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536A - 리키지 트랜스 - Google Patents

리키지 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536A
KR20050030536A KR1020040064654A KR20040064654A KR20050030536A KR 20050030536 A KR20050030536 A KR 20050030536A KR 1020040064654 A KR1020040064654 A KR 1020040064654A KR 20040064654 A KR20040064654 A KR 20040064654A KR 20050030536 A KR20050030536 A KR 2005003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primary
binding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2914B1 (ko
Inventor
후시미다다유키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3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측 코일의 단락(短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자 사이의 간격이 광폭(廣幅)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리키지 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차측 코일(70)에 대하여 2차측 코일(71)이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리키지 트랜스(10)로서, 1차측 코일(70)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1차측 단자(35b)~(35e)를 구비한다. 또한, 2차측 코일(71) 중, 일단측이 연결되는 제1 바인딩 단자(36)를 구비하는 제1 단자대(32a)를 구비하고, 또한 2차측 코일(71) 중, 타단측이 연결되는 제2 바인딩 단자(38b, 38c)를 구비하는 제2 단자대(32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리키지 트랜스{LEAKAGE TRANSFORM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TV모니터나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서의 백라이트용 방전등의 점등 회로 등에 사용되는, DC/AC 인버터 회로 등에 사용되는 리키지 트랜스 즉 누설(漏泄) 트랜스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용 방전등의 점등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등 회로에 있어서는, 고전압화에 의해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리키지 트랜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리키지 트랜스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628524호 공보(청구항 1, 단락 번호(0010),(0011), 도 1 및 도 5 참조) 및 일본국 특개 제2002-29913호 공보(단락 번호(0016, 001), 도 5 참조)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이 있다.
이들 일본국 특허 제2628524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 제2002-29913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1차측 코일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한쪽의 단자대로부터 돌출하는 각각 상이한 2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2차측 코일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다른 쪽의 단자대로부터 돌출하는 각각 상이한 2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일본국 특허 제2628524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 제2002-29913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같은 단자대로부터 돌출하는 2단자에, 2차측 코일의 양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즉, 2차측 코일의 일단측과 타단측이, 근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2차측 코일의 일단측과 타단측이 접속되어 있는 2개의 단자에 걸쳐 먼지 등이 부착되면, 2차측 코일의 고압측인 일단측과 저압측인 타단측과의 사이에 단락이 생길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단락이 생겼을 경우에는, 2차측 코일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사이의 전위차가 높기 때문에, 리키지 트랜스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2차측 코일의 일단측과 타단측이 접속되는 2개의 단자의 간격을 넓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격을 넓힌 구성을 채용하면, 리키지 트랜스가 광폭으로 되어 버려, 해당 리키지 트랜스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 경우, 리키지 트랜스의 소형화의 요청에 반하는 결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2차측 코일의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 가능한 동시에, 단자 사이의 간격이 광폭으로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리키지 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리키지 트랜스는, 도선(導線)의 권회(卷回)에 의해 구성되는 1차측 코일과, 1차측 코일의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도선과는 다른 도선의 권회에 의해 구성되는 2차측 코일과, 1차측 코일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1차측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이 연결되는 제1 바인딩 단자를 구비하는 제1 단자대와, 2차측 코일의 타단측이 연결되는 제2 바인딩 단자를 구비하는 제2 단자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2 단자대가 구비하는 제2 바인딩 단자에는,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이 연결된다. 또, 제1 단자대가 구비하는 제1 바인딩 단자에는,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이 연결된다. 그러므로, 2차측 코일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각각 별도의 단자대에 설치된다. 그에 따라, 2차측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이 동일한 단자대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서로 단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단락을 막음으로써, 리키지 트랜스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2차측 코일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는, 여자(勵磁)에 의해 높은 전위차가 생긴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단락을 방지하면, 리키지 트랜스의 파손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2차측 코일을 접속하는 단자 사이의 간격이 광폭으로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1차측 코일이 감겨지는 제1 권취 프레임부와, 2차측 코일이 감겨지는 제2 권취 프레임부를 가지는 복수의 2단 코일 보빈과 복수의 2단 코일 보빈의 사이에 배치되고, 1차측 코일 중 자기(磁氣) 결합의 조정을 행하는 조정 부분이 감겨지는 조정용 코일 보빈과, 2단 코일 보빈 및 조정용 코일 보빈을 각각 유지하는 포스트와, 그 포스트의 외측을 둘러싸는 측벽을 가지고, 이 측벽으로 둘러싸이는 요함부(凹陷部)에 2단 코일 보빈 및 조정용 코일 보빈이 끼워넣어지는 코어를 구비하고, 2단 코일 보빈은, 제1 단자대 및 제2 단자대를 일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1 권취 프레임부와 제2 권취 프레임부와의 각각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감겨진다. 이 경우, 2단 코일 보빈에는, 제1 권취 프레임부와 제2 권취 프레임부가 설치되므로, 코일 보빈을 2개 높이 방향으로 중첩한 경우와 비교하여, 1개의 코일 보빈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된다. 그러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코일 보빈의 조립시의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단 코일 보빈은, 제1 단자대와 제2 단자대를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을 제1 바인딩 단자에, 타단측을 제2 바인딩 단자에 연결된 후에, 해당 2차측 코일의 권회가 느슨해지거나 단선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대가 별체인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 코일 보빈이,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으므로, 리키지 트랜스의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정용 코일 보빈이 설치되고, 이 조정용 코일 보빈에 1차측 코일 중 조정 부분이 감겨진다. 그것에 의해, 조정 부분을, 이 조정용 코일 보빈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2단 코일 보빈의 제1 권취 프레임부에 대하여, 1차측 코일이 감겨진다. 그러므로, 1차측 코일의 장착시에, 당해 1차측 코일의 본딩이 불필요해져,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제1 바인딩 단자의 제1 단자대에 대한 베이스부와 1차측 단자의 제1 단자대에 대한 베이스부 사이의 간격보다,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과 1차측 단자의 선단측과의 사이의 간격이 넓게 설치되는 상태로,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의 방향이, 1차측 단자의 선단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1차측 단자와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러므로, 제1 바인딩 단자와 1차측 단자와의 사이의 간격을, 필요 이상으로 넓게 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1차측 단자와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해당 제1 바인딩 단자에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을 감은 경우라도, 해당 일단측이 1차측 단자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의 방향은, 1차측 단자의 선단의 방향에 대하여 대략 30~60도의 각도 범위 내로 경사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은, 1차측 단자의 선단측에 대하여 유효하게 넓힐 수 있다. 그러므로, 2차측 코일을, 제1 바인딩 단자에 양호하게 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제1 바인딩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속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그라운드 단자는, 제1 바인딩 단자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1 바인딩 단자에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이 연결된 경우, 이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은, 그라운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그에 따라, 해당 일단측은, 전위의 기준으로 된다. 또, 양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결과, 제1 바인딩 단자에 연결된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이, 그라운드 단자에 접촉되게 된다.
