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999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999A
KR20050031999A KR1020040077887A KR20040077887A KR20050031999A KR 20050031999 A KR20050031999 A KR 20050031999A KR 1020040077887 A KR1020040077887 A KR 1020040077887A KR 20040077887 A KR20040077887 A KR 20040077887A KR 20050031999 A KR20050031999 A KR 2005003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ding
wire holding
electric
co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167B1 (ko
Inventor
히라모토마사유키
수야마타카시
나카시마테루미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3734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319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having a channel-shaped part, the opposite sidewalls of which comprise insulation-cut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2Comblike retainer for condu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피복전선의 피복부를 유지하는 전선유지부가 하우징에 복수개 병설된 전기 커넥터. 각 전선유지부는 피복전선을 받아들이는 전선유지홈을 형성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전선유지편과,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 피복전선의 전선유지홈으로의 삽입을 안내함과 아울러 피복전선의 상기 전선유지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한 제 1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1 전선유지부와, 이 제 1 전선유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해서 제 1 전선누름위치와는 다른 제 2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2 전선유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피복전선을 그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유지하는 빠짐방지구조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피복전선에 설치되는 커넥터는 수지제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단자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피복전선의 피복부를 양쪽으로 가르는 1쌍의 압접날 사이에 피복전선의 심선부를 유지하는 슬롯을 형성한 구조의 압접형 콘택트를 이용하면, 피복전선을 압접형 콘택트의 슬롯에 눌러넣는 것만으로 콘택트와 피복전선의 심선부의 전기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접형 콘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는 압접형 커넥터라 한다.
압접형 커넥터에서는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한 빠짐방지 유지력(축방향 유지력)은 콘택트에 의한 심선의 끼움지지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압접형 콘택트의 슬롯은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콘택트만에 의한 전선의 유지에서는 상기 방향으로의 빠짐방지 유지력(직교 유지력)이 부족하다. 그래서, 하우징측에는 피복전선의 피복부를 위한 빠짐방지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에는, 콘택트와는 피복전선의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피복전선을 수용하기 위한 전선유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유지홈의 개방된 가장자리에는 전선유지홈의 내측으로 돌출된 전선누름편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전선을 압접형 콘택트에 장착할 때, 동시에, 전선의 피복부가 전선누름편에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전선누름편이 탄성변형되고, 또한, 전선유지홈이 탄성적으로 확개(擴開) 변형된다. 또한, 전선누름편을 타고넘어 피복전선이 전선유지홈 내에 수용되면 전선누름편 및 전선유지홈의 형상이 복원된다. 따라서, 이후는 전선유지홈에 유지된 전선에 대해서 전선유지홈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피복전선은 전선누름편의 작용에 의해서 전선유지홈 내에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충분한 직교 유지력을 얻도록 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1-203008호 공보 참조.).
복수의 전선이 결합되는 커넥터에는 복수의 전선에 각각 대응한 콘택트 및 전선유지홈이 형성되게 된다. 이 복수의 전선유지홈은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지만, 복수개의 전선을 한번에 장착하면 복수의 전선유지홈의 확개가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하우징에는 현저한 휨 변형이 생기게 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기, PDA(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등으로 대표되는 소형기기 내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는 아주 미소한 사이즈이고, 또한, 극수가 많은 다극 커넥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소한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현저한 휨 변형이 생기면 피복전선의 설치공정에 있어서 하우징이 파괴에 이를 우려가 있다.
또한, 미소한 다극 커넥터에서는 전선누름편의 미소 가공의 한계 때문에 전선누름편의 탄성변형을 거의 기대할 수 없는데다가, 미소한 다극 커넥터에 접속되는 피복전선은 피복의 두께가 미소하기 때문에 피복부의 변형도 거의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전선유지홈으로의 피복전선의 삽입은 오로지 전선유지홈의 탄성적 확개변형에 의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피복전선 압입시의 하우징의 휨 변형이 현저하게 되어, 하우징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하우징에 충분한 휨 변형이 생기지 않는 한, 복수개의 피복전선을 전선유지홈에 삽입할 수 없다.
