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418A -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418A
KR20050000418A KR10-2004-7017713A KR20047017713A KR20050000418A KR 20050000418 A KR20050000418 A KR 20050000418A KR 20047017713 A KR20047017713 A KR 20047017713A KR 20050000418 A KR20050000418 A KR 2005000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side
center frame
cylinder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479B1 (ko
Inventor
우라세고헤이
사와이사오리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은, 좌측전방 다리부(31)가, 확경(擴徑)통체로 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동일하게 확경통체로 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중간통부(31C)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통체로서, 주조(鑄造)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 성형된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주위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좌측전방 다리부(31)와 센터 프레임(12), 사이드 프레임(22)과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좌측후방 다리부(32)도 확경통체로 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확경통체로 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와, 중간통부(32C)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통체로서, 주조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 성형한다. 또한, 우측전방 다리부(33), 우측후방 다리부(34)도 마찬가지로 일체로 성형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TRACK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크롤러(crawler)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하고, 좌측, 우측의 크롤러를 구동함으로써, 산악지, 진흙탕 등의 부정부정지(不整地)를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종래 기술에 의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는, 상부 선회체(旋回體)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위치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 위치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좌측,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전, 후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트랙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1997)-142337호 공보 참조).
여기서, 센터 프레임에는 라운드 보디가 설치되고, 센터 프레임과 좌측,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는, 라운드 보디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X형으로 연장되는 좌측전방 다리부, 우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합계 4개의 다리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전방 다리부는, 센터프레임으로부터 좌측 사이드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하방향에서 대면한 상판 및 하판과, 이들 상판과 하판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전, 후 방향으로 대면한 전방측판 및 후방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박스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우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도, 좌측전방 다리부와 마찬가지로, 상판, 하판, 전방측판, 후방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박스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는, 4개의 다리부가 서로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판, 하판, 전방측판, 후방측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리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상판, 하판, 전방측판, 후방측판을 다리부의 형상에 맞추어 절단하는 절단 작업과, 전방측판과 후방측판을 상판과 하판에 용접하는 용접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절단 작업과 용접 작업을 4개의 다리부에 대하여 각각 행함으로써, 트랙 프레임의 제조 비용이 증대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4개의 다리부를 사이드 프레임에 용접하는 경우에는, 그 전 작업으로서 다리부의 선단측을 절단함으로써, 해당 다리부의 선단측에 사이드 프레임의 접합면에 간극없이 접합되는 접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절단 작업에 의해 다리부의 선단측에 접합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가공 오차 등에 의해 다리부의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의 접합 부분에 간극이 생기기 쉽고,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shovel), 유압 크레인 등의 하부 주행체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이 적용된 유압 셔블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트랙 프레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트랙 프레임을 윗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트랙 프레임을 도 3 중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후방 접속 플랜지, 좌측후방 다리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중 센터 프레임, 좌측,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우측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 등을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 중 센터 프레임,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모터 브래킷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 모터 브래킷부에 유압 모터 등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중 좌측전방 다리부를 단체(單體)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 중 좌측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도 9와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도 9와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센터 프레임, 좌측,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우측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 등을 나타낸 도 6과 마찬가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 중 센터 프레임,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모터 브래킷부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 중 좌측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중 좌측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센터 프레임, 좌측,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우측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 등을 나타낸 도 6과 마찬가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 중 센터 프레임,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모터 브래킷부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 중 좌측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중 좌측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3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4의 실시예에 의한 센터 프레임,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모터 브래킷부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제4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전방 다리부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5의 실시예에 의한 센터 프레임,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좌측전방 다리부, 좌측후방 다리부, 모터 브래킷부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등과의 접합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선회체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좌측,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전, 후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에 의해 구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는, 중간통부로부터 접합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확경(擴徑)통체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확경통체는 