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507A - 편직 면파스너 - Google Patents

편직 면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507A
KR20050008507A KR1020040054685A KR20040054685A KR20050008507A KR 20050008507 A KR20050008507 A KR 20050008507A KR 1020040054685 A KR1020040054685 A KR 1020040054685A KR 20040054685 A KR20040054685 A KR 20040054685A KR 20050008507 A KR20050008507 A KR 2005000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ile
yarns
yarn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202B1 (ko
Inventor
이시하라미츠토시
나카야마에이지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 D10B2501/0632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사(11∼13, 111∼114)로 이루어지는 기포의 편성과 동시에 파일 편사(14, 115)를 편직하여 파일 루프(15, 116)를 형성하는 면파스너의 편직 면파스너를 제공한다. 상기 파일 루프를 형성하는 파일 편사(14, 115)가 2이상의 웨일(W) 사이에 걸쳐 루프를 형성한 후, 그 웨일(W)상의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C)의 지사의 각 편목마다 연속하여 교락시켜 편목을 형성한다.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C)마다 교락하여 형성되는 상기 파일 편사(14, 115)의 편목중, 중간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1이상의 편목이 폐쇄목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후방 코팅이 불필요해지며, 명확한 방형 공극이 형성되어 통기성 및 투시성능이 실현된다.

Description

편직 면파스너{KNITTED SURFACE FASTENER}
본 발명은 파일형 결합소자가 지사(地絲)의 편성과 동시에 편직되는 편사에 의해 형성되는 편직 면파스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소자와 지사 사이가 각종 수지재료에 의해 용착되어 지조직과의 고정을 불필요하게 하는 동시에, 투시가능한 망형 지조직을 얻을 수 있는 편직 면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수형 또는 암형 결합소자를 구성하는 파일 편사를 지사의 편성과 동시에 편직되어 파일 루프를 형성하여 면파스너를 제조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안되어 있는 편직 면파스너의 대부분의 구성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25.24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사를 고밀도로 편성하는 동시에 파일 편사를 편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미국특허에서는 0-0/x-x(x: 2, 3, ..., n)의 위삽입사 및 0-0/1-1의 경삽입사에 엘라스토머사를 사용하는 동시에 웨일을 쇄편사로 편성하고, 여기에 1-2/1-2/0-1/0-1의 트리코트 편조직을 사용하여 인접하는 웨일 및 코스 마다 비스듬히 파일 편사를 교락(交絡)시켜 파일 루프를 형성하고있다.
이러한 편직 면파스너를 부착하려는 상대측이 통상의 편물이나 직물일 경우, 고밀도 편직 면파스너라면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통기성을 구비한 네트(망) 구조나 레이스 구조로 이루어진 의류나 주머니형 제품(가방류) 등의 물품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고밀도의 편직 면파스너를 부착하면, 그 부착부의 편직 구조가 은폐되어 버리고, 제품으로 되었을 때 네트 제품으로서 또는 레이스 제품으로서의 특성을 잃어버릴수도 있어, 제품가치를 저하시켜 버린다.
종래기술에서도 통기성을 부여한 면파스너를 얻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실개소 제63-9100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방사, 미들사 및 프론트사를 사용하여 격자형 또는 물떼새 모양으로 원형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면서 편성하고, 그 프론트사를 기모(起毛)시켜 한쪽면에 파일 루프를 형성한 후, 가방사로 편성한 면에 수지를 코팅하여 파일 루프를 고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2000-41712호 공보에도 상기 공보와 마찬가지로 가방사, 미들사 및 프론트사를 사용하여 각각에 필요한 갯수의 사발(絲拔)을 실행하여 아틀라스편직에 의해 통기성을 갖는 트리코트편을 얻은 후, 프론트사를 기모시켜 파일 루프를 형성한 후 수지 코팅 또는 지사의 일부를 용착시켜 파일 루프를 지사에 고정하므로써, 통기성을 갖는 편직 면파스너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직 면파스너는 그 공극률이 낮기 때문에, 통기성이 적고, 또한 이면에 수지 코팅을 실시해야만 하며, 또한 경직성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63369호 공보는 웨일방향으로 편직되는지사인 쇄편사와 파일 편조직 또는 트리코트 편조직의 파일 편사를 파일 루프를 형성하면서 상기 쇄편사의 편목에 얽히게 하는 동시에,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으로 주행하는 마키제트 조직의 삽입사를 소정 웨일사이에 걸쳐 교락시켜, 격자형의 큰 공극을 갖는 망형 기포(基布)를 형성하기 때문에, 직성에 의한 것보다 형태가 안정되고, 또한 간단한 통기성뿐만 아니라 기포를 통해 반대측이 투명하게 보이게 되고, 특히 네트(망) 구조나 레이스 구조를 갖는 의류나 주머니형 제품(가방류) 등의 물품에 부착할 때 이들 물품에 양호하게 매칭된다.
