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711A -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수질 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수질 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711A
KR20050009711A KR10-2004-7018869A KR20047018869A KR20050009711A KR 20050009711 A KR20050009711 A KR 20050009711A KR 20047018869 A KR20047018869 A KR 20047018869A KR 20050009711 A KR20050009711 A KR 20050009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cation
microorganisms
contaminated
purificatio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162B1 (ko
Inventor
다나카요리오
니시무라모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나키 아도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나키 아도반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나키 아도반스
Publication of KR2005000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enzym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천연 효소를 이용해서 미생물을 활성화함으로써,상기 미생물로 오니와 수중의 유기 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해서 수질을 정화함과 동시에,하천이나 호수와 늪 또는 물처리 시설에 용이하게 공급한다. 오염수에 공급해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상기 미생물로 오니와 유기 화합물,황화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하고 수질을 정화하는 천연 효소에,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한 수질 정화제를 오염수에 적하함으로서,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상기 미생물 작용으로 상기 오염수의 수질을 정화한다.

Description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WATER CLARIFYING AGENT INDUCING CATALYTIC REACTION AND METHOD OF CLARIFYING WATER THROUGH ACTIVATION OF MICROORGANISM}
종래부터,생활 배수,공장 배수를 중심으로 한 유기 화합물,질소 산화물, 황화물 등의 유해물질로 오염된 수질을 정화하는 수단으로서, 활성 오니법이나 살수노상법(散水路床法)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예를 들면,활성 오니법은 하수 등의 오염수에 공기를 불어 넣고,상기 오염수 중에 호기성균이 증식하고,오염수 중의 부유물을 응집시켜 침전시킨다.응집된 부유물은 오염수 중의 오탁 성분을 흡착해 그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또한,살수노상법은 하수 등의 오염수를 호기성균의 작용에 의해 정화하는방법이고,쇄석이나 다공질재를 깐 바닥에 대해 오염수를 회전 살수시키고,상기 오염수의 유하에 따라 그 표면에 미생물막을 발생시켜,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미생물막 내에는 다종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오염수 중의 오탁 물질을 분해하고,오니를 탄산가스,물,질소,암모니아 등으로 해서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더욱이,오니가 대량으로 퇴적한 하천,호수와 늪,댐(dam), 항만 또는 연안 해역 등에서는,이들 오니를 준설(浚渫)해서 폐기하고 있었다.또,하수 처리장에서는,상기 처리에 의해 생기는 오니를 응집 오니로 하여 폐기하고 있었다.이와 같이 준설한 오니나 하수 처리장으로부터 생기는 응집 오니는 소각 처분하고 있었다.
상술한 종래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은,하수,생활 배수,공장 배수 등의 오염수를 소정 처리 시설로 저류하고 나서 정화 처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수질 정화할 수 있는 처리량이 낮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특히,활성 오니법이나 살수노상법은 하천이나 호수와 늪의 수질 정화에는 이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하천,호수와 늪 등의 공공 용수역에 있어,상기 수질을 정화 할 수 없었기 때문에,이들 물처리 시설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었다.
