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422A - 산죽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죽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422A
KR20050029422A KR1020030065677A KR20030065677A KR20050029422A KR 20050029422 A KR20050029422 A KR 20050029422A KR 1020030065677 A KR1020030065677 A KR 1020030065677A KR 20030065677 A KR20030065677 A KR 20030065677A KR 20050029422 A KR20050029422 A KR 2005002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ain
bamboo
leaves
steam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대
Original Assignee
박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대 filed Critical 박용대
Priority to KR102003006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422A/ko
Publication of KR2005002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4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23F3/225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by evaporation, e.g. drying in thin layers, foam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죽(山竹)의 잎으로 차(茶)를 제조할 수 있는 산죽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죽 잎을 고온 건조로에서 100∼150℃의 온도로 30∼60 분 동안 새로운 산죽 잎으로 5∼10회 교체해가면서 가열 건조하여 산죽 증기를 추출하는 증기추출단계; 상기 증기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산죽 증기를 저온건조로에 도입하여 50∼60℃의 온도에서 3∼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저온건조로에 적재된 산죽 잎에 증착시키는 증기증착단계; 및 상기 산죽 증기가 증착된 산죽 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죽차 제조방법에 따르면, 천연 상태로는 질기고 억세어서 식용이 불가능하였던 산죽 잎을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부드러운 차(茶) 또는 각종 음식물에 추가할 수 있는 향미료 등으로 가공하여, 쓸모없이 버려지던 산죽의 경제적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고, 암이나 고혈압 등 각종 약리적 효능이 입증된 산죽에 포함된 각종 영양소를 차(茶)나 음식물로 자연스럽게 섭취하도록 유도하여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죽차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BAMBOO LEAVES TEA}
본 발명은 산죽(山竹)의 잎으로 차(茶)를 제조할 수 있는 산죽차(山竹茶)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죽(山竹)의 잎(葉)에는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칼슘, 칼륨, 마그네슘, 비타민 C, 비타민 E 등 인체에 유익한 각종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에, 산죽 잎을 섭취하면, 소화가 촉진되고, 변비가 없어지며, 인체 내 효소균이 활성화되어 장이 건강해지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져 대장암, 위암, 고혈압 등의 성인병 발병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죽의 잎은 매우 억세고 질기기 때문에 천연 상태로는 섭취하기가 곤란하여 종래에는 위와 같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억제고 질긴 산죽 잎을 불쾌감없이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향과 맛을 지닌 차(茶)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산죽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죽 고유의 진한 향과 영양소를 변함없이 보유한 산죽차를 제조할 수 있는 산죽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본 발명에 산죽차 제조방법은, 산죽 잎을 고온 건조로에서 100∼150℃의 온도로 30∼60 분 동안 새로운 산죽 잎으로 5∼10회 교체해가면서 가열 건조하여 산죽 증기를 추출하는 증기추출단계; 상기 증기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산죽 증기를 저온건조로에 도입하여 50∼60℃의 온도에서 3∼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저온건조로에 적재된 산죽 잎에 증착시키는 증기증착단계; 그리고, 상기 산죽 증기가 증착된 산죽 잎을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증기증착단계에서 증착되어질 산죽 잎에 상기 증기증착단계에 앞서 중탕로에서 산죽 뿌리와 산죽 잎을 중탕하여 추출한 증기를 증착하는 전처리 증착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죽차 제조방법에 따르면, 산죽 잎을 그 고유의 향기와 맛을 유지하는 차(茶)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산죽을 고유한 향기 및 감미를 느끼면서 차 형태로 마실 수 있게 되어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산죽 영양소를 자연스럽게 섭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죽차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야생의 대나무인 산죽(山竹)(키가 60㎝ 정도인 산죽의 잎이 가장 큼)에서 잎을 채취하여 맑은 물로 깨끗하게 세정한다.
