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311A - 연마 벨트 연삭 제품 - Google Patents

연마 벨트 연삭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311A
KR20170140311A KR1020177033793A KR20177033793A KR20170140311A KR 20170140311 A KR20170140311 A KR 20170140311A KR 1020177033793 A KR1020177033793 A KR 1020177033793A KR 20177033793 A KR20177033793 A KR 20177033793A KR 20170140311 A KR20170140311 A KR 2017014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brasive
yarns
openings
textil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슈마허
얀 그뢴
니나 키나래이넨
한스 헤데
마츠 순델
Original Assignee
미르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르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4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01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supporting member
    • B24D3/002Flexible supporting members, e.g. paper, woven, plastic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9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2One smooth surface, e.g. laminated or coa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2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chemical properties
    • D10B2403/0242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chemical properties containing particulate matter, e.g. powder or granul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3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1Narrow fabric of constant width
    • D10B2403/0312Bulk fabric, e.g. bel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상호 연결된 얀으로 형성된 텍스타일 패브릭 및 텍스타일 패브릭의 한면에 형성된 일관된 연마 영역을 포함하는 연마 벨트가 제공되며, 연마 벨트는 관통 구멍의 형태로 규칙적으로 분포된 복수의 개구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연마 벨트는 연마재의 균질한 분포를 허용하고, 따라서 적절한 연마 제거 및 적절한 기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샌딩 마무리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연마 벨트 연삭 제품
본 발명은 연마 벨트 형태의 연삭 제품, 연마 벨트 연삭 제품 또는 그에 대응하는 변형물에 관한 것이다.
연마 벨트는 다양한 디자인과 다양한 셋업의 휴대식 및 고정식 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연마 제품 범주에 속하며, 금속, 페인트, 플라스틱 목재 및 옻칠 표면 등의 연삭, 샌딩, 피니싱 또는 폴리싱에 활용될 수 있는 무한하고 균질한 연마 영역이 장점이다.
연마 벨트 기재는 전형적으로 종이 또는 직물이며 기계적 성질 및 기능에 관한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종방향의 연신율은 낮게 유지되어야 하고, 횡방향의 강도는 실제 제품 적용에 충분해야 한다.
연마 벨트 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과도한 분진 형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연마 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 한 가지 제한된 문제는 형성된 분진 및 기타 입자가 작업 영역에서 제거되지 않을 때 막히는 것이다. 기재가 폐쇄된 표면을 가지게 되면 분진 및 기타 입자의 제거가 방해된다. 특히 목재, 플라스틱 및 필러가 풍부한 페인트와 같은 샌딩 재료는 다량의 분진을 생성하고, 직조된 직물 및 종이의 폐쇄된 기재를 갖는 종래의 벨트 제품의 사용은 두드러진 단점을 나타낸다.
연마 벨트의 사용이 일반적으로 높은 마모율과 우수한 샌딩 성능을 제공하는 한, 이것은 막히거나 과열되는 경향이 있다. 최악의 상황에서는, 샌딩된 소재에 탄 자국을 남기고 마모 결과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2차적인 단점은 작업 조건의 손상, 연마재의 수명 단축과 그로 인한 유지 보수 필요성 증가이다.
현재의 기술 수준은 가능한 한 많은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샌딩 영역의 단부에 가깝게 위치한 분진 추출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된 분진을 제거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압축 공기 또는 세정 가스를 벨트의 표면에 불어 넣고 진공 추출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벨트 표면으로부터 입자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폐쇄 구조를 갖는 샌딩 벨트가 사용되는 한, 샌딩 벨트를 통해 직접 분진을 추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직조된 직물, 종이 또는 필름 기재가 있는 연마 벨트에 적용된다. 동시에 특정 기계 요구 사항이 충족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벨트에 단순히 관통 구멍을 제공하기만 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벨트의 인장 강도 및 내구성을 급격하고 바람직하지 않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매우 제한된 수의 구멍을 종이, 직물 또는 필름 기재에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천공은 크기 및 개수가 제한되고, 이러한 기재 재료로 만들어진 천공 벨트는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분진 추출을 제공하지 못한다.
연삭 분진이 많아서 생기는 막힘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연마 제품의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지만, 특히 나무, 플라스틱 및 충전제가 풍부한 페인트와 같은 소재의 샌딩에서 특히 그러하다. 기재가 직물 및 종이인 전통적인 벨트 제품을 사용하여 이러한 재료를 샌딩하면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한다.
특히, 분진 제거와 관련하여, 미국특허공개 제 2005/020190 호 및 미국특허등록 제 6 923 840 호는 개방 셀 기재를 갖는 연마 제품을 게시한다. 그러나, 개방 발포 구조가 연속 필름 기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분진은 개구부에 축적될 것이다. 유럽특허 제 1 733 844 호에서, 동공은 연마 제품 기재 재료에 생성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더 많은 양의 분진이 구멍이나 개구부에 축적될 수는 있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필연적으로 이러한 영역도 막히게 된다.
미국특허등록 제 2 984 052 호는, 연마 코팅을 갖는, 규칙적으로 엮은 얀(yarn)을 갖는 직조된 직물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연마 영역은 규칙적으로 분포된 돌기 또는 격리된 영역에 제한된다. 이러한 구조는 규칙적으로 분포된 돌기이 샌딩된 표면에 줄무늬형 패턴을 생성하기 때문에 연마 벨트 분야에 적합하지 않다. 이것은 특정 제품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샌딩 분야에서는 균일하게 샌딩된 표면을 가진 마감재가 가장 중요하다.
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 0 779 851 호에 기술된 연마재와 같이, 직물 기재로 제조된 벨트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주행 방향으로의 트리코-기반 빔의 전술한 지그재그 구조는 연마 입자로 덮인 다른 표면에 의해 벨트를 가로 질러 연결되지 않는다. 다른 말로는 벨트를 가로지르는 "비어 있는" 영역이 있어 빔 사이의 연결사가 연마 입자로 덮여있는 빔 아래에 위치한다. 이는 표면과 접촉하는 트리코-기반의 빔에서만 마모 효과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트리코-기반 빔은 표면에 구조를 유도할 수 있다. 벨트의 지지 기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샌딩된 면에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분진 제거를 향상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연마 소재 표면의 높이 차이를 활용하거나 심지어 높이 차이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는 유럽 특허 제 2 390 056 호와 같이, 점 또는 섬의 형태로 구조화 된 방식으로 입자 재료를 배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마 벨트로 옮겨지면 이러한 방법으로는 샌딩 처리가 고르지 않게 된다. 또한, 섬 사이의 영역도 잠시 후에 막히게 된다.
미국특허등록 제 5 674 122 호는 기재의 개구부에 복수의 패턴화 된 배열을 지닌 연마 디스크 및 시트를 위한 스크린 연마재를 기술하고 있다. 그 기재는 특징적으로 표면 영역이 다른 구별되는 구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연마 제품을 가로 질러, 표면에서 불균일한 입자 분포를 초래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비균질 입자 분포 패턴이 연마 벨트 제품에 사용되면 샌딩된 표면의 줄무늬가 생길 수 있다.
개방 구조 연마재의 또 다른 예로는 연마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주행하는 평행 사의 2 개의 층을 포함하는 연마 제품이 개시되어 있는 유럽특허 제 1 522 386 호가 있다. 이 방법은 기능적이지만 압력이 구조물에 가해질 때 날실은 연마 입자로 덮인 씨실에 고르지 못한 샌딩 압력 분포를 유발하여 샌딩된 표면의 구조화를 초래한다.
유럽특허 제 0 779 851 호에는 연마재 입자가 구비된 직조 또는 편직된 실의 오픈 메쉬 직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분산 된 연마 루프 또는 얀에 기초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은 연마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하지만, 연마 제품의 표면 구조는 거칠고 연마 영역은 스폿 식으로 위치하는 것이다. 연마 재료의 구조는 기계적 강도와 관련된 문제이기도 하므로 제품을 벨트 장치에 적합하지 않게 한다. 연마 벨트의 경우, 분진 제거에 관한 요구 사항은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얻기 위해 기재를 수정할 필요성과 상충된다.