또한,오염수를 소정 처리 시설로 저류하고 나서 정화 처리하기 때문에,상기 오염수로부터 발생하는 부패 악취,메탄 냄새,황화 수소의 유황 냄새,음식 쓰레기 냄새,축산 분뇨 냄새 등 그 처리 시설 주변에 불쾌한 냄새가 주변의 환경을 악화시킨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종래의 하천,호수와 늪,댐(dam),항만 또는 연안 해역으로부터 준설한 오니나 하수 처리장의 응집 오니를 소각 처분하는 방법으로는,그 소각 비용이 필요해질 뿐만 아니라,상기 소각 때에 산화 탄소나 다이옥신(dioxin)이 발생하고,수질 오염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의 하나의 원인도 되고,환경 악화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즉, 본 발명의 목적은,천연 효소를 이용하고 미생물을 활성화함으로서,상기 미생물로 오니와 수중의 유기 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하고 수질을 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하천이나 호수와 늪 또는 물처리 시설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생활 배수나 공장 배수 등의 오염수를, 효소를 이용해 그 수중의 미생물군을 활성화시키고,유해물질 등을 분해하고 산화한 물을 환원해서 수질을 정화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촉매 반응에 의한 미생물 활성화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 적하 장치를 교량의 하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미생물의 활성화 방법에 의한 오수 수역에 있어서 수질 정화 시스템을 설명한 것이고, 수질 정화제를 적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미생물 활성화 방법에 의한 오수 수역에 있어서 수질 정화 시스템을 설명한 것이고, 수질 정화제를 적하해서 수질이 회복하고 있는 제1 단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미생물 활성화 방법에 의한 오수 수역에 있어서 수질 정화 시스템을 설명한 것이고, 수질 정화제를 적하해서 수질이 어느 정도 회복한 제2 단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미생물 활성화 방법에 의한 오수 수역에 있어서 수질 정화 시스템을 설명한 것이고, 수질 정화제를 적하해서 수질이 호기상태까지 회복한 제3 단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은, 수질 정화제에 의한 저질 분석표(실내 실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 는,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BOD 상황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COD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MLSS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SS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T-N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T-P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미생물 활성화 방법에 의한 다른 하천에 대한 오수 수역의 수질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a)는 정화전의 상태,(b)는 수질 정화제 적하 후의 발효계 기포가 발생한 상태,(c)는 탈질(脫窒) 현상이 생긴 상태,(d)는 오니가 분해하기 시작한 상태,(e)는 수면의 색이 실험전 흑 갈색으로부터 푸른색으로 변색한 상태 및(f)는 강바닥에 해초가 발생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에 의하면,오염수에 공급해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상기 미생물로 오니와 유기 화합물,황화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하고 수질을 정화하는 천연 효소에,상기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가 제공된다.
상기 천연 효소가 브로메라인 효소이고,상기 브로메라인 효소가 파인애플(pineapple)과즙으로부터 추출한 효소이다. 상기 복합체는,규소,효모 핵산 또는 금속 이온(Ion)이다 .
상기 발명의 수질 정화제에는,천연 효소에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하고 있으므로,오염중에 실활(失活)하기 어렵다.그래서,상기 수질 정화제를 오염수에 미량 첨가시키면 3개월 전후에서 오염수 중에 있는 생물의 생존권 콜로니(colony)(군생)가 형성 되고,미생물이 용이하게 생존할 수 있게 된다.상기 미생물은 스스로 효소를 도입하거나,체외로 방출해서 분해 반응을 운영하고,유해물질 등을 분해하고,산화한 물을 환원해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특히,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는,효모 핵산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촉매 기능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미생물이 순환하고 생존하기에는,플랑크톤 (plankton)이 필요하고,상기 플랑크톤의 발생에는 복합체 규소가 필수적이다.철분은 미생물 작용에 필요하고,또 금속 이온은 황화 수소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상기 수질 정화제를,하천,호수와 늪,댐(dam),항만,연안 해역 등의 공공 용수역,연못 등의 오염수에 적하하고,상기 오염수의 수질을 정화한다.또는,상기 수질 정화제를,공장 또는 사업장에 설치된 시설로부터 배출된 오수 또는 배수등의 오염수에 적하하고,상기 오염수의 수질을 정화한다.
본 발명의 수질 정화 방법에 의하면,브로메라인 효소에 상기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한 수질 정화제를 오염수에 적하함으로서, 상기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켜,상기 미생물의 작용으로 상기 오염수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질 정화제의 오염수 적하에 의해,수중 및 저질 오니를 분해 할 수 있다.상기 수질 정화제의 오염수 적하에 의해,유기 화합물,황화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 하고,산화된 물을 환원해서 수질 정화를 촉진 할 수 있다.상기 수질 정화제와 다른 효소를 병용해서 오염수에 적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수질 정화제를 하천,호수와 늪에 대해 교량(1)의 하부에 설치한 적하 장치(2)로부터 수면에 적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적하 장치(2)는 파이프 형상의 공급관(3)에 소정 간격으로 적하공(4)을 복수개 연 것이다.
