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698B1 -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 Google Patents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0698B1 KR101170698B1 KR1020110088857A KR20110088857A KR101170698B1 KR 101170698 B1 KR101170698 B1 KR 101170698B1 KR 1020110088857 A KR1020110088857 A KR 1020110088857A KR 20110088857 A KR20110088857 A KR 20110088857A KR 101170698 B1 KR101170698 B1 KR 101170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weight
- seasoning
- dried
- seawe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5000008446 instant noodl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40029982 GARLIC POWDER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1914 Ribonucleotid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QXNVGIXVLWOKEQ-UHFFFAOYSA-N disodium Chemical compound [Na][Na] QXNVGIXVLWOKEQ-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336 ribonucleot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06607 Porphyra umbilica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41000703121 Campanula rotundifol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57717 Streptococcus lac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4897 Streptococcus lact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186612 Lactobacillus sake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UVZZAUIWJCQWEO-DFWYDOINSA-N (2S)-2-aminopentanedioic acid;sodium Chemical compound [Na].OC(=O)[C@@H](N)CCC(O)=O UVZZAUIWJCQWEO-DFWYDOINSA-N 0.000 claims 1
- 241000201895 Salicornia Species 0.000 claims 1
- 125000002652 ribo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3748 Salicornia europae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1532026 Liriope muscari Species 0.000 abstract 2
- 235000006753 Platycodon grandiflorum Nutrition 0.000 abstract 2
- 240000003582 Platycodon grandiflorus Species 0.000 abstract 2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abstract 1
- LPUQAYUQRXPFSQ-DFWYDOINSA-M mono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O-]C(=O)[C@@H](N)CCC(O)=O LPUQAYUQRXPFSQ-DFWYDOINSA-M 0.000 abstract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264 seaso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023 sodium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6024 Lactobacillus plant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40 FEMA 2235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965 Lactobacillus plant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72205 Lactobacillus plantarum Drugs 0.000 description 3
- 241001101025 Lilaeop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85 pulmona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164374 Caly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929 Lactobacillus brev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57 Lactobacillus brev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QBRLTNYECODTFP-NSHDSACASA-N Ophiopogonanone A Natural products O=C1[C@@H](Cc2cc3OCOc3cc2)COc2c1c(O)c(C)c(O)c2 QBRLTNYECODTFP-NSHDSACA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9 condim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PXEDJBXQKAGXNJ-QTNFYWBSSA-L disodium;(2S)-2-aminopentanedioate Chemical compound [Na+].[Na+].[O-]C(=O)[C@@H](N)CCC([O-])=O PXEDJBXQKAGXNJ-QTNFYWBS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UTZLTCWRDPAPV-UHFFFAOYSA-N methylophiopogonone A Chemical compound C1=C2OCOC2=CC(CC2=COC3=C(C)C(O)=C(C(=C3C2=O)O)C)=C1 AUTZLTCWRDPA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72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51 Bronch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871189 Chenopod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4701 Corticosteroid nasal preparations for topical u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334 Corticostero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NPJICTMALKLTFW-OFUAXYCQSA-N Daucosterol Chemical compound O([C@@H]1CC2=CC[C@H]3[C@@H]4CC[C@@H]([C@]4(CC[C@@H]3[C@@]2(C)CC1)C)[C@H](C)CC[C@@H](CC)C(C)C)[C@@H]1O[C@H](CO)[C@@H](O)[C@H](O)[C@H]1O NPJICTMALKLTFW-OFUAXYCQ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059 Dys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826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83 Ginkgo