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252B1 -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252B1
KR102554252B1 KR1020210097885A KR20210097885A KR102554252B1 KR 102554252 B1 KR102554252 B1 KR 102554252B1 KR 1020210097885 A KR1020210097885 A KR 1020210097885A KR 20210097885 A KR20210097885 A KR 20210097885A KR 102554252 B1 KR102554252 B1 KR 102554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cable connector
plug
connec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416A (ko
Inventor
정기웅
Original Assignee
우성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2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발명은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블과 장치 외부의 외부케이블을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나사를 사용히지 않고도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 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케이블(10)의 플러그(15)와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케이블(20)의 플러그(25)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30); 및 장치의 커버(50)에 구비되어 케이블 커넥터(30)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대(55);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고정대(55)에 상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삽입홈(56)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커넥터 고정대(55)의 삽입홈(56)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Cable Connector Fixing}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블과 장치 외부의 외부케이블을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나사를 사용히지 않고도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 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광케이블 회선이 구비된 장치는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케이블 회선과 장치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케이블 회선이 독립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내부케이블과 외부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케이블 커넥터가 사용된다.
그런데, 다수의 광케이블 회선이 구비된 장치에는 내부케이블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각각 케이블 커넥터에 독립적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다수의 케이블 커넥터로 인해 장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장치의 커버 내측에 다수의 케이블 커넥터가 설치되는 커넥터 고정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케이블(100)의 플러그(150)와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케이블(200)의 플러그(250)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300)와; 장치의 커버(500)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 커넥터(300)가 끼움 결합되는 커넥터 삽입홈(560)이 다수 형성되어 케이블 커넥터(300)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대(550)와; 상기 커넥터 삽입홈(560)에 결합된 케이블 커넥터(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커넥터 고정대(550)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나사(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는 장치의 커버(500)에 구비된 커넥터 고정대(550)의 커넥터 삽입홈(560)에 케이블 커넥터(300)를 삽입한 다음,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케이블 커넥터(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고정된 케이블 커넥터(300)에 내부케이블(100)의 플러그(150)와 외부케이블(200)의 플러그(250)를 각각 결합시켜 내부케이블(100)과 외부케이블(200)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 고정구조는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나사를 사용하고, 커넥터 삽입홈에 삽입된 케이블 커넥터에 체결나사가 원활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커넥터의 위치를 조정해야 함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를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국내 특허문헌을 찾지 못하였으며, 관련 기술분야의 국내 특허문헌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커넥터가 연결되는 브라켓에 회동판을 고정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지지판을 고정하며, 상기 회동판의 좌,우에는 삽입홈을 형성하면서 지지판의 양측 둘레에는 안내홈을 형성고, 또 베어링이 상기 삽입홈과 안내홈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인쇄회로 기판, 지지판, 회동판을 통해 브라켓에 나사 고정하고 회동판과 브라켓 사이에는 스프링을 개재함으로써, 커넥터의 착탈 및 도어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 광케이블커넥터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된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한편,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을 통해 접지단자와 접속하여 접지시키는 접지 셸 및 하우징의 상하측면에 설치된 접지 셸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접지 셸을 하우징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의 단부에 몰딩되어 케이블을 하우징 내부에 정위치 및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케이블을 정위치 및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시 케이블을 고정시켜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단자 삽입홈 상에 단자 고정부재를 통해 데이터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되 양측 각각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일정깊이 레버홈이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의 레버홈 각각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레버 및 단자 고정부재가 결합된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면을 커버하여 마감하는 금속재의 쉘 커버가 구비되어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양측에 형성된 레버홈 각각의 후반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핀결합홈; 및 핀결합홈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레버의 후위에 위치되는 것을 통해 고정레버를 고정시키는 레버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에 체결시 고정레버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레버 고정구조를 갖는 데이터 케이블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KR 20-1994-0017996 U KR 20-0278497 Y1 KR 10-2011-0014269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블과 장치 외부의 외부케이블을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나사를 사용히지 않고도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 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케이블의 플러그와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케이블의 플러그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 및 장치의 커버에 구비되어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고정대에 상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삽입홈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대의 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삽입홈은 케이블 커넥터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케이블 커넥터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양측 중간 부분에 각각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 중간 부분 상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은 적어도 상기 케이블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양측 단부에 내부케이블의 플러그와 외부케이블의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는 내부케이블과 외부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대의 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를 설치하기가 쉬워지고 설치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커넥터 고정대의 삽입홈이 케이블 커넥터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케이블 커넥터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대의 안쪽까지 삽입되지 않게 되어 케이블 커넥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삽입홈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의 위치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삽입홈 양측의 가이드홈이 케이블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의 상단 부분이 커넥터 고정대의 상부로 과다하게 돌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에 내부케이블의 플러그와 외부케이블의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를 커넥터 고정대에 설치하기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촉매 필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금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에 대한 도면은 해당 구성요소의 특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해당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케이블(10)의 플러그(15)와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케이블(20)의 플러그(25)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30)와; 장치의 커버(50)에 구비되어 케이블 커넥터(30)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넥터 고정대(55)에 상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삽입홈(56)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커넥터 고정대(55)의 삽입홈(56)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커넥터(30)를 커넥터 고정대(55)에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설치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56)은 케이블 커넥터(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케이블 커넥터(30)의 높이보다 일정 정도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삽입홈(56)에 과다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커넥터 고정대(55)로부터 케이블 커넥터(30)를 쉽게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30)의 양측 중간 부분에 각각 가이드돌기(35)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6)의 양측 중간 부분 상측에 상기 가이드돌기(35)가 삽입되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홈(5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가이드홈(57)에 삽입 결합된 가이드돌기(35)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30)의 설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내부케이블(10)이나 외부케이블(20)로 인해 케이블 커넥터(30)가 커넥터 고정대(5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57)은 적어도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홈(57)은 케이블 커넥터(30)의 상단으로부터 가이드돌기(35)가 형성된 부분까지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30)가 케이블 고정대(55)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가이드홈(57)은 삽입홈(56)에 비해서는 작은 깊이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30)의 양측 단부에 내부케이블(10)의 플러그(15)와 외부케이블(20)의 플러그(2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커넥터(30)로부터 내부케이블(10)과 외부케이블(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블 커넥터(30)를 커넥터 고정대(55)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케이블 커넥터(30)를 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내부케이블(10) 또는 외부케이블(20)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는 케이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대의 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커넥터 고정대에 케이블 커넥터를 설치하기가 쉬워지고 설치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장치의 커버(50)에 설치된 커넥터 고정대(55)의 삽입홈(56)에 각각 케이블 커넥터(30)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되, 상기 케이블 커넥터(30)의 가이드돌기(35)가 삽입홈(56)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57)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흔들리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커넥터(30)는 커넥터 고정대(55)의 삽입홈(56)에 완전히 삽입되거나 상단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케이블 커넥터(30)가 커넥터 코정대(55)에 설치되면, 케이블 커넥터(30)의 양단에 각각 내부케이블(10)의 플러그(15)와 외부케이블(20)의 플러그(25)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내부케이블(10)과 외부케이블(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내부케이블
15...플러그
20...외부케이블
25...플러그
30...케이블 커넥터
35...가이드돌기
50...커버
55...커넥터 고정대
56...삽입홈
57...가이드홈

