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141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141A
KR20050030141A KR1020040076277A KR20040076277A KR20050030141A KR 20050030141 A KR20050030141 A KR 20050030141A KR 1020040076277 A KR1020040076277 A KR 1020040076277A KR 20040076277 A KR20040076277 A KR 20040076277A KR 20050030141 A KR20050030141 A KR 2005003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by carriage
handle lever
hand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3068B1 (ko
Inventor
스가노부히데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 본체를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 혹은 접은 상태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 레버(15)를 배면 밀기 상태 혹은 대면 밀기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암 레스트(16)를 장착한 파이프(17)와 후각(後脚)(14)의 록 혹은 록 해제를 행하는 브래킷(25)과의 피벗 축과 동일 축선 상에, 손잡이 레버(15)의 하단이 파이프에 피벗되어 있다. 손잡이 레버(15)의 하단에, 상기 브래킷(25)의 피벗부를 덮는 핸들 커버(41)가 설치되어 있다. 그 핸들 커버(41)와 상기 브래킷(25)의 대향면에, 유모차 본체의 전개ㆍ접이 및 대면ㆍ배후 전환 시에는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게 하고, 손잡이 레버(15)와 브래킷(25)이 상대적으로 그 범위 이상으로 회동하려고 했을 때에, 그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규제부(40, 41b)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모차{A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 혹은 접은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손잡이 레버를 배면(背面) 밀기 상태 혹은 대면(對面) 밀기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서 옥외로 데리고 나가는 경우에 사용하는 유모차에서는, 손잡이 레버를 배면 밀기 상태 혹은 대면 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접기, 수납 또는 휴대가 용이하게 되도록 한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도 6은, 전각(前脚)과 후각(後脚)이 서로 평행 상태가 되도록 2단 접이 상태로 접은 후에, 다시 コ자형으로 접어서, 3단 접이 상태로 접을 수 있게 한 유모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전륜(前輪)(11)을 갖는 좌우 1쌍의 전각(12), 후륜(後輪)(13)을 갖는 좌우 1쌍의 후각(14), 대략 U자 모양으로 굴곡된 손잡이 레버(15), 좌우 1쌍의 암 레스트(16) 및 그 암 레스트의 기단부(基端部)가 각각 피벗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2개의 파이프(17)를 갖고 있다.
상기 각 암 레스트(16)의 선단 측에는 전각(12)이 피벗되어 있고, 그 좌우의 암 레스트(16)의 선단부 사이에는 호상(弧狀)의 굴곡 가능한 가이드 암(18)이 탈부착 가능하게 걸쳐 있다. 또한, 좌우의 암 레스트(16)에는 후각(14)의 상단이 피벗되어 있다. 좌우의 전각(12)은 발받침판(19)을 갖는 전측 연결 바(bar)(2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후각(14)은 후측 연결 바(21)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각 전각(12)의 중간부에는 연결 바(22)의 전단이 각각 피벗되고, 그 연결 바(22)의 후단은, 각각 상기 파이프(17)의 하부에 고착된 후각 지지 부재(23)에 피벗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연결 바(22)는 상측 연결 바(2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각(12), 후각(14), 암 레스트(l6), 파이프(17) 및 그것들을 연결하는 연결 바에 의해서 유모차 본체가 구성되고 있다.