그러나, 미국특허 제5.125.246호에 있어서, 파일 편사는 동일 웨일상에서 인접하는 2개의 코스에 형성되는 2개의 쇄편목에 폐쇄목으로 교락된 후 인접하는 웨일의 쇄편목에 개방목으로 교락시키고, 그 사이에 인접하는 웨일사이 및 코스사이를 비스듬히 걸쳐진 파일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파일 루프는 상기 개방목에 의해 일단부를 교락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직만으로는 상기 파일 루프에 인장력이 걸리면 상기 파일 루프는 교락하는 쇄편목으로부터 인출되어 버려, 안정된 루프형상이 유지될 수 없으며, 강하면 면파스너로서의 박리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수지코팅이 필요하게 되고, 엘라스토머 기포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또한 강직성도 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일본 실개소 제63-91009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00-41712호 공보에 개시된 편직 면파스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방사, 미들사 및 프론트사의 3종류 실을 사용하고, 그중 프론트사를 표면에 편직하고, 편성과 동시에 파일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편성후에 프론트사를 기모시켜 파일 루프를 형성하므로써 공정수가 많아지고, 또한 확실한 루프를 형성하기가 어려우며, 암형 결합소자는 형성될 수 있어도 루프를 형성한 후 그 일부를 절단하여 수형 결합소자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편성후에 기모된 면파스너의 이면에는 항상 수지 코팅이나 용융사에 의해 파일 루프를 기포에 고정하기 때문에, 강직성은 피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63369호 공보에서는 면파스너의 기포가 명확한 방형 공극을 갖는 안정된 망형 편물인 것과는 관계없이, 그 형성되는 파일 편사는 동일 코스 또는 인접하는 웨일과 코스 사이에 비스듬히 걸쳐지고, 웨일을 구성하는 쇄편사의 편목에 간단히 개방목으로 교락시키고 있기 때문에, 루프누락이 발생되기 쉽고, 상기 미국특허 제5.125.246호 명세서 이상으로 루프형태를 안정시키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상기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63369호 공보에서도 기포의 이면에 어쩔 수 없이 수지 코팅을 실시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문허의 각각의 편직 면파스너에 대한 단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먼저 파일 루프의 기부를 고정하기 위해 수지 코팅이나 실의 용착이 필요없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통기성을 확보하려는 경우에, 간단히 명확한 방형 공극을 형성하여 통기성뿐만 아니라 그 투과(투시)성능이 실현되는 편직 면파스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편직 면파스너의 기포인 지조직은 웨일을 형성하는 쇄편사를 기본으로 하여, 트리코트 편사나 2목편사 등의 1종류 이상의 경편사와, 필요한 갯수의 웨일 사이의 편목에 삽입되어 뒤로 접혀진 후 코스방향으로 주행하는 위삽입사가 사용되는 것이 많으며, 고밀도로 편성된다. 이때, 파일 편사는 상기 미국특허 제5.125.24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리코트편에 의해 또는 일본 특허공개 2000-4171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아틀라스편조직에 의해, 각각 상이한 웨일 및 코스 사이에 걸쳐 파일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방형 공극을 명료하게 표출시키는 망형 편직 면파스너에서는 상기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63369호 공보와 같이 쇄편사와 마키제트 편사로 지조직인 기포를 편성하는 동시에, 파일 편사로 트리코트편 및 특수한 지조직에 의해 파일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직 면파스너는 아무래도 지사에 대한 파일편사의 교락부에서 파일 루프의 형태를 고정할 수 없고, 루프누락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결합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기포면에 수지코팅을 실행하고, 또는 지조직을 구성하는 편사의 일부 섬유에 열용융성 섬유를 사용하여 이를 용융시키고, 지사와 파일 편사의 교락부를 접착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지사와 파일편사와의 교락부가 고정되고, 파일 루프의 형태가 안정하게 되며, 루프누락 등의 단점이 해소되지만, 용착수지에 의해 편물 특유의 유연성이나 촉감이 손실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편성후에 수지코팅이나 섬유의 용착 등과 같은 격별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루프누락 등의 단점이 발생되지 않는 편직 면파스너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실험을 계속하였다. 그 결과, 파일 루프를 형성하는 파일 편사의 편구조에 고안이 이루어지면, 편성후에격별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아도 루프누락 등의 불합리가 해소되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주목적은 본 발명의 기본구성인, 루프편사와 지사를 편성하여 면파스너의 결합부가 되는 파일 루프를 갖는 편직 면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파일 편사가 2이상의 웨일 사이에 걸쳐 루프를 형성한 후, 그 웨일상의 인접한 3이상의 코스의 지사의 각 편목마다 연속적으로 교락하여 편목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마다 교락하여 형성되는 상기 파일편사의 편목중 중간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1이상의 편목이 폐쇄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에 의해 달성된다.