용융된 철계(鐵系)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鑄造) 수단에 의해 성형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다리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가, 직경이 커지는 통체로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확경통체로 된 접합부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해당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주조 수단을 이용한 확경통체로서 성형한 경우에는, 해당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센터 프레임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주조 수단을 이용한 확경통체로서 성형한 경우에는, 해당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사이드 프레임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확경통체는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므로, 이 확경통체로 된 접합부와 중간통부 사이를 용접 등에 의한 연결 부분이 없는 스무스한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고, 해당 접합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경통체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확경통체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의 양쪽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각각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다리부와 센터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 및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중간통부를 단일의 통체로 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 형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간통부로 이루어지는 다리부를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경우라도,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를 확경통체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합부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해당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리부를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 성형할 수 있으므로, 트랙 프레임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중간통부를 구성하는 중간통부재의 3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형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 중간통부재의 3부재를 사용하여 다리부를 형성한 경우라도,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 부재를 확경통체로서 형성할 수 있고, 그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를 별개의 단체(單體)로서 작게 주조하고,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 사이를 중간통부재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를 주조하기 위한 주형을 염가로 형성할 수 있어, 다리부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형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부재를 사용하여 다리부를 형성한 경우라도,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 부재를 확경통체로서 형성할 수 있고, 그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를 별개의 단체로서 작게 주조하고, 양자를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를 주조하기 위한 주형을 염가로 형성할 수 있어, 다리부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양쪽을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중간통부를 일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양쪽을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또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중간통부를 일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양쪽을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또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중간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중간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설치된 유동륜(游動輪) 브래킷부와,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타측에 설치된 모터 브래킷부와,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타측의 단면과 상기 모터 브래킷부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플랜지의 4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각 다리부 중 후방 다리부는 경사진 후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확경통체는, 중간 프레임부의 후방 부위와 접속 플랜지에 걸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확경통체를, 중간 프레임부의 후방 부위와 모터 브래킷부 측의 접속 플랜지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 용접할 수 있어,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속 플랜지는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센터 프레임측으로 길게 내민 돌출부를 가지고,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확경통체는, 중간 프레임부의 후방 부위와 접속 플랜지의 돌출부에 걸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확경통체와 접속 플랜지의 돌출부를 용접할 때에, 양자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확경통체는,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과 대략 직교하는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에 의해 형성하고, 접속 플랜지는, 사이드 프레임의 단면과 대면하는 프레임측 플랜지면부와, 상기 프레임측 플랜지면부로부터 센터 프레임측으로 길게 내민 다리부측 플랜지면부에 의해 형성하고, 접속 플랜지의 프레임측 플랜지면부는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의 후단과 접합하고, 접속 플랜지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는 확경통체의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과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확경통체 중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을,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용접할 수 있다. 또,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을, 접속 플랜지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확경통체를, 사이드 프레임과 접속 플랜지에 걸쳐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다리부 중 전방 다리부는 경사진 전방으로 또는 좌측,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는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의 실시예를, 유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 셔블의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1)은 유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이며, 상기 하부 주행체(1)는 후술하는 트랙 프레임(11)과, 상기 트랙 프레임(11)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사이드 프레임(22, 28)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설치된 유동륜(2), 구동륜(3)과, 이들 구동륜(3)과 유동륜(2)에 감아장착된 크롤러(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주행체(1)는, 구동륜(3)에 의해 크롤러(4)를 구동함으로써 산악지, 진흙탕 등의 부정지를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것이다. 