OEM) 구분 및 오이엠 벤더 구분을 일일이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해당 소모품에 메모리를 내장하여 이 메모리를 통해 소모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단순하게 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저가격화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해당 소모품에 내장되어 상기 해당 소모품과 관련한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클록(Clock)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클록 단자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기/쓰기 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 및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Ground)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품이 복수개인 경우, 각 소모품의 메모리 수단에 마련된 상기 클록 단자와 데이터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는 동일한 단자끼리 공통으로 접속되어 이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에는 현상 카트리지와, 중간전사벨트 유닛(Unit) 및 감광드럼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와,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 시안 현상 카트리지,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의 전원공급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클록 단자 또는 데이터 단자에 인가되는 클록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메모리 수단에는 현상 토너의 잔량 데이터가 기록된다. 한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데이터 정보에는 해당 현상 카트리지의 ID, 현상 토너 용량, 제조사, 제품 일련번호, 제조 년월일, 현상 토너 색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데이터 정보에는 해당 소모품을 인식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구성부재와 본 발명에 의한 구성부재가 동일한 경우에는 종래기술에서 사용하였던 도면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는 소모품, 예를 들어 현상 카트리지(120, 130, 140, 150)와 중간전사벨트 유닛(160) 및 감광드럼 유닛(170)에 각각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165, 175)를 내장시킨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내장되는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에는 각각 클록 단자와 데이터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가 마련되고, 이들 단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 구동부(110)에 접속된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내장되는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의 각 단자는 같은 단자끼리 공통으로 접속되어 메모리 구동부(110)에 접속된다. 따라서, 메모리 구동부(110)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수에 상관없이 상기 메모리 회로부를 위한 접속 단자의 수에는 변동이 없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하드웨어가 그만큼 단순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는 클록 단자를 통해서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받는다. 즉, 메모리 구동부(110)의 클록 신호는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의 전원 신호로도 작용한다. 이와 같이 클럭 신호가 전원으로도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도 6에서 클록 신호가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에 입력되면, 클럭 신호의 펄스는 커패시터(C1, C2)로 이루어지는 차지 펌핑(Charge Pumping) 회로에 의해 평활되기 때문이다. 도 6에서 다이오드(D1)는 차지 펌핑 회로에 의한 전압이 역으로 클럭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도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메모리 구동부(110)의 클록 신호가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에 공급될 때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는 메모리 구동부(1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즉 데이터를 읽기/쓰기 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와 메모리 구동부(110)가 주고 받는 데이터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에 기록되는 현상 토너의 잔량 데이터와, 해당 현상 카트리지의 ID, 현상 토너 용량, 제조사, 제품 일련번호, 제조 년월일, 현상 토너 색상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정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소모품을 인식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도 10에서 디바이스 어드레스(DEVICE ADDRESS)는 현상 카트리지(120, 130, 140, 150), 중간전사벨트 유닛(160), 또는 감광드럼 유닛(170)을 식별하기 위한 어드레스이고, 워드 어드레스(WORD ADDRESS)는 메모리 회로부를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이다. 그리고 데이터(DATA) 부분은 소모품의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의 전원이 클록 신호에 의해 공급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데이터 신호에 의해서도 공급될 수 있다. 즉,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는 도 5의 오른쪽편에 도시한 중간전사벨트 유닛(160) 및 감광드럼 유닛(170)에서와 같이 별도의 전원(Vcc) 단자를 마련하여 이 전원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간전사벨트 유닛(160)과 감광드럼 유닛(170)에 각각 내장되는 메모리 회로부(165, 175)에는 전원(Vcc) 단자와, 클록(CLOCK) 단자, 데이터(DATA) 단자, 및 그라운드(GND) 단자가 마련되고, 이들 단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 구동부(110)에 접속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 유닛(160)과 감광드럼 유닛(170)에 각각 내장되는 메모리 회로부(165, 175)의 각 단자는 같은 단자끼리 공통으로 접속되어 메모리 구동부(110)에 접속된다. 