파일 편사는 먼저 2이상의 웨일 사이에 걸쳐 동일 코스상 또는 인접하는 코스상에 있는 지사의 편목과 교락시켜, 그 사이에 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루프의 형성단부에 형성되는 파일 편사의 최초의 편목은 만드시 폐쇄목이거나 개방목인 것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최초의 편목이 형성되는 동일한 웨일상에서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상에 형성된 편목중 적어도 중간부에 위치되는 1이상의 편목을 반드시 폐쇄목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폐쇄목의 형성위치에 따라, 파일 루프 형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폐쇄목의 수는 많을수록 좋지만, 통상 동일 웨일상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파일 편사의 편목은 3∼8개가 적합하기 때문에, 그 중간위치에 존재하는 폐쇄목으로서는 1∼4개를 연속해서 또는 불연속으로 배치하게 되지만, 파일 편사로 이루어진 파일 루프가 강하게 인장되었을 때, 상기 파일 루프가 인장되어 늘어나고, 동시에 파일 루프 편사에 의한 인접한 다른파일 루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그 파일 루프 형성단의 편목에 인접하는 코스방향의 편목을 폐쇄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코스방향에 인접하는 동일 파일 편사에 의한 3이상의 편목의 중간 위치에 있는 편목을 폐쇄목으로 형성하면, 예를 들어 상기 파일 편사에 의해 형성된 파일 루프에 강한 인장력이 작용해도 폐쇄목의 부분에서는 편목이 조여져 더 이상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수지 코팅이나 섬유의 융착에 의해 파일 루프의 기부와 지사가 고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파일 루프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상대측 결합소자 사이의 결합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편사에 의해 형성되는 파일 루프의 루프누락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웨일상의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상에서 지사의 편목에 교락하여 형성되는 상기 파일 편사의 전체의 편목을 폐쇄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지사에 의해 편성되는 기포가 상기 미국특허 제5.125.246호 명세서처럼 통상의 고밀도 편물이어도, 또는 상기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6336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형의 공극을 갖는 망형 편물이어도 좋다.
따라서, 이러한 망형 기포 편물의 대표적인 구조를 갖는 편직 면파스너로서는 상기 지사가 각 웨일을 형성하는 쇄편사와, 인접하는 2이상의 웨일 및 코스상의 각 쇄편사의 편목에 교락하여 지그재그형으로 주행하고, 적어도 3코스마다 위사를 형성하는 위삽입사로 이루어져, 상기 쇄편사와 삽입사에 의해 방형의 투과 공극을 갖는 망목이 형성되며, 상기 파일 편사가 상기 삽입사의 교락위치와 동일한 교락위치에서 편목을 형성하고, 상기 웨일 사이에 형성되는 파일 편사에 의한 파일 루프가 상기 삽입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므로써,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사 코스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사가 각각 소요의 간격으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형의 큰 공극이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되는 망형 기포의 일표면에, 2이상의 웨일 사이에 걸쳐 형성되는 파일 루프가 상기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사를 따라 있기 때문에, 상기 공극의 부분에는 여분의 편사가 존재하지 않고, 투과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각각의 파일 루프와 지사와의 웨일 방향으로 3개소 이상에서 쇄편사의 편목에 교락하는 편목중, 중간위치에 존재하는 1이상의 편목을 폐쇄목으로 하므로써, 이른바 루프누락이 없어지고, 편물에 특유의 유연성도 확보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사를 코스방향에 관해 역조직을 갖는 한쌍의 편사로 구성하고, 그 각각이 웨일상의 인접하는 코스의 편목마다 교락하는 동시에, 그 교락하는 편목사이에서 교차하고, 코스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의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일 편사를 실질적으로 꼬임이 없는 멀티 필라멘트사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파일 루프에 의해 암형 결합소자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파일편사를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파일 루프를 그대로 암형 결합소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파일 루프의 일부를 절단하므로써 후크형의 수형 결합소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형 결합소자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일 편사에 굵은 모노 필라멘트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파일 편사에 투명한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면,파일 루프의 존재가 눈에 띄지 않게 되고, 또한 면파스너 자체의 높은 투과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조직을 구성하는 편사도 전부 투명성이 있는 실로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면파스너 전체의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면파스너를 부착하는 피착물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종 그림이나 다양한 색상의 모양 등이 명료하게 투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은 편형 기포를 갖는 본 발명의 편직 면파스너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인 편직 면파스너 전체의 편조직도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면파스너의 웨일을 형성하는 쇄편사의 편조직도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면파스너의 망형 기포의 구성 스트랜드의 일부인 삽입사의 편조직도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면파스너의 파일 루프를 형성하는 파일 편사의 편조직도를 도시한 도면.