상기 정화 방법은,수질 정화제를 오염수에 적하하는 방법이기 때문에,하천,호수와 늪,댐(dam),항만,연안 해역 등의 공공 용수역에 대해서,용이하게 공급 할 수 있고,상기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특히,BOD(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나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의 수치에 따라,상기 수역에 대해 수질 정화제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판단해서 공급할 수 있다.
교량(1)의 하부에 설치한 적하 장치(2)의 적하공(4)으로부터 수면에 수질 정화제를 적하함으로서,상기 수질 정화제를 하천 등이 유하하고 있는 수면에 대해서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하,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는, 하천,호수와 늪,댐(dam),항만,연안 해역 등의 공공용수역(오염수)에 공급해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상기 미생물로 오니와 유기 화합물,황화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하고 수질을 정화하는 천연 효소에,상기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한 것이다.상기 천연 효소의 일례로서 브로메라인 효소가 있고, 상기 브로메라인 효소는 예를 들면,파인애플(pineapple) 과즙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효소이다.한편,복합체에는,규소,효모 핵산 또는 금속 이온이 있다 .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는 블록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브로메라인 효소의 원재료로서는, 파란 파인애플(pineapple)을 사용한다.파란 파인애플을 사용하는 것은,익어서 황색이 증가한 파인애플은 효소가 변성하고 있는 것이 많고,많은 브로메라인 효소를 추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상기 파인애플은,3∼5cm 입방각으로 컷트(세단)한다. 즉, 섬유가 많은 심(芯)부분도 사용한다.상기 컷트(cut)한 파인애플을 발기수(拔氣水) 또는 심층수에 혼입해서,파인애플 과즙을 만들다. 또한, 혼입한 물은 염소가 포함되어 있는 수도물보다,발기수(拔氣水) 또는 심층수를 사용하는 것은,투명도를 올리기 위한 것이다.1개의 파인애플(약 1kg)에 대해5리터의 발기수(拔氣水) 등을 사용한다.다음으로,빵을 만들 때 생(生)이스트균 등의 효모 핵산을 물에 혼입한다.예를 들면,5리터의 물에 대해서,50cc(분말로1g정도)의 효모 핵산을 섞으면서 혼입해서 효모 핵산수로 한다.상기 효모 핵산수를 60도(또는 65도)에서 1시간 정도 가열해서 파인애플 물을 생성한다.
또한,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구연산(30g 정도)을 물에 규소(30g 정도)와 함께 섞으면서 혼입하고,80도에서 1 시간 정도 가열해서 구연산 물을 생성한다.