예를 들어, 충분한 강성은 미국특허등록 제 4 386 943호 와 같은 적합한 수지로 함침시켜 달성된다. 또한 미국특허등록 제 5 700 188 호에서도 상이한 층에 구조를 적용하여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달성되었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연삭 성능 및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연마 벨트 연삭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 제 21 항 및 제 23 항에 따른 연마 벨트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항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정의하며, 이들 실시예 모두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특히, 연마 벨트는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으로 형성된 텍스타일 패브릭 및 텍스타일 패브릭의 일 측면 상에 형성된 일관된 연마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연마 벨트는 관통 구멍의 형태로 복수의 규칙적으로 분포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호 연결되는" 이라는 표현은 패브릭 얀이 상호 연결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호 연결은 하나의 패브릭 얀이 다른 패브릭 얀의 둘레에 둘려질 때 얽힘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관된(coherent)"이라는 용어는 연마 벨트가 격리된 연마 패치 또는 섬과는 달리 연속적인 단일의 상호 연결된 연마 영역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연마 영역은 작업편을 샌딩 또는 연마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패브릭 얀"이라는 표현은 텍스타일 패브릭의 기초를 이루는 얀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텍스타일 패브릭은 ISO 8388에 정의되어 있고, 씨실 짜기의 저지-기반 패브릭, 씨실 짜기의 이중층 저지-기반 패브릭, 씨실 짜기의 리브-기반 패브릭, 씨실 짜기의 펄 기반 패브릭, 날실 짜기의 저지 -기반 패브릭, 날실 짜기의 리브 -기반 패브릭, 날실 짜기의 안뜨기-기반 패브릭, 조합된 날실 및 씨실 짜기의 저지-기반 패브릭 및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조 패브릭도 고려될 수 있다.
관통 구멍으로 인해 샌딩 분진 및 기타 입자가 연마 벨트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편이 가공되고 연마 벨트의 막힘을 방지하는 샌딩 영역에서 분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은 연마 벨트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샌딩 표면의 과도한 가열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샌딩 마무리를 보장한다.
또한, 관통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벨트가 순환 구동될 때 작업자가 연마 벨트를 들여다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연삭 공정을 보다 잘 제어 할 수 있으며 이는 샌딩 압력이 수동으로 가해지는 기계에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자동 샌딩 머신의 경우에도 샌딩 과정 중에 시각적 품질 관리가 가능하므로 이 기능이 유리하다. 일관된 연마 영역은 샌딩된 제품의 균일한 마무리를 보장하는데, 이는 일관된 연마 영역으로 인해, 샌딩된 표면에 줄무늬로 나타날 수 있는 벨트 전체에 걸친 격리된 패치가 없기 때문이다.
개구부의 규칙적인 분포는 샌딩된 작업편의 최적화된 표면 마감 처리에 기여한다. 한편으로, 개구부의 규칙적인 분포는 인접한 개구부들 사이의 영역이 연마 벨트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연마 영역의 면적 밀도가 벨트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개념과 동일하다.
다른 한편으로, 관통 구멍의 규칙적인 분포는, 고르지 않은 샌딩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의 수의 국부적인 변화가 있다는 것을 배제한다. 이와 관련하여, "면적 밀도"는 그 부분(즉, 구멍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벨트의 가상 전체 영역에 걸쳐 벨트의 특정 부분에서 연마재가 차지하는 영역의 국부적 지수로 생각할 수 있는 예시적인 용어이다. 당연히, 이러한 정의는 상기 부분이 개구부의 긴 치수의 적어도 2 배인 길이를 갖도록 치수가 정해진 경우에만 해당된다.
동시에,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으로 형성된 텍스타일 패브릭은 연마 벨트가 연마 벨트 장치에 필요한 충분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텍스타일 패브릭을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으로 형성함으로써, 벨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종방향 연신율을 낮게 유지할 수 있고 횡방향으로 일정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연마 벨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연마 재료가 마모 공정 후에 균일하게 샌딩된 표면 영역을 생성하는 목적으로 수직 또는 수평 축을 따라 연장되는 단일방향 샌딩 작업에 적합한 임의의 연마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연삭 제품의 전환 형태는 벨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롤, 시트, 삼각형 모양, 디스크 또는 다른 적절한 전환 형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벨트의 기계 방향에 수직인 라인으로 배열되고, 개구부는 라인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이격되고 라인들은 그 개구부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된다. 기계 방향은 샌딩기 등에서 사용될 때 벨트가 순환되도록 구동되는 방향이다.
연마 제품이 롤, 시트 등과 같은 상이한 전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기계 방향은 또한 소재를 사용할 때 연마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여겨질 수 있다.
라인 방향의 개구부의 규칙적인 간격은 샌딩 영역의 폭 방향으로 균일한 샌딩 표면이 달성되도록 한다. 라인이 그 개구부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되면, 개구부는 기계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지 않는다. 이것은 샌딩 영역의 폭을 따라 줄무늬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후속 라인 (즉, 기계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라인)이 그 개구부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후속하는 라인들 사이의 오프셋은 모든 제 2 라인의 개구부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기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후자는 다시 말하면, 한 라인의 두 개의 인접한 개구부 사이에서 연마재로 코팅된 영역에 다음 라인의 개구부가 뒤따르고, 그 개구부는 두 번째 다음 라인의 연마재로 코팅된 영역이 뒤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최종 제품에서 줄무늬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또한, 연마 벨트 전체에 걸쳐, 일정한 국부적인 연마 영역 밀도가 개구부의 긴 치수의 2 배 정도의 길이 스케일상에서 달성된다. 이것은 매우 균질한 연마 영역이 제공되어 심지어는 샌딩 마무리에 기여한다는 개념과 동일하다.
또한, 벨트의 기계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개구부의 교대 배치는 벨트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모두에서 개선된 강도에 기여하는데, 이는 벨트의 후속하는 대칭 구조가 힘을 최적의 방법으로 흡수 및 분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연마 벨트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균일한 두께는 연마 벨트가 작업편에 가압되면 작업편에 대한 접촉면이 가능한 한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연마 벨트가 작업 편에 가해지는 압력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텍스타일 패브릭의 일면 (즉, 정면)상의 일관된 연마 영역은 텍스타일 패브릭의 일면의 코팅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은 연마재가 도포될 수 있는 평탄한 기본층을 제공한다. 이로써, 코팅은 높이-불규칙성을 평탄화시킬 수 있고, 평탄한 연마 영역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코팅은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연마 입자를 도포하기 전에 특별하게 처리("평탄화")될 수 있다. 국제특허공개 제 2014/037034 호에 기술 된 바와 같이, 이는 예를 들어 코팅 롤러를 사용하여 코팅을 도포하는 특정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평탄화 효과는 평탄화 장치를 아직 경화되지 않은 코팅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불균일성을 평탄화(평탄화)하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도포된 코팅을 기계적으로 연마 또는 샌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마 벨트의 다른 면(즉, 후면)은 코팅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으로, 이것은 연마 벨트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코팅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보다 비용 효율적인 제품에 기여한다. 또 한편으로, 텍스타일 패브릭의 다른 면에는 코팅이 실질적으로 없기 때문에, 생성된 제품은 보다 유연하다.
사용하는 동안, 이것은 연마 벨트가 감겨져 있는 구동 롤러가 작은 지름을 갖는 경우에 특히 이로울 수 있다.
"실질적으로 코팅이 없다"는 것은 패브릭 얀이 예를 들어 텍스타일 패브릭의 함침의 일부인 다른 소재를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부가적으로, 연마 벨트는 텍스타일 패브릭의 다른 면(즉, 후면) 상에 도포되는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 이 코팅은 또한 "제 2 코팅"으로 언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코팅은 벨트의 기계적 성질을 추가로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벨트의 평평한 후면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분야의 경우, 벨트의 평평한 후면은 특히 높은 샌딩 압력이 가해지거나 샌딩 공정이 샌딩 기계의 구동 수단에 가깝게 수행되는 경우 더욱 균일한 샌딩 처리를 촉진한다. 또한, 이것은 연마 영역에서 연마재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벨트의 후면이 평평해지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전면 측의 코팅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러한 평탄화는 가압, 캘린더링 또는 연마 공정에 의해 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은 벨트의 후면을 형성하는 텍스타일 패브릭에 직접 적용되거나, 존재한다면 제 2 코팅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브릭 얀의 부피 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 전체 제품의 부피의 비는 0.1 내지 0.9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이다. 이 부피비 내에서 우수한 기계적 및 위상 특성을 갖는 연마 제품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생성된 제품은 연삭 장치에서 인장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한편, 주어진 부피비에 따라, 패브릭 얀의 상호 연결 지점으로부터 유래하는 제품의 높이 프로파일의 불규칙성을 균등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품은 비용면에서 효율적으로 제조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얀과 전체 제품 사이의 중량비는 0.2 내지 0.9이다. 또한 이 중량비의 관점에서, 기계적 특성과 구조적 특성 사이의 적절한 절충안에 도달할 수 있다.
