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111A -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111A
KR20050013111A KR10-2004-7019197A KR20047019197A KR20050013111A KR 20050013111 A KR20050013111 A KR 20050013111A KR 20047019197 A KR20047019197 A KR 20047019197A KR 20050013111 A KR20050013111 A KR 2005001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ylaniline
reaction
added
amino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562B1 (ko
Inventor
신 이께다
야스히로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6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from amin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amino groups, e.g. reduction of unsaturated amines, aromatisation, or substitution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09/7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from amin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amino groups, e.g. reduction of unsaturated amines, aromatisation, or substitution of the carbon skeleton by halogenation, hydrohalogenation, dehalogenation, or dehydrohaloge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을 환원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2-벤질아닐린을 원 포트로 제조할 수 있게 되며 그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2-Benzylaniline}
2-벤질아닐린은 의약의 원료로서 중요한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2-아미노벤조페논을 금속 나트륨 또는 히드라진으로 환원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J. Chem. Soc., 292, 1948], [Chem. Ber., 96, 765, 1963]).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원료의 2-아미노벤조페논이 입수하기 어렵고 고가이기 때문에, 공업적으로는 보다 저가인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2-아미노벤질클로라이드염산염과 벤젠을 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프리델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 [Chem. Ber., 61, 2276, 1928], 2-니트로벤질클로라이드와 벤젠을 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프리델 그래프트 반응시켜 수득되는 o-니트로디페닐메탄을 환원하는 방법 [J. Am. Chem. Soc., 53, 1428, 1931]도 알려져 있지만, 원료의 벤젠이 발암성 물질이어서 공업 생산시에는 그의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의약 원료로서 중요한 2-벤질아닐린의 신규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을 나타내고,
도 2는 2-벤질아닐린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반응은 원료, 용매 및 필요에 따라서는 염기 또는 양쪽성 화합물을 가한 후에 환원제를 가하여 반응을 행한다. 유기 용매로 추출, 수세, 농축하고, 2-벤질아닐린의 조제물을 수득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감압 증류 (또는 재결정 등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2-벤질아닐린을 수득할 수 있다.
유기 용매를 사용할 경우,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에탄올, 2-프로판올 등의 알콜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등이 사용되고,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도 있다.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테트라히드로푸란이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의 용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특히 디메틸포름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 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배 용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배 용량이다.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염산염의 용해성 향상을 위해서 물을 가할 수도 있는데, 이의 사용량은 0.1 내지 20 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배 용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배 용량이다.
환원 조건으로서는 공업 생산의 측면에서 폐기물을 발생기키지 않는 수소화 반응 조건이 바람직하다. 수소화 반응에 사용하는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팔라듐 촉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팔라듐 탄소이다. 촉매의 사용량은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질량%,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5 질량%이다. 0.1% 미만이면 반응이 너무 늦고, 50%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않다.
촉매를 사용한 수소화 반응을 행할 경우, 수소압이 대기압하일 때에도 반응하지만, 반응 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가압 조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수소압은 0.1 내지 15 MPa,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Pa이다.
수소화 반응을 행할 경우, 2-벤질아닐린이 생성되어 염산의 중화제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염기를 가하지 않아도 탈할로겐화 반응이 진행되지만, 반응 말기에 중간체인 2-아미노-5-할로게노벤질아닐린이 남기 쉽기 때문에 염기를 가할 수도 있다. 염기의 종류로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등의 무기 염기, 알칼리 금속의 아세트산염, 트리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등의 유기 염기가 바람직하고, 탄산칼륨, 트리에틸아민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기의 사용량은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에 대하여 0.1 내지 1.0 당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 당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8 당량이다.
1.0 당량 이상 사용하면 반응액의 염기성이 강해져서 탈할로겐화 반응이 신속하게 진행되지만 2-아미노벤조히드롤의 잔량이 많아진다. 반응 중간체인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히드롤, 2-아미노-5-할로게노벤질아닐린을 완전히 소실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1.0 당량 이상의 염기를 사용하여 수소 흡수가 거의 없어진 것을 확인한 후에 아세트산 등의 산성 성분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산성으로 만들어서 수소화를 계속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 대신에 양쪽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아미노산, 알킬아미노술폰산이 바람직하고, 알라닌, 타우린이 더욱 바람직하다. 양쪽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에 대하여 1.0 내지 10.0 당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당량이다.