상기 구연산 물의 윗물 액과,상기 파인애플 물의 윗물 액을 혼합함으로서, 파인애플 과즙으로부터 브로메라인 효소를 추출하고,상기 효소를 규소,또는 금속 이온 등의 복합체에 결합한 수질 정화제로 한다.1개의 파인애플로부터 약7리터의 수질 정화제 원액을 얻을 수 있다.상기 수질 정화제 원액을 3000배에서 7000배로 희석해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는,천연 효소를 이용하고,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한 것이라면,상기 파인애플 과즙으로부터 추출한 브로메라인 효소에는 한정되지 않는다.즉,추출이 용이하고 그 비용이 싼 것이라면,파파이아에 소재하는「파파인(papain)」,동물세포에 소재하는「카테푸신」,식물세포에 소재하는「포스파타제」등의 다양한 종류의 효소를 이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촉매 반응에 의한 미생물 활성화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는,브로메라인 효소에 하천,호수와 늪,댐(dam),항만,연안 해역 등의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하고 있으므로, 오염중에 실활(失活)하기 어렵다.상기 수질 정화제를 오염수에 미량 첨가시키면 3개월 전후로,우선 악취가 감소하고,미생물이 활성화하고,오염수 중에 있는 생물의 생존권 콜로니(colony)를 형성할 수 있고,미생물이 용이하게 생존할 수 있게 된다.상기 미생물은 스스로 효소를 도입하거나 체외로 방출해서 분해 반응을 운영하고,유해물질 등을 분해하고,산화한 물을 환원해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수질 정화제는,복합체와 결합하고 있으므로,촉매 기능을 촉진할 수 있다.복합체 규소는,미생물이 순환해서 생존하기 쉬워지도록 플랑크톤의 발생을 촉진시킨다.철분은 미생물의 작용에 필요하고,또 금속 이온은 황화 수소 작용을 억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의 적하 장치를 교량의 하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질 정화제는,하천,호수와 늪,댐(dam),항만,연안 해역에 대한 교량(1)의 하부에 설치한 적하 장치(2)로부터 수면으로 적하 한다.상기 적하 장치(2)는 파이프형상의 공급관(3)에 소정 간격으로 적하공(4)을 복수개 연 것이다.이와 같이 교량(1)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으로,교량(1)과는 다른 장소에 설치한 수질 정화제를 충전한 저장 탱크로부터 파이프를 통해,상기 적하 장치(2)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상기 저장 탱크의 밸브조작에 의해,수질 정화제의 적하 장치(2)의 적하 공(4)로부터 수면으로 적하 시킨다.
상기 수질 정화제의 적하량은 제어 장치에 의해 자동 제어 한다.예를 들면,하천 등의 염수중의 BOD 값과 COD 값을 측정하고,그 측정치로부터 수질의 정화 상황을 판단하고,그 수질의 오염도에 관한 수치로부터,수질 회복 상태를 판단해서,필요한 적하 양을 계산해서 그 양의 수질 정화제를 적하한다.이와 같이 정확한 적하 양 수질 정화제를 적하함으로서,하천 등이 유하하고 있는 수면에 수질 정화제를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4에서 도7은, 미생물 활성화 방법에 의한 오수 수역에 대한 수질 정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각 도에 있어 상단에 대기권,중단에 수권을 형성하고,S역으로서 수면 근처의 호기성 수역과,그 하부의 혐기성 수역,나아가 최하단에 퇴적 오니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를 적하하기 전의 수질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이 상태에서는 수질의 오탁이 진행되고, 바닥부에는 혐기 상태에서 유기물,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오니가 퇴적하고 있다.상기 오니는 부분적으로 분해되고,이산화탄소(CO2),메탄가스(CH4),암모니아가스(NH3),황화수소가스(H2S)등이 발생 한다.특히,DO 값(용존 산소량)은 0 값에 가깝다.
S역으로서 수면 근처의 호기성 수역에서는,이들 이산화탄소,메탄가스,암모니아가스,황화수소가스를 분해하고 있다.그러나,오염이 진행하면 상기 호기성 S역의 범위가 축소해 가고,이산화탄소,메탄가스,암모니아가스,황화 수소 가스를 분해하는 일 없이 대기권에 그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대기권으로 메탄가스,암모니아가스,황화 수소 가스를 방출함에 따라 악취의 원인이 된다.
도5는 수질 정화제를 적하해서 수질을 회복하고 있는 제1 단계 상태를 나타낸다.
S역의 수면으로 수질 정화제를 적하하면,상기 수질 정화제가 항산화·항균 작용을 하고,그 촉매 반응에 의해 유용 미생물이 증가하고,그 활성이 향상한다.또,촉매 작용에 의해 부패균·잡균을 감소시킬 수 있고,용존 산소의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메탄가스,암모니아가스,황화 수소 가스 등에 관해서는,미생물에 의해 활성 향상시키고,그 악취가 감소하고,호기성 수역의 S역은 확대해 간다.