b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717 Increased upper airway secre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599 Migrai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85 Migraine Disorder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81 Modified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8 Modified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05 Musa ABB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31 Plantago maj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66 Plantago maj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736 Rheuma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32091 Stigma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CXVJBMSMIARIN-MFBJGPNFSA-N Stigmasterol Natural products O[C@@H]1CC=2[C@@](C)([C@@H]3[C@H]([C@H]4[C@@](C)([C@H]([C@@H](/C=C/[C@@H](C(C)C)CC)C)CC4)CC3)CC=2)CC1 HCXVJBMSMIARIN-MFBJGPNF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and acidulant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6810 beta Sito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6 corticostero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64 food flavour enhanc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642 hu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63 licorice ro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6 modified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98 salt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48 salt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5143 sito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4 sod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52 starvation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600 steroidal sapon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HCXVJBMSMIARIN-PHZDYDNGSA-N stigma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H](CC)C(C)C)[C@@]1(C)CC2 HCXVJBMSMIARIN-PHZDYDNG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831 stigma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3878 topical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and anal fissures Corticostero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83 umami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ZJWDPNRJALLNS-VJSFXXLFSA-N β-Sito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H](CC)C(C)C)[C@@]1(C)CC2 KZJWDPNRJALLNS-VJSFXXLF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정제소금 대신 함초 추출물 또는 함초 분말을 함유하고, 도라지 발효물 및 맥문동 발효물을 함유하는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에 관한 것으로 정제소금을 함유하고 있는 기존의 분말 조미료보다 나트륨 함량이 적고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분 등 다량의 무기질과 식이섬유소,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사포닌, 게르마늄 등 인체에 유익한 각종 성분들이 함유되어 건강에 유익하며, 누구나 간편하게 면류의 국물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정제소금을 사용하지 않고 함초 분말, 도라지 복합 발효물 및 맥문동 복합 발효물을 함유한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보존성, 간편성, 경제성, 기호성 및 대중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즉석 식품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런 즉석 식품 섭취를 반복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하고, 나트륨 과다 섭취는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나트륨 과다 섭취의 유해성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소금 섭취를 줄이기란 쉽지 않다. 우리의 전통적인 음식 문화가 그렇거니와 문명이 발달하면서 천일염의 공급은 줄어들고 정제염과 화학적인 조미료 등이 우리의 식생활에 깊숙이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음식 조리시 나트륨 함량이 높은 간장, 고추장, 된장, 화학조미료 사용을 줄이는 대신 고춧가루, 후추, 마늘, 생강, 겨자, 식초 등으로 짠맛을 내는 것이 좋다."면서 "라면 등 인스턴트 식품은 스프의 양을 적당히 조절해 조리하고, 나트륨이 많이 들어있는 국이나 찌개의 국물은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멸치 또는 사골을 이용한 국물을 우려내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가열 추출하여 멸치 또는 사골을 걸러낸 다음 각종 요리에 사용한다. 그러나, 육수를 우려내는 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우려낸 육수는 오래 두고 사용할 수 없으므로 육수가 필요한 요리를 할 때마다 번거로운 국물내기 공정을 반복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최근에는 사골을 우려낸 분말을 함유한 분말 조미료, 쇠고기 엑스를 함유한 분말 조미료, 멸치분말 등을 함유한 분말 조미료가 시판되고 있다.
특허공고 제10-1986-1554호는 쇠고기 및 우골로부터 추출한 엑기스에 0.01-0.5mm로 분쇄하여 180-220℃의 온도로 볶은 식염을 첨가하고 여기에 우지와 물엿을 가하여 150-250kg/㎠의 고압균질기를 통과시켜 얻은 W/O형의 유화액을 분무 건조하여 제조한 엑기스 분말에 건조쇠고기분말 건조야채류 및 조미향신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고기를 주제로 한 분말조미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위 분말조미식품은 식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나트륨 과다섭취를 피할 수 없다.