상기 후각 지지 부재(23)에는 그 외측면으로 U자 모양의 손잡이 레버(15)의 하단부가 축(15a)에 의해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레버(15)를 암 레스트(16)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 돌기(16a, 16b)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레버(15)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배면 밀기 상태, 혹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대면 밀기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각(14)에는 L자 모양의 브래킷(25)의 하단부가 피벗되어 있고, 그 브래킷(25)의 중간부가 상기 후각 지지 부재(23)로 축(23a)에 의해 피벗되어 있다. 그 브래킷(25)의 자유 단부(段部)에는 후각(14)을 파이프(17)로 록 시키는 록 부재(26)의 고정 단부(26a)와 결합하는 노치 단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 부재(26)는 상기 파이프(17)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손잡이 레버(15)가 배면 밀기 상태에 위치하고 있을 때 그 손잡이 레버(15)의 정상 단부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27)에 의해서 파이프(17)를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각 지지 부재(23)에는 후각(14)과 대향하는 면에 전개 시의 후각(14)에 맞닿고 그 전개 상태를 유지하는 단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레버(15)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16a, 1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오목부를 갖는 고정 훅(30)이 그 손잡이 레버(1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그 고정 훅(30)은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러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26)가 L자 모양의 브래킷(25)이 노치 단부(25a)에 결합되면, 그 브래킷(25)을 통하여 후각(14)과 파이프(17)가 록 되고, 유모차 본체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배면 밀기 상태로 된 이후에, 원격 조작 장치(27)에 의해서 록 부재(26)가 끌어 올려지면, 록 부재(26)에 의한 록이 해방된다. 그래서, 후륜(13)을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동시에 손잡이 레버(15)를 하방으로 내려 누르도록 하면, 암 레스트(16), 전각(12) 및 후각(14)이 도 8 및 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요동되고, 휴대 등에 편리하도록 2단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손잡이 레버(15), 전측 연결 바(20), 후측 연결 바(21) 및 상측 연결 바(24)에는 각각 중간부의 두 곳에 조인트(15a1, 15a2, 20a1, 2Oa 2, 21al, 21a2, 24a1, 24a2)가 설치되고, 그 조인트에 의해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조인트는, 조인트(15al, 20a1, 21a1, 24a1)의 축선 및 조인트(15a 2, 2Oa2, 21a2, 24a2)의 축선이, 전각(12)과 후각(14)이 서로 평행 상태에 접어졌을 때에, 각각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전각(12)과 후각(14)이 서로 평행 상태가 되도록 2단 접이 상태로 접은 후에, 손잡이 레버(15)의 조인트보다 외측 부분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각 조인트에 의해서 손잡이 레버(15), 전측 연결 바(20), 후측 연결 바(21)의 외측 부분이 전방으로 접혀서, 유모차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단 접이 상태로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31665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레버(15)에 설치된 원격 장치(27)에 의해 대면 밀기 상태 혹은 배면 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를 2단 접이 상태로 접은 상태에서 원격 조작 장치를 오조작(誤操作)하여 고정 훅을 해제한 경우, 2단 접이 상태로 되어 있는 유모차 본체가 손잡이 레버(15)에 설치된 좌우의 고정 훅(30) 사이를 빠져나가, 후방으로 넘어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손잡이 레버(15)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유모차 본체가 맞닿아서 그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轉倒) 방지 부재를 설치하거나, 혹은 고정 훅(30)에 결합되는 암 레스트(16)에 설치된 고정 돌기(16a, 16b)를 좌우 방향으로 길게 하여, 접을 때에 상기 고정 돌기가 손잡이 레버(15)에 해당하여, 상기 유모차 본체가 후방에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행해져 있다. 그렇지만, 전자는 경도(傾倒) 방지용의 특별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후자는 외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외관을 희생시키지 않고 또한 특별히 전도 방지용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 상기 전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 혹은 접은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손잡이 레버를 배면 밀기 상태 혹은 대면 밀기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후각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파이프와, 암 레스트와, 일단부가 후각에 피벗되어 중간부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파이프의 하단부에 각각 피벗되는 것과 동시에, 타단부에 각 후각을 상기 파이프에 록하는 결합부가 설치된 브래킷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파이프와 브래킷과의 피벗 축과 동일 축선 상에 하단부가 상기 파이프에 피벗된 손잡이 레버를 구비하여, 브래킷의 외측면과 손잡이 레버 사이에 유모차 본체의 전개ㆍ접이 및 대면ㆍ배후 전환 시에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손잡이 레버와 브래킷이 상대적으로 그 범위 이상으로 회동하려고 했을 때, 그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 레버의 하단에 브래킷의 피벗부를 덮는 핸들 커버가 설치되고, 회동 규제부는 핸들 커버와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회동 규제부가 핸들 커버와 브래킷 중 한쪽에 설치된 호상의 오목부와,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오목부 내를 이동하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모차 본체의 전개 시에 