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40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40Y1
KR200494540Y1 KR2020200000239U KR20200000239U KR200494540Y1 KR 200494540 Y1 KR200494540 Y1 KR 200494540Y1 KR 2020200000239 U KR2020200000239 U KR 2020200000239U KR 20200000239 U KR20200000239 U KR 20200000239U KR 200494540 Y1 KR200494540 Y1 KR 200494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fixing
connector member
rotating part
open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672U (ko
Inventor
시엔-창 린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0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단자, 암단자, 및 잠금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수단자의 위치고정기둥이 암단자의 제2 위치고정홈을 따라 삽입되고 수단자의 제1 위치고정홈이 암단자의 스냅부를 따라 삽입되는 경우, 수단자의 복수의 제1 소켓이 암단자의 복수의 제2 소켓과 대응하고 수단자의 돌기가 잠금부의 지지편을 따라 그 개구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된다. 돌기와 개구의 위치가 한정되어 수단자 및 암단자가 서로 잠기게 된다. 또한, 잠금부의 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개구에서 돌기가 잠금 해제되어 돌기가 지지편을 따라 개구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나옴으로써 수단자와 암단자가 서로 이탈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단자 및 암단자를 자동으로 잠그고 수동으로 해제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커넥터의 수단자 및 암단자의 상호 연결이 간편하도록 하는 구성품이다. 특히 컴팩트 커넥터는 수단자 및 암단자가 결합하는 동시에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는 자동 걸림 구조로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자동 잠금 구조에 대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작용력을 가하여 수단자 및 암단자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컴팩트 커넥터는 사용자가 커넥터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커넥터, 케이블, 또는 기판에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감안하여, 종래 커넥터에 기인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커넥터를 제시한다.
미국공개특허 US 2015-0044913
본 고안의 제 1 과제는 자동 잠김 및 수동 해제 기능의 수단자 및 암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하고 견고하게 연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과제는 상기 커넥터에 의거해 수단자 및 암단자에 대해 위치고정기둥 및 위치고정홈을 사용하여, 수단자 및 암단자가 위치를 맞춰 서로 연결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과제는 상기 커넥터에 의거해 잠금부를 통해 자동 잠금 동작을 수행하고 잠금부를 회전시켜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및 기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기판 및 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수단자, 암단자, 및 잠금부를 포함한다. 수단자에는 삽입구, 위치고정기둥, 돌기, 제 1 위치고정홈, 및 복수의 제 1 소켓이 형성된다. 삽입구는 수단자의 일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위치고정기둥은 수단자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기둥에는 돌기가 형성된다. 제 1 소켓 및 제 1 위치고정홈은 수단자의 타측에 형성된다. 암단자에는 결합공간, 복수의 제 2 소켓, 스냅부, 제 2 위치고정홈, 및 작용홈이 형성된다. 결합공간은 암단자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단자가 장착된다. 제 2 소켓은 암단자의 타측에 형성된다. 스냅부는 결합공간에 형성된다. 제 2 위치고정홈 및 작용홈은 암단자의 측면에 형성된다. 결합공간은 제 2 위치고정홈을 통해 작용홈에 연통된다. 상기 제 2 소켓은 상기 제 1 소켓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스냅부는 제 1 위치고정홈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 2 위치고정홈은 위치고정기둥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잠금부는 작용홈에 설치된다. 잠금부는 회전부, 지지편, 개구, 탄성부, 및 고정부를 구비한다. 탄성부는 회전부 및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돌기가 개구에 잠긴다. 위치고정기둥이 제 2 위치고정홈을 따라 삽입되고 제 1 위치고정홈이 스냅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소켓이 상기 제 1 소켓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돌기가 지지편을 따라 개구로 슬라이딩된다. 돌기와 개구의 위치가 한정되어 수단자 및 암단자가 서로 잠기게 된다. 