도6a 내지 도6d는 파일 편사의 편조직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편조직도.
도7은 삽입사의 편조직의 변형예를 도시한 편조직도.
도8은 삽입사와 동시에 편직되는 파일 편사의 조직도를 도시한 도면.
도9는 통상의 고밀도 기포를 갖는 본 발명의 편직 면파스너의 부분 편조직도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면파스너의 남아있는 편사의 편조직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면파스너 11: 쇄편사
12: 제1삽입사 13: 제2삽입사
14: 파일 편사 15: 파일루프
W: 웨일 C: 코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편직 면파스너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그 전체의 편조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3 내지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편직 면파스너의 구성 스트랜드마다의 편조직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편직 면파스너(10)에서는 도3에 도시한 0-1/1-0의 반복 편조직을 갖는 쇄편사(11)와, 도4에 도시한 0-0/1-1/0-0/3-3/2-2/3-3의 반복 편조직을 갖는 제1삽입사(12)와, 도4에 도시한 3-3/2-2/3-3/0-0/1-1/0-0의 반복 편조직을 갖는 제2삽입사(13)와, 도5에 도시한 0-1/1-0/0-1/2-3/3-2/2-3의 반복 편조직을 갖는 파일 편사(14)의 4종류 편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부 편사를 코스(C)방향(각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1침씩 띄어 웨일(W)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쇄편사(11)는 웨일(W) 방향으로 연속하여 개방목으로 편목을 형성하고, 상기 제1삽입사(12)는 웨일(W)상에 있는 쇄편사(11)의 3개의 편목에 지그재그형으로 교락시킨 후 인접한 웨일과 동일하게 인접하는 코스(C)상의 쇄편사(11)의 편목에 교락하여, 이를 웨일(W)상에 형성되는 쇄편사(11)의 3개의 편목과 지그재그형으로 교락시킨 후, 본래의 웨일(W)상의 인접하는 코스(C)에 형성되는 쇄편사(11)의 편목에 교락시켜, 이를 웨일(W)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3회 반복하여 교락시키고, 이러한 반복에 의해 2개의 웨일(W)을 전체적으로도 크게 지그재그형으로 주행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제2삽입사(13)는 제1삽입사(12)가 3개 연속하여 교락하는 동일한 쇄편사(11)의 편목에 동일하게 교락한 후, 제1삽입사(12)가 이행하는 인접하는 웨일(W)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웨일(W)상에 이행한 후, 상기 웨일(W)상의 3개의 쇄편목에 연속하여 지그재그형으로 교락한다. 즉, 제1삽입사(12)와 제2삽입사(12)는 3웨일(W) 사이에서 정중앙의 웨일(W)을 협지하여 좌우가 대상물인 편조직을 갖고 있다. 이를 역조직이라 한다.
이에 따라 쇄편사(11), 제1삽입사(12) 및 제2삽입사(13)에 의해,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큰 방형 공극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망형 면파스너(10)의 기포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쇄편사(11)가 연속하여 웨일(W)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삽입사(12, 13)의 교락부분에서 웨일(W)의 일부를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및 제2삽입사(12, 13)의 인접하는 웨일(W)로의 하부부분에서 코스(C) 방향으로 1침 띄어 주행하는 동시에 웨일(W)방향으로 3편목 교락하면서, 인접하는 웨일(W) 사이끼리를 연결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사 경사와 위사로 방형 공극을 형성한 듯한 망형 기포가 편성된다.