특허등록 제923119호는 즉석 쌀 떡국 제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쌀가루를 준비하는 연미, 석발, 선별, 불림, 분쇄 단계를 거친 쌀가루를 물, 정제염(소금) 및 변성전분, 그리고 산미료, 솔비톨, 프로니드와 혼합하는 혼합반죽단계와; 상기 반죽물을 찌는 증숙단계와; 상기 증숙한 반죽물을 가래떡 성형기에 투입하여 요구하는 형태의 가래떡을 뽑는 가래떡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되어 나오는 가래떡을 성형과 동시에, 물통에 침지상태로 통과시켜서 냉각하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된 가래떡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일정길이로 절단된 가래떡을 냉장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가래떡을 절단기에 의해 요구되는 형태로 절단하여 쌀 떡으로 가공하는 절단가공단계와; 상기 가공처리된 쌀 떡을 미리 준비된 주정을 이용한 주정분사에 의해 살균 처리하는 살균처리단계와; 별도 준비된 포장지에 상기 살균 처리한 즉석 쌀 떡과 함께, 산소흡수제를 동봉하여 실링 포장 또는 진공포장하는 쌀떡 포장단계와; 상기 포장된 즉석 쌀 떡을 별도로 준비된 사골스프 등과 함께 즉석 사골 떡국용기에 투입하고 용기의 뚜껑을 덮은 상태로 포장하여서 완제품으로 제조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사골 쌀 떡국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쌀떡 제조과정에서 정제염이 사용되며, 사골스프의 성분에 관한 언급이 없으나 일반적인 종래 사골스프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염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 제976944호는 육수 베이스소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제수 0.9중량% ~ 60중량%를 이중 자켓 구조를 갖는 소스제조탱크에 넣고 직화 가열 또는 스팀 가열을 통해 중심온도가 50 ~ 100℃ 되도록 가열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가열된 정제수에 멸치 18중량% ~ 2.1중량%를 혼합한 후 멸치 국물이 충분히 우러나올 때까지 가열추출한 다음 상기 멸치를 걸러내어 추출액을 얻는 제2단계(S20)와; 상기 추출액에 간장 0.1중량% ~ 35중량%, 멸치가공품 35중량% ~ 1.5중량%, 조미료 15중량% ~ 0.1중량%, 야채 10중량%, 0.1중량%, 식염 20중량% ~ 1.19중량%, 향신료 1중량% ~ 0.01중량%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가열하면서 소스 중심 온도를 50 ~ 100℃까지 올린 후 10분 동안 가열 살균 및 믹싱시키는 제3단계(S30)와; 상기 가열 살균 및 믹싱된 소스를 뜨거운 상태로 포장하거나 또는 이중자켓의 격벽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온도를 낮춘 소스를 포장한 후 0 ~ 10℃로 유지되는 냉장상태에서 6 ~ 12시간 동안 냉장 숙성시켜 육수베이스 소스를 완성하는 제4단계(S40)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육수 베이스 소스에는 식염이 첨가되어 반복 섭취시 나트륨 과다 섭취를 피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즉석 식품 섭취에 따르는 상기 나트륨 과다 섭취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칼륨, 칼슘 등 무기질이 풍부한 함초와 도라지 복합 발효물 및 맥문동 복합 발효물을 함유한 분말 조미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는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정제소금 대신 나트륨 섭취는 줄일 수 있고, 칼슘, 칼륨, 철분, 인 등 미네랄을 풍부하게 섭취할 수 있는 함초 분말을 함유하고, 도라지 복합 발효물 및 맥문동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함초 분말, 도라지 복합 발효물 및 맥문동 복합 발효물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는 분말 조미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 분말, 도라지 복합 발효물, 맥문동 복합 발효물, 포도당, 백설탕, 간장분말, L-글루타민산나트륨, 청양고춧가루, 가쓰오씨즈닝분말(가쓰오부시추출물, 고등어 및 참치 중 1종 이상 추출물, 물엿, 가수단백), 멸치분말, 건미역, 마늘분말, 양파분말, 가쓰오부시분말, 건파, 김, 식물성크림분말, 건당근, 카라멜색소, 글리신,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을 포함하는 분말 조미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 분말 16~24중량%, 도라지 복합 발효물 8~10중량%, 맥문동 복합 발효물 8~10중량%, 포도당 8~15중량%, 백설탕 7~10중량%, 간장분말 7~10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5~7중량%, 청양고춧가루 5~7중량%, 가쓰오씨즈닝분말(가쓰오부시추출물, 고등어 및 참치 중 1종 이상 추출물, 물엿, 가수단백) 3~5중량%, 멸치분말 2~4중량%, 건미역 