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840B1 -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840B1
KR100292840B1 KR1019980018744A KR19980018744A KR100292840B1 KR 100292840 B1 KR100292840 B1 KR 100292840B1 KR 1019980018744 A KR1019980018744 A KR 1019980018744A KR 19980018744 A KR19980018744 A KR 19980018744A KR 100292840 B1 KR100292840 B1 KR 10029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charge passage
deodorizing
distribution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347A (ko
Inventor
박준명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JP442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JP3063031B2/ja
Publication of KR1999007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김치의 생산판매를 위한 유통용 김치의 포장용기가 기밀성이 유지되어 냄새의 유출과 김치액의 누출이 방지되며 발효시의 압력에 의해 용기가 부풀어 올라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김치등 발효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5)와, 중앙부에 공기유통수단(21)이 형성되며 용기본체(5)를 밀폐하기 위한 덮개(10)와, 공기유통수단(21)의 공기유통 경로상에 설치되며 발효가스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소취수단(18)과, 덮개(10)와 소취수단(18)의 상면에 부착되는 덮개라벨(30)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10)의 둘레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용기본체(5)의 둘레에 밀폐접착되므로, 상기 용기본체(5)의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공기유통수단(21)으로부터 소취수단(18)을 경유하여 가스배출구(29)로 배출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유통시간이 경과하면서 포장용기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주기적으로 배출가능하여 판매시 소비자의 구매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발효가스의 배출시 탈취된 상태에서 발효가스가 배출되므로 매장에서 냄새가 발생되지 않아 특히, 수출시 유리한 포장용기이며 유통에도 안전성이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본 발명은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용기를 밀폐하는 덮개에 발효가스의 배출수단을 구비하므로 발효식품 포장용기가 유통시 발효에 의해 부출어 오르거나 냄새가 나는 것이 방지되어 판매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키며 매장에서 냄새가 나는 것이 방지되어 김치의 수출시 효과적인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여러 가지 발효식품이 시중에 유통되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발효식품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담궈 먹는 발효식품 중 김치가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장에서 생산되어 시판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판용 김치는 바쁜 현대의 가정에서 호웅을 얻게 되어 특히, 김치의 종주국인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김치가 해외의 여러나라에 수출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판용의 김치는 생산공장에서 생산되어 포장용기에 밀봉되어 일정기간을 유통되는 관계로 포장수단이 여러 가지 개발되었는데, 이 유통되는 김치포장용기는 김치의 특성상 밀폐성과 김치발효시의 발효가스문제 및 발효압력에 대응하는 포장용기가 중요한 판매의 관건이 되었다.
종래의 유통용 김치포장용기의 대표적 예로는 유리병에 마개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것과, 이 유리병과 같은 형상의 PET재질로 형성된 플라스틱병이 있었다.
상기의 유리병은 가격이 비싸며 중량이 무겁고 깨지기 쉬운 단점으로 내수용 및 수출시 불편하고, 플라스틱병도 가격이 비싸며 밀폐성이 나빠 유통시 및 판매매장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며 김치액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김치포장용기로는 도 1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플라스틱용기(52)와 필름재의 뚜껑(54)으로 구성되는 일회용 폴리에틸렌수지재의 포장용기(50)와, 스탠딩파우치 포장용기(60)가 개발되었다.