이 문제는 일본 특허공개 2002-260803호 공보에 기재된 전선삽입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이 선행기술에서는 1극 걸른 1극당의 전선을 펀치로 일괄해서 하우징에 압입하는 제 1 삽입공정과, 나머지 1극 걸른 1극당의 전선을 별도의 펀치로 일괄해서 하우징에 압입하는 제 2 삽입공정의 2공정으로 나누어서 전선의 삽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회의 삽입공정시에 있어서 하우징의 큰 휨 변형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피복전선을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전선삽입공정을 2회로 나누어야만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악화된다. 또한, 1극 걸른 1극당의 전선을 누르기 때문에 특수한 펀치를 준비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큰 휨 변형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양호한 생산성으로 복수개의 피복전선을 복수의 전선유지부에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심선부를 피복부로 피복한 피복전선의 상기 피복부를 유지하는 전선유지부가 하우징에 복수개 병설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 전선유지부는 상기 피복전선을 받아들이는 전선유지홈을 형성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전선유지편과,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피복전선의 상기 전선유지홈으로의 삽입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피복전선의 상기 전선유지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한 제 1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1 전선유지부와, 이 제 1 전선유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 1 전선누름위치와는 다른 제 2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2 전선유지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제 1 전선유지부 및 제 2 전선유지부는 전선누름편에 의한 전선누름위치가 피복전선의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제 1 전선유지부 및 제 2 전선유지부의 전선유지홈에 동시에 전선을 삽입하여도 하우징의 큰 변형이 생기는 일은 없다. 즉, 제 1 전선유지부에 피복전선을 그 축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할 때에 상기 제 1 전선유지부를 형성하는 1쌍의 전선유지편이 탄성적으로 확개하는 위치와, 제 2 전선유지부에 피복전선을 삽입할 때에 이 제 2 전선유지부를 형성하는 1쌍의 전선유지편이 탄성적으로 확개하는 위치가, 피복전선의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전선유지부에 있어서의 전선유지편의 확개(전선유지홈의 확개)와, 제 2 전선유지부에 있어서의 전선유지편의 확개(전선유지홈의 확개)를, 서로 간섭하는 일없이 동시에 일어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전선유지부 및 제 2 전선유지부의 전선유지홈에 각각 피복전선을 동시에 삽입할 때에도 하우징에 큰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반대로 말하면, 하우징이 그 구조상 큰 탄성변형을 일으킬 수 없는 경우(가령, 하우징이 미소한 경우)에도 제 1 전선유지부 및 제 2 전선유지부에 대한 피복전선의 동시 삽입에 특단의 곤란이 수반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적은 회수(가령, 1회)의 전선삽입공정으로, 복수개의 피복전선을 복수의 전선유지부에 각각 삽입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선누름편은 상기 전선유지홈의 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전선유지홈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돌출하게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복수의 상기 1 전선유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전선유지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상기 제 2 전선유지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선누름편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선유지부와 제 2 전선유지부를 교대로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개소에서도, 인접하는 전선유지부 사이에서, 전선유지편의 확개 변형의 간섭이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가령, 모든 전선유지부에 대한 피복전선의 삽입을 일괄하여 행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해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인접하는 임의의 3개의 전선유지부가 1개이상의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1개이상의 상기 제 2 전선유지부를 포함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인접하는 임의의 3개의 전선유지부에 주목하였을 때에, 3개의 제 1 전선유지부가 연속하는 일이 없고, 또한, 3개의 제 2 전선유지부가 연속하는 일도 없다. 즉, 3개의 전선유지부가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해서 동일한 위치에서 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고 있는 일이 없다. 가령, 2개의 제 1 전선유지부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더욱 옆에는 제 2 전선유지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인접하는 제 1 전선유지부 사이에서는 피복전선의 삽입시에 각 일방측으로의 전선유지편의 탄성변형에 간섭이 생기지만, 각 타방측으로의 전선유지편의 탄성변형에는 어떠한 간섭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의 큰 변형이 생기는 일이 없고, 하우징이 크게 변형되지 않아도 피복전선의 장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상기 제 1 전선유지부 또는 상기 제 2 전선유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 1 전선누름위치 및 제 2 전선누름위치 모두 다른 제 3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3 전선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선누름위치가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해서 3개의 다른 위치로 분산하여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전선유지부를 구성하는 전선유지편의 확개 변형의 간섭을 더욱 저감하여 피복전선 압입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변형량이 미소할 때에도 피복전선의 삽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가 복수의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전선유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 3 전선유지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상기 제 2 전선유지부와 상기 제 3 전선유지부가, 동종의 것이 인접하지 않도록(가령, 순환적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선누름편을 3열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의 큰 변형을 요하는 일없이, 피복전선을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전선누름편은 전선유지홈의 바깥쪽에 면하여 피복전선을 전선유지홈 내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경사면(전선유지편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전선유지홈의 안쪽부를 향해 경사진 면)과, 전선유지홈의 안쪽부에 대향하는 전선규제면(전선삽입방향에 대략 직각이거나, 또는 전선유지편과의 결합 가장자리부로부터 전선유지홈의 안쪽부를 향해 경사진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에 있어서, 각 전선유지홈의 안쪽부에는 피복전선의 심선에 결합되어 전기접속되는 콘택트(단자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콘택트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콘택트 유지부에 콘택트가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택트는 1쌍의 압접날에 의해서 피복전선의 심선을 받아들이는 슬롯을 형성한 압접형 콘택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슬롯에 피복전선을 압입함으로써 압접날에 의해서 피복이 파괴되어, 그 내부의 심선이 압접날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심선과 콘택트의 전기접속이 달성된다.