또, 하부 주행체(1)의 전방측에는, 토사 등의 배토(排土) 작업, 땅고르기 작업 등을 행하는 배토판(5)이 상, 하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6)은 하부 주행체(1)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이며, 상기 상부 선회체(6)는, 트랙 프레임(11) 상에 선회륜(7)을 통하여 설치된 선회 프레임(8)과, 상기 선회 프레임(8) 상에 설치되어 운전실을 구획하는 캡(9)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부 선회체(6)의 전방측에는, 예를 들면 스윙 포스트식의 작업 장치(10)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 장치(10)는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11)은 하부 주행체(1)의 트랙 프레임이며, 상기 트랙 프레임(11)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12),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28), 좌측전방 다리부(31), 좌측후방 다리부(32), 우측전방 다리부(33), 우측후방 다리부(3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2)는 센터 프레임이며, 상기 센터 프레임(12)은 트랙 프레임(11)의 중앙부 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12)은, 상면측 중앙에 선회륜(7)을 장착하기 위한 라운드 보디(13)가 고착된 육각 형상의 상판(14)과, 상판(14)과 대략 마찬가지의 육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판(14)과 상, 하 방향에서 대면한 하판(15)과, 상판(14) 및 하판(15)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판(16)과, 상판(14) 및 하판(15)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판(17)과, 좌측판(16) 및 우측판(17)의 전방에 위치하여 좌측,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전방판(18)과, 좌측판(16) 및 우측판(17)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판(18)보다 협폭으로 되어 좌측,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방판(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판(16)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사이드 프레임(22)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측판(16)은,상판(14)과 하판(15)의 좌단측에 용접되고, 상기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좌측으로부터 폐색(閉塞)하고 있다. 한편, 우측판(17)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향하여 사이드 프레임(28)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우측판(17)은, 상판(14)과 하판(15)과의 우단측에 용접되고, 상기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우측으로부터 폐색하고 있다. 또, 전방판(18)은, 상판(14), 하판(15), 좌측, 우측의 측판(16, 17)의 전단측에 용접되고,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폐색하고 있다. 또한, 후방판(19)은, 상판(14), 하판(15), 좌측, 우측의 측판(16, 17)의 후단측에 용접되고,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후방으로부터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12)은, 이들 상판(14), 하판(15), 좌측판(16), 우측판(17), 전방판(18), 후방판(19)에 의해 육각 형상을 이루는 편평한 박스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20)은 센터 프레임(12)를 구성하는 전방판(18)의 중앙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장착 브래킷이며, 상기 장착 브래킷(20)은, 센터 프레임(12)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브래킷(20)은, 도 1에 나타낸 배토판(5)을 상, 하로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21, 21)은 장착 브래킷(2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센터 프레임(12)의 전방판(18)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한쌍의 지지 브래킷이며, 상기 각 지지 브래킷(21)은, 센터 프레임(12)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 브래킷(21)은, 도 1에 나타낸 배토판(5)에 설치한 좌측, 우측의 지지암(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22)는 센터 프레임(12)의 좌측에 설치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22)은, 후술하는 중간 프레임부(23), 전방 접속 플랜지(24), 후방 접속 플랜지(25), 유동륜 브래킷부(26), 모터 브래킷부(2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3)은 사이드 프레임(22)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중간 프레임부이며, 상기 중간 프레임부(23)은, 예를 들면 강판(鋼板) 등으로 절곡 가공, 용접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판(23A), 하판(23B), 좌측판(23C), 우측판(23D)에 의해 둘러싸인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각 통체로서 형성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24)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전단측을 폐색하는 전방 접속 플랜지이며, 상기 전방 접속 플랜지(24)는 강판 등의 평판재로 이루어지고, 중간 프레임부(23)의 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25)는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측을 폐색하는 후방 접속 플랜지이며, 상기 후방 접속 플랜지(25)도 강판 등의 평판재로 이루어지고,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 접속 플랜지(25)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접속 플랜지(24)와 비교하여 좌측, 우측 방향으로 폭넓은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후방 접속 플랜지(25)는,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면과 대면하는 프레임측 플랜지면부(25A)와, 상기 프레임측 플랜지면부(25A)로부터 센터 프레임(12) 측으로 길게 내민 돌출부로서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로 되어 있다. 또,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는, 후술하는 유압 호스(3C)를 삽입하기 위한 호스 삽입공(2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프레임측 플랜지면부(25A)는,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부에 용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으로부터 내측(센터 프레임(12) 측)으로 길게 뻗고, 후술하는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에 용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6)은 유동륜(2)을 장착하는 유동륜 브래킷부이며, 상기 유동륜 브래킷부(26)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전단측에 전방 접속 플랜지(24)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유동륜 브래킷부(26)는, 예를 들면 강판 등으로 절곡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판(26A), 좌측, 우측의 측판(26B) 등을 가지는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도 1에 나타낸 유동륜(2)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동륜 가이드(26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유동륜 브래킷부(26)의 상판(26A)에는, 유동륜(2)이 유동륜 가이드(26C)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전, 후 방향으로 대략 U자형으로 연장되는 절결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27)은 구동륜(3)의 유압 모터(3A)를 장착하는 모터 브래킷부이며, 상기 모터 브래킷부(27)는,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측에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 브래킷부(27)는,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후면에 고착되고 후방에 원호형으로 돌출된 장착판(27A)과, 상기 장착판(27A)에 형성된 모터 장착공(27B)과, 장착판(27A)의 외주 주위에 고착된 대략 U자형의 플랜지판(27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브래킷부(27)의 장착판(27A)에는,구동륜(3)을 회전시키는 주행용의 유압 모터(3A)가 장착되고, 상기 유압 모터(3A)의 회전은 감속 장치(3B)를 통하여 구동륜(3)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모터(3A)에는, 유압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 라인의 유압 호스(3C)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유압 호스(3C)는, 후방 접속 플랜지(25)(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설치한 호스 삽입공(25C)으로부터 후술하는 좌측후방 다리부(32) 내로 도출되고, 상기 좌측후방 다리부(32)를 통해서 유압원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8)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에 설치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이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28)은,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과 마찬가지로, 중간 프레임부(23), 전방 접속 플랜지(24), 후방 접속 플랜지(25), 유동륜 브래킷부(26), 모터 브래킷부(2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31)은 좌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전방 다리부(31)는 후술하는 좌측후방 다리부(32)와 함께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좌측전방 다리부(31)는, 일단측이 센터 프레임(12)(좌측판(16))의 전방측에 접합되어 타단측이 좌측 경사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2)을 구성하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전방 다리부(31)는,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3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 중간통부(31C)는, 예를 들면 주강(鑄鋼) 재료, 또는 용접 가능한 주철(鑄鐵)(예를 들면, 탈탄 주철) 재료 등의 철계 금속을 용융하여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체로서 일체 성형(주조)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중간통부(31C)로부터 접합단(31A1)(센터 