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373A -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373A
KR20050019373A KR1020030057046A KR20030057046A KR20050019373A KR 20050019373 A KR20050019373 A KR 20050019373A KR 1020030057046 A KR1020030057046 A KR 1020030057046A KR 20030057046 A KR20030057046 A KR 20030057046A KR 20050019373 A KR20050019373 A KR 20050019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ssage
fermented
adsorbent
inl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명
Original Assignee
박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명 filed Critical 박준명
Priority to KR102003005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9373A/ko
Priority to JP2003384515A priority patent/JP3849787B2/ja
Priority to PCT/KR2004/002022 priority patent/WO2005016763A2/en
Publication of KR2005001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3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for desic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발효가스가 흡착제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식품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가스 유입구 측에 기체상태의 가스만을 통과시키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취급중 용기가 뒤집히더라도 액상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으며,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에 포함된 휘발성 향미성분중 가장 강도(Intensity)가 강한 유황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반응성 흡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오픈형 냉장설비에 보관하여도 매장 내를 불쾌한 냄새로 오염 시키지 않으면서도 발효가스로 인해 포장용기가 부풀어 오르거나 밀봉상태가 손상되어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등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 반응성 흡착제 조성물를 이용하여 탈취 기능을 갖도록 한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식품용 포장용기{omitted}
본 발명은 반응성 흡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발효가스가 흡착제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식품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가스유입부 측에 기체상태의 가스만을 통과시키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취급중 용기가 뒤집히더라도 액상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으며,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에 포함된 휘발성 향미성분중 가장 강도가 강한 유황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도록 다공성 흡착제에 금속염을 담지시킨 반응성 흡착제 조성물과 다공성 흡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오픈형 냉장설비에 보관하여도 매장 내를 불쾌한 냄새로 오염 시키지 않으면서도 발효가스로 인해 포장용기가 부풀어 오르거나 밀봉상태가 손상되어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않도록 한 탈취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부터 10여년전만 하여도 선인들의 지혜가 함축된 전래식품임에도 불구하고 김치,된장,젓갈 등의 발효식품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았고, 발효식품의 특성을 감안한 용기가 개발되지 않았었기 때문에 발효식품을 갖고 여행하기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근래들어 점차 발효식품이 식품 영양학적으로 인체에 유익하고 더 나아가서 발효식품만이 갖고 있는 식품 기능학적 요소로 인하여, 장내의 세균을 조절하여 생체 활성을 원활히 유지 시켜 질병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비만 억제,항암 효과 등이 밝혀지는 것은 물론 발효식품만이 갖는 독특한 기호성으로 인하여 글로벌 식품으로서 각광 받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발효식품은 다른 가공식품들과는 달리 살균,밀폐포장 등 일반적인 식품의 포장에 적용되는 기술을 활용할 수 없어 상품화 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있다.
김치를 예로 들어보면 발효식품을 상품화 시키는 따른 어려움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를 포함한 발효식품을 가정에서 보관하거나 유통시 포장하는 용기는 취급중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어야 하며,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내부 압력이 상승된 상태에서 뚜껑을 열었을 때 내용물이 튀기지 않아야 하고, 양호한 발효 조건에 부합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을 가급적 장기간 보존할 수 있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 시켜야 한다.
뚜껑과 용기본체로 이루어진 통상의 밀폐용기는 재질에 관계없이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내부 압력이 상승된 상태에서 뚜껑을 열게 되면 발효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로 인하여 압력이 높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내용물이 튀어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통기성을 확보한 용기의 경우에는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냄새로 인하여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를 야기 하였다.