텍스타일 패브릭에 관하여, 패브릭 얀은 편물, 스티치 또는 직조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술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규칙적인 개구부 패턴을 갖는 개방 구조 및 동시에 인장력에 대한 벨트/직물의 충분한 저항성을 갖는 상반되는 요건을 최적으로 충족시키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이들 기술은 텍스타일 패브릭을 제조하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크기 및 형상에서) 균일한 샌딩 처리를 얻는데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마름모 형태 또는 육각형 형상이다. 마름모 또는 육각형 모양을 갖는 것은 개구부가 매우 대칭이라는 개념과 동일하다..
이는 인접한 개구부 사이의 영역이 연마 벨트 전체에 걸쳐 매우 규칙적이어서 샌딩 결과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인장력이 일반적으로 보다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은 벨트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긴 치수(즉, 개구를 가로지르는 개구의 최장 직경)와 짧은 치수(즉, 개구를 가로지르는 최단 직경)를 가지며, 긴 치수 는 연마 벨트의 기계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꿔 말하면, 개구부가 기계 방향으로 길다는 것을 의미하는 이 특징은 기계 방향을 따른 연신에 대한 연마 벨트의 향상된 강도에 기여한다. 이것은 측면 수축을 유도하지 않고 인장력을 흡수할 수 있는 길어진 기하학적 구조에 기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긴 치수는 0.3mm 내지 20.0mm이다. 이러한 치수는 일반적으로 샌딩 분진 및 기타 입자가 연마 벨트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구멍과 연마 벨트의 기계적 강도 사이에서 우수한 절충안을 제공한다. 자체적으로 말하면, 그 값은 기본적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평균폭(즉,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부의 직경)은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인접한 개구부를 분리하는 최단 거리의 0.3 배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평균폭(즉, 기계 방향에 수직 인 방향으로의 개구부의 직경)은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인접 개구부를 분리하는 최단 거리의 0.7 배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평균폭(즉,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부의 직경)은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인접 개구부를 분리하는 최단 거리의 0.8 배 내지 1.2 배 사이이다.
달리 말하면, 횡 방향 (즉,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개구부의 폭이 횡방향으로의 연결 영역의 차수이면, 샌딩된 가공품에 발생하는 줄무늬의 발생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이러한 치수를 갖는 후속 개구부의 우수한 중첩이 기계 방향으로 달성될 수 있고, 줄무늬 형성의 가능성을 더 감소시킨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은 복수의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빔의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빔은 이웃하는 개구부를 분리하고 기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빔은, 다른 말로 하면,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가닥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체적인 확산 방향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은 이웃하는 패브릭 얀 주위의 패브릭 얀의 턴 또는 루프로부터 기인하는, 패브릭 얀의 방향에서 작은 국소 편차가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빔은 텍스타일 패브릭을 통한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전반적인 확산 방향을 반영한다.
따라서, 상기 빔은 연마재로 코팅된 벨트의 영역이며, 따라서 연마 영역을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빔이 기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기계 방향과 정확히 평행하게 확산하지 않음을 의미) 샌딩된 제품에 줄무늬가 생길 가능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상호 연결 지점에서 교차하는 패브릭 얀의 수는 연마 벨트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상호 연결 지점에서 교차하는 패브릭 얀의 수는 2 내지 10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편으로는, 일관되고 물리적으로 안정한 소재를 제조하기 위해, 패브릭 얀의 상호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브릭 얀을 상호 연결하지 않고는 느슨한 얀 제품만 만들 수 있지만 텍스타일 패브릭은 만들 수 없다.
반면에, 상호 연결 지점(패브릭 얀이 교차하는 지점)은 반드시 국부적인 높이 변화(즉, 패브릭 얀이 국부적으로 풍부한 지점)를 수반한다. 상호 연결 지점이 완성 제품에 줄무늬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샌딩 분야에 잠재적으로 불리하다.
그러나 상호 연결점을 가로 지르는 패브릭 얀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마 벨트 전체에 걸쳐 최소 2 개의 얀까지, 높이 변화는 최소로 유지 될 수 있다. 따라서, 연마 벨트의 매우 균일한 두께가 달성될 수 있고, 이는 균일한 샌딩 마무리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패브릭 얀의 두께는 5 내지 4,000dtex, 특히 150 내지 900dtex이다.
바람직하게는, 텍스타일 패브릭은 아틀라스 또는 코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아틀라스 또는 코드 구조는 연마 벨트의 바람직한 개방 구조를 균일하고 일관된 연마 영역을 갖는 요건과 결합시키는데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너무 많은 연신 없이 종 방향 및 횡 방향 모두에서 , 적어도 어느 정도는, 인장 변형을 견딜 수 있는 텍스타일 패브릭의 형성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연마 벨트는 텍스타일 패브릭 내로 가공된 보강 얀을 더 포함한다. 보강 얀으로 인해, 연마 벨트의 기계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 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얀은 텍스타일 패브릭 내로 가공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연마 영역의 균일성에 적게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얀은 필라 스티치(pillar stitch)의 형태로 직물에 가공된다. 이로써, 필라 스티치는 실질적으로 기계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보강 얀을 배열할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는 기계 방향의 인장력에 대한 벨트의 저항을 특히 강화시킨다. 또한, 필라 스티치는 연마 영역의 균등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원하는 기계적 보강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얀은 상기 패브릭 얀의 두께의 1 배 내지 1 / 2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브릭 얀의 두께의 1 / 2 내지 1 / 10 배의 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텍스타일 패브릭에 가공될 때 보강 얀이 텍스타일 패브릭에서 현저한 상승을 야기하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안정하고 동시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연마 벨트가 얻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얀은 복수의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빔 내로 또는 그 빔을 따라 가공된다. 이는 보강 얀이 개구부와 교차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보강 얀이 벨트의 개방 구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계적으로 보강 되더라도 샌딩 분진 및 기타 입자에 대한 연마 벨트의 원하는 투과율은 여전히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텍스타일 패브릭을 함침물과 함께 함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함침을 적용 및 / 또는 경화할 때 텍스타일 패브릭은 팽팽해진다. 함침의 도움으로, 연마 벨트의 기계적 안정성, 특히 기계 방향에 대한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연신에 관한 벨트의 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함침을 적용하면서 텍스타일 패브릭을 팽팽하게 하는 경우, 경화된 함침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텍스타일 패브릭의 개구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장치의 개구부 모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텍스타일 패브릭이 함침을 적용하기 전에 기계 방향으로 팽팽하게 되면, 이것은 기계 방향에서 마무리 된 연마 벨트의 연신율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전체 표면적은 총 일관된 연마 영역의 총 표면적의 0.1 내지 10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 일관된 연마 영역의 총 표면적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총 일관된 연마 영역의 총 표면적의 1.0 배 내지 2.2 배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것은 샌딩 분진이 연마 벨트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고도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개구부의 영역과 연마 영역 사이의 이러한 비율은 연마 영역의 면적 분율이 연마 벨트의 전체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며, 연마 벨트가 순환 구동되면 특정 연마 영역이 줄무늬를 형성하는 경향이 없음을 보장한다. 또한, 이것은, 샌딩 공정을 제어 및 / 또는 조정하기 위해 샌딩 기계의 작동자가 순환 구동되는 연마 벨트를 통해 볼 수 있으므로, 사용 중 연마 벨트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200mm의 샘플 길이의 50mm 폭 당 100N의 힘이 가해질 때, 연마 벨트의 연신율은 1 % 미만, 바람직하게는 0.8 % 미만이다.
또한, 다른 양상에 따르면, 연마 벨트는 연마 벨트의 기계 방향에 수직인 라인으로 배치된 관통 구멍 형태의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개구부는 라인들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고 후속 라인들은 그 개구부들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으로 형성되는 텍스타일 패브릭, 관통 구멍의 형태로 된 복수의 개구부, 텍스타일 패브릭의 전면 측의 연마 영역, 및 텍스타일 패브릭의 후면 측의 코팅을 포함하는 연마 벨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면의 코팅은 평평하다.