따라서, 메모리 구동부(110)는 상기 소모품 유닛의 수에 상관없이 이들 유닛에 내장되는 상기 메모리 회로부를 위한 접속 단자의 수에는 변동이 없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그만큼 단순화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모리 회로부(165, 175)는 전원(Vcc) 단자를 통해서 메모리 회로부(165, 175)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받지만, 도 6의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와 같이 전원 단자를 배제하고 클럭 단자(또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해서 메모리 회로부(165, 175)에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 회로부(165, 175)는 메모리 구동부(1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메모리 회로부(165, 175)와 메모리 구동부(110)가 주고 받는 데이터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중간전사벨트 유닛(160) 및 감광드럼 유닛(170)의 수명과 관련된 카운터 사용 정보, 해당 유닛의 ID, 해당 유닛의 카운터 크기, 제조사, 제품 일련번호, 제조 년월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정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중간전사벨트 유닛(160) 및 감광드럼 유닛(170)을 각각 인식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00)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100)는 메모리 구동부(110)에 클록 신호를 제공하고, 현상 카트리지((120, 130, 140, 15) 및 중간전사벨트(160)와 관련된 데이터를 메모리 구동부(110)에 전달하거나 수신한다. 도 8에서 본 발명과 관련있는 중간전사벨트 제어신호와 현상 카트리지 제어신호 이외에 기재된 도면부호들은 별다른 의미없이 참고삼아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 연관성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이는 현상 카트리지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 및 중간전사벨트 유닛 메모리 회로부(165)에 각각 연관되는 메모리 구동부(110)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메모리 구동부(110)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00)와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165) 사이에 개재되어 제어부(100)의 클럭 신호를 상기 메모리 회로부에 제공하고, 이들 사이에서 소모품의 관리를 위한 데이터 정보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메모리 회로부(125, 135, 145, 155)(165)(175)는 널리 공지된 EEPROM 형태로 제조되거나 ASIC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와 메모리 구동부(110)는 바람직하게 ASIC 형태로 제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조방법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상세회로도에 있어서, 회로소자 옆에 기재된 도면부호들은 단순히 다른 회로소자와 구별하기 위해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해당 소모품에 메모리를 내장하여 이 메모리를 통해 소모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단순하게 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저가격화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카트리지와 관련되는 신호라인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리필(Refill)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적으로 소모품을 관리하기 때문에 해당 장치의 노이즈에 덜 영향을 받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엔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키 저항의 키 저항값 변이 그래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에 내장되는 메모리 회로부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중간전사벨트 유닛에 내장되는 메모리 회로부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모리 구동부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데이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장치 제어부 110 : 메모리 구동부
120 : 현상 카트리지(Yellow) 130 : 현상 카트리지(Magenta)
140 : 현상 카트리지(Cyan) 150 : 현상 카트리지(Black)
125, 135, 145, 155, 165, 175 : 메모리 회로부
160 : 중간전사벨트 유닛 170 : 감광드럼 유닛

Claims (8)

  1.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해당 소모품에 내장되어 상기 해당 소모품과 관련한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클록(Clock)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클록 단자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기/쓰기 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 및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Ground)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품이 복수개인 경우, 각 소모품의 메모리 수단에 마련된 상기 클록 단자와 데이터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는 동일한 단자끼리 공통으로 접속되어 이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에는 현상 카트리지와, 중간전사벨트 유닛(Unit) 및 감광드럼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와,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 시안 현상 카트리지,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의 전원공급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클록 단자에 인가되는 클록 신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의 전원공급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메모리 수단에는 현상 토너의 잔량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데이터 정보에는 해당 현상 카트리지의 ID, 현상 토너 용량, 제조사, 제품 일련번호, 제조 년월일, 현상 토너 색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데이터 정보에는 해당 소모품을 인식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장치.