상기 파일 편사(14)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의 편목을 폐쇄목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파일 편사(14)는 상술의 편조직으로 상기 기포에 편직되고, 인접하는 웨일(W1)로 이동하였을 때, 파일 루프(15)를 형성한다. 즉, 제1웨일(W1)상에서 상기 쇄편사(11)에 의한 편목에 교락시키면서 자신도 편목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웨일(W1)상에서 인접하는 2개의 코스(C)상에서 상기 쇄편사(11)의 편목과 교락하면서 자신도 2개의 편목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전부 3개의 편목을 상기 웨일(W1)상에 연속하여 형성한다. 그후, 인접하는 제2웨일(W2)상으로 이동하여 동일하게 인접하는 3개의 코스(C)상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3개의 연속한 쇄편사(11)의 편목에 순차적으로 교락시켜 자신도 3개의 편목을 연속하여 형성하고, 본래의 제1웨일(W1)로 복귀하고, 이하 동일한 동작에 의해 상기 기포에 순차적으로 편직되어 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일 편사(14)는 인접하는 웨일(W) 사이에 걸쳤을 때, 동시에 파일 루프(15)를 형성하고, 또한 쇄편사(11)의 편목과 교락하여 형성되는 동일한 파일 편사(14)의 편목 전체를 폐쇄목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파일 편사(14)의 편목의 형성위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편사(1)의 편목에 교락하여 삽입되는 상기 제1삽입사(12)의 교락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파일 루프(15)의 형성위치도 상기 제1삽입사(12)가 인접하는 웨일(W) 사이에 걸쳐 주행하는 주행위치로 된다. 이것은 파일 편사(14)에 의해 형성되는 파일 루프(15)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된 기포의 위사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직 면파스너(10)에 있어서, 먼저 제1특징은 파일 루프(15)를 형성하는 파일 편사(14)의 전체 편목을 폐쇄목으로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폐쇄목으로 형성하면, 예를 들어 파일 루프(15)에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에, 파일 루프(15)의 양단에 형성된 편목도 폐쇄목이므로, 상기 편목 부분에서 파일 편사(14)에 조이는 힘이 인가되어 쇄편사(11)의 편목 및 제1삽입사 및 제2삽입사(12, 13)의 교락부분을 조이고, 파일 루프(15)는 역으로 편목을 통해 인출되는 일이 없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직 면파스너(10)에서는 그 배면에 수지 코팅이나 열용융제 섬유 등에 의한 용융고착을 실행해도 파일 루프(15)의 누락이 저지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수지 코팅이나 열용융제 섬유 등에 의한 용융고착의 실행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편직 면파스너(1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공극이 전체적으로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망 직물풍의 외관형상을 갖기 때문에, 그 공극을 통해 파일 루프의 형성면과는 반대측에 존재하는, 예를 들어 의류나 주머니형 제품 등의 표면 모양이 투시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착체인 의류나 주머니형 제품이 망형 또는 레이스형으로 공극이 많은 경우에도 양호하게 매칭시킬 수 있으며, 이들 피착체의 통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망형 기포의 표면에 형성되는 파일 루프는 상기 기포의 위사 부분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통기성이나 투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파일 루프의 존재가 걱정되지 않으며, 외관 의장성에서도 외관이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직 면파스너에서는 그 구성 스트랜드의 재질을 한정하고 있지 않지만, 적어도 상기 파일 편사에 투명성이 높은 합성수지제 필라멘트를 사용하면, 파일 루프의 존재가 걱정되지 않으며; 또는 전체의 구성 스트랜드에 투명성이 높은 합성수지제 필라멘트를 사용하면, 면파스너를 통해 배면측의 피착체 표면의 전체면이 투시가능하며, 면파스너 자체의 존재도 걱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직 면파스너(10)의 구성 스트랜드의 일부에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면파스너 자체에 색채모양을 발현시킬 수 있으며, 외관적으로 미려하고 그 모양에 따라서는 피착체의 표면 모양과 매칭시킬 수도 있다.