상기 기술된 특징들은 연마 벨트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연마 공정이 단일 방향 (즉, 연마 공정이 연마 제품의 한 방향을 따라 주로 수행되는)이고 샌딩 결과가 가능한 한 평형해야 하는 연마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벨트 연삭 제품 외에도 가능한 전환 형태는 롤, 시트, 삼각형 모양 또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마 벨트는 적절한 분진 제거 및 충분한 인장 특성뿐만 아니라 입자의 균질한 분포를 허용한다. 또한 개방 구조는, 벨트의 투명성이 기계 작업자에게 예를 들어 스트로크 샌더 (stroke sanders)의 경우와 같이 샌딩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특정 유형의 벨트 샌딩 기계에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과 양상들이 다음의 특정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제공된다. 위와 아래에 설명된 특징들은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또한 특징들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 벨트의 제조 공정의 상이한 단계에서의 연마 벨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 벨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에서 본 연마 벨트의 구조의 실루엣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편물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편물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편물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물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된 편물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된 편물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된 편물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연마 제품을 자른 SEM-이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개시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하기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설명 및 첨부 도면은 제한이 아닌 예로서 해석되어야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마 벨트(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상이한 층들은 제조 공정의 상이한 단계에서 연마 벨트(1)를 도시한다.
제 1 단계부터 추측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마 벨트(1)의 텍스타일 패브릭(2)은 다수의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텍스타일 패브릭(2)은 예를 들어, 날실 짜기에 의해 직물 생산 기계상에서 제조될 수 있는 편직된 텍스타일 패브릭의 형태를 갖는다.
제 2단계에서, 텍스타일 패브릭(2)은 함침물(30)을 적용하여 물리적으로 고정된다.
제 3단계에서, 함침된 텍스타일 패브릭(2)은 코팅(40)으로 코팅된다.
또한, 연마 재료 또는 연마재(50)가 임의로 적절한 결합 시스템을 사용하여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연마재(50)가 연마 벨트(1) 위에 고르게 분포된 일관된 연마 영역(60)이 형성된다. 3단계는 재료를 기능성 연마 제품으로 전환하기 위해 추가 전환 및 공정 단계가 수행되기 전의 최종 전구체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함침은 필수는 아니며 함침 단계가 또한 생략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연마재는 텍스타일 패브릭 또는 함침물 상에, 즉 코팅없이 직접 적용될 수 있다.
패브릭 얀(20) 사이의 상호 연결 유형은, 일반적으로, 연마 벨트에 대해 확인 된 다음의 상충되는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 한 작은 관련성이 있다: 개방 구조로 부하 하에서 작은 연신율 및 균일한 샌딩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
이를 위해, 도 2의 단면도로부터 추측 할 수있는 바와 같이, 패브릭 얀(20)의 상호 연결 지점에서의 패브릭 얀(20)의 횡단 수는 텍스타일 패브릭(2) 전체에 걸쳐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서, 상호 연결점에서 패브릭 얀(20)의 횡단의 수는 2이다. 이것은 상호 연결로 인한 얀(20)의 국부에서 풍부함이 제한되는 것을 보장한다.
"얀의 풍부함"은 텍스타일 패브릭(2)에서 패브릭 얀(20)의 상호 연결이 일관성 있고 물리적으로 안정한 재료를 제조하는 데 필요하다는 사실을 말한다.
상호 연결되는 스티치가 없다면 느슨한 패브릭 얀(20)만이 생산되고 텍스타일 패브릭(2)은 생성되지 않을 것이다.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제적으로, 날실 짜기의 또는 다른 유형의 텍스타일은 스티치당 최소 하나의 상호 연결점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2 개 이상의 패브릭 얀(20)이 이러한 상호 연결 지점에서 교차할 때, 그러한 상호 연결점을 생성하기 위한 패브릭 얀(20)의 최소량 이상이 존재한다.
상호 연결 지점당 2 개 이상의 패브릭 얀(20)을 포함하는 이러한 얀 교차는, 따라서, 상호 연결 지점의 레벨을 텍스타일 패브릭(2)의 다른 부분과 비교할 때 텍스타일 패브릭(2)에서 약간의 상승을 초래한다.
텍스타일 패브릭(2) 전체에 걸친 균일한 교차수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패브릭 얀(20)의 직경의 1.5 배 내지 5 배의 정도인 연마 벨트(1)의 균일한 높이를 보장한다.
또한 특정 표면 영역이 다른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이렇게 되면 샌딩 결과가 고르지 않고 샌딩 표면에 줄무늬가 생긴다.
도 3a 및 도 3b는 위에서 본 연마 벨트 구조의 실루엣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벨트(1)의 실루엣은 연마 영역 (60)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10)는 기계 방향(M1)에 대하여 매우 대칭이고 그에 대해 수직이다.
이러한 구조는 인접한 개구부(10) 사이의 연마 영역이 가능한 한 균일한 것을 보장하고, 벨트(1) 전체에 규칙적으로 고르게 분포 된 연마 영역 (60)을 생기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이는 단위 면적당 연마 영역에서 측정 될 수 있는 연마 영역의 국소 밀도가 연마 벨트(1) 전체에 걸쳐 본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적어도 상기 단위 영역의 길이 스케일상에서, 이것은 2 개의 개구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다).
또한, 개구부(10)는 연마 벨트(1)의 기계 방향(M1)에 수직인 라인(L1, L2)에 배치되고, 후속 라인 (L1, L2)은 그들의 개구부(10)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 된다.
또한, 개구부의 폭 및 2 개의 개구부 사이의 영역(즉, "연결 영역") 의 폭은 교차 방향 (즉, 기계 방향으로 수직 한 방향)에서 동일한 차수이며, 이는 균일한 샌딩 마무리를 더 촉진한다.
예를 들어, 개구부의 폭이 1.5mm 인 경우, 연결 영역의 폭은 0.3mm 내지 5.0mm 일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후속하는 열의 개구부의 충분한 "중첩"을 보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의 개구부의 폭에 대하여 연결 영역의 폭이 1 mm 내지 2.0 mm 일 수 있다.
인접한 개구부(10)를 분리시키는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20)의 스트랜드 또는 빔(21)은 기계 방향(M1)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된다.
얀의 "빔"이란 용어는 텍스타일 패브릭에서 가공될 때 패브릭 얀에 의해 기술되는 전체 모양 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따라서, 패브릭 얀(20)의 빔(21)은 벨트(1)(도 3)의 종 방향에서 연결 지점을 횡단하는 평면으로부터 보면 서로 거울상을 형성할 것이다. 개구부의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에 대한 예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나 있는데, 도 3a는 본질적으로 마름모 구멍(10)을 도시하고 도 3b는 본질적으로 육각형 구멍(10)을 도시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대칭 개구부(10)에 대한 연마 영역(60)의 균일성은, 기계 방향에 수직인 선상에 개구부(10)의 2 개의 연속적인 라인의 연마 영역의 가상 투영에 의해 더 예시될 수 있으며, 두 경우 모두 매우 균일하고 좋은 "샌딩 영역 균형"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샌딩 영역 균형은 패턴의 한 번의 반복 내에서, 즉 두 개의 연속적인 라인(L1, L2) 내에서 연마 영역의 물리적 영역에서의 편차에 대한 척도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름모 개구부(10)는 기계 방향이 도 3a 및 도 3b에 지시된 바와 같은 경우 육각형 개구부(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훨씬 균일한 샌딩 영역 균형을 제공 할 수 있다. 단일 육각형 개구부(10) 사이의 상호 연결점은 연마재(50)로 코팅된 영역 사이의 샌딩 영역 균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짧게 유지해야 한다. 빔(21)에 관해서, 빔(21) 당 패브릭 얀(20)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벨트(1)의 균일한 두께를 보장하기 때문에 2개이다.
텍스타일 패브릭이 편직된 얀으로 형성되면, 바람직한 편물 패턴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다른 바람직한 편물 패턴이 도 6에 도시된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가능한 구조는 개방 (도 4) 또는 폐쇄 아틀라스 바인딩(도 5)을 갖는 텍스타일 패브릭에 기초한다.