상기 폴리에틸렌수지재의 포장용기(50)는 용기본체(52)가 가볍고 가격이 싸며 필름재의 뚜껑(54)이 기밀성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유통기간동안 김치가 숙성 발효되면서 용기본체(52) 및 필림재의 뚜껑(54)이 부풀어 올라 소비자가 구매를 기피하여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특히, 숙성시의 발효가스로 인하여 용기가 터질불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탠딩파우치 포장용기(60)는 가격이 가장 싸며 감압탈기포장이 가능하여 기밀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숙성시의 발효가스압력에 의해 부풀어 올라 역시 상품성이 떨어지며 사용할 때 포장용기(60)의 높이가 높아 쉽게 넘어지는 등 김치포장용기로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김치의 생산판매를 위한 유통용 김치의 포장용기가 기밀성이 유지되어 냄새의 유출과 김치액의 누출이 방지되며 발효시의 압력에 의해 용기가 부풀어 올라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 및 유통을 위한 포장용기에 있어서, 발효식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를 밀폐시키며,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원형요부, 상기 원형요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 1배출통로, 상기 제1배출통로로부터 간격지게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배출통로, 상기 제2배출통로의 종단부에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공기유통수단으로 이루어진 덮개; 상기 공기유통수단의 제1배출통로와 제2배출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발효가스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다공성의 환형 소취제로 형성된 소취수단; 상기 덮개와 소취수단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소취수단의 상측이 결합될 수 있게 삽지부가 돌출 형성된 덮개라벨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의 둘레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에 밀폐접착되므로, 상기 용기본체의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공기유통수단으로부터 소취수단을 경유하여 가스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대표적인 실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밀폐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단면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제5b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제7a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제7b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활성탄이 부가된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용기본체 10 : 덮개
12 : 배출통로 14 : 통공
15 : 망사막 16 : 소취홈
17 : 소취제 18 : 소취수단
20 : 밸브수단 21 : 공기유통수단
22 : 원형요부 23 : 가스배출공
24 : 고정원판자석 26 : 밸브원판
27 : 제1배출통로 28 : 제2배출통로
29 : 가스배출구 30 : 덮개라벨
32 : 삽지부 34 : 배출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밀폐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용기본체(5), 덮개(10), 소취수단(18), 덮개라벨(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김치등 발효가능한 식품이 담아지면 발효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경질재 플라스틱의 용기본체(5)와, 발효식품이 수용되는 상기 용기 본체(5)를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10)와, 중앙부에 공기유통수단(21)이 형성되며 발효가스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소취수단(18)과, 상기 덮개(10)와 소취수단(18)의 상면에 부착되는 덮개라벨(30)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10)의 둘레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용기본체(5)의 둘레에 밀폐접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기유통수단(21)은 중앙부에 통공(14)을 갖는 원형요부(22), 상기 원형요부(22)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1배출통로(27), 상기 제1배출통로(27)로부터 간격지게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배출통로(28), 상기 제2배출통로(28)의 종단부에 가스배출구(29)가 형성된 공기유통수단(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스배출구(29)는 상기 제2배출통로(28)의 종단부와 상기 덮개라벨(30)의 부착종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라벨(30)의 상면에는 상기 소취수단(18)의 상측이 결합될 수 있게 삽지부(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취수단(18)은 상기 제1배출통로(27)와 제2배출통로(28)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공성의 환형 소취제(17)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통수단(21)인 원형요부(22)는 상기 덮개(10)면과 동일 높이상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요부(22)는 상기 용기본체(5)가 포장된 상태에서 급격한 흔들림이나 요동으로 내용물인 김치액이 통공(14)으로 흘러나오는 경우를 대비하여 김치액이 상기 다공성의 소취제(17)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김치액이 통공(14)으로 흘러나온 경우 원형요부(22)에 