한편,바닥부에는 혐기 상태에서는 유기물,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오니가 퇴적하고 있다.상기 오니도 부분적으로 분해되고,이산화탄소,메탄가스,암모니아 가스,황화 수소 가스 등이 발생하고 있지만 ,상부의 S역에 있어,암모니아가스는 질산 이온에 분해되고,황화 수소 가스는 산화 유황에 분해된다.그래서,서서히 악취의 원인이 감소된다.
도6은 수질 정화제를 적하해서 수질이 어느 정도 회복한 제2 단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계속해서, 수질 정화제를 적하해 가면,상기 수질 정화제가 항산화·항균 작용을 하고,그 촉매 반응에 의해 유용 미생물이 더욱 증가하고,그 활성이 향상한다.또,촉매 작용에 의해 부패균·잡균을 감소시킬 수 있고,용존 산소의 소비량을 감소 시킬 수 있다.호기성 S역의 범위가 확대해 가고,이 때 수질의 탁도도 감소한다.바닥부에 있어서도 유기물,퇴적한 오니의 분해량이 증가하고,오니 자체가 감소해 간다.
도7은 수질 정화제를 적하하고 수질이 호기상태까지 회복한 제3 단계 상태를 나타낸다.
수질 정화제의 적하를 계속해 가면,황화 수소 가스,암모니아가스 등을 완전하게 소비할 수 있고,수질 정화가 완료한다.이 때,호기성 수역인 S역은 확대하고,용존 산소가 상승하고,탁도가 감소한다.그래서,태양광이 수중까지 도착하게 되고,해초가 성장하게 되고,광합성 작용으로 산소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바닥부에서는,퇴적한 오니의 분해가 완료하고,태양광이 바닥부에 까지 도착하고,해초가 성장하고,광합성으로 산소를 발생하게 된다.특히,광합성 작용으로 황화 수소 가스나 유기물,유기 화합물을 더욱 분해하게 된다.
도8은 수질 정화제에 의한 저질 분석표(실내 실험)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의 실내 실험에 대한 저질 정화 상태를 설명한다.실험용으로 오염된 하천에서 채취한 폐수 20리터와 그 하천 수20리터를 이용해서,수질 정화제를 1일에 20cc 적하했다. 또한, 수온은 20℃로 행했다.
약3개월 정도 후,외관은 흑색으로부터 흑 회색에 변했다.냄새는 폐수·유기용제 냄새에서,강렬한 유기용제냄새가 없어 지고,약한 폐수 냄새로 되었다.함수률은 약54%에서 약71%까지 증가했다.산화 환원 전위(mv)는「-450」에서「-40」로 변했다.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mg/g·dry)는 저하하고,수질이 정화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암모니아태(態) 질소,유기태 질소,총 질소 또는 총 인 등의 유해물질은 감소하고 있다.나아가,수질 정화제를 적하 직후로부터 기포가 발생하고 있다.
도9에서 도14는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각 수질 오탁에 관한 수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도시 상에 있어,실선은 상기 오염수에 수질 정화제를 공급한 후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이다.횡축은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종축은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9는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BOD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오염수에 수질 정화제를 공급함으로서,상기 오염수의 BOD(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가 극단적으로 감소한다.처음 1개월에 냄새의 감소가 시작되고,BOD 값도 극단적으로 감소하고,6개월 정도에 수질 정화가 진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COD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오염수에 수질 정화제를 공급함으로서,오염수의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가 극단적으로 감소한다.처음 1개월에 냄새의 감소가 시작,COD 값도 극단적으로 감소하고,6개월 정도에 수질 정화가 진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은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MLSS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오염수에 수질 정화제를 공급함으로서, 오염수의 생물수를 확인하기 위한 MLSS 값(평균 혼합 부유물 농도)이 상승함과 동시에,유기 오니의 양이 감소한다.