수소화 반응을 행할 경우의 반응 온도는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이다. 반응 시간은 용매량, 촉매량, 염기성 물질의 양, 수소압, 온도 등의 반응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적으로는 1 내지 30 시간, 일반적으로는 3 내지 6 시간이다. 또한, 염기성 조건에서의 수소화에 있어서는 상기 2-아미노-5-할로게노벤질아닐린 이외에도 반응 중간체인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히드롤, 2-아미노벤조히드롤 등이 남기 쉬운데, 이것이 완전히 환원될 때까지 과도하게 수소화 반응을 행하면 방향핵이 수소화되는 등의 수율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상기 2-아미노-5-할로게노벤질아닐린 또는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히드롤, 2-아미노벤조히드롤 등의 잔량이 0.1 내지 1.5% 정도 남도록 반응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의 진행 상황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고효율적으로 측정된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대칭형(Symmetry) C18, 4.6×150 mm
용리액: 아세토니트릴/0.3% 인산 수용액 = 6/4
유량: 1.O ㎖/분
검출기: UV 254nm
항온조 온도: 40℃
본 발명의 목적은 2-벤질아닐린의 공업적으로 유리한 신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저가로 입수하기 쉬운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을 원료로 하여 환원 조건하에서 탈할로겐화와 카르보닐의 수소화 분해를 동시에 행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접촉 환원에 의한 탈할로겐화 반응에 있어서는 반응 촉진을 위하여 염기성 조건을 이용하고, 또한 탄소-산소 결합의 수소화 분해에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등의 경우에 염기성 조건하에서는 벤조히드롤 등의 단계에서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이것을 촉진하여 메틸렌으로 환원시키기 위해서는 산성 조건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탈할로겐화와 탄소-산소 결합의 수소화 분해를 염기성 조건과 산성 조건의 2 단계로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으로부터 통상적으로는 메틸렌으로의 환원 (수소화 분해)이 예상치 못하게도 염기성 조건 또는 중성 (특히 탄소-산소 결합의 수소화 분해를 위한 산을 첨가하지 않는 상태를 말함) 조건하에서는 탈할로겐화 뿐만이 아니라, 탄소-산소 결합의 수소화 분해에 의한 메틸렌으로의 환원까지 한번에 진행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팔라듐 탄소 촉매를 사용하여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으로부터의 이들 2가지 다른 반응이 동시에 발생하여, 2-벤질아닐린이 원 포트로 고수율로 수득된다는 것은 놀라울 일이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탈할로겐화 생성물인 2-아미노벤조페논과 카르보닐의 환원된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히드롤, 또한 환원이 진행된 2-아미노벤조히드롤,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이 중간체로서 공존함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2-벤질아닐린으로 환원되어 2-벤질아닐린이 고수율로 생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을 환원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2) 상기 1에 있어서, 유기 용매 또는 물 함유 유기 용매를 반응 용매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팔라듐 촉매를 사용한 환원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4) 상기 3에 있어서, 염기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5) 상기 3에 있어서, 양쪽성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6) 상기 1에 있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팔라듐 탄소 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7) 상기 6에 있어서, 염기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37.5 g, 디메틸포름아미드 188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10% 팔라듐 탄소 (M형) 5.63 g (습윤 제품, 물 55±5 중량%)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1 시간 후에는 수소 흡수가 늦어져서 약 60℃로 가열하였다. 추가의 1 시간 후에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O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 여과하여 촉매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9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200 ㎖,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8.8 g, 물 50 ㎖를 가하여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5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30.1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26.7 g을 수득했다. 수율 90.1%.
HPLC 순도 98.7%.
MS m/z = 183 (분자 이온 피크)
1H-NMR (CDCl3) δ3.4-3.6 (br, 2H, -NH2), 3.9 (s, 2H, -CH2-), 6.7-7.3 (m, 9H, 방향족).
<실시예 2>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37.5 g, 타우린 20.3 g, 디메틸포름아미드 188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10% 팔라듐 탄소 (M형) 5.63 g (습윤 제품, 물 55±5 중량%)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2 시간 후에는 수소 흡수가 늦어져서 약 50℃로 가열하였다. 추가의 1 시간 후에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0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 여과하여 촉매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9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200 ㎖,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8.8 g, 물 75 ㎖를 가하여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5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30.7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27.1 g을 수득했다. 수율 91.2%.
HPLC 순도 98.7%.
질량 분석법, 핵 자기 공명 분광법의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벤질아닐린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3>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37.5 g, 트리에틸아민 15.8 ㎖, 디메틸포름아미드 188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10% 팔라듐 탄소 (M형) 1.88 g (습윤 제품, 물 55±5 중량%)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3 시간 후에는 수소 흡수가 늦어져서 약 45℃로 가열하였다. 추가의 5 시간 후에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0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 여과하여 촉매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9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200 ㎖,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9.4 g, 물 50 ㎖를 가하여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5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29.7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28.0 g을 수득했다. 수율 94.6%.
HPLC 순도 98.8%.