잔류가 가능하여 다시 통공(14)을 통해 용기본체(5) 내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용기본체(5)에 김치가 수용되면 덮개(10)로 밀폐해야 하는데, 이러한 밀폐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0)와 용기본체(5)의 접촉면중에서 덮개(10)의 접촉면에 용제가 용해된 접착제 또는 핫멜트(HOT MELT)접착제를 도포하고, 덮개(10)를 용기본체(5)와 접촉시킨 후에 일정압력을 가하면서 고주파가열 또는 가압가열하게 되면 용기본체(5)는 기밀하게 덮개(10)와 밀폐되는 것으로, 이러한 덮개(10)의 밀폐는 종래 접촉면을 열용착으로 포장시 열에 노출되는 김치가 숙성이 빨리 진행되므로 유통기한이 짧아지는데, 이러한 포장방법의 개선으로 밀폐포장시 열사용이 적게 되므로 김치의 유통기한이 연장되며 개방시에도 적은 힘으로도 개방이 가능하면서 기밀성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밀폐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밀폐된 포장용기가 시중에 시판되거나 유통시에 용기본체(5)에 담아진 발효식품 즉, 김치는 발효가 진행중이므로 발효압력이 커지게 됨과 동시에 발효가스로 인하여 냄새가 발생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5)나 덮개(10)가 발효압력을 받게 되는 동안 발효는 계속 진행되고, 이러한 발효의 진행으로 발효가스는 용기본체(5)의 발효가스 압력이 점차로 증가하면서 제1배출통로(27)를 통해 소취제(17)를 경유하고, 이 발효가스는 소취제(17)로부터 냄새가 탈취되어 제2배출통로(28)로 유동된다. 그리고, 발효가스는 요홈으로 형성된 제2배출통로(28)로부터 가스배출구(29)로 노출되어 자연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용기본체(5)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러한 발효가스의 배출기능으로 인하여 포장용기는 부풀어 오르지 않아 안정되게 유통가능하며 소비자의 구매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배출통로(27)의 종단점과 제2배출통로(28)의 개시점은 상호 이격되어 제2배출통로(28)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사이에 소취제(17)가 설치되므로 발효가스는 상호 이격된 경로만큼 소취제(17)와 접촉되어 배출되므로 그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소취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도 5a,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5)를 밀폐하는 덮개(10)의 중앙 즉, 공기유통수단(21)에는 일정한 발효가스압력에 따라 자동개폐되는 밸브수단(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밸브수단(20)은 상기 덮개(10)의 중앙에서 통공(14)이 형성된 원형요부(22)에 부착되며 상기 통공(14)과 연통되는 가스배출공(23)이 형성된 고정원판자석(24)과, 상기 고정원판자석(24)에 착자되며 일정한 발효압력이상일 때 착자력이 이탈되어 상부로 분리되는 밸브원판(26)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밸브원판(26)은 고정원판자석(24)에 일정한 자력 즉, 일정가우스(GAUSS)로 상호 착자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정한 착자력을 유지하면서 발효가스의 압력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고정원판자석(24)을 부착한 후에 자석재의 원형판이나 일반적으로 부식에 강한 금속원판 및 자착이 가능한 고무재와 플라스틱재의 원판을 사용하므로 본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밸브수단(20)의 둘레에는 소취수단(18)인 환형의 소취제(17)가 설치되고, 상기 소취제(17)와 밸브수단(20)을 연통하는 다수의 제1배출통로(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0)의 상면에는 상기 밸브수단(20)으로부터 배출된 발효가스의 통로가 되는 제2배출통로(28)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통로(28)는 덮개라벨(30)의 부착종단점에 형성된 가스배출구(29)와 연통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2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포장용기의 용기본체(5)에 김치가 수용되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덮개(10)와 용기본체(5)의 접촉면에 용제가 용해된 접착제 또는 핫멜트(HOT MELT)접착제를 도포하여 덮개(10)를 용기본체(5)와 접촉시킨 후에 일정압력을 가하면서 고주파가열 또는 가압가열하므로 용기본체(5)와 기밀하게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밀폐된 포장용기가 시중에 시판되거나 유통시에는 일정시간이 소요되고, 이 시간동안 용기본체(5)에 담아진 발효식품 즉, 김치는 발효가진행중이므로 발효압력이 커지게 됨과 동시에 발효가스로 인하여 냄새가 발생된다.
상기 발효압력이 커지게 되면 압력으로 인하여 용기본체(5) 및 덮개(10)가 발효압력을 받게 되며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인 용기본체(5)와 덮개(10)는 발효압력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5)나 덮개(10)가 발효압력을 받게 되는 동안 발효는 계속 진행되고, 이러한 발효의 진행으로 용기본체(5)내의 압력은 계속 증가되므로 발효가스의 배출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발효가스의 배출은 냄새를 수반하게 되므로 발효가스의 배출과 동시에 냄새의 제거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발효가스이 배출 및 그 냄새의 제거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5)내에서 발생된 발효가스는 어느 시간동안에는 일정압력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덮개(10)의 밸브수단(20)은 이러한 일정압력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압력이상인 경우에는 간헐적으로 발효가스를 배출하는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용기본체(5)의 원형요홈(22)에 매설되는 고정원판자석(24)과 밸브원판(26)의 자력세기를 설정하여 설치하므로 초기 발효압력부터 일정발효압력일 경우까지 착자상태로 대응시킨다.