용어 "개방 아틀라스 바인딩"은 둘 이상의 행을 진행하는 날실-편직 기계의 편물 패턴을 지칭한다. 이로써,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스티치들 사이의 중간 스티치는 개방형, 폐쇄형 또는 이들의 조합 일 수 있다. 개방형 스티치 패턴은 예를 들어 1-0 / 1-2 / 2-3 / 2-1 // (도 4)의 날실 -편직 구조 유형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표기법 1-0 / 1-2 / 2-3 / 2-1 //은 ISO 8388: 1998 표준 (76 페이지, "B4 Chain Notation")에 따른 표기법이다.
"폐쇄형 아틀라스 바인딩"이라는 용어는 편물 패턴의 방향 변경 사이의 중간 스티치를 나타낸다. 개방형 아틀라스 바인딩의 예와 달리 폐쇄형 아틀라스 바인딩은 예를 들어 0-1 / 2-1 / 3-2 / 1-2 // (도 5)와 같은 편직 구조 유형을 따른다.
아틀라스 바인딩의 경우, 상호 연결된 얀(20)의 빔(21)은 일반적으로 벨트(1)의 기계 방향(M1)에 대해 비스듬히 돌출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열 아틀라스 구조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줄의 수는 뜨개질이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기 전에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스티치의 수를 의미한다. 또 다른 정의는 패턴의 반복 높이를 참조하는 것이다. 이 경우 행의 수는 반복 높이의 절반이다. 예를 들어, 아틀라스 반복 높이가 4 인 경우 결과적으로 행 수가 2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 날실 뜨개질의 분야에서, 편직될 패턴이 반복되기 시작할 때까지 필요한 스티치의 수를 의미하는 "코스"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있다. 결과적으로 4의 반복 높이를 갖는 패턴은 다음 반복이 시작될 때까지 4 개의 코스를 요구한다.
2 열에 기초한 구조는 마름모형인 개구부(10)를 제공한다. 따라서, 텍스타일 패브릭(2)의 개구부(10) 사이에 위치한 모든 표면은 정확히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이는 연마 벨트(1) 전체에 걸쳐 연마 영역의 균일한 분포를 보장한다. 동시에, 상호 연결점에서의 패브릭 얀(20)의 풍부함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0)는 연마 벨트(1)의 기계 방향(M1)에 수직인 라인 (L1, L2)에 배열되고, 후속 라인은 개구부(10)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연마 벨트(1)로서 사용될 때, 그러한 구조는 샌딩 표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제거율을 제공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가공물에 줄무늬 또는 유사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0)는 기계 방향(M1)으로 길게 연장되며, 이것은 기계 방향(M1)에서의 연신에 대한 텍스타일 직물의 일반적인 저항성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방향은 모든 바늘에 대해 번갈아 나타난다. 바인딩은 이 구조에서 각 두 번째 바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며, 예를 들어 3, 4 개 또는 그 이상의 행과 같이 2 개 이상의 행을 가진 아틀라스 필렛 바인딩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제품에 줄무늬를 유도하기가 더 쉽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편물 패턴에 대한 또 다른 예는 도 6에 도시된 코드 스티치이다. 따라서, 코드 스티치는 전술한 2 개의 열 아틀라스 구조 (도 6 참조)에서와 유사한 사변형 개구부(10)를 갖는 네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유형 1-0 / 2-3 // (도 6)의 래핑 패턴을 따른다. 또한 이 패턴은 앞서 기술한 아틀라스 바인딩과 같은 상호 연결점에서 얀의 풍부함이 적은 구조가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패브릭얀(20)의 풍부함이 적은 구조물은 패브릭 얀(20)이 텍스타일 패브릭(2)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서 유사한 높이 수준에 가능한 한 많이 있게 하며, 이것은 연마 벨트의 많은 적용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텍스타일 패브릭(2)의 전방 측은 연마재(50)를 지닐 것이고, 텍스타일 패브릭(2)의 후면은 지지 장치로부터의 압력을 가능한 한 고르게 분산시켜 분배 할 것이다.
또한 코드 스티치에 있어서, 개구부(10)는 고도로 대칭이며 인접한 개구부 사이의 연마 영역은 연마 벨트(1) 전체에 걸쳐 매우 균일하다. 또한 인접한 개구부(10)는 벨트(1)의 기계 방향(M1)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이렇게 하면 샌딩된 제품에 줄무늬가 생기지 않는 샌딩 결과가 보장된다.
아틀라스 바인딩 및 코드 스티치에 있어서, 바람직한 2 개의 편물 패턴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편물 패턴도 또한 기계적 안정성, 분진 및 기타 입자에 대한 벨트의 투과성 및 심지어 샌딩 결과와 관련하여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기에 적합 할 수 있다. 하나의 추가적인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10 / 12 / 10 / 12 / 23 / 34 / 45 / 43 / 45 / 43 / 32 / 21 // 유형의 날실 편물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더 적은 분진 추출 능력을 갖지만 기계 방향에서 매우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보다 밀폐된 제품이 생성된다. 그러나 샌딩 결과는 전술 한 구조와 비교하여 더 고르지 않을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적합한 직물은 ISO 8388에 정의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텍스타일 패브릭은 ISO 8388에 정의되어 있고, 씨실 짜기의 저지-기반 패브릭, 씨실 짜기의 이중층 저지-기반 패브릭, 씨실 짜기의 리브-기반 패브릭, 씨실 짜기의 펄 기반 패브릭, 날실 짜기의 저지 -기반 패브릭, 날실 짜기의 리브 -기반 패브릭, 날실 짜기의 안뜨기-기반 패브릭, 조합된 날실 및 씨실 짜기의 저지-기반 패브릭 및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의 패턴 및 형상을 직조된 직물 또는 종이 기재 및 필름과 같은 다른 기본 소재로 전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와 연마 영역 사이의 상이한 개구부 크기 및 표면적 비율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꼬임으로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장시 기계 방향의 연신율에 대한 텍스타일 패브릭(2)의 기계적 안정성, 특히 내구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보강 인레이 또는 대체로 보강재를 벨트(1)에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인레이 벨트(1)의 구조체 내로 가공되는 보강 얀(25)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필라 스티치 또는 인레이가 기계 방향의 보강재로서 일체화 될 수 있다. 도 8은 보강 얀(25)에 의해 보강된 가능한 편물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이에 의해 보강 얀(25)은 어두운 색으로 도시된다. 예로서, 도 8에 도시 된 보강 얀(25)은 2 열의 아틀라스 바인딩으로 가공된다. 생성되는 구조는 연결 지점에서 최소의 얀 강화로 주로 사변형 개구부를 갖는다. 텍스타일 패브릭의 종 방향 보강을 위한 필라 스티치의 사용은 이 특정 구조에서의 얀의 추가적인 풍부함을 초래한다.
아틀라스 구조로 보강 얀(25) 인레이의 바람직한 일체화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열에 걸쳐 진행하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 필라 스티치의 사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유형 1-0/0-1 // 또는 0-1 / 1-0 //의 보강 필러 스티치는 아틀라스 바인딩의 일반 방향을 따라 튀어 나오므로, 부분적으로 개구부를 덮지 않습니다. 달리 말하면, 보강 얀은 일반적으로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빔을 따른다. 이러한 보강은 스티치가 기본 직물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특정 제한된 신축성만 허용하는 방식으로 스티치의 기본 바인딩에도 적용된다(도 8).
자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아틀라스 구조는 또한 텍스타일 패브릭 (2)의 편성 방향을 따라 그 연신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보강될 수 있다. 도 4의 아틀라스 바인딩이 0-0 / 1-1 //의 인레이 바인딩에 의해 보강된 다른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2 열 네트 구조를 갖는 아틀라스 구조에서, 개방형 또는 폐쇄형 스티치 및 인레이 0-0 / 0-0 //은 텍스타일 패브릭의 편성 방향을 따라 연신율을 감소시키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 유형은 직물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보강은 아틀라스 바인딩 구조를 보다 면밀히 따를 1-1 / 0-0 유형의 인레이를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코드 바인딩의 경우 소재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라 스티치를 통합 할 수 있다. 도 10에는 1-0 / 0-1 // 또는 0-1 / 1-0 // 유형의 필라 스티치가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필러 스티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소재를 통해 기계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인레이 얀을 사용하여 전술한 필러 스티치 보강과 유사한 보강을 유도할 수 있다.
