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974Y1 - 2단절첩 유모차 - Google Patents

2단절첩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974Y1
KR200273974Y1 KR2020010030604U KR20010030604U KR200273974Y1 KR 200273974 Y1 KR200273974 Y1 KR 200273974Y1 KR 2020010030604 U KR2020010030604 U KR 2020010030604U KR 20010030604 U KR20010030604 U KR 20010030604U KR 200273974 Y1 KR200273974 Y1 KR 200273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oller
groove
pair
stag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이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filed Critical 이재완
Priority to KR2020010030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974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2번 절첩하여 보관시 유모차의 부피를 감소하고, 휴대가 간편한 2단절첩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2단절첩 유모차는 유아가 앉는 안장, 앞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전방프레임, 뒷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프레임 및 다수의 수평프레임 등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프레임의 중앙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스위치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재에 의하여 전후로 1단절첩되는 것을 해지하고 고정하는 1단절첩단속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프레임이 전후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결속되게 하는 손잡이위치선택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수평프레임은 한 쌍의 힌지로 연결되어 전방으로 2단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유모차를 손잡이프레임에 있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1단으로 절첩하거나, 2단으로 절첩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를 보관할 때나 운반시에 편리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장에 알맞게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2단절첩 유모차{a double-foldable baby carriage}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모차를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2번 절첩하여 보관시 유모차의 부피를 감소하고, 휴대가 간편한 2단절첩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태워서 다니는 유모차는, 유아가 앉는 안장, 하중을 앞바퀴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전방프레임, 뒷바퀴와 연결되는 한 쌍의 후방프레임 및 다수의 수평프레임 등으로 구성되어 유아를 상기 안장에 태워 다닌다. 그리고 상기 유모차에는, 유모차를 밀 때 사용하는 손잡이가 부착된 손잡이 수평프레임이 유모차의 전후방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유아가 전방을 바라보면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유아가 사용자 쪽을 바라보게 하면서 유모차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를 보관할 때와 차량을 이용하여 유모차만을 적재하여 이동할 때에는 유모차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접어서, 전후방으로 절첩되게 하여 부피를 줄이는 유모차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1단절첩할 수 있는 유모차는, 전후방이 차지하는 부피는 줄일 수 있으나, 좌우로 접힐 수 있는 장치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후방향으로 절첩되는 유모차에 좌우방향으로도 절첩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유모차를 미는 수평프레임이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2단절첩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a와 도2b는 도1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 스위치부재의 요부분해 사시도와 작동 상태도.
도3은 도1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에 사용되는 스프링와이어의 부분 사시도.
도4a와 도4b는 1차 절첩단속부재와 손잡이위치선택부재의 부분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
도5 내지 도7은 1차절첩단속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 상태도.
도8은 조절버튼부재의 개락적인 단면도.
도9는 도1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0은 도1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가 반쯤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1은 도1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가 1단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2는 도1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가 1단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3은 도1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가 2단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단절첩 유모차, 100:스위치부재, 120:누름판,
124:고정턱, 130:작동판, 134:고정핀,
172:선택판, 250:슬라이드브라켓, 320:돌출핀,
330:회전체, 350:걸림체, 360:걸림턱,
400:조절버튼부재, 420:조절버튼, 700:스프링와이어,
910:팔걸이, 920,930,940,950:수평프레임,
960:손잡이프레임, 970:전방프레임, 980:등판프레임,