그러므로,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을 제1 바인딩 단자에 감을 때, 필요 이상으로 주의하지 않아도 된다.
또,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2단 코일 보빈은, 상부 콜러부, 중간 콜러부 및 하부 콜러부를 가지는 동시에, 이들 상부 콜러부와 중간 콜러부의 사이에 상기 제1 권취 프레임부가 설치되고, 중간 콜러부와 하부 콜러부의 사이에 제2 권취 프레임부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2단 코일 보빈의 중간 콜러부가, 제1 권취 프레임부의 하부 콜러부와, 제2 권취 프레임부 상부 콜러부를 겸하므로, 코일 보빈을 2개 높이 방향으로 중첩한 경우와 비교하여, 콜러부가 1개분 생략된다. 그러므로, 콜러부 1개분만큼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리키지 트랜스의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제1 바인딩 단자는, 봉형체(棒形體)로 형성되어 있고, 1차측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의 선단측은, 제1 바인딩 단자보다 코어의 저면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2차측 단자의 선단측과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과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므로,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을, 제1 바인딩 단자에 감기가 용이해진다.
또, 1차측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의 선단측이, 코어의 저면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으므로, 이들 1차측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의 선단측을, 회로 기판 등에 접속하기 용이해진다.
또,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코어는, 저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세워 형성되어 있는 포스트와, 이 저면의 외주 주위부에 있어서 위쪽을 향해 세워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구비하는 케이스 코어와, 케이스 코어에 장착되고, 이 케이스 코어와의 사이의 부위에 2단 코일 보빈 및 조정용 코일 보빈이 수납되는 커버 코어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2단 코일 보빈과 조정용 코일 보빈은,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 코어와 커버 코어와의 사이의 부위에 수납된다. 그리고, 포스트와 측벽을 가지는 케이스 코어, 및 커버 코어와의 사이에서, 자로를 형성 할 수 있고, 2차측 코일을 양호하게 여자(勵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리키지 트랜스의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제1 바인딩 단자의 제1 단자대에서의 베이스부는, 1차측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의 제1 단자대에서의 베이스부보다 케이스 코어의 짧은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제1 바인딩 단자의 베이스부 및 선단측은, 1차측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의 베이스부 및 선단측보다, 짧은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해당 제1 바인딩 단자는, 1차측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보다 쑥 들어간 상태로 된다. 그것에 의해, 1차측 단자의 선단측을 땜납조에 침지하여, 당해 1차측 단자를 회로 기판에 납땜하는 경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까지는 땜납조에 침지하지 않아도 된다. 그에 따라, 제1 바인딩 단자에 감겨져 있는, 가는 직경의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이, 예를 들면 열(熱) 등에 의해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키지 트랜스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리키지 트랜스에 대하여, 도 1로부터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리키지 트랜스(1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리키지 트랜스(10)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리키지 트랜스(10)의 평면도, 도 4는 그 정면도, 도 5는 그 측면도, 도 6은 그 배면도를 나타낸다.
리키지 트랜스(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코어(20)와, 2단 코일 보빈(30)과, 조정용 코일 보빈(40)과, 커버 코어(50)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케이스 코어(20)와 커버 코어(50)는, 절연성을 가지는 자성재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자성재의 일례로서, 니켈계의 페라이트 코어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 코어(20)와 커버 코어(50)의 재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퍼멀로이 등, 다른 자성재라도 된다. 또, 2단 코일 보빈(30) 및 조정용 코일 보빈(4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절연 또한 여자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코어(20)는, 코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소이며,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 코어(20)는, 길이 방향(도 1에 있어서 대략 좌우의 방향)의 양단 측에 측벽(21)을 가지고 있고, 이 측벽(21)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은, 2단 코일 보빈(30) 등을 설치하기 위한 요함부(22)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요함부(22) 중, 케이스 코어(20)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은, 측벽(21)에 의해 폐색되어 있지만, 당해 케이스 코어(20)의 짧은 길이 방향(도 3에 있어서 대략 상하의 방향)의 둘레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 케이스 코어(20)에는, 4개의 기둥다리부 즉 포스트(post)(23, 23, 24, 24)가 형성되어 있다. 포스트(23, 23, 24, 24)는, 저면(20a)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들 포스트(23, 23, 24, 24)는, 요함부(22)의 짧은 길이 방향 및 길이 방향에 따르는, 직교하는 2개의 대각선 상에 존재하고 있다. 이 중, 짧은 길이 방향의 대각선에 따르는 포스트(23, 23)는, 후술하는 조정용 코일 보빈(40)의 삽입공(40a, 40a)에 삽입된다. 또, 길이 방향의 대각선에 따르는 포스트(24, 24)는, 후술하는 2단 코일 보빈(30)의 중심공(30a, 30a)에 삽입된다. 또, 각 포스트(23)의 직경은, 각 포스트(24)의 그것보다 작다. 그러나, 각 포스트(23)의 직경을, 각 포스트(24)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직경이 작은 각 포스트(23)를 제1 포스트(23)라고 한다. 또, 제1 포스트(23)보다 직경이 큰 각 포스트(24)를 제2 포스트(24)라고 한다. 또, 상방측이란, 케이스 코어(20)의 저면(20a)로부터 보아, 커버 코어(50)가 장착되는 쪽을 가리킨다. 또, 하방측이란, 커버 코어(50)의 장착 측으로부터 보아, 케이스 코어(20)의 저면(20a) 측을 가리킨다. 또한, 제1 포스트(23) 중, 도 1에 있어서 바로 앞쪽에 존재하는 것을 제1 포스트(23a)라고 하고, 도 1에 있어서 내측에 존재하는 것을 제1 포스트(23b)라고 한다. 또, 제2 포스트(24) 중, 도 1에 있어서 좌측에 존재하는 것을 포스트(24a)라고 하고, 도 1에 있어서 우측에 존재하는 것을 포스트(24b)라고 한다.
또, 2단 코일 보빈(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측 코일(70) 및 2차측 코일(71)을 권회하는 코일부(31)와, 이 코일부(3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 단자대(32a) 및 제2 단자대(32b)를 가지고 있다.