상기 전선누름편은 전선유지홈을 구획하는 1쌍의 전선유지편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에 구비되는 1쌍의 전선누름편 중 적어도 한쪽이, 제 2 전선유지부에 구비되는 1쌍의 전선누름편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한 위치가 어긋나 있으면 된다.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복수개의 피복전선을 평행하게 유지(예컨대, 소정의 평면 내에서 평행하게 유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인접하는 전선유지부 사이에서, 상기 전선유지편을 겸용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즉, 전선유지편이 인접하는 1쌍의 전선유지홈의 각 일부를 구획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또는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서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복수개의 피복전선(2)에 결합된 전선측 커넥터이다. 이 전선측 커넥터(1)는, 예컨대, 배선기판(3) 상에 표면 실장된 기판측 커넥터(4)에 결합가능하다. 전선측 커넥터(1)를 기판측 커넥터(4)에 결합시킴으로써 피복전선(2)이 배선기판(3)에 전기 접속되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전선측 커넥터(1)를 사용상태와는 상하 반전한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피복전선(2)이 결합되는 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그 반대의 전방측[기판측 커넥터(4)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도 3의 화살표 R1방향으로 바라본 전선측 커넥터(1)의 저면도이다.
상기 전선측 커넥터(1)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에 압입되어 유지된 압접 콘택트(단자부재)(12)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대략적으로 직육면체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앞면(13)측에는 저면[사용상태에 있어서 배선기판(13)에 대향하는 측의 면](14)에 개구한 홈형상의 콘택트 유지부(15)가 하우징(11)의 폭방향(16)을 따라 복수개 병설되어 있다. 각 콘택트 유지부(15)는 폭방향(16)과 직교하는 피복전선(2)의 축방향(17)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의 저면(14)측으로부터 압접 콘택트(12)를 압입할 수 있고, 이 압입된 압접 콘택트(12)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유지부(15)보다 하우징(11)의 후면(18) 부근의 위치에는 복수의 콘택트 유지부(15)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유지부(20)가 폭방향(16)을 따라 복수개 병설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전선유지부(20)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2 및 도 5의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바라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선유지부(20)는 대향배치된 1쌍의 전선유지편(21)과, 각 전선유지편(21)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전선누름편(22)을 구비하고 있다. 전선유지편(21)은 하우징(11)의 높이방향(19)을 따르는 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전선유지편(21)에 의해서 피복전선(2)의 피복부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전선유지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전선유지편(21)은 인접하는 전선유지부(20) 사이에서 공유되어 있고, 한쪽 표면 및 다른쪽 표면이 각각, 인접하는 전선유지부(20)의 전선유지홈(23)의 각 일부를 구획하고 있다. 전선유지홈(23)은 하우징(11)의 후면(18)에 개구하고 있음과 아울러 하우징(11)의 저면(14)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전선누름편(22)은 전선유지편(21)의 선단 가장자리(사용상태에 있어서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전선유지홈(23)을 덮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누름편(22)은 저면(14)측으로부터의 피복전선(2)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5)과, 전선유지홈(23)에 수용된 피복전선(2)이 저면(14)측으로 빼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선규제면(26)을 갖고 있다. 안내경사면(25)은 전선유지홈(23)의 바깥쪽에 면하고 있고, 전선유지편(21)의 선단으로부터 전선유지홈(23)의 안쪽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선규제면(26)은 전선유지홈(23)의 안쪽측에 면하고 있고, 하우징(11)의 저면(14)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규제면(26)은, 2점쇄선(29)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유지편(21)과의 결합 가장자리로부터 전선유지홈(23)의 안쪽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전선측 커넥터(1)의 사이즈가 미소한 경우에는 전선규제면(26)을 이와 같은 경사면으로 가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한 경우가 많다.