주목할 만하게 인레이, 날실 또는 편직된 필러 스티치로 삽입된 얀은 세로 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기계적 변위가 매우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는 횡 방향으로 연신되기 쉽다. 이러한 상황은 텍스타일 패브릭(2)을 연신시키고 재료에서 더 크거나 작은 개구부(10)를 형성함으로써 함침 공정 동안 텍스타일 패브릭(2) 내의 개구부(10)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삽입된 편직 구조물, 인레이-얀 또는 보강 얀(25)은 최종 텍스타일 패브릭 표면에서의 높이 차이의 생성을 피하기 위해 충분히 얇고, 동시에 인장력에 견딜 정도로 충분히 강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얀(25)은 약 0.05 내지 2.00 mm의 최대 두께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께는 0.1 내지 0.5 mm의 범위이다. 기본 텍스타일 패브릭(2)의 패브릭 얀(20)의 두께와 관련하여, 기본 패브릭 얀 대 보강 얀의 두께 비는 대략 1:1 내지 20:1이며, 10:1 내지 2:1 이 대부분의 경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강 얀(25)의 두께에 의해, 텍스타일 패브릭 (2)의 균일한 높이 분포가 보강 얀(25)의 결합에 의해 지나치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작은 높이 차이는 이후의 공정 단계에서 균형을 재조정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연마 제품의 코팅 중에, 연마 제품 (50)이 텍스타일 패브릭의 정해진 영역만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흩어져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코팅을 적용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 잉크젯, 그라비어 롤러 코팅 등과 같은 인쇄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코팅된 표면은 균일한 표면 마무리를 얻기 위해 연마 또는 샌딩(sanding) 공정에 의해 기계 가공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함침된 텍스타일 패브릭 구조의 샌딩 면적 균형의 불균일이 코팅 공정 중에 보상될 수 있다.
벨트의 후면에 적용되는 통기성 제 2 코팅 (도시되지 않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제 2 코팅은 벨트의 "후면"(즉, 작업 편과 접촉하지 않는면)을 평탄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연마 벨트(1)의 기본 텍스타일 패브릭(2) 및 보강 얀(25)을 위한 패브릭 얀(20)은 전형적으로 적절한 인장 특성 및 낮은 비용으로 인하여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아미드의 텍스쳐화된 또는 플랫 얀이다. 그러나 면, 마 또는 이와 유사한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를 기본으로 한 얀도 적합할 수 있다. 이것은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 텍스타일 패브릭의 기본 구조 또는 보강에 사용될 수 있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를 기반으로 한 소위 스테이플 섬유 또는 멀티 필라멘트 얀의 사용을 포함한다. 단일 또는 합연된 얀인 꼬인 얀은 선택적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탄성 얀은 특정 형태로, 예를 들어 개구부의 형상이 특별한 형상으로 변화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텍스타일 패브릭이 특정 방법으로 연신되어야 할 때 특정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TY (Drawn Texturized Yarn)로 알려진 용어인 "텍스쳐화 된 얀"은 필라멘트 얀이 감겨지거나 구겨지거나 반복되는 방식으로 열적 또는 기계적 방법 또는 그 조합으로 처리된 멀티 필라멘트 얀이다. 공기 텍스쳐링, 나이프 에지 텍스쳐링, 가연 마찰 텍스쳐링, 스터퍼 박스 텍스쳐링 또는 기어 주름 잡은 얀과 같은 다양한 텍스쳐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플랫 얀 (flat yarn)"이라는 용어는 FDY라는 약어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완전 연신 얀 (Fully Drawn Yarn)으로 불린다. 이러한 FDY는 모노 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에 기초한 다양한 빌드 업 (build up) 유형일 수 있다. 이 얀은 또한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외관에 관해서는 완전 광택, 반정도의 광택 또는 무광택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얀, 필라멘트 및 이들의 단면이 이용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라운드 형, 삼엽 형, 다중 에지 형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형상일 수 있다.
텍스쳐화 된 또는 플랫 얀과 같은 유형의 얀은 텍스쳐화의 유형, 또는 모양 및 외관과는 별도로, 부가적으로 뒤틀릴 수 있다. "뒤틀림(Twisting)"은 실을 "S"와 "Z"방향으로 일반적으로 불리는 두 가지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꼬임 방향은 실이 꼬인 방향을 나타낸다. "S"및 "Z" 연사는 서로의 거울상과 유사하다. 이러한 실의 비틀림은 대부분의 경우 날실 뜨기에서 기술적인 관련성을 거의 갖지 않지만, 최종 텍스타일 패브릭에서 상이한 광학 효과를 초래한다.
기본 텍스타일 패브릭(2) 및 보강 얀(25)을 위한 패브릭 얀(20)은 모노 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 얀일 수 있다.
용어 "모노 필라멘트 얀"은 단일 필라멘트 또는 재료로 구성된 인공의 끝이 없는 방적사를 의미한다. 특정 두께의 얀 (yarn), 예를 들어 20 dtex는 다른 하위 구조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필라멘트로만 구성된다. 따라서 멀티 필라멘트 얀은 모노 필라멘트 얀과는 달리 몇 개의 하부 구조 (필라멘트)로 구성된다. 이로써, 얀은 얀이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수에 의해 구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dtex 멀티 필라멘트 얀은 예를 들어 2 개 이상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연된 얀(plied yarn)"은 전형적으로 뒤틀린 얀, 뒤틀리지 않은 얀, 텍스쳐화된 또는 텍스쳐화되지 않은 얀, 또는 섞이거나 섞이지 않은 얀일 수 있는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뒤틀린 얀은 혼합되지 않는다. 이전에 기술된 단일 얀은 이후에 결합되어 합연(plied) 라 불리는 새로운 더 두꺼운 얀을 형성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합연된 얀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단일 얀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함께 겹쳐져 있다.
"천연 섬유"라는 용어는 재생 가능 소재를 기원으로 한 섬유를 의미한다. 이들은 식물이나 동물에서 직접 얻은 면, 삼, 양모, 실크 또는 유사 소재와 같은 섬유 형성 소재를 의미한다.
"인공 섬유"라는 용어는 천연 섬유와 다른 모든 섬유를 지칭한다. 인공 섬유는 석유 화학 제품, 바이오 기반 폴리머 또는 유기 원료에서 종합적으로 생산 될 수 있다. 재생 섬유는 인공 섬유 밑의 하나의 하위 그룹이다. 그것들은 화학적 및 기계적 과정을 거쳐 식물과 같은 천연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섬유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로부터 만들어진 비스코스(Viscose), 대나무(Bamboo) 및 모드(Modal) 타입 얀이다. 합성 섬유는 석유 화학 제품, 예를 들면 폴리 에스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나일론, 아라미드 및 탄소로 제조 될 수 있다. 이 범주에는 또한 화학적으로 변형된 섬유 형성 소재 및 예를 들어 젖산, 아미노산 또는 이산화 프로필렌 기반 소재와 같은 바이오 기반 빌딩 블록의 중합체로 제조된 섬유가 포함된다.
연마 벨트(1)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은 탄소 섬유 또는 도전성을 제공하는 유사한 소재의 얀의 혼입을 포함할 수 있는 최종 연마 제품의 전기 전도성 일 수 있다. 이러한 개질된 얀의 예는 금속 코팅 얀 또는 전도성 코어를 갖거나 다른 처리로 처리되는 얀이다.
이것은 기본 텍스타일 패브릭(2)이 단독으로 탄소 또는 다른 전도성 얀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전도성이 높은 재료를 얻기 위해서는 텍스타일 패브릭의 함침에 사용되는 수지에 대해서도 자연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수지는 또한 텍스타일 기재와 수지 함침물 복합체의 전도성을 얻기 위해 탄소, 금속, 금속 이온 등과 같은 전도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텍스타일 기반 벨트에 대한 다른 중요한 얀의 예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HMWPE), 폴리 프로필렌(PP) 및 아라미드 얀의 섬유를 포함한다. 이들은 텍스타일 패브릭의 기본 구조 또는 소재의 보강만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평직 또는 텍스쳐화 된 얀의 두께는 지지 소재로서의 텍스타일 패브릭의 목적하는 인장 및 연신율 값뿐만 아니라 연마 입자의 목적하는 크기 또는 최종 생성물의 최종 용도에 따라 5 내지 4000 dtex의 범위일 수 있다. 단위 "dtex"는 정의상 얀 10,000m 당 그램 단위의 중량이다. 아틀라스 베이스 얀의 통상적인 두께는 보강 얀에 대해 150 내지 900dtex 및 15 내지 450dtex이다.