코일부(31)는, 대략 원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코일부(31)에는, 위로부터 아래로 향해, 상부 콜러부(31a), 중간 콜러부(31b), 및 하부 콜러부(31c)가 순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콜러부(31a)와 중간 콜러부(31b)로 둘러싸이는 사이의 부위는, 제1 권취 프레임부(34a)로 되어 있고, 여기에 1차측 코일(70)이 감겨진다. 또, 중간 콜러부(31b)와 하부 콜러부(31c)로 둘러싸이는 부위는, 제2 권취 프레임부(34b)로 되어 있고, 여기에 2차측 코일(71)이 감겨진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상부 콜러부(31a), 중간 콜러부(31b) 및 하부 콜러부(31c)는, 대략 원형상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코일부(31)에 대응하여, 당해 원형상의 전 주위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1에 있어서, 코일부(31)의 형상은, 그 외관 형상이 2단의 오목부를 가지는 풀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부 콜러부(31a)와 중간 콜러부(31b)는, 반드시 전 주위에 걸쳐 설치될 필요는 없다. 코일부(31) 중, 2개의 2단 코일 보빈(30)이 서로 대향하지 않는 쪽(도 9 등 참조)에만, 1차측 코일(70)이 감겨지므로, 2단 코일 보빈(30)이 서로 대향하는 측에는, 상부 콜러부(31a) 및 중간 콜러부(31b)를 형성하지 않고, 제1 권취 프레임부(34)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제1 단자대(32a) 및 제2 단자대(32b)는, 도 1에 있어서는, 코일부(31)보다 하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단자대(32a)는, 도 1에 있어서 바로 앞쪽, 도 3에 있어서 하방 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 제1 단자대(32a)에는, 측면(33a)과 측면(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측면(33a)은, 리키지 트랜스(10)의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측면이다.
또, 측면(33b)은, 측면(33a)에 따르는 직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α(이후, 경사 각도α라고 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각도α는, 본 실시예에서는, 45도로 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 각도α는, 45도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인딩 단자(36)의 경사 각도와 마찬가지로, 적당한 경사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1~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33b)은, 2개 배열된 2단 코일 보빈(30) 중, 서로 마주하는 측이 아니고, 리키지 트랜스(10)의 길이 방향의 양단 측에 가까운 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33b)은, 제1 단자대(32a) 중, 도 3에 있어서 바로 앞쪽의 코너 각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측면(33a)으로부터, 단자(35)가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35)는, 예를 들면 4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자(35)를 개별적으로 부르는 경우, 단자(35a)~(35e)의 어느 하나로 한다. 이들 5개의 단자(35a)~(35e)는, 하방으로 향해 강하하는 하방 돌출부(37a)를 가지는 동시에, 하단측이 설치 부위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되는 면실장부(37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자(35a)~(35e)와 설치 부위와의 사이에 납땜을 행함으로써, 단자(35a)~(35e)와 설치 부위의 회로 기판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단자(35)의 개수는, 5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개 등,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35b)~(35e) 중, 소정 단자(35)에는, 1차측 코일(70)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접속된다(연결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자(35b)~(35e)를, 1차측 단자(35b)~(35e)라고 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35a)를, 그라운드 단자(35a)라고 한다. 그러나, 양자를 모아서 부르는 경우, 단지 단자(35a)~(35e)라고 한다.
1차측 단자(35b)~(35e) 중 2개에는, 1차측 코일(70)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1차측 단자(35b)~(35e) 중, 일단측 및 타단측이 연결되는 2개는, 적당히 선택 가능하다.
또, 도 1~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33b)으로부터, 바인딩 단자(36)(제1 바인딩 단자에 상당)이 돌출하고 있다. 바인딩 단자(36)는, 측면(33b)의 법선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33b)은, 리키지 트랜스(10)의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약 45도를 하고 있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에 대하여, 약 45도를 이루는 배치로 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인딩 단자(36)의 선단의 방향이, 측면(33a)과 이루는 경사 각도α는, 약 45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 각도α는, 약 45도에 한정되지 않고, 바인딩 단자(36)에 근접해 있는 그라운드 단자(35a)에 대하여 소정 간격이 생기게 하는 각도로서,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을 양호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각도 범위이면, 어떠한 각도 범위라도 된다. 이 경사 각도α의 범위로서는, 예를 들면 20~90도의 범위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경사 각도α는, 30~60도의 범위이면, 바인딩 단자(36)의 선단측이, 그라운드 단자(35a)의 선단측에 대해 유효하게 넓혀진다. 그러므로, 2차측 코일(71)을, 바인딩 단자(36)에 양호하게 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인딩 단자(36)는, 측면(33b)의 법선 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33b)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경사 각도α가 약 90도인 경우에는, 해당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약 90도의 경우도, 경사 방향으로의 돌출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그러나,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보다 그 크기가 작다. 즉,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보다 돌출 길이 치수가 짧고, 또 폭치수가 작고, 또한 높이 치수도 작게 되어 있다. 그러나, 바인딩 단자(36)는, 2차측 코일(71)을 소정 회수만큼 감아 서, 연결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바인딩 단자(36)는, 그라운드 단자(35a)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바인딩 단자(36)와 그라운드 단자(35a)는, 예를 들면 금속의 일체 성형물이라도 되고, 또 별도의 도선 등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그라운드 단자(35a)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측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가 전위의 기준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단자대(32b)는, 도 1에 있어서 내측, 도 3에 있어서 지면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다. 제2 단자대(32b)는,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2단 코일 보빈(30)에 대해, 2개 존재하고 있다. 또,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자대(32a)와 마찬가지로, 제2 단자대(32b) 중, 2단 코일 보빈(30)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외경측의 측면으로부터, 단자(38)가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38)는, 예를 들면 4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자(38)을 개별적으로 부르는 경우, 단자(38a)~(38d)라고 한다.
이들 4개의 단자(38a)~(38d) 중, 내측에는 돌출 길이가 작은 단자(38b, 38c)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돌출 길이가 큰 단자(38a, 38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38b, 38c) 중, 한쪽에는, 2차측 코일(71)의 타단측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2차측 코일(71)의 타단측이 연결되는 단자(38b, 38c)를, 특히 바인딩 단자(38b, 38c)라고 한다. 바인딩 단자(38b) 및 바인딩 단자(38c)의 양자 모두, 2차측 코일(71)의 타단측을 연결될 가능성이 있고, 해당 바인딩 단자(38b, 38c)는, 제2 바인딩 단자에 상당한다.
