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521A -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521A
KR20050017521A KR1020030056459A KR20030056459A KR20050017521A KR 20050017521 A KR20050017521 A KR 20050017521A KR 1020030056459 A KR1020030056459 A KR 1020030056459A KR 20030056459 A KR20030056459 A KR 20030056459A KR 20050017521 A KR20050017521 A KR 20050017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airbag
hook
airbag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872B1 (ko
Inventor
임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872B1/ko
Priority to US10/650,750 priority patent/US7374202B2/en
Publication of KR2005001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는 리테이너가 스티어링 휠 코어에 볼트 체결되고,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크가 스티어링 휠의 상측에 형성된 훅 홀에 끼워짐으로써 에어백 커버가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기 때문에 에어백 케이스의 유닛이 줄어들고 조립 공정이 용이해지며, 상기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가 스티어링 휠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고, 테어라인의 영역과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의 설치영역 및 작동영역이 넓어진다.

Description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Mounting Structure of Air-Bag Cas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가 스티어링 휠에 후크 결합되고, 리테이너가 스티어링 휠 코어에 볼트 체결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아울러,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상하이동 가능토록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혼 스위치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1)의 허브(2)에 설치된 에어백 케이스(10~13)와, 임펙트 센서에 의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14)와, 상기 인플레이터(14)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으면 승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2)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바닥면에 홀(2A)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3)에 걸쳐진 스티어링 휠 코어(4)가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 케이스(10~13)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2)의 개방된 상면(2B)을 덮는 에어백 커버(10)와,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4)에 얹혀져 상기 인플레이터(14)와 에어백(16)을 지지하는 리테이너(11)와, 상기 에어백 커버(10)로부터 상기 리테이너(11)를 감싸도록 돌출되어 상기 리테이너(11)와 리벳(20) 체결되는 리브(12)와, 상기 리브(12) 및 리테이너(11)와 함께 리벳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4)의 측면에 볼트(22) 체결되는 브래킷(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커버(10)에는 상기 리브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10A)에 상기 에어백(16)의 전개시 상기 에어백 커버(10)가 절단될 수 있도록 테어 라인(17)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리테이너(11)는 상기 에어백 커버(10)와 동일한 중심선(C) 상에 설치되되, 상기 리테이너의 폭(11W)이 상기 에어백 커버의 폭(10W)의 1/2 정도이고, 상기 리브(12)는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11A)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중심선(C)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가장자리를 향해 대략 1/2지점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리브의 내측에 위치하는 에어백 커버의 영역(10A)이 상기 테어라인의 영역이 된다. 즉, 상기 테어라인의 영역은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면적과 비교하여 1/2 정도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임펙트 센서에 의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인플레이터(14)로부터 에어백(16)으로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고, 상기 에어백(16)은 가스가 충진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테어라인(17)에 의해 에어백 커버(10)를 절단시킨 다음, 승객을 향해 전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상기 에어백(16)의 전개성능이 상기 테어라인(17)의 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험을 통해 상기 테어라인(17)의 형상을 튜닝하게 되는데, 상기 테어라인의 영역이 상기 리브(12)로 인해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면적의 1/2 정도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16)의 전개성능을 향상시키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에어백 커버(10)에 경음을 발생시키는 혼을 작동시키는 멤브레인 타입(Membrane Type) 혼 스위치(18)가 설치되는데, 상기 혼 스위치(18)도 상기 리브(1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리브(12)의 내측에 위치해야만 하므로 혼 스위치(18)의 설치영역 및 동작영역이 좁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가장자리가 상기 스티어링 휠(1)로부터 들뜨게 됨으로써 외관상 품질(F/Finish)에 문제가 생긴다. 여기서, 상기 리브(12)는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가장자리와 상당한 거리차가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가장자리를 견실하게 지지하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리브(12)와 리테이너(11), 그리고 브래킷(13)이 함께 리벳(20) 체결된 후, 상기 브래킷(13)이 스티어링 휠의 코어(4)에 볼트(24) 체결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케이스(10~13)가 스티어링 휠(1)에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 부품의 수가 많고 리벳(22), 볼트(22) 체결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여 조립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테어라인 영역과 혼 스위치 작동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외관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는 상면이 개방된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 코어와;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에 설치되어 에어백과 인플레이터를 지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 절단될 수 있도록 테어 라인(Tear Line)이 형성된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커버를 스티어링 휠의 측면 상측에 고정시키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는 상면이 개방된 스티어링 휠(50)의 허브(52)에 스티어링 휠 코어(54)가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에 에어백(60)과 인플레이터(62)를 지지하는 리테이너(64)가 설치되며,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52)에 에어백 커버(66)가 설치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52)의 개구된 상면을 덮으며, 상기 에어백 커버(66)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52)를 향해 후크(70)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커버(66)를 상기 스티어링 휠(50)의 측면 상측에 고정시킨다.