도 12는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SS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오염수에 수질 정화제를 공급함으로서, 오염수의 생물수를 확인하기 위한 SS 값(수중 부유물 질)이 감소하고,오니의 퇴적이 저하된다.그래서,수생 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모래속의 어류의 알의 발육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3은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T-N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오염수에 수질 정화제를 공급함으로서, 오염수의 질소의 함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T-N 값(토탈 질소 함유량)이 저하함과 동시에,유기 오니의 양이 감소한다.
도 14는 수질 정화제 테스트에 의한 T-P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오염수에 수질 정화제를 공급함으로서,오염수의 인의 함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T-P 값(토탈 인 함유량)이 저하함과 동시에,유기 오니의 양이 감소한다.
도 15는 미생물의 활성화 방법에 의한 다른 하천에 있어서 오수 수역의 수질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한 예는,본 발명의 수질 정화제를 다른 하천에 실제로 적하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a)는 정화전의 상태이고,표면은 흑 갈색을 나타내고 있다.
(b)는 수질 정화제의 적하후에 유기물 등의 분해가 진행하고,발효계의 기포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c)는 탈질 현상이 생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d)는 오니가 분해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e)는 수면의 색이 실험전의 흑 갈색으로부터 푸른색으로 변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는 수질의 정화가 진행되고, 강바닥에 해초가 발생한 상태이다.
또한,상술한 예로는,주로 공공 용수역에 수질 정화제를 적하하고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술했지만,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예를 들면,물처리 시설에서는 수질 정화제를 살포하고 공급할 수 있고,수질정화제가 액체이기 때문에,여러 가지 구성의 시설에 대응할 수 있다.나아가,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것처럼,본 발명의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는,천연 효소에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하고 있으므로,상기 수질 정화제를 오염수에 공급하면 오염수 중에 있는 미생물이 용이하게 생존할 수 있게 되고,상기 미생물은 스스로 효소를 도입하거나,체외로 방출해서 분해 반응을 운영하고,유해물질 등을 분해하고,산화한 물을 환원해서 수질을 정화 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의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은,미생물을 활성화함으로서,상기 미생물로 오니와 수중의 유기 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해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하천이나 호수와 늪 또는 물처리 시설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수질 정화제가 액상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수역에 적하해서 공급하므로, 장기간 정화 분해 기능을 유지하고,유해물질을 장기간 분해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수질 정화제 적하 장치가 컴팩트한 구성이기 때문에,교량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하천 등이 유하하고 있는 수면에 대해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

Claims (14)

  1. 오염수에 공급해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그 미생물로 오니(汚泥)와 유기 화합물,황화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해서 수질을 정화하는 천연 효소에,
    상기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촉매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효소가 브로메라인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메라인 효소는, 파인애플(pineapple)과즙으로부터 추출한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가 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가 효모 핵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가 금속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7. 브로메라인 효소에 그 촉매 기능을 촉진하는 복합체를 결합한 수질 정화제를 오염수에 적하함으로서,
    상기 오염수 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상기 미생물 작용으로 상기 오염수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제를 하천,호수와 늪,댐,항만,연안 해역 등의 공공 용수역 오염수에 적하하고,상기 오염수를 분해하고 수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제를 공장 또는 사업장에 설치된 시설로부터 배출된 오수 또는 배수 등의 오염수에 적하하고,상기 오염수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제를 상기 오염수에 적하함으로서,수중의 오니(汚泥)를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제를 상기 오염수에 적하함으로서,유기 화합물,황화물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하고,산화된 물을 환원하고 수질 정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제와 다른 효소를 병용해서,상기 오염수에 적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13. 상기 수질 정화제를 하천,호수와 늪 등의 공공 용수역에 있어서의 교량(1) 의 하부에 설치한 적하 장치(2)로부터 수면에 적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 장치(2)는 파이프형상의 공급관(3)에 소정 간격으로 적하공(孔; 4)을 복수개 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KR20047018869A 2002-05-23 2003-04-18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KR100635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8968A JP3392850B1 (ja) 2002-05-23 2002-05-23 触媒反応による水質浄化剤及び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水質浄化方法