도6a 내지 도6d는 본 발명에 관한 편직 면파스너(10)에 사용되는 파일 편사(14)에 의한 다양한 편조직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6a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편조직을 도시하고, 도5에 도시된 편조직과 동일하다. 도6b 및 도6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파일 편사(14)의 반복조직중 2개의 웨일(W) 사이에 형성되는 파일 루프(15)의 양단에 형성되는 편목의 1개를 개방목으로 형성하고, 다른 전체의 편목을 폐쇄목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파일 편사(14)의 반복조직중 2개의 웨일(W) 사이에 형성되는 파일 루프(15)의 양단에 형성되는 편목을 전부 개방목으로 하고, 동일 웨일(W)상에 형성되는 3개의 연속 편목중 중간위치에 있는 편목만을 폐쇄목으로 하고 있다. 물론, 파일 편사(14)중 일단부의 편목을 개방목으로 하고, 다른 편목 전체를 폐쇄목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일 편사(14)에 의해 형성되는 편목 전체를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목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도6b 내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동일 웨일(W)상을 연속하여 형성되는 3개 이상의 편목중 그 중간부에 위치되는 편목을 폐쇄목으로 형성하면, 루프의 기부를 지사로 용착 등에 의해 새로이 고착하지 않아도 효과적으로 파일 루프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7은 제1 및 제2 삽입사(12, 13)의 변화 편조직을 도시하며, 도8은 파일 편사(14)의 변화 편조직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쇄편사(11)는 변경이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동일 웨일(W)상의 쇄편목에 지그재그형으로 교락시킨 제1 및 제2삽입사(12, 13)의 교락수를 7개로 하는 동시에, 상기 웨일(W)상에서 제1 및 제2삽입사(12, 13)의 교락위치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파일 편사(14)의 편목수도 7개로 하고 있는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삽입사(12, 13)와 파일 편사(14)의 조직을 변경해도,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와는 그 공극이 클 뿐만 아니라, 기타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발휘되는 작용효과도 통기성이나 투명성이 향상되는 이외에 실질적으로 변하는 것은 없다. 즉, 연속하여 동일 웨일(W)상에 형성되는 편목수 등을 변화시키므로써, 망형 기포의 공극 크기나 통기성 등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편직 면파스너(100)는 상술의 실시예와 같이 기포를 망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통상의 경편구조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파일 편사(115)를 편직한 고밀도 편직 면파스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면파스너(100)에서는 그 구성 편사의 종류가 많고, 동일 도면상에 그 전체 종류의 편사를 도시하면, 매우 복잡해져서 도9 및 도10으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편직 면파스너(100)의 기포를 구성하는 지사에는 상술의 실시예와 동일한 쇄편사(111)(도9)와, 동일 웨일(W)상을 상기 쇄편사(111)의 편목에 삽입통과시켜 지그재그형으로 주행하는 경삽입사(112)(도10)와, 상기 쇄편사(111)의 편목에 교락시켜 3개의 웨일(W) 사이를 뒤로 젖혀 0-0/3-3의 편조직을 갖는 제1위삽입사(113)(도9)와, 상기 제1위삽입사(113)와 동일방향으로 주행하여 8개의 웨일(W) 사이를 뒤로 젖혀 0-0/8-8의 편조직을 갖는 제2위삽입사(114)(도10)의 4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기포에 편입되어 파일 루프(116)를 형성하는 파일 편사(115)의 편조직은 0-1/1-0/0-1/1-2/2-1/1-2를 반복단위로 하는 편조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기포가 상이하지만 파일 편사(115)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편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사인 쇄편사(111)의 편목, 경삽입사(112), 제1 및 제2위삽입사(113, 114)의 각각의 뒤로 젖힘부에 폐쇄목으로 편목을 형성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파일 루프(116)에 인장력이 걸려도 지사에 대한 교락부분을 협지하여 서로 조이기 때문에, 파일 편사(115)는 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루프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기포의 파일 루프 형성면과는 반대측의 배면에, 합성수지를 코팅하거나 지사의 일부 섬유에 저융점의 섬유를 혼합하여 용착시킬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편성되는 본 발명의 편직 면파스너(10, 100)의 파일 루프(15, 116)를 형성하는 파일 편사(14, 115)에는 합성수지제의 멀티 필라멘트 또는 모노 필라멘트가 사용된다. 멀티 필라멘트는 가는다란 필라멘트의 집합체로서, 실질적으로 꼬임이 없다. 이러한 멀티 필라멘트에 의해 형성되는 파일 루프는 버핑 등에 의해 각 필라멘트 단위로 뿔뿔이 풀려, 여러방향을 향한 다수의 파일 루프로 되고, 상대측의 후크편 등으로 이루어진 수형 결합소자에 착탈되는 암형 결합소자로 된다.