또한, 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개구에서 돌기가 잠금 해제되어, 돌기가 지지편을 따라 개구로 슬라이딩되어 나옴으로써 수단자와 암단자가 서로 이탈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수단자 및 암단자의 조립 과정에서 용이하게 설치되고 자동적으로 잠길 수 있으며, 간단한 가압 방식을 통해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수단자를 제 1 시점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수단자를 제 2 시점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암단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잠금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잠금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에 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본문의 유닛, 구성품, 및 부품에 대해 "하나" 또는 "한 개"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에 따른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에 일반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명백히 다른 의미를 지시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단수는 동시에 복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 "포괄", "구비", "함유"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용어는 배타적이지 않은 등가물들을 아우르는 것을 의도한다. 예컨대, 복수의 요건을 포함하는 구성요소, 구조체,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이들 요건들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았지만 상기 구성요소, 구조체, 제품 또는 장치가 통상적으로 갖는 고유의 기타 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백히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선언으로서의 "또는"이 아닌 포괄적 선언으로서의 "또는"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서, 커넥터(10)는 수단자(12), 암단자(14), 및 잠금부(16)를 포함한다. 실제 사용하는 경우로서,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 7을 함께 참조할 수 있다. 도 7에서, 커넥터(10)은 기판(2)과 케이블(4)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단자(12)는 메일(male) 커넥터 부재라고 할 수 있고, 암단자(14)는 피메일(female) 커넥터 부재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도 2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수단자를 제 1 시점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수단자를 제 2 시점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 수단자(12)의 전방에는 삽입구(122), 위치고정기둥(124), 및 돌기(126)가 형성된다.
도 3에서, 수단자(12)의 후방에는 제 1 위치고정홈(128) 및 복수의 제 1 소켓(1210)이 형성된다. 또한, 수단자(12)를 예시로서 직사각형으로 설명하였다.
도 2 및 3에서, 삽입구(122)는 수단자(12)의 전방에 형성되어 케이블(4)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구(122)는 8개의 직사각형 개구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수 및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치고정기둥(124)는 수단자(12)의 측면에 형성된다. 위치고정기둥(124)은 저부의 양측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위치고정기둥(124)이 후술하는 암단자(14)의 제 2 고정홈(146)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고정기둥(14)이 암단자(14)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의 기술 특징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서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위치고정기둥(124) 상에 돌기(126)가 형성된다. 돌기(126)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사다리꼴의 가장 긴 변은 위치고정기둥(124)에 연결되고, 돌기(126)에는 경사면(1262)이 형성되며, 경사면(1262)은 돌기(126)가 후술하는 잠금부(16)의 지지편(1610)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돌기(126)가 잠금부(16)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제 1 위치고정홈(128)은 H형의 입체 구조이며, 제 1 위치고정홈(128)이 2개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2개의 제 1 위치고정홈(128)은 각각 양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암단자(14)의 스냅부(144)에 스냅 결합될 수 있다. H형의 입체 구조는 횡방향 리브가 형성되므로 스냅부(144)가 횡방향 리브와 스냅 결합되어 위치를 한정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H형의 입체 구조는 제 1 위치고정홈(128)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위치를 한정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면 본 고안에 따른 제 1 위치고정홈(128)에 해당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제 1 소켓(1210)은 삽입구(122)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 1 소켓(1210)은 도전편(6; 도 7 참조 가능)의 일단이 삽입되어 케이블(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전편(6)의 상기 일단을 통해 케이블(4)은 도전편(6)의 타단이 연결된 기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암단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암단자(14)에는 결합공간(SP), 복수의 제 2 소켓(142), 스냅부(144), 제 2 위치고정홈(146), 및 작용홈(148)이 형성된다.
결합공간(SP)은 암단자(14)의 전방에 형성되고, 결합공간(SP)은 수단자(12)가 장착될 수 있어서, 암단자(14)와 수단자(12)가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소켓(142)은 암단자(14)의 후방에 형성되고, 암단자의 외부 및 결합공간(SP)를 관통하고, 또한, 제 2 소켓(142)은 제 1 소켓(121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스냅부(144)는 결합공간(SP)에 형성된다. 또한, 스냅부(144)는 제 1 위치고정홈(128)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스냅부(144)는 결합공간(SP)에서 돌출된 쐐기 형태이다.