그리고, 단자(38a)와 바인딩 단자(38b)는, 서로 도통하는 동시에, 바인딩 단자(38c)와 단자(38d)는, 서로 도통하고 있다. 그러므로, 1차측 코일(70)에 의해 여자된 2차측 코일(71)은, 소정 전위를, 바인딩 단자(38b)로부터 단자(38a), 바인딩 단자(38c)로부터 단자(38d)에 각각 출력한다. 또, 단자(38a) 및 단자(38d)는, 각각 회로 기판 상에 접속되기 때문에, 해당 여자에 의해 생긴 교류 전류는, 이 회로 기판에 존재하는 소정 회로로 흐른다.
또, 단자(38a, 38d)는, 전술한 단자(35a)~(35e)와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향해 강하하는 하방 돌출부(39a)를 가지는 동시에, 하단측이 설치부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되는 면실장부(39b)를 가지고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자대(32a) 및 제2 단자대(32b)의 배면 측에는, 도출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도출부(33c)는, 2차측 코일(71)을, 권회 부분으로부터 외부 바인딩 단자(38b) 또는 바인딩 단자(38c)의 어느 하나를 향해 도출시키는 동시에, 바인딩 단자(36)로 향해 도출시킬 때, 해당 2차측 코일(71)의 도선(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는 오목한 부분이다. 이 도출부(33c)에는, 돌기(33d)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3d)는, 그 외면측에서 도선을 받아 들이는 것이 가능한 부분이다.
여기서, 2차측 코일(71)의 도선을, 바인딩 단자(38b) 또는 (38c)의 어느 하나, 및 바인딩 단자(36)를 향해 도출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도선을 돌기(33d)에 접촉시킨다. 그 후에, 돌기(33d)에의 도선의 접촉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해당 도선을 바인딩 단자(36)에 감는다. 이와 같이 도선을, 바인딩 단자(38b) 또는 (38c)의 어느 하나, 및 바인딩 단자(36)에 권회함으로써, 도선이 느슨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코어(20)에는, 제2 단자대(32b)의 결합에 대응하여, 절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5)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있어서 1측변(도 6에 있어서는, 지면의 위쪽의 측변)에 따라, 2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 코어(20)에는, 제1 단자대(32a) 측에 있어서, 바인딩 단자(36)에 감겨지는 도선을 도출시키기 위한 절결부(26)도 형성되어 있다.
또, 2단 코일 보빈(30)이 대향하는 사이의 부위에는, 조정용 코일 보빈(40)이 배치된다. 조정용 코일 보빈(40)은, 도 7~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측 코일(70)의 조정 부분(70a)이 감겨지는 부분이다. 또, 조정용 코일 보빈(40)은, 리키지 트랜스(10)의 짧은 길이 방향이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조정용 코일 보빈(40)은, 그 중심을 통과하는 짧은 길이 방향에 따르는 선을 경계로 하여, 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용 코일 보빈(40)에는, 그 길이 방향에 따라, 한쌍의 통형 부분(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 부분(41)에는, 조정용 코일 보빈(4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공(40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40a)에는, 전술한 제1 포스트(23a, 23b)가 삽입된다. 또, 조정용 코일 보빈(40)의 위쪽에는, 대략 평판형의 상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부(42)는 장척(長尺)의 보디이며, 조정용 코일 보빈(40)의 길이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상면부(42) 중, 삽입공(40a)보다 단부측의 부분은, 통형 부분(41)보다 길이 방향의 단부 측을 향해 돌출하는 상부 콜러부(42a)로 되어 있다.
또, 상면부(42)보다 하방 측에는, 당해 상면부(42)와 대향하는 상태로, 중면부(43)이 형성되어 있다. 중면부(中面部)(43)는, 전술한 상면부(42)와 대략 동일한 평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중면부(43) 중, 삽입공(40a)보다 단부측의 부분은, 통형 부분(41)보다 길이 방향의 단부 측을 향해 돌출하는 하부 콜러부(43a)로 되어 있다. 이 하부 콜러부(43a)와, 상부 콜러부(42a)와,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조정 부분(70a)을 권회하는 조정용 권취 프레임부(44)이다.
또, 하부 콜러부(43a) 중, 도 1에 있어서 바로 앞쪽의 부분에는, 앞분할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앞분할부(46)는, 1차측 코일(70)을, 어느 하나의 1차측 단자(35b)~(35e)에 인출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분할부(46)는, 복수의 슬릿형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슬릿형 부분에 1차측 코일(70)이 끼워 통한다. 그에 따라, 1차측 코일(70)은, 아래쪽으로 가이드 되어 어느 하나의 1차측 단자(35b)~(35e)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 앞분할부(46)는, 생략해도 된다.
또, 상면부(42), 중면부(43) 및 중면부(43)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저면부(45)는, 대향 배치되는 2단 코일 보빈(30)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들 상면부(42), 중면부(43) 및 저면부(45) 중, 그러한 짧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 주위부에는, 만곡 요부(凹部)(47)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만곡 요부(47)는, 2단 코일 보빈(30)의 상부 콜러부(31a), 중간 콜러부(31b) 및 하부 콜러부(31c)의 외주 주위부에 모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콜러부(42a) 중, 길이 방향의 단부 측에는, 후술하는 절결부(53)에 끼워넣어진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 결정 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48)는, 그 평면 형상이 대략 아몬드 형상의 돌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위치 결정 돌기(48)가, 조정용 코일 보빈(4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돌기(48)의 형상은, 도 1~도 3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관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위치 결정 돌기를 사용해도 된다. 그 외, 위치 결정 돌기는, 예를 들면 원기둥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케이스 코어(20)의 상부에는, 코어의 구성 요소로 되는 커버 코어(50)가 위치한다. 커버 코어(50)에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요함부(22)에 대응하는, 요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51)에는, 전술한 포스트(23, 24)와 대향하도록, 돌출 길이가 작은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52)는, 커버 코어(50)가 케이스 코어(20)에 장착된 상태로, 포스트(23, 24)에 대하여, 근소한 간격 g(도 12 참조)를 가지는 상태로 대향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52)는, 2단 코일 보빈(30)의 중심공(30a)에 삽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돌출부(52)도, 포스트(23, 24)와 함께, 2단 코일 보빈(30)의 중심공(30a)에 삽입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포스트(23, 24)의 상단보다, 2단 코일 보빈(30)의 상단면의 높이 위치를 높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돌출부(52)가 중심공(30a)에 삽입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위치 결정 돌기(48) 및 절결부(53)를 형성하지 않아도, 커버 코어(5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버 코어(50)의 요부(51)에, 돌출부(52) 등을 형성하지 않고 플랫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포스트(23, 24)가 측벽(21)보다 약간 짧고, 포스트(23, 24)와 커버 코어(50)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커버 코어(5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동시에, 이 대략 직사각형의 장변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원호형으로 절결된 절결부(53)를 가지고 있다. 이 절결부(53)에는, 전술한 위치 결정 돌기(48)가 끼워넣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결부(53)는 2개의 장변에 1개씩, 합계 2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코어(50)의 형상은,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버 코어(50)의 외관은, 요함부(22)를 양호하게 막는 것이 가능하도록, 요함부(22)를 막을 정도로 약간 큰 대략 상사(相似)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키지 트랜스(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그리고, 이 제조 방법의 설명에 대해서는, 도 7~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또, 이 제조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조시에 사용되는 지그(60)의 구성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먼저, 조정용 권취 프레임부(44)에 대하여, 1차측 코일(70)을 감아서, 조정 부분(70a)을 형성한다. 이 경우, 1차측 코일(70)의 감는 수는, 예를 들면 최저 2~3회 정도의 감는 수로 된다. 조정 부분(70a)을 형성하는 경우, 1차측 코일(70) 중 감겨지지 않는 다른 부분은, 권선기의 코일 노즐에 의해 잡아늘인 상태로 해 둔다.