질량 분석법, 핵 자기 공명 분광법의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벤질아닐린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4>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25.0 g, 탄산칼륨 8.2 g, 디메틸포름아미드 150 ㎖, 물 50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10% 팔라듐 탄소 (M형) 3.75 g (습윤 제품, 물 55±5 중량%)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12 시간 후에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0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 여과하고, 촉매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2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130 ㎖를 가하고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3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21.0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16.8 g을 수득했다. 수율 85.1%.
HPLC 순도 98.4%.
질량 분석법, 핵 자기 공명 분광법의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벤질아닐린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5>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37.5 g, 탄산칼륨 12.3 g, 디메틸포름아미드 113 ㎖, 물 75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10% 팔라듐 탄소 (M 형) 5.63 g (습윤 제품, 물 55±5 중량%)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7 시간 후에는 수소 흡수가 늦어진 것을 확인하여 아세트산 14 ㎖를 가하고 추가의 5 시간 동안 계속 반응시켰다.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0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 여과하고, 촉매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9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200 ㎖,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8.8 g, 물 50 ㎖를 가하여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5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28.7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24.1 g을 수득했다. 수율 81.4%.
HPLC 순도 98.5%.
질량 분석법, 핵 자기 공명 분광법의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벤질아닐린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6>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37.5 g, 트리에틸아민 15.8 ㎖, N-메틸피롤리돈 188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10% 팔라듐 탄소 (M 형) 1.88 g (습윤 제품, 물 55±5 중량%)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3 시간 후에는 수소 흡수가 늦어져서 약 45℃로 가열하였다. 추가의 2 시간 후에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0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여과하고, 촉매를 N-메틸피롤리돈 19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200 ㎖,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9.4 g, 물 50 ㎖를 가하고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5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32.1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27.5 g을 수득했다. 수율 92.9%.
HPLC 순도 98.5%. 질량 분석법, 핵 자기 공명분광법의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벤질아닐린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7>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37.5 g, 트리에틸아민 15.8 ㎖, 테트라히드로푸란 188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10% 팔라듐 탄소 (M 형) 1.88 g (습윤 제품, 물 55±5 중량%)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2 시간 후에는 수소 흡수가 늦어져서 약 45℃로 가열하였다. 추가의 1 시간 후에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0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 여과하고, 촉매를 테트라히드로푸란 19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200 ㎖,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9.4 g, 물 50 ㎖를 가하여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5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29.5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27.8 g을 수득했다. 수율 93.9%.
HPLC 순도 98.8%.
질량 분석법, 핵 자기 공명 분광법의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벤질아닐린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8>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500 cc 오토클레이브 (하스테로이 제품)에 2-아미노-5-클로로벤조페논 37.5 g, 트리에틸아민 15.8 ㎖, 디메틸포름아미드 188 ㎖를 가하고, 가와껭 화인 케미칼(주) 제품인 팔라듐 블랙 0.38 g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에 수소로 치환한 후, 수소압 3.0 MPa, 반응 온도 30 내지 35℃, 교반 속도 1000 내지 1100 r.p.m으로 반응시켰다. 약 3 시간 후에 수소 흡수를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50O cc 플라스크에 옮겼다. 가압 여과기로 촉매를 여과하여 촉매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9 ㎖로 세정하였다. 여액에 톨루엔 200 ㎖,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9.4 g, 물 50 ㎖를 가하여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물 50 ㎖로 3 회 세정하였다. 추출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 30.3 g을 수득했다. 갈색 오일을 감압 증류 (0.6 KPa, 170℃)하여 2-벤질아닐린 27.0 g을 수득했다. 수율 91.2%.
HPLC 순도 98.9%.