2~4중량%, 마늘분말 2~4중량%, 양파분말 1~4중량%, 가쓰오부시분말 1~4중량%, 건파 1~4중량%, 김 1~4중량%, 식물성크림분말 0.1~3중량%, 건당근 0.1~3 중량%, 카라멜색소 0.1~2 중량%, 글리신 0.1~2중량%,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0.1~2중량%을 포함하는 분말 조미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함초 분말은 함초를 추출하여 제조된 분말, 함초에 설탕을 가하여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된 분말 및 함초를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라지 복합 발효물 및 맥문동 복합 발효물은 도라지 및 맥문동에 유산균과 효모를 가하고 배양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ce)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myces cerevisia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맥문동 복합 발효물은 맥문동의 복합 발효 전에 맥문동을 볶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정제소금 대신 함초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기존의 분말 조미료와 비교할 때 나트륨 함량을 현저히 저감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함초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인 등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기존의 분말 조미료보다 인체에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도라지 및 맥문동을 효모 및 유산균을 이용하여 복합 발효시킴으로써 별도의 탄소원 첨가 없이도 유산균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된 발효물은 유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고, 도라지 및 맥문동의 약리 효과로 인체에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함초, 도라지, 맥문동 및 청양고춧가루가 함유되어 있어 깔끔하고 개운한 국물 맛을 내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국수 국물뿐 아니라 다양한 면류의 국물 맛을 내는데 사용하거나 찌개류, 무침, 볶음 등에도 사용하여 감칠맛을 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볶음 맥문동을 사용함으로써 도라지의 쓴맛을 완화시켰다.
본 발명은 함초 분말, 도라지 발효물 및 맥문동 발효물을 함유하는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에 관한 것이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일년초로서,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염전 주변이나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갯벌 근처에서 자라며, 마디가 많고 가지가 1-2번 갈라지며 잎과 가지의 구별이 없다. 잎은 다육질로 살이 찌고 진한 녹색인데 가을철이면 빨갛게 변한다. 꽃은 8-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납작하고 둥근 열매가 10월에 익는다. 함초는 각종 미네랄과 소금기가 많아 땀을 흘리고 피로할 때 함초를 씹어 먹으면 즉시 생기가 나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오래전부터 서해안 바닷가 사람들은 나물로 먹어 왔다. 함초는 바닷물 속에 있는 모든 미네랄 성분을 농축하여 함유하고 있는 풀이다. 함초는 아무리 먹어도 갈증이 생기지 않는데 바닷물 속에 있는 생명체에서 해로운 물질들을 걸러내고 이로운 물질들만 농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함초에 들어있는 소금은 다른 어떤 소금보다도 생명체에 유익한 소금이라 할 수 있다. 함초의 이러한 특성으로 숙변 제거는 물론 면역기능 강화, 피부미용, 다이어트 등 여러 종류의 질병 치료 및 예방에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는 최고의 천연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함초는 바닷물이나 갯벌 속에 녹아있는 성분들을 섭취하는 염생식물로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분 등 다량의 무기질과 식이섬유소,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사포닌, 게르마늄 등 인체에 유익한 각종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국립수산진흥원 자료에 의하면, 함초 100g에는 칼슘 237.9㎎, 요오드 70㎎, 나트륨 6.5%, 식물성 섬유질이 50% 들어 있으며, 칼슘은 우유보다 7배가 많고, 철분은 김보다 20배, 다시마 보다는 40배가 많으며, 칼륨은 귤보다 3배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등 바닷물 속에 들어있는 90여 가지의 미네랄이 들어 있어 전술한 함초 자체의 약리적 효능을 가능케 한다.