본원출원인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가스배출 경로상에 탈취제(흡착제)를 설치함으로써 발효과정에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개발하였으나, 이것은 용기의 취급중 가스배출로를 통해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흡착제에 묻거나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흡착제가 넣어진 요홈부로부터 발효가스가 배출되는 유출로가 짧기 때문에 매장에서 오픈된 냉장수단을 이용하여 진열해놓았을 경우 이용객이 없는 폐장후 냉장온도가 내려가는 등의 온도 변화로 인해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외부공기가 포장용기 내부로 역류됨으로써 발효식품이 오염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다공성 흡착제만을 사용하는 경우 발효가스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휘발성 향미성분은 흡착할 수 있었으나,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향미성분중 가장 강력한 유황이 함유된 성분을 제거하는데는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본원출원인은 이에 따른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발효가스가 흡착제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가스유입구 측에 기체상태의 가스만을 통과시키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취급중 용기가 뒤집히더라도 액상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도록 한 탈취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에 포함된 휘발성 향미성분중 가장 강도가 강한 유황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반응성 흡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오픈형 냉장설비에 보관하여도 매장 내를 불쾌한 냄새로 오염 시키지 않으면서도 발효가스로 인해 포장용기가 부풀어 오르거나 밀봉상태가 손상되어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않도록 한 탈취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흡착제 조성물이 넣어진 요홈부로부터 가스 유출로를 길게 확보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역류할 염려가 없도록 한 탈취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발효가스가 흡착제 조성물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뚜껑의 유입홈부 부위에 부착되어 발효가스만을 통과시키고 액체상태의 내용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부직포와; 상기 흡착제 조성물이 넣어지는 요홈부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시작하고 한번이상 직각으로 꺽어져 뚜껑의 끝까지 형성된 탈취 가스배출로와; 다공성 흡착제에 금속염을 담지시킨 반응성 흡착제와 다공성 흡착제를 혼합하여 발효가스의 향미성분중 가장 강력한 황성분을 효과적으로 탈취되도록 한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포장이 완료된 직후의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용기본체의 발효가스압이 대기압보다 상승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이 발효식품 포장용기는 기본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발효식품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는 뚜껑(20)과, 상기 뚜껑(20)의 상면에 부착된 라벨부재(4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된 발효가스가 배출되는 통공(22)이 형성된 유입홈부(21), 이 유입홈부(21)의 둘레에 돌설되어 용기본체(1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라벨부재(40)가 밀착되어 유입홈부(21)를 제1통로(24)에 대하여 차단시키는 밀착돌부(23), 상기 유입홈부(21) 및 외부와 제1,2통로(24)(25)에 의해 각각 연결된 요홈부(26), 상기 요홈부(26)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시작하고 한번이상 직각으로 꺽어지게 형성되어 발효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통로(25)가 구비된 뚜껑(20)과; 실리카겔, 활성백토, 제오라이트(Zeo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알루미나(Alumina)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물성 흡착제 20∼30중량%, 식물성 흡착제인 활성탄 10∼30중량%,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금속이온을 활성탄에 담지시켜서 된 반응성 흡착제 30∼50중량%를 혼합하여 포장한 것을 상기 요홈부(26)에 넣어서 된 흡착제 조성물(30)과; 상기 뚜껑(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유입홈부(21), 요홈부(26), 제1,2통로(24)(25)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라벨부재(40)와; 상기 요입홈부(21)에 부착되어 발효가스만을 통과시키고 액체상태의 내용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수지재 부직포(5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용기(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하부 결합단(11)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뚜껑(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부 결합단(11)에 접착되어 용기본체(10)를 밀봉시키는 상부 결합단(27)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결합단(11)(27)을 부착시키는 방식 이외에도, 뚜껑(20)과 용기본체(10)사이에 밀폐용 패킹이 개재되고 결합편을 사용하여 원터치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진공포장이 완료된 직후, 즉 용기본체(1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라벨부재(40)가 밀착돌부(23)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됨으로써 유입홈부(21)는 제1통로(24)와 차단되어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발효식품으로부터 발효가스가 발생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면 라벨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돌부(23)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유입홈부(21)가 제1통로(24)와 연결된다.
한편 오픈형 냉장수단에 용기를 보관하는 경우 고객이 없는 야간에 보관온도가 떨어져 용기본체(10)의 내부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라벨부재(40)가 밀착돌부(23)에 밀착되어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요홈부(26)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시작하고 한번이상 직각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된 제2통로(25)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보관온도에 따른 용기본체(10)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최소화 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뚜껑의 평면도로서,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로(24)가 요홈부(26)의 한쪽 모서리에 연결되도록 하고, 제2통로(25)는 제1통로(24)가 연결된 요홈부(26)의 한쪽 모서리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된 발효가스가 흡착제(30)와 반응하는 시간이 가급적 길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입홈부(21)에 부착된 수지재 부직포(50)는 발효가스를 포함한 기체만을 통과시키고 액체상태의 내용물은 차단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흡착제 조성물(30)은 다공성 흡착제중 식물성분으로 널리 알려진 활성탄 20∼30중량%와 광물성 계열의 실리카겔, 활성백토, 제오라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10∼30중량% 혼합한 것과 발효식품의 휘발성 향미성분 중 가장 강도(Intensity)가 강한 유황화합물을 흡착 탈취하는 데 효과적인 반응성 흡착제 30∼50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성 흡착제는 무기 또는 유기용매와 반응시켜 얻은 금속염(Ag+ 이온, Fe+2 이온, Fe+3 이온, Zn+2 이온중 선택된 금속염) 수용액에 다공성 흡착제를 침지시켜 100∼500mmHg 진공하에서 60∼150℃로 1∼3시간 가열하는 진공건조시키고, 100∼500mmHg 진공하에서 120∼200℃로 2∼4시간 가열하면서 활성화 시킨후 탄산가스를 불어넣어 진공을 해제하면서 상온까지 서냉시킴으로써 얻어진 과립형태의 흡착제를 말한다.