또한, 파일 편사(14, 115)로서 세섬도(細纖度)의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파일 루프(15, 116)에 격별의 가공을 실행하지 않고, 동일 파일 루프(15, 116)를 암형 결합소자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일 편사(14, 115)가 태섬도(太纖度)의 모노 필라멘트인 경우에는 형성된 파일 루프(15, 116)의 일부를 절단하여 후크편으로 하고 암형 결합소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암형 결합소자에서는 파일 루프(15, 116)의 일부가 절단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파일 편조직으로 하거나 폐쇄목으로 형성하면 루프누락의 발생이 염려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소량의 수지 코팅을 하거나 또는 지사에 저융점의 섬유를 소량 혼입시켜 용융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지 코팅을 실행해도, 본 발명에 의한 파일 편조직에 의해 루프누락이 억제되고 있는 것만큼, 그 수지 사용료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기포의 강직화를 피할 수 있다.

Claims (7)

  1. 파일 편사(14, 115)와 지사(11∼13, 111∼114)를 편성하여 면파스너의 결합부로 되는 파일 루프(15, 116)를 갖는 편직 면파스너(10, 100)에 있어서,
    상기 파일 편사(14, 115)는 2이상의 웨일 사이에 걸쳐 상기 파일 루프(15, 116)를 형성한 후, 그 웨일상에서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의 지사(11∼13, 111∼114)의 각 편목마다 연속적으로 교락하여 편목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마다 교락하여 형성되는 상기 파일 편사(14, 115)의 편목중에, 중간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1이상의 편목이 폐쇄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웨일상의 인접하는 3이상의 코스상에서 지사(11∼13, 111∼114)의 편목에 교락하여 형성되는 상기 파일 편사(14, 115)의 전체의 편목이 폐쇄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사(11∼13, 111∼114)가 각 웨일을 형성하는 쇄편사(11, 111)와, 인접하는 2이상의 웨일 및 코스상의 각각의 쇄편사(11, 111)의 편목에 교락하여 지그재그형으로 주행하고, 적어도 3코스마다 위사부분을 형성하는 삽입사(12, 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쇄편사(11, 111)와 삽입사(12, 13)에 의해 방형 투과공극을 갖는 강목이 형성되며; 상기 파일 편사가 상기 삽입사(12, 13)의 교락위치와 동일의 교락위치서 편목을 형성하고; 상기 웨일 사이에 형성되는 파일 편사(14, 115)에 의한 파이 루프(15, 116)가 상기 삽입사(12, 13)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사(12, 13)는 각각 코스방향에 관해 역조직을 갖는 한쌍의 편사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동일 웨일상의 인접하는 코스의 편목마다 교락하는 동시에, 그 교락하는 편목 사이에서 교차하고, 코스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편사(14, 115)가 멀티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 루프(15, 116)에 의해 암형 결합소자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편사(14, 115)는 모노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 루프(15, 116)에 의해 암형 결합소자 또는 수형 결합소자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편사(14, 115)는 투명한 파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면파스너.