함초 생초 100g에는 1,000~1,100㎎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이는 곧 함초 100g을 섭취했을 때 2.5~2.7g의 소금과 맞먹는 짠맛을 내는 것이므로, 정제소금을 함초 추출물이나 함초 분말로 대체하는 경우 나트륨 과다 섭취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도라지는 길경?도랏?길경채?백약?질경?산도라지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자르면 흰색 즙액이 나온다. 높이는 4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없다. 잎의 끝은 날카롭고 밑부분이 넓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빛을 띤 파란색이며 털이 없고 길이 4~7cm, 너비 1.5~4cm이다.
꽃은 7~8월에 하늘색 또는 흰색으로 위를 향하여 피고 끝이 퍼진 종 모양으로, 지름 4~5cm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받침도 5개로 갈라지고 그 갈래는 바소꼴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씨방은 5실(室)이며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조각이 달린 채로 익는다. 번식은 종자로 잘된다. 봄?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는다. 도라지의 주용 성분은 사포닌이다. 생약의 길경(桔梗)은 뿌리의 껍질을 벗기거나 그대로 말린 것이다.
도라지는 거담과 해소, 기관지염, 편두선염, 복통, 호흡곤란등에 탁월한 약효를 지닌 약초이다. 도라지의 주용성분은 사포닌이며, 사포닌 성분은 가래를 삭이는 작용을 하고, 당분과 섬유질, 칼슘과 철분이 많은 우수한 알카리성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백도라지(for. albiflorum), 꽃이 겹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겹도라지(for. duplex), 흰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를 흰겹도라지(for. leucanthum)라고 한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맥문동은 약재류로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보약재의 일부로 첨가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생맥산, 온경탕, 감초탕 등 보음약이 있다. 맥문동의 주요 약리 성분으로는 스테로이드계 사포닌인 오피오포제닌(ophiopogenine) A, B, 메틸오피오포고논(methylophiopogonone) A, B, 오피오포고나논(ophiopogonanone) A, 메틸오피오포기나논(methylophiopoginanone) A, B 등의 호모-아이소플라보노이드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β-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글루코시드, 올리고당 등의 다양한 다당류가 괴근에 약 60% 이상 함유되어 있다. 맥문동 괴근에는 항암활성이 있으며 그 주요 성분이 스피케토사이드(spicatoside) A와 B의 구조를 가진 사포닌이다.
또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쥐에 맥문동 추출물 섭취량을 증가시키면 지질배설량을 증가시켜 지질이 감소되고, 기아 스트레스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켜 기아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또한, 맥문동은 폐를 튼튼하게 하고 원기를 돋우며 겨울철 체력을 증진시키며 기침과 천식을 예방하고, 열을 내려주고 작용이 있어서 신경통, 류마티즘, 갈증해소 및 겨울철 감기, 피로를 회복 시켜주며, 혈당의 수치를 내려주어 당뇨에 효과가 있다.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에 함유되는
함초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함초 분말은 함초를 추출하여 제조된 분말, 함초 100중량부에 설탕 10~30중량부를 가하여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된 분말 및 함초를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각각 함초 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 함초를 추출하여 제조되는 분말은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 상태의 함초를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함초의 10~15배 부피의 정제수,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가하여, 100~150℃로 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침전물에 대하여 위 과정을 2~5회 반복하여 극성 용매에 용해되는 추출물 및 침전물을 얻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한 후, 이를 감압 농축기에서 농축하고, 이를 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함수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둘째, 함초 100중량부에 설탕 10~30중량부를 가하여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되는 분말은 함초 분말 10%(W/V)를 정제수에 현탁한 다음 120℃에서 30분간 멸균하였다. 멸균한 배지에 설탕 20중량부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ce ) 중 선택된 1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유산균은 0.1%(W/V) 농도로 사용하였다. 배양 온도를 25℃로 하여 pH가 4.5로 떨어질 때까지 약 20~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발효된 함초를 함수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셋째, 함초 분말은 상기 추출 단계, 농축 단계, 건조단계 등을 거치지 않고, 세척 및 건조 후 미세하게 분말화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에 함유되는 도라지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라지 100g을 30℃ 이하의 냉수로 약 30분 정도 세척하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미리 배양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과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myces cerevisiae)를 각각 107cfu/㎖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37℃에서 3~5일간 배양하고, 연속식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채취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에 함유되는 맥문동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맥문동을 수확하여 세척 탈수한 후 60℃의 열풍건조기에서 맥문동의 수분이 1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건조된 맥문동을 밀폐된 무쇠 솥에 넣고 볶아준다. 이때 맥문동에 가해지는 온도는 180℃이고, 솥을 상하방향으로 분당 0.5회로 회전시키며 15분간 처리하였다.