제 2 위치고정홈(146) 및 작용홈(148)은 암단자(14)의 측면에 형성되고, 결합공간(SP)은 제 2 위치고정홈(146)을 통해 작용홈(148)에 연통되고, 제 2 위치고정홈(146)은 위치고정기둥(12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5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잠금부(16)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잠금부(16)는 작용홈(148)에 설치된다. 잠금부(16)는 회전부(162), 고정부(164), 탄성부(166), 개구(168), 및 지지편(1610)을 포함한다.
회전부(162)는 인가된 외력을 받을 수 있다.
탄성부(166)는 회전부(162) 및 고정부(164)의 사이에 형성된다. 회전부(162)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회전부(162) 및 고정부(164)에 변형이 발생하여 탄성부(166)가 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거나 회전한다. 회전하는 각도 범위는 10도 미만이다. 또한, 회전부(162)의 말단은 케이블(4)이 삽입되는 위치가 아닌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부(162)가 L형인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고정부(164)는 기판(2)에 고정되어 암단자의 위치를 기판(2) 상에 한정시킨다.
지지편(1610)의 자유단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돌기(126)가 개구(168)에 슬라이딩된다.
도 6에서, 수단자(12) 및 암단자(14)를 결합하는 중에, 위치고정기둥(124)이 먼저 제 2 위치고정홈(146)을 따라 삽입된 후에 제 1 위치고정홈(128)이 스냅부(144)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위치고정홈(128)이 스냅부(144)에 스냅 결합되고, 상기 제 1 소켓들(1210)이 제 2 소켓들(142)에 대응되고, 돌기(126)가 지지편(1610)을 따라 개구(168)에 슬라이딩된다. 돌기(126)와 개구(168)의 위치가 한정되어 서로 잠김으로써 수단자(12) 및 암단자(14) 상호간의 잠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반면, 회전부(162)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회전부(162)가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개구(168)가 돌기(126)를 잠금 해제시켜 돌기(126)가 지지편(162)을 따라 개구(168)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수단자(12)와 암단자(14)가 서로 이탈하여, 잠금 해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내용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였으며 해당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와 등가적인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가 정의하는 바에 따른다.
2: 기판 4: 케이블
6: 도전편 10: 커넥터
12: 수단자 122: 삽입구
124: 위치고정기둥 126: 돌기
128: 제 1 위치고정홈 1210: 제 1 소켓
14: 암단자 142: 제 2 소켓
144: 스냅부 146; 제 2 위치고정홈
148; 작용홈 16: 잠금부
162: 회전부 164: 고정부
166: 탄성부 168: 개구
1610: 지지편 SP: 결합공간

Claims (10)

  1. 기판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 측면에 형성되고 돌기가 형성되는 위치고정기둥, 및 타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소켓 및 제 1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는 메일(male) 커넥터 부재;
    피메일(female) 커넥터 부재로서, 결합공간, 복수의 제 2 소켓, 스냅부, 제 2 위치고정홈, 및 작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은 피메일 커넥터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일 커넥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소켓은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를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냅부는 상기 결합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위치고정홈 및 상기 작용홈은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은 제 2 위치고정홈을 통해 작용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 2 소켓은 상기 제 1 소켓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냅부는 상기 제 1 위치고정홈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위치고정홈은 상기 위치고정기둥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피메일(female) 커넥터 부재; 및
    상기 작용홈에 설치되고 회전부, 지지편, 개구, 탄성부, 및 고정부를 구비하는 잠금부로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지지편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상기 돌기가 잠기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기둥이 상기 제 2 위치고정홈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제 1 위치고정홈이 상기 스냅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소켓이 상기 제 1 소켓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상기 개구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개구의 위치가 한정되어 상기 메일 커넥터 부재 및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가 서로 잠기게 되고, 상기 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상기 개구에서 상기 돌기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상기 개구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메일 커넥터 부재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가 서로 이탈하고, 상기 회전부는 탄성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메일 커넥터 부재의 상기 일측에 해당하는 전방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에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는 변형되고 상기 탄성부는 구부러지거나 주어진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사다리꼴의 가장 긴 변은 위치고정기둥에 연결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자유단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개구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도전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편은 상기 제 1 소켓 및 상기 제 2 소켓에 삽입되고, 상기 도전편의 일단은 상기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도전편의 타단은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외력을 받아 상기 탄성부에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피메일 커넥터 부재의 우측부에 구비된 상기 잠금부의 경우,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는 상기 일방향은 시계방향인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 범위는 10도 미만인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말단은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구의 바깥쪽에서 상기 삽입구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형상은 L형인 커넥터.