질량 분석법, 핵 자기 공명 분광법의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벤질아닐린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8에서, 반응 종료 시점에 반응액 중 2-아미노-5-할로게노벤질아닐린,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히드롤 및 2-아미노벤조히드롤의 양을 상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으로 각각 정량하였을 때, 모두가 0.2%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해성이 높은 원료의 사용을 피하고 중간물 단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2-벤질아닐린을 원 포트로 제조할 수 있게 되며 그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2-아미노-5-할로게노벤조페논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을 환원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 또는 물 함유 유기 용매를 반응 용매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팔라듐 촉매를 사용한 환원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염기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양쪽성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팔라듐 탄소 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염기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KR1020047019197A 2002-05-30 2003-05-28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KR100723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5298 WO2004002936A1 (ja) 2002-05-30 2002-05-30 2-ベンジルアニリンの製造法
WOPCT/JP2002/05298 2002-05-30
PCT/JP2003/006707 WO2003101930A1 (fr) 2002-05-30 2003-05-28 Procede de production de 2-benzylani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111A true KR20050013111A (ko) 2005-02-02
KR100723562B1 KR100723562B1 (ko) 2007-06-04

Family

ID=2960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197A KR100723562B1 (ko) 2002-05-30 2003-05-28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92223B2 (ko)
EP (1) EP1508564B1 (ko)
KR (1) KR100723562B1 (ko)
CN (1) CN1301960C (ko)
AT (1) ATE516260T1 (ko)
ES (1) ES2367358T3 (ko)
MX (1) MXPA04011850A (ko)
PT (1) PT1508564E (ko)
WO (2) WO2004002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2515B (zh) * 2010-11-17 2013-08-14 江苏恒祥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n-乙基吡咯烷的制备工艺
CN102040527A (zh) * 2010-11-26 2011-05-04 西北师范大学 一种n,n-二苄基苯胺的制备方法
CN112010730A (zh) * 2020-07-30 2020-12-01 河北旭阳能源有限公司 一种二苯基甲烷的绿色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7772A (en) * 1929-04-01 1932-11-15 Dow Chemical Co Preparation of benzyl-alkyl aniline
JPS5129449A (en) * 1974-09-05 1976-03-12 Nissan Chemical Ind Ltd Arukiru mataha ararukiruanirinrui no seizohoho
DE19535395C1 (de) * 1995-09-23 1997-03-06 Degussa Verfahren zur Hydrogenolyse von C-O und C=O Bindungen in organischen Substanzen
JP2001220371A (ja) * 1999-11-30 2001-08-14 Takeda Chem Ind Ltd 光学活性ベンズヒドロール類の製造法
JP4510972B2 (ja) 2000-01-24 2010-07-28 弘尚 佐治木 芳香族塩素化合物の脱塩素化法
JP4041281B2 (ja) * 2000-12-26 2008-0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2−ベンジルアニリン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2936A1 (ja) 2004-01-08
CN1301960C (zh) 2007-02-28
US6992223B2 (en) 2006-01-31
CN1656055A (zh) 2005-08-17
WO2003101930A1 (fr) 2003-12-11
MXPA04011850A (es) 2005-03-31
PT1508564E (pt) 2011-09-06
US20050165255A1 (en) 2005-07-28
EP1508564A1 (en) 2005-02-23
EP1508564A4 (en) 2006-08-09
ES2367358T3 (es) 2011-11-02
KR100723562B1 (ko) 2007-06-04
EP1508564B1 (en) 2011-07-13
ATE516260T1 (de) 201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gioni et al. Tetrabutylammonium Decatungstate (Chemo) selective Photocatalyzed, Radical C H Functionalization in Amides
EP2943471A1 (en) Syntheses of n-heterocyclic carben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WO2005044805A1 (fr) Procede d&#39;elaboration de donepezil et de ses derives
JP2003292476A (ja) ジアミノレゾルシノール化合物の製造法
KR100723562B1 (ko) 2-벤질아닐린의 제조 방법
WO2024109438A1 (zh) 一种高纯度低杂质10-甲氧基亚氨基芪的制备工艺
KR20180116371A (ko) 4-알콕시-3-히드록시피콜린산의 제조 방법
KR102155759B1 (ko) 비스(3-아미노페닐)디설파이드 및 3-아미노티올의 제조방법
WO2005121111A1 (ja) 3-アミノメチルテトラヒドロフラ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H0329780B2 (ko)
FI61880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arylsulfonyl-n&#39;-(3-azabicykloalkyl)-urinaemnen
WO2016189542A1 (en)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apropterin dihydrochloride and its key intermediate, l-biopterin
JP2813163B2 (ja) 4,6−ジアミノレゾルシノールの製造方法
JP4041281B2 (ja) 2−ベンジルアニリンの製造法
EP1295864B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1,5-diaminonaphthalenes
JP4161290B2 (ja) ピリミジニルアルコ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合成中間体
US6979749B2 (en) Catalyti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3,3′, 4,4′-tetraminobiphenyl
US6232475B1 (en) Process for preparing fluorine-containing phenethylamines and novel fluorine-containing β-iminovinyl-and β-iminoethylbenzenes
JP4028030B2 (ja) 2−トリフルオロメトキシ−アニリンの製造方法
KR20170115989A (ko) 2-벤질아닐린의 신규 제조방법
KR20210135509A (ko) 4-아미노-5-메틸피리돈을 제조하는 방법
EP0331422A2 (en) Method of preparing 2-acylresorcinols
EP1700853A1 (en) Processes for producing tetrahydropyran-4-one and pyran-4-one
EP0663394B1 (en) Process for preparing 5-aminodihydropyrrole, intermediate thereof and process for preparing said intermediate
KR20210154213A (ko) 치환된 2-[2-(페닐)에틸아미노]알칸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