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5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바닥면에 홀(5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52)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떨어져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내측이 가장자리보다 더 낮도록 단차(54S)진 수평패널(54A)과, 상기 수평패널(54A)로부터 상측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54B)이 완만한 곡률로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56)에 형성된 코어 홀(56A)에 걸쳐지는 다수개의 경사패널(54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경사패널(54C)의 절곡된 상단(54B)에는 상기 에어백 커버(66)와 상하방향으로 겹쳐지고 상기 후크(70)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후크(70)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훅 홀(57)이 형성된다. 상기 훅 홀(57)은 상기 후크(70)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64)는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의 상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앙에 상기 인플레이터(62)가 걸쳐지는 홀이 형성되며 에어백(60)이 볼트 체결되는 상면(64A)과, 상기 상면(64A)의 가장자리에서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을 향해 링형으로 형성된 측벽(64B)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의 단차(54S)부위에 걸쳐진다.
더불어, 상기 리테이너(64)에는 상기 리테이너(64)의 측벽(64B)의 하단에서 상기 리테이너(64)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과 면 접촉되는 플랜지(65)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5)는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의 단차(54S)부위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리테이너(64)의 측벽(64C)의 하단에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패널(65A)과,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의 내측 일부위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경사패널(65A)의 끝단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패널(65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65)의 수평패널(65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볼트 홀(65C)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수평패널(54A)에는 상기 제1 볼트 홀(65C)과 상하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제2 볼트 홀(54D)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 홀(65C)과 제2 볼트 홀(54D)에 볼트(B)가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64)는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상기 후크(70)는 탄성력에 의해 후크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에어백 커버(66)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50)의 허브(52)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훅 홀(57)에 삽입되는 지지돌기(72)와, 상기 지지돌기(72)의 끝단에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훅 홀(57)을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에 걸림되는 걸림턱(7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커버(66)에는 상기 에어백(60)의 전개압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테어 라인(Tear Line)(67)이 형성되는데, 상기 후크(70)가 상기 에어백 커버(66)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테어 라인(67)의 영역이 상기 에어백 커버(66)의 전 면적에 걸쳐 넓게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커버(66)의 배면에는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80)가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커버(66)가 승객의 누름 동작에 의해 하측을 향해 탄성 변형되면 온 동작되는데, 이 때 상기 에어백 커버(66)가 상기 후크(70)를 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되므로 상기 후크(70)가 상기 에어백 커버(66)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80)의 작동영역 및 설치영역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커버(66)는 눌림 동작에 의해 하측을 향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80)를 온 동작시키고, 눌림 동작이 해제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80)를 오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다. 그러므로, 상기 에어백 커버(66)와 상기 후크(70)는 함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면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 커버(66)는 상기 후크(70)가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휠(50)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티어링 휠의 허브(52)의 내부에 리테이너(64)를 삽입하여, 제1볼트 홀(65C)과 스티어링 휠 코어(54)의 제2볼트 홀(54D)을 상하방향으로 합치시킨 후, 볼트(B)를 상기 제1,제2 볼트 홀(65C,54D)에 체결하면, 상기 리테이너(64)가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54)에 고정된다.
이후, 상기 리테이너(64)에 인플레이터(64)와 에어백(62)을 차례로 체결한 다음, 에어백 커버(66)를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52)를 향해 밀면, 후크(70)가 훅 홀(57)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에어백 커버(66)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코어(54)에 고정되어,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 유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는 스티어링 휠 코어(100)에 리테이너(110)가 볼트(104)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106)에 에어백 커버(112)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 커버(112)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108)을 향해 후크(114)가 돌출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108)에 형성된 훅 홀(108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에어백 커버(112)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는 리테이너가 스티어링 휠 코어에 볼트 체결되고,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크가 스티어링 휠의 상측에 형성된 훅 홀에 끼워짐으로써 에어백 커버가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기 때문에 에어백 케이스의 유닛이 줄어들고 조립 공정이 용이해져 조립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크가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가 스티어링 휠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감 처리가 깔끔해져 외관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크가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커버의 전 면적에 걸쳐 테어 라인이 형성될 수 있어, 테어 라인을 다양하게 튜닝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전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크가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커버의 전 면적에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어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의 설계 제약이 줄어들고,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의 작동영역이 넓어지게 되어 멤브레인 타입의 혼 스위치를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스티어링 휠 52 : 스티어링 휠의 허브
54 : 스티어링 휠 코어 57 : 훅 홀
60 : 에어백 64 : 리테이너
65 : 플랜지 67 : 테어 라인
70 : 후크

Claims (9)