KR2020200000239U 2019-09-10 2020-01-17 커넥터 KR2004945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12195U TWM594289U (zh) 2019-09-10 2019-09-10 連接器
TW108212195 2019-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72U KR20210000672U (ko) 2021-03-19
KR200494540Y1 true KR200494540Y1 (ko) 2021-11-03

Family

ID=7113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239U KR200494540Y1 (ko) 2019-09-10 2020-01-17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8675U (ko)
KR (1) KR200494540Y1 (ko)
CN (1) CN212485675U (ko)
TW (1) TWM59428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7619B (zh) * 2020-06-11 2022-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自動鎖扣結構的連接器
TWM622361U (zh) * 2021-04-27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KR102554252B1 (ko) * 2021-07-26 2023-07-11 우성정보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KR102559139B1 (ko) * 2022-11-09 2023-07-24 박문수 방습기능이 향상된 승강기용 리드선 커넥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9404A (ja) 2008-11-28 2010-06-10 Molex Inc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14038822A (ja) 2012-07-19 2014-02-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150155658A1 (en) 2012-03-27 2015-06-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Wire-to-board connector
JP2015213010A (ja) 2014-05-02 2015-11-2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線対基板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9697B (zh) 2013-08-09 2015-06-21 Wistron Corp 線對板連接器組合及其板端連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9404A (ja) 2008-11-28 2010-06-10 Molex Inc 電線対基板コネクタ
US20150155658A1 (en) 2012-03-27 2015-06-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Wire-to-board connector
JP2014038822A (ja) 2012-07-19 2014-02-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5213010A (ja) 2014-05-02 2015-11-2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線対基板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72U (ko) 2021-03-19
TWM594289U (zh) 2020-04-21
JP3228675U (ja) 2020-11-05
CN212485675U (zh)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540Y1 (ko) 커넥터
JP4858050B2 (ja) コネクタ
KR101492759B1 (ko) 플러그-인 커넥터 소켓용 접촉 소자
KR101797249B1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US718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JP6198793B2 (ja) コネクタ
CA211949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JP2001230021A (ja) コネクタ
US20170104288A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18090675A2 (zh) 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JP2010165624A (ja) 1対の誤嵌合防止キー及び該キー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9882303B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EP1970998A2 (en) Electric connector
WO2016059947A1 (ja) コネクタ
KR101671866B1 (ko)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프런트 티피에이 조립구조
JP3620833B2 (ja) モジュールコネクタ
US6758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292746B1 (ko) 오프셋 타입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
US20090047842A1 (en) Power connector with two housing parts mounted to each other for holding contact terminals therein
US20180166824A1 (en) Housing of board connector, board connector and board connector with case
CN212968298U (zh) 插接连接件和具有插接连接件的装置
JP2020187953A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JP3100655B2 (ja) ネジなしf形コネクタ座
TWI819798B (zh) 電連接裝置
TWI836615B (zh) 線對板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