상기 볶음 처리한 맥문동 100g을 30℃ 이하의 냉수로 약 30분 정도 세척하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미리 배양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과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myces cerevisiae)를 각각 107cfu/㎖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37℃에서 3~5일간 배양하고, 연속식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채취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유산균은 항균활성물질이나 유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효모는 각종 비타민을 대사 산물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산균과 효모를 동시에 사용하여 복합 발효하면 생리활성물질과 비타민 등 다양한 산물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조한 함초를 추출하여 제조된 분말, 함초를 설탕과 혼합한 후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된 분말 및 함초를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 중 선택된 1종의 함초 분말과 도라지 복합 발효물 및 맥문동 복합 발효물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에는 상기 주원료 외에 포도당, 백설탕, 간장분말, L-글루타민산나트륨, 청양고춧가루, 가쓰오씨즈닝분말(가쓰오부시추출물, 고등어 및 참치 중 1종 이상 추출물, 물엿, 가수단백), 멸치분말, 건미역, 마늘분말, 양파분말, 가쓰오부시분말, 건파, 김, 식물성크림분말, 건당근, 카라멜색소, 글리신,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을 준비하여 이를 상기 주 원료와 혼합함으로써 분말 조미식품을 제조하여 감칠맛과 단맛 등 풍부한 맛을 더할 수 있다.
상기 원료들의 배합비는 함초를 추출하여 제조된 분말, 함초를 설탕 20중량%와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된 분말 및 함초를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 중 선택된 1종 16~24중량%, 도라지 발효물 8~10중량%, 맥문동 발효물 8~10중량%, 포도당 8~15중량%, 백설탕 7~10중량%, 간장분말 7~10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5~7중량%, 청양고춧가루 5~7중량%, 가쓰오씨즈닝분말(가쓰오부시추출물 40~70중량%, 고등어 및 참치 중 1종 이상 추출물 20~45중량%, 물엿 1~15중량%, 가수단백 0.1~5중량%) 3~5중량%, 멸치분말 2~4중량%, 건미역 2~4중량%, 마늘분말 2~4중량%, 양파분말 1~4중량%, 가쓰오부시분말 1~4중량%, 건파 1~4중량%, 김 1~4중량%, 식물성크림분말 0.1~3중량%, 건당근 0.1~3 중량%, 카라멜색소 0.1~2 중량%, 글리신 0.1~2중량%,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0.1~2중량%와 같다. 이와 같은 조합비로 원료를 조합하였을 때 가장 조화로운 미감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 혼합 제조된 분말 조미식품은 즉석 국수 국물뿐 아니라 다양한 면류의 국물에 사용하거나 찌개류, 무침, 볶음 등에도 조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된 분말은 담황색의 분말로 1회 사용 분량(6~20g)으로 포장하여 제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1 : 관능검사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과 비교예의 국수 스프에 대하여 남녀 60명을 선발하여 스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국물로 조리하였을 때 국물(A)과 국물에 국수를 넣고 조리하였을 때 완성된 국수(B)에 대하여 향, 맛, 색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각각 표 1(A)과 표 2(B)에 나타내었다.