프레임(12)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나팔형의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접합단(31A1)은,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1)은 확경통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합단(31A1)을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맞대어 용접했을 때는, 접합단(31A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센터 프레임(12)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는 주조 수단에 의해 확경통체로서 성형되어 있으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단면 형상은, 중간통부(31C)로부터 접합단(31A1)을 향해 연결 부분없이 스무스하게 변화한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12)과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나, 중간통부(31C)로부터 접합단(31B1)(사이드 프레임(22)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나팔형의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31B1)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은 확경통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합단(31B1)을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맞대어 용접 했을 때는, 접합단(31B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사이드 프레임(22)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는 주조 수단에 의해 확경통체로서 성형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단면 형상은, 중간통부(31C)로부터 접합단(31B1)을 향해 연결 부분없이 스무스하게 변화한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22)과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2)는 좌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후방 다리부(32)는 좌측전방 다리부(31)와 함께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좌측후방 다리부(32)는, 일단측이 센터 프레임(12)(좌측판(16))의 후방측에 접합되고, 타단측이 좌측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2)을 구성하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후방 다리부(32)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의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와,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3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 중간통부(32C)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의 용융된 철계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체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중간통부(32C)로부터 접합단(32A1)(센터 프레임(12)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32A1)은,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접합단(32A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는 주조 수단에 의해 확경통체로서 성형되어 있으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단면 형상은, 중간통부(32C)로부터 접합단(32A1)을 향해 스무스하게 변화되고, 센터 프레임(12)과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도, 중간통부(32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2B1)(사이드 프레임(22) 측의 개구단)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후방 접속 플랜지(25)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2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2B1)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간극없이 맞대어진 상태로 상기 우측판(23D)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간극없이 맞대어지고, 또한 호스 삽입공(25C)을 덮은 상태로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용접되어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2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의 주위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는 주조 수단에 의해 확경통체로서 성형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단면 형상은, 중간통부(32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2B1),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을 향해 스무스하게 변화되고, 사이드 프레임(22)과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3)은 우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우측전방 다리부(33)는 후술하는 우측후방 다리부(34)와 함께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28)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우측전방 다리부(33)는 좌측전방 다리부(31)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3A)와, 사이드 프레임(28)(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3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3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3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3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전방 다리부(33)도 좌측전방 다리부(31)와 마찬가지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체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3A)는, 중간통부(33C)로부터 접합단(33A1)(센터 프레임(12) 측의 개구단)를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33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3B)도, 중간통부(33C)로부터 접합단(33B1)(사이드 프레임(28)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33B1)은, 사이드 프레임(28)(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34)는 우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우측후방 다리부(34)는 우측전방 다리부(33)와 함께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28)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우측후방 다리부(34)는, 좌측후방 다리부(32)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4A)와, 사이드 프레임(28)(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4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4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4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3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후방 다리부(34)도 좌측후방 다리부(32)와 마찬가지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체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4A)는, 중간통부(34C)로부터 접합단(34A1)(센터 프레임(12)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34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4B)도, 중간통부(34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4B1)(사이드 프레임(28) 측의 개구단)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4B2)(후방 접속 플랜지(25)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4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4B2)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4B1)은, 사이드 프레임(28)(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에 간극없이 맞대어진 상태로 상기 좌측판(23C)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4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간극없이 맞대어지고, 또한 호스 삽입공(25C)을 덮은 상태로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압 셔블의 트랙 프레임(1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음에,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하여 보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22)을 센터 프레임(12)에 연결하는 좌측전방 다리부(31), 좌측후방 다리부(32)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체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 의한 트랙 프레임과 같이, 서로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판, 하판, 