990:후방 프레임,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유아가 앉는 안장, 앞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전방프레임, 뒷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프레임 및 다수의 수평프레임 등으로 구성되는 2단절첩 유모차는, 유모차의 손잡이프레임의 중앙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스위치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재에 의하여 전후로 1단절첩되는 것을 해지하고 고정하는 1단절첩단속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프레임이 전후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결속되게 하는 손잡이위치선택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수평프레임은 한 쌍의 힌지로 연결되어 전방으로 2단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스위치부재는, 일측면에 깊이가 상이한 제1홈과 제2홈 및 중앙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고정턱이 구비된 누름판;과 일단이 상기 누름판에 힌지 연결되고, 스프링와이어의 와이어볼이 안착되는 볼홈이 타단에 형성되며, 중앙일정부위에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작동판;이 상부하우징에 안착되고, 상기 제1홈과 제2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돌출턱이 중앙 일정위치에 형성되고 좌우로 활주되는 선택판;이 하부하우징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1단절첩단속부재는, 일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프레임과 힌지 연결되며, 중앙 일정위치에 손잡이프레임과 힌지 연결되는 회전체;와 하측에 상기 회전체의 단턱에 대응되는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등판프레임의 하측에서 와이어에 의해 상하로 활주되면서 상기 회전체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유모차가 1단절첩되어 회전될 때 상기 걸림단턱과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회전체쐐기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손잡이위치선택부재는,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하측 일정부위 외측면에서 장착 상기 스위치부재에 의하여 상하로 활주되는 활주고정체;와 상기 활주고정체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홈;과 팔걸이프레임의 외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과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한 쌍의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수평형상의 상부손잡이프레임과 수직형상의 하부손잡이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에 삽입되어 상하로 활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절첩 유모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2단절첩유모차는 유아가 앉는 안장, 앞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전방프레임(970), 뒷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프레임(990) 및 다수의 수평프레임(920,930,940,950)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2단절첩 유모차(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잡이프레임(960, 965))을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보관시나 이동시에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2단으로 절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프레임(960, 965))을 전후방으로 이동하거나 유모차를 절첩하기 위한 스위치부재(100)는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재(10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상부손잡이 프레임(960)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부재(100)는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70)의 내부에 장착되는데, 상기 하부하우징(170)의 내부에는 누름판(120)과 한 쌍의 작동판(130)이 내장된다. 상기 누름판(120)은 일측면에 일정깊이가 형성된 제1홈(121)과 상기 제1홈(121)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 제2홈(122)이 있고, 상기 제1홈(121)과 제2홈(122)의 중앙에는 일정한 높이의 고정턱(124)이 형성된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판(130)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누름판(120)에 힌지핀(132)에 의하여 연결되고, 고정핀(134)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판(13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132)이 안착되는 힌지핀홈(133)은 횡방향으로 타원형을 이루고, 상기 고정핀(134)이 안착되는 고정핀홈(135)은 종방향으로 타원형을 이룬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핀홈(133)과 고정핀홈(135)이 타원으로 형성시키는 것은 상기 누름판(120)이 상기 하우징(110,170)내에서 원활하게 작동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하우징(110)내에 안착되는 선택판(172)은 상기 누름판(120)을 작동할 때 얼마만큼의 깊이로 누를 것인가를 선택하는 판으로서, 상기 누름판(120)의 제1홈(121)과 제2홈(122)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돌출턱(175)이 중앙일정위치에 형성되고 좌우로 활주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판(172)의 돌출턱(175)이 상기 제1홈(121)의 위치할 때, 상기 누름판(120)을 사용자가 눌러서 작동하면 상기 돌출턱(175)이 상기 제1홈(121)의 깊이만큼 이동하고, 상기 돌출턱(175)이 상기 제2홈(122)에 위치하면, 상기 누름판(120)은 제2홈(122)의 깊이만큼 이동하게 되어 상기 돌출턱(175)이 상기 제1홈(121)에 위치할 때보다 더 깊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175)이 상기 고정턱(124)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누름판(120)은 작동되지 않아서 잠금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120)에 의한 작동은 스프링와이어(700)에 의하여 후술하는 손잡이위치선택부재(200)와 1차절첩단속부재로 전달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와이어(700)는 압축은 되지 않으나 벤딩은 쉽게되는 스프링(750)과 상기 스프링(750)의 내부에서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710)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와이어(700)의 양단부에는 각각 스프링브라켓(760)과 와이어 볼(7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브라켓(760)은 상기 하부하우징(170)의 스프링브라켓 안착홈(137)에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 볼(720)은 상기 작동판(130)의 와이어볼 홈(136)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판(1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작동판(130)이 회전하면서 와이어(710)만을 끌어당기게 되고, 이렇게 끌어당기는 와이어(710)는 후술하는 손잡이위치선택부재와 1차절첩단속부재로 전달된다.