각 전선유지부(20)에 있어서 대향하는 1쌍의 전선유지편(2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전선누름편(22)이 대략 대칭으로 전선유지홈(23) 내로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전선누름편(22) 사이의 간격(d1)은 피복전선(2)의 외경보다 좁고, 또한, 피복전선(2)의 심선의 지름보다 약간 넓게 정해져 있다. 따라서, 피복전선(2)을 전선유지홈(23)에 압입할 때에는 그 과정에서, 피복전선(2)이 안내경사면(25)에 의해서 안내되고, 1쌍의 전선유지편(21)을 탄성적으로 확개 변형시키면서 전선유지홈(23)의 안쪽부로 도입되게 된다. 피복전선(2)이 전선누름편(22)을 통과하여 전선유지홈(23)의 안쪽부에 도달하면 전선유지편(21)은 원래의 자세로 복원되고, 전선유지홈(23) 내의 피복전선(2)에 전선규제면(26)이 대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피복전선(2)의 전선유지홈(23)으로부터의 빠짐방지가 달성되고, 충분한 직교 유지력이 얻어지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선유지부(20)는 전선누름편(22)의 작용위치인 제 1 및 제 2 전선누름위치(P1,P2)에 의해서 제 1 전선유지부(20A)와 제 2 전선유지부(20B)로 분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선유지부(20A)는 1쌍의 전선누름편(22)이 하우징(11)의 후면(18) 부근의 위치에서 대향하고 있고, 이 위치가 제 1 전선누름위치(P1)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전선유지부(20B)는 1쌍의 전선누름편(22)이 콘택트 유지부(15) 부근의 위치에서 대향하고 있고, 이 위치가 제 2 전선누름위치(P2)로 되어 있다. 즉, 제 1 전선유지부(20A)의 전선누름위치(P1)와, 제 2 전선유지부(20B)의 전선누름위치(P2)는 피복전선(2)의 축방향(17)에 관해서 어긋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20)는 상기와 같은 제 1 전선유지부(20A)와 제 2 전선유지부(20B)를 각각 복수개 구비하고, 이들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선누름위치는 인접하는 전선유지부(20) 사이에서 피복전선(2)의 축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어긋나 있어서 전체적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개의 피복전선(2)을 프레스 가공기에 의해서 펀치로 일괄하여 복수의 전선유지부(20)에 압입할 때, 제 1 전선유지부(20A)의 1쌍의 전선누름편(22)이 피복전선(2)으로부터의 압압력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1쌍의 전선누름편(22)에 각각 결합된 1쌍의 전선유지편(21)은 탄성적으로 확개하여 인접하는 제 2 전선유지부(20B)의 전선유지홈(23)의 안쪽을 향하여 변형된다. 이 인접하는 제 2 전선유지부(20B)에서는 전선유지편(21)이 피복전선(2)의 축방향(17)을 따라 어긋난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변형되고, 인접하는 제 1 전선유지부(20A)의 전선유지홈(23)의 안쪽을 향하여 변형된다. 즉, 전선누름편(22)의 대향위치가 제 1 전선유지부(20A)와 제 2 전선유지부(20B)에서 전후로 어긋나 있음으로써 피복전선(2)의 압입시에 있어서의 전선유지편(21)의 변형을 서로의 전선유지홈(23)에 의해서 서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양단의 전선유지부(20)에서는 하우징 폭방향(16)에 관해서 외측의 전선누름편(22)은 전선유지홈(23)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전선유지편(21)으로부터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내측의 전선누름편(22)은 하우징 후면(18) 부근의 일부의 영역[또는 콘택트 유지부(15) 부근의 일부의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고, 이 영역에 있어서만, 1쌍의 전선누름편(22)이 대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1쌍의 전선누름편(22)이 대향하고 있는 영역이 오로지 피복전선(2)의 직교방향의 유지력을 담당하게 된다.