편직 구조체가 - 보강 얀에 의해 보강 되더라도 - 종 방향으로 힘에 노출 될 때 이것은 작지만 여전히 바람직하지 않은 연신을 초래할 수있다. 이것은 텍스타일 패브릭(2)이, 수지로 함침되거나 코팅제 또는 연마제를 적용하기 전에 제 2 코팅재로 코팅 된 시점에서 종 방향 연신에 이미 노출 된 경우, 피할 수 있다. 함침동안 텍스타일 패브릭의 이러한 연신으로 인해, 기계적으로 변위 가능한 부분은 팽팽한 상태로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함침물(30)/코팅재(40)가 경화되고 텍스타일 패브릭(2)이 종 방향 힘을 더 잘 견딜 수 있고 또한 더 이상의 연신이 감소될 때, 얀은 여전히 팽팽한 상태가 된다.
또한, 함침(30)의 최종 경화 후에 횡 방향으로 텍스타일 패브릭(2)의 신축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텍스타일 패브릭(2)의 보다 광범위한 연신은 보다 큰 개구부(10)의 형성을 유도하지만, 경화가 완료된 후 함침된 소재의 횡 방향 연신이 감소되게 될 것이다. 사용시 횡 방향 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횡 방향의 힘은 전형적으로 종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보다 상당히 낮은 크기이다), 함침 동안 이러한 보다 광범위한 연신은 소재가 연마 벨트로서 사용될 때 최종 텍스타일 패브릭(2)이 횡 방향으로 과도하게 연신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이한 타입의 함침(30) 및 코팅(40)이 텍스타일 패브릭(2)에 적용될 수 있다. 벨트의 후면상의 제 2 코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함침 및 코팅에 사용되는 수지의 유형은 유럽특허 제 0779851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페놀, 우레아 또는 라텍스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벨트는 롤러 코팅, 분무 코팅, 커튼 코팅을 사용하여, 스크린 프린팅 또는 그라비어 롤러와 같은 인쇄 방법으로, 메이크 및 사이즈 코트라고 하는 코팅을 생성하는 전사 호일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드, 아크릴레이트 또는 유사한 수지와 같은 방사선 경화성 함침 수지가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경화 가능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나이드 또는 유사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이 직물의 기계적 안정화에 이용될 수 있다. 수지는 지방산에톡실레이트와 같은 표면 활성 소재, 또는 섬유, 삼중 수산화 알루미늄, 카올린, 탄산 칼슘, 활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충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1)의 텍스타일 패브릭(2)은 또한 유럽 특허 제 0 779 851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텍스타일의 기술적 앞면 또는 뒷면으로부터 임의의 종류의 표면 변형을 받을 수 있다.
연마 영역(60)은 동일 또는 개별 공정에서 탄화 규소, 갈색, 분홍색, 백색 또는 고온 처리 종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연마 제품(50)이 뿌려지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로써 세라믹 코팅 또는 유사한 입자뿐만 아니라 다이아몬드, CBN 또는 통상적으로 수퍼 - 연마재로 언급되는 다른 입자와 같은 고성능 연마재가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도 11A, 11B 및 11C는 함침된 직물의 단면을 절단한 SEM 이미지이다. 절단은 직물의 미리 정의된 기계 방향에 대해 수직이고 동시에 앞면과 뒷면에 수직으로 실행된다.
원래의 SEM 이미지(도 11a 및 11b)에서 패브릭 얀은 주변의 함침 레진과 쉽게 구별 될 수 있다. 도 11b는 평면 절단을 달성하기 위해 절단 이전에 "몰드 수지 (mold resin)"(실제 제품과 관련이 없고 이미징 목적으로 만 적용된)에 매립된 횡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패브릭 얀과 주변 함침 수지 사이의 면적 비율은 사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 가능하다. 몰드 수지의 주변 영역은 이로써 고려되며 전체 단면적으로부터 감소된다.
얀과 함침 수지의 부피비를 계산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동일한 분석을 기계 방향으로 몇 번 반복 절단(> 5)하여 수행한다.
섬유는 수동으로 또는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식별되고 연관된 픽셀 수가 추출된다 (도 11c). 얀 영역의 픽셀 수를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는 도 11c에 도시된다. 유사한 색 또는 반전된 그림을 사용하여 함침 수지로 덮인 픽셀의 영역을 결정한다. 얀 표면으로부터의 픽셀 수는 제품의 컷 표면의 총 픽셀 수 또는 함침 수지의 픽셀 수와 관련된다.
통계적으로 충분한 컷 수에 대한 함침 수지의 평균 분율에 대한 패브릭 얀의 평균 면적 분율을 계산함으로써, 이는 얀과 함침 수지 사이의 체적비로 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c에 도시 된 예에서, 함침 수지에 대한 패브릭 얀의 부피 분율은 약 1.7이고, 이에 따라 제품의 총 부피(개구부 제외)에 대한 패브릭 얀의 부피 분율은 약 0.6이다.
경화 후 패브릭 및 함침된 패브릭의 중량을 관련시킴으로써 패브릭 및 함침된 패브릭의 중량 비율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비는 0.05와 0.9 사이에 존재하는 반면, 바람직하게는 0.1과 0.7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와 0.4 사이에 있다. 충분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연마재 벨트가 이러한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일정량의 수지는 텍스타일 패브릭 기재로부터(패브릭 얀의 풍부한 지점과 관련하여) 기인하는 불규칙성이 균형을 이루도록 보장한다.
상기 예에서, 함침 수지만이 존재하는 샘플이 조사되었지만, 상기 분석은 (부가적으로) 코팅된 제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값은 직물에 대한 패브릭 얀의 상응하는 부피/중량 비이며, 수지 분획은 함침 수지와 코팅 또는 단순히 코팅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일반적인 상황에서, 추가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분석은 패브릭 얀의 부피/중량 대 전체 제품(개구부를 포함하지 않음)
의 부피/ 중량비 및/또는 적용된 코팅 및 이들의 조합을 유도할 것이다.
연마 벨트에 대한 필요 사항이 충족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적절한 분진 제거 및 충분한 인장 특성뿐만 아니라 입자의 균질한 분포를 허용한다. 또한 개방 구조는, 벨트의 투명성이 기계 작업자에게 예를 들어 스트로크 샌더 (stroke sanders)의 경우와 같이 샌딩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특정 유형의 벨트 샌딩 기계에 매우 유용하다.
1 : 연마 벨트
2 : 텍스타일 패브릭
20 : 패브릭 얀
30 : 함침물
40 : 코팅
50 : 연마재
60 : 연마 영역
10 : 개구부
M1 : 기계 방향
L1, L2 : 기계 방향(M1)에 수직인 라인
21 : 빔
25 : 보강 얀

Claims (24)

  1.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으로 형성된 텍스타일 패브릭 및
    텍스타일 패브릭의 일면 상에 형성된 일관된 연마 영역을 포함하며,
    연마 벨트는 관통 구멍의 형태로 규칙적으로 분포된 다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연마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연마 벨트의 기계 방향에 수직인 라인으로 배열되고,
    개구부는 라인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라인들은 그 개구부들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3. 제 2 항에 있어서,
    후속 라인은 그 개구부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 전체 제품의 부피에 대한 패브릭 얀의 부피의 비가 0.1 내지 0.9,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 인 연마 벨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패브릭의 한면 상의 일관된 연마 영역은 텍스타일 패브릭의 한면에 도포된 코팅을 포함하는 연마 벨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브릭 얀의 두께는 5 내지 4000 dtex이며, 특히 150 내지 900 dtex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브릭 얀은 편직, 스티치 또는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마름모 또는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긴 치수 및 짧은 치수를 가지며, 긴 치수는 연마 벨트의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가장 큰 직경은 0.3mm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은 복수의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빔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빔은 이웃하는 개구부를 분리하고 기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의 상호 연결 지점에서 교차하는 패브릭 얀의 수는 연마 벨트 전체에 걸쳐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패브릭은 아틀라스 또는 코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패브릭 내로 가공된 보강 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보강 얀은 필라 스티치의 형태로 텍스타일 패브릭에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보강 얀은 패브릭 얀의 두께의 1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패브릭 얀의 두께의 1 / 2 내지 1 / 10 배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7. 제 11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보강 얀이 빔에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패브릭은 함침물로 함침되고, 텍스타일 패브릭은 바람직하게는 함침을 적용 및/또는 경화할 때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표면적은 전체 일관된 연마 영역의 총 표면적의 0.1 내지 10 배, 바람직하게는 일관된 연마 영역의 총 표면적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관된 연마 영역의 총 표면적의 1.0 내지 2.2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0mm의 샘플 길이의 50mm 폭당 100N의 힘이 가해질 때, 연신율은 1 % 미만, 바람직하게는 0.8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21. 관통 구멍 형태의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연마 벨트로서,
    상기 개구부는 연마 벨트의 기계 방향에 수직 인 라인으로 배열되고,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라인들의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며;
    후속 라인들은 그 개구들의 위치에 대해 서로 오프셋되는 연마 벨트.