도4a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위치선택부재(200)와 1차절첩 단속부재는 후방프레임(990)과 연결되는 상기 하부손잡이프레임(965)의 하측에 하우징(297)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97) 내에 2개의 격실(2100, 2200)로 분리된 슬라이드브라켓(250)이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297) 내에서 활주된다. 상기 하우징(297)의 상단에는 스프링브라켓 안착홈(237)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100)와 연결된 스프링와이어(700)의 스프링브라켓(760)이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37)의 상단에 있는 와이어볼홈(236)은 상기 스프링와이어(700)의 와이어볼(72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상단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에는 압축스프링(260)이 내장되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을 밀어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재(100)를 작동하여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710)를 잡아당기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은 상방으로 활주되고, 사용자가 작동을 멈추면 상기 압축스프링(260)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제1격실(2100)과 제2격실(2200)에는 각각 제1몸체(2110)와 제2몸체(2210)가 장착되고, 상기 제1몸체(211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960)의 하단에 형성된 장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츨된 돌출핀(320)과 연결되고, 상기 제2몸체(221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960)의 하측에 형성된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프레임(960)을 감싸고 있는 활주고정체(2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활주고정체(210)의 외측에는 한 쌍의 걸림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제2격실(2200)내에 안착되는 제2몸체(2210)는 상기 격벽(23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이 상기 이격된 길이보다 적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몸체(2210)는 이동되지 않고, 이격된 거리보다도 더 이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격벽(2300)에 의하여 상기 제2몸체(2210)는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몸체(2110)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벽과 밀착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이 이동하면 상기 제1몸체(2110)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되는 상기 제1몸체(2110)와 제2몸체(221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실(2100)과 제2격실(2200)에는 각각 탄성스프링(260)이 안착된다.
유모차가 1단으로 절첩되는 상기 1차절첩단속부재는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이하 상술한다.
상기 한 쌍의 후방프레임(990)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 회전체(330)는, 중앙 일정위치에서 상기 하부손잡이프레임(965)의 하단과 힌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며, 일단에는 정상 사용상태에서 후술하는 걸림체(350)의 걸림단턱(351)과 결합하는 단턱(331)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프레임(990)과 힌지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330)에는 1단절첩되었을 경우 유모차(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체(350)와 결합하는 회전체쐐기(335)가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33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해지되는 상기 걸림체(350)는 등판프레임(980)의 하방에서 돌출핀(320)에 의하여 상기 등판프레임(980)에서 활주되는데, 하측에는 상기 회전체(330)의 단턱(331)과 결합되는 걸림단턱(351)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돌출핀(320)의 작동을 전달하는 걸림턱(3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핀(320)에 의해서 상기 걸림체(350)는 상기 등판프레임(980)에서 상하로 활주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걸림체(350)가 상기 등판프레임(980)의 상부로 활주될 때에는 상기 돌출핀(320)의 작용에 의하여 활주되고, 상기 돌출핀(320)의 작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체(350)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복원할 수 있도록 상기 등판프레임(980)의 내부에 상기 걸림체(350)와 연결되는 스프링이 내장된다.
상기 걸림체(350)를 활주시키는 상기 돌출핀(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내부에 안착된 상기 제1몸체(2110)와 열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상단에 장착된 누름판(120)을 누르면 상기 와이어(710)가 당겨져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은 상방으로 활주하고,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몸체(2110)와 연결된 돌출핀(320)은 상부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상기 누름판(120)을 놓게되면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돌출핀(320)이 복원된다.