  1. 상면이 개방된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 코어와;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에 설치되어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지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 절단될 수 있도록 테어 라인(Tear Line)이 형성된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커버를 스티어링 휠의 측면 상측에 고정시키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의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패널과, 상기 수평패널로부터 상측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이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 걸쳐지는 경사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패널의 절곡된 상단에는 상기 후크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훅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코어의 수평패널에는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플랜지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어 라인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중심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후크가 형성된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까지의 영역 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는 상기 후크가 형성된 가장자리의 내부 영역에 혼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훅 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와 함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에어백 커버로부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을 향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훅 홀에 끼워지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 홀은 상기 에어백 커버와 스티어링 휠의 결합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에어백의 폭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는 상기 후크의 돌출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훅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KR10-2003-0056459A 2003-08-14 2003-08-14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KR10052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459A KR100522872B1 (ko) 2003-08-14 2003-08-14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US10/650,750 US7374202B2 (en) 2003-08-14 2003-08-29 Assembly structure of airbag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459A KR100522872B1 (ko) 2003-08-14 2003-08-14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521A true KR20050017521A (ko) 2005-02-22
KR100522872B1 KR100522872B1 (ko) 2005-10-20

Family

ID=3413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459A KR100522872B1 (ko) 2003-08-14 2003-08-14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74202B2 (ko)
KR (1) KR100522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7262B2 (en) 2009-04-27 2014-07-15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abilizer straps
US20100270782A1 (en) * 2009-04-27 2010-10-28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bag straps for wrapping the airbags and optimizing deployment
US8500157B2 (en) 2009-04-27 2013-08-06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8083254B2 (en) * 2009-04-27 2011-12-27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US8118325B2 (en) * 2009-04-27 2012-02-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US8297649B2 (en) * 2009-07-16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having two chambers separated by an internal tether
US8272667B2 (en) * 2009-11-03 2012-09-25 Autoliv Asp, Inc. Low-mount inflatable knee airbags having serial chambers
US8500155B2 (en) * 2009-12-22 2013-08-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tegral cover
US8297650B2 (en) 2010-08-31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articulating housings
US8360464B2 (en) 2010-08-31 2013-01-29 Autoliv Asp, Inc. Covers for inflatable knee airbag housings
US8540276B2 (en)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US8505963B1 (en) 2012-02-24 2013-08-13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rap clamps
US9010804B2 (en) 2013-03-15 2015-04-21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constrained stabilizer straps
US10696266B2 (en) 2017-11-10 2020-06-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CN110116749B (zh) * 2019-04-26 2024-04-30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常熟)有限公司 用于机动车的方向盘总成及其装配方法和结构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5568A (en) * 1980-07-28 1982-04-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JP3252169B2 (ja) * 1993-04-27 2002-01-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パッド
US5577768A (en) * 1993-04-28 1996-11-26 Nippondenso Co., Ltd. Air bag device having a minimized cone depth
GB2290268B (en) * 1994-06-07 1998-02-1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US5569893A (en) * 1995-04-10 1996-10-29 Takata Inc. Driver air bag cover with integral horn and redundant switches
US5630617A (en) * 1996-01-02 1997-05-20 Toyoda Gosei Co., Ltd. Horn pad for a steering wheel
US5725241A (en) * 1996-04-23 1998-03-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cover assembly
JP3353652B2 (ja) * 1996-10-18 2002-12-03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762365A (en) * 1997-02-13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cover assembly
DE19731314A1 (de) * 1997-07-16 1999-01-28 Petri Ag Lenkrad mit Airbagmodul
US6250666B1 (en) * 1998-03-23 2001-06-2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bag housing with horn mechanism
US6237944B1 (en) * 1999-09-30 2001-05-29 Delphi Technologies, Inc. Mounting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JP2001180502A (ja) * 1999-12-24 2001-07-03 T S Tec Kk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6247722B1 (en) * 2000-03-31 2001-06-19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cover with hidden tear seams
JP3949958B2 (ja) * 2001-12-28 2007-07-25 オートリブ・イズミ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35576A1 (en) 2005-02-17
KR100522872B1 (ko) 2005-10-20
US7374202B2 (en)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872B1 (ko)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JP6307214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US7980586B2 (en) Front passenger seat airbag apparatus
JP2005206142A (ja) エアバッグ装置
EP2322393B1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KR20080008099A (ko)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US11639150B2 (en) Airbag device
JP4843371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1669256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an automotive airbag unit
JP4269981B2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527285B2 (ja) エアバッグのカバ―体
KR101637206B1 (ko) 에어백 장치
JP2013067291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001461B1 (ko) 조수석 에어백
JP372562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220167991A (ko) 에어백모듈
KR100510414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2008055937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ドア部構造
JP5236584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0452846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JP5218322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70121231A (ko) 혼 스위치 겸용 운전석 에어백
JP55112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9263208A (ja) エアバッグ装置
JP394662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