상기 고정원판자석(24)에는 가스배출공(23)이 형성되어 덮개(10)의 원형요부(22)에 부착되고, 이 고정원판자석(24)의 상단에는 밸브원판(26)이 매설되어 있어 상기 발효압력에 무관하게 두 개의 자석은 착자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용기본체(5)내의 발효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이 압력은 덮개(10)의 통공(14)과 고정원판자석(24)의 가스배출공(23)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통공(14)과 가스배출공(23)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밸브원판(26)을 고정원판자석(24)으로부터 이탈가능한 압력으로 상승되면, 밸브원판(26)은 상부로 상승되어 순간적으로 고정원판자석(24)으로부터 착자가 이탈된다.
이때, 발효가스의 일부가 가스배출공(23)을 통해 제1배출통로(27)로 유동되고, 이 발효가스는 제1배출통로(27)내에서 잔류되거나 대기압보다 높은 발효가스인 경우에는 소취제(17)를 경유하여 덮개(10)와 덮개라벨(30)의 부착에 의해 형성된 제2배출통로(28)를 통해 유동된다.
상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발효가스는 소취제(17)와 접촉되면서 냄새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2배출통로(28)로 유동되고, 이 제2배출통로(28)의 발효가스는 덮개라벨(30)의 부착종단점에 형성된 가스배출구(29)로 분출된다.
이러한 상태는 용기본체(5)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러한 발효가스의 배출기능으로 인하여 포장용기는 부풀어 오르지 않아 안정되게 유통가능하며 소비자의 구매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효가스가 배출된 후에 시간이 다시 경과하게 되면, 용기본체(5)내의 발효압력은 다시 상숭하게 되고, 상승되는 발효가스의 압력이 일정압력 즉, 고정원판자석(24)과 밸브원판(26)의 착자력을 이탈시키는 압력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 발효가스압력은 덮개(10)의 통공(14)과 고정원판자석(24)의 가스배출공(23)을 통해 압력을 가하게 되어 밸브원판(26)이 다시 고정원판자석(24)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이탈이 된다.
이때, 전단계에서 밸브원판(26)의 상부와 측방 즉, 제1배출통로(27)에 잔류하고 있던 대기압정도의 발효가스는 밸브원판(26)의 상승으로 소취제(17)로 밀려나게 되고, 이 제1배출통로(27)에는 새로이 배출된 발효가스가 유동된다.
그리하여, 전단계에서 잔류된 가스는 제1배출통로(27)로 새로이 유입된 가스의 유동력에 의해 소취제(17)를 경유하여 탈취가 되어 제2배출통로(28) 및 가스배출구(29)로 배출되고, 새로이 제1배출통로(27)에 유입된 발효가스는 상기 전단계와 동일하게 압력상태에 따라 자연배출되거나 잔류되고, 잔류된 발효가스는 다시 밸브원판(26)의 상승작동에 의해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밸브수단(20)을 구비한 것으로, 덮개(10)면보다 상측에 형성된 공기유통수단(21)이 용기본체(5)의 내용적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로써,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수단(20)을 구비함과 동시에 공기유통수단(21)인 다수의 배출통로(27, 28)와 원형요부(22)의 가공을 덮개(10)에 프레스가공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공기유통수단(21)이 덮개(10)의 기준면보다 하측에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 3실시예는, 용기본체(5)를 밀폐하는 덮개(10)에 일정한 발효가스 압력에 따라 자동개폐되는 밸브수단(20)이 상기 서술한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덮개(10)의 중앙에서 통공(14)이 형성된 원형요부(22)에 부착되는 고정원판자석(24)과, 상기 고정원판자석(24)에 착자되며 일정한 발효압력이상일때 착자력이 이탈되어 상부로 분리되는 밸브원판(2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수단(20)의 둘레에는 배출된 발효가스의 냄새를 제거하는 소취수단(18)이 형성되고, 이 소취수단(18)과 밸브수단(20)을 연통하는 다수의 배출통로(12)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10)의 상면에 부착되는 덮개라벨(30)에 의해 형성된 배출틈(34)이 밸브수단(20)으로부터 배출된 발효가스의 통로가 된다.