KR1020030076730A 2003-10-31 2003-10-31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KR10055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30A KR100553897B1 (ko) 2003-10-31 2003-10-31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US10/934,371 US7177551B2 (en) 2003-10-31 2004-09-07 Apparatus for managing consumables of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4100826821A CN1326705C (zh) 2003-10-31 2004-09-27 用于管理成像装置耗材的装置
JP2004314061A JP4826876B2 (ja) 2003-10-31 2004-10-28 画像形成装置の消耗品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30A KR100553897B1 (ko) 2003-10-31 2003-10-31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527A true KR20050041527A (ko) 2005-05-04
KR100553897B1 KR100553897B1 (ko) 2006-02-24

Family

ID=3454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730A KR100553897B1 (ko) 2003-10-31 2003-10-31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77551B2 (ko)
JP (1) JP4826876B2 (ko)
KR (1) KR100553897B1 (ko)
CN (1) CN132670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23B1 (ko) * 2005-07-04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모품 유닛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123702B1 (ko) * 2005-06-17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인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692B1 (ko) * 2005-04-18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착된 현상기의 식별장치 및 방법
WO2008029206A2 (en) * 2006-09-05 2008-03-13 Nokia Corporation Device interface
JP2008129553A (ja) 2006-11-27 2008-06-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7840154B2 (en) 2007-02-20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92110B1 (ko) * 2008-02-22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
KR100933290B1 (ko) * 2008-02-22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KR100915396B1 (ko) * 2008-02-22 200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912900B1 (ko) * 2008-02-22 200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899350B1 (ko) * 2008-02-22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토너공급방법
KR100915397B1 (ko) * 2008-02-22 200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부재,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JP2010002554A (ja) * 2008-06-19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US20110318022A1 (en) * 2010-06-29 2011-12-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CN102173206B (zh) * 2011-01-06 2013-04-10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耗材芯片及耗材容器
JP5884285B2 (ja) * 2011-03-30 2016-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
KR20140082475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조정 고압전원장치와 그 출력전압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EP2869133B1 (en) * 2013-11-01 2015-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51117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9658644B2 (en) 2014-10-06 2017-05-23 S-Printing Solution Co., Ltd.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BR112021013027A2 (pt) 2019-01-16 2021-09-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étodo para determinar o estado de conexão de um dispositivo de recarga de ton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452A (ja) 1993-08-31 1995-03-10 Hitachi Ltd カラー電子写真装置
KR0131958B1 (ko) 1994-11-10 1998-10-01 김광호 프로세스 카트리지 교환시기 경보방법 및 장치
MY125797A (en) 1998-05-25 2006-08-30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refilling device
KR20000008624A (ko) 1998-07-15 2000-02-07 구자홍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 카트리지 교체시기 알림방법 및 그 알림장치
JP3619022B2 (ja) 1998-08-03 2005-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58665A (ja) 1998-11-27 2000-06-13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収容体
JP4143236B2 (ja) 1999-10-15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10049000A (ko) 1999-11-30 2001-06-15 정광은 전자복사장치에서 비정품 사용 방지 방법
JP2002002974A (ja) * 2000-06-23 2002-01-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023570A (ja) * 2000-07-13 2002-01-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装置ユニット
JP2002040904A (ja) 2000-07-24 2002-02-08 Minolta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24934B2 (ja) 2000-09-01 2009-02-1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JP2002341705A (ja) 2001-03-15 2002-11-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043901A (ja) * 2001-07-27 2003-02-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30017252A (ko) 2001-08-24 2003-03-03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전자 복사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교체 판단 방법
US6915094B2 (en) 2002-01-16 2005-07-05 Canon Kabushiki Kaisha Composition for accessing a memory i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a memory i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3307975A (ja) * 2002-04-15 2003-10-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記憶手段を有する交換可能なユニット
JP2003312018A (ja) 2002-04-25 2003-11-06 Seiko Instruments Inc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半導体装置
US7062181B2 (en) * 2004-11-02 2006-06-13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ingle wir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a 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02B1 (ko) * 2005-06-17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인쇄방법
KR100754523B1 (ko) * 2005-07-04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모품 유닛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34909A (ja) 2005-05-26
KR100553897B1 (ko) 2006-02-24
US20050095020A1 (en) 2005-05-05
JP4826876B2 (ja) 2011-11-30
CN1611364A (zh) 2005-05-04
CN1326705C (zh) 2007-07-18
US7177551B2 (en)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897B1 (ko)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EP0721171B1 (en) Replacement part with integral memory for usage and calibration data
US70316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method for replacement part used therefor, and management program for replacement part
US5930553A (en) Image forming and office automation device consumable with memory
US20130108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6661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設定方法
US8036548B2 (en) 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CRUM) unit, replaceabl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CRUM unit, and unit driving method thereof
JP2001083862A (ja) 画像形成装置
US80365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09287B2 (en) Consumable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3740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71733B2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77783B2 (ja) 画像形成装置
US115134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ing whether cartridge is usable based on two sets of consumption state information
US201800322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44892A (ja) 画像形成装置用消耗品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312549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初期化方法
JP200818567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KR20050108060A (ko)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를 위한 메모리의 전원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