KR1020040054685A 2003-07-15 2004-07-14 편직 면파스너 KR100563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4704 2003-07-15
JP2003274704A JP3886944B2 (ja) 2003-07-15 2003-07-15 編込み面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507A true KR20050008507A (ko) 2005-01-21
KR100563202B1 KR100563202B1 (ko) 2006-03-22

Family

ID=3347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685A KR100563202B1 (ko) 2003-07-15 2004-07-14 편직 면파스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43077B1 (ko)
EP (1) EP1498528B1 (ko)
JP (1) JP3886944B2 (ko)
KR (1) KR100563202B1 (ko)
CN (1) CN100374049C (ko)
DE (1) DE602004023456D1 (ko)
ES (1) ES2332410T3 (ko)
TW (1) TWI2436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6525B2 (ja) * 2004-08-06 2008-04-16 Ykk株式会社 編成面ファスナー
US7117899B1 (en) * 2005-05-18 2006-10-10 Boon Do Kim Pile mesh fabric
US20080011021A1 (en) * 2006-06-27 2008-01-17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Fabrics having knit structures exhibiting auxetic properties and garments formed thereby
JP4531831B2 (ja) * 2008-09-10 2010-08-25 株式会社今井機業場 面ファスナ用編地
FR2985270B1 (fr) 2011-12-29 2014-10-31 Sofradim Production Tricot avec bandes sans picots
JP5531129B1 (ja) * 2013-02-12 2014-06-25 クロス工業株式会社 伸縮性パイル経編地、包帯、メス型面ファスナ
KR20170140311A (ko) * 2015-05-08 2017-12-20 미르카 리미티드 연마 벨트 연삭 제품
KR101619254B1 (ko) 2016-01-25 2016-05-10 박춘헌 라셀 레이스 직물
DE102017112675B4 (de) * 2017-06-08 2021-06-10 Huesker Synthetic Gmbh Knotenloses Fischzuchtgitter
JP7126394B2 (ja) * 2018-07-11 2022-08-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雌材用編地の製造方法、面ファスナ雌材用編地、及び面ファスナ雌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9014A (ko) * 1968-04-22 1972-01-05
JPH0235207Y2 (ko) * 1985-10-23 1990-09-25
JPS6391009U (ko) * 1986-12-01 1988-06-13
JPH0437453Y2 (ko) * 1987-03-24 1992-09-03
US5125246A (en) * 1990-07-25 1992-06-30 Shelby Elastics, Inc. Knitted elastic lock pile fabric
US5267453A (en) * 1991-06-06 1993-12-07 Guilford Mills, Inc. Loop-type textile fastener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214942A (en) * 1991-06-06 1993-06-01 Guilford Mills, Inc. Loop-type textile fastener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FR2690930B1 (fr) * 1992-05-07 1994-06-17 Chomarat Textiles Plastiques Tricot velours a effets jacquard realise sur un metier a mailles jetees et procede pour son obtention.
JP2563369Y2 (ja) * 1992-09-21 1998-02-1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用経編基布
US5664441A (en) * 1994-04-18 1997-09-09 Aplix, Inc. Fabric tape with loops for use as part of hook-and-loop fastener assembly
JP2000041712A (ja) * 1998-07-27 2000-02-15 Seihou:Kk 面ファスナー用雌面
US6216496B1 (en) * 1998-09-04 2001-04-17 Gehring Textiles, Inc. High performance hook and loop closure system
JP3973483B2 (ja) * 2002-05-08 2007-09-12 Ykk株式会社 伸縮性経編布地
US6705132B1 (en) * 2003-04-30 2004-03-16 Gfd Fabrics, Inc. Loop-type textile fastener fabric with diagonally extending pile loop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5684A (zh) 2005-02-09
JP3886944B2 (ja) 2007-02-28
EP1498528B1 (en) 2009-10-07
TWI243656B (en) 2005-11-21
CN100374049C (zh) 2008-03-12
DE602004023456D1 (de) 2009-11-19
ES2332410T3 (es) 2010-02-04
US6843077B1 (en) 2005-01-18
EP1498528A1 (en) 2005-01-19
TW200509829A (en) 2005-03-16
US20050011232A1 (en) 2005-01-20
JP2005034404A (ja) 2005-02-10
KR100563202B1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742B1 (ko) 편성 면파스너
US6477865B1 (en) Three-dimensional marquisette style knitted fabric
JP3895272B2 (ja) 繊維製面ファスナー
JP3973483B2 (ja) 伸縮性経編布地
JPS6027281B2 (ja) ベルベツト式フアスナ−用テ−プの製造方法
JP2002317347A (ja) 帯 体
KR100563202B1 (ko) 편직 면파스너
KR20140115986A (ko) 편성 면 파스너
JP2002360316A (ja) 編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1140571A (zh) 表面扣件
JP4171450B2 (ja) 面ファスナー
JP3944613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JP2002360315A (ja) 編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2012097390A (ja) 玉虫色調編成体
JP2008255508A (ja) 畝状ダブルラッセル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32977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IE47307B1 (en) Textile and method
JP2003013345A5 (ko)
JPH0274649A (ja) 安全ネット
JPH01148854A (ja) 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GB2112032A (en) Slide fastener assembly
JP3429209B2 (ja) 光反射性経編地
JP3394743B2 (ja) 紐状のレース地
JP3586833B2 (ja) バーチカルブラインド用スラットの製法
JPH11279904A (ja) 編レ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