도 7은 압접 콘택트(12)의 사시도이다. 압접 콘택트(12)는 금속판(예컨대, 도금한 구리판)에 천공가공 및 절곡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된 일체품이다. 이 압접 콘택트(12)는 피복전선(2)이 결합되는 압접부(13)를 하우징(11)의 후면(18)측에 상당하는 후방에 갖고, 기판측 커넥터(4)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점부(32)를 전방에 갖고 있다.
압접부(31)는, 전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압접부(33) 및 제 2 압접부(34)를 갖고 있다. 제 1 압접부(33)는 1쌍의 압접날(35)과, 이 1쌍의 압접날(35)을 대향상태로 유지하는 연결부(36)를 갖고 있다. 1쌍의 압접날(35) 사이에는 피복전선(2)의 심선부가 압입되어 유지되는 슬롯(37)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압접부(34)는 슬롯(41)을 구획하는 1쌍의 압접날(39)을 갖고, 이 1쌍의 압접날(39)이 그 근원부에서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36,40) 사이가 저판부(42)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이 저판부(42)의 양측부에는 하우징(11)의 콘택트 유지부(15)에 압입되었을 때에 이 콘택트 유지부(15)의 내벽에 파고들어 상기 압접 콘택트(12)를 콘택트 유지부(15)에 유지하는 압입 돌기(47)가 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접점부(32)는 제 2 압접부(34)의 1쌍의 압접날(39)의 바깥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1쌍의 측판부(43)와, 이 측판부(43)로부터, 피복전선(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1쌍의 탄성 끼움지지편(44)을 갖고 있다. 이 1쌍의 탄성 끼움지지편(44)은 1쌍의 측판부(43)로부터 앞이 가느다란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최근접부를 지나 확개방향으로 경사진 안내경사부(45)를 선단에 갖고 있다. 또한, 1쌍의 탄성 끼움지지편(44)의 최근접부가, 기판측 커넥터(4)의 콘택트를 탄성적으로 끼움지지하는 접점(46)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상면(28)에는 기판측 커넥터(4)의 콘택트를 받아들이는 콘택트 수용홈(48)이 피복전선(2)의 축방향(17)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콘택트 수용홈(48) 내에 압접 콘택트(12)의 탄성 끼움지지편(44)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 8(a)는 전선측 커넥터(1) 및 기판측 커넥터(4)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전선측 커넥터(1) 및 기판측 커넥터(4)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기판측 커넥터(4)는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50)과, 이 하우징(50)에 압입 유지된 복수개의 콘택트(51)를 갖고 있다. 하우징(50)에는 전선측 커넥터(1)에 대향하는 전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구멍(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워맞춤구멍(52)에 전선측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전방부분이 끼워맞춰지게 된다.
복수개의 콘택트(51)는 하우징(50)의 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있고, 전선측 커넥터(1)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병설된 상태에서 하우징(50)에 유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50)는 끼워맞춤구멍(52) 내에 돌출되는 접점부(53)와, 이 접점부(53)의 후단으로부터 배선기판(3)의 실장면(3a)을 향해 수직하강하고, 상기 배선기판(3)의 표면에 납땜되는 접합부(54)와, 이 접합부(54)의 중도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하우징(50) 내의 압입구멍(57)에 압입되는 압입편(55)을 갖고 있다. 콘택트(51)는 접점부(53)가 단자 삽입구멍(56)에 압입됨과 아울러 압입편(55)이 압입구멍(57)에 압입됨으로써 하우징(50)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전선측 커넥터(1)를 기판측 커넥터(4)에 삽입하면 전선측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앞면(13)이 기판측 커넥터(14)의 끼워맞춤구멍(52)의 내측면(58)에 접촉하거나, 또는 하우징(11)에 형성된 단차부(27)가 기판측 커넥터(4)의 하우징(50)의 입구 가장자리부(59)에 접촉함으로써, 피복전선(2)의 축방향(17)에 관해서 전선측 커넥터(1) 및 기판측 커넥터(4)의 상호의 상대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전선측 커넥터(1)의 하우징(11)의 전방부가 기판측 커넥터(4)의 끼워맞춤구멍(52)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전선측 커넥터(1)의 콘택트 수용홈(48)에 기판측 커넥터(4)의 콘택트(51)의 접점부(53)가 정확하게 위치맞춤되어 도입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접점부(53)는 콘택트 수용홈(48) 내에서 압접 콘택트(12)의 1쌍의 접점(46)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끼워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택트(12,51) 사이의 전기접속이 달성되고, 피복전선(2)이 배선기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전선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에는 도 2 및 도 3의 경우와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9(c)에는 도 4의 경우와 동일한 방향으로 바라본 저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 등에 나타내어진 상기 전선측 커넥터(1)는 11개의 피복전선(2)을 압접 접속할 수 있도록 11개의 압접 콘택트(12) 및 11개의 전선유지부(20)를 갖는 11극형의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전선측 커넥터(1A)는 2개의 피복전선(2)을 압접 접속할 수 있는 2개의 압접 콘택트(12) 및 2개의 전선유지부(20)를 갖는 2극형의 것이다.