이와 같이 1단절첩된 유모차를 2단으로 절첩을 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의 상측과 각각의 수평프레임(920, 930, 940. 950)의 일정부위에는 한 쌍이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는 전방으로 절첩될 수는 있으나 하방으로는 절첩이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 연결부분은 통상의 힌지연결로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유모차(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8참조) 상기 하부손잡이프레임(965)은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에 삽입되어 상하로 활주된다. 삽입되는 상기 하부손잡이프레임(965)의 외측면에는 최소한 2개이상의 요홈(45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450)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의 일단에 조절버튼부재(400)가 장착되며, 상기 조절버튼부재(400)는 일정형상의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 내에 중앙부위는 상기 하우징(410)과 힌지 연결되고, 일단은 탄성스프링(440)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요홈(450)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조절버튼(42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사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는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의 측면에 장착된 조절버튼(420)을 누르게 되면, 하부손잡이 프레임(965)의 요홈(450)과 결합된 돌기가 해지되어,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이 사용자가 필요한 높이로 이동한 후에, 누르고 있는 상기 조절버튼(420)을 놓게 되면 상기 조절버튼(420)의 돌기는 일정위치에 있는 요홈(450)과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프레임(960,965)) 내부에 있는 스프링와이어(700)는 상기 상부와 하부손잡이프레임(960,965)의 길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가 겹쳐지게 안착된다. 이렇게 스프링 와이어(700)가 겹쳐져도 상기 와이어(710)는 상기 스프링(750)과 상대적인 거리에 의하여 이동되는 거리가 정해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와이어(700)가 겹쳐져도 상기 스위치부재(100)에 의하여 끌어당기는 와이어(710)의 길이는 변함없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을 끌어당기는 길이와 일치하게 된다.
둘째, 본 고안에 의한 유모차를 앞과 뒤로 절첩하는 1단절첩은, 먼저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재(100)의 상기 선택판(172)을 돌출턱(175)이 상기 제1홈(121)에 안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누름판(1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판(130)은 고정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판(130)의 와이어볼 홈(136)에 안착된 와이어(710)를 끌어당기게 되고, 이와 같이 끌어당기는 와이어(710)는 상기 스프링와이어(700)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제1격실(2100)에 안착된 제1몸체(2110)도 상방으로 끌어당기며, 동시에 상기 제1몸체(2110)와 연결된 상기 돌출핀(320)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돌출핀(320)은 상기 걸림턱(360)에 의하여 상기 걸림체(350)를 상부로 밀어 올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걸림턱(360)은 회전체(330)에서 해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1단절첩을 하여 도7과 같은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1단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체(350)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쐐기(335)와 결합되어 1단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1단절첩된 유모차를 2단으로 절첩하기 위해서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평프레임(920,930,940,950)의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 측을 절첩하면 2단절첩이 되고 걸고리(999)에 의하여 고정된다.
셋째,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유모차(10)의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을 후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재(100)의 상기 선택판(172)의 돌출턱(175)이 상기 제2홈(122)에 안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누름판(1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판(130)은 고정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판(130)의 와이어볼 홈(136)에 안착된 와이어(710)를 끌어당기게 되는데, 상기 제2홈(122)은 상기 제1홈(121)에 비하여 홈이 깊게 형성되므로, 상기 누름판(120)의 이동길이도 길어지고, 상기 작동판(130)의 회전각도는 더많이 내측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내측으로 회전되는 작동판(130)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710)를 끌어당기게 되고, 이와 같이 끌어당기는 와이어(710)는 상기 스프링와이어(700)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와이어(710)를 선택판(172)의 돌출턱(175)을 제2홈(122)에 위치하여 와이어(710)를 더 많이 끌어당기므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50)의 제1격실(2100)에 안착된 제1몸체(2110)도 상방으로 끌어당김과 동시에, 격벽(2300)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안착된 제2격실(2200)의 제2몸체(2210)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몸체(2110)와 제2몸체(2210)가 상부로 이동하므로서, 상기 제1몸체(2110)에 고정된 상기 돌출핀(320)은 상기 걸림체(350)와 상기 회전체(330)의 결합을 해지하고, 또한 상기 제2몸체(2210)와 연결된 상기 활주고정체(210)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핀(390)에서 해지된다. 이와 같이 해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을 전방위치로 이동하고 누름판(120)을 놓게되면 상기 활주고정체(210)는 스프링에 의하여 하방으로 하강하여 걸림홈(220)이 팔걸이(910)의 전방에 위치한 걸림핀(390)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유모차를 손잡이 프레임에 있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1단으로 절첩하거나, 2단으로 절첩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를 보관할 때나 운반 시에 편리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장에 알맞게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6)