회동 규제부의 볼록부가, 호상의 오목부의 일단의 벽면에 맞닿고, 접을 때에는, 볼록부가 호상의 오목부의 타단의 벽면에 맞닿고, 핸들 커버와 브래킷의 상대적인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 레버에 고정 훅이 설치되고, 각 파이프 및 암 레스트에 고정 훅과 결합하는 제 1 고정 돌기 및 제 2 고정 돌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 레버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록 해제 부재가 설치되고, 회동 규제부는 록 해제 부재와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회동 규제부는 록 해제 부재로부터 돌출 설치된 록 해제 레버와, 상기 브래킷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유모차 본체가 2단 접이 상태로 접어졌을 때 상기 록 해제 레버에 맞닿고, 손잡이 레버와 브래킷이 상대적으로 그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 레버에 고정 훅이 설치되고, 각 파이프 및 암 레스트에 고정 훅과 결합하는 제 1 고정 돌기 및 제 2 고정 돌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전륜(11)을 갖는 좌우 1쌍의 전각(12), 후륜(13)을 갖는 좌우 1쌍의 후각(14), 좌우 1쌍의 암 레스트(16) 및 그 암 레스트(16)의 기단부가 각각 피벗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2개의 파이프(17)를 갖는 유모차 본체(10)와, 파이프(17)로 피벗된 대략 U자 형상의 굴곡된 손잡이 레버(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암 레스트(16)의 선단 측에는 전각(12)이 피벗되어 있고, 그 좌우의 암 레스트(16)의 선단부 사이에는 호상의 굴곡 가능한 가이드 암(18)이 탈부착 가능하게 걸쳐 있다. 또한, 좌우의 암 레스트(16)에는 후각(14) 상단이 피벗되어 있다. 좌우의 전각(12)은 발받침판(19)을 갖는 앞쪽 연결 바(2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후각(14)은 후측 연결 바(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각 전각(12)의 중간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바(22)의 전단이 각각 피벗되어, 그 연결 바(22)의 후단은, 각각 상기 파이프(17)의 하부에 피벗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연결 바(22)는 상측 연결 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후각(14)에는 L자 모양의 브래킷(25)의 하단부가 피벗되어 있고, 그 브래킷(25)의 중간부가 상기 파이프(17)의 하단부에 축(31)에 의해 피벗되고, 또한 상기 축(31)에 손잡이 레버(15)가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다. 그 브래킷(25)의 자유 단부에는, 후각(14)을 파이프(17)로 록하는 록 부재(26)의 고정 단부(26a)와 결합하는 노치 단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 부재(26)는 상기 파이프(17)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손잡이 레버(15)의 정상(頂上) 단부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27)에 의해서 파이프(17)를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 조작되게 되어 있다. 즉, 손잡이 레버(15)에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27)에 의해서 조작되는 록 해제 부재(32)가 손잡이 레버(1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그 록 해제 부재(32)의 외면에는 상기 록 부재(26)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 해제 레버(33)(도 3)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 부재(26)에는 상기 록 해제 레버 상방으로 돌출하는 작동판(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27)에 의해 록 해제 부재(32)와 함께 록 해제 레버(33)가 상방으로 끌어올려지면, 작동판(34)을 통하여 록 부재(26)가 끌어올려지고, 브래킷(25)의 록이 해제된다. 또한, 파이프(17)의 하단부에는 후각(14)과 대향하는 면에 전개 시의 후각(14)에 맞닿고 그 전개 상태를 유지하는 후각 지지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26)가 L자 모양의 브래킷(25)의 노치 단부(25a)에 결합되면, 그 브래킷(25)을 통하여 후각(14)과 파이프(17)가 록 되고, 유모차 본체가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원격 조작 장치(27)에 의해서 록 부재(26)가 끌어올려지면, 록 부재(26)에 의한 록이 해방되고, 암 레스트(16), 전각(12), 후각(14)이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요동 가능해져서, 휴대 등에 편리하게 2단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17)에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레버 고정용 보스(35)가 핀(36)에 의해 단단히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핀(36)으로 암 레스트(16)의 기단부가 피벗되어 있다. 상기 보스(35)는 암 레스트(16)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보스(35)의 외면 측에 후술하는 고정 훅(37)이 결합되는 제 1 고정 돌기(38a)(도 2의 (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암 레스트(16)의 선단부 외면에는 상기 고정 훅(37)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2 고정 돌기(38b)(도 2의 (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레버(15)에는, 고정 훅(37)이 그 손잡이 레버(1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 훅(37)에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정 돌기(38a)에 결합될 수 있는 제 1 오목부(37a) 및 제 2 고정 돌기(38b)에 결합될 수 있는 제 2 오목부(3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27)에 의해서 상기 고정 훅(37)을 스프링에 대하여 끌어올려 손잡이 레버(15)를 후방으로 요동시키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훅(37)의 제 1 오목부(37a)가 상기 제 1 고정 돌기(38a)에 결합되고,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레버(15)가 후방 요동 위치, 즉 배면 밀기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고정 훅(37)을 끌어올려 손잡이 레버(15)를 전방으로 요동시키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37)의 제 2 오목부(37b)가 상기 제 2 고정 돌기(38b)에 결합되고,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레버(15)가 전방 요동 위치, 즉 대면 밀기 상태로 고정된다.