한편, 가스배출구(29)는 소취수단(18)의 상측에서 덮개라벨(3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취수단(18)은 상기 밸브수단(20)의 원형요부(22) 둘레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소취홈(16)내에 충진되는 소취제(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10)의 통공(14)에는 망사막(15)이 부착되어 이물질이 통공(14)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5)는 내측에 포장되는 발효식품의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일정한 가압을 하는 손잡이(42)가 달린 내측덮개(4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3실시예의 작용은 상기 제 2실시예와 유사한바, 이러한 제 2실시예의 작용을 그 구성에 따라 다시 상세히 서술한다.
먼저, 본 포장용기의 용기본체(5)에 김치가 수용되면 상기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덮개(10)로 밀폐되고, 밀폐된 상태의 포장용기는 유통시에 일정시간이 소요되면서 용기본체(5)에 담아진 발효식품 즉, 김치가 발효진행되어 발효압력이 커지게 됨과 동시에 발효가스로 인하여 냄새가 발생된다.
상기 발효압력이 커지게 되면 압력으로 인하여 용기본체(5) 및 덮개(10)가 발효압력을 받게 되는데, 용기본체(5)와 덮개(10)를 동일한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므로 이러한 발효압력에 의하여 용기본체(5)나 덮개(10)가 부풀어 오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5)나 덮개(10)가 발효압력을 받게 되는 동안 발효는 계속 진행되고, 이러한 발효의 진행으로 용기본체(5)내의 압력은 계속 증가되므로 발효가스의 배출 및 그 냄새의 제거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발효가스의 배출 및 그 냄새의 제거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5)내에서 발생된 발효가스는 어느 시간동안에는 일정압력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덮개(10)의 밸브수단(20)은 이러한 일정압력을 유지하면서 용기본체(5)의 내용물 예컨데, 김치가 발효압력의 상숭과 동시에 부피가 증가되고, 이러한 부피의 증가로 인하여 김치액과의 접촉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김치의 발효상태가 나빠지게 되는데, 본 포장용기에서는 용기본체(5)의 내측으로 김치액과 김치와의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하며 일정한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손잡이(42)가 달린 내측덮개(4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내측덮개(40)는 양측으로 용기본체(5)와 여유틈을 가지고 수용되므로 발효가스는 상승됨과 동시에 김치자체는 김치액과 접촉상태를 유지시키며 소정의 가압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내측덮개(40)가 덮인 김치의 발효가스배출은 먼저, 용기본체(5)의 원형요홈(22)에 매설되는 고정원판자석(24)과 밸브원판(26)의 자력세기를 설정하여 설치하므로 초기 발효압력부터 일정발효압력일 경우까지 대응시킨다.
상기 고정원판자석(24)에는 가스배출공(23)이 형성되어 덮개(10)의 원형요부(22)에 부착되고, 이 고정원판자석(24)의 상단에는 밸브원판(26)이 매설되어 있어 상기 발효압력에 무관하게 두 개의 자석은 착자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용기본체(5)내의 발효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이 압력은 덮개(10)의 통공(14)과 고정원판자석(24)의 가스배출공(23)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통공(14)과 가스배출공(23)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밸브원판(26)을 고정원판자석(24)으로부터 이탈가능한 압력으로 상승되면, 밸브원판(26)은 상부로 상승되어 순간적으로 고정원판자석(24)으로부터 착자가 이탈된다.
이때, 발효가스의 일부가 가스배출공(23)을 통해 덮개라벨(30)의 배출틈(34)으로 유동되고, 이 발효가스는 배출틈(34)내에서 잔류되거나 대기압보다 높은 발효가스인 경우에는 덮개(10)와 덮개라벨(30)의 부착에 의해 형성된 배출통로(12)를 통해 소취홈(16)으로 유동된다.
상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발효가스는 소취홈(16)내에서 소취제(17)와 접촉되면서 덮개라벨(30)에 형성된 가스배출구(29)로 배출되므로 발효가스는 용기본체(5)내에서 냄새가 제거된 상태에서 분출되는 것이고, 용기본체(5)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러한 발효가스의 배출기능으로 인하여 포장용기는 부풀어 오르지 않아 안정되게 유통가능하며 소비자의 구매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효가스가 배출된 후에 시간이 다시 경과하게 되면, 용기본체(5)내의 발효압력은 다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는 발효가스의 압력이 일정압력 즉, 고정원판자석(24)과 밸브원판(26)의 착자력을 이탈시키는 압력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 발효가스압력은 덮개(10)의 통공(14)과 고정원판자석(24)의 가스배출공(23)을 통해 압력을 가하게 되어 밸브원판(26)이 다시 고정원판자석(24)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이탈이 된다.