이어, 세정된 산죽 잎을 고온 건조로에 투입한 다음 가열장치를 가동하여 고온 건조로를 가열하는데, 이 때, 고온 건조로 내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산죽 잎에서 향을 추출할 수 없으므로 고온 건조로 내 온도가 100 ~ 150 ℃되도록 가열한다. 고온 건조로의 가열과정을 거치면, 고온 건조로에 적재된 산죽 잎은 숯의 형태로 탄화되고 그 산죽 잎이 갖고 있는 향은 증기 상태로 빠져 나온다. 고온 건조를 통하여 얻어지는 산죽향 증기는 소량이기 때문에 적정량의 증기를 얻기 위해서는 고온 건조 과정을 여러 번 반복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고온 건조과정을 대략 30분 ~ 60분 정도 진행하여 산죽의 향을 분리한 다음, 고온 건조로 내 탄화된 산죽 잎을 제거하고 새로운 산죽 잎을 다시 적재하여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를 반복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온 건조과정은 5 ~ 10 회 정도 반복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증기추출단계)
다음에, 위 증기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산죽향 증기를 고온 건조로와 저온 건조로를 연결하는 덕트를 통하여 세정된 천연 산죽 잎이 적재된 저온 건조로로 이송한 다음, 가열장치로써 저온 건조로 내부를 가열한다. 이 때, 저온 건조로의 가열 온도는 저온 건조로에 적재된 산죽 잎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으면서 고온 건조과정에서 얻어진 향이 저온 건조로 내의 산죽 잎에 효과적으로 증착될 수 있도록 50 ~ 60℃로 3 시간 ~ 10 시간 정도에서 가열한다. 이 저온 증착과정을 거치면서 산죽 잎에 함유된 수분은 5% 미만으로 감소되고, 표면에 영양소 파괴없이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면서 매 회 고온 건조로에서 추출되어 유입된 산죽향 증기가 온도차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액상으로 상태 변화되면서 다층으로 증착된다.(증기증착단계)
위 증기추출단계와 증기증착단계는 동시에 진행되는 공정으로서, 증기추출단계의 고온 건조는 산죽 잎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서 수 회 반복하는 증기추출공정인데 반해, 증기증착단계의 저온 건조공정은 1 회에 한하여 지속적으로 행하여 앞서 증기주출공정에서 얻은 증기를 최종 결과물이 되는 산죽 잎에 증착하는 공정이다. 특히, 저온 건조공정을 거치면서 최종 결과물이 되는 산죽 잎은 앞서 고온 건조과정에서 추출된 다른 산죽 잎의 영양소가 증착됨으로써 산죽 잎의 영양소가 그대로 온존하고 산죽 고유의 향이 짙게 배어 있는 부드러운 산죽 잎이 된다.
이와 같이 고온 건조와 저온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산죽 잎은 그 표면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면서 앞서 다른 산죽 잎의 증기가 다층 증착되어 트립토판(Tryptophan), 리진(Lysine), 메치오닌(Methionone), 히스티딘(Histidine) 등을 그대로 보유한다.
마지막으로, 저온 건조과정을 거친 산죽 잎을 저온 건조로에서 꺼내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자 크기가 식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150 ~ 250 메시가 되도록 미세하게 분쇄한다.(분쇄단계)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저온 건조로에 투입되는 천연 산죽 잎에 사전에 산죽 뿌리향, 산죽향이 배도록 하는 다음과 같은 전처리 증착단계 즉 중탕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처리 증착단계는 중탕로 그물망 하부에 물, 산죽 뿌리, 잎을 넣고 그물망 상부에는 천연 산죽 잎을 넣은 다음, 가열장치를 가동하여 물의 온도를 100℃ ~ 150℃ 정도로 유지하면서 12시간 ~ 20시간 정도 끓여 산죽 뿌리향, 산죽향이 증기 상태로 추출되도록 하고나서 중탕로 내부를 식히면, 산죽 뿌리향, 산죽향 증기가 액상으로 상변화되면서 최종 결과물이 되는 산죽 잎에 증착된다. 그리고, 산죽 뿌리향, 산죽향이 배어 있는 산죽 잎을 저온 건조로에 투입하여 전술한 저온 건조를 진행하면, 중탕과정에서 얻어진 산죽 뿌리의 향과 산죽향 그리고 고온 건조과정에서 얻어진 산죽향이 동시에 증착되어 최종 결과물인 산죽차의 영양소 함량 비율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산죽향을 한층 심화할 수 있다.(전처리 증착단계)
상기 중탕과정과 2 차에 걸친 건조과정은 5 내지 10회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산죽차의 산죽향을 더욱 진하게 할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천연 죽엽을 2 차에 걸쳐 건조하고 분쇄함으로써 산죽 잎의 억세로 질긴 성질을 없앨 수 있고 산죽의 향이 다층 증착된 산죽차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산죽만이 갖고 있는 고유한 향기와 맛이 아주 진하게 배인 산죽차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이 산죽차를 분말의 형태로 음식물에 혼합하면 음식맛을 증진할 수 있으며 산죽이 갖고 있는 각종 영양소를 음식물과 함께 자연스럽게 섭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죽차 제조방법에 따르면, 천연 상태로는 질기고 억세어서 식용이 불가능하였던 산죽 잎을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부드러운 차(茶) 또는 각종 음식물에 추가할 수 있는 