다음에, 조정용 코일 보빈(40)을, 지그(60)(도 7 참조)에 장착한다. 지그(60)는, 그 평면 형상이, 위치 결정 돌기(48) 등과 간섭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그(60)에는, 제1 돌출부(61a, 61b)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외 참조). 제1 돌출부(61a, 61b)는, 전술한 제1 포스트(23a, 23b)와 같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삽입공(40a)에 제1 돌출부(61a, 61b)를 삽입해도, 조정용 코일 보빈(40)이 덜거덕거리지 않는다. 여기서, 조정용 코일 보빈(40)은, 지그(6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장착된다(도 7 외 참조).
그리고, 1차측 코일(70)이 조정용 코일 보빈(40)에 감겨지는 공정보다, 당해 조정용 코일 보빈(40)을 지그(60)에 장착하는 공정을 먼저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2 권취 프레임부(34b)에는, 2차측 코일(71)을 감아 둔다. 이 경우, 2차측 코일(71)의 타단측은, 2개의 바인딩 단자(38b, 38c)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해둔다. 다음에, 2차측 코일(71)을 제2 권취 프레임부(34b)에 감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을 바인딩 단자(36)에 연결된다. 이같이 하여, 2차측 코일(71)의 권회가 종료한다. 그리고, 최초에,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을 바인딩 단자(36)에 연결하는 동시에, 마지막에 2차측 코일(71)의 타단측을 2개의 바인딩 단자(38b, 38c)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2차측 코일(71)의 권회 후에 있어서, 조정용 코일 보빈(40)이 지그(60)에 장착된 후에, 당해 지그(60)에 대하여 2단 코일 보빈(30)을 장착한다(도 8참조). 여기서,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60)에는, 제2 돌출부(62a, 6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돌출부(62a, 62b)는, 전술한 제2 포스트(24a, 24b)와 같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2단 코일 보빈(30)의 중심공(30a)에 2단 코일 보빈(30)을 삽입하여도, 당해 2단 코일 보빈(30)은 덜거덕거리지 않는다.
2단 코일 보빈(30)을 지그(60)에 장착한 후에, 제1 권취 프레임부(34a)에 대하여 1차측 코일(70)을 감는다(도 9 참조). 이 경우, 전술한 조정 부분(70a)을 형성하여 마친 후의 1차측 코일(70)을 감는다. 이 1차측 코일(70)은, 권선기의 코일 노즐에 의해 잡아늘여져 있다. 그 상태에서, 제1 권취 프레임부(34a)를 권회하도록, 권선기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1차측 코일(70)의 잡아늘여진 부분이, 순차 제1 권취 프레임부(34a)에 감겨진다.
1차측 코일(70)을 소정의 감는 수만큼 감은 후에, 요함부(22)에 조정용 코일 보빈(40) 및 2단 코일 보빈(30)을 끼워넣는다(도 10, 도 11 참조). 이 경우, 제1 포스트(23a, 23b) 및 제2 포스트(24a, 24b)의 선단측이, 각각 중심공(30a) 및 삽입공(40a)의 하방 측으로부터 서서히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삽입이 진행함에 따라, 제1 포스트(23a, 23b) 및 제2 포스트(24a, 24b)의 선단측에 눌려, 지그(60)가 벗겨진다.
다음에, 요함부(22)를 막도록, 커버 코어(50)를 케이스 코어(20)에 대하여 장착 고정한다(도 12 참조). 이 경우, 절결부(53)에 위치 결정 돌기(48)가 끼워넣어지는 상태로, 커버 코어(50)를 장착한다. 또, 커버 코어(50)를 장착한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52)가 포스트(23, 24)의 각각과, 간격 g를 가지고 대향하는 상태로 된다.