전방측판, 후방측판 등을 사용하여 다리부를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판체의 절단 작업이나 용접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트랙 프레임(1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주조에 의해 성형하고 있으므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정밀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를 센터 프레임(12)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사이드 프레임(22)의 중간 프레임부(23)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는, 중간통부(3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용접 작업을 행할 때에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1)의 주위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센터 프레임(12) 사이, 및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사이드 프레임(22)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3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성형되어 있으므로, 중간통부(31C) 사이에 용접 등에 의한 연결 부분이 없는 스무스한 단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12)과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 및 사이드 프레임(22)과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좌측전방 다리부(31)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를 주조에 의해 성형하고 있으므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를 정밀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는, 센터 프레임(12)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는, 사이드 프레임(22)의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와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간극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는, 중간통부(32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용접 작업을 행할 때에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접합단(32A1)의 주위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32B1),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센터 프레임(12) 사이, 및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와 사이드 프레임(22) 및 후방 접속 플랜지(25)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모터 브래킷부(27) 측의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면에 용접되는 프레임측 플랜지면부(25A)와, 센터 프레임(12) 측으로 돌출된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의해 구성하고,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을 용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32B2)과 후방 접속 플랜지(25)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접합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32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성형되어 있으므로, 중간통부(32C) 사이에 용접 등에 의한 연결 부분이 없는 스무스한 단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12)과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 및 사이드 프레임(22)과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좌측후방 다리부(32)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는,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28)을 센터 프레임(12)에 연결하는 우측전방 다리부(33)와 우측후방 다리부(3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전방 다리부(31)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양쪽을, 중간통부(3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도 9 참조).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제1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전방 다리부(31')와 같이,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 만을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중간통부(3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후방 다리부(32), 우측전방 다리부(33), 우측후방 다리부(3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또,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제2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전방다리부(31")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만을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를, 중간통부(3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후방 다리부(32), 우측전방 다리부(33), 우측후방 다리부(3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다리부를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중간통부재의 3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41)은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11)에 대신하여 본 실시예에 사용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트랙 프레임(41)은, 제1의 실시예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28), 후술하는 좌측전방 다리부(51), 좌측후방 다리부(52), 우측전방 다리부(53), 우측후방 다리부(5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41)은, 각 다리부(51)~(54)의 구성이 제1의 실시예에 의한 각 다리부(31)~(34)와는 상이한 것이다.
(51)은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전방 다리부(51)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재(51C)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3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전방 다리부(5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와 중간통부재(51C)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의 용융된 철계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중간통부재(51C)는, 원통형의 강관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는, 중간통부재(51C)로부터 접합단(51A1)(센터 프레임(12)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51A1)은,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도, 중간통부재(51C)로부터 접합단(51B1)(사이드 프레임(22) 측의 개구단)를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51B1)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52)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후방 다리부(52)는,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재(52C)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3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후방 다리부(5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와, 중간통부재(52C)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의 용융된 철계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중간통부재(52C)는, 원통형의 강관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는, 중간통부재(52C)로부터 접합단(52A1)(센터 프레임(12)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52A1)은,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간극없이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52B)도, 중간통부(52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52B1)(사이드 프레임(22) 측의 개구단)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52B2)(후방 접속 플랜지(25) 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52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52B2)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52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간극없이 맞대어진 상태로 상기 우측판(23D)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5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간극없이 맞대어지고, 또한 호스 삽입공(25C)을 덮은 상태로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용접되어 있다.