2개의 전선유지부(20)는 한쪽이 전선누름위치(P1)가 하우징(11)의 후면(18) 부근의 위치에 있는 제 1 전선유지부(20A)이고, 다른쪽이 전선누름위치(P2)가 압접 콘택트(12) 부근의 위치에 있는 제 2 전선유지부(20B)이다. 즉, 제 1 전선유지부(20A)와 제 2 전선유지부(20B)의 경계에 있어서, 양자에 겸용되는 전선유지편(21)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후면(18) 부근의 위치에 있어서 제 1 전선유지부(20A)측으로 돌출되는 전선누름편(22)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압접 콘택트(12) 부근의 위치에 있어서 제 2 전선유지부(20B)측으로 돌출하는 전선누름편(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선유지부(20A,20B)에 대해서 동시에 피복전선(2)을 밀어넣으면, 이들 경계의 전선유지편(21)은 하우징(11)의 후면(18)측에 있어서는 제 2 전선유지부(20B)측으로 탄성변형되고, 압접 콘택트(12)측(전방측)에 있어서는 제 1 전선유지부(20B)측으로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하우징(11)에 큰 변형이 생기게 하는 일없이, 2개의 피복전선(2)을 일괄해서 설치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2개의 피복전선(2)의 일괄 설치를 위해서 하우징(11)이 크게 변형되는 것을 요하지 않는다.
도 10(a) 및 도 10(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이고, 전선측 커넥터에 있어서의 전선누름위치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선누름위치(P1,P2)가 피복전선(2)의 축방향으로 어긋나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전선누름위치가 2열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10(a) 및 도 10(b)의 예에서는 피복전선(2)의 축방향에 관해서 3개의 전선누름위치(P1,P2,P3)가 정해져 있고, 복수의 전선누름위치가 3열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의 예에서는 전선누름위치가 하우징(11)의 폭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하우징(11)의 후면(18)에 가까운 제 1 전선누름위치(P1), 그보다 전방의 제 2 전선누름위치(P2), 그보다 전방의 제 3 전선누름위치(P3)로 순차 어긋나지고, 계속해서, 상기 제 2 전선누름위치(P2), 상기 제 1 전선누름위치(P1)로 순차 어긋나 있다라는 패턴의 반복으로 되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도 10(b)의 예에서는 전선누름위치가 하우징(11)의 폭방향을 따라 제 1 전선누름위치(P1), 제 2 전선누름위치(P2), 제 3 전선누름위치(P3)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으로 정해져 있다.