  1. 유아가 앉는 안장, 앞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전방프레임, 뒷바퀴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프레임 및 다수의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의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의 중앙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스위치부재(100);와 상기 스위치부재(100)에 의하여 전후로 1단절첩되는 것을 해지하고 고정하는 1단절첩단속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100)에 의하여 상기 상부손잡이프레임(960)이 전후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결속되게 하는 손잡이위치선택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수평프레임(920,930,940,950)은 한 쌍의 힌지로 연결되어 전방으로 2단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절첩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100)는,
    일측면에 깊이가 상이한 제1홈(121)과 제2홈(122) 및 중앙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고정턱(124)이 구비된 누름판(120);과 일단이 상기 누름판(120)에 힌지 연결되고, 스프링와이어(700)의 와이어볼(720)이 안착되는 볼홈(136)이 타단에 형성되며, 중앙일정부위에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작동판(130); 및 상기 제1홈(121)과 제2홈(122)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돌출턱(175)이 중앙 일정위치에 형성되고 좌우로 활주되는 선택판(172);이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70)내에 안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절첩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절첩단속부재는,
    일단에 단턱(331)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프레임(990)과 힌지 연결되며, 중앙 일정위치에 하부손잡이프레임(965)과 힌지 연결되는 회전체(330);와 하측에 상기 회전체(330)의 단턱(331)에 대응되는 걸림단턱(351)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걸림턱(360)이 형성되고, 등판프레임(980)의 하측에서 와이어에 의해 상하로 활주되면서 상기 회전체(33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체(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절첩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30)는,
    유모차가 1단절첩되어 회전될 때 상기 걸림단턱(351)과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한 쌍의 회전체쐐기(335)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절첩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위치선택부재는,
    상기 스위치부재(100)에 의하여 상하로 활주되는 활주고정체(210);와 상기 활주고정체(210)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홈(220);과 팔걸이 프레임의 외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220)과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한 쌍의 걸림핀(3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절첩 유모차.
  6. 삭제
KR2020010030604U 2001-10-08 2001-10-08 2단절첩 유모차 KR200273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04U KR200273974Y1 (ko) 2001-10-08 2001-10-08 2단절첩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04U KR200273974Y1 (ko) 2001-10-08 2001-10-08 2단절첩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974Y1 true KR200273974Y1 (ko) 2002-05-01

Family

ID=7306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604U KR200273974Y1 (ko) 2001-10-08 2001-10-08 2단절첩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9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68B1 (ko) * 2003-09-24 2012-04-0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KR101435542B1 (ko) 2005-09-30 2014-10-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68B1 (ko) * 2003-09-24 2012-04-0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KR101435542B1 (ko) 2005-09-30 2014-10-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1954B (zh) 兒童安全座椅
US5865447A (en) Controlling structure of a stroller
EP2813412B1 (en) Connection mechanism and infant care equipment having the connection mechanism
CN106572937B (zh) 具有另外的安装框架的行驶辅助装置
EP0494701A2 (en) Baby carriage
US9827880B2 (en) Vehicle seat
EP1228938A1 (en) Folding stroller
US20120139311A1 (en) Fold-and dive structure for vehicle seat
WO2005113286A1 (en) A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JPH0126910B2 (ko)
CA3020679A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US6814368B2 (en) Foldable stroller
CN209833734U (zh) 驱动婴儿车车架折收解锁的分离式座椅
KR200273974Y1 (ko) 2단절첩 유모차
US9156380B2 (en) Vehicle seat of type having upwardly foldable seat cushion
US20030122351A1 (en) Backrest structure for strollers
JP3977515B2 (ja) 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JP7283339B2 (ja) 小型電動車両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CN210047529U (zh) 一种防止第一坐部在非锁定状态翻倒的儿童载具
JP2001025486A (ja) 車椅子
KR100521877B1 (ko) 등받이 시트의 접이 구조
JPS6328669Y2 (ko)
JP3631164B2 (ja) 幼児用着座装置
JP2526869Y2 (ja) 乳母車の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