(53)은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우측전방 다리부(53)는, 좌측전방 다리부(51)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3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3B)와, 중간통부재(53C)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3부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3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3B)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중간통부재(53C)는, 원통형의 강관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3A)는, 중간통부재(53C)로부터 접합단(53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53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3B)나, 중간통부재(53C)로부터 접합단(53B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53B1)은, 사이드 프레임(28)의 좌측판(23C)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54)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우측후방 다리부(54)는, 좌측후방 다리부(52)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4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4B)와, 중간통부재(54C)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3부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4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4B)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중간통부재(54C)는, 원통형의 강관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4A)는, 중간통부재(54C)로부터 접합단(54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54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4B)도, 중간통부재(54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54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54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54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54B2)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54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에 간극없이 맞대어진 상태로 상기 좌측판(23C)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54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간극없이 맞대어지고, 또한 호스 삽입공(25C)을 덮은 상태로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4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11)과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측전방 다리부(5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를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하는 동시에, 중간통부재(51C)를 시판중인 강관재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이들 3부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좌측전방 다리부(51)를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는, 별개의 단체(單體)로서 작게 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를 주조하기 위한 주형은, 염가로 형성할 수 있고, 좌측전방 다리부(5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좌측후방 다리부(52), 우측전방 다리부(53), 우측후방 다리부(5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다리부를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 중간통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61)은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11)에 대신하여 본 실시예에 사용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트랙 프레임(61)은, 제1의 실시예에 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28), 후술하는 좌측전방 다리부(71), 좌측후방 다리부(72), 우측전방 다리부(73), 우측후방 다리부(7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61)은, 각 다리부(71)~(74)의 구성이 제1의 실시예에 의한 각 다리부(31)~(34)와는 상이한 것이다.
(71)은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전방 다리부(71)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2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전방 다리부(7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71C)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의 용융된 철계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71C)로부터 접합단(71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71A1)은,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의 용융된 철계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형의 중간통부(71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통부(71C)로부터 접합단(71B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의 중간통부(71C)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에 접합되고, 접합단(71B1)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72)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후방 다리부(72)는, 도 18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2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2B)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2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후방 다리부(7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2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72C)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2A)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의 용융된 철계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72C)로부터 접합단(72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72A1)은,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2B)는, 주강 재료, 주철 재료 등의 용융된 철계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형의 중간통부(72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통부(72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72B1),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72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72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72B2)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2B)의 중간통부(72C)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2A)에 접합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72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간극없이 맞대어진 상태로 상기 우측판(23D)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72B2)은,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간극없이 맞대어지고, 또한 호스 삽입공(25C)을 덮은 상태로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용접되어 있다.
(73)은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우측전방 다리부(73)는, 좌측전방 다리부(71)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3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3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73C)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3A)는, 중간통부(73C)로부터 접합단(73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73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3B)는, 원통형의 중간통부(73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통부(73C)로부터 접합단(73B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71B1)은, 사이드 프레임(22)의 좌측판(23C)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74)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우측후방 다리부(74)는, 좌측후방 다리부(72)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4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4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74C)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4A)는, 중간통부(74C)로부터 접합단(74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그 접합단(74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에 맞대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4B)는, 원통형의 중간통부(74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통부(74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74B1),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74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74B1)과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74B2)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4B)의 중간통부(74C)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4A)에 접합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74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에 간극없이 맞대어진 상태로 상기 좌측판(23C)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74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간극없이 맞대어지고, 또한 호스 삽입공(25C)을 덮은 상태로 다리부측 플랜지면부(25B)에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6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1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주조 수단에 의해 각각 별개의 부재로서 성형하고,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접합함으로써, 좌측전방 다리부(71)를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는, 별개의 단체로서 작게 주조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주조하기 위한 주형은, 염가로 형성할 수 있고, 좌측전방 다리부(7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좌측후방 다리부(72), 우측전방 다리부(73), 우측후방 다리부(7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3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전방 다리부(71)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의 양쪽을, 중간통부(7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 하여 형성한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도 19 참조).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1에 나타낸 제3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 전방 다리부(71')와 같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만을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중간통부(7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후방 다리부(72), 우측전방 다리부(73), 우측후방 다리부(7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다리부를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 중간통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8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트랙 프레임(81)은, 센터 프레임(12),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후술하는 좌측전방 다리부(91), 좌측후방 다리부(92), 우측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91)은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전방 다리부(91)는,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2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전방 다리부(9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91C)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형의 중간통부(91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통부(91C)로부터 접합단(91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91C)로부터 접합단(91B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92)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후방 다리부(92)는,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2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2B)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2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후방 다리부(9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2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92C)와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2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형의 중간통부(92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통부(92C)로부터 접합단(92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2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92C)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92B1),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92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우측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도, 전술한 좌측전방 다리부(91), 좌측후방 다리부(9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8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3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61)과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4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전방 다리부(91)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의 양쪽을, 중간통부(9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제4의 변형예에 의한 좌측전방 다리부(91')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lB)만을 확경통체로서 형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를 중간통부(9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후방 다리부(92), 우측전방 다리부(93), 우측후방 다리부(9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다리부를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하고, 또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중간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도 중간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10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트랙 프레임(101)은, 센터 프레임(12),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22),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후술하는 좌측전방 다리부(111), 좌측후방 다리부(112), 우측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11)은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전방 다리부(111)는,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B)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2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전방 다리부(11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111C)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111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형의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111A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111A1)로부터 접합단(111A2)를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111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형의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111B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111B1)로부터 접합단(111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A)의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111A1)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1B)의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111B1)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111C)로 된 좌측전방 다리부(111)가 구성되어 있다.