상기 도 10에 나타내어진 구성예를 더욱 발전시켜 복수의 전선누름위치를 4열 이상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이다. 전선측 커넥터에 있어서의 전선누름위치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P1에 전선누름위치가 있는 제 1 전선유지부(20A)의 일방측에는, 동일한 위치 P1에 전선누름위치가 있는 제 1 전선유지부(20A)가 배치되고, 타방측에는 위치 P2에 전선누름위치가 있는 제 2 전선유지부(20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P2에 전선누름위치가 있는 제 2 전선유지부(20B)의 일방측에는 마찬가지로 위치 P2에 전선누름위치가 있는 제 2 전선유지부(20B)가 배치되고, 타방측에는 위치 P1에 전선유지위치가 있는 제 1 전선유지부(20A)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전선유지부(20A)와 제 2 전선유지부(20B)가 2개씩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도 각 전선유지부(20)를 구성하는 1쌍의 전선유지편(21) 중 한쪽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전선유지부(20)의 전선유지홈(23) 내로 탄성변형할 수 있으므로,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의 큰 변형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복수의 피복전선을 일괄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1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3극이상의 전선측 커넥터(1)에 공통하고 있는 것은, 인접하는 임의의 3개의 전선유지부에 주목하였을 때에 1쌍이상의 전선유지부에서는 전선누름위치가 피복전선(2)의 축방향(17)을 따라 전후로 어긋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몇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또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1극형 및 2극형의 전선측 커넥터에 대해서 예시하였지만 전선측 커넥터의 극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20극형의 전선측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가 압접형인 전선측 커넥터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압착형 콘택트 등의 다른 형태의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압접 콘택트(12)가 하우징(11)의 폭방향(16)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전선유지부(20)와 마찬가지로 압접 콘택트(12)도 지그재그형상 등으로 배열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전선유지부에 있어서 전선누름위치와 압접 콘택트(12)의 압접부(13) 사이의 거리가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각각의 압접 콘택트(12)의 위치를 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압접 콘택트(12)에 의한 피복전선(2)의 유지위치와 전선누름위치의 거리가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복수의 피복전선(2)을 거의 동등한 조건으로 하우징(11)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여 왔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용된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해서 해석되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은 2003년 9월 30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2003-340934호에 대응하고 있고, 본 출원의 전체 개시는 그것을 인용함으로써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큰 휨 변형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양호한 생산성으로 복수개의 피복전선을 복수의 전선유지부에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전선측 커넥터를 사용상태와는 상하 반전한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피복전선이 결합되는 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전선측 커넥터를 사용상태와는 상하 반전한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전방측(기판측 커넥터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R1방향으로 바라본 전선측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전선유지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2 및 도 5의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바라본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전선측 커넥터에 구비된 압접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8(a)은 전선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b)은 전선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전선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이고, 전선측 커넥터에 있어서의 전선누름위치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이고, 전선측 커넥터에 있어서의 전선누름위치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Claims (10)

  1. 심선부를 피복부로 피복한 피복전선의 상기 피복부를 유지하는 전선유지부가 하우징에 복수개 병설된 전기 커넥터로서,
    각 전선유지부는 상기 피복전선을 받아들이는 전선유지홈을 형성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전선유지편과,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피복전선의 상기 전선유지홈으로의 삽입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피복전선의 상기 전선유지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한 제 1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1 전선유지부와, 이 제 1 전선유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 1 전선누름위치와는 다른 제 2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2 전선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복수의 제 1 전선유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전선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상기 제 2 전선유지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유지부는 인접하는 임의의 3개의 전선유지부가 1개이상의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1개이상의 상기 제 2 전선유지부를 포함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상기 제 1 전선유지부 또는 상기 제 2 전선유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 1 전선누름위치 및 제 2 전선누름위치 모두 다른 제 3 전선누름위치에서 전선유지홈 내에 피복전선을 유지하는 전선누름편을 갖는 제 3 전선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복수의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전선유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 3 전선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와 상기 제 2 전선유지부와 상기 제 3 전선유지부가, 동종의 것이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누름편은 전선유지홈의 바깥쪽에 면하여 피복전선을 전선유지홈 내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경사면과, 전선유지홈의 안쪽부에 대향하는 전선규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누름편은 전선유지홈을 구획하는 1쌍의 전선유지편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선유지부에 구비되는 1쌍의 전선누름편 중 적어도 한쪽은, 제 2 전선유지부에 구비되는 1쌍의 전선누름편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 피복전선의 축방향에 관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유지부는 인접하는 전선유지부 사이에서 상기 전선유지편을 겸용하고 있고, 겸용되는 전선유지편은 인접하는 1쌍의 전선유지홈의 각 일부를 구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전선유지홈의 안쪽부에 설치되고, 피복전선의 심선에 결합되어 전기접속되는 콘택트를 유지하기 위한 콘택트 유지부; 및