  22. 제 2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후속 라인들 사이의 오프셋은 모든 제 2 라인의 개구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벨트.
  23. 상호 연결된 패브릭 얀으로 형성되는 텍스타일 패브릭,
    관통 구멍 형태의 다수의 개구부,
    텍스타일 패브릭의 전면의 연마 영역, 및
    텍스타일 패브릭의 후면의 코팅를 포함하는 연마 벨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코팅은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마 벨트.
KR1020177033793A 2015-05-08 2015-05-08 연마 벨트 연삭 제품 KR20170140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5/060186 WO2016180437A1 (en) 2015-05-08 2015-05-08 Abrasive belt grinding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311A true KR20170140311A (ko) 2017-12-20

Family

ID=5317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793A KR20170140311A (ko) 2015-05-08 2015-05-08 연마 벨트 연삭 제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890723B2 (ko)
EP (1) EP3294496B1 (ko)
KR (1) KR20170140311A (ko)
CN (1) CN107690372B (ko)
AU (1) AU2015394604B2 (ko)
BR (1) BR112017024003B1 (ko)
CA (1) CA2983478C (ko)
ES (1) ES2940467T3 (ko)
MX (1) MX2017014285A (ko)
RU (1) RU2688845C1 (ko)
WO (1) WO2016180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255B2 (en) * 2015-10-27 2022-10-11 Fujibo Holdings, Inc. Lapp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ished product
USD919724S1 (en) * 2016-08-19 2021-05-18 James C. Van Loon, III Lacrosse mesh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541A (en) * 1908-05-08 1910-04-19 Petersen Circular Loom Company Woven tubular fabric.
US2984052A (en) 1959-08-12 1961-05-16 Norton Co Coated abrasives
US3861892A (en) * 1973-02-08 1975-01-21 Norton Co Coated abrasive material and manner of manufacture
ES477698A1 (es) * 1978-02-17 1979-12-01 Minnesota Mining & Mfg Un metodo de fabricar un producto abrasivo de baja densidad,esponjoso, no tejido.
DE2928484B1 (de) 1979-07-14 1980-10-16 Ver Schmirgel & Maschf Verfahren zur Herstellung flexibler Schleifmittel
US4282011A (en) * 1980-05-30 1981-08-04 Dan River Incorporated Woven fabrics containing glass fibers and abrasive belts made from same
US4725487A (en) * 1986-03-28 1988-02-16 Norton Company Flexible coated abrasive and fabric therefor
DE3808426C2 (de) * 1988-03-14 1995-01-26 Hermes Schleifmittel Gmbh & Co Flexibles Schleifwerkze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0214039A (ja) 1988-06-29 1990-01-18 Nitto Boseki Co Ltd 繊維補強熱可塑性樹脂成型材用織物
IE80898B1 (en) * 1989-09-28 1999-06-02 Milliken Europ Nv Stabilised fabrics
DE8912060U1 (ko) * 1989-10-10 1991-02-07 Norddeutsche Schleifmittel-Industrie Christiansen & Co (Gmbh & Co), 2000 Hamburg, De
FI96585C (sv) 1994-09-06 1996-07-25 Kwh Mirka Ab Oy Slipprodukt
US5674122A (en) 1994-10-27 1997-10-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rasive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DE29518953U1 (de) 1995-11-29 1997-03-27 Hermes Schleifmittel Gmbh & Co Schleifband
US6672952B1 (en) * 1998-12-23 2004-0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arable abrasive article
US20020090901A1 (en) 2000-11-03 2002-07-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abrasiv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3886944B2 (ja) * 2003-07-15 2007-02-28 Ykk株式会社 編込み面ファスナー
FI114902B (sv) 2003-10-06 2005-01-31 Kwh Mirka Ab Oy Slipprodukt
FI121653B (sv) 2005-06-13 2011-02-28 Kwh Mirka Ab Oy Flexibel slipprodukt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densamma
US20070002852A1 (en) 2005-06-30 2007-01-04 Nokia Corporation Fixed interleaving length for MPE-FEC
US7258705B2 (en) * 2005-08-05 2007-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252694B2 (en) * 2005-08-05 2007-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102006060241A1 (de) * 2006-12-20 2008-06-26 Johns Manville Europe Gmbh Träger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7628829B2 (en) * 2007-03-20 2009-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4074884B1 (ja) * 2007-04-02 2008-04-16 株式会社カズマ 光透過性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2042269A1 (de) 2007-09-28 2009-04-01 sia Abrasives Industries AG Schleifnetz,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eifnetzes, Schleifkörper mit einem Schleifnetz, Schleif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s Netzes zum Herstellen eins Schleifnetzes
DE102009027254A1 (de) * 2009-06-26 2011-01-05 Huesker Synthetic Gmbh Textiles Flächengebilde mit integrierter Lichtleitfaser
US8057287B2 (en) * 2009-08-10 2011-11-15 Hg Tools Co., Ltd. Abrasive mesh for a powered grinding wheel
FR2954723B1 (fr) * 2009-12-29 2012-04-20 Saint Gobain Abrasives Inc Article abrasif comprenant un espace creux entre ses faces avant et arriere, et procede de fabrication
FI20105606A (fi) 2010-05-28 2010-11-25 Kwh Mirka Ab Oy Hiomatuote ja menetelmä tällaisen valmistamiseksi
EP2671988A3 (en) 2012-06-06 2015-07-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Knit fabric and an article comprising same
WO2014037034A1 (en) * 2012-09-05 2014-03-13 Kwh Mirka Ltd. Flexible grinding product with flattened su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2013CH05964A (ko) * 2013-12-20 2015-06-26 Saint Gobain Abrasives Inc
WO2016106336A1 (en) * 2014-12-24 2016-06-30 Saint-Gobain Abrasives, Inc. Abrasive flap wheels including hybrid fabrics
TWI713526B (zh) * 2016-05-20 2020-12-21 智勝科技股份有限公司 基底層、具有基底層的研磨墊及研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94604A1 (en) 2017-11-02
WO2016180437A1 (en) 2016-11-17
MX2017014285A (es) 2018-08-09
US11890723B2 (en) 2024-02-06
CN107690372A (zh) 2018-02-13
US20240123573A1 (en) 2024-04-18
CN107690372B (zh) 2022-03-29
BR112017024003B1 (pt) 2021-05-04
CA2983478C (en) 2024-01-02
AU2015394604B2 (en) 2019-08-01
ES2940467T3 (es) 2023-05-08
EP3294496B1 (en) 2022-11-23
EP3294496A1 (en) 2018-03-21
BR112017024003A2 (pt) 2018-07-17
RU2688845C1 (ru) 2019-05-22
CA2983478A1 (en) 2016-11-17
US20180133868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23573A1 (en) Abrasive belt grinding product
JP6160486B2 (ja) 扁平多葉形断面繊維を用いた織物
US368775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nonwoven fabric
US11407087B2 (en) Abrasive product
CN110385653B (zh) 圆盘形砂盘磨削制品
US6423393B1 (en) Abraded stitchbonded fabric and process for making same
TWI765851B (zh) 磨擦帶研磨產品
US7634922B2 (en) Knitting needle for knitting sueded fabrics and methods of knitting sueded fabrics
CN202064216U (zh) 一种超细纤维人工皮革
CN101688367B (zh) 具有受控塑化的多孔表面的工业织物
CN207313817U (zh) 一种耐磨超细纤维高密仿皮绒面料
CA2706230A1 (en) Industrial fabric for forming and pressing
US20230249317A1 (en) Abrasive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rasive product
TWI766865B (zh) 研磨產品
DE202015103867U1 (de) Schleifband/Schleifprodukt
DE202015009577U1 (de) Schleifband-Schleifprodukt
JPH05148746A (ja) 厚みのある軽量材
CS195407B1 (cs) Netkaná textilie a způsob její výro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