이때, 전단계에서 밸브원판(26)의 상부 즉, 덮개라벨(30)의 배출틈(34)에 잔류하고 있던 대기압정도의 발효가스는 밸브원판(26)의 상승으로 소취홈(16)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 배출틈(34)에는 새로이 배출된 발효가스가 유동된다.
그리하여, 전단계에서 잔류된 가스는 배출틈으로 새로이 유입된 가스의 유동력에 의해 소취홈(16)을 경유하여 탈취가 되어 가스배출구(29)로 배출되고, 새로 배출틈(34)에 유입된 발효가스는 상기 전단계와 동일하게 압력상태에 따라 자연배출되거나 잔류되고, 잔류된 발효가스는 다시 밸브원판(26)의 상승작동에 의해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소취홈(16)에 매설된 소취제(17)를 경유하는 배출가스의 탈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덮개라벨(30)에 형성되는 가스배출구(29)를 덮개(10)에 형성되는 배출통로(12)로부터 가장 멀리 가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김치포장용기가 유통중에 급격하게 뒤집어 지거나 흔들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가능한데, 이경우에 포장용기의 내용물이 흔들리게 되어 김치의 미세한 양념이나 김치액이 통공(14)을 통해 밸브수단(20)으로 유입이 가능한 데 이때, 덮개(10)의 통공(14)에 부착된 망사막(15)이 김치액의 급격한 유입이나 양념 등이 통공(14)을 막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통공(14)은 항상 발효가스가 유동가능하게 개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통공(14)을 통한 김치액의 급격한 유입으로 밸브원판(2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밸브수단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로 소취기능을 유지하면서 밸브수단 대신 원형요부에 자연통기밸브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 7a에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원형요부(22)의 통공(14)을 확대가공하여 압착부(14a)를 가공시키고, 이 통공(14)에는 중앙부가 함몰되어 통기홈(24b)이 형성되며 외주부에 압착부(24a)가 형성된 자연통기밸브(24)가 통공(14)에 장착된다.
상기 자연통기밸브(24)는 실리콘재질의 고무로 형성되어 통공(14)의 압착부(14a)와 자연통기밸브(24)의 압착부(24a)를 겹층으로 말아 압착시키므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자연통기밸브(24)가 덮개(10)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통기밸브(24)의 통기홈(24b)으로는 발효가스가 자연배출되고 용기본체(5)내의 액체는 통기홈(24b)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되어 소취기능을 유지하면서 제작성을 향상시키며 덮개라벨(30)의 상면으로 돌출된 배출틈(34)이 제거되어 상품성도 향상시킨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요지인 소취기능을 보다 더 강화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과 같은 제 4실시예는 제1배출통로(27)상에 소취제와 탈취기능을 갖춘 활성탄을 구비한 것으로, 원형요부(22)의 둘레에 연통되어 형성된 제1배출통로(27)와, 상기 제1배출통로(27)로부터 연통되어 나선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배출통로(28)와, 상기 제2배출통로(28)의 종단부에 형성된 유동홈(31)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가스배출구(29)는 상기 유동홈(31)의 둘레와 상기 덮개라벨(30)의 부착종단점에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배출통로(27)는 탈취부(18a)와, 상기 탈취부(18a)와 이격된 공간부(18b)와, 상기 탈취부(18a)와 공간부(18b)사이에 설치되는 공기틈(18c)과, 상기 공간부(18b)와 상기 제2배출통로(28)사이에 형성된 액상소취부(18d)로 구성된 소취수단(18)이 구비된다.
상기 탈취부(18a)에는 활성탄(Activatded Carbon)성분의 고체입자가 충진되고, 상기 액상소취부(18d)에는 항균 및 소취기능이 있는 소취제(Deoderizer)를 스폰지등에 흡착시켜 설치하며, 이 액상소취부(18d)의 액체성분이 상기 활성탄성분과 접촉되지 않도록 공간부(18b)를 형성하여 이 공간부(18b) 양측에 공기틈(18c)을 형성한다.