    상기 콘택트 유지부에 유지된 콘택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피복전선의 심선을 받아들이는 슬롯을 형성하는 1쌍의 압접날을 갖는 압접형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40077887A 2003-09-30 2004-09-30 전기 커넥터 KR101036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0934 2003-09-30
JP2003340934A JP4143014B2 (ja) 2003-09-30 2003-09-30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999A true KR20050031999A (ko) 2005-04-06
KR101036167B1 KR101036167B1 (ko) 2011-05-23

Family

ID=3437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887A KR101036167B1 (ko) 2003-09-30 2004-09-3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011543B2 (ko)
JP (1) JP4143014B2 (ko)
KR (1) KR101036167B1 (ko)
CN (1) CN1005054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7487B2 (ja) * 2008-07-22 2012-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48398B2 (ja) * 2009-04-07 2013-07-3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1042844A (en) * 2009-05-26 2010-12-01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connecting element thereof
CN102130395B (zh) * 2010-01-20 2015-08-26 昆山雷驰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的包覆电线保持部改良结构
JP5700807B2 (ja) * 2011-03-09 2015-04-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JP6226203B2 (ja) * 2012-12-17 2017-1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電線付ハウジングおよび電線付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TWI504087B (zh) * 2012-12-27 2015-10-11 Giga Byte Tech Co Ltd 整線器
JP6247017B2 (ja) * 2013-04-16 2017-12-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ハウジング
US9543664B2 (en) * 2013-08-02 2017-01-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JP6193050B2 (ja) * 2013-08-09 2017-09-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電線付き圧接コネクタ、および、圧接コネクタと被覆電線との接続方法
CN203481460U (zh) * 2013-08-14 2014-03-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112003042B (zh) 2013-12-06 2022-12-30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电组件
JP6064194B2 (ja) * 2014-03-20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合状態の確認が容易なコネクタ装置
EP3266069B1 (en) 2015-03-03 2021-12-29 Amphenol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WD192841S (zh) * 2018-01-29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Part of the line end connector
TWD192840S (zh) * 2018-01-29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Part of the wire end connector housing
TWI699936B (zh) * 2019-05-23 2020-07-2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線材連接器
USD924165S1 (en) * 2019-10-04 2021-07-06 Molex, Llc Connector
JP2021064494A (ja) * 2019-10-11 2021-04-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1189A (en) * 1977-06-01 1978-07-18 Amp Incorporated Discrete wire interconnections for connector blocks
JPS62123068U (ko) 1986-01-29 1987-08-05
US4797112A (en) * 1987-08-04 1989-01-10 Amp Incorporated Wire holders and harnesses incorporating wire holders
JPH0740300Y2 (ja) * 1989-05-19 1995-09-13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JPH0414368U (ko) * 1990-05-28 1992-02-05
US5547391A (en) * 1993-03-11 1996-08-20 Molex Incorporated Commoning electrical connector
JP2964446B2 (ja) * 1994-11-22 1999-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US5695358A (en) * 1995-06-27 1997-12-09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for a bundle of wires
JP2001110466A (ja) * 1999-10-04 2001-04-20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
JP2001176603A (ja) 1999-12-15 2001-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176570A (ja) 1999-12-21 2001-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176571A (ja) 1999-12-21 2001-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203008A (ja) 2000-01-19 2001-07-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351727A (ja) 2000-06-06 2001-1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2260803A (ja) 2001-02-28 2002-09-13 Molex Inc コネクタ電線の圧接方法及び電線圧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5421C (zh) 2009-06-24
JP2005108650A (ja) 2005-04-21
US20060128204A1 (en) 2006-06-15
US20050070151A1 (en) 2005-03-31
KR101036167B1 (ko) 2011-05-23
CN1604394A (zh) 2005-04-06
JP4143014B2 (ja) 2008-09-03
US7011543B2 (en)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167B1 (ko) 전기 커넥터
US6821158B2 (en) Connector
US4274700A (en) Low cost electrical connector
KR101168093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KR100416297B1 (ko) 전기 커넥터
KR101110148B1 (ko) 압접형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
JP3041672B2 (ja) プリント回路板用の電気コネクタ
US518496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s on diestamping centers
JP2704510B2 (ja) プリント回路板取付用の電気コネクタ
US737780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JP3746106B2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097895B2 (ja) 電気コネクタ
JPS61248375A (ja) 電気コネクタ
US7188408B2 (en) Method of making a straddle mount connector
US7112072B2 (en) Ground bu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692273B1 (en) Straddle mount connector
JPH0616425B2 (ja) 電気用コネクタ
EP0851539A2 (en) Electrical connnector for flat cables
US6059601A (en) Single-sided press-pinching connector and a method of making same
CN100392915C (zh) 电接线盒装置、插塞式连接器及插座式连接器
EP1538706B1 (en) A connector fixing bracket
JP3026335B2 (ja) コネクタ
JP2004236416A (ja) 分岐接続箱
JPH07230858A (ja) 可動型コネクタ
JPH11185898A (ja) 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