도 4의 (a), (b)는, 파이프(17)의 하단부에 피벗되어 있는 브래킷(25)과 손잡이 레버(15)의 부착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브래킷(25)의 외면에는 축(31)이 끼워지는 축수부(軸受部)(2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축수부(25a)에는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4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25)과 함께 축(31)에 의해 파이프(17)로 피벗되어 있는 손잡이 레버(15)의 하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레버(15)의 피벗부를 덮는 핸들 커버(41)가 고착되고 있다. 상기 핸들 커버(41)에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25)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브래킷(25)의 축수부(25a)의 일부에 동심상에 끼워지는 원통부(41a)가 형성되어 있고, 핸들 커버(41)의 내주면에는 격벽(41b)에 의해 구획된 호상의 오목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상의 오목부(41c) 내에 상기 브래킷(25)의 볼록부(40)가 끼워 맞춰지고, 상기 격벽(41b)의 양측벽에서 규정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볼록부(40)가 호상의 오목부(41c) 내를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의 (a), (b), (c)는, 각각 손잡이 레버(15)를 배면 밀기 상태, 대면 밀기 상태로 했을 때, 혹은 유모차 본체(10)를 접은 상태로 했을 때에 브래킷(25)과 핸들 커버(41)의 회동 규제부의 상대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 밀기 상태 시에는 브래킷(25)에 설치된 볼록부(40)가 핸들 커버(41)의 격벽(41b)의 일단의 벽에 맞닿고, 손잡이 레버(15)가 도면에서 그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이 방지된다. 또한, 대면 밀기 상태 시에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0)와 격벽(41b)은 서로 간격이 떨어진 상태가 되어서, 손잡이 레버(15)에는 하등의 규제가 작용하지 않고, 손잡이 레버(15)는 배면 밀기 상태와 대면 밀기 상태 사이에서는 자유롭게 요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단 접이 상태로 한 경우에는 볼록부(40)가 격벽(41b)의 타단의 벽에 맞닿고, 손잡이 레버(15)가 접혀진 유모차 본체(10)에 대해서 그 이상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유모차 본체(10)를 2단 접이 상태로 작게 접은 상태로 원격 조작 장치를 오조작하여 고정 훅을 해제한 경우라도, 2단 접이 상태로 되어 있는 유모차 본체(10)가 손잡이 레버(15)로 설치된 좌우의 고정 훅(37) 사이를 빠져나가, 도면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후방으로 넘어져 버리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브래킷(25)에 볼록부(40)를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핸들 커버(41) 쪽에 볼록부를 설치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브래킷의 외측면에는, 축(31)에 의한 파이프(17)로의 피벗부에서 하단부측, 즉 후각(14)과의 피벗부 측에 볼록부(추가 돌출부)(42)가 설치되어 있고, 유모차 본체를 2단 접이 상태로 했을 때 상기 볼록부(42)가, 상기 록 해제 부재(32)로부터 돌출된 록 해제 레버(33)에 맞닿게 되어 있다.