(112)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후방 다리부이며, 상기 좌측후방 다리부(112)는,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B)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2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후방 다리부(11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112C)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112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형의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112A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112A1)로부터 접합단(112A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통부(112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형의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112B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112B1)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112B2),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112B)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의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112A1)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B)의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112B1)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통부(112C)로 된 좌측후방 다리부(1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을 센터 프레임(12)에 연결하는 우측전방 다리부, 우측후방 다리부는, 전술한 좌측전방 다리부(111), 좌측후방 다리부(11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10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3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6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상부 선회체(6)에 캡(9)을 구비한 캡식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운전석의 윗쪽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한 캐노피(capony) 형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에 적용하는 트랙 프레임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의 하부 주행체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shovel), 유압 크레인 등의 하부 주행체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상부 선회체(旋回體)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좌측 사이드 프레임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다리부 및 후방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는, 상기 중간통부로부터 접합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擴徑)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확경통체는 용융된 철계(鐵系)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鑄造) 수단에 의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통체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통체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양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중간통부가 단일의 통체로서 상기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중간통부를 구성하는 중간통부재의 3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체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상기 중간통부로 된 일체의 통체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양쪽은 상기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상기 중간 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양쪽은 상기 확경통체로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상기 중간 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양쪽은 상기 확경통체로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상기 중간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중간통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상기 중간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중간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설치된 유동륜(游動輪)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타측에 설치된 모터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타측의 단면과 상기 모터 브래킷부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플랜지의 4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각 다리부 중 후방 다리부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상기 확경통체는,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후방 부위와 상기 접속 플랜지에 걸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센터 프레임측으로 길게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상기 확경통체는,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후방 부위와 상기 접속 플랜지의 돌출부에 걸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상기 확경통체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단과 대략 직교하는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속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단면과 대면하는 프레임측 플랜지면부와, 상기 프레임측 플랜지면부로부터 상기 센터 프레임측 플랜지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속 플랜지의 프레임측 플랜지면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의 후단과 접합되고, 상기 접속 플랜지의 다리부측 플랜지면부는 상기 확경통체의 접속 플랜지측 접합단과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 중 전방 다리부는 경사 전방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KR1020047017713A 2002-10-09 2003-09-30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KR100621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6477 2002-10-09
JPJP-P-2002-00296477 2002-10-09
PCT/JP2003/012547 WO2004033273A1 (ja) 2002-10-09 2003-09-30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418A true KR20050000418A (ko) 2005-01-03
KR100621479B1 KR100621479B1 (ko) 2006-09-13

Family