또,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바로 앞쪽 및 내측에, 도시하지 않은 측벽 코어를 장착하고, 요함부(22)의 바로 앞쪽 및 내측을 막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요함부(22)의 개방 부분을 측벽 코어로 막을 수 있어, 자속이 외부로 새는 것을 저감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리키지 트랜스(10)는, 도 2~도 6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완성 상태로 된다. 그리고, 리키지 트랜스(10)의 완성 후, 단자(35a)~(35e, 38a, 38d)의 선단측을 땜납조에 침지하여, 해당 선단측에 납땜을 도포한다. 그리고, 이 선단측과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의 소정 부위와의 사이의 위치 맞춤을 행하여, 양자를 접합시킨다. 이 경우, 회로 기판측에도, 땜납이 도포된 상태로 접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리키지 트랜스(10)에 있어서는, 바인딩 단자(36)에는,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이 연결된다. 또, 바인딩 단자(38b, 38c)의 어느 하나에는, 2차측 코일(71)의 타단측이 연결된다. 그러므로,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각각 상이한 방향에 배치된 단자대(32a, 32b)를 향해 배선된다. 그에 따라, 2차측 단자(71)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먼지 등이 부착된 경우라도, 서로 단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러한 단락을 방지함으로써, 리키지 트랜스(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는, 여자에 의해 높은 전위차가 생긴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단락을 방지하면, 리키지 트랜스(10)의 파손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의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인접하는 그라운드 단자(35a)와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와 그라운드 단자(35a)와의 사이의 간격을, 필요 이상으로 넓게 취할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경사 각도α는, 측면(33a)에 대하여, 약 45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의 선단측은, 그라운드 단자(35a)의 선단측에 대하여, 유효하게 넓혀져 2차측 코일(71)을, 바인딩 단자(36)에 양호하게 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돌출하는 동시에, 바인딩 단자(36)의 선단측은, 단자(35a)~(35e)의 선단측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단자(35a)~(35e)의 선단측을 땜납조에 침지하여, 당해 단자(35a)~(35e)를 회로 기판에 납땜하는 경우, 바인딩 단자(36)까지는 땜납조에 침지하지 않아도 된다. 그에 따라, 바인딩 단자(36)에 감겨져 있는, 가는 직경의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이, 예를 들면 열 등에 의해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바인딩 단자(36)는, 그라운드 단자(35a)에 접속되어 있고, 이 그라운드 단자(35a)는, 바인딩 단자(36)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에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이 연결된 경우, 이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은, 그라운드에 접속된 상태로 된다. 그에 따라, 해당 일단측은, 전위의 기준으로 된다. 또, 바인딩 단자(36)에 연결되어 있는 2차측 코일(71)이, 그라운드 단자(35a)에 접촉해도 되고,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을 바인딩 단자(36)에 감을 때, 필요 이상으로 주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2단 코일 보빈(30)에는, 제1 권취 프레임부(34a)와 제2 권취 프레임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코일 보빈을 2개 높이 방향으로 중첩한 경우(도 10 참조)와 비교하여, 1개의 코일 보빈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코일 보빈의 조립시의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2단 코일 보빈(30)은, 상부 콜러부(31a), 중간 콜러부(31b) 및 하부 콜러부(31c)를 가지고, 이들 상부 콜러부(31a)와 중간 콜러부(31b)의 사이에 제1 권취 프레임부(34a)가, 중간 콜러부(31b)와 하부 콜러부(31c)의 사이에 제2 권취 프레임부(34b)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중간 콜러부(31b)가, 제1 권취 프레임부(34a)의 하부 콜러부의 역할과, 제2 권취 프레임부(34b)의 상부 콜러부의 역할을 겸한다. 그러므로, 코일 보빈을 2개 높이 방향으로 중첩한 경우와 비교하여 콜러부가 1개분만큼 생략되어 그 만큼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리키지 트랜스(10)의 저배화에 공헌한다.
또, 제1 단자대(32a)와 제2 단자대(32b)는, 2단 코일 보빈(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2단 코일 보빈(30)에 대하여 제1 단자대(32a) 및 제2 단자대(32b)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그에 따라,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을 바인딩 단자(36)에, 타단측을 바인딩 단자(38b, 38c)에 연결된 후에, 해당 2차측 코일(71)의 권회가 느슨해지거나 2차측 코일(71)이 단선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정용 코일 보빈(40)이 설치되므로, 당해 조정용 코일 보빈(40) 중 조정용 권취 프레임부(44)에 조정 부분(70a)이 감겨진다. 그것에 의해, 조정 부분(70a)을, 조정용 권취 프레임부(44)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조정용 코일 보빈(40)은, 상부 콜러부(42a)와 하부 콜러부(43a)로 구획된 조정용 권취 프레임부(44)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조정용 권취 프레임부(44)가, 조정 부분(70a)의 권회시에, 가이드의 역할을 완수한다. 그것에 의해, 조정 부분(70a)의 권회가 확실하게 된다. 또, 조정용 코일 보빈(40)에는, 권선기를 사용하여 1차측 코일(70)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당해 조정용 코일 보빈(40)을 설치하지 않고, 직접 케이스 코어(20) 내에 존재하는 제1 포스트(23) 등에 1차측 코일(70)을 감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작업을 요하지 않고 1차측 코일(70)을 감을 수 있어, 더욱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2개의 제1 권취 프레임부(34a)에 대하여, 1차측 코일(70)이 걸치는 상태로 감겨진다. 그러므로, 1차측 코일(70)의 권회시에 즈음하여, 당해 1차측 코일(70)의 본딩이 불필요해져,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단 코일 보빈(30)은 2개 설치되고, 당해 2개의 2단 코일 보빈(30)이 대향하는 사이의 부위에, 조정용 코일 보빈(40)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2단 코일 보빈(30)에의 권회에 앞서 1차측 코일(70)을 감아서 조정 부분(70a)을 형성하고, 그 후에 2단 코일 보빈(30)을 조정용 코일 보빈(40)에 인접하는 상태로 양 옆에 배치하면, 1차측 코일(70)의 전체를, 조정용 코일 보빈(40) 및 2단 코일 보빈(30)에 의해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유지에 의해, 1차측 코일(70)의 본딩이 불필요해진다.
또, 바인딩 단자(36)는, 봉형체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35a)~(35e)의 선단 측은, 바인딩 단자(36)보다 케이스 코어(20)의 저면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2차측 단자(71)의 선단측과 바인딩 단자(36)의 선단측과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다. 그에 따라,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을, 제1 바인딩 단자에 감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단자(35a)~(35e)의 선단측이, 케이스 코어(20)의 저면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으므로, 해당 단자(35a)~(35e)의 선단측을, 회로 기판 등에 접속하기 용이해진다.
또, 코어는, 케이스 코어(20)와 커버 코어(50)를 구비하고, 이 중 케이스 코어(20)에는, 제1 포스트(23), 제2 포스트(24) 및 측벽(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2단 코일 보빈(30)과 조정용 코일 보빈(40)은, 측벽(21)에 의해 형성되는 요함부(22)에 수납된다. 그리고, 제1 포스트(23), 제2 포스트(24) 및 측벽(21)을 가지는 케이스 코어(20), 및 커버 코어(50)과의 사이에서, 자로(磁路)를 형성할 수 있어, 2차측 코일(71)을 양호하게 여자할 수 있다.
또한, 바인딩 단자(36)의 베이스부는, 단자(35a)~(35e)의 베이스부보다, 케이스 코어(20)의 짧은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의 시점은, 단자(35a)~(35e)의 베이스부보다 후미진 상태로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리키지 트랜스(10)의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약 45도를 이루고 있는 측면(33b)에, 바인딩 단자(36)의 베이스부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측면(33b)이, 측면(33a)과 동일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측면(33b)의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어, 2차측 코일(71)을 감은 경우에, 해당 2차측 코일(71)을 양호하게 받아 들일 수 있다.