그러나, 유모차 본체를 2단 접이 상태로 한 경우에는 브래킷에 설치된 볼록부(42)가 록 해제 레버(33)에 맞닿아서, 손잡이 레버(15)가 접혀진 유모차 본체(10)에 대하여 그 이상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유모차 본체(10)를 2단 접이 상태로 접은 상태로 원격 조작 장치를 오조작하여 고정 훅을 해제한 경우라도, 2단 접이 상태로 되어 있는 유모차 본체(10)가 손잡이 레버(15)로 설치된 좌우의 고정 훅(37) 사이를 빠져나가, 후방으로 넘어져 버리는 것 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후각을 록 시키는 록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브래킷과 손잡이 레버의 대향면에, 유모차 본체의 전개ㆍ접이 및 대면ㆍ배후 전환 시에는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고, 손잡이 레버와 브래킷이 상대적으로 그 범위 이상으로 회동하려고 했을 때에 서로 맞닿고, 그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규제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유모차 본체가 접이식 상태 시에, 손잡이 레버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 조작 장치를 오조작하여 대면ㆍ배후 전환용 고정 훅을 해제한 경우에도, 손잡이 레버에 대해서 유모차 본체가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상기 유모차 본체가 후방으로 전도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전도 방지용에 특별히 별도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 또한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 유모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 (b)는 배면 밀기 상태 및 대면 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a), (b), (c)는 각각 손잡이 레버를 배면 밀기 상태 혹은 대면 밀기 상태로 했을 때, 혹은 유모차 본체를 2단 접이 상태로 한 경우의 회동 규제부의 작동 설명도.
도 4의 (a), (b)는 각각 브래킷과 손잡이 레버의 피벗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유모차 본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유모차의 평면 밀기 상태 및 대면 밀기 상태의 전환 작동 설명도.
도 8은 유모차 본체의 2단 접이 조작시의 작동 설명도.
도 9는 유모차 본체의 2단 접이 조작시의 전체 작동 설명도.
도 10은 유모차 본체를 3단 접이 상태로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모차 본체 11: 전륜
12: 전각 13: 후륜
14: 후각 15: 손잡이 레버
16: 암 레스트 17: 파이프
18: 가이드 암 19: 발받침판
20, 21, 22: 연결 바 25: 브래킷
26: 록 부재 27: 원격 조작 장치
32: 록 해제 부재 37: 고정 훅
38: 고정 돌기 41: 핸들 커버

Claims (8)

  1.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 혹은 접은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손잡이 레버를 배면(背面) 밀기 상태 혹은 대면(對面) 밀기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후각(後脚)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파이프와, 암 레스트와, 일단부가 각 후각에 피벗되고, 중간부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파이프의 하단부에 각각 피벗되는 동시에, 타단부에 후각을 상기 파이프에 록 시키는 결합부가 설치된 브래킷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파이프와 브래킷의 피벗 축과 동일 축선 상에 하단부가 상기 파이프에 피벗된 손잡이 레버를 구비하고,
    브래킷의 외측면과 손잡이 레버 사이에 유모차 본체의 전개ㆍ접이 및 대면ㆍ배면 전환 시에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손잡이 레버와 브래킷이 상대적으로 그 범위 이상으로 회동하려고 했을 때, 그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의 하단에 브래킷의 피벗부를 덮는 핸들 커버가 설치되고,
    회동 규제부는 핸들 커버와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2 항에 있어서, 회동 규제부는 핸들 커버와 브래킷 중, 한쪽에 설치된 호상의 오목부와,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오목부 내를 이동하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의 전개 시에 회동 규제부의 볼록부가 호상(弧狀)의 오목부의 일단의 벽면에 맞닿고, 접이 시에는 볼록부가 호상의 오목부의 타단의 벽면에 맞닿아, 핸들 커버와 브래킷의 상대적인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에 고정 훅이 설치되고, 각 파이프 및 암 레스트에 고정 훅과 결합하는 제 1 고정 돌기 및 제 2 고정 돌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록 해제 부재가 설치되고,
    회동 규제부는 록 해제 부재와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6 항에 있어서, 회동 규제부는 록 해제 부재로부터 돌출 설치된 록 해제 레버와, 브래킷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유모차 본체가 2단 접이 상태로 접어졌을 때 상기 록 해제 레버에 맞닿고, 손잡이 레버와 브래킷이 상대적으로 그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 6 항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에 고정 훅이 설치되고, 각 파이프 및 암 레스트에 고정 훅과 결합하는 제 1 고정 돌기 및 제 2 고정 돌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40076277A 2003-09-24 2004-09-23 유모차 KR101133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2296 2003-09-24