비교예로는 인터넷 쇼핑몰(http://www.gitree.com)에서 구입한 국수 스프를 선정하였다. 상기 국수 스프는 정제소금, 포도당, 간장분말, 고추분, 멸치분말, 건미역, 복합조미식품 1(대두, 밀), 마늘분말, 양파분말, 가쓰오부시분말, 건파, 김, 건당근, 식품성크림(우유), 카라멜색소, 향미증진제를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구분 | 향 | 맛 | 색 |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 | 3.7 | 3.8 | 3.8 |
비교예 | 2.5 | 2.3 | 2.6 |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구분 | 향 | 맛 | 색 |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 | 3.9 | 3.9 | 3.8 |
비교예 | 2.2 | 2.3 | 2.5 |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관능검사를 통하여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국수 스프와 비교하였을 때 향, 맛, 색에서 월등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교예의 국수 스프로 조리한 국물 및 완성된 국수 요리는 여러번 섭취하다 보면 달짝지근하고 비릿한 향과 맛이 나는 반면, 본 발명의 조미식품으로 조리한 국물 및 완성된 국수 요리는 달짝지근하고 비릿한 향은 없으며, 칼칼한 맛으로 계속 입맛을 자극한다는 의견이 70% 이상이였다.
관능검사 전, 본 발명자들은 평가자들에게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에는 도라지와 맥문동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공지하였다. 평가자들은 평가 전 도라지의 쓴맛으로 전체적인 맛 저하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평가 후 도라지의 쓴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맥문동을 볶는 과정을 거쳐 볶은 맥문동에서 단맛이 형성되어 도라지의 쓴맛을 잘 잡아 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평가자들은 본 발명의 분말 조미식품에 도라지 및 맥문동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라지 및 맥문동을 복합 발효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분말 스프보다 건강에 유익할 것이라는 평을 하였고, 시중에 유통된다면 구매의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정제염 대신 함초 분말을 함유하고 있어서 나트륨의 함량이 적고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분 등 다량의 무기질과 식이섬유소,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사포닌, 게르마늄 등 인체에 유익한 각종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정제소금을 함유하고 있는 일반 분말스프보다 건강에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도라지 및 맥문동에 유산균과 효모를 가하여 복합 발효시킴으로써 유산 등의 생리활성물질과 비타민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도라지 및 맥문동의 약리 효과로 인체에 유익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은 함초, 도라지 및 맥문동을 함유함으로써 깔끔하고 개운한 국물맛을 내게 해준다.
Claims (6)
- 함초 분말 16~24중량%, 도라지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ce)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산균과 효모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myces cerevisiae)를 가하고 배양하여 얻어지는 복합 발효물 분말 8~10중량%, 볶은 맥문동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ce)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산균과 효모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myces cerevisiae)를 가하고 배양하여 얻어지는 복합 발효물 분말 8~10중량%, 포도당 8~15중량%, 백설탕 7~10중량%, 간장분말 7~10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5~7중량%, 청양고춧가루 5~7중량%, 가쓰오씨즈닝분말(가쓰오부시추출물, 고등어 및 참치 중 1종 이상 추출물, 물엿, 가수단백) 3~5중량%, 멸치분말 2~4중량%, 건미역 2~4중량%, 마늘분말 2~4중량%, 양파분말 1~4중량%, 가쓰오부시분말 1~4중량%, 건파 1~4중량%, 김 1~4중량%, 식물성크림분말 0.1~3중량%, 건당근 0.1~3 중량%, 카라멜색소 0.1~2 중량%, 글리신 0.1~2중량%,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0.1~2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8857A KR101170698B1 (ko) | 2011-09-02 | 2011-09-02 |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8857A KR101170698B1 (ko) | 2011-09-02 | 2011-09-02 |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0698B1 true KR101170698B1 (ko) | 2012-08-07 |
Family
ID=4688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8857A KR101170698B1 (ko) | 2011-09-02 | 2011-09-02 |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069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52626A (zh) * | 2013-12-25 | 2014-03-26 | 厦门兴盛食品有限公司 | 具有养肝功能的面条及其制备方法 |