또, 바인딩 단자(36)의 선단측은, 케이스 코어(20)의 길이 방향의 단부보다 당해 케이스 코어(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바인딩 단자(36)는, 케이스 코어(20)의 길이 방향의 단부보다 외측을 향해 돌출되지 않는다. 그것에 의해, 바인딩 단자(36)가 외부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 등에 리키지 트랜스(10)을 설치해도, 바인딩 단자(36)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리키지 트랜스(10)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대(32a)에는 측면(33b)이 형성되고, 이 측면(33b)으로부터 바인딩 단자(36)가 돌출하고 있다. 그러나, 측면(33b)으로부터 바인딩 단자(36)가 돌출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리키지 트랜스(10)의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측면(33b)을 형성하지 않고, 해당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측면을 형성하고, 이 측면으로부터 바인딩 단자(36)가 돌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인딩 단자(36)는, 단자(35a)~(35e)보다 가는, 직선형의 봉형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바인딩 단자(36)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인딩 단자(36)의 형상을 갈고리형으로 형성하여,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을 연결하기 쉽게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대(32a) 및 제2 단자대(32b)는, 2단 코일 보빈(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을 별체로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단자대(32a)만, 또는 제2 단자대(32b)만을, 별체로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별체의 단자대를 조립한 후에, 2차측 코일(71)을 연결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인딩 단자(36)와 그라운드 단자(35a)는,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양자를 접속하지 않고 , 별개 독립한 존재로 해도 된다. 또, 별개로 독립시키는 경우에, 바인딩 단자(36)를 그라운드 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단 코일 보빈(30)을 사용하고, 이 2단 코일 보빈(30)에 1차측 코일(70)과 2차측 코일(71)을 감고 있다. 그러나, 2단 코일 보빈(30) 이외의 코일 보빈을 사용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1차측 코일(70)을 감는 코일 보빈과, 2차측 코일(71)을 감는 코일 보빈을 별체로 설치하고, 양자를 중첩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고압측의 2차측 코일(71)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사이에서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리키지 트랜스(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단 코일 보빈(30)의 개수를 2개로 하고 있다.
그러나, 2단 코일 보빈(30)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개 설치하는 등,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2단 코일 보빈(30)의 개수를, 예를 들면 4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2 포스트(24)를 4개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그 경우라도, 2개의 권취 프레임부(34a, 34b)를 가지므로,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1차측 코일(70)의 본딩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35a)~(35e) 및 단자(38a, 38d)는, 면실장되는 면실장부(37b, 39b)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자(35a)~(35e), 및 단자(38a, 38d)는, 면실장부(37b, 39b)를 가지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로 기판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전술한 리키지 트랜스(10)는,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서의 백라이트용 방전등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예로서는, 휴대 전화 장치의 표시 장치, 카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의 표시 장치, 형광등, PDP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코어는, 도 1에 있어서 바로 앞쪽 및 내측이 개방된 케이스 코어(20)와 커버 코어(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측벽(21)이 케이스 코어(20)의 측 둘레의 전 주위에 걸쳐 설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콜러부(31a), 중간 콜러부(31b), 및 하부 콜러부(31c)는, 코일부(31)의 원호 중, 적어도 2개의 코일부(31)가 대향하지 않는 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상부 콜러부(31a), 중간 콜러부(31b), 및 하부 콜러부(31c)는, 이와 같이 설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부 콜러부(31a), 중간 콜러부(31b), 및 하부 콜러부(31c)의 일부를 소정 간격으로 노치한, 간헐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리키지 트랜스는, 예를 들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용 방전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키지 트랜스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리키지 트랜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조정용 코일 보빈을 지그에 유지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지그에2단 코일 보빈을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2단 코일 보빈의 제1 권취 프레임부에 1차측 코일이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2단 코일 보빈 및 조정용 코일 보빈을 지그에 유지된 상태로 케이스 코어에 꽂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케이스 코어에 2단 코일 보빈 및 조정용 코일 보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리키지 트랜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커버 코어가 장착되어, 리키지 트랜스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14)

  1. 도선(導線)의 권회(卷回)에 의해 구성되는 1차측 코일과,
    상기 1차측 코일의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도선과는 다른 도선의 권회에 의해 구성되는 2차측 코일과,
    상기 1차측 코일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1차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2차측 코일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제1 바인딩 단자를 구비하는 제1 단자대와,
    상기 2차측 코일의 타단측을 연결하는 제2 바인딩 단자를 구비하는 제2 단자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leakage transform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코일이 감겨지는 제1 권취 프레임부와, 상기 2차측 코일이 감겨지는 제2 권취 프레임부를 가지는 복수의 2단 코일 보빈과,
    상기 복수의 2단 코일 보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1차측 코일 중 자기(磁氣) 결합의 조정을 행하는 조정 부분이 감겨지는 조정용 코일 보빈과,
    상기 2단 코일 보빈 및 상기 조정용 코일 보빈을 각각 유지하는 포스트(post)와, 상기 포스트의 외측을 둘러싸는 측벽을 가지고, 상기 측벽으로 둘러싸이는 요함부(凹陷部)에 상기 2단 코일 보빈 및 상기 조정용 코일 보빈이 끼워넣어지는 코어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2단 코일 보빈은, 상기 제1 단자대 및 상기 제2 단자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상기 제1 단자대에 대한 베이스부와 상기 1차측 단자의 상기 제1 단자대에 대한 베이스부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과 상기 1차측 단자의 선단측 사이의 간격이 넓게 설치되는 상태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의 방향이, 상기 1차측 단자의 선단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상기 제1 단자대에 대한 베이스부와 상기 1차측 단자의 상기 제1 단자대에 대한 베이스부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측과 상기 1차측 단자의 선단측 사이의 간격이 넓게 설치되는 상태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의 방향이, 상기 1차측 단자의 선단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의 방향은, 상기 1차측 단자의 선단의 방향에 대하여 약 30~60도의 각도 범위 내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의 방향은, 상기 1차측 단자의 선단의 방향에 대하여 약 30~60도의 각도 범위 내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선단의 방향은, 상기 1차측 단자의 선단의 방향에 대하여 대략 30~60도의 각도 범위 내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속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속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속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코일 보빈은, 상부 콜러부, 중간 콜러부 및 하부 콜러부를 가지고,
    이들 상부 콜러부와 중간 콜러부 사이에 상기 제1 권취 프레임부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 콜러부와 상기 하부 콜러부 사이에 상기 제2 권취 프레임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는, 봉형체(棒形體)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측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선단측은, 상기 제1 바인딩 단자보다 상기 코어의 저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저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저면의 외주 주위부에 있어서 위쪽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는 상기 측벽을 구비하는 케이스 코어와,
    상기 케이스 코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코어 사이의 부위에 상기 2단 코일 보빈 및 상기 조정용 코일 보빈이 수납되는 커버 코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딩 단자의 상기 제1 단자대에서의 베이스부는, 상기 1차측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상기 제1 단자대에서의 베이스부보다 상기 케이스 코어의 짧은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키지 트랜스.