JP2003332296A JP4583742B2 (ja) 2003-09-24 2003-09-24 ベビー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141A true KR20050030141A (ko) 2005-03-29
KR101133068B1 KR101133068B1 (ko) 2012-04-09

Family

ID=3446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277A KR101133068B1 (ko) 2003-09-24 2004-09-23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83742B2 (ko)
KR (1) KR101133068B1 (ko)
CN (1) CN100467324C (ko)
TW (1) TW2005172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1736A (zh) * 2013-03-22 2013-08-07 欧仕儿童用品(福建)有限公司 婴儿车可收折架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0563B2 (en) * 2008-12-19 2012-07-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Reversible stroller handle
CN102101491B (zh) * 2009-12-18 2013-10-1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折叠式婴儿承载装置
US8419025B2 (en) * 2010-04-07 2013-04-16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carrier apparatus
KR101902271B1 (ko) * 2011-11-01 2018-10-0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이 가능한 베이비 카
JP5992190B2 (ja) * 2012-03-27 2016-09-1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り畳み式乳母車
CN104228923A (zh) * 2013-06-20 2014-12-24 安徽小龙仔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的一体式手柄
CN104554409A (zh) * 2013-10-25 2015-04-2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防车架误用机构及具有该防车架误用机构的婴儿车
CN108263463B (zh) * 2018-03-07 2023-08-01 深圳市秀宝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可二次伸缩折叠的手推车
CN108313113B (zh) * 2018-03-19 2023-10-20 深圳市秀宝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可二次折叠收车的婴儿推车
JP6957051B2 (ja) * 2020-02-20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120B2 (ja) * 1994-08-05 2003-02-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押棒ロック機構
JP3377139B2 (ja) * 1994-12-16 2003-02-17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812948B2 (ja) * 2001-03-05 2011-11-0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KR200273974Y1 (ko) * 2001-10-08 2002-05-01 이재완 2단절첩 유모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1736A (zh) * 2013-03-22 2013-08-07 欧仕儿童用品(福建)有限公司 婴儿车可收折架体
CN103231736B (zh) * 2013-03-22 2016-02-10 欧仕儿童用品(福建)有限公司 婴儿车可收折架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068B1 (ko) 2012-04-09
JP2005096590A (ja) 2005-04-14
JP4583742B2 (ja) 2010-11-17
CN1600617A (zh) 2005-03-30
CN100467324C (zh) 2009-03-11
TW200517287A (en) 2005-06-01
TWI333913B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6945B2 (ja) チャイルドキャリアによってトリガされる折畳機構を有するベビーカー
JP4812948B2 (ja) ベビーカー
JP3939537B2 (ja) ベビーカー
KR101133068B1 (ko) 유모차
JP5199113B2 (ja) ベビーカー
JP2002225721A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US6302613B1 (en) Pivot connector for a foldable stroller frame
KR100923261B1 (ko) 유모차
JP5913546B2 (ja) ベビーカー
JP5766772B2 (ja) ベビーカー
US20240157994A1 (en) Vehicle frame and baby stroller
JP4841722B2 (ja) ベビーカー
JP4397661B2 (ja) ベビーカー
JP4738919B2 (ja) ベビーカー
US7635159B2 (en) Collapsing device and child seat using the same
JP2001088710A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US20230249733A1 (en) Carrier frame
JPH1095348A (ja) ベビーシート用ガードアームのロック機構
JP2001088711A (ja) フットレストとこれを備えた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JPH0516534U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操作装置
JP2001097089A (ja) リクライニング式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