향미료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쓸모없이 버려지던 산죽 잎의 경제적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소화촉진,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변비예방, 대장암, 위암,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에 효능이 입증된 산죽 잎에 포함된 각종 영양소를 차(茶)나 음식물로 자연스럽게 섭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건강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산죽 잎을 고온 건조로에서 100∼150℃의 온도로 30∼60 분 동안 새로운 산죽 잎으로 5∼10회 교체해가면서 가열 건조하여 산죽 증기를 추출하는 증기추출단계;
    상기 증기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산죽 증기를 저온건조로에 도입한 다음 50∼60℃의 온도에서 3∼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저온건조로에 적재된 산죽 잎에 증착시키는 증기증착단계;
    상기 산죽 증기가 증착된 산죽 잎을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죽차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증착단계에 앞서, 상기 증착단계에서 증착되어질 산죽 잎에 중탕로에서 산죽 뿌리와 산죽 잎을 중탕하여 추출한 증기를 증착하는 전처리 증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죽차 제조방법.
KR1020030065677A 2003-09-22 2003-09-22 산죽차 제조방법 KR20050029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677A KR20050029422A (ko) 2003-09-22 2003-09-22 산죽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677A KR20050029422A (ko) 2003-09-22 2003-09-22 산죽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422A true KR20050029422A (ko) 2005-03-28

Family

ID=3738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677A KR20050029422A (ko) 2003-09-22 2003-09-22 산죽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4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42B1 (ko) *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KR101148121B1 (ko) * 2009-12-21 2012-05-23 국근섭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CN105010679A (zh) * 2015-08-03 2015-11-04 陈湘舸 一种楠竹叶茶的制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42B1 (ko) *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KR101148121B1 (ko) * 2009-12-21 2012-05-23 국근섭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CN105010679A (zh) * 2015-08-03 2015-11-04 陈湘舸 一种楠竹叶茶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9117B (zh) 一种火锅底料及制备方法
KR100997459B1 (ko) 대추를 주재료로 한 정과 및 그 제조방법
CN101006866A (zh) 一种竹汁小食品的加工方法
CN103349251A (zh) 一种竹炭脆皮山药丸及其制作方法
CN105767372A (zh) 一种桑叶茶及制备工艺
KR20180081220A (ko) 동결건조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동결건조김치
KR101170698B1 (ko)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KR20080011898A (ko) 감국의 꽃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CN105795450B (zh) 一种香葱辣酱及其制作方法
KR20190041078A (ko) 대추 정과의 제조방법
CN106616445A (zh) 一种麻辣酱鸭的制作方法
CN103519235A (zh) 一种鹿肉食品
KR101518412B1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CN103300428A (zh) 一种五香花生果的加工方法
KR20050029422A (ko) 산죽차 제조방법
CN105265737A (zh) 一种酸甜牛蒡脯的加工方法
KR101325849B1 (ko) 당조 고춧잎 추출물이 포함된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청국장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6179B1 (ko) 건강백숙의 제조방법
CN103444937B (zh) 一种秋季养身早茶袋泡茶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CN105255668A (zh) 一种牛蒡保健药酒的制备方法
CN106689855A (zh) 一种芹菜营养酱菜及其制备方法
KR100360591B1 (ko) 죽엽 분말 제조방법
CN103444936B (zh) 一种夏季养身下午茶袋泡茶
KR20110012020A (ko) 구절초 향미 육수 및 이를 이용한 구절초 향미 온면의 조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