Claims (5)

  1. 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케이블(10)의 플러그(15)와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케이블(20)의 플러그(25)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케이블 커넥터(30); 및 장치의 커버(50)에 구비되어 케이블 커넥터(30)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대(55);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고정대(55)에 상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삽입홈(56)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커넥터 고정대(55)의 삽입홈(56)에 슬라이딩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커넥터(30)의 양측 중간 부분에 각각 가이드돌기(35)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6)의 양측 중간 부분 상측에 상기 가이드돌기(35)가 삽입되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홈(57)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57)은 적어도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56)은 케이블 커넥터(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케이블 커넥터(30)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30)의 양측 단부에 내부케이블(10)의 플러그(15)와 외부케이블(20)의 플러그(2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KR1020210097885A 2021-07-26 2021-07-26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KR102554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85A KR102554252B1 (ko) 2021-07-26 2021-07-26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85A KR102554252B1 (ko) 2021-07-26 2021-07-26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16A KR20230016416A (ko) 2023-02-02
KR102554252B1 true KR102554252B1 (ko) 2023-07-11

Family

ID=8522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85A KR102554252B1 (ko) 2021-07-26 2021-07-26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2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514B1 (ko) 1997-09-25 2000-08-01 윤종용 멀티에어컨의접속장치
KR100909098B1 (ko) * 2009-04-01 2009-07-23 노재호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KR101860422B1 (ko) 2017-02-16 2018-05-23 김동일 전기접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847Y1 (ko) 1992-12-30 1998-12-15 정장호 광 케이블 커넥터 고정장치
KR200278497Y1 (ko) 2002-03-26 2002-06-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KR20110014269A (ko) 2009-07-27 2011-02-11 (주)뉴텍 레버 고정구조를 갖는 데이터 케이블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TWM594289U (zh) * 2019-09-10 2020-04-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514B1 (ko) 1997-09-25 2000-08-01 윤종용 멀티에어컨의접속장치
KR100909098B1 (ko) * 2009-04-01 2009-07-23 노재호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KR101860422B1 (ko) 2017-02-16 2018-05-23 김동일 전기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16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8231C (en) Circuit card insertion and removal system
US8002583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and latching features
EP1495659B1 (en) Adapter module with retention latch
CN2563787Y (zh) 电连接器组件
US20080123274A1 (en) Cartridge for space-restricted installation in rack-mounted computer system
US5406453A (en) Computer chassis planar/riser card assembly
US20050048831A1 (en) Adapter module retention latches
EP1041905A1 (en) Enclosure and expansion card for computing devices
KR20120097399A (ko)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
JP5420147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基地局
CN1595725A (zh) 卡电连接器
US6729910B2 (en) DSX jack LED activation and grounding system
EP1037314B1 (en) Receptacle and printed circuit assembly for receiving a plug
KR102554252B1 (ko)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US6077100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quipped with means for simultaneously mating its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US6619993B2 (en) DSX jack connection system
US20190056764A1 (en) Connector substrate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electronic device
JP3478613B2 (ja) 机等のコード配線装置
US8705244B2 (en) Projector and unit for projector
NZ264779A (en) Telecommunication plug/socket two part coupling unit
US20020182932A1 (en) Jack assembly system
CN217978119U (zh) 安装装置及显示设备
CN212183884U (zh) 一种便于拆装的控制器外壳
CN218548948U (zh) 一种连接器的连接组件及机箱
CN1232306A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