JPJP-P-2002-00148968 2002-05-23
PCT/JP2003/004959 WO2003099730A1 (fr) 2002-05-23 2003-04-18 Agent de clarification d'eau induisant une reaction catalytique et procede de clarification d'eau par activation de micro-organis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711A true KR20050009711A (ko) 2005-01-25
KR100635162B1 KR100635162B1 (ko) 2006-10-17

Family

ID=1919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18869A KR100635162B1 (ko) 2002-05-23 2003-04-18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83727B2 (ko)
EP (1) EP1506943A4 (ko)
JP (1) JP3392850B1 (ko)
KR (1) KR100635162B1 (ko)
CN (1) CN100425547C (ko)
AU (1) AU2003234901B2 (ko)
CA (1) CA2486804A1 (ko)
WO (1) WO200309973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5407A2 (en) 2008-03-28 2009-09-30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s and apparatus of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EP2113484A1 (en) 2008-04-23 2009-11-04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EP2128084A1 (en) 2008-05-29 2009-12-02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of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WO2019107628A1 (ko) * 2017-11-30 2019-06-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애플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9270B (zh) * 2008-12-25 2012-12-05 中国海洋大学 一种脱除水溶液中重金属镉的方法
JP2011050318A (ja) * 2009-09-02 2011-03-17 Oec Alpha:Kk 浄化機能水とその利用方法
JP2012040527A (ja) * 2010-08-20 2012-03-01 Yoshiro Yamaguchi 繊維製ディスポーザブルトイレタリィ用品及びそれを使用する有機排水の微生物学的排水処理方法
US9388369B2 (en) 2010-08-20 2016-07-12 Ecolab Usa Inc. Wash water maintenance for sustainable practices
CN102060371B (zh) * 2010-11-16 2012-05-30 广州市翰瑞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污水处理的复合材料
US9139458B2 (en) 2013-03-15 2015-09-22 Janet Ange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05792666B (zh) 2013-09-20 2018-05-01 英商伊奎特环球有限公司 用于清洁组合物的发酵水果溶液
CN104045166A (zh) * 2014-06-23 2014-09-17 河南大学 一种微生物复合菌剂及其在富营养化水体处理中的应用
CN107555583A (zh) * 2017-08-24 2018-01-09 普利资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造流富氧驯化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设备
JP7082360B1 (ja) * 2022-03-03 2022-06-08 有限会社クリーンエコ 環境汚染浄化補助剤、製造方法及びその散布装置
CN115259406A (zh) * 2022-08-30 2022-11-01 延安水之蓝环保科技有限公司 酵母菌酶促反应水质净化剂及用微生物净化水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5912A (en) * 1966-04-15 1970-01-01 British Petroleum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Recovery of Nitrogeneous Material from Micro-Organisms
US3635797A (en) * 1968-11-18 1972-01-18 Nevada Enzymes Inc Enzymatic composition
DE1961516A1 (de) * 1969-12-08 1971-06-09 Nevada Enzymes Inc Enzymatische Mischung
US3915853A (en) * 1971-08-25 1975-10-28 Egon Luck Sewage treatment
GB1601155A (en) * 1978-05-26 1981-10-28 Thomson A R Miles B J Caygill Separations
JPS5673535A (en) * 1979-11-19 1981-06-18 Sadatoshi Matsumoto Method and device for throwing solution of chemicals to flowing water path automatically
JPS596982A (ja) * 1982-07-03 1984-01-14 Seitaro Iki 廃水処理剤
JPS6227096A (ja) 1985-07-29 1987-02-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微生物保持体
US5160488A (en) * 1990-09-14 1992-11-03 H2 O Chemists, Inc. Bioremediation yeast and surfactant composition
JP3460228B2 (ja) * 1991-12-24 2003-10-27 照夫 比嘉 アルコール製造廃液の処理法
JP3301800B2 (ja) 1992-12-04 2002-07-15 フジクリーン工業株式会社 有機性排水の処理用汚泥減量剤とその処理方法