특히, 제 4실시예에서는 원형요부(22)에 형성된 통공(14)은 미세하게 가공되므로 발효가스의 유통은 원할하지만 용기본체(5)내의 액체는 유출되기가 어렵게 되므로 용기본체(5)가 기울어지는 경우에 액체가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형성되면서, 액상소취부(18d)가 외부공기와 용기본체(5)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용기본체(5)의 내측을 탄산가스나 질소가스로 치환하여 포장이 가능하므로, 발효식품의 최적조건인 혐기적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혐기적 발효로 인하여 발효식품의 신선함을 유지하고, 변질이나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나쁜 영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실시예에서는, 발효가스가 통공(14)으로부터 원형요부(22)에서 상기 탈취부(18a)를 경유하면서 냄새가 제거되고, 공기틈(18c) 및 공간부(18b)를 거쳐 액상소취부(18d)에서 그 냄새가 완벽하게 제거되는데, 상기 탈취부(18a)는 활성탄성분의 고체입자로 구성되므로 탈취효과가 뛰어난 대신 기체상의 발효가스를 전부 탈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발효가스는 액상소취부(18d)로부터 액상의 소취제를 경유하면서 완벽하게 소취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완벽하게 냄새가 제거된 발효가스는 제2배출통로(28)를 거쳐 유동홈(31)에 잔류되면서 서서히 가스배출구(29)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경질의 플라스턱재로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작하여 유통하므로 유통시 발효압력에 의해 용기가 부풀어 오르지 않게 되고, 용기본체(5)와 덮개(10)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폐하므로 덮개(10)가 용이하게 개방가능하고, 특히 유통단계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압력에 대하여 용기본체(5)내의 압력을 항상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유통의 안전성이 유지됨과 동시에 발효가스 배출시 발생되는 냄새를 탈취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는, 김치의 생산공장에서 포장되어 유통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발효가스를 탈취하여 간헐적으로 배출가능한 밸브수단을 구비하므로 유통시간이 경과하면서 포장용기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주기적으로 배출가능하여 판매시 소비자의 구매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발효가스의 배출시 탈취된 상태에서 발효가스가 배출되므로 매장에서 냄새가 발생되지 않아 특히, 수출시 유리한 포장용기이며 유통에도 안전성이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저장 및 유통을 위한 포장용기에 있어서, 발효식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5)를 밀폐시키며, 중앙부에 통공(14)을 갖는 원형요부(22), 상기 원형요부(22)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 1배출통로(27), 상기 제 1 배출통로(27)로부터 간격지게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 2배출통로(28), 상기 제 2배출통로(28)의 종단부에 가스배출구(29)가 형성된 공기유통수단(21)으로 이루어진 덮개(10); 상기 공기유통수단(21)의 제 1배출통로(27)와 제 2배출통로(28) 사이에 설치되어 발효가스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다공성의 환형 소취제(17)로 형성된 소취수단(18); 상기 덮개(10)와 소취수단(18)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소취수단(18)의 상측이 결합될 수 있게 삽지부(32)가 돌출 형성된 덮개라벨(30)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10)의 둘레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용기본체(5)의 둘레에 밀폐접착되므로, 상기 용기본체(5)의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공기유통수단(21)으로부터 소취수단(18)을 경유하여 가스배출구(29)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수단(21)의 원형요부(22)에는 일정한 발효 가스압력에 따라 자동개폐되는 밸브수단(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20)은 상기 원형요부(22)에 부착되며 상기 통공(14)과 연통되는 가스배출공(23)이 형성된 고정원판자석(24)과, 상기 고정원판자석(24)에 착자되며 일정한 발효압력이상일때 착자력이 이탈되어 상부로 분리되는 밸브원판(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수단(18)은 상기 제 1배출통로(27)와 제 2배출통로(28)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소취홈(16)과, 상기 소취홈(16)에 충진되는 소취제(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통공(14)에는 망사막(15)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5)에는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며 상면중앙에 손잡이(42)가 형성되어 포장된 발효식품을 가압하는 내측덮개(4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수단(21)의 원형요부(22)에는 외주부에 압착부(24a)가 형성된 통공(14)이 형성되고, 이 통공(14)에는 중앙부가 함몰되어 통기홈(24b)이 형성된 자연통기밸브(24)가 압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수단(21)은 상기 덮개(10)면상에서 통공(14)이 형성된 원형요부(22)와, 이 원형요부(22)와 일측이 연통되며 원형요부(22)와 이격된 둘레에 형성된 제1배출통로(27)와, 이 제1배출통로(27)로부터 연통되어 나선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배출통로(28)와, 이 제2배출통로(28)의 종단부에 형성된 