ID=3208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13A KR100621479B1 (ko) 2002-10-09 2003-09-30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38080B2 (ko)
EP (1) EP1550600B8 (ko)
JP (1) JP4113184B2 (ko)
KR (1) KR100621479B1 (ko)
CN (1) CN100375697C (ko)
AT (1) ATE388075T1 (ko)
DE (1) DE60319555T2 (ko)
WO (1) WO2004033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23A (ko) * 2014-11-14 2016-05-24 장진만 독립 구동 방식을 적용한 전동형 미니 포크레인의 모터 장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003A (ja) * 2002-12-06 2004-07-08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クローラフレーム
JP4617096B2 (ja) * 2003-05-20 2011-0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4928087B2 (ja) * 2005-03-14 2012-05-0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フレーム構造
GB2434348A (en) * 2006-01-20 2007-07-25 Jcb Compact Products Ltd Track-laying vehicle with cast track sub-frames
ATE489508T1 (de) * 2007-09-21 2010-12-15 New Holland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S P A Tragrahmen eines baggers
CA2756859C (en) * 2010-11-02 2020-01-21 Camoplast Solideal Inc. Track assembly for providing traction to an off-road vehicle such as an all-terrain vehicle (atv) or a snowmobile
JP6220336B2 (ja) 2011-08-31 2017-10-25 プリノート エル.ティー.ディー.Prinoth Ltd. 無限軌道車両
CN103171637A (zh) * 2011-12-24 2013-06-26 广西玉柴重工有限公司 一种履带式滑移装载机履带架结构
FI128209B (fi) * 2013-06-14 2019-12-31 Metso Minerals Inc Menetelmä ja järjestelmä mineraalimateriaalin murskaimen rungon kannattelemiseksi murskauslaitoksen rungolla sekä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CN104015804B (zh) * 2014-06-16 2017-11-10 柳工常州机械有限公司 推土机三段式半刚性枢轴台车架
US11702941B2 (en) * 2018-11-09 2023-07-18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Airfoil with baffle having flange ring affixed to platform
SE544770C2 (en) * 2021-03-25 2022-11-08 Bae Systems Haegglunds Ab Track assembly for a track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4760A (en) * 1937-01-11 1939-01-24 Harnischfeger Corp Excavator base and frame
US2991132A (en) * 1959-06-05 1961-07-04 Eimco Corp Vehicle track frame construction
US4231699A (en) * 1979-01-24 1980-11-04 Dresser Industries, Inc. Lower and crawler frame construction for crawler propelled machines
JPH0615426B2 (ja) 1985-09-06 1994-03-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iC又はSi▲下3▼N▲下4▼基材とMo又はW基材との接合体
JPS6259577U (ko) * 1985-10-02 1987-04-13
JPH0177578U (ko) * 1987-11-13 1989-05-25
JPH0363327A (ja) * 1989-07-31 1991-03-19 Iseki & Co Ltd 超小型シヨベルカーに於けるフレーム
JP3136773B2 (ja) * 1992-06-23 2001-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ロスメンバ継手部の成形方法
JP3495163B2 (ja) 1995-11-20 2004-02-09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配管経路を備えたカーボディ脚部
SE511491C2 (sv) * 1998-02-26 1999-10-04 Scania Cv Ab Balkanordning
JP4265723B2 (ja) * 2000-08-15 2009-05-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式建設機械車輌のフレーム構造
JP2002146831A (ja) * 2000-11-17 2002-05-2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ロワーフレーム
JP4526852B2 (ja) * 2003-05-20 2010-08-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4394503B2 (ja) * 2003-05-20 2010-0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23A (ko) * 2014-11-14 2016-05-24 장진만 독립 구동 방식을 적용한 전동형 미니 포크레인의 모터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9555D1 (de) 2008-04-17
DE60319555T2 (de) 2009-03-26
CN100375697C (zh) 2008-03-19
JPWO2004033273A1 (ja) 2006-02-09
EP1550600B1 (en) 2008-03-05
EP1550600A1 (en) 2005-07-06
EP1550600B8 (en) 2008-06-18
WO2004033273A1 (ja) 2004-04-22
JP4113184B2 (ja) 2008-07-09
US7338080B2 (en) 2008-03-04
ATE388075T1 (de) 2008-03-15
CN1681700A (zh) 2005-10-12
US20050167967A1 (en) 2005-08-04
EP1550600A4 (en) 2006-08-16
KR100621479B1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479B1 (ko)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JP4060796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WO2008018194A1 (en) Boom
KR20060041816A (ko) 크롤러 프레임
US8079636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JP4113185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8240343A (ja) 作業機のアーム
KR20040100924A (ko) 건설 기계
JP4617096B2 (ja) 建設機械
JP4809206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3129522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094940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3400733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H11278300A (ja)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3267274A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KR101605902B1 (ko) 건설 기계의 배토 장치
JP4949963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468987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763631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4430550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5599641B2 (ja) 建設機械
JP4999591B2 (ja) トラックフレーム内の配管配置構造
JP2006144411A (ja) ブレードを備えた作業機械及びブレード支持構造
JP2003048570A (ja) 装軌式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