KR1020040064654A 2003-09-25 2004-08-17 리키지 트랜스 KR100672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4172 2003-09-25
JP2003334172A JP3831368B2 (ja) 2003-09-25 2003-09-25 リーケージトラン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536A true KR20050030536A (ko) 2005-03-30
KR100672914B1 KR100672914B1 (ko) 2007-01-22

Family

ID=3437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654A KR100672914B1 (ko) 2003-09-25 2004-08-17 리키지 트랜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6204B2 (ko)
JP (1) JP3831368B2 (ko)
KR (1) KR100672914B1 (ko)
CN (1) CN100520999C (ko)
TW (1) TWI25547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59B1 (ko) * 2006-01-09 2006-12-05 주식회사 삼립전기 누설 변압기
KR20150139851A (ko) * 2013-04-07 2015-12-14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KR20200040588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1131B4 (de) * 2005-08-30 2008-01-3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Übertrager
JP4841481B2 (ja) * 2006-05-18 2011-12-21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バランストランス
JP4279858B2 (ja) * 2006-07-26 2009-06-1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素子
US20080036566A1 (en) * 2006-08-09 2008-02-14 Andrzej Klesyk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7365630B1 (en) * 2007-06-24 2008-04-29 Taipei Multipower Electronics Co., Ltd. Low magnetic leakage high voltage transformer
AT506401B1 (de) * 2008-06-24 2009-09-15 Fronius I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schweissbrennern
JP4760874B2 (ja) * 2008-08-12 2011-08-31 Tdk株式会社 コイル巻線、及びコイル部品
JP5685815B2 (ja) * 2009-03-16 2015-03-18 Tdk株式会社 トランス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1859638B (zh) 2009-04-07 2012-12-0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漏感的变压器结构
JP5321336B2 (ja) * 2009-08-06 2013-10-23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素子
TWI464620B (zh) * 2010-06-30 2014-12-11 Chi Mei Comm Systems Inc 背光調節系統及方法
KR101179305B1 (ko) * 2011-06-30 2012-09-03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7939B1 (ko) * 2011-06-30 2012-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820164B2 (ja) * 2011-07-01 2015-11-24 東光東芝メータ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力量計
TWI436380B (zh) * 2012-02-01 2014-05-01 Delta Electronics Inc 磁性組件及其基座
TWI508110B (zh) * 2012-03-05 2015-11-11 Delta Electronics Inc 磁性元件
KR101388797B1 (ko) *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9991043B2 (en) * 2013-03-15 2018-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magnetic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CN103383889B (zh) * 2013-06-27 2016-02-03 广安市华蓥山领创电子有限公司 一种超薄变压器骨架
US20150130577A1 (en) * 2013-09-10 2015-05-14 Pulse Electronics, Inc. Insulation planar inductive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JP6269094B2 (ja) * 2014-01-20 2018-01-31 Tdk株式会社 電源装置
EP3131599B1 (en) 2014-04-15 2019-02-20 Tc1 Llc Catheter pump with access ports
CN103985526B (zh) * 2014-05-15 2017-10-3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变压器
US10032554B2 (en) * 2016-08-11 2018-07-24 Mean Well (Guangzhou) Electronics Co., Ltd. Detachable transformer
JP6635306B2 (ja) * 2016-09-21 2020-0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及びリアクトル用磁性コア
KR20190134058A (ko) * 2018-05-24 2019-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어, 트랜스포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JP6958525B2 (ja) * 2018-09-25 2021-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
US11749452B2 (en) * 2020-03-10 2023-09-05 Delta Electronics (Thailand) Public Company Limited Leakage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069A (en) * 1979-12-03 1982-02-16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wave oven excitation system
US5034854A (en) * 1989-06-01 1991-07-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ased transformer
JPH03204486A (ja) * 1989-12-29 1991-09-06 Aisin Aw Co Ltd 電磁弁のコイル装置
US5281942A (en) * 1991-06-21 1994-01-25 Motorola Lighting, Inc. Bobbin for an electrical wind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359313A (en) * 1991-12-10 1994-10-25 Toko, Inc. Step-up transformer
US5466992A (en) * 1992-08-19 1995-11-14 Bruce Industries, Inc. Inverter ballast circuit featuring current regulation over wide lamp load range
WO2001054150A1 (fr) * 2000-01-20 2001-07-26 Sumida Corporation Transformateur onduleur
DE60135949D1 (de) * 2000-03-24 2008-11-13 Tabuchi Denki Kk Elektromagnetische Induktionsvorrichtung
TW445468B (en) * 2000-06-08 2001-07-11 Darfon Electronics Corp Transformer bobbin
CN1195306C (zh) * 2000-09-13 2005-03-30 富士胶片株式会社 触发器线圈
JP3906405B2 (ja) * 2001-05-25 2007-04-18 ミネベア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59B1 (ko) * 2006-01-09 2006-12-05 주식회사 삼립전기 누설 변압기
KR20150139851A (ko) * 2013-04-07 2015-12-14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KR20200040588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0999C (zh) 2009-07-29
US20050068149A1 (en) 2005-03-31
US7116204B2 (en) 2006-10-03
TW200512774A (en) 2005-04-01
CN1601670A (zh) 2005-03-30
JP2005101357A (ja) 2005-04-14
TWI255470B (en) 2006-05-21
KR100672914B1 (ko) 2007-01-22
JP3831368B2 (ja)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914B1 (ko) 리키지 트랜스
KR100879251B1 (ko) 밸런스 트랜스
EP2402964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814129A1 (en) High-voltage transformer
JP2012015525A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170010A (zh) 薄形化变压器及变压器组件
JP2005158927A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20120007212A (ko) 인덕터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인덕터 장치
JP2003068531A (ja) インダクタ及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US8203413B2 (en) Winding component
KR20040110539A (ko) 박형 트랜스
JP5151432B2 (ja) 巻線部品のボビン
KR100657645B1 (ko) 보조코어가 구비된 트랜스포머
EP4057306A1 (en)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KR200416466Y1 (ko) 캡코어를 구비한 트랜스포머
JP3831369B2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およびリーケージトランスの製造方法
KR100709314B1 (ko) 트랜스포머용 보빈
KR101036417B1 (ko) 인버터 트랜스 포머
KR100751592B1 (ko)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JP2001313222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1313221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3837131B2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およびリーケージトランスの製造方法
KR200353527Y1 (ko) 인버터 트랜스포머용 보빈
KR20070103584A (ko)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