유동홈(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배출구(29)는 상기 유동홈(31)의 둘레와 상기 덮개라벨(30)의 부착종단점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수단(18)은 활성탄성분의 고체입자가 충진된 탈취부(18a)와, 이 탈취부(18a)와 제2배출통로(28)사이에 설치되며 액상의 소취제가 흡착된 액상소취부(18d)와, 이 액상소취부(18d) 및 탈취부(18a)사이에 설치되는 공간부(18b)와, 상기 공간부 양측에 형성된 공기틈(18c)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배출통로(27)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KR1019980018744A 1998-02-23 1998-05-25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KR10029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421399A JP3063031B2 (ja) 1998-02-23 1999-02-23 発酵食品包装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261 1998-02-23
KR19980006261 1998-02-23
KR101998006261 1998-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47A KR19990071347A (ko) 1999-09-27
KR100292840B1 true KR100292840B1 (ko) 2001-06-15

Family

ID=3752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744A KR100292840B1 (ko) 1998-02-23 1998-05-25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6763A2 (en) * 2003-08-18 2005-02-24 Joon-Myoung Park Packaging container for fermented foods
KR100565839B1 (ko) * 2003-07-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용 김치 보관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898A (ko) * 1998-03-23 1999-10-15 이정민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기
KR100642775B1 (ko) * 2000-06-17 2006-11-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김치냉장고의 숙성제어방법 및 장치
KR100810562B1 (ko) * 2007-02-15 2008-03-18 주식회사 대정씨티아이 식품저장 용기
KR100810561B1 (ko) 2007-02-15 2008-03-18 주식회사 대정씨티아이 식품저장 용기
KR102270829B1 (ko) 2019-08-14 2021-06-29 대상 주식회사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711A (ko) * 1991-06-28 1993-01-16 강진구 음향 및 영상기기의 채널 예약 방법
KR930007767A (ko) * 1991-10-31 1993-05-20 박준명 김치류의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711A (ko) * 1991-06-28 1993-01-16 강진구 음향 및 영상기기의 채널 예약 방법
KR930007767A (ko) * 1991-10-31 1993-05-20 박준명 김치류의 포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39B1 (ko) * 2003-07-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용 김치 보관 용기
WO2005016763A2 (en) * 2003-08-18 2005-02-24 Joon-Myoung Park Packaging container for fermented foods
WO2005016763A3 (en) * 2003-08-18 2005-04-28 Joon-Myoung Park Packaging container for fermented fo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47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756B2 (en) Container lid with disc shaped media and method of use
KR100292840B1 (ko)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EP1666368B1 (en) Smart lid
JP3862786B2 (ja) 消毒装置
WO2000074746A8 (en) Plastic containers having inner pouche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containers
KR101399411B1 (ko)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US4700867A (en) Sleeved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KR20210041771A (ko) 내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컵뚜껑
US20140239079A1 (en) Hanging scented bead air freshener
KR20080056452A (ko) 진공형성을 위한 커버부재를 가진 진공용기
KR100957526B1 (ko) 밀폐용 용기 뚜껑
JP3063031B2 (ja) 発酵食品包装容器
KR100354171B1 (ko)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WO2002068277A3 (en) Reusable vacuum lid
KR19990078725A (ko) 김치제품의 팽창방지 포장방법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101252781B1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KR20050019373A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0405964B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0359754Y1 (ko) 발효가스 배출구
KR200201671Y1 (ko) 포장용기 뚜껑
GB2372732A (en) Container of adjustable volume
KR102112137B1 (ko) 커피원두 포장체용 컨트롤밸브 캡
KR20090028162A (ko) 식품 포장 용기
JP2005313989A (ja) 包装物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