또한 유기물인 과망간산카리움(KMnO4) 수용액에 다공성 흡착제를 침지시켜 100∼500mmHg 진공하에서 60∼150℃로 1∼3시간 가열하는 진공건조시키고, 100∼500mmHg 진공하에서 120∼200℃로 2∼4시간 가열하면서 활성화 시킨후 탄산가스를 불어넣어 진공을 해제하면서 상온까지 서냉시킴으로써 얻어진 과립형태 흡착제를 10∼20중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김치류의 향미성분은 배추나 무 등에 고춧가루, 마늘, 젓갈 등 여러 가지 부재료와 함께 섞여서 숙성되는 동안 야채류에 함유되어 있는 당류가 젓산균에 의해서 젓산과 유기산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발효식품을 상품화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은 휘발성 물질로서의 냄새성분이다.
각종 야채 및 젖갈류의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향미성분으로는 일반적인 다공성 흡착제로 탈취가 가능한 휘발성인 알데하이드류, 케톤류, 산류, 에스터류, 텔페노이드 화합물들(terpenoids compounds)등의 향미성분 이외에도 일반적인 다공성 흡착제로는 충분한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량으로도 심한 냄새를 야기시키는 휘발성 유황화합물 또는 이들의 분해 생성물로써 다음과 같은 성분들이 있다.
1) 단백질 내의 유황 함유 아미노산들(sulfur-containing amino acids)
2) 휘발성 유황 화합물들(volatile sulfur compounds)
3) 휘발성 유황 화합물의 배당체들(glycosides)
4) 비휘발성 황산염들(non-volatile sulfates)
이 중에서 통기성을 확보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의 탈취 기능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휘발성 유황성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착제 조성물(30)중 다공성 흡착제인 활성탄에 선택된 금 속염 또는 유기염을 담지시킨 반응성 흡착제는 이러한 휘발성 유황성분을 흡착시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에서 발생된 발효가스가 먼저 수지재 부직포(50)를 통과한다.
이때 발효식품에 포함된 내부 압력에 의해 튀어오르거나 용기의 취급중 기울이거나 뒤집어짐으로써 부직포(50)에 닿게되는 수분을 포함한 내용물은 수지재 부직포(50)를 통과하지 못한다.
부직포(50)를 통과한 발효가스는 통공(22)을 통해 유입홈부(21)로 들어가게 되고 용기본체(10)의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경우에만 라벨부재(40)로부터 밀착돌부(23)로부터 이격되어 만들어지는 공간을 통해 제1통로(24)로 유입된다.
제1통로(24)를 통과한 발효가스는 요홈부(22)에 위치한 흡착제 조성물(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알데하이드류, 케톤류, 산류, 에스터류, 텔페노이드 화합물들(terpenoids compounds)등의 향미성분은 식물성 흡착제인 활성탄과 광물성 계열의 흡착제에 의해 제거되고, 소량으로도 강력한 자극성 향미성분인 휘발성 유황성분은 활성탄에 담지된 금속염 또는 유기염(과망간산카리움)과 반응하여 완전히 제거된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발효가스가 흡착제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식품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가스유입부 측에 기체상태의 가스만을 통과시키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취급중 용기가 뒤집히더라도 액상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으며,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에 포함된 휘발성 향미성분중 가장 강도가 강한 유황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도록 다공성 흡착제에 금속염을 담지시킨 반응성 흡착제 조성물과 다공성 흡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오픈형 냉장설비에 보관하여도 매장 내를 불쾌한 냄새로 오염 시키지 않으면서도 발효가스로 인해 포장용기가 부풀어 오르거나 밀봉상태가 손상되어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않도록 한 탈취 기능을 갖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식품용 포장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이 완료된 직후의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효가스압이 대기압보다 상승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뚜껑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11 : 하단 결합단
20 : 뚜껑 21 : 유입홈부
22 : 통공 23 : 밀착돌부
24,25 : 통로 26 : 요홈부
27 : 상부 결합단 30 : 흡착제 조성물
40 : 라벨부재 50 : 부직포

Claims (3)

  1.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된 발효가스가 배출되는 통공(22)이 형성된 유입홈부(21), 이 유입홈부(21)의 둘레에 돌설되어 용기본체(1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라벨부재(40)가 밀착되어 유입홈부(21)를 제1통로(24)에 대하여 차단시키는 밀착돌부(23), 상기 유입홈부(21) 및 외부와 제1,2통로(24)(25)에 의해 각각 연결된 요홈부(26), 상기 요홈부(26)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시작하고 한번이상 직각으로 꺽어지게 형성되어 발효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통로(25)가 구비된 뚜껑(20)과; 실리카겔, 활성백토, 제오라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물성 흡착제 20∼30중량%, 식물성 흡착제인 활성탄 10~30중량%,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금속이온을 활성탄에 담지시켜서 된 반응성 흡착제 30∼50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져 것을 포장하여 상기 요홈부(26)에 넣어서 된 흡착제 조성물(30)과;