KR101476829B1 (ko) * | 2013-10-25 | 2014-12-30 | 노성원 | 잔치 국수용 분말 스프 |
KR101476830B1 (ko) * | 2013-10-25 | 2014-12-30 | 노성원 | 청국장 맛나는 잔치 국수용 분말 스프 |
CN104642981A (zh) * | 2014-06-18 | 2015-05-27 | 刘之源 | 辣椒粉的制备方法 |
KR101815826B1 (ko) * | 2015-11-10 | 2018-01-05 | (주) 신성티엔에프 | 육수베이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966309B1 (ko) * | 2017-12-15 | 2019-04-08 | 주식회사 제이케이푸드 | 김 및 해산물을 포함하는 김해산물국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608B1 (ko) * | 2008-08-29 | 2009-04-02 |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 식용식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식물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
KR101031320B1 (ko) * | 2010-10-25 | 2011-04-29 | 학교법인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 즉석 떡국용 분말 조미식품 |
-
2011
- 2011-09-02 KR KR1020110088857A patent/KR1011706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608B1 (ko) * | 2008-08-29 | 2009-04-02 |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 식용식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식물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
KR101031320B1 (ko) * | 2010-10-25 | 2011-04-29 | 학교법인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 즉석 떡국용 분말 조미식품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829B1 (ko) * | 2013-10-25 | 2014-12-30 | 노성원 | 잔치 국수용 분말 스프 |
KR101476830B1 (ko) * | 2013-10-25 | 2014-12-30 | 노성원 | 청국장 맛나는 잔치 국수용 분말 스프 |
CN103652626A (zh) * | 2013-12-25 | 2014-03-26 | 厦门兴盛食品有限公司 | 具有养肝功能的面条及其制备方法 |
CN104642981A (zh) * | 2014-06-18 | 2015-05-27 | 刘之源 | 辣椒粉的制备方法 |
KR101815826B1 (ko) * | 2015-11-10 | 2018-01-05 | (주) 신성티엔에프 | 육수베이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966309B1 (ko) * | 2017-12-15 | 2019-04-08 | 주식회사 제이케이푸드 | 김 및 해산물을 포함하는 김해산물국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58089B (zh) | 一种调理食用菌菇酱风味改进的方法 | |
KR101170698B1 (ko) |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 |
KR20070012589A (ko) | 버섯음료의 제조방법 | |
KR101031320B1 (ko) | 즉석 떡국용 분말 조미식품 | |
KR102311303B1 (ko) | 양념육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육 소스 | |
KR101342517B1 (ko) |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 |
KR101955770B1 (ko) |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 |
CN107495311A (zh) | 一种香椿酱的制备和保存方法 | |
KR101232471B1 (ko) | 한방 오리 백숙 및 누룽지탕의 조리방법 | |
KR20190006650A (ko) |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 |
KR101164052B1 (ko) | 야콘과 점액질염분을 함유하는 흑 마늘 녹차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708778B1 (ko) |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 |
KR101813496B1 (ko) | 생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죽 | |
CN104305242A (zh) |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 |
KR101173211B1 (ko) | 즉석된장 및 그 제조방법 | |
CN103494167A (zh) | 一种杏鲍菇酱油的加工方法 | |
KR102397024B1 (ko) | 김치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 |
KR101661744B1 (ko) |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90090563A (ko) | 천초와 녹차가루를 포함하는 소고기 순대 제조방법 | |
KR20190047927A (ko) | 떡볶이용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344663B1 (ko) | 비빔면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 |
KR102492196B1 (ko) | 산양삼을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 |
KR102320421B1 (ko) |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49934B1 (ko) | 도라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고추지 양념 무침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49932B1 (ko) | 도라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생깻잎 무침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