JP2747972B2 (ja) * 1994-04-08 1998-05-06 無添加食品販売協同組合 好気性微生物及び嫌気性微生物の複合大量培養法
JPH10263569A (ja) * 1997-03-27 1998-10-06 Kuretsusendo Corp:Kk 液状複合酵素による農業集落排水処理場の水質浄化と 余剰汚泥減量材
JPH10298948A (ja) * 1997-05-01 1998-11-10 Shizuo Uyama 貯水池の水温調節及び浄化方法
JP2000217573A (ja) * 1999-01-29 2000-08-08 Nakamura Mokkosho:Kk パイナップル酵素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5407A2 (en) 2008-03-28 2009-09-30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s and apparatus of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US7998450B2 (en) 2008-03-28 2011-08-16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s and apparatus of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EP2113484A1 (en) 2008-04-23 2009-11-04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US9051179B2 (en) 2008-04-23 2015-06-09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EP2128084A1 (en) 2008-05-29 2009-12-02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of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US8187566B2 (en) 2008-05-29 2012-05-29 Hanwha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of functionalizing carbon nanotube
WO2019107628A1 (ko) * 2017-11-30 2019-06-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애플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73340A1 (en) 2005-08-11
JP2003340478A (ja) 2003-12-02
EP1506943A4 (en) 2006-02-22
CN100425547C (zh) 2008-10-15
WO2003099730A1 (fr) 2003-12-04
CN1646982A (zh) 2005-07-27
KR100635162B1 (ko) 2006-10-17
US7083727B2 (en) 2006-08-01
AU2003234901B2 (en) 2006-03-09
EP1506943A1 (en) 2005-02-16
CA2486804A1 (en) 2003-12-04
AU2003234901A1 (en) 2003-12-12
JP3392850B1 (ja)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 Industrial water treatment process technology
Samer Biological and 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KR100635162B1 (ko) 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제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
UA48153C2 (uk) Спосіб очищення стічних вод та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дійснення способу
WO2012112136A1 (en) Organism metabolites for removal of pollutants from brine
US7297273B2 (en) Method of intensified treatment for the wastewater containing excreta with highly concentrated nitrogen and COD
US8828230B2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for increasing denitrification rates
KR101688800B1 (ko) 역삼투 농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9000645A (ja) アンモニア性窒素〜硝酸性窒素脱・窒素同時分解除去、窒素サイクル・バイオマス・生物接触酸化濾過装置
Ye et al. Composite iron-carbon constructed wetland combined with photocatalytic film to restore eutrophic water body and the hydraulic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
JPH08132084A (ja) ろ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4528493U (zh) 一种医院废水处理系统
Saeedi et al. Denitrification of drinking water using a hybrid heterotrophic/autotrophic/BAC bioreactor
WO2004083129A1 (ja) 糞尿分解処理剤及び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糞尿の分解処理方法
Dandautiya Comparative study of existing leachate treatment methods
Tekerlekopoulou et al. Effect of environmental and operating conditions on a full-scale trickling filter for well water treatment
CN112777870A (zh) 一种医院废水处理方法及系统
Rajpoot Current Technologies for Waste Water Treatment in Chemical Industries in India
ES2738952A1 (es) Procedimiento de desnitrificacion biologica
CN217732893U (zh) 一种适用于污水厂尾水的湿地系统
CN217947892U (zh) 一种新型垃圾渗滤液处理系统
Pandey et al. ALGAE FOR WASTEWATER TREATMENT: EXPLORE THE USE OF ALGAE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INCLUDING NUTRIENT REMOVAL & BIOFILTRATION
KR20050045957A (ko) 오폐수 처리 시스템
Sagade et al. A REVIEW PAPER ON STUDY OF PURIFICATION OF SEWAGE WATER BY VARIOUS METHODS
Gunasekara et al. Microbial degradation of nitrate: put microbes to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