    상기 뚜껑(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서로 연결된 유입홈부(21), 요홈부(26), 제1,2통로(24)(25)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라벨부재(40)와;
    상기 요입홈부(21)에 부착되어 발효가스만을 통과시키고 액체상태의 내용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수지재 부직포(50)로 이루어진 발효식품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 조성물(30)에는 유기염인 과망간산카리움이담지된 활성탄을 10∼20중량% 더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24)는 요홈부(26)의 한쪽 모서리에 연결하고, 제2 통로(25)는 제1통로(24)가 연결된 요홈부(26)의 한쪽 모서리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1020030057046A 2003-08-18 2003-08-18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20050019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046A KR20050019373A (ko) 2003-08-18 2003-08-18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JP2003384515A JP3849787B2 (ja) 2003-08-18 2003-11-14 発酵食品用包装容器
PCT/KR2004/002022 WO2005016763A2 (en) 2003-08-18 2004-08-12 Packaging container for fermented f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046A KR20050019373A (ko) 2003-08-18 2003-08-18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373A true KR20050019373A (ko) 2005-03-03

Family

ID=3419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046A KR20050019373A (ko) 2003-08-18 2003-08-18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49787B2 (ko)
KR (1) KR20050019373A (ko)
WO (1) WO200501676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913B1 (ko) * 2023-01-06 2023-08-10 서정민 고온고압 공기배출용 포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68Y1 (ko) * 2011-09-21 2012-03-21 임경환 발효식품 포장용기 밀폐뚜껑
CN102559618B (zh) * 2011-12-06 2013-07-10 湖南鸿鹰祥生物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复合脱色剂生产食品级酶制剂的方法
WO2014194347A1 (en) * 2013-06-07 2014-12-11 Culture For Life Pty Ltd A container assembly for fermenting food and a related method
JP6496768B2 (ja) * 2016-08-15 2019-04-03 アテナ工業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食品用容器
KR101873437B1 (ko) 2016-12-16 2018-07-02 박기성 산패방지 용기
JP7313441B2 (ja) * 2019-06-28 2023-07-24 株式会社ジーシー 包装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651U (ko) * 1996-03-04 1997-10-13 위세황 발효식품 용기의 봉합체
KR100292840B1 (ko) * 1998-02-23 2001-06-15 김상근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KR19990075898A (ko) * 1998-03-23 1999-10-15 이정민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기
KR100354171B1 (ko) * 2000-08-09 2002-09-27 박준명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913B1 (ko) * 2023-01-06 2023-08-10 서정민 고온고압 공기배출용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6763A3 (en) 2005-04-28
JP2005059954A (ja) 2005-03-10
JP3849787B2 (ja) 2006-11-22
WO2005016763A2 (en)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6286B2 (ja) キムチの貯蔵方法およびその貯蔵容器
CN105167110B (zh) 无菌净化保鲜装置和杀菌方法及冰箱
KR20050019373A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20200113123A (ko)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CN106860899B (zh) 杀菌消毒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432901Y1 (ko) 발효식품 용기의 뚜껑
JP2000062904A (ja) 消臭ごみ箱
JPH0761480A (ja) 脱臭乾燥剤
CN105641732A (zh) 可移动风驱动食品除臭保鲜器
JP4094276B2 (ja) 冷蔵庫
CN208771171U (zh) 一种餐厨垃圾废气处理设备
CN207101543U (zh) 杀菌消毒装置
KR19990071347A (ko)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JPS5879518A (ja) 悪臭ガス吸収体
CN206498823U (zh) 一种密封熏蒸箱
CA2243766A1 (en) Composition of a product for preserving perishable foodstuffs
KR200421172Y1 (ko) 발효용기 마개
JP2000004783A (ja) 冷蔵庫の鮮度保持構造
KR100442800B1 (ko) 김치통의 뚜껑구조
JP2002147936A (ja) 冷蔵庫用脱臭除菌装置
JPH01294473A (ja) 鮮度保持容器
KR200398950Y1 (ko) 갈대뿌리가 내장된 병뚜껑
JPS6066752A (ja) 殺菌脱臭方法
KR20090028162A (ko) 식품 포장 용기
